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3986A -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73986A KR20220073986A KR1020200161992A KR20200161992A KR20220073986A KR 20220073986 A KR20220073986 A KR 20220073986A KR 1020200161992 A KR1020200161992 A KR 1020200161992A KR 20200161992 A KR20200161992 A KR 20200161992A KR 20220073986 A KR20220073986 A KR 202200739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unit
- discharge port
- coupled
- steriliz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9531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281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387 respiratory r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4—Hygienic packaging for medical sensors; Maintaining apparatus for sensor hygie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호흡에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호흡측정유닛;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호흡측정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호흡측정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측면에 방출구가 관통 형성된 몸체부; 및 몸체부의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며, 방출구로 UV를 조사하는 살균소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가 호흡측정유닛의 살균 소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소독이 어려운 측정센서의 살균 소독도 간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호흡측정유닛의 청결한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호흡 측정 장치의 살균 소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유지관리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호흡 측정 장치의 청결한 상태를 보장할 수 있고, 오염 등으로 인한 센싱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흡량 검사에 사용되는 측정 장치는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 방식은 폐의 팽창과 수축에 따른 변화, 즉 폐용적의 변화를 양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으로서, 미리 정해진 양식에 따라 피검사자가 호흡하는 동안 폐용적의 변화를 직접 측정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식은 피검사자가 숨을 쉬는 동안에 폐 내외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감지 및 측정하여 호흡량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호흡량 측정장치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4667호는 폐루프를 형성하는 메인순환루프와, 메인순환루프내의 물을 강제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메인순환루프상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호흡을 측정하고자 하는 생물을 담는 밀폐형의 생물저장조, 메인순환루프내의 물에 용존된 산소량을 감지하는 산소센서, 메인순환루프에 병렬로 연결되는 보조순환루프, 3방향밸브, 보조순환루프상에 설치되고, 용존산소가 포화된 보충수를 저장하는 보충수저장조, 메인순환루프와 보조순환루프를 연통시켜 보충수저장조)의 보충수를 메인순환루프로 공급하는 보충수 개폐밸브 및 연산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 호흡측정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이러한 호흡측정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이동에 따른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 피검사자의 호흡에 따른 기류를 측정하는 방식 및 장치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피검사자가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호흡하면 이를 통해 호흡을 센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호흡 측정 장치는, 대체로 내부 형태가 복잡하고 분리가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일정 기간 사용 후에는 살균 소독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살균 소독하기가 어려워 청결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오염 등으로 인한 센싱 능력 저하로 인하여 장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살균 소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호흡 측정 장치의 청결한 상태를 보장할 수 있음은 물론, 오염 등으로 인한 센싱 능력 저하를 방지하여 호흡 측정 장치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호흡에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호흡측정유닛;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상기 호흡측정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호흡측정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측면에 방출구가 관통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방출구로 UV를 조사하는 살균소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는, 사용자가 호흡측정유닛의 살균 소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소독이 어려운 측정센서의 살균 소독도 간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호흡측정유닛의 청결한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는, 측정센서의 살균 소독으로 인한 측정센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오염으로 인한 센싱 성능 저하를 방지하여 호흡 측정 장치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 측정 장치에서 호흡측정유닛이 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 측정 장치에서 호흡측정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 측정 장치에서 호흡측정유닛의 제2본체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 측정 장치에서 몸체커버와 로테이팅 타입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방출구가 패쇄된 상태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방출구가 패쇄된 상태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 호흡 측정 장치에서 방출구가 개방된 상태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방출구가 개방된 상태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롤러부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 측정 장치에서 몸체커버와 슬라이딩 타입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방출구가 패쇄된 상태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방출구가 패쇄된 상태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방출구가 개방된 상태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방출구가 개방된 상태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롤러부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 측정 장치에서 호흡측정유닛이 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 측정 장치에서 호흡측정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 측정 장치에서 호흡측정유닛의 제2본체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 측정 장치에서 몸체커버와 로테이팅 타입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방출구가 패쇄된 상태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방출구가 패쇄된 상태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 호흡 측정 장치에서 방출구가 개방된 상태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방출구가 개방된 상태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롤러부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 측정 장치에서 몸체커버와 슬라이딩 타입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방출구가 패쇄된 상태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방출구가 패쇄된 상태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방출구가 개방된 상태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방출구가 개방된 상태의 개폐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호흡 측정 장치에서 롤러부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로테이팅 타입의 호흡 측정 장치(이하'호흡 측정 장치'라 한다)는, 호흡측정유닛(100)을 통하여 사용자의 호흡을 측정 및 검사함은 물론,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호흡측정유닛(100)의 살균 및 소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청결한 상태를 보장 및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 등으로 인한 센싱 능력의 저하를 방지하여 장치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 측정 장치는, 호흡측정유닛(100)과, 몸체부(200)와, 살균소독유닛(300)과, 개폐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 호흡측정유닛(100)은, 피검사자의 호흡에 따른 기류를 측정하여 호흡량을 검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사용자의 호흡에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센서(121)를 통하여 호흡량을 검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호흡측정유닛(100)은, 후술되는 제1본체(110;도 3참조)와, 제2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세부내용은 후술되는 도 3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몸체부(200)는, 살균소독유닛(300)을 비롯하여 호흡 측정 장치의 여러 제어구성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00)는, 호흡측정유닛(100)이 결합되는 상부 일측면에 방출구(미도시)가 관통 형성되어, 살균소독유닛(300)으로부터 조사되는 살균 소독 광이 방출구로 방출되며, 상기 방출구로부터 방출되는 살균 소독 광을 통하여 호흡측정유닛(100)이 살균 소독될 수 있다.
도 2는 몸체부(200)에 호흡측정유닛(10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몸체부(200)는, 상면 일측으로 호흡측정유닛(100)의 제2본체(1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몸체부(200)는, 상면 일측으로 호흡측정유닛(100)이 착탈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호흡측정유닛(100)이 몸체부(200)의 측면 등 다양한 위치에 착탈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몸체부(200)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몸체부(200)는, 몸체(210)와, 몸체커버(220)와, 제어패널(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210)는, 대략 박스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211)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211)으로 살균소독유닛(300)을 비롯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살균소독유닛(300)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등 각종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몸체(210)는, 상면 일측으로 호흡측정유닛(10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호흡측정유닛(100)이 결합되는 상면에 살균소독유닛(300)으로부터 조사되는 살균소독광이 방출될 수 있는 방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커버(220)는, 호흡측정유닛(100)이 결합되는 방출구 측에 구비되며, 방출구와 연통되는 관통구(221)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221)로 살균소독유닛(300)의 살균소독광이 방출된다.
여기서, 몸체커버(220)는, 호흡측정유닛(100)과 착탈 결합되며, 외측면(상면)으로 호흡측정유닛(100)의 제2본체(120)가 착탈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몸체커버(220)는, 제2본체(120)와 착탈되는 측면 형상이 접촉되는 제2본체(120)의 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본체(120)의 저면에 대하여 틈새 없이 밀착되고 안정적으로 착탈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2본체(120)의 저면은, 관 형상의 제1본체(110)에 대응하여 원통의 외주 곡면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몸체커버(220)의 측면 또한 이와 대응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1본체(110)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도 가능하다.
한편, 몸체부(200)는, 몸체(210)와 몸체커버(220)와의 사이에 사이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사이공간에는 후술되는 개폐유닛(40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개폐유닛(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패널은, 몸체(210)에 구비되어 호흡 측정 장치의 전체 작동 및 기능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예시적으로, 제어패널은, 살균소독유닛(300)의 작동상태와 호흡측정유닛(100)의 작동정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제어패널은 몸체(21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몸체(210)의 후면이 전면을 향하도록 되어 있어 제어패널이 도면상에 나타나 있지 않고 있다.
살균소독유닛(300)은, 몸체부(200)의 수용공간(211) 내에 구비되어 호흡측정유닛(100)을 살균 소독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호흡측정유닛(100)을 살균 소독하는데 있어서 살균소독 효과가 뛰어나고 취급이 용이한 UV를 살균소독광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살균소독유닛(300)은 방출구로 UV를 조사할 수 있는 UV조사유닛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UV조사유닛은, UV를 조사하는 UV램프를 포함하는 공지 UV살균장치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호흡측정유닛(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호흡측정유닛(100)은,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본체(110)는, 사용자의 호흡에 따라 공기가 유동하도록 공기유로(111)가 형성되고, 공기유로(111)의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본체(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공기유로(111)가 형성되며, 외주면 일부에 개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본체(120)는, 제1본체(110)의 외주면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는 측정센서(121)가 구비된 제2본체(120)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본체(120)는, 제1본체(110)와 접촉하는 저면으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센서(121)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본체(120)는, 몸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패널을 통해 측정센서(121)가 제어될 수 있으며, 측정센서(121)에 의하여 측정된 센서값을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정센서(121)는, 제2본체(120)와 제1본체(110)가 서로 결합될 시 개구부(112)에 삽입되도록 위치하며, 이 상태에서 공기유로(111)를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본체(120)는, 측정센서(121)의 양측으로 착탈수단(7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착탈수단(7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 및 제2본체(120)와 몸체부(200)가 서로 착탈되게 하고, 결합 시 슬립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착탈수단(70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착탈수단(700)은, 자석을 이용하여 자력 및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착탈 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가 서로 착탈되게 하고, 제2본체(120)와 몸체부(200)가 서로 착탈되게 할 수 있다.
먼저, 착탈수단(700)은, 제2본체(120)와 몸체커버(220)가 서로 착탈되게 하고, 제2본체(120)와 제1본체(110)가 서로 착탈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세부적으로, 착탈수단(700)은, 제2본체(120)에 구비되는 제1자석(710)과, 몸체커버(220)에 구비되고 제2본체(120)와 접촉 결합될 시 제1자석(7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제1자석(710)과 착탈되는 제2자석(7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착탈수단(700)은,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가 서로 착탈되도록, 제1본체(110)에 구비되고 제2본체(120)와 접촉 결합될 시 제2자석(7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제2자석(720)과 착탈되는 제3자석(7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자석(710), 제2자석(720) 및 제3자석(730)은, 한 쌍으로 개구부(112), 관통구(221) 및 측정센서(121) 각각의 양측에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착탈수단(700)은, 자석을 이용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결합돌기와 홈을 포함하는 스냅방식 등 공지의 서로 착탈 결합되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호흡 측정 장치는,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본체(120)는 몸체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호흡량을 측정할 시에는, 제2본체(120)와 제1본체(110)가 서로 결합되어 측정센서(121)가 사용자의 호흡에 따른 공기 압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후 살균 소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본체(120)는 제1본체(110)에서 분리되어 몸체부(200)와 서로 결합되어 살균 소독된다.
세부적으로, 본 발명에서 호흡측정유닛(100)은, 호흡 측정이 완료되면,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를 분리하고, 각각에 대한 살균 소독을 실시할 수 있다.
제1본체(110)의 경우, 관 형상으로 형성된 만큼 내주면을 용이하게 세척 및 살균 소독할 수 있으며, 세척 또는 UV를 이용한 살균소독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살균 소독이 가능하다.
제2본체(120)는, 측정센서(121)를 구비하고 있어, 보다 세심한 살균 소독이 필요하며, 특히 사용자의 호흡에 따라 공기에 노출된 측정센서(121)의 살균소독이 보다 면밀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제2본체(120)를 몸체부(200)에 결합시킨 후 살균소독유닛(300)에 의하여 측정센서(121)의 살균소독을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폐유닛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개폐유닛은 로테이팅 타입(rotating type) 및 슬라이딩 타입(sliding type)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먼저 로테이팅 타입의 개폐유닛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개폐유닛(400)은, 몸체부(200)에 대한 호흡측정유닛(100)의 착탈에 따라 방출구를 개폐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별도 조작없이 제2본체(120)가 몸체부(200)에 결합될 시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개폐유닛(400)은, 사용자가 제2본체(120)를 몸체부(200)에 접촉 결합시키면 자동으로 방출구를 개방시켜 살균 소독 광을 통해 측정센서(121)가 살균 소독되게 하고, 제2본체(120)가 몸체부(200)로부터 분리되면 방출구를 차폐시켜 살균조사 광이 방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개폐유닛(400)은, 방출구가 위치하는 몸체부(200)에 구비되고, 세부적으로는 몸체(210)와 몸체커버(220) 사이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개폐유닛(400)은, 제2본체(120)의 착탈에 따라 회전하여 방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동부(410)와, 힌지부(420)와, 개폐도어(430)와, 구동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부(410)는, 몸체부(2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본체(120)의 착탈에 의하여 방출구를 향하여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이동부(410)는, 이동핀(411)과, 이동편(4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핀(411)은, 하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는 몸체커버(220)에 형성된 끼움홀(22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도면에서, 이동핀(411)은, 원통 핀형상으로 방출구를 향하여 세워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몸체부(200)에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방출구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그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동핀(411)은, 끼움홀(222)에 삽입되면 상단부는 몸체커버(220)로부터 노출되어, 제2본체(120)가 몸체커버(220)에 접촉 결합되면 상면이 제2본체(120)의 저면과 접촉되면서 방출구를 향하여 일방향(하방향) 이동하게 되고, 제2본체(120)가 몸체커버(220)로부터 분리되면 구동부(440)에 의하여 타방향(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편(412)은, 일단부가 이동핀(411)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개폐도어(430)에 접촉되어, 이동핀(411)이 방출구를 향하여 이동할 시 개폐도어(430)를 가압 회동시켜 방출구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이동편(412)은, 서로 맞닿은 한 쌍의 개폐도어(430)들의 대면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하부 양측면이 개폐도어(430)들 각각의 타측면에 접촉된다.
이때, 이동편(412)은, 도시된 바와 개폐도어(430)를 향하는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이동편(412)은, 양측면에 방출구를 향하여 하향경사진 제1경사면(41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방출구를 향하여 하부로 이동할수록 개폐도어(430)들 사이를 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부(420)는, 방출구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개폐도어(4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개폐도어(430)는, 한 쌍으로 각각의 일측은 힌지부(4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서로 맞닿아 이동편(412)과 접촉되어 이동부(410)의 이동에 의하여 회동하여 방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도어(430)들은, 각각 이동편(412)의 제1경사면(412a)과 대면하는 타측면에 제1경사면(412a)과 대응되는 경사도를 갖는 제2경사면(43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경사면(412a)과 제2경사면(431)의 경사도는, 이동편(412)의 하부 이동 거리 및 개폐도어(430)의 개폐면적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구동부(440)는, 개폐도어(430)와 결합되고, 이동부(410)에 의하여 회동하여 개방된 개폐도어(430)를 원상태로 회동시켜 방출구가 차폐되도록 하며, 이동부(410)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440)는, 경첩유닛(441)과, 탄성부재(4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첩유닛(441)은, 힌지부(42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경첩부재(4411)와, 제2경첩부재(44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경첩부재(4411)는, 일측이 몸체부(200)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힌지부(4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경첩부재(4412)는, 일측이 힌지부(42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개폐도어(430)에 결합된다.
탄성부재(442)는, 힌지부(420)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고,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력에 의하여 개폐도어(430)가 원상태에 위치하도록 회동시켜 방출구를 차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세부적으로, 탄성부재(442)는, 힌지부(420)의 외주면에 스프링형태로 결합되며, 일단부는 제1경첩부재(4411)에 위치하여 결합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경첩부재(4412)에 위치하여 결합 고정된 토션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442)는, 개폐도어(430)들이 맞닿아 차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여, 이동부(410)의 상향 이동 시 개폐도어(430)가 원위치로 회동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 구동부(440)는, 내부로 이동핀(411)이 삽입되고, 이동핀(411)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이동핀(411)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스프링은, 일측은 몸체부(200)에 고정 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고 타측은 이동핀(411)에 고정 결합되어 이동핀(41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동핀(411)이 상향 이동하도록 압축 탄성력이 작용하여, 이동핀(411)이 하향 이동하여 인장되면 이동핀(411)을 상향 이동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동부(410)의 이동 및 구동부(440)로 인한 개폐도어(43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6 및 도 7은 제2본체(120)가 몸체부(20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방출구가 차폐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동부(410)는 원래 상태로 몸체커버(220)로부터 노출되게 위치하고, 개폐도어(430)들은 서로 맞닿아 방출구가 차폐되어 있으며, 탄성부재(442)는 개폐도어(430)들이 차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다.
도 8 및 도 9는 몸체부(200)에 제2본체(120)가 결합되어 방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본체(120)가 몸체부(200)에 결합되면, 이동부(410)는 제2본체(120)에 의하여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부(41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부(410)가 개폐도어(430)들을 가압하여 개폐도어(430)들 사이가 벌어지도록 가압 회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방출구가 개방된다. 그러면, 방출구로 UV가 조사되게 되어 측정센서(121)는 UV에 노출되어 살균 소독된다.
이렇게 측정센서(121)의 살균 소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제2본체(120)를 몸체부(200)로부터 분리시키게 되고, 그러면 개폐도어(430)와 이동부(410)는 탄성부재(442)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회동하게 되어 방출구가 차폐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폐유닛(400)에 의하여, 제2본체(120)가 몸체부(200)의 몸체커버(220)에 접촉 결합되면, 이동부(41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폐도어(430)를 가압 회동시켜 제2본체(120)의 결합과 연동하여 방출구가 개방되고, 살균소독 완료 후 제2본체(120)를 몸체부(200)로부터 분리시키면 구동부(440)의 복원력에 의하여 개폐도어(430)가 원위치로 회동하여 방출구를 차폐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개폐도어(430)의 개폐에 대응하여 살균소독유닛(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개폐도어(430)의 회동 또는 이동핀(411)의 이동여부 또는 이동핀(411)과 제2본체(120)와의 접촉 등에 따라 살균소독유닛(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이동편(412)의 측면과 접촉하는 개폐도어(430) 타측면에 이동편(412)의 이동 시 접촉 회전하는 롤러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롤러부(600)는, 이동편(412)과 개폐도어(430) 사이의 마찰력을 줄임으로써, 보다 원활한 이동편(412)의 이동을 유도하여 개폐도어(430)의 개폐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슬라이딩 타입의 개폐유닛(5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개폐유닛(500)은, 몸체부(200)에 대한 호흡측정유닛(100)의 착탈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방출구를 개폐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 제2본체(120)가 몸체부(200)에 결합될 시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개폐유닛(500)은, 제2본체(120)의 착탈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방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동부(510)와, 가이드부(520)와, 개폐도어(530)와, 구동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부(510)는, 몸체부(2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본체(120)의 착탈에 의하여 방출구를 향하여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이동부(510)는, 이동핀(511)과, 이동편(5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핀(511)은, 하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는 몸체커버(220)에 형성된 끼움홀(22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도면에서, 이동핀(511)은, 원통 핀형상으로 방출구를 향하여 세워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몸체부(200)에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방출구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그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동핀(511)은, 끼움홀(222)에 삽입되면 상단부는 몸체커버(220)로부터 노출되어, 제2본체(120)가 몸체커버(220)에 접촉 결합되면 상면이 제2본체(120)의 저면과 접촉되면서 방출구를 향하여 일방향(하방향) 이동하게 되고, 제2본체(120)가 몸체커버(220)로부터 분리되면 구동부(540)에 의하여 타방향(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편(512)은, 일단부가 이동핀(511)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개폐도어(530)에 접촉되어, 이동핀(511)이 방출구를 향하여 이동할 시 개폐도어(530)를 가압 슬라이딩 이동시켜 방출구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이동편(512)은, 서로 맞닿은 한 쌍의 개폐도어(530)들의 대면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하부 양측면이 개폐도어(530)들 각각의 타측면에 접촉된다.
이때, 이동편(512)은, 도시된 바와 개폐도어(530)를 향하는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이동편(512)은, 양측면에 방출구를 향하여 하향경사진 제1경사면(51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방출구를 향하여 하부로 이동할수록 개폐도어(530)들 사이를 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520)는, 방출구측에 구비되며, 상면으로 개폐도어(530)들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착 결합되어, 개폐도어(530)들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고 개폐도어(530)들을 상방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가이드부(520)는, 가이드플레이트(521)와, 돌출지지부(5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가이드플레이트(52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방출구 측에 눕혀져 수평하게 위치하고, 상면으로 개폐도어(530)가 위치하여 상면을 따라 개폐도어(530)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고, 개폐도어(530)들을 상방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플레이트(521)는, 방출구와 연통되도록 방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살균소독유닛(300)의 UV가 방출되는 관통홀(52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플레이트(521)는, 관통홀(5211)의 양측에 이격되게 위치하여 이동편(512)이 삽입되는 삽입홀(521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홀(5213)은 이동편(512)의 하향 이동 시 이동편(512)의 하향 이동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이동편(512)의 하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에서, 삽입홀(5213)은, 이동편(512)의 평면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동편(512)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가이드플레이트(521)는, 개폐도어(530)들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개폐도어(530)의 가이드돌기(531)와 대응되는 측면에 가이드홈(5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212)은, 개폐도어(53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531)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개폐도어(530)의 슬라이딩 이동 시 가이드돌기(531)가 가이드홈(5212)을 따라 이동하게 한다.
돌출지지부(522)는, 가이드플레이트(521)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구동부(540)를 지지하며, 가이드플레이트(5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동부(540)의 이탈을 방지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돌출지지부(522)는, 가이드플레이트(521)와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플레이트(521)와 함께 제작될 수 있으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돌출지지부(522)는, 후술되는 탄성지지부(542)가 코일스프링으로 적용될 시, 코일스프링의 타측단부를 지지하도록 상향 돌출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돌출지지부(522)는, 코일스프링의 하부 상면에 코일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홈(5221)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52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의 외주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도어(530)는, 한 쌍으로 가이드부(520)의 상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일측은 구동부(540)의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고 타측단부는 서로 맞닿아 이동편(512)과 접촉되어 이동부(510)의 이동에 의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방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도어(530)들은, 각각 이동편(512)의 제1경사면(512a)과 대면하는 타측면에 제1경사면(512a)과 대응되는 경사도를 갖는 제2경사면(53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경사면(512a)과 제2경사면(532)의 경사도는, 이동편(512)의 하부 이동 거리 및 개폐도어(530)의 개폐면적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개폐도어(530)는, 전술한바와 같이 가이드플레이트(521)와 대면하는 측면으로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5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531)는, 개폐도어(530)의 측면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개폐도어(530)의 수평한 슬라이드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구동부(540)는, 개폐도어(530)와 결합되고, 개방된 개폐도어(530)를 원상태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방출구가 차폐되도록 하고, 이동부(510)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540)는, 탄성지지부(5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542)는, 일단부는 돌출지지부(522)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타단부는 개폐도어(530)의 일측단부에 접촉되어 개폐도어(530)가 차폐되도록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지지부(542)는, 개폐도어(53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개폐도어(530)가 이동된 후 복원력에 의하여 개폐도어(530)를 원상태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탄성지지부(542)는, 개폐도어(530)들이 맞닿아 차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여, 이동부(510)의 상향 이동 시 개폐도어(530)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켜 방출구가 차폐되도록 한다.
탄성지지부(5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개폐도어(530)는, 코일스프링과 대면하는 일측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끼움부(533)가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부(540)는, 내부로 이동핀(511)이 삽입되고, 이동핀(511)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이동핀(511)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54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스프링(541)은, 일측은 몸체부(200)에 고정 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고 타측은 이동핀(511)에 고정 결합되어, 이동핀(51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동핀(511)이 상향 이동하도록 압축 탄성력이 작용하여, 이동핀(511)이 하향 이동하여 인장되면 이동핀(511)을 상향 이동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이동부(510)의 이동 및 구동부(540)로 인한 개폐도어(53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2 및 도 13은 제2본체(120)가 몸체부(20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방출구가 차폐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부(510)는 원래 상태로 몸체커버(220)로부터 노출되게 위치하고, 개폐도어(530)들은 서로 맞닿아 방출구가 차폐되어 있으며, 탄성지지부(542)는 개폐도어(530)들이 차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몸체부(200)에 제2본체(120)가 결합되어 방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2본체(120)가 몸체부(200)에 결합되면, 이동부(510)는 제2본체(120)에 의하여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부(51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부(510)가 개폐도어(530)들을 가압하여 개폐도어(530)들 사이가 벌어지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방출구가 개방된다. 그러면, 방출구로 UV가 조사되게 되어 측정센서(121)는 UV에 노출되어 살균 소독된다.
이렇게 측정센서(121)의 살균 소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제2본체(120)를 몸체부(200)로부터 분리시키게 되고, 그러면 개폐도어(530)와 이동부(510)는 탄성지지부(542)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방출구가 차폐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폐유닛(500)에 의하여, 제2본체(120)가 몸체부(200)의 몸체커버(220)에 접촉 결합되면, 이동부(51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폐도어(530)를 가압 슬라이딩 이동시켜 제2본체(120)의 결합과 연동하여 방출구가 개방되고, 살균소독 완료 후 제2본체(120)를 몸체부(200)로부터 분리시키면 구동부(540)의 복원력에 의하여 개폐도어(530)가 원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방출구를 차폐하게 된다.
도 16은 상기한 실시예에서 롤러부(600)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롤러부(600)는, 이동편(512)의 측면과 접촉하는 개폐도어(530) 타측면에 이동편(512)의 이동 시 접촉 회전하여, 이동편(512)과 개폐도어(530) 사이의 마찰력을 줄임으로써, 보다 원활한 이동편(,512)의 이동을 유도하여 개폐도어(530)의 개폐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개폐도어(430,530)의 개폐에 대응하여 살균소독유닛(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개폐도어(430,530) 또는 이동핀(411,511)의 이동여부 또는 이동핀(411,511)과 제2본체(120)와의 접촉 등에 따라 살균소독유닛(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호흡측정유닛
110 : 제1본체
111 : 공기유로
112 : 개구부
120 : 제2본체
121 : 측정센서
200 : 몸체부
210 : 몸체
211 : 수용공간
220 : 몸체커버
221 : 관통구
222 : 끼움홀
300 : 살균소독유닛
400 : 개폐유닛
410 : 이동부
411 : 이동핀
412 : 이동편
412a : 제1경사면
420 : 힌지부
430 : 개폐도어
431 : 제2경사면
440 : 구동부
441 : 경첩유닛
4411 : 제1경첩부재
4412 : 제2경첩부재
442 : 탄성부재
500 : 개폐유닛
510 : 이동부
511 : 이동핀
512 : 이동편
512a : 제1경사면
520 : 가이드부
521 : 가이드플레이트
5211 : 관통홀
5212 : 가이드홈
5213 : 삽입홀
522 : 돌출지지부
5221 : 안착홈
530 : 개폐도어
531 : 가이드돌기
532 : 제2경사면
533 : 끼움부
540 : 구동부
541 : 탄성스프링
542 : 탄성지지부
600 : 롤러부
700 : 착탈수단
710 : 제1자석
720 : 제2자석
730 : 제3자석
110 : 제1본체
111 : 공기유로
112 : 개구부
120 : 제2본체
121 : 측정센서
200 : 몸체부
210 : 몸체
211 : 수용공간
220 : 몸체커버
221 : 관통구
222 : 끼움홀
300 : 살균소독유닛
400 : 개폐유닛
410 : 이동부
411 : 이동핀
412 : 이동편
412a : 제1경사면
420 : 힌지부
430 : 개폐도어
431 : 제2경사면
440 : 구동부
441 : 경첩유닛
4411 : 제1경첩부재
4412 : 제2경첩부재
442 : 탄성부재
500 : 개폐유닛
510 : 이동부
511 : 이동핀
512 : 이동편
512a : 제1경사면
520 : 가이드부
521 : 가이드플레이트
5211 : 관통홀
5212 : 가이드홈
5213 : 삽입홀
522 : 돌출지지부
5221 : 안착홈
530 : 개폐도어
531 : 가이드돌기
532 : 제2경사면
533 : 끼움부
540 : 구동부
541 : 탄성스프링
542 : 탄성지지부
600 : 롤러부
700 : 착탈수단
710 : 제1자석
720 : 제2자석
730 : 제3자석
Claims (7)
- 사용자의 호흡에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호흡측정유닛;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상기 호흡측정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호흡측정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측면에 방출구가 관통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방출구로 UV를 조사하는 살균소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측정유닛은,
사용자의 호흡에 따라 공기가 유동하도록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로의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된 제1본체와,
상기 측정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본체에 결합될 시 상기 개구부에 상기 측정센서가 위치하여 유동하는 상기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며, 상기 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될 시 상기 방출구에 상기 측정센서가 위치하여 상기 UV에 의하여 상기 측정센서가 소독되게 하는 제2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구가 위치하는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한 상기 호흡측정유닛의 착탈에 따라 상기 방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몸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본체의 착탈에 의하여 상기 방출구를 향하여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이동부와,
상기 방출구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와,
한 쌍으로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방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개폐도어들과,
상기 개폐도어와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개방된 상기 개폐도어를 원상태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방출구가 차폐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부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일측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개폐도어가 차폐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몸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본체의 착탈에 의하여 상기 방출구를 향하여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이동부와,
상기 방출구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힌지부와,
한 쌍으로 각각의 일측이 상기 힌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하여 회동하여 상기 방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개폐도어들과,
상기 개폐도어와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개방된 상기 개폐도어를 원상태로 회동시켜 상기 방출구가 차폐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부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측이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고, 타측 단부로 상기 힌지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경첩부재와, 일측이 상기 힌지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개폐도어와 결합되는 제2경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첩유닛과,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폐도어가 차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개폐도어가 개방된 후 복원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차폐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1992A KR102459142B1 (ko) | 2020-11-27 | 2020-11-27 |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 |
PCT/KR2021/017347 WO2022114756A1 (ko) | 2020-11-27 | 2021-11-24 |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1992A KR102459142B1 (ko) | 2020-11-27 | 2020-11-27 |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3986A true KR20220073986A (ko) | 2022-06-03 |
KR102459142B1 KR102459142B1 (ko) | 2022-10-26 |
Family
ID=81754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1992A KR102459142B1 (ko) | 2020-11-27 | 2020-11-27 |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9142B1 (ko) |
WO (1) | WO2022114756A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4667B1 (ko) | 2002-03-21 | 2005-01-03 | 한국해양연구원 | 자동 호흡측정장치 |
KR20160098579A (ko) * | 2015-02-09 | 2016-08-19 |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 휴대용 묘목 소독장치 |
KR20200114498A (ko) * | 2019-03-28 | 2020-10-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마스크 유닛 |
US20200359936A1 (en) * | 2014-08-13 | 2020-11-19 | Vyaire Medical Gmbh | Breathing gas measur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2349A (ko) * | 2004-07-02 | 2006-01-09 | 주경원 | 치과의료기기용 소독 및 살균장치 |
KR20070090652A (ko) * | 2006-03-03 | 2007-09-06 | 에센시아주식회사 | 칫솔살균기 |
KR101053154B1 (ko) * | 2009-03-05 | 2011-08-02 | 박석호 | 탈부착 가능한 자외선램프 모듈을 구비한 살균 장치 |
-
2020
- 2020-11-27 KR KR1020200161992A patent/KR10245914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11-24 WO PCT/KR2021/017347 patent/WO202211475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4667B1 (ko) | 2002-03-21 | 2005-01-03 | 한국해양연구원 | 자동 호흡측정장치 |
US20200359936A1 (en) * | 2014-08-13 | 2020-11-19 | Vyaire Medical Gmbh | Breathing gas measuring device |
KR20160098579A (ko) * | 2015-02-09 | 2016-08-19 |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 휴대용 묘목 소독장치 |
KR20200114498A (ko) * | 2019-03-28 | 2020-10-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마스크 유닛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9142B1 (ko) | 2022-10-26 |
WO2022114756A1 (ko) | 2022-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757313B1 (en) | Automated endoscope reprocessor solution testing | |
US8246909B2 (en) | Automated endoscope reprocessor germicide concentr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JP4346645B2 (ja) | 自動再処理装置用の弁保持固定具 | |
JP2004525673A (ja) | 小型の物品を迅速に滅菌する方法及び装置 | |
KR102237856B1 (ko) |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로테이팅 타입의 호흡 측정 장치 | |
KR102459142B1 (ko) |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 | |
KR20150070253A (ko) | 도어 핸들 및 밀판용 클리닝 장치 | |
KR20220074007A (ko) |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호흡 측정 장치 | |
KR102310087B1 (ko) | 게이트형 소독 살균장치 | |
KR102237857B1 (ko) | 살균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슬라이딩 타입의 호흡 측정 장치 | |
KR102030004B1 (ko) | 휴대용 살균장치 | |
JP2014004157A (ja) | 保育器 | |
EP2595561A1 (en) | Cleaning and/or disinfecting apparatus | |
KR20160039069A (ko) | Uv led를 이용한 이어폰 살균 장치 | |
JP4658411B2 (ja) | 流路接続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試薬ホルダ | |
EP3830574B1 (en) | Breath sens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 |
JP6533083B2 (ja) | 便座装置及びセンサホルダ | |
JP6745321B2 (ja) | 採水ディスペンサー及び純水製造装置 | |
US5863498A (en) | Decontamination apparatus door unit | |
JP2008175283A (ja) | ピンチバルブ | |
CN114075892B (zh) | 一种自消毒门把手 | |
KR102528916B1 (ko) |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손소독기 | |
CN112473766B (zh) | 医学检验采集用试管放置系统 | |
JP6745322B2 (ja) | 採水ディスペンサー及び純水製造装置 | |
CN214318648U (zh) | 一种多功能消毒盒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