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3953A -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3953A
KR20220073953A KR1020200161913A KR20200161913A KR20220073953A KR 20220073953 A KR20220073953 A KR 20220073953A KR 1020200161913 A KR1020200161913 A KR 1020200161913A KR 20200161913 A KR20200161913 A KR 20200161913A KR 20220073953 A KR20220073953 A KR 20220073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scalp
material composition
mixture
gela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윤
Original Assignee
(주)나노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노스토리 filed Critical (주)나노스토리
Priority to KR1020200161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3953A/ko
Publication of KR20220073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은 정제수, 올리브오일, 코코넛오일, 허브추출물, 알칼리원료물을 혼합한 후 주기적으로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숙성한 후 교반하여 제형을 안정화하고, 숙성시킨 후 허브수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주기적으로 교반하여 점성을 형성하고, 젤라틴을 혼합한 후 가열처리하여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조성물에 발효효소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4 단계; 상기 제3 혼합물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투입하고 회전방식으로 교반하여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PREPARATION METHOD OF HEAD SKIN AND HAIR COSMETIC ADJUVANT MIXED RAW MATERIAL COMPOSITION USING PURIFIED WATER AND GELATIN AND HEAD SKIN AND HAIR COSMETIC ADJUVANT MIXED RAW MATERIAL COMPOSITION}
본 발명은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두피 및 모발보호제 혼합원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해 오존층이 파괴됨에 따라 자외선에 대한 노출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외선에 의한 선번(sun burn), 흑화, 또는 홍반 등의 피부 손상이 날로 가속화되고 있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특히 두피를 보호하는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두피는 일반적인 피부와 달리 연모(燕毛; vellus hair)가 아닌 성모(成毛, terminal hair)로 덮여있으며 피지선이 성모와 연결되어 많이 분포하고 있는 특수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피부에서 생리적인 항상성 균형이 파괴될 경우 색소침착, 주름, 표피의 과다 증식 등의 증상들이 나타나듯이 두피에서도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두피의 세심한 관리를 통한 깨끗한 모낭과 건강한 모근의 유지는 건강한 모발의 성장과 유지를 위해서 매우 중요한데, 정상적인 두피는 한 개의 모공에 2-3개의 모발과, 모공에 불순물이 없이 깨끗한 상태로 열려 있어야 하고, 색상은 우유 빛으로 투명한 상태로 두피 전체가 촉촉하고 모발에 윤기가 흘러야 한다.
그러나 최근 헤어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잦은 염색이나 파마 등은 두피손상이나 가려움증, 염증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나아가 환경적 원인에 의한 탈모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건강한 두피를 유지하여 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외선이나 각종 오염물질에 적게 노출되고, 스트레스를 덜 받으며, 두피에 수분과 영양분을 투여하는 것이 좋다.
두피에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로서 젤라틴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젤라틴은 천연단백질인 콜라겐을 뜨거운 물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유도 단백질로서 흡수성(吸水性)과 팽윤성을 가지고 피부에 흡수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보습 효과, 탄력 효과, 여드름개선 효과가 있고, 건성피부에 유용하여 노화방지를 위한 화장품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정제수에 젤라틴을 녹인 젤라틴 용액은 쉽게 응고하는 성질이 있어서 화장품 조성물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
관련하여 최근 안전에 대한 사회적 이슈와 함께 유기자외선차단제의 피부 침투성 등의 화학적인 문제점이 많이 노출됨에 따라 소비자의 인식도 피부에의 안전성 문제 특히 트러블 또는 뽀루지 발생 등의 자극을 우려해 자외선 차단 제품의 성분을 꼼꼼히 확인하는 트렌드가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나, 통상적으로 실제로 높은 자외선지수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필수적으로 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보호 목적을 위한 조성물을 만들고 피부 도포시에 쉽게 응고하여 겔 형태로 변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액상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저분자 구조를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을 만들 필요성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화장품 조성물은 두피 도포시에 액상형태를 유지하면서 인체의 보호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젤 형태의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기술제품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액상형태와 젤 형태의 구조변환이 쉽도록 저분자 구조를 가지면서 동시에 자외선차단효과, 보습효과, 타 화장품과 혼합이 가능한 혼합원료 화장품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허등록 제 10-173223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젤라틴과 올리브식물 및 열매에서 추출되는 올리브오일 및 코코넛오일, 허브추출물 등의 원료물을 이용하여 화학첨가물을 혼합하지 않고 천연숙성시켜 제조된 혼합물과 교반 및 숙성과정을 이용하여 피부의 유수분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피부보조막을 형성할 수 있는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한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피에 도포시에 자외선 차단기능, 보습효과, 주름개선을 위한 리프팅 효과, 유해산소 차단, 염증이나 상처부위 치료를 보조하는 치료보조제 역할을 할 수 있는 피부보조막을 빠르게 형성하는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션, 세럼, 미스트, 앰플과 같은 타 화장품 조성물과 혼합이 가능한 저분자 구조를 가짐으로서 혼합시에도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은 정제수, 올리브오일, 코코넛오일, 허브추출물, 알칼리원료물을 혼합한 후 주기적으로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숙성한 후 교반하여 제형을 안정화하고, 숙성시킨 후 허브수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주기적으로 교반하여 점성을 형성하고, 젤라틴을 혼합한 후 가열처리하여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조성물에 발효효소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4 단계; 상기 제3 혼합물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투입하고 회전방식으로 교반하여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혼합물은 상기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상기 올리브오일은 0.8 ~ 0.9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코코넛오일은 0.3 ~ 0.5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허브추출물은 0.3 ~ 0.5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알칼리원료물은 0.1 ~ 0.3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허브수는 상기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05 ~ 0.09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젤라틴은 상기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6 ~ 0.8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효소는 상기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01 ~ 0.04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브로멜라인(bromelain), 파파인(papain), 피신(ficin),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트립신(trypsin), 프로테아제(protease), 액티니딘(actinidin)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상기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01 ~ 0.03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은 자외선차단지수(SPF)가 25 이상이고 피부에 도포시에 표피를 리프팅 시켜 주름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은 공기와 반응한 시점을 기준으로 20초가 경과하면 액상형태에서 코팅젤 형태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수 및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젤라틴과 열매에서 추출되는 올리브오일 및 코코넛오일, 허브추출물 등의 원료물을 이용하여 화학첨가물을 혼합하지 않고 천연숙성시켜 제조된 혼합물과 교반 및 숙성과정을 이용하여 피부의 유수분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피부보조막을 형성할 수 있는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젤라틴을 이용할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피부에 도포하면 빠른 시간내에 막을 형성함으로서 상처나 염증부위에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막고 치료보조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조성물이 젤라틴이 혼합되어도 액상형태를 유지하여 쉽게 바를 수 있는 편의성과 썬크림과 같은 자외선 차단 및 유해먼지 차단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션, 세럼, 미스트, 앰플과 같은 타 화장품 조성물과 혼합할 수 있는 저분자 구조를 가짐으로서 혼합시에 피부보조막 형성효과와 자외선차단기능이 가능한 리프팅 효과를 혼합된 타 화장품 조성물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조성물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바나나 비교실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물의 바나나 비교실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바나나 비교실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 성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유해물질 평가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정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체적으로는 정제수, 올리브오일, 코코넛오일, 허브추출물 및 알칼리원료물을 혼합한 후 주기적으로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숙성한 후 재교반하여 제형을 안정화하고, 재숙성시킨 후 허브수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주기적으로 교반하여 점성을 형성하고, 젤라틴을 혼합한 후 가열처리하여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조성물에 발효효소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4 단계; 상기 제3 혼합물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투입하고 회전방식으로 교반하여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겔, 에멀젼, 크림, 로션, 용액, 분산액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형태일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용매, 착색제, 아로마, 안정화제, pH 조절제, 점도 조절제, 피부 침투 강화제(예를 들어, DMSO), 항산화제, 필러(fillers), 피부도포제, 피부표피보호제 등과 같은 통상적인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단계는 정제수와 젤라틴, 올리브오일, 코코넛오일, 허브추출물, 알칼리원료물을 혼합한 후 주기적으로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한다.
또한, 제1 혼합물을 조성하기 위해 초기에 투입되는 정제수, 올리브오일은 상온에서 혼합하고, 이와 같이 혼합하게 되면 유분과 수분이 혼합되지 않아 층분리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혼합물을 조성하기 위해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올리브오일은 0.8 ~ 0.9 중량부로 혼합하고, 코코넛오일은 0.3 ~ 0.5 중량부로 혼합하고, 허브추출물은 0.3 ~ 0.5 중량부로 혼합하고, 알칼리원료물은 0.1 ~ 0.3 중량부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층분리된 상태에서 제1 혼합물을 1일 1~4회 빈도로 최소 15분 이상 교반하면서, 20일 ~ 60일간 숙성시킨다.
이 때, 별도의 유화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상기 숙성에 의하여 제1 혼합물이 제조 될 수 있게 되는 바,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1일 1~2회의 빈도로 교반하면서 20 ~ 60일간 숙성시키는게 좋다.
또한, 제1 혼합물은 상기 숙성과정을 거친 후 층분리 상태가 유지되다가 상기 제1 혼합물이 젤 형태로 변화될 수 있다.
올리브오일은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8 ~ 0.9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올리브오일은 상기 중량부의 범위를 벗어난 범위로 혼합할 경우 정제수와 젤라틴의 혼합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0.8 ~ 0.9 중량부의 범위로 올리브오일을 혼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올리브오일은 뛰어난 보습력을 제공하고, 비타민 A와 비타민 E를 함유하여 정제수와 혼합하여 사용하면 인체에 흡수시에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코코넛오일은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3 ~ 0.5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코코넛오일은 코코야자의 씨껍질을 제거한 후 종자를 압착하여 얻은 지방유추출물이다. 또한. 알부민과 65%가량의 지질을 함유한 고형의 제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4도 이상의 상온에서는 액상형태로 변화한다.
또한, 상기 제1 혼합물에 포함되는 코코넛오일은 라우르산, 미리스틴산, 데칸산, 리놀산, 스테아린산, 아라킨산, 옥탄산, 올레인산, 핵산, 계면활성물질, 단백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서 피부에 유익한 기능을 제공하고 고도의 보습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화장품 제품으로 사용해도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허브추출물은 상기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3 ~ 0.5 중량부의 범위로 혼합한다.
여기에서, 허브추출물은 라벤다, 로즈마리, 케모마일,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애플민트, 유카립투스, 라임블라섬, 세이지, 레몬그라스, 레몬버베나, 로즈힙, 시나몬, 자크로, 스위트펜넬, 진저, 샤프란, 에키나세아, 쟈스민, 캐러웨이, 히비스커스, 마리골드를 포함하는 허브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효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허브추출물은 항균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피부자극을 완화하거나 신진대사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브추출물은 상기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5 중량부를 초과하는 범위로 혼합되면 항균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8 중량부를 초과하면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향이 너무 자극적으로 세기 때문에 0.3 ~ 0.5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할 수 있다.
또한, 알칼리 원료물은 단백실 섬유 또는 단백질 성분을 녹일 수 있는 통상의 알칼리 화합물이나 알칼리 수용액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단계는 제1 혼합물이 젤 형태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제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안정화하기 위해 3~4일 동안 매일 1~2회 주기로 최소 15분이상 재교반을 하는 단계이다.
또한, 제2 단계는 재교반 과정을 거친 후에 제형이 일정하게 안정화가 되면 숙성을 시킨 후에 허브수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혼합물을 반응기에 투입한 후 잘 섞일 수 있도록 재교반을 하고 허브수를 혼합한다.
또한, 제1 혼합물의 교반이 끝나면 20일 ~ 30일간 숙성을 시킨 후에 허브수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 때 허브수는 상기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05 ~ 0.09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브수는 통상의 물과 에센셜오일이 상기 통상의 물 1 중량부에 대해 0.01 ~ 0.03 중량부로 혼합되는 원료물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에센셜오일은 라벤더, 페퍼민트, 호호바 중 하나에 해당하는 허브성분을 포함한 오일 원료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며 피로회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단계는 제2 혼합물을 주기적으로 교반하여 점성을 형성하고, 젤라틴을 혼합한 후 가열처리하여 제1 조성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제2 혼합물을 교반한 후에 반응기에 상기 제2 혼합물을 투입하고, 젤라틴과 제2 혼합물이 잘 혼합될 수 있도록 교반하여 혼합한다.
또한, 젤라틴은 상기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6 ~ 0.8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젤라틴이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8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하게 되면 제1 조성물 또는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형이 불안정하여 피부에 도포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0.6 ~ 0.8 중량부의 혼합범위를 맞춰주는 것이 젤라틴 혼합을 통해 피부에 도포되면서 형성되는 보호막을 제공하거나 피부 보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젤라틴은 동물의 가죽, 힘줄, 연골 등을 구성하는 천연 단백질인 콜라겐을 뜨거운 물로 처리하면 얻어지는 유도 단백질 성분이다.
또한, 젤라틴은 피부보호와 상처와 염증치유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글리신이라는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어 식용섭취하거나 피부로 흡수할 시에 단백실을 섭취하는 효과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젤라틴은 입자상이든 액상, 점성 형태를 포함한 어떤 형태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젤라틴은 찬물에는 팽창만 하지만, 온수에는 녹아서 콜로이드 액체상태(액상)가 되고, 혼합물의 총 중량 대비 2∼3% 이상의 농도에서는 실온에서 탄성이 있는 겔(gel)이 된다. 이 상태가 된 것을 젤리라고 하며, 그 응고성을 이용하여 음식물이나 화장용 조성물에 섞어서 모양이나 단단함을 갖추기 위해서 널리 이용된다. 겔은 가열하면 다시 액상으로 돌아온다.
본 발명의 혼합원료 조성물은 제조하기 위해 혼합하는 젤라틴은 쉽게 젤리형태로 변하는 성질이 있어 혼합원료 조성물 제조시에 피부도포에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상온에서 젤리형태로 변환되지 않도록 하고 액상형태를 유지하여 두피표피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혼합물과 젤라틴이 혼합하여 가열될 때 50 ~ 80℃가 되도록 가열한다.
다음으로, 제4 단계는 제조된 제1 조성물에 발효효소를 투입한 후 교반 및 혼합과정을 거쳐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발효효소는 클로렐라, 초유, 프락토올리고당, 해조칼슘, 파브자임, 판토펜산, 니코틴산아미드, 제이인산칼슘, 엽산을 포함하는 효소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효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발효효소는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01 ~ 0.04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5 단계는 제3 혼합물에 단백질 발효효소를 투입한 후 회전방식으로 교반하여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3 혼합물에 혼합하는 단백질 발효효소는 브로멜라인(bromelain), 파파인(papain), 피신(ficin),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트립신(trypsin), 프로테아제(protease), 액티니딘(actinidin)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는 단백질을 분해하여 펩톤을 생성할 수 있는 원료물을 의미한다.
또한, 브로멜라인은 파인애플 추출물, 파파인은 파파야 추출물, 피신은 무화과 추출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는 황칠나무 추출물, 트립신 및 프로테아제는 황칠나무 가수분해추출액, 액티니딘은 키위 및 망고 추출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단백질 분해효소는 과일에서 얻어진 엔자임으로서 항산화 비타민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에 활력을 되찾아주고 노화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백질 분해효소는 피부의 탈수, 잔주름 및 비늘 모양의 피부를 예방하며 죽은 피부세포를 박리시키고 세포 재생을 촉진함으로써 노화방지와 미백 또는 여드름 개선 성분의 흡수를 향상시켜주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또한, 단백질 분해효소는 제3 혼합물에 투입시에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01 ~ 0.03 중량부로 혼합한다.
또한, 제3 혼합물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혼합한 후 교반시에 100 ~ 500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여기에서, 상기 교반속도가 100 ~ 500rpm의 범위로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제3 혼합물의 교반이 끝나면 조성물이 저분자화가 이루어지면서 피부에 흡착되면 1초 내지 20초 이내로 얇은 코팅막 형태의 피부보조막을 형성할 수 있는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이 제조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젤라틴을 혼합한 조성물이 300rpm 이상이 속도로 교반할 경우 액상형태에서 젤 형태로 바뀌어 버리기 때문에 화장원료로 사용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은 제조과정에서 300rpm의 고속회전으로 교반을 하여도 혼합원료 조성물이 액상형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도포가 가능한 화장품 뿐 아니라 세럼, 미스트 등과 같은 다른 화장품 조성물에 혼합하여 코팅막형성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과 로션, 세럼, 앰플, 미스트와 각각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혼합물질 로션 세럼 앰플 미스트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 자외선 차단이 가능한
혼합로션 제조
피부보조막 형성
+
자외선 차단이 가능한
혼합세럼 제조
피부보조막 형성
+
자외선 차단이 가능한
혼합앰플 제조
피부보조막 형성
+
자외선 차단이 가능한
혼합미스트 제조
상기 표 1의 결과를 통해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과 혼합한 각각 다른 화장품 조성물이 자외선 차단기능과 피부보조막이 형성되는 기능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또한, 제조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은 밀폐용기에 보관되었을 때 공기와 접촉전까지는 액상형태를 유지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은 두피에 도포할 경우 1초 내지 20초 이내로 자외선 차단, 유해먼지 차단기능을 제공하여 인체피부를 외부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피부보조막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두피표피에 형성되는 피부보조막을 통해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은 썬크림과 같은 유해자외선 차단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이 도포됨으로써 형성된 피부보조막은 자외선차단지수(SPF)가 25이상의 효능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진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은 자외선차단을 하기 위해 통상의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외선 차단 효능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의 예로는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성분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둘 이상이 조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자외선 차단 성분의 예로는 옥틸 메톡시 신나메이트, 옥틸 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호모살레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폴리실리콘-15, 부틸 메톡시 디벤조일 메탄, 옥시 벤존, 옥틸 트리아존, 멘틸 안트라닐레이트,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BIS- 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예로는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구성요소의 범주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의 함량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유기 자외선 차단성분 외에 징크옥사이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징크옥사이드(산화아연)은 UVA,UVB 등에 차단효과가 있는 비화학적 자외선 차단성분으로, 직사광선이나 다른 자극으로부터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해주며 수렴, 방부, 항균 효과가 있다. 또한, 징크옥사이드는 티타늄디옥사이드와 마찬가지로 많이 넣으면 피부에 발랐을 때 하얗게 밀리기 때문에 2 ~ 3%정도만 첨가한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차단능력을 발현해 주는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10 ~ 90nm 크기를 가지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25중량% 사용된다. 5 중량% 미만이면 자외선 차단능력이 미미할 수 있으며, 25중량% 초과이면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제 구현이 되지 않거나 분산액의 분산도 조절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은 젤라틴 혼합을 통해 피부에 제공할 수 있는 젤라틴의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은 보습효과, 피부보조막 형성에 따른 보호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화장품에 첨가하는 양보다 매우 고농도로 젤라틴을 사용하였음에도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점도 및 액상제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 제조과정에 혼합된 젤라틴의 함유량이 고농도임에도 보관시에 액상제형을 유지하면서 피부에 도포하였을때 20초 이내로 도포하면 이후에 젤 형태로 응고됨에 따라 피부 밀착력이 높아지므로 피부보조막 형성효과가 최대화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 제조과정
정제수, 올리브오일, 코코넛오일, 허브추출물 및 알칼리원료물을 상온에서 혼합하고, 매일 2번 15 ~ 30분 주기로 교반하여 숙성시켜 제1 혼합물을 제조한다.
제조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제1 혼합물은 혼합비율을 나타내면 상기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상기 올리브오일은 0.8 ~ 0.9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코코넛오일은 0.3 ~ 0.5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허브추출물은 0.3 ~ 0.5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알칼리원료물은 0.1 ~ 0.3 중량부로 혼합한다.
다음으로, 제조된 상기 제1 혼합물을 다시 교반하여 제형을 안정화하면 다시 15 ~ 30일간 숙성과정을 거친후에 허브수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숙성초기에는 층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숙성과정이 끝나갈 시기에 점도가 높아지면서 점성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허브수는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05 ~ 0.09 중량부로 혼합한다.
다음으로, 제2 혼합물에 젤라틴을 혼합하고, 반응기에 투입하여 50 ~ 70℃로 가열처리하여 제1 조성물을 제조한다.
여기에서, 젤라틴은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6 ~ 0.8 중량부로 혼합한다.
제1 조성물을 제조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 제조
제1 조성물에 발효효소를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03 ~ 0.07 중량부로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3 혼합물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투입하여 100 ~ 500rpm의 회전속도로 15분 ~ 30분간 교반처리하면 밀폐 보관용기에 저장되었을때 액상형태를 띠고 피부에 도포하면 1초 내지 20초안에 피부보조막을 형성하면서 젤 형태로 변화하는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이 제조된다. 제조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혼합원료 조성물을 두피에 도포하면 빠르게 얇은 막을 생성하여 피부보조막이 형성되면서 썬크림과 같은 자외선 차단효과를 제공하고, 피부보습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피부보조막은 30분정도 초과되면 소정의 광택효과가 나서 도포의 시각확인이 가능하며 세정시까지 유지된다.
<실험예 1> :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보조막 효과실험
상기 실시예의 구성으로 제조된 혼합원료 조성물의 보습력, 두피보조막 형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바나나를 대상으로 표면에 두피 및 피부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을 표면에 도포후 3일, 7일, 15일간 경과시에 보여지는 상태결과를 나타내었다.
도포후 3일 경과시는 도 3, 도포후 7일 경과시에는 도 4, 도포후 15일 경과시에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왼쪽 바나나에 해당하는 바나나 표면에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을 도포한 결과와 오른쪽 바나나는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기본상태를 비교하였을 때 보습효과와 광택, 표피상태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피부보호 시험평가
도 6은 상기 제조된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항염증 효능, 피부재생효능을 선마린바이오테크, (재)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에 의뢰하여 얻은 평과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이 피부에 대한 염증치료효과와 도포시 보습효과를 통한 표피신진대사 활성효과, 두피를 탄력하게 반들어 적절한 유수분과 항산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피부보조막을 빠르게 형성하여 피부에 자극없이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자외선 세포손상 방지, 상처치료를 간이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유해시험평가
도 7은 상기 제조된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이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납, 비소, 수은을 포함하는 중금속 물질이 혼합원료 조성물 제조과정이나 완성된 조성물에서 검출되는 지를 환경기술연구원에 의뢰하여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검사기준에 따라 검사한 결과 납, 비소, 수은이 불검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은 피부보조막 형성을 통해 자외선 차단기능, 유해산소 차단, 타 화장품 조성물 혼합효과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인체에 무해한 안전성까지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 관능시험
상기 실시예의 구성으로 제조된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피부보조막 생성평가, 보습력, 자외선 차단감, 사용 선호도를 확인하기 위해 20대, 30대, 40대, 5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건성피부를 가지는 15명의 성인여성에게 일주일간 적어도 1일 1회 이상 두피에 도포하도록 사용 안내를 하여 설문평가를 하였다.
평가점수는 1점 내지 5점 범위로 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1점 : 매우 부정적, 2점 : 부정적, 3점 : 보통, 4점 : 긍정적, 5점 : 매우 긍정적)
연령 피부보조막 생성평가 보습력 자외선 차단감 선호도
20대 4.7 4.8 4.8 4.8
30대 4.9 4.8 4.8 4.8
40대 4.7 4.7 4.9 4.7
50대 4.8 4.8 4.9 4.8
상기 설문조사 결과를 나타낸 표 2에 의하면 두피피부보조막 생성평가도, 보습력, 자외선 차단감, 선호도 등 전체적인 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고 특히 자외선 차단감과 피부보조막 생성평가에서 거의 5점에 가까운 효과를 체감한 것으로 평가되었다.또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정제수, 올리브오일, 코코넛오일, 허브추출물, 알칼리원료물을 혼합한 후 주기적으로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숙성한 후 교반하여 제형을 안정화하고, 숙성시킨 후 허브수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주기적으로 교반하여 점성을 형성하고, 젤라틴을 혼합한 후 가열처리하여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조성물에 발효효소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3 혼합물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투입하고 회전방식으로 교반하여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물은 상기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상기 올리브오일은 0.8 ~ 0.9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코코넛오일은 0.3 ~ 0.5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허브추출물은 0.3 ~ 0.5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알칼리원료물은 0.1 ~ 0.3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허브수는 상기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05 ~ 0.09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젤라틴은 상기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6 ~ 0.8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효소는 상기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01 ~ 0.04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브로멜라인(bromelain), 파파인(papain), 피신(ficin),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트립신(trypsin), 프로테아제(protease), 액티니딘(actinidin)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상기 정제수 1 중량부에 대해 0.01 ~ 0.03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은 자외선차단지수(SPF)가 25 이상이고 피부에 도포시에 표피를 리프팅 시켜 주름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은 공기와 반응한 시점을 기준으로 20초가 경과하면 액상형태에서 코팅젤 형태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
    .
KR1020200161913A 2020-11-27 2020-11-27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 KR20220073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913A KR20220073953A (ko) 2020-11-27 2020-11-27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913A KR20220073953A (ko) 2020-11-27 2020-11-27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953A true KR20220073953A (ko) 2022-06-03

Family

ID=81982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913A KR20220073953A (ko) 2020-11-27 2020-11-27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39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231B1 (ko) 2014-10-10 2017-05-02 류진환 두피보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231B1 (ko) 2014-10-10 2017-05-02 류진환 두피보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337B1 (ko)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허브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I754607B (zh) 脫髮預防調配物及其用途
KR101887378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WO2011017274A2 (en) Compositions for promoting a healthy appearance of the skin
WO2015148523A1 (en) Soluble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hair and skin
CN110522655A (zh) 一种具有蓝色乳光和丁达尔效应的活性多肽奶基质脂质体精华水及其制备方法
JP3908126B2 (ja) 表皮角化正常化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CN106333909B (zh) 一种淡化面部红血丝修复肌肤的乳液及其制备方法
CN104224599A (zh) 花青素晒后修复凝露
CN107854403A (zh) 一种洁净保湿润肤霜
CN114099387A (zh) 一种玫瑰美白保湿精华乳及其制备方法
KR101339841B1 (ko) 모발처리제 조성물
KR20210004573A (ko) 정제수 및 젤라틴을 이용한 피부보호용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피부보호막 화장품 조성물
RU2589279C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лица и тела
KR20220073953A (ko) 젤라틴을 이용한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두피 및 모발보호용 혼합원료 조성물
KR102243050B1 (ko) 정제수 및 젤라틴을 이용한 피부미용보조제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피부미용보조제 혼합원료 조성물
CN105963211A (zh) 一种深层护理面膜膏及其制备方法
CN105919886A (zh) 一种速效修复皱纹的乳液及其制备方法
KR20200145170A (ko)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U2571273C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нтенсивного увлажнения и лифтинг-эффекта кожи
CN105106036A (zh) 活细胞丝肽护发素
RU2780260C1 (ru) Средство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для кожи
CN104887600A (zh) 活细胞防皱面膜
US20200214969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opical Skin Treatment
CN108403499A (zh) 一种改善唇纹的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