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192A -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192A
KR20220074192A KR1020200162406A KR20200162406A KR20220074192A KR 20220074192 A KR20220074192 A KR 20220074192A KR 1020200162406 A KR1020200162406 A KR 1020200162406A KR 20200162406 A KR20200162406 A KR 20200162406A KR 20220074192 A KR20220074192 A KR 20220074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itation force
vibration
unit
frequency
pem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이치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이치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이치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00162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4192A/ko
Publication of KR20220074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7Stimulation by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4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 A61B5/005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by apply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61N2/006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for magnetic stimulation of nerv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건강을 위하여 촉각(피부접촉)을 통한 인체기관의 공명을 유도함으로써 해당 기관의 세포활동을 활성화 시켜 건강으로 도모하는 기술인 촉각 공명 치료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치료대상이 되는 인체의 부위에 대응하는 경혈에 접촉시켜 사용하는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진동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감지하여 중앙처리장치로 송신하는 진동 감지부와, 상기 진동 감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전달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PEMF 코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구성으로 인해 가진력으로 혼합 가진력을 사용함으로써 인체에서의 공명 진동과 최대한 유사패턴으로 가진력을 인가하여 복잡한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 를 효과적을 검색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 및 방법{Tactile Resonance Therapy Device combined with PEMPFbased on biofeedback}
본 발명은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강을 위하여 촉각(피부접촉)을 통한 인체기관의 공명을 유도함으로써 해당 기관의 세포활동을 활성화 시켜 건강으로 도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인류는 점차적으로 고령화시대로 진입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고령화시대의 도래로 인해 인체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치료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다양한 치료장치의 예로서 인체의 내부를 직접적으로 해부하지 않고 치료하기 위해 파장을 이용한 치료장치가 널리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치료의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며 원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수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신장에 돌과 같은 담석이 발생한 경우 이를 파쇄하기 위해 파동을 인가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파동의 신체에 많은 부담만을 유발할 뿐 담석을 충분히 파쇄하기에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현재의 파동을 이용한 치료장치는 다양한 인체의 질병을 치료하기에 충분하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PEMF(Pulsed electromagnetic fields)를 이용한 자기장 치료장치의 경우 치료를 위해 자기장이 인가하는 인체의 위치가 명확하지 않아 대략적인 인접위치에 장치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장치를 작동하여 치료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PEPF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확한 위치에서 PEMF 를 작동하지 않으므로 치료효과가 효과적이지 않으며 이로 인해 치료효과 개선을 위해 인가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증가하여야 하는 바, 이로 인해 인체에 과도한 자기장을 인가하여 유해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하며 장치의 부피 및 비용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85694호
본 발명의 목적은, 건강을 위하여 촉각(피부접촉)을 통한 인체기관의 공명을 유도함으로써 해당 기관의 세포활동을 활성화 시켜 건강으로 도모하고 치료효과를 극대화하는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 와 결합된 촉각 공명 치료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료대상이 되는 인체의 부위에 대응하는 경혈에 접촉시켜 사용하는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진동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감지하여 중앙처리장치로 송신하는 진동 감지부와, 상기 진동 감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전달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PEMF 코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기관 선정부와, 상기 기관 선정부와 연결되는 가진력 제어부와, 상기 가진력 제어부와 연결되는 가진력 발생부와, 상기 가진력 발생부에 인가되는 가진력을 혼합하기 위한 가진력 혼합부와, 상기 가진력 제어부와 연결되는 PEMF 코일부 제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진력 혼합부에서는 치료 대상이 되는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에 의한 가진력(F1)과 이 고유진동주파수의 2차, 3차 등의 고조파 주파수를 이용한 2차, 3차 가진력(F2,F3..)등을 더하여 형성된 혼합 가진력(F)을 형성하며, 상기 혼합 가진력(F)은 하기 식에 의해 형성되는,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
F = F1 + F2 + F3
F1 : 고유진동주파수에서의 가진력
F1 = F0cosωt, ω = 2πf
F2 : 2차 고조파 주파수에서의 2차 가진력
F2 = F0 2cos2ωt = F0 2((1+cos2ωt)/2)
F3 : 3차 고조파 주파수에서의 3차 가진력
F3 = F0 3cos3ωt = F0 3((1+cos3ωt+3cosωt)/4)
여기서. F0 : 초기 가진력, ω : 진동수, f : 주파수
본 발명의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에서, 상기 가진력 제어부는, 상기 가진력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가진력이 주기적으로 인가되도록 시간을 제어하는 가진력 인가시간 제어부와, 상기 가진력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가진력에 인가되는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가진력 주파수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에서, 상기 가진력 주파수 제어부는, 치료대상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에서는, 치료대상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 및 그의 천이범위를 포함하는 고유진동주파수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고유진동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를 일정 단위별로 나누어 인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검색 단계에서 치료대상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의 검색이 종료된 후의 치료 단계에서는, 상기 검색된 고유진동주파수만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에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베이스의 둘레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환형 형상의 원형 코일 수용홈이 형성된 가동 자석과, 상기 가동 자석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원형 코일 수용홈의 내부에 삽입가능하게 한 하도록 원통 코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원통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가동 자석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에서, 상기 PEMF 코일부은 상기 원통 코일의 중심(c)과 동일한 중심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PEMF 코일부 제어부에서, 상기 검색 단계에서 검색된 인체의 고유진동주파수에 따라 상기 PEMF 코일부로 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에서, 상기 진동 감지부는, 가진력이 인가된 인체 기관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감지센서와, 상기 진동감지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 연결되는 진폭신호 필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폭신호 필터부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폭신호 중 자력진동진폭신호만을 검지하여 상기 가진력 주파수 중앙처리장치로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를 이용하여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s100)로 이루어지는 방법으로서, 치료 대상이 되는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 범위에서 분할된 각 개별고유진동주파수를 가진력 주파수 중앙처리장치가 가진력 발생부로 입력하여 가진력을 설정하는 단계(s110); 상기 단계(s110)에서 설정된 가진력을 촉각공명치료장치를 인체 기관이 인접한 부위의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진력 인가시간 중앙처리장치에서 설정한 일정시간(t1)동안 진동 발생부에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s120); 상기 단계(s120)에서 일정시간(t1)경과되어 진동 발생이 정지된 다음 촉각공명치료장치를 인체의 기관이 인접한 부위의 피부에 계속 접촉시킨 상태에서 일정시간(t2)동안 진동 감지부에 의해 자력 진동 진폭(a)을 감지하고 이를 상기 가진력 주파수 중앙처리장치로 송신하는 단계(s130); 상기 단계(s110)에서 가진력 주파수 중앙처리장치가 각 개별 고유진동주파수 범위 내의 개별 고유진동주파수를 모두 인가하였는 지 확인하는 단계(s140); 상기 단계(s140)에서 고유진동주파수 범위 내의 각 개별 고유진동주파수가 모두 인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계(s110)으로 복귀하여 상기 가진력 주파수 중앙처리장치에서 인가하지 않은 다른 개별 고유진동주파수를 인가하는 단계(s150); 및 상기 단계(s140)에서 각 개별 고유진동주파수 범위 내의 개별 고유진동주파수가 모두 인가된 경우, 상기 가진력 주파수 중앙처리장치에서 자력진동진폭(a)이 가장 큰 개별 고유진동주파수를 선정하는 단계(s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에서, 상기 단계(s160)에서 선정된 인체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는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에서, 상기 단계(s160)에서 선정된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고유진동주파수에 따라 가진력 주파수 중앙처리장치에서 가진력을 설정하는 단계(s210); 상기 단계(s210)에서 설정된 가진력을 상기 가진력 인가시간 중앙처리장치에서 미리 설정한 일정시간(t3)동안 진동 발생부에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s220); 상기 단계(s220)에서 일정시간(t3)경과 되어 진동 발생이 정지된 다음 촉각공명치료장치를 인체의 기관이 인접한 부위의 피부에 계속 접촉시킨 상태에서 일정시간(t4)동안 진동 감지부에 의해 자력진동 진폭값(a)을 감지하고 이를 상기 가진력 중앙처리장치로 송신하는 단계(s230); 상기 단계(s230)에서 송신된 자력진동진폭값(a)을 상기 가진력 중앙처리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값(ε)과 비교하는 단계(s240); 상기 단계(s240)에서 수신된 자력진동진폭값(a)이 미리 설정된 값(ε)보다 큰 경우 상기 단계(s160)에서 선정된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고유진동주파수에 따라 상기 PEMF 코일부에 전력을 일정시간(t5) 동안 인가한 다음 다시 단계(s210)으로 복귀하여 치료 모듈을 계속하는 단계(s250); 상기 단계(s240)에서 수신된 자력진동진폭값(a)이 미리 설정된 값(ε)보다 작은 경우 상기 가진력 중앙처리장치에서 치료 모듈을 종료하는 단계(s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에서, 상기 단계(s220)에서 선정된 고유진동주파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가진력 인가시간 중앙처리장치에서 미리 설정한 일정시간(t3)동안 복수 개의 고유진동주파수를 각각 일정시간동안 인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강을 위하여 촉각(피부접촉)을 통한 인체기관의 공명을 유도함으로써 해당 기관의 세포활동을 활성화 시켜 건강으로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진력으로 혼합 가진력을 사용함으로써 인체에서의 공명 진동과 최대한 유사패턴으로 가진력을 인가하여 복잡한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 를 효과적을 검색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공명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인체에 미치는 충격을 감소하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혼합 가진력에 의해 인체 장기에 가장 근접한 고유진동주파수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바, 치료 대상이 되는 장기 전체에 있어서 균일한 공명작용을 일으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공명에 의한 치료가 달성되는 것인 바, 인체 내부에 존재하는 장기 등에도 인체에 큰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정리하면, 첫째로, 경혈지점을 집중적으로 치료하므로 종래의 PEMF 치료장치에 비해 정확한 위치를 정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둘째로, 인체의 공명 주파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치료하게 되므로 공명치료의 효율이 대폭적으로 개선되며, 셋째로, 정확한 인체의 반응인 바이오 피드백(자력진동진동)을 기반으로 치료하게 되므로 치료효율이 더욱 개선되며, 넷째로, 치료대상이 되는 경혈 또는 경혈과 연결된 인체의 부위(장기)의 공명을 유도한 상태에서 PEMF 에 의하 자기장을 이중적으로 인가하여 치료효과가 더욱 더 개선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촉각 공명 치료 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촉각 공명 치료 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촉각 공명 치료 장치에서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인체의 공진에 따른 주파수 및 진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은 일반적인 공명 시 진폭이 증가하여 발생되는 무구속(Unlimited)공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는 도 3 에서 고조파 주파수가 결합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맥놀이 공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검색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동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진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치료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공명을 발생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는 물리치료를 위한 여타 의료기기와의 기술적 비교를 도시한 표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촉각 공명 치료 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촉각 공명 치료 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저면에 설치되는 진동 감지부(200)와,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PEMF(Pulsed electromagnetic fields) 코일부(300)와, 상기 PEMF 코일부(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부(400)와, 상기 진동 발생부(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중앙처리장치(500)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베이스(100)와, 진동 감지부(200)와, PEMF 코일부(300)와, 진동 발생부(400)와, 중앙처리장치(500)가 모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베이스(100)는 원기둥 형상의 오목부(110)와 상기 오목부(110)의 둘레에서 상기 오목부(110)보다 높게 형성되는 둘레부(120)로 이루어진다.
오목부(110)의 저면에는 진동 감지부(200)가 설치되며 중앙처리장치(500)와 연결된다.
진동 감지부(200)는 진동감지센서(210)와, 상기 진동감지센서(210)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220)와, 상기 증폭부(220)에 연결되는 진폭신호 필터부(230)로 이루어진다.
진동감지센서(210)는 가속도센서(accelomet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심(c)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진폭신호 필터부(230)에서는 증폭부(220)에 의해 증폭된 신호 중에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진동에서 자력진동의 평균진폭(a)만을 분리하여 가진력 주파수 중앙처리장치(532)로 송신하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자력진동진폭(a)이란 각 개별 고유진동주파수에서의 자력진동에 의한 진폭 값의 평균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베이스(100)의 오목부(110)에는 중앙처리장치(500)와 연결되는 PEMF(Pulsed electromagnetic fields) 코일부(300)가 설치된다.
PEMF 코일부(300)는 중심(c)을 기준으로 코일이 감져지는 원형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PEMF 코일부(300)의 상부에는 진동 발생부(400)가 고정된다.
진동 발생부(400)는 베이스(100)의 둘레부(120)에 설치되는 탄성부(410)와, 상기 탄성부(4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동 자석부(420)와, 상기 가동 자석부(4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원형 코일부(430)로 이루어진다.
탄성부(410)는 원판 형상의 가동 자석 지지부(411)와 상기 가동 자석 지지부(411)의 하부에 설치되는 판형 스프링부(412)로 이루어지며, 판형 스프링부(412)가 상기 둘레부(120)에 체결부재(b)에 의해 체결된다.
판형 스프링부(412)는 가동 자석 지지부(411)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판재로 이루어지지며 평면에서 볼 때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밴드부가 중심(c)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동 자석(420)은 중심(c)에서 가동자석 지지부(411)에 배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환형 형상의 원통 코일 수용홈(421)이 형성되어 있다.
원형 코일 수용홈(421)은 가동 자석(420)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원통 코일(431)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원형 코일부(430)는 PEMF 코일부(300)과 동일한 중심(c)을 중심으로 원통형상으로 코일이 감져지는 원통 코일(431)과 상기 원통 코일(431)의 상부가 고정되며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 단부가 하우징(10)에 고정되는 원통 코일 지지부(432)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진동 발생장치의 경우 전류값의 변화 없이 일정한 전류값으로 단순히 작동의 on-off 만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에서 중앙처리장치(500)에서는 원통 코일(431)에 인가되는 전류값 자체를 미세하게 변화되도록 제어하여 가동 자석(420)의 진동을 제어하는 바, 본원 발명에서와 같이 고조파가 혼합된 복잡한 형태의 혼합 가진력(F)을 인가하는 적합하므로 인체의 진동 패턴에 부합되는 진동 패턴을 발생하는 데 유리한 작용을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촉각 공명 치료 장치에서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중앙처리장치(500)는 기관 선정부(510)와, 상기 기관 선정부(510)와 연결되는 가진력 제어부(520)와, 상기 가진력 제어부(520)에 연결되는 가진력 발생부(530)와, 상기 가진력 발생부(530)에 연결되는 가진력 혼합부(540)와, PEMF 코일부 제어부(550)로 이루어진다.
기관 선정부(510)는 사용자가 치료하고자 하는 인체의 기관, 예를 들어 신장등을 선정하도록 구성되며 선정 기구는 스위치나 핸드폰 등의 공지된 방식에 의한다.
가진력 제어부(520)는 가진력의 인가시간 중앙처리장치(521)와 가진력 주파수 제어부(522)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가진력 제어부(520)에서는 가진력이 주기적으로 인가되도록 가진 시간을 제어하는 가진력 인가시간 제어부(521)와 가진력에 인가되는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가진력 주파수 제어부(522)로 이루어진다.
가진력 인가시간 제어부(521)에서는 가진력이 인가되는 시간(t1) 동안에만 가진력이 인가되고 자력 진동 진폭 감지 시간(t2) 동안에는 가진력이 인가되지 않게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가진력 주파수 제어부(522)는 검색 모듈과 치료 모듈에서 다르게 작용하도록 제어된다.
검색 모듈에서는 인체의 기관의 공명 주파수를 치료하기 위해 일정 단위로 분할된 치료대상이 되는 장기의 고유진동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인가하게 되며, 치료모듈에서는 치료된 고유진동주파수만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검색 모듈에서는 치료 대상이 되는 장기 등의 고유진동주파수에 천이 주파수를 더하여 고유진동주파수 범위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하는 이유는 장기의 고유진동주파수가 각각의 인체의 조건에 따라 상이하며 심장 등의 경우 맥동하는 경우에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항을 감안하여 설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천이 주파수 범위는 고유진동주파수에 일정한 범위내의 영역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경우 110 Hz±5% 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유진동주파수 범위는 공식적으로 인정된 여러 기관(또는 단체)에서 발표된 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가진력 주파수 제어부(522)는 검색 모듈에서 위의 경우 천이 범위를 고려하여 -5% 에 해당하는 104.5Hz 에서 출발하여 +5% 에 해당하는 115.5Hz 까지 1Hz 단위로 구분하여 개별 고유진동주파수(f1,f2 ...)를 인가하게 된다.
한편, 가진력 주파수 제어부(522)는 검색 모듈에서 치료 대상의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가 검색된 후에는 치료 모듈에서 검색된 하나 또는 복수의 고유진동 주파수만을 인가하게 된다.
가진력 주파수 제어부(522)는 치료 모듈에서 고유진동주파수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각 고유진동주파수별로 일정시간을 할당하여 모든 고유진동 주파수가 모두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가진력 발생부(530)는 가진력 제어부(520)에서의 제어에 따라 가진력을 인가하는 작용을 하도록 형성된다.
가진력 혼합부(540)에서는 고유진동주파수에 의한 가진력(F1)과 이 고유진동주파수의 2차, 3차 등의 고조파 주파수를 이용한 2차, 3차 가진력(F2,F3..)등을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 가진력(F)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가진력 발생부(530)에서 발생되는 혼합 가진력(F)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F = F1 + F2 + F3
F1 : 고유진동주파수에서의 가진력
F1 = F0cosωt, ω = 2πf
F2 : 2차 고조파 주파수에서의 2차 가진력
F2 = F0 2cos2ωt = F0 2((1+cos2ωt)/2)
F3 : 3차 고조파 주파수에서의 3차 가진력
F3 = F0 3cos3ωt = F0 3((1+cos3ωt+3cosωt)/4)
여기서. F0 : 초기 가진력, ω : 진동수, f : 주파수
가진력 발생부(530)는 가진력 혼합부(540)에 의해 발생된 가진력을 인가하기 위한 장치로서 신호 증폭기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PEM 코일부 제어부(550)은 가진력 제어부(520)에서 신호를 받아 PEMF 코일부(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용을 한다.
도 4 는 인체의 공진에 따른 주파수 및 진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가진력을 혼합 가진력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인체 기관 공명의 최대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 2가지 이유이다.
첫째로, 인체에서의 공명 진동과 최대한 유사패턴으로 가진력을 인가하기 위함이다.
인체의 공명시 진동 상태를 살펴보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 진동(Ao)뿐만 아니라 자력진동(Ai)도 혼합되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유주파수에 의한 가진력(F1)이 상기 외력 진동에 대응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고유주파수의 고조파에 의한 2차, 3차 가진력(F2,F3)이 상기 자력 진동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인체 장기 등의 공명 진동의 패턴과 최대한 근사하도록 외력으로 인가되는 가진력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인체의 장기의 공명을 최대화하는 것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도 5 은 일반적인 공명 시 진폭이 증가하여 발생되는 무구속(Unlimited)공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는 도 5 에서 고조파 주파수가 결합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맥놀이 공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둘째로, 공명 시 발생할 수 있는 인체에 미치는 충격을 감소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공명이라 함은 대상의 고유 주파수와 외력의 주파수가 일치하는 경우 진폭이 극대화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폭이 무구속(unlimited)되어 극대화되는 바, 공명을 잘 조절하지 못할 경우 자칫 인체의 기관에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외력에 고조파을 혼합하여 가진력을 형성하게 되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구속 공진이 사라지고 맥놀이 형태로 가진력이 인가되므로 인체의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제거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형성된 장치의 구체적인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검색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한 방법은 검색모듈 단계(s100)와 치료모듈 단계(s200)로 이루어진다.
검색모듈 단계(s100)에서는 치료대상이 되는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를 검색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치료모듈 단계(s200)에서는 검색된 고유진동주파수에 상응하는 가진력이 인가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먼저, 검색모듈 단계(s1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기관 선정부(510)에서 통해 치료받고자 하는 인체의 기관을 선정하게 되면 가진력 주파수 중앙처리장치(521)에서 해당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 범위를 선정하고 이 고유진동주파수 범위에서 분할된 각 개별 고유진동주파수를 가진력 발생부(530)로 입력하고 가진력 혼합부(540)에 의해 발생된 가진력의 형태로 원통 코일(431)로 인가되도록 가진력을 설정하는 단계(s110)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장치를 치료하고자 하는 인체의 기관과 연결된 경혈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진력을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s120)를 수행한다.
단계(s120)에서는 본 발명의 장치의 중심(c)을 경혈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접촉시키는 것이 치료효과증대에 유리하다.
여기서 경혈은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경락은 인체내의 경맥과 낙맥을 의미하며 오장육부의 기혈을 운행하고 조절하는 통로를 의미하는데 피부나 근육에 나타나는 중요한 반응점(경혈)을 연결한 경로를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경혈은 신체에서 기와 혈이 통하는 통로의 교차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경락에 있는 수혈부위를 의미하며 병이 생겼을 때 피부와 근육에 자극을주면 반응하는 반응점을 말하는 것이다.
경혈은 인체내의 여러 군데가 존재하며 각각의 경혈은 인체의 특정 기관과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러, 척추라인 BL 22 지점의 경우는 신장, 방광 등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치료를 위해 침이나 뜸을 이러한 경혈자리에 시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신장을 치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경혈 BL 22 자리에 본 발명의 장치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장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단계(s120)에서는 가진력 제어부(520)의 가진력 주파수 제어부(522)에서 설정한 개별 고유진동주파수로 가진력 인가시간 제어부(521)에서 설정한 일정시간(t1)동안 가진력 발생부(520)를 제어하여 가진력을 진동 발생부(400)에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단계(s120)에서는 가진력 발생부(530)에 의해 인가되는 전류가 원통 코일(431)로 인가되고 이에 따른 전자기유도작용에 의한 가동 자석(420)의 하방이동과 탄성부(410)에 의한 탄성복원작용에 의한 상방이동으로 발생되는 진동이 경혈에 전달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8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동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진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의 장치를 경혈에 계속 접촉시킨 상태에서 진동을 감지하고 송신하는 단계(s130)를 수행한다.
단계(s130)에서는 가진력 인가시간(t1)이 경과하여 진동 발생부(400)의 진동이 정지된 후에는 일정시간(t2)동안 진동 감지부(200)에서 자력 진동 진폭(a)을 검지하고 이를 중앙처리장치(500)의 가진력 주파수 제어부(522)로 송신하게 된다.
다음으로, 가진력 주파수 제어부(522)에서는 각 개별 고유진동주파수 범위 내의 개별 고유진동주파수를 모두 인가하였는 지 확인하는 단계(s140)를 수행한다.
단계(s140)에서 고유진동주파수 범위 내의 각 개별 고유진동주파수가 모두 인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계(s110)으로 복귀하여 상기 가진력 주파수 제어부(522)에서 인가하지 않은 다른 개별 고유진동주파수를 인가하는 단계(s15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140)에서 각 개별 고유진동주파수 범위 내의 개별 고유진동주파수가 모두 인가된 경우, 상기 가진력 주파수 중앙처리장치에서 자력진동진폭(a)이 가장 큰 개별 고유진동주파수를 선정하는 단계(s160)를 수행하고 치료모듈 단계(s200)으로 넘어 가게 된다.
단계(s140)에서 선정된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는 한 개의 값을 가지거나 복수 개의 값을 가지도록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체 기관의 공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진동전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력 진동의 진폭만을 이용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인체 기관에서 공명이 충분히 일어난 경우에는 자력진동이 발생하며 공명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력진동이 별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9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치료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검색모듈 단계(s100)에서 고유진동주파수가 선정된 다음에는 치료모듈 단계(s200)를 수행하는 데 이때에도 본 발명의 장치가 치료대상이 되는 인체의 부위와 연결된 경혈에 계속 접촉된 상태에서 진행된다.
단계(s210)에서는 가진력 제어부(520)에서 검색모듈 단계(s100)에서 최종적으로 확인된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고유진동주파수을 적용하고 가진력 혼합부(530)에서 설정된 혼합력에 형태에 따라 가진력을 설정하는 단계(s210)를 수행한다.
단계(s220)에서는 단계(s210)에서 입력된 주파수로 가진력 인가시간 제어부(521)에서 미리 설정한 일정시간(t3)동안 가진력 발생부(530)를 제어하여 가진력을 진동 발생부(400)에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복수 개의 고유진동주파수를 인가하는 경우에는 일정시간(t3)동안 각각의 고유진동주파수를 일정시간씩 번갈아가면서 인가하게 된다.
단계(s230)에서는 가진력 인가시간(t3)이 경과하여 진동 발생부(400)의 진동이 정지된 후에 일정시간(t4)동안 진동 감지부(200)에서 자력 진동 진폭(a)을 검지하고 이를 가진력 제어부(520)로 송신한다.
단계(s240)에서는 가진력 제어부(520)에서 일정 시간(t4)동안 송신된 자력진동진폭값을 미리 설정된 값(ε)과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s240)에서 가진력 제어부(520)에서 일정 시간동안 송신된 자력진동진폭(a)이 미리 설정된 값(ε)보다 큰 경우에는, PEMF 코일부 제어부(550)에서는 PEMF 코일부(300)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장을 일정시간(t5) 동안 인가한 다음 다시 단계(s210)으로 복귀하여 치료 모듈을 계속하는 단계(s250)를 수행하게 된다.
단계(s250)에서 PEMF 코일부 제어부(550)에 의해 PEMF 코일부(300)에 인가되는 전력은 단계(s100)에서 선정된 고유진동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인가된다.
단계(s240)에서 가진력 제어부(730)에서는 일정 시간동안 송신된 자력진동진폭값이 미리 설정된 값(ε)보다 작은 경우에는 치료 모듈을 종료하는 단계(s260)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치료 단계에서 자력진동진폭이 미리 설정된 값(ε) 보다 작은 경우 해당 기관이 공명 및 자기장에 의해 치료되어 더 이상 공명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치료 단계에서도 자력진동진폭(a)을 측정하는 이유는 해당 기관이 충분히 치료되었는 지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체의 자력진동진폭(a) 을 이용하여 공명 주파수 선정 및 치료에 활용된다.
본 발명의 치료단계에서는 치료대상이 되는 인체의 부위와 연결된 경혈에 고유진동주파수를 인가함으로써 해당 경혈에서의 혈류의 증가하여 혈류의 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혈액 내부의 헤모(철분)글로빈(단백질)이 증가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헤모(철분)글로빈이 증가된 상태에서 단계(s250)에서와 같이 PEMP 코일부(300)에 의한 자기장이 인가되므로 경혈 및 경혈 주변의 세포가 활성화되어 경혈을 자극하는 효과가 이중적인 상승작용에 의해 더욱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공진을 발생하는 장치인 진동 발생부(400)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PEMF 코일부(300)가 모두 동일 중심(c)에 위치하게 되므로 장치가 경혈에 배치된 상태에서 공진의 의한 효과와 자기장에 의한 효과가 모두 정확한 경혈의 중심에서 작용하게 되므로 치료효과가 더욱 배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0 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공명을 발생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인체 내의 장기와 같은 기관은 형상이 복잡하며 개인의 신체 조건 등에 따라 상이하며 또한 심장 등의 경우는 맥동에 의한 영향도 발생하는 바 하나의 고유진동주파수로는 표현할 수 없는 바, 공명을 유도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혼합 가진력을 이용하므로 인체의 장기의 고유진동주파수를 효과적으로 도출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검색단계에서 선정된 복수의 고유진동주파수를 각각 일정시간동안 인가하는 경우 더 더욱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에 더욱 근접하게 되어 공명에 의한 치료효과가 더욱 개선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0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공명 주파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진력으로 사인파 등을 이용하게 되는 데, 이러한 경우 복잡한 인체 장기의 고유주파수에 대한 고려가 없어 장기의 공명이 충분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의 혼합 가진력을 이용하여 고유진동주파수를 검색하여 공명진동을 진행하는 경우 도 10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기 전체에 있어서 균일한 공명작용을 일으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 는 물리치료를 위한 여타 의료기기와의 기술적 비교를 도시한 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명에 의한 방식으로 인체의 기관을 치료하는 바, 미세전류를 사용하는 치료하는 다른 의료기기와는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
종래 의료기기 경우 저·중·고주파는 전류를 사용하므로 피부효과(Skin Effect, 겉을 타고 흐르는 전류의 특성)로 인하여 원리적으로 피부 깊숙이 침투가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물리치료에 사용하는 레이저는 피하조직의 광세포(Photon Cell)의 산란(Scattering) 작용으로 인하여 깊은 침투가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 경우 경혈에 해당되는 피부 부분에 접촉하여 작동시키기만 해도 인체 내부에 존재하는 장기에 대해 공명 및 자기장에 의한 이중적인 상승효과를 통해 효과적인 치료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인체의 자력진동진폭(a)의 감소 여부를 이용하여 치료의 완료여부를 판단하므로 바이오 피드백을 기반으로 하여 치료를 수행하므로 정확하고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정리하면, 첫째로, 경혈지점을 집중적으로 치료하므로 종래의 PEMF 치료장치에 비해 정확한 위치를 정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둘째로, 인체의 공명 주파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치료하게 되므로 공명치료의 효율이 대폭적으로 개선되며, 셋째로, 정확한 인체의 반응인 바이오 피드백(자력진동진동)을 기반으로 치료하게 되므로 치료효율이 더욱 개선되며, 넷째로, 치료대상이 되는 경혈 또는 경혈과 연결된 인체의 부위(장기)의 공명을 유도한 상태에서 PEMF 에 의하 자기장을 이중적으로 인가하여 치료효과가 더욱 더 개선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기재된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100 : 베이스 200 : 진동 감지부
300 : PEMF 코일부 400 : 진동 발생부
500 : 중앙처리장치

Claims (11)

  1. 치료대상이 되는 인체의 부위에 대응하는 경혈에 접촉시켜 사용하는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진동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감지하여 중앙처리장치로 송신하는 진동 감지부와,
    상기 진동 감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전달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PEMF 코일부로 이루어지는,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기관 선정부와, 상기 기관 선정부와 연결되는 가진력 제어부와, 상기 가진력 제어부와 연결되는 가진력 발생부와, 상기 가진력 발생부에 인가되는 가진력을 혼합하기 위한 가진력 혼합부와, 상기 가진력 제어부와 연결되는 PEMF 코일부 제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진력 혼합부에서는 치료 대상이 되는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에 의한 가진력(F1)과 이 고유진동주파수의 2차, 3차 등의 고조파 주파수를 이용한 2차, 3차 가진력(F2,F3..)등을 더하여 형성된 혼합 가진력(F)을 형성하며,
    상기 혼합 가진력(F)은 하기 식에 의해 형성되는,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
    F = F1 + F2 + F3
    F1 : 고유진동주파수에서의 가진력
    F1 = F0cosωt, ω = 2πf
    F2 : 2차 고조파 주파수에서의 2차 가진력
    F2 = F0 2cos2ωt = F0 2((1+cos2ωt)/2)
    F3 : 3차 고조파 주파수에서의 3차 가진력
    F3 = F0 3cos3ωt = F0 3((1+cos3ωt+3cosωt)/4)
    여기서. F0 : 초기 가진력, ω : 진동수, f : 주파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가진력 제어부는,
    상기 가진력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가진력이 주기적으로 인가되도록 시간을 제어하는 가진력 인가시간 제어부와,
    상기 가진력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가진력에 인가되는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가진력 주파수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가진력 주파수 제어부는,
    치료대상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에서는,
    치료대상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 및 그의 천이범위를 포함하는 고유진동주파수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고유진동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를 일정 단위별로 나누어 인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검색 단계에서 치료대상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의 검색이 종료된 후의 치료 단계에서는,
    상기 검색된 고유진동주파수만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지는,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베이스의 둘레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환형 형상의 원형 코일 수용홈이 형성된 가동 자석과,
    상기 가동 자석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원형 코일 수용홈의 내부에 삽입가능하게 한 하도록 원통 코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원통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가동 자석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PEMF 코일부은 상기 원통 코일의 중심(c)과 동일한 중심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PEMF 코일부 제어부에서, 상기 검색 단계에서 검색된 인체의 고유진동주파수에 따라 상기 PEMF 코일부로 전력을 인가하는,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지부는,
    가진력이 인가된 인체 기관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감지센서와,
    상기 진동감지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 연결되는 진폭신호 필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폭신호 필터부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폭신호 중 자력진동진폭신호만을 검지하여 상기 가진력 주파수 중앙처리장치로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는,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 및 방법.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를 이용하여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s100)로 이루어지는 방법으로서,
    치료 대상이 되는 인체 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 범위에서 분할된 각 개별고유진동주파수를 가진력 주파수 중앙처리장치가 가진력 발생부로 입력하여 가진력을 설정하는 단계(s110);
    상기 단계(s110)에서 설정된 가진력을 촉각공명치료장치를 인체 기관이 인접한 부위의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진력 인가시간 중앙처리장치에서 설정한 일정시간(t1)동안 진동 발생부에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s120);
    상기 단계(s120)에서 일정시간(t1)경과되어 진동 발생이 정지된 다음 촉각공명치료장치를 인체의 기관이 인접한 부위의 피부에 계속 접촉시킨 상태에서 일정시간(t2)동안 진동 감지부에 의해 자력 진동 진폭(a)을 감지하고 이를 상기 가진력 주파수 중앙처리장치로 송신하는 단계(s130);
    상기 단계(s110)에서 가진력 주파수 중앙처리장치가 각 개별 고유진동주파수 범위 내의 개별 고유진동주파수를 모두 인가하였는 지 확인하는 단계(s140);
    상기 단계(s140)에서 고유진동주파수 범위 내의 각 개별 고유진동주파수가 모두 인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계(s110)으로 복귀하여 상기 가진력 주파수 중앙처리장치에서 인가하지 않은 다른 개별 고유진동주파수를 인가하는 단계(s150); 및
    상기 단계(s140)에서 각 개별 고유진동주파수 범위 내의 개별 고유진동주파수가 모두 인가된 경우, 상기 가진력 주파수 중앙처리장치에서 자력진동진폭(a)이 가장 큰 개별 고유진동주파수를 선정하는 단계(s160)로 이루어지는,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를 이용한 치료 방법.
  9.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단계(s160)에서 선정된 인체기관의 고유진동주파수는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를 이용한 치료 방법.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단계(s160)에서 선정된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고유진동주파수에 따라 가진력 주파수 중앙처리장치에서 가진력을 설정하는 단계(s210);
    상기 단계(s210)에서 설정된 가진력을 상기 가진력 인가시간 중앙처리장치에서 미리 설정한 일정시간(t3)동안 진동 발생부에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s220);
    상기 단계(s220)에서 일정시간(t3)경과 되어 진동 발생이 정지된 다음 촉각공명치료장치를 인체의 기관이 인접한 부위의 피부에 계속 접촉시킨 상태에서 일정시간(t4)동안 진동 감지부에 의해 자력진동 진폭값(a)을 감지하고 이를 상기 가진력 중앙처리장치로 송신하는 단계(s230);
    상기 단계(s230)에서 송신된 자력진동진폭값(a)을 상기 가진력 중앙처리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값(ε)과 비교하는 단계(s240);
    상기 단계(s240)에서 수신된 자력진동진폭값(a)이 미리 설정된 값(ε)보다 큰 경우 상기 단계(s160)에서 선정된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고유진동주파수에 따라 상기 PEMF 코일부에 전력을 일정시간(t5) 동안 인가한 다음 다시 단계(s210)으로 복귀하여 치료 모듈을 계속하는 단계(s250);
    상기 단계(s240)에서 수신된 자력진동진폭값(a)이 미리 설정된 값(ε)보다 작은 경우 상기 가진력 중앙처리장치에서 치료 모듈을 종료하는 단계(s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를 이용한 치료 방법.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단계(s220)에서 선정된 고유진동주파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가진력 인가시간 중앙처리장치에서 미리 설정한 일정시간(t3)동안 복수 개의 고유진동주파수를 각각 일정시간동안 인가하도록 이루어지는,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를 이용한 치료 방법.
KR1020200162406A 2020-11-27 2020-11-27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 및 방법 KR20220074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406A KR20220074192A (ko) 2020-11-27 2020-11-27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406A KR20220074192A (ko) 2020-11-27 2020-11-27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192A true KR20220074192A (ko) 2022-06-03

Family

ID=8198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406A KR20220074192A (ko) 2020-11-27 2020-11-27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41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694A (ko) 2020-07-02 2020-07-15 (주)클래시스 뇌질환 치료를 위한 초음파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694A (ko) 2020-07-02 2020-07-15 (주)클래시스 뇌질환 치료를 위한 초음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7812Y1 (ko) 환자의 치료를 위한 자기장 생성 장치
US10335345B2 (en) Vibration device using sound pressure, and human body stimulation apparatus comprising same
US6971984B2 (en) Magneto-cymatic therapeutic face mask
US10172763B2 (en) Skin and scalp massaging apparatus using acoustic pressure
US201000999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 human and animal immune stimulation and/or repair systems activation
WO2008127011A2 (en) A low frequency magnetic physical treatment device using shumann resonance frequency, water molecule resonance frequency and brain waves as the important treatment information
GB2486400A (en) Portable therapeutic device
EP0701464B1 (en) Device for administering sound waves and/or a magnetic field to a patient
CN215505138U (zh) 一种中频干扰电治疗仪
KR20220074192A (ko) 바이오 피드백 기반의 pemf와 결합된 공명 치료 장치 및 방법
CN106038245A (zh) 一种智能复合声波通经络养生仪
KR20210122015A (ko) 촉각 공명 치료 장치
US20050228207A1 (en) Magneto-cymatic therapeutic oscillating wand
KR102651511B1 (ko) 전자 세라믹 초음파와 저주파 평행 자기장을 활용한 휴대용 관절 자극장치
KR101686066B1 (ko) 초음파 방사기능을 갖는 지방제거 패치
CN111001099A (zh) 超声刺激人类语言神经中枢的系统
TWM511871U (zh) 具波動能量治療功能之手足穿著器具
KR20000054729A (ko) 초저주파 치료기
KR20200077863A (ko) 휴대용 초음파 자극기
KR20190105451A (ko) 음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고주파 치료기용 전극 유닛
KR102632459B1 (ko) 피부 및 근막용 초음파테라피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1864782B2 (en) Shock wave device
KR102410514B1 (ko) 다초점 체외 충격파 치료기
US20230218480A1 (en) Electroacoustic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US20240009489A1 (en) Multi-Focusing Device for Each Ultrasonic Depth Including Micro-Machined Ultrasonic Transducer Arra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