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051A -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051A
KR20100020051A KR1020080078688A KR20080078688A KR20100020051A KR 20100020051 A KR20100020051 A KR 20100020051A KR 1020080078688 A KR1020080078688 A KR 1020080078688A KR 20080078688 A KR20080078688 A KR 20080078688A KR 20100020051 A KR20100020051 A KR 20100020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game
augmented reality
game system
pattern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이혜선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78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0051A/ko
Publication of KR2010002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객체에 특정 패턴을 부착하고, 상기 패턴의 위치, 크기 등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객체의 위치, 방향, 인식 번호가 획득되며, 상기 획득된 정보가 제어부에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부에 보이는 가상 객체를 조작하여 보드게임을 진행하는 증강현실 기술이 적용되는 교육용 보드게임 구현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교육용 보드게임, 증강현실

Description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 {Board game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본 발명은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턴인식 방식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울시 산학연 협력사업, 기술기반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고유번호: 10557, 연구과제명: 차세대 PMP 콘텐츠산업 클러스터 사업].
증강현실 기술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이래 다양한 분야에서 이 기술을 응용하려는 연구가 이어져왔고, 최근 게임 분야에서도 이 기술을 접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플레이스테이션 3 등에서 카드에 패턴을 부여하고 이를 활용하는 게임이 다수 개발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게임은 흥미 위주의 게임이며 다른 형식의 게임과 비교하여 아직은 움직임 등의 제약이 있고 증강현실 기술에 최적화된 게임이 등장하지 않아 게임 유저들에게 관심을 이끌지 못하고 있다.
교육을 학습자에게 흥미롭게 전달하려는 노력은 과거에서부터 끊임없이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흐름에서 교육과 놀이를 접목한 교육용 게임이라는 분야가 소개 되었다. 교육용 게임은 교육적 요소와 재미 요소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게임을 하면서 유용한 지식을 배울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해당 게임의 가능성과 유용성으로 인하여 현재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다양한 게임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교육용 게임 역시 다른 컴퓨터 게임과 동일한 상호작용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즉, 마우스와 키보드를 사용하여 교육용 게임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상호작용 방법을 통한 교육용 게임은 유아나 초등학교 저학년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으며 보다 직관적인 상호작용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객체에 특정 패턴을 부착하고, 상기 패턴의 위치, 크기 등에 대한정보가 제어부에 연결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고 해당 객체의 위치 및 방향이 계산되며, 상기 계산된 정보가 제어부에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객체와 연결된 정보가 보이고 제어됨으로써, 증강현실 기술이 적용되는 직관적인 상호작용 방식을 활용한 교육용 보드게임을 구현하도록 하는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이 부착된 객체와; 가상의 정보와 실제 환경의 영상을 보이는 디스플레이부와; 객체에 부착된 패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통해 객체의 위치 및 방향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객체와 연결된 가상객체의 크기 및 위치 등을 정하고 디스플레이부에 보이는 제어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평판표시장치로 구현되는 수직 디스플레이 환경또는 수평 디스플레이 환경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객체는 다양한 객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에 필요한 객체 예로 보드 객체, 주사위 객체 및 움직임/선택 객체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객체의 위치 및 방향을 계산하고 상기 객체와 연결된 가상객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패턴이 부착된 실제 객체를 활용하여 보드게임의 가상 객체를 조작함으로, 사용자에게 보다 사용하기 쉬운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134)이 부착된 객체(130)와; 가상의 정보와 실제 환경의 영상을 보이는 디스플레이부(110)와; 객체에 부착된 패턴을 촬영하는 카메라(121)와;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통해 객체의 위치 및 방향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객체와 연결된 가상객체의 크기 및 위치 등을 정하고 디스플레이부에 보이는 제어부(12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교육용 보드게임시스템(100)은, 보드 게임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객체를 활용하는데, 보드 게임에 활용 가능한 객체에는 보드 객체(131), 주사위 객체(132), 움직임/선택 객체(133)가 된다.
이 때, 상기 객체들에 부착된 패턴(134)은 제어부(120)가 상기 객체 들의 위치와 방향 정보 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객체에 부착된 패턴(134)은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된 영상 안에서 제어부(120)에 의하여 쉽게 찾고 인식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제어부(120)는 패턴(134)이 부착된 다양한 객체(130)들의 위치와 방향을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110)에 보이는 객체(130)와 연결된 가상객체의 움직임,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실제 객체(1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보이는 게임 컴포넌트들을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계획하고 있는 보드게임에 적합한 객체(130) 중에 게임 진행을 시작할 수 있는 객체(130)를 선택하고 사용자는 해당 객체(130)를 움직인다.
그러면, 카메라(121)는 해당 객체(130)를 포함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제어부(120)로 보낸다.
이 때, 제어부(120)는 획득된 영상에서 패턴(134)을 찾고 해당 패턴(134)을 기반으로 상기 객체(130)와 연결된 정보, 위치 및 방향을 계산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보인다.
보여진 정보를 가지고 게임을 진행하며 필요한 경우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130)를 선택하고 던지거나 움직임을 가하여 게임을 진행한다. 사용자는 게임을 진행함에 있어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등 없이 직관적으로 게임을 진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증강현실 기술을 교육용 보드게임에 적용함으로써, 즉, 교육용 보드게임에서 사용자(게임 플레이어)가 직관적으로 가상정보를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렇지 않을 때 보다 게임 진행을 위해 배우는 시간을 줄이고 직관적으로 교육용 보드게임을 진행할 수 있고 흥미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드게임용 증강현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제어부
121 : 카메라 130 : 객체
131 : 보드 객체 132 : 주사위 객체
133 : 움직임/선택 객체 134 : 패턴

Claims (2)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이 부착된 객체보와;
    가상의 정보와 실제 환경의 영상을 보이는 디스플레이부와;
    객체에 부착된 패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통해 객체의 위치 및 방향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객체와 연결된 가상 객체의 크기 및 위치 등을 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에 부착된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객체와 연결된 가상객체를 제어하며, 이를 통해 게임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
KR1020080078688A 2008-08-12 2008-08-12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 KR20100020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688A KR20100020051A (ko) 2008-08-12 2008-08-12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688A KR20100020051A (ko) 2008-08-12 2008-08-12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051A true KR20100020051A (ko) 2010-02-22

Family

ID=4209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688A KR20100020051A (ko) 2008-08-12 2008-08-12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005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255B1 (ko) * 2010-03-17 2013-01-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마커 크기 기반 인터렉션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증강 현실 시스템
KR101258454B1 (ko) * 2011-05-11 2013-04-26 주식회사 로보쓰리 증강현실을 이용한 대형 미로에서의 출구찾기 방법 및 출구찾기 시스템
KR20220075488A (ko) * 2020-11-30 2022-06-08 공미경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KR20230125953A (ko) 2022-02-22 2023-08-29 천은영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
KR102623632B1 (ko) 2022-08-30 2024-01-10 주식회사 다즐에듀 보드게임용 프로젝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255B1 (ko) * 2010-03-17 2013-01-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마커 크기 기반 인터렉션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증강 현실 시스템
KR101258454B1 (ko) * 2011-05-11 2013-04-26 주식회사 로보쓰리 증강현실을 이용한 대형 미로에서의 출구찾기 방법 및 출구찾기 시스템
KR20220075488A (ko) * 2020-11-30 2022-06-08 공미경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KR20230125953A (ko) 2022-02-22 2023-08-29 천은영 익사이팅 러닝 미러 시스템
KR102623632B1 (ko) 2022-08-30 2024-01-10 주식회사 다즐에듀 보드게임용 프로젝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sokoski et al. Gaze controlled games
Oda et al. Developing an augmented reality racing game
McMahan et al. Evaluating display fidelity and interaction fidelity in a virtual reality game
US8419537B2 (en) Game apparatus, recording medium having game program recorded thereon, and game system
US8371939B2 (en) Hand-held game apparatus and game program
Westin et al. Advances in Game Accessibility from 2005 to 2010
Radu et al. Using children's developmental psychology to guide augmented-reality design and usability
ATE427145T1 (de) Virtuelles kartenspielsystem
Iwata et al. Augmented reality go: Extending traditional game play with interactive self-learning support
KR20100020051A (ko)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
Pillias et al. Designing tangible video games: lessons learned from the sifteo cubes
Vrellis et al. Prim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s gesture based interaction: A Comparison between Microsoft Kinect and mouse
Thorpe et al. History and alternative game input methods
Richard et al. Responsive make and play: youth making physically and digitally interactive and wearable game controllers
Zain et al. Integrating digital games based learning environments with eye gaze-based interaction
Chien et al. Gesture-based head-mounted augmented reality game development using leap motion and usability evaluation
Fassbender et al. Using a dance pad to navigate through the virtual heritage environment of macquarie lighthouse, Sydney
Prakash et al. Games technology: Console architectures, game engines and invisible interaction
JP2003265858A (ja) 3次元シミュレータ装置及び画像合成方法
González et al. Fallbox: a computer game with natural interaction through head tracking
Sahasrabudhe et al. MathMazing: 3D gesture recognition exergame for arithmetic skills
Carvalho et al. The state of the art in virtual reality applied to digital games: a literature review
WO2022259654A1 (ja) ゲームプログラム
KR20110116280A (ko) 좌표와 모션의 복합적 인식 기반 단어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
Lucas Physics-based platform for collaborative interaction in virtual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