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615A - 무정전 위성안테나 - Google Patents

무정전 위성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615A
KR20220074615A KR1020200163317A KR20200163317A KR20220074615A KR 20220074615 A KR20220074615 A KR 20220074615A KR 1020200163317 A KR1020200163317 A KR 1020200163317A KR 20200163317 A KR20200163317 A KR 20200163317A KR 20220074615 A KR20220074615 A KR 20220074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ower
antenna
satellite
uninterrupt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589B1 (ko
Inventor
김연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벌코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벌코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벌코넷
Priority to KR1020200163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589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615A/ko
Priority to KR1020220109404A priority patent/KR102602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8Adaptation for use in or on aircraft, missiles, satellites, or balloons
    • H01Q1/288Satellit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전 위성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위성안테나에 있어서, 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평판으로 형성되는 평판안테나 모듈; 상기 평판안테나 모듈이 위성신호 감도에 따라 회동하도록 형성되는 안테나 회동모듈; 상기 위성안테나를 제어하여 위성신호를 제어하는 안테나 제어모듈; 및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차단 시에 일정시간동안 상기 안테나 제어모듈에 전력 공급이 가능한 무정전 전력공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정전 위성안테나{Non-Interrupting Satellite Antena}
본 발명은 무정전 위성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모듈형으로 형성되는 위성안테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의 공급이 불가피한 상황으로 중단되거나 공급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도 무정전 전력공급모듈을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하여 위성안테나의 작동이 가능한 무정전 위성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의 발전과 4차산업의 혁명으로 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많은 양의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일상 생활뿐만 아니라 산업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의존도가 커지고 인간의 활동반경이 넓어지면서 과거 PC나 유선 전화 등의 정적인 시스템에서 탈피하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이 기본적인 형태로 자리 잡고 있으며, 최근에는 선박이나 차량에서도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하면서 위성수신이 가능한 이동형 위성안테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이동형 위성안테나의 경우 위성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한 지역이나 재난이나 재해 등으로 인해 기존의 통신 시스템이 손실되어 통신이 단절된 지역에 통신망을 긴급으로 복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수요와 필요성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위성안테나의 경우에는 외부 환경의 조건이나 사용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서 위성신호의 수신 상태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교한 제어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재난이나 재해 등으로 통신의 복구가 필요한 지역의 경우 외부로부터 전원의 공급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더라도 정전 등에 의해 전원 공급이 갑자기 차단되는 상황이 발생하여 장비를 운용하지 못하거나, 심각한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다.
한편, 이동이 가능한 위성 안테나의 예로써,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5385호 '이동체용 안테나'에서는 배열된 복수의 단위 엘리먼트(element)에 의해 평면형의 전파 입·방사층을 형성한 평판형 배열 안테나를 포함하며, 전파에 대한 지향성을 위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동체에 탑재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전파 입·방사층의 평면 방향의 최외곽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평면형의 전파 입·방사층과 180° 이내의 둔각을 형성하면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혼 형상의 도전성 패널을 더 포함하는 이동체용 안테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20-2010-0005385호와 같은 종래의 이동형 위성안테나에서는 이동하는 차량이나 선박에 부착된 상태에서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위성안테나에 대한 구성만 개시되어 있을 뿐, 모듈형으로 형성되어 위성안테나 만으로 구축이 가능하거나 외부 전력의 공급 없이 자체적으로 운용이 가능한 이동형 위성안테나에 대한 다른 어떠한 구성도 기재되지 않았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59666호 '캡스턴 스텝 모터를 이용한 이동체용 위성 안테나 장치'에서도 이동하는 차량에나 선박 등의 대상체에 구비된 상태에서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에 대한 구성만 개시되어 있을 뿐 자체적으로 이동하여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은 상태에서 운용이 가능한 이동형 위성안테나에 대한 다른 어떠한 구성도 기재되지 않았다.
따라서, 모듈형으로 이동이 가능하면서 일정한 시간 동안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않고도 운전이 가능한 무정전 위성안테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위성신호의 수신 상태를 점검하여 안테나 포인팅을 자동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되는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자체적으로 전력의 공급을 실시하여 지속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가능한 무정전 위성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는,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위성안테나에 있어서, 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평판으로 형성되는 평판안테나 모듈; 상기 평판안테나 모듈이 위성신호 감도에 따라 회동하도록 형성되는 안테나 회동모듈; 상기 위성안테나를 제어하여 위성신호를 제어하는 안테나 제어모듈; 및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차단 시에 일정시간동안 상기 안테나 제어모듈에 전력 공급이 가능한 무정전 전력공급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안테나 회동모듈 및 상기 평판안테나 모듈이 형성되고, 내측의 공간으로 상기 안테나 제어모듈 및 상기 무정전 전력공급모듈이 형성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일측으로는 접이식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바퀴가 형성되는 본체 플레이트;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단면을 덮어 씌운 상태에서 상기 본체 플레이트와 체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을 보호하는 커버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하우징을 거꾸로 뒤집어 지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단방향으로 상기 본체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정전 전력공급모듈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안테나 제어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모듈; 일정시간동안 상기 위성안테나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이 저장되는 배터리 모듈; 상기 전원입력모듈 또는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정류 또는 정압하는 전원변환모듈; 및 상기 전원입력모듈 및 상기 배터리 모듈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제어모듈은, 상기 전원입력모듈로부터 외부의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에 충전된 전력을 상기 위성안테나에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입력모듈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형성되는 AC입력단자;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형성되는 DC입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제어모듈은, 상기 AC입력단자 또는 상기 DC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외부의 전력 케이블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전원변환모듈로 전송하며, AC입력단자와 DC입력단자에 동시에 전력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 공급받고자 하는 전력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 모듈은, 리튬인산철 배터리로 형성되며, 상기 전원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되는 외부의 전력이 상기 전원변환모듈에 의해 정류 또는 정압되어 전송되는 DC전원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변환모듈은, 상기 전원입력모듈로부터 공급되는 AC전원에 대하여 DC전원으로 변환하도록 형성되는 제1변환모듈; 및 상기 전원입력모듈이나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 공급되는 DC전원에 대하여 승압 또는 강압하도록 형성되는 제2변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전원입력모듈이나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제1변환모듈이나 상기 제2변환모듈 중 하나가 선택되어 정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제어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충전량에 따라서 상기 전원입력모듈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한 충전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의 상기 안테나 제어모듈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조작 버튼으로부터 위성감지신호를 입력받을 시, 상기 평판안테나 모듈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안테나 회동모듈을 제어하여 위성신호의 수신감도를 분석하고, 분석되는 수신감도에 따라서 안테나 포인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테나 제어모듈은, 상기 위성안테나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지하는 관리자 단말과 통신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안테나 제어모듈의 제어동작 및 수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앱이 설치되어 위성신호 포인팅 현황, 통신하는 위성 이름 및 안테나의 GPS 좌표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원격으로 상기 안테나 제어모듈에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하우징은, 외측면으로 외부의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AC보조입력단자와 DC보조입력단자가 형성되는 예비전원 충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예비전원 충전모듈은, 상기 AC보조입력단자와 상기 AC입력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DC보조입력단자가 상기 DC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커버 하우징이 상기 본체 하우징을 덮은 상태에서 외부의 전력 케이블에 의해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예비전원 충전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에 충전되는 충전량을 LED로 표시하는 충전표시창이 상기 커버 하우징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충전이 완료되면 외부의 전력 케이블로부터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충전감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의 상기 커버 하우징은, 외측면에 길이가 가변되며 일단이 지면에 맞추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가 형성되는 길이가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가변부재는, 상기 커버 하우징이 뒤집혀진 상태에서 지면과 밀착 시 상기 탄성부재가 지면에 밀착되며, 상기 길이가변부재를 조절하여 안착되는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는, 무정전 전력공급모듈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장비의 운용을 실시하여 재난이나 재해 등의 피해로 인해 통신이 단절된 지역 또는 산간이나 오지 등 통신 장비의 구축이 어려운 지역에서 신속하게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평판안테나가 서보모터에 의해 회동하여 정밀한 안테나 포인팅이 가능하며 위성신호의 감지상태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안테나 포인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커버 하우징이 씌워진 상태의 무정전 위성안테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커버 하우징이 무정전 위성안테나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a)와 (b)는 안테나 회동모듈에 의해 평판안테나 모듈이 회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의 DC입력단자가 측면에 형성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의 무정전 전력공급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무정전 전력공급모듈의 연결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전력제어모듈을 통해 배터리 충전량을 확인하여 충전여부를 결정하는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의 본체 하우징에 형성되는 조작 버튼 및 입력단자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안테나 제어모듈이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관리자 단말과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커버 하우징에 형성되는 예비전원 충전모듈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의 (a)와 (b)는 예비전원 충전모듈의 AC보조입력단자가 회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의 (a)와 (b)는 길이조절부재에 의해 본체 플레이트의 수평이 조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커버 하우징이 씌워진 상태의 무정전 위성안테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커버 하우징이 무정전 위성안테나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의 (a)와 (b)는 안테나 회동모듈에 의해 평판안테나 모듈이 회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의 DC입력단자가 측면에 형성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1)는 평판안테나 모듈(110), 안테나 회동모듈(120), 안테나 제어모듈(130) 및 무정전 전력공급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무정전 위성안테나(1)의 기본적인 형상에 대해 설명하자면, 무정전 위성안테나(1)는 각 구성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본체 하우징(100)과 본체 플레이트(200)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 하우징(300)을 이용하여 무정전 위성안테나(1)의 각 모듈을 보호하도록 씌우거나, 지면으로부터 본체 하우징(100)이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받침대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체 하우징(100)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에 평판안테나 모듈(110)과 안테나 회동모듈(120)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내측으로 형성되는 빈 공간에 안테나 제어모듈(130)과 무정전 전력공급모듈(140)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고, 하단면에 본체 플레이트(200)가 접하거나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 플레이트(200)의 일측으로는 여행용 캐리어에 형성되는 것과 같은 형태의 접이식 손잡이(210)가 형성되며, 접이식 손잡이(210)가 형성되는 타측으로는 바퀴(220)가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 플레이트(200)의 측면으로는 커버 하우징(300)와 밀착된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부재(230)가 형성되어 커버 하우징(300)을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커버 하우징(300)은 일면이 개방되는 개방면을 가지는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 플레이트(200)가 지면에 안착된 상태 즉, 본체 플레이트(200)가 하단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커버 하우징(300)의 개방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하여 본체 하우징(100)을 덮어 씌운 후 본체 플레이트(200)의 체결부재(230)를 이용하여 본체 플레이트(200)와 커버 하우징(300)을 서로 고정시키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각 모듈들을 보호함과 동시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하우징(300)이 본체 하우징(100)을 덮어 씌우는 형태가 아니라 개방면이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지면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개방면에 본체 플레이트(200)가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안착시키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00)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1)는 위성신호를 감지하여 통신망을 구축하고자 하는 곳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00)을 커버하도록 커버 하우징(300)을 본체 플레이트(200)에 고정시킨 형태로 마련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위성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하우징(300)을 본체 하우징(100)과 본체 플레이트(200)의 지지대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무정전 위성안테나(1)를 구성하는 각 모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평판안테나 모듈(110)은 위성신호를 감지하기 위하여 본체 하우징(100)의 상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소형 도파관 혼(미도시)과 미니 안테나(미도시)로 조합되는 다수의 도파관 혼 안테나(미도시)가 하나의 면상에 평판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하나의 평판안테나 모듈(110)이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 회동모듈(120)은 일측이 평판안테나 모듈(110)의 하단면 즉,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면의 타면에 결합되며, 타측이 본체 하우징(100)의 상단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안테나 제어모듈(130)에 의해 제어되어 평판안테나 모듈(110)이 본체 하우징(100)의 상단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안테나 회동모듈(120)은 본체 하우징(100)과 본체 플레이트(200)가 커버 하우징(300)의 개방면측에 안착된 상태에서 평판안테나 모듈(110)이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각을 세밀하게 조절하도록 평판안테나 모듈(110)의 방위각, 폴라각 및 앙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각의 서보모터(미도시)에 의해 평판안테나 모듈(110)을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안테나 회동모듈(120)은 안테나 제어모듈(130)에 의해 제어되는 각 서보모터(미도시)에 의해 평판안테나 모듈(110)이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최적의 수신각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안테나 제어모듈(130)은 평판안테나 모듈(110)에서 수신하는 위성신호에 대한 수신강도를 파악하고, 위성과 통신하기 위한 평판안테나 모듈(110)의 수신각을 설정하도록 안테나 회동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위성과 통신하는 상태에서 외부의 기기들에 통신망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안테나 제어모듈(130)은 평판안테나 모듈(110)에 의해 수신하는 위성신호의 수신감도에 따라서 평판안테나 모듈(110)의 안테나 포인팅 즉, 평판안테나 모듈(110)을 전개하도록 하는 안테나포인팅모듈(1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평판안테나 모듈(110)이 전개된 상태에서 위성과 통신하여 스마트폰 태블릿, 모뎀이나 VoIP폰 등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어하기 위한 통신제어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테나포인팅모듈(131)은 안테나 회동모듈(120)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서보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평판안테나 모듈(110)을 다각도로 회동하여 전개키도록 하여 위성과 통신하는 수신각을 탐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포인팅모듈(131)에 의해 평판안테나 모듈(110)의 전개가 완료된 상태가 되면, 통신제어모듈(132)을 통해 외부의 통신기기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안테나포인팅모듈(131)은 위성신호를 센싱하여 평판안테나 모듈(110)의 방위각, 폴라각 및 앙각을 계산하여 평판안테나 모듈(110)을 전개하도록 하고, 조정된 상태에서 서보모터에 의해 평판안테나 모듈(110)의 각도를 세부적으로 조정하여 위성체를 확인하도록 하며, 위성체가 확인되면 위성 신호의 신호세기 및 감도 여부를 파악하여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통신제어모듈(132)은 안테나포인팅모듈(131)이 상기와 같이 위성체 확인 후 위성과 통신하도록 정상작동을 실시하게 되면, 외부의 기기나 주변의 환경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통신제어모듈(132)은 본체 하우징(100)의 측면 또는 상단면에 형성되는 RX입력단자(151), TX입력단자(152) 및 랜포트(153)를 포함하는 통신포트(150)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도록 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외부의 기기들과 무선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안테나 제어모듈(130)은 안테나포인팅모듈(131)을 이용하여 평판안테나 모듈(110)을 전개하여 위성과 통신하도록 하며, 위성과 통신이 연결된 후에는 통신제어모듈(132)을 통해 통신하고자 하는 외부의 기기들과 유선/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망을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
무정전 전력공급모듈(140)은 무정전 위성안테나(1)를 구성하는 상기의 모듈들이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정류 또는 정압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 시 상기의 모듈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대기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의 무정전 전력공급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무정전 전력공급모듈의 연결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1)의 무정전 전력공급모듈(140)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형성되는 전원입력모듈(141), 상기의 전원입력모듈(141)에 공급되는 외부의 전력이 차단되거나 연결되지 않을 시에 자체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142), 상기의 전원입력모듈(141) 또는 배터리 모듈(142)로부터 상기 안테나 제어모듈(130)을 포함하는 구성들에 공급하기 위한 전력의 형태로 정류 또는 정압하도록 형성되는 전원변환모듈(143) 및 전력상태를 제어하는 전력제어모듈(1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원입력모듈(141)은 본체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AC입력단자(141A)와 DC입력단자(14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의 전력 케이블이 상기의 AC입력단자(141A) 또는 DC입력단자(141B)와 연결된 상태에서 공급되는 AC전원이나 DC전원을 상기의 전원변환모듈(143)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전원입력모듈(141)은 외부의 전력 케이블이 AC입력단자(141A)와 DC입력단자(141B)에 동시에 연결되는 경우,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AC전원이나 DC전원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전원형태가 선택된 상태에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DC입력단자(141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00)의 전면방향에 AC입력단자(141A)와 나란히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00)의 측면 방향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DC입력단자(141B)가 측면 방향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DC입력단자(141B)가 입력되었을 때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DC전원버튼(171)이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상태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172)와 휴대용 저장장치 즉, USB가 삽입가능한 USB포트(17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DC입력단자(141B)는 AC입력단자(141A)와 나란히 형성되거나, 별도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나, 본체 하우징(100)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 어디에나 형성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배터리 모듈(142)은 상기의 안테나 제어모듈(130)을 포함하는 각 모듈들이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이 충전되어 상기의 전원입력모듈(141)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거나, 외부의 전력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는 상황에서 무정전 위성안테나(1)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상기의 안테나 제어모듈(130)을 포함하는 각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모듈(142)은 니켈-카드늄 축전지나 리튬이온 배터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리튬인산철(LiFePO4)배터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42)은 AC전원 또는 DC전원으로 다양하게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DC전원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12V 내지 48V의 DC전원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모듈(142)은 24V의 DC전원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모듈(142)은 충전되는 전력량에 따라서 외부의 전력 공급 없이 무정전 위성안테나(1)를 운전할 수 있는 시간이 결정될 수 있으며, 배터리 모듈(142)의 용량에 따라서 무정전 상태에서 위성안테나(1)를 운용할 수 있는 시간이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모듈(142)이 완전히 충전된 상태인 경우 외부로부터 전력의 공급 없이 1시간 내지 2시간동안 위성안테나(1)의 운용이 가능한 용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변환모듈(143)은 전원입력모듈(141)로부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배터리 모듈(142)에 충전시키거나, 안테나 제어모듈(130)을 포함하는 각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을 정류 또는 정압하도록 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전원변환모듈(143)은 제1변환모듈(143a)과 제2변환모듈(14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1변환모듈(143a)은 전원입력모듈(141)의 AC입력단자(141A)로부터 공급되는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도록 형성되고, 제2변환모듈(143b)은 DC입력단자(141B) 또는 배터리 모듈(142)로부터 공급되는 DC전원의 전압을 승압하거나 강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변환모듈(143a)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110V 내지 240V 범위의 AC전원에 대하여 12V 또는 24V의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안테나 제어모듈(130)로 바로 공급하거나, 배터리 모듈(142)에 충전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변환모듈(143a)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AC전원을 12V의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안테나 제어모듈(130)을 포함하는 각 모듈에 직접 공급을 실시하거나, 24V의 DC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 모듈(142)을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변환모듈(143b)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보조배터리 또는 별도의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DC전원에 대하여 12V의 DC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모듈에 직접 전원공급을 실시하거나, 24V의 DC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 모듈(142)을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변환모듈(143b)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DC전원의 전압에 따라서 변압이 필요한지에 대한 여부가 체크될 수 있으며, 후술하겠지만, 전력제어모듈(14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8은 전력제어모듈을 통해 배터리 충전량을 확인하여 충전여부를 결정하는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1)는 전력제어모듈(144)을 통해 배터리 모듈(142)에 충전된 충전량을 확인하여 전원변환모듈(143)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전력제어모듈(144)은 배터리 모듈(142)에 충전된 전력량에 대하여 전체의 용량 대비 비율로 비교하거나, 실제 충전되어 있는 량을 Ah 등의 단위로 파악하여 비상 시 예비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적정량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제어모듈(144)에서 배터리 모듈(142)의 충전량을 확인한 결과 양호한 상태 즉, 외부로부터 전력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한 시간 내지 두 시간 동안 안테나 제어모듈(130)에 DC전원의 공급이 가능한 경우에는 전원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전력에 대하여 배터리 모듈(142)로 충전하지 않고 안테나 제어모듈(130)로 직접 공급할 수 있으며, 배터리 모듈(142)의 충전량이 보통인 상태 즉, 배터리 모듈(142)에서 안테나 제어모듈(130)로 DC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시간이 한 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제1변환모듈(143a)과 제2변환모듈(143b)에 모두 전원이 공급하도록 하여 제1변환모듈(143a)에서 변환되는 DC전원은 안테나 제어모듈(130)로 공급하도록 하며, 제2변환모듈(143b)에서 변환되는 DC전원은 배터리 모듈(142)을 충전하도록 할 수 있고, 배터리 모듈(142)의 충전량이 부족한 상태 즉, 배터리 모듈(142)이 안테나 제어모듈(130)로 DC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시간이 20분 이내인 경우에는, 전원변환모듈(143)로 공급되는 전력이 전량 배터리 모듈(142)을 충전하도록 하여 급속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배터리 충전량에 따라서 배터리 모듈(142)의 충전여부를 결정하는 기준 및 전원변환모듈(143)의 변환방식은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전원을 변환할 수 있는 다양한 제어보드나 회로를 적용하여 배터리 모듈(142)의 상태에 따라서 결정되는 우선순위에 따라 전원의 공급순서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의 본체 하우징에 형성되는 조작 버튼 및 입력단자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안테나 제어모듈이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관리자 단말과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1)의 본체 하우징(100)에는 전원버튼(161), Deploy버튼(162) 및 transmit 버튼(163)을 포함하는 조작버튼(16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1)는 조작버튼(160)을 물리적으로 입력하여 조작할 수 있다. Deploy버튼(162)을 입력하게 되면, 평판안테나 모듈(110)이 자동으로 전개되어 위성체를 발견하고 위성신호를 감지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안테나 제어모듈(130)에 의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원버튼(161)을 눌러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Deploy버튼(162)을 누르게 되면,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안테나 제어모듈(130)에서 자동으로 안테나 회동모듈(120)을 제어하여 평판안테나 모듈(110)을 전개하며, 위성체의 발견 및 위성신호의 수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1)는 관리자가 소지하는 관리자 단말(P)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 제어모듈(130)이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관리자 단말(P)과 통신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P)에는 안테나 제어모듈(13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처리하여 화면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제어앱(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제어앱(미도시)을 통해 위성 수신 상태, 안테나의 GPS좌표, 위성신호 포인팅 현황, 위성체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감지정보 및 작동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로부터 제어앱(미도시)를 통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안테나 제어모듈(130)로 제어신호가 전송되어 안테나 제어모듈(130)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무정전 위성안테나(1)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관리자 단말(P)을 통해 안테나 제어모듈(130)과 연결되면, 관리자로부터 제어앱(미도시)을 통해 Deploy 제어신호가 입력될 시 조작버튼(160)의 Deploy버튼(162)을 눌렀을 때와 동일한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커버 하우징에 형성되는 예비전원 충전모듈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의 (a)와 (b)는 예비전원 충전모듈의 AC보조입력단자가 회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무정전 위성안테나(1)의 커버 하우징(300)에는 운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배터리 모듈(142)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예비전원 충전모듈(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비전원 충전모듈(310)은 커버 하우징(300)의 외측면으로 AC보조입력단자(311)와 DC보조입력단자(3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 하우징(300)을 본체 하우징(100)을 덮어 씌우도록 하여 본체 플레이트(200)와 체결한 상태에서 AC보조입력단자(311)가 AC입력단자(141A)와 연결되고, DC보조입력단자(312)가 DC입력단자(141B)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AC보조입력단자(311)와 DC보조입력단자(312)는 커버 하우징(300)에 연결되는 위치에 탄성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3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커버 하우징(300)의 외측면 방향으로 밀려있는 상태에서, 외부의 전력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해 힘을 가하게 되면, 커버 하우징(300)의 내측 방향으로 일부 밀려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무정전 위성안테나(1)를 사용하지 않는 상황에서 커버 하우징(300)을 덮어씌우게 되면, AC보조입력단자(311)의 일단이 AC입력단자(141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의 전력 케이블을 AC보조입력단자(311)에 연결하게 되면, AC보조입력단자(311)가 AC입력단자(141A) 방향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AC입력단자(141A)에 끼워지고, AC보조입력단자(311)에 삽입되는 외부의 전력케이블로부터 공급되는 AC전원이 AC입력단자(141A)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DC보조입력단자(312)도 AC보조입력단자(311)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DC보조입력단자(312)에 외부의 전력케이블을 연결하게 되면, 내측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DC입력단자(141B)와 연결되어 외부의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예비전원 충전모듈(310)은 충전감지모듈(3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충전감지모듈(313)은 AC보조입력단자(311) 또는 DC보조입력단자(312)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의 전력에 의해 배터리 모듈(142)이 충전 시 배터리 모듈(142)에 충전되는 충전량을 확인하여 커버 하우징(300)의 외측면에 나타낼 수 있으며, 이때, 충전량을 나타내는 형태는 커버 하우징(300)에 형성되는 LED가 점등하거나 점멸하도록 하여 충전상태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충전감지모듈(313)의 LED는 충전량에 따라서 점등하는 LED의 개수가 늘어나도록 형성되거나, LED가 발광하는 색상이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고, LED가 점멸하는 형태 즉, 깜빡이는 횟수나 간격에 따라서 충전량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점등하는 LED의 개수에 따라서 충전량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충전감지모듈(313)은 배터리 모듈(142)의 충전량이 양호한 수준 또는 70% 내지 90% 충전되는 것으로 감지되었을 때에 배터리 모듈(142)의 충전이 중단되도록 알림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충전감지모듈(313)은 AC보조입력단자(311) 또는 DC보조입력단자(312)가 커버 하우징(300)의 내측 방향으로 눌려진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315)를 해제하게 되면, AC보조입력단자(311) 또는 DC보조입력단자(312)가 탄성부재(313)에 의해 커버 하우징(300)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가도록 하여 본체 하우징(100)의 입력단자와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충전감지모듈(313)은 배터리 모듈(142)의 충전량을 확인하여 더 이상 충전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AC보조입력단자(311) 또는 DC보조입력단자(312)가 AC입력단자(141A) 또는 DC입력단자(141B)와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시킬 수 있다.
도 13의 (a)와 (b)는 길이조절부재에 의해 본체 플레이트의 수평이 조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위성안테나(1)의 커버 하우징(300)에는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길이조절부재(320)의 외측면 즉, 커버 하우징(300)을 지면에 거꾸로 안착시킨 상태에서 지면을 지지하는 일면으로 탄성변형부재(321)가 형성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재(320)는 커버 하우징(300)의 개방면이 형성되는 반대면 즉, 지면에 거꾸로 안착시킨 상태에서 지면을 향하는 외측면의 모서리 또는 꼭짓점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 하우징(100) 및 본체 플레이트(200)가 커버 하우징(300)의 개방면 측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길이조절부재(3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안착되는 지면의 형태에 맞게 본체 플레이트(20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지면이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지대에 커버 하우징(300)을 안착시키는 경우 전방에 위치하는 길이조절부재(320)를 후방에 위치하는 길이조절부재(320)보다 길게 조절하여 본체 플레이트(200)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위성신호를 탐지하기 위한 평판안테나 모듈(110)이 보다 정확한 안테나 포인팅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위성안테나
100: 본체 하우징
110: 평판안테나 모듈
120: 안테나 회동모듈
130: 안테나 제어모듈
131: 안테나포인팅모듈
132: 통신제어모듈
140: 무정전 전력공급모듈
141: 전원입력모듈
142: 배터리 모듈
143: 전원변환모듈
144: 전력제어모듈
150: 통신포트
160: 조작버튼
200: 본체 플레이트
210: 접이식 손잡이
220: 바퀴
230: 체결부재
300: 커버 하우징
310: 예비전원 충전모듈
311: AC보조입력단자
312: DC보조입력단자
313탄성부재
314: 충전감지모듈
315: 고정부재
320: 길이조절부재
321: 탄성변형부재
P: 관리자 단말

Claims (12)

  1.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위성안테나에 있어서,
    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평판으로 형성되는 평판안테나 모듈;
    상기 평판안테나 모듈이 위성신호 감도에 따라 회동하도록 형성되는 안테나 회동모듈;
    상기 위성안테나를 제어하여 위성신호를 제어하는 안테나 제어모듈; 및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차단 시에 일정시간동안 상기 안테나 제어모듈에 전력 공급이 가능한 무정전 전력공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위성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안테나 회동모듈 및 상기 평판안테나 모듈이 형성되고, 내측의 공간으로 상기 안테나 제어모듈 및 상기 무정전 전력공급모듈이 형성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일측으로는 접이식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바퀴가 형성되는 본체 플레이트;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단면을 덮어 씌운 상태에서 상기 본체 플레이트와 체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을 보호하는 커버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하우징을 거꾸로 뒤집어 지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단방향으로 상기 본체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위성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전 전력공급모듈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안테나 제어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모듈;
    일정시간동안 상기 위성안테나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이 저장되는 배터리 모듈;
    상기 전원입력모듈 또는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정류 또는 정압하는 전원변환모듈; 및
    상기 전원입력모듈 및 상기 배터리 모듈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제어모듈은,
    상기 전원입력모듈로부터 외부의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에 충전된 전력을 상기 위성안테나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위성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모듈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형성되는 AC입력단자;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형성되는 DC입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제어모듈은,
    상기 AC입력단자 또는 상기 DC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외부의 전력 케이블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전원변환모듈로 전송하며, AC입력단자와 DC입력단자에 동시에 전력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 공급받고자 하는 전력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위성안테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리튬인산철 배터리로 형성되며, 상기 전원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되는 외부의 전력이 상기 전원변환모듈에 의해 정류 또는 정압되어 전송되는 DC전원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위성안테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변환모듈은,
    상기 전원입력모듈로부터 공급되는 AC전원에 대하여 DC전원으로 변환하도록 형성되는 제1변환모듈; 및
    상기 전원입력모듈이나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 공급되는 DC전원에 대하여 승압 또는 강압하도록 형성되는 제2변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전원입력모듈이나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제1변환모듈이나 상기 제2변환모듈 중 하나가 선택되어 정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위성안테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충전량에 따라서 상기 전원입력모듈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한 충전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위성안테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제어모듈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조작 버튼으로부터 위성감지신호를 입력받을 시, 상기 평판안테나 모듈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안테나 회동모듈을 제어하여 위성신호의 수신감도를 분석하고, 분석되는 수신감도에 따라서 안테나 포인팅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위성안테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제어모듈은,
    상기 위성안테나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지하는 관리자 단말과 통신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안테나 제어모듈의 제어동작 및 수신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앱이 설치되어 위성신호 포인팅 현황, 통신하는 위성 이름 및 안테나의 GPS 좌표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원격으로 상기 안테나 제어모듈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위성안테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외측면으로 외부의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AC보조입력단자와 DC보조입력단자가 형성되는 예비전원 충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예비전원 충전모듈은,
    상기 AC보조입력단자와 상기 AC입력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DC보조입력단자가 상기 DC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커버 하우징이 상기 본체 하우징을 덮은 상태에서 외부의 전력 케이블에 의해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위성안테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전원 충전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에 충전되는 충전량을 LED로 표시하는 충전표시창이 상기 커버 하우징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충전이 완료되면 외부의 전력 케이블로부터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충전감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위성안테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외측면에 길이가 가변되며 일단이 지면에 맞추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가 형성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커버 하우징이 뒤집혀진 상태에서 지면과 밀착 시 상기 탄성부재가 지면에 밀착되며,
    상기 길이조절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안착되는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위성안테나

KR1020200163317A 2020-11-27 2020-11-27 무정전 위성안테나 KR102442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317A KR102442589B1 (ko) 2020-11-27 2020-11-27 무정전 위성안테나
KR1020220109404A KR102602242B1 (ko) 2020-11-27 2022-08-30 위성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정전 위성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317A KR102442589B1 (ko) 2020-11-27 2020-11-27 무정전 위성안테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404A Division KR102602242B1 (ko) 2020-11-27 2022-08-30 위성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정전 위성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615A true KR20220074615A (ko) 2022-06-03
KR102442589B1 KR102442589B1 (ko) 2022-09-14

Family

ID=819837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317A KR102442589B1 (ko) 2020-11-27 2020-11-27 무정전 위성안테나
KR1020220109404A KR102602242B1 (ko) 2020-11-27 2022-08-30 위성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정전 위성안테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404A KR102602242B1 (ko) 2020-11-27 2022-08-30 위성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정전 위성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425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468A (ko) * 1997-12-24 1999-07-15 김영환 디지탈 위성 수신 안테나 자동방향 조절장치
KR20070000261A (ko) * 2005-06-27 2007-01-02 주식회사 피에스키 시스템즈 위성 통신용 휴대 단말 시스템
KR20070060630A (ko) * 2005-12-09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추적 안테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468A (ko) * 1997-12-24 1999-07-15 김영환 디지탈 위성 수신 안테나 자동방향 조절장치
KR20070000261A (ko) * 2005-06-27 2007-01-02 주식회사 피에스키 시스템즈 위성 통신용 휴대 단말 시스템
KR20070060630A (ko) * 2005-12-09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추적 안테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242B1 (ko) 2023-11-14
KR20220126272A (ko) 2022-09-15
KR102442589B1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0814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900775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CN104094497B (zh) 非接触供电系统、供电装置及非接触供电系统的控制方法
EP2698896B1 (en) Energy storage device, power management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332265B2 (en) Charger and portable devi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US11837880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charging of battery-powered devices
CN105162179B (zh) 一种大数据电源无线传输充电系统
KR101956536B1 (ko) 사용자 단말에 탈부착되는 무선 충전 지원 액세서리 및 이에 기반한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70088594A (ko) 무선 네트워크망을 구축하는 드론 및 이를 이용한 드론 시스템
KR102442589B1 (ko) 무정전 위성안테나
EP3787202A1 (en) Baseband polarization switching and isolation improvement
KR102117596B1 (ko) 에너지 저장장치, 및 전력 관리 장치
US11854362B2 (e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lf-powered power-free fixed temperature type fire detection
JP3225157U (ja) ネットワークカメラと二次電池を搭載した可搬型通信装置
CN206650470U (zh) 车载无线充电器
KR102602231B1 (ko) 위성 안테나 장치의 위성 자동 정밀 포인팅 방법
CN106464341B (zh) 用于飞行器舱的通讯设备
CN115603796A (zh) 一种节能式户外卫星遥感信号接收装置
US20090011721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102643162B1 (ko) 한손 조종용 드론을 이용한 지능형 드론 충전 스테이션
CN209858738U (zh) 一种全球导航卫星系统应急监测设备
CN107040627A (zh) 移动终端
CN220420854U (zh) 卫星
CN212933764U (zh) 便携式通用控制终端和定位控制系统
CN213179956U (zh) 无线通讯基站的天线工参测量系统及天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