KR20220075488A -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488A
KR20220075488A KR1020200163603A KR20200163603A KR20220075488A KR 20220075488 A KR20220075488 A KR 20220075488A KR 1020200163603 A KR1020200163603 A KR 1020200163603A KR 20200163603 A KR20200163603 A KR 20200163603A KR 20220075488 A KR20220075488 A KR 20220075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game
augmented reality
board gam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162B1 (ko
Inventor
공미경
Original Assignee
공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미경 filed Critical 공미경
Priority to KR1020200163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162B1/ko
Publication of KR20220075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2Chess; Similar bo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2003/00996Board games available as video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 중인 보드 게임의 게임판 및 상기 게임판 위 또는 주변에 놓이는 말 또는 카드를 각각 촬영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 상기 복수의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각각 수집하고, 수집된 이미지에서 상기 보드와 상기 말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각각 생성하며, 타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생성된 상기 좌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에 타 사용자의 말 또는 카드 이미지를 삽입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각 상기 좌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복수의 좌표 정보를 상호 동기화하며, 동기화된 복수의 좌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표시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ONLINE BOARD GAME USING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자간 소통이 이루어지면서 진행되는 보드 게임을 오프라인과 매우 유사하게 온라인 상에서 구현할 수 있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스, 장기와 같은 보드 게임은 게임 참여자들이 직접 대면하여 보드 게임판 상에 말을 이동 시키면서 진행하는 전형적인 오프라인 오락의 일종이다.
그러나 감염병 유행 등으로 인해 사람 간의 접촉을 최대한 차단해야 하는 사회 환경에서는 오프라인 상에서 직접 사용자들이 보드 게임을 즐기기 위해 서로 대면하는 것은 상호 간에 부담이 되고 서로 꺼려질 뿐만 아니라 추후 사회적 문제를 야기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보드 게임을 온라인 상에서 구현한 다양한 시스템이 이미 개발 및 서비스 되고 있으나,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보드 게임 서비스는 대부분 온라인에 특화되어 직접 대면하면서 상대와 소통하면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오프라인 보드 게임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오프라인 상에서 직접 대면하여 소통하면서 진행되는 보드 게임을 오프라인과 매우 유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온라인 상에서 구현한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 중인 보드 게임의 게임판 및 상기 게임판 위 또는 주변에 놓이는 말 또는 카드를 각각 촬영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
상기 복수의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각각 수집하고, 수집된 이미지에서 상기 보드와 상기 말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각각 생성하며, 타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생성된 상기 좌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에 타 사용자의 말 또는 카드 이미지를 삽입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각 상기 좌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복수의 좌표 정보를 상호 동기화하며, 동기화된 복수의 좌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표시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말 또는 카드는 마커를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 내에서 상기 마커를 인식하여 상기 말 또는 카드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게임판을 촬영한 이미지를 입력 받아 이미지 내 게임판에 대응되는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게임판이 이미지 상에서 차지하는 좌표를 검출하고 상기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게임판의 좌표를 기반으로 상기 게임판을 촬영한 이미지에서 상기 말 또는 카드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가능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말 또는 카드가 위치하는 좌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이동 가능 범위와 상기 말 또는 카드가 위치하는 좌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말 또는 카드의 이동 위치를 확정하여 상기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에 마련된 보드 게임 참여자들의 대화방에 접속한 경우, 상기 대화방에 접속한 참여자들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패턴이 점등되는 LED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이 표시된 복수의 면을 갖는 동작 주사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장치에 의해 상기 동작 주사위의 일면이 촬영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동작 주사위의 일면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촬영된 면을 인식하고, 인식된 면에 표시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은, 원격에 위치한 보드게임 동참 사용자의 말 또는 카드의 위치나 이미지를 증강현실 이미지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온라인을 통해 오프라인 상에서 대면하여 보드게임을 즐기는 것과 유사하게 보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은, 보드 게임 사용자들이 온라인 상에서 실제 오프라인과 유사하게 소통하면서 보드 게임을 즐길 수 있으므로, 감염병 유행으로 인한 거리두기가 요구되는 환경에서 더욱 유용하고 효과적인 사업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체스 게임을 즐기는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의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보드 게임용 말 및 카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드 게임을 즐기는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에서 촬영된 각 사용자의 이미지 및 증강 현실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LED 박스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동작 주사위의 전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동작 주사위의 각 면에 표시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기능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체스 게임을 즐기는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의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보드 게임용 말 및 카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드 게임을 즐기는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에서 촬영된 각 사용자의 이미지 및 증강 현실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2는 보드 게임의 일례로서 체스 게임을 도시하고, 도 4는 보드 게임의 일례로서 주사위 등에 의해 말을 특정 이동 수만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보드 게임을 도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말 또는 카드를 사용하는 대다수의 보드 게임이 본 발명에 의해 온라인으로 구현 가능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은, 보드 게임을 즐기는 각각의 사용자(사용자 A, 사용자 B)마다 각각 구비되는 촬영 장치(11, 12)와, 사용자 단말(21, 22)와 디스플레이 장치(31, 32)를 포함하며, 복수의 사용자의 보드 게임 화면에 대한 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한 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촬영 장치(11, 12) 각각은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보드 게임의 게임판(100, 200) 및 게임판 위 또는 주변에 놓이는 말 또는 카드(110, 210)를 촬영하여, 보드 게임에 참여하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보드 게임 진행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온라인을 이용하여 보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인 바, 각각의 사용자에게 마련된 실제 보드 게임판에는 각 사용자의 말 또는 카드만 배치된다.
복수의 촬영 장치(11, 12)에서 각각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는 복수의 사용자 마다각각 구비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21, 22)에 제공될 수 있다.
촬영 장치(11, 12)에 의해 촬영되는 대상에는 식별의 대상임을 표시하기 위한 마커(M)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스 게임의 말(110, 120)의 하단부나 카드(110, 120)의 일 영역에는 2차원 QR 코드와 같은 마커(M)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마커(M)는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21, 22)에 의해 이미지 내에서 식별이 이루어져야 하는 대상임을 더욱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 22)은 촬영 장치(11, 12)에서 촬영된 각 사용자의 보드 게임판(100, 200) 및 말 또는 카드(110, 210)의 이미지를 입력 받고 보드 게임판에 해당하는 영역의 좌표를 검출할 수 있으며, 게임 진행 중 보드 게임의 말 또는 카드 배치된 위치의 좌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 22)은 온라인을 이용한 보드 게임이 시작되면 보드 게임판(100, 200)을 촬영한 이미지를 입력 받아 이미지 내 보드 게임판(100, 200)에 대응되는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보드 게임판(100, 200)이 이미지 상에서 차지하는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좌표는 이미지상에 임의로 설정된 2차원 좌표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1, 22)은 보드 게임 진행 시 이동하는 보드 게임판(100, 200) 위 또는 주변에 배치되는 말 또는 카드(110, 21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가능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1, 22)은 게임판(100, 200) 위 또는 주변에 배치된 말 또는 카드(110, 210)가 실제 위치하는 좌표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며, 말 또는 카드(110, 210)의 이동 시 기 설정된 이동 가능 범위를 비교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 22)은 말 또는 카드(110, 210)가 기 설정된 이동 가능 범위 내에서 이동한 경우 말 또는 카드(110, 210)의 이동 위치를 확정하고 확정된 말 또는 카드(110, 210)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서버(4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1, 22)은 서버(40)로부터 보드 게임에 참여한 타 사용자의 보드 게임판 및 말(또는 카드)의 좌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좌표 정보를 활용하여 촬영 장치(1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 타 사용자의 말을 표시한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21, 22)은 온라인 보드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 수단과 저장 수단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21, 22)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 22)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연산 및 처리 알고리즘을 포함하며,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알고리즘에 의해 전술한 것과 같은 사용자 단말(21, 22)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 22)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수행되는 전술한 기능들(예를 들어, 보드 게임판 인식, 좌표 설정 및 검출, 이동 가능 위치 설정, 말 또는 카드의 인식 등)은 이미지 프로세싱 분야에 공지된 여러 이미지 처리 기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1, 22)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공지의 이미지 처리 기법을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더하여, 사용자 단말(21, 22)은 공지의 유무선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이 가능한 단말이다. 즉, 사용자 단말(21, 22)은 보드게임에 참여한 사용자의 보드 게임판을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획득된 좌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으며, 서버(40)로부터 타 사용자에 의한 좌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1, 22)은 촬영 장치(11, 12)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31, 32)로 생성한 증강현실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을 갖출 수 있다.
서버(40)는 보드 게임에 참여 중인 각 사용자의 보드 게임판 및 말(또는 카드)를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각각의 사용자 단말(21, 22)이 제공한 좌표 정보를 동기화하여 특정 시점에 보드 게임에 참여한 전체 사용자의 말(또는 카드)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동기화된 좌표 정보를 동기화 시점 마다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는 동기화된 좌표 정보를 보드 게임에 참여 중인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1, 22)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 22)은 서버(40)로부터 타 사용자의 말(또는 카드)에 대한 동기화된 좌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타 사용자의 말(또는 카드)에 대한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촬영 장치(11, 12)에서 수신한 이미지에 타 사용자의 말(또는 카드)를 표시한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1, 32)는 사용자 단말(21, 22)에서 생성된 증강현실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21, 22)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이거나 증강현실 글라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1, 22)에서 온라인 보드 게임에 참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버(40)에 접속,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S11)에 의해 그 동작이 시작될 수 있다.
이어, 사용자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즐기고자 하는 보드 게임의 종류를 선택하고(S12), 선택된 보드 게임에 참여하기 위해 타 사용자가 개설한 방에 참여 하거나 보드 게임에 다른 사용자를 참여시키기 위한 방을 서버(40)에 생성할 수 있다(S13). 이 때, 함께 게임에 참여한 사용자들 간의 문자 대화나 음성 대화를 수행할 수 있는 대화방이 별도로 개설될 수 있다(S14).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화방 참여시 함께 보드 게임에 참여하는 사용자들 간의 소통을 도와주는 LED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LED 박스의 일례를 도시한다.
보드 게임을 통해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재미 중 하나는 오프라인 소통이라 할 수 있다. 채팅 및 음성 채팅을 통해 충분히 소통이 가능하지만 음성 채팅의 경우 비속어 사용 등 많은 문제를 체크하기 어렵고 채팅은 키보드가 없이는 빠르게 전달 하기 어렵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감정 전달 또는 보드게임 플레이를 돕기 위해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은 LED 박스(50)가 적용될 수 있다.
LED 박스(50)는 사용자 단말(21, 22)과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온라인 보드 게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사용자 단말(21, 22)로부터 각종 제어 신호를 제공 받아 다양한 방식으로 LED(51)의 발광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화방에 참여하면 LED 박스(50)의 LED(51)가 점등되며, 참여한 사용자들의 이모티콘이 표시되도록 LED 박스(50)의 LED(51)가 점등 될 수 있다. LED 박스(50)는 게임 참여자 간 전송한 이모티콘을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다. 사용자는 미리 설정한 이모티콘을 박스를 통해서 전송하거나, 앱 상에서 이모티콘을 골라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LED 박스(50)는 진동 모터 등을 내장하여 진동을 통한 플레이어들간 의사 표현도 가능하다.
다시, 도 6를 참조하면, 보드 게임에 요구되는 인원이 모두 충원되면 게임이 시작될 수 있다(S15).
게임이 시작되면 우선 각 사용자 마다 마련된 촬영 장치(11, 12)가 각 사용자의 보드 게임판을 촬영하고, 사용자 단말(21, 22)이 보드 게임판(100, 200)을 촬영한 이미지를 촬영 장치(11, 12)로부터 수신한 후 수신한 이미지로부터 보드 게임판(100, 200)에 해당하는 영역을 인식하고(S16) 보드 게임판의 좌표를 검출한 후 이 좌표를 고정하고 좌표 정보를 서버(40)로 제공하여 서버(40) 내의 저장 장치(41)에 저장하게 할 수 있다(S17). 서버(40)의 저장 장치(41)에 저장된 보드 게임판(100, 200)의 좌표는 타 사용자의 보드 게임판(100, 200)의 좌표와 비교되어 말(또는 카드)의 위치를 동기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어, 사용자 단말(21, 22)은 단계(S17)에서 검출된 보드 게임판(100, 200)의 좌표를 기준으로 보드 게임의 말 또는 카드(110, 120)가 게임 진행 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S18). 게임 진행이 보드 게임의 말 또는 카드(110, 120)가 이동 가능한 범위에 대한 정보는 사전에 서버(40)에 구비된 보드 게임 이동 가능 범위 테이블(42)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1, 22)은 보드 게임 이동 가능 범위 테이블(42)에서 해당 게임의 이동 가능 범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좌표가 결정된 보드 게임판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21, 22)은 보드 게임판을 촬영한 이미지에 이동 가능 범위를 표시한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1, 32)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S24).
이어, 보드 게임이 진행되면서 사용자가 말 또는 카드(110, 210)를 이동시키고 턴이 완료되면, 촬영 장치(11, 12)가 턴이 완료된 상태의 보드 게임판 및 말 또는 카드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S19), 사용자 단말(21, 22)은 이동한 말 또는 카드의 위치를 이미지 내에서 검출할 수 있다(S20).
이어 사용자 단말(21, 22)은 검출된 말 또는 카드의 위치가 단계(S18)에서 설정된 이동 가능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하고(S21) 이동 가능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최종적으로 말 또는 카드의 위치를 확정하며(S22), 확정된 위치가 실제 게임 룰 내에서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 후(S23) 게임 룰 내에서 이상이 없는 경우 말 또는 카드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서버(40)로 저장하여 저장 장치(41)에 저장하고 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좌표 정보들과 동기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턴이 종료한 경우에 보드 게임판과 말 또는 카드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인식 과정을 거쳐 말 또는 카드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이미지 검출 및 인식에 소요되는 시스템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어, 사용자 단말(21, 22)은 서버(40)에 저장된 동기화된 좌표 정보들을 수신하고 동기화된 좌표 정보들에 해당하는 말 또는 카드의 위치에 말 또는 카드를 표시한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31, 32)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S24).
이어, 단계(S20 내지 S24)를 각 사용자의 턴이 완료될 때마다 반복함으로써 보드 게임이 계속 진행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은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패드와 같은 물리적으로 단일 기기의 말기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패드의 후면에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보드 게임판 및 말(카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 다른 사용자의 말(카드)를 표시한 증강현실 이미지를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패드의 전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단일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범위가 작고 디스플레이 자체도 작으므로 보드 게임판의 일부만 디스플레이됨에 따라 사용자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게임 참여 사용자의 턴이 아닌 경우 스마트 폰을 바닥에 내려 놓아 카메라를 통해 보드 게임판의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전체 보드 게임판의 증강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31, 32)은 촬영 장치(11, 12)에서 보드 게임판의 촬영이 불가능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1, 22)에 기존에 저장된 전체 보드 게임판 이미지에 최근 동기화된 말 또는 카드의 위치를 표시한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 유용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31, 32)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은 게임 참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요구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동작 주사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동작 주사위의 전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동작 주사위의 각 면에 표시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기능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턴 대기 상태에서 동작 주사위의 여러 면 중 원하는 기능을 표시한 면을 촬영 장치(11, 12)에 노출시켜 해당 면을 촬영하게 하고 동작 주사위의 일면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31, 32)는 촬영된 동작 주사위의 일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턴'에 해당하는 면이 인식된 경우 사용자 단말(31, 32)은 다음 턴을 진행하게 하는 신호를 서버(4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전 말'에 해당하는 면이 인식된 경우 사용자 단말(31, 32)은 직전에 수행된 턴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이미지를 확대해서 디스플레이 장치(21, 22)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내 말'에 해당하는 면이 인식된 경우 사용자 단말(31, 32)은 사용자 자신의 말의 직전 액션 또는 현재 말의 주변을 확대한 증강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21, 22)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화면'에 해당하는 면이 인식된 경우 사용자 단말(31, 32)은 현재 진행 중인 보드 게임의 상태를 나타내는 증강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21, 22)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지도'에 해당하는 면이 인식된 경우 사용자 단말(31, 32)은 보드 게임판 전체를 표시한 증강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21, 22)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이동'에 해당하는 면이 인식된 경우 사용자 단말(31, 32)은 실시간으로 촬영 장치(11, 12)에 인식되는 손가락 등의 지시 수단의 동작을 검출하고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1, 22)가 전동 삼각대 등에 거치된 상태인 경우에 사용자 단말(31, 32)은 인식된 지시 수단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전동 삼각대의 방향을 이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을 향해 디스플레이 장치(21, 22)가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전동 삼각대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21, 22)에 표시된 증강현실 이미지를 지시 수단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시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은, 원격에 위치한 보드게임 동참 사용자의 말 또는 카드의 위치나 이미지를 증강현실 이미지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온라인을 통해 오프라인 상에서 대면하여 보드게임을 즐기는 것과 유사하게 보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은, 보드 게임 사용자들이 온라인 상에서 실제 오프라인과 유사하게 소통하면서 보드 게임을 즐길 수 있으므로, 감염병 유행으로 인한 거리두기가 요구되는 환경에서 더욱 유용하고 효과적인 사업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 중인 보드 게임의 게임판 및 상기 게임판 위 또는 주변에 놓이는 말 또는 카드를 각각 촬영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
    상기 복수의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각각 수집하고, 수집된 이미지에서 상기 보드와 상기 말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각각 생성하며, 타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생성된 상기 좌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에 타 사용자의 말 또는 카드 이미지를 삽입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각 상기 좌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복수의 좌표 정보를 상호 동기화하며, 동기화된 복수의 좌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표시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 또는 카드는 마커를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촬영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 내에서 상기 마커를 인식하여 상기 말 또는 카드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게임판을 촬영한 이미지를 입력 받아 이미지 내 게임판에 대응되는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게임판이 이미지 상에서 차지하는 좌표를 검출하고 상기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게임판의 좌표를 기반으로 상기 게임판을 촬영한 이미지에서 상기 말 또는 카드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가능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말 또는 카드가 위치하는 좌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이동 가능 범위와 상기 말 또는 카드가 위치하는 좌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말 또는 카드의 이동 위치를 확정하여 상기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에 마련된 보드 게임 참여자들의 대화방에 접속한 경우, 상기 대화방에 접속한 참여자들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패턴이 점등되는 LED 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이 표시된 복수의 면을 갖는 동작 주사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촬영 장치에 의해 상기 동작 주사위의 일면이 촬영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동작 주사위의 일면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촬영된 면을 인식하고, 인식된 면에 표시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KR1020200163603A 2020-11-30 2020-11-30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KR102560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603A KR102560162B1 (ko) 2020-11-30 2020-11-30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603A KR102560162B1 (ko) 2020-11-30 2020-11-30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488A true KR20220075488A (ko) 2022-06-08
KR102560162B1 KR102560162B1 (ko) 2023-07-25

Family

ID=8198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603A KR102560162B1 (ko) 2020-11-30 2020-11-30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1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051A (ko) * 2008-08-12 2010-02-2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
KR20110004825A (ko) * 2010-12-20 2011-01-14 홍지완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연동 tcg 시스템 및 그 게임방법
KR20140007997A (ko) * 2012-07-10 2014-01-21 (주)모션블루 보드 게임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보드 게임을 형성하는 블록
JP2020510929A (ja) * 2017-06-15 2020-04-09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チャット会話において組み込みアプリケーションで使用するための提案アイ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051A (ko) * 2008-08-12 2010-02-2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
KR20110004825A (ko) * 2010-12-20 2011-01-14 홍지완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연동 tcg 시스템 및 그 게임방법
KR20140007997A (ko) * 2012-07-10 2014-01-21 (주)모션블루 보드 게임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보드 게임을 형성하는 블록
JP2020510929A (ja) * 2017-06-15 2020-04-09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チャット会話において組み込みアプリケーションで使用するための提案アイ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162B1 (ko)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8225B2 (en) Synchronizing multiple head-mounted displays to a unified space and correlating movement of objects in the unified space
US1043839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virtual space delivering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7210949A (zh) 利用角色的消息服务方法、执行所述方法的用户终端、包括所述方法的消息应用程序
CN109568937B (zh) 游戏控制方法及装置、游戏终端及存储介质
US20210362064A1 (en) Individualized game data augmented displays
JP5702493B1 (ja) 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
US20210220735A1 (en) Video modification and transmission using tokens
KR102634015B1 (ko) 게임 관전 시스템, 프로그램, 관전 단말기 및 접속 장치
US1113551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3244616B (zh) 基于虚拟场景的互动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9621703B2 (en) Motion to connect to kiosk
US2022019744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3841182A (zh) 内容分发装置、内容分发程序、内容分发方法、内容显示装置、内容显示程序以及内容显示方法
CN112774185B (zh) 牌类虚拟场景中的虚拟牌控制方法、装置及设备
JP2017012210A (ja) ゲームサービス提供方法
CN112973110A (zh) 云游戏控制方法、装置、网络电视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60162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US20190104249A1 (en) Server apparatus, distribution system,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CN112973116A (zh) 虚拟场景画面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230293998A1 (en) Tracking objects with fiducial markers in multiple environments to provide shared experiences
JP5838275B1 (ja) 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
JP6783044B2 (ja) 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
CN115591219A (zh) 卡牌游戏对战系统
JP2020099716A (ja) 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
TW201926031A (zh) 社群資訊連結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