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3465A - 전동킥보드 - Google Patents
전동킥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73465A KR20220073465A KR1020200161559A KR20200161559A KR20220073465A KR 20220073465 A KR20220073465 A KR 20220073465A KR 1020200161559 A KR1020200161559 A KR 1020200161559A KR 20200161559 A KR20200161559 A KR 20200161559A KR 20220073465 A KR20220073465 A KR 202200734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main body
- electric kickboard
- unit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20—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2J43/23—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dismounted when charg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001—Preventing theft of parts or accessories used on cycles, e.g. lamp, dynamo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5/00—Foot-rests; Knee grips; Passenger hand-grips
- B62J25/04—Floor-type foot re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1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 B62J43/13—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on rider-propelled cycles with additional electric propul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B62J6/055—Electrical means, e.g. la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탈착이 가능한 전동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를 탑승시키기 위한 지지면(211)을 제공하며, 내부에 배터리(100)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의 전방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200)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300)와; 상기 조향부(300)의 하측 끝단에 구비되는 전륜부(400)와; 상기 본체부(200)의 후방 끝단에 구비되는 후륜부(500)와; 상기 전륜부(400) 및 상기 후륜부(5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100)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동력을 통해 상기 전륜부(400) 및 상기 후륜부(50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를 탑승시키기 위한 지지면(211)을 제공하며, 내부에 배터리(100)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의 전방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200)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300)와; 상기 조향부(300)의 하측 끝단에 구비되는 전륜부(400)와; 상기 본체부(200)의 후방 끝단에 구비되는 후륜부(500)와; 상기 전륜부(400) 및 상기 후륜부(5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100)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동력을 통해 상기 전륜부(400) 및 상기 후륜부(50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탈착이 가능한 전동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동력 방식의 킥보드는 발판, 발판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는 전륜 및 후륜, 전륜을 조향하는 조향부 등으로 구성되고, 한쪽 발을 발판에 올리고 다른 한쪽의 발을 굴러 앞으로 나아가도록 구성되며, 취미 및 레저 활동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무동력 방식의 킥보드는 이동 중에 사용자의 체력 소진이 크고, 오르막의 경우 주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최근에는 근거리 이동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점 등으로 전륜이나 후륜에 전동모터가 구비된 전동킥보드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전동킥보드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개인 이동수단으로 사용되어 출퇴근, 통학, 대리운전 기사들의 이동수단 등으로 용도가 점점 다양화되고 있으며, 종래 근거리 이동수단에서 보다 넓은 반경에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동킥보드의 고도의 주행거리와 주행속도가 요구되고 있으나, 제한된 크기의 전동킥보드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성능이 개선되지 못해 전동킥보드의 활용에 제한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전동킥보드의 활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횟수 또한 증가하고 있으나, 전동킥보드를 전원이 공급되는 위치에 이동시켜 배터리를 충전해야 하는 바, 충전에 공간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전동킥보드의 경우 야간에 활용 시, 안전주행을 위한 LED 등이 부착되어 있으나, 전동킥보드의 전체에 대한 인식 및 방향지시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LED 등이 부착되어야 하므로 그 비용이 증가하고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 탈착이 가능하여 충전이 용이한 전동킥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를 탑승시키기 위한 지지면(211)을 제공하며, 내부에 배터리(100)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의 전방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200)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300)와; 상기 조향부(300)의 하측 끝단에 구비되는 전륜부(400)와; 상기 본체부(200)의 후방 끝단에 구비되는 후륜부(500)와; 상기 전륜부(400) 및 상기 후륜부(5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100)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동력을 통해 상기 전륜부(400) 및 상기 후륜부(50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를 개시한다.
상기 본체부(200)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며 상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구를 구비하는 본체(210)와, 본체(210)의 상면을 개폐하며 사용자를 지지하여 탑승하도록 하는 지지발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발판(220)은, 상기 본체(210)의 상면 일단에 힌지결합하여, 힌지회전을 통해 본체(210)의 상부 개방구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발판(220)은, 회전을 통해 상기 본체(210)의 일부와 간섭 또는 간섭해제 되어 본체(210)의 상부 개방구를 개폐하는 로킹뭉치(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00)는, 화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지부(110)와, 상기 전지부(110)의 일단에 구비되어 본체부(200)와 잠금되는 전지로킹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내부공간(S)에 상기 배터리가(100)가 삽입되기 위한 전지프레임(230)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100)가 상기 전지프레임(230)에 삽착되어 잠금될 수 있다.
상기 전지프레임(230)은, 선형이동을 통해 상기 전지로킹부(120)와 간섭함으로써 상기 배터리(100)를 잠금하는 간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내부공간(S)에 여분의 배터리(100)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프레임(2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의 측면에 배치되어 본체부(200)를 기준으로 전방, 후방 및 측방 중 적어도 하나로 광을 발산하는 조명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600)는, 상기 본체부(200)의 측면에 구비되는 조명관(620)과, 상기 조명관(6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관(620)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LED광원(6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는, 전동킥보드의 구동을 위한 전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를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충전 시 전동킥보드 전체가 아닌 배터리만을 분리하여 충전가능하므로, 충전 시 공간의 제약이 없고 충전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는, 배터리를 탈착가능하도록 구비하고 휴대용으로 여분의 배터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다른 성능개선 없이도 전동킥보드의 주행거리를 대폭 증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는, 배터리를 탈착하기 위한 탈착부분을 이중잠금으로 구비함으로써, 배터리의 비교적 간단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도난의 위협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는, 배터리를 탈착가능하도록 구비하고 휴대용으로 여분의 배터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의 주행거리의 손실이 없이도 기존 배터리에 비해 비교적 부피가 작고 가벼운 배터리를 활용하여 컴팩트하고 휴대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는, 측면에 하나의 LED광원을 통해서도 전동킥보드 전체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도록 광을 발산하고 방향지시가 가능한 광원부를 구비함으로써, 야간 주행 시 시인성이 향상되어 안정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는, 각 측면에 하나의 LED광원을 사용하여 비용이 감소하고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발판의 개방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배터리탈착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배터리탈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배터리탈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조명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조명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시건부를 통한 시건 전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횡단면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발판의 개방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배터리탈착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배터리탈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배터리탈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조명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조명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시건부를 통한 시건 전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횡단면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를 탑승시키기 위한 지지면(211)을 제공하며, 내부에 배터리(100)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의 전방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200)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300)와; 상기 조향부(300)의 하측 끝단에 구비되는 전륜부(400)와; 상기 본체부(200)의 후방 끝단에 구비되는 후륜부(500)와; 상기 전륜부(400) 및 상기 후륜부(5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100)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동력을 통해 상기 전륜부(400) 및 상기 후륜부(50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는,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측면에 배치되어 본체부(200)를 기준으로 전방, 후방 및 측방 중 적어도 하나로 광을 발산하는 조명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100)는, 후술하는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100)는, 휴대용으로 운반 가능한 2차전지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운반 후 장착을 통해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100)는, 본체부(200)의 내부공간에 탈착가능한 형태로 구비되어, 운반 또는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본체부(200)로부터 분리하여 충전 후 반복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100)는 휴대용으로서, 본체부(200)의 내부공간에 탈착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바, 여유분의 배터리(100)를 구비함으로써 전동킥보드의 주행거리를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100)는 휴대 가능함으로써, 충전 시 전동킥보드 전체를 이동하여 충전하는 번거로움을 덜고, 공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100)는, 화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지부(110)와, 전지부(110)의 일단에 구비되어 본체부(200)와 잠금되는 전지로킹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지로킹부(120)는, 전지부(110)의 일단에 일체로 구비되어 본체부(200)와 잠금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전지로킹부(120)는, 전지부(110)의 끝단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본체부(200)의 전지프레임(230)과의 사이에서 간섭 및 간섭해제가 이루어짐으로써, 배터리(100)를 본체부(200)에 결합 후 시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지로킹부(120)는, 전지부(110)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전도체를 통해 후술하는 전지프레임(230)과의 사이에서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지로킹부(120)는, 후술하는 전지프레임(230)과의 사이에서 간섭 및 간섭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간섭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홈(130)은, 전지프레임(230)에 선형 이동가능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로드(미도시)의 선형이동에 따라 간섭 및 해제됨으로써, 배터리(100)를 본체부(200)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지로킹부(120)는, 다른 예로서, 전지프레임(230)에 형성되는 홈부에 간섭 및 간섭해제 되면서 배터리(100)가 전지프레임(230)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별도의 전지시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지시건부(140)는, 전지프레임(230)에 배터리(1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선형 또는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로드를 포함하여, 선형이동에 따른 돌출 또는 회전이동에 따른 간섭으로 전지프레임(230)과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지시건부(140)는, 별도의 열쇠를 통해 간섭 및 간섭해제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로드를 선형 또는 회전이동 시켜 전지프레임(230)과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사용자를 탑승시키기 위한 지지면(211)을 제공하며, 내부에 배터리(10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부(200)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며 상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구를 구비하는 본체(210)와, 본체(210)의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며 사용자를 지지하여 탑승하도록 하는 지지발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는, 내부공간(S)에 배터리(100)가 삽입되기 위한 전지프레임(23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는, 내부공간(S)에 여분의 배터리(100)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프레임(2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210)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며 상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210)는, 통상의 전동킥보드용 본체로서, 내부에 배터리(100) 및 배터리(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후술하는 전륜부(400) 및 후륜부(5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대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210)는, 탑승하는 사용자를 지지하는 구성이면서, 내부공간(S)을 형성하여 내부의 배터리(10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210)는, 상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구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지지발판(220)을 통해 개폐되어 사용자가 내부공간(S)에 쉽게 접근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210)는, 상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상부면 전체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상기 본체(210)는, 후술하는 지지발판(220)을 통해 개방구가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발판(220)은, 개방구를 개폐하며 사용자를 지지하여 탑승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발판(220)은, 본체(210)의 상면 일단에 힌지결합하여, 힌지회전을 통해 본체(210)의 상부 개방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발판(220)은, 내부공간(S)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배터리(100)를 개폐를 통해 사용자가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발판(220)은, 본체(210)와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통해 개방구를 개폐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본체(210)의 상부 개방구를 개폐하는 로킹뭉치(221) 및 로킹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발판(220)은, 로킹뭉치(221)로부터 선형으로 이동하여 돌출되거나, 회전이동하는 로킹부(222)를 통해 본체(21)와 간섭 또는 간섭해제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전술한 배터리(100)의 착탈과 같이 열쇠방식 또는 비밀번호를 이용한 간섭 및 간섭해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지프레임(230)은, 내부공간(S)에 배터리(100)가 삽입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전지프레임(230)은, 내부공간(S)에 배터리(100)가 착탈 가능하도록 배터리(100)의 크기에 대응되어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전술한 전지로킹부(120)와 간섭 및 간섭해제 됨으로써 배터리(100)를 로킹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지프레임(230)은, 선형이동을 통해 전지로킹부(120)와 간섭함으로써 배터리(100)를 잠금하는 간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지프레임(230)은, 선형이동을 통해 돌출 및 후퇴함으로써 전지로킹부(120)와 간섭 및 간섭해제되어 배터리(100)를 잠금하는 간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관프레임(240)은, 내부공간(S)에 여분의 배터리(100)를 보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보관프레임(240)은, 내부공간(S)에 전술한 전지프레임(230)과 같은 형태로 구비되어, 여분의 배터리(100)를 보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관프레임(240)은, 배터리(100)가 삽착되도록 하여 배터리(100)를 안정적으로 보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전지프레임(230)과 같이 배터리(100)를 잠금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는, 후술하는 조향부(300)와 연결되고, 조향부(300)가 본체부(200) 측으로 접어지도록 힌지회전하는 연결부(2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50)는, 일단이 조향부(300)에 결합되고 타단이 본체(210)의 전방 측에 결합되어 본체(210)와 조향부(300)를 연결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250)는, 조향부(300)가 본체(210) 측으로 접어질 수 있도록 힌지회전할 수 있다.
상기 조향부(300)는, 본체부(200)의 전방 끝단에 배치되어 본체부(200)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조향부(300)는, 본체부(200)의 전방 끝단에 본체(210)와 연결부(250)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종래 개시된 통상의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륜부(400)는, 조향부(300)의 하측 끝단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전륜부(400)는, 조향부(30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프레임에 체결되는 전륜(410)과, 전륜(410)과 동일 축선 상에 함께 체결되는 디스크(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륜부(400)는, 디스크(420)와 간섭 및 간섭해제되어 전륜(410)을 시건하는 시건부(4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부(30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프레임에 체결축을 통해 전륜(41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크(420)는, 동일한 체결축 상의 전륜(410) 외측에서 설치되며, 방열을 위해 다수의 디스크홀(4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420)는, 전륜(410)과 동일한 체결축에 체결됨으로써 전륜(410)과 회전이 동기화될 수 있다.
상기 시건부(430)는, 조향부(30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프레임에 설치되어 디스크(420)와의 간섭 및 간섭해제에 따라 전륜(410)을 시건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시건부(430)는, 선형이동으로 돌출 및 후퇴 가능한 시건돌출부(431)와, 회전을 통해 시건돌출부(431)를 돌출 및 후퇴하도록 선형이동시키는 조작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건돌출부(431)는, 돌출되어 디스크(420)의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홀(421)을 관통함으로써, 디스크(420)와 간섭하여 디스크(420) 및 전륜(4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건돌출부(431)는, 디스크(420)에 형성된 디스크홀(421)과 간섭 및 간섭해제될 수 있으며, 별도로 디스크(420)에 형성된 시건용 홀과 간섭하거나, 디스크(420)에 형성된 개구에 간섭하여 디스크(420) 및 전륜(410)의 회전을 방지하고 시건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432)는, 회전을 통해 시건돌출부(431)를 돌출 및 후퇴시키는 구성으로서, 편심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시건돌출부(431)를 밀어 돌출시키거나, 함께 구비되는 탄성력을 통해 시건돌출부(431)를 후퇴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432)는, 열쇠를 통해 회전하는 방식이나, 비밀번호를 이용해 회전하게 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후륜부(500)는, 본체부(200)의 후방 끝단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후륜부(500)는, 전술한 전륜부(400)와 같이, 본체부(200)의 후방에서 결합되어 설치되는 후륜프레임(520)과, 후륜프레임(510)의 하측에 설치되는 후륜(51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륜부(500)는, 전술한 전륜부(400)와 같이 디스크(4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시건부(430)가 동일하게 후륜부(50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또한 물론이다.
상기 구동부는, 전륜부(400) 및 후륜부(5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배터리(100)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동력을 통해 전륜부(400) 및 후륜부(50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구동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부는, 배터리(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륜부(400) 및 후륜부(5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써,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600)는, 본체부(200)의 측면에 배치되어 본체부(200)를 기준으로 전방, 후방 및 측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발광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조명부(600)는, 본체부(200)의 측면에 배치되어 본체부(200)의 전방, 후방 및 측방으로 광을 발산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야간에 통행자에게 존재를 인식시켜 안전을 담보하고, 외관의 심미감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명부(600)는, 본체부(200)의 측면에 배치되어 방향지시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회전, 우회전, 급정거 등에 맞춰 조명이 조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명부(600)는, 본체부(200)의 측면에 구비되는 조명관(620)과, 조명관(6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명관(620)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LED광원(6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600)는, 조명관(620)의 전방측 끝단에서 결합하여 LED광원(6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전방측으로 발산하는 렌즈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600)는, 조명관(620)의 본체부(200) 측면으로의 고정 설치를 위하여 조명관(620)을 감싸고 설치되는 고정부(6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광원(610)은, 조명관(6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명관(620)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구성으로서, 조명관(620) 내부의 전방 측에 구비되어 양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LED광원(610)은, 미리 설정된 제어에 따라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광을 조사하거나, 광의 패턴 및 색깔을 달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조명관(620)은, 본체부(200)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LED광원(610)이 설치되어 LED광원(6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명관(620)은, 투명한 아크릴관으로서, LED광원(610)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조명관(620) 전체로부터 굴절하여 발산함으로써, 단일의 LED광원(610) 설치에도 충분한 조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관(620)은, 전방 및 후방 측을 향해서 측면과 동일한 빛을 발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후방 측에서 조명을 통한 방향지시 등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630)는, 조명관(620)의 전방측 끝단에서 결합하여 LED광원(6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전방측으로 발산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렌즈부(630)는, 조명관(620)의 전방측 끝단에서 결합하여 조명관(620)을 통한 광의 발산에 더하여 전방측으로 광범위로 조명을 발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렌즈부(630)는, 별도의 전방 조명없이 어두운 시간 및 지역에서 전방을 확인하며 주행하도록 하여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640)는, 조명관(620)의 본체부(200) 측면으로의 고정 설치를 위한 조명관(620)을 감싸고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본체부(200)의 양단이 상하부에 조명관(620)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조명관(620)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0)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며 측면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측면개방구를 구비하는 본체(210)와, 본체(210)의 측면개방구를 개폐하는 측면도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도어부(260)는, 측면개방구가 형성되는 본체(210)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측면개방구를 개폐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측면도어부(260)는, 배터리(100)가 삽입되기 위한 전지프레임(230)을 포함하며, 본체(210)의 내부공간(S)에 삽입되는 측면도어본체와; 측면도어본체에 결합되어 본체(210)의 측면개방구를 폐쇄하여 본체(210)의 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측면도어(261)와, 측면도어본체가 본체(210) 내부로 슬라이드되어 삽입되도록 측면도어본체에 구비되는 레일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도어부(260)는, 측면도어(261) 중 측면도어본체로부터 확장되는 측면도어확장부(261a)에 결합되며, 측면도어부(260)의 삽입 시 본체(211)와의 사이에 위치되어 내부공간(S)을 실링하는 실링부재(26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재(263)는, 측면도어(261)의 본체(210)의 대향 면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며, 본체(210)로부터 내부공간(S)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차부분(212)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측면도어부(260)가 본체부(200)에 삽입될 때 내부공간(S)을 실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도어부(260)는, 본체(210)의 내벽면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측면에구비되는 레일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측면도어부(260)는, 배터리(100)가 삽입되기 위한 전지프레임(230)을 포함하며, 배터리(1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전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측면도어부(260)가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위치에서 접촉하하는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도어부(260)는, 측면에 배터리(100)가 삽입된 전지프레임(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돌출되는 전도부재를 포함하고, 측면도어부(260)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전도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의 본체(210) 내벽면에 전원을 연결하는 본체전도부재가 구비되어 접촉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배터리
200: 본체부
300: 조향부 400: 전륜부
500: 후륜부 600: 조명부
300: 조향부 400: 전륜부
500: 후륜부 600: 조명부
Claims (12)
- 사용자를 탑승시키기 위한 지지면(211)을 제공하며, 내부에 배터리(100)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의 전방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200)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300)와;
상기 조향부(300)의 하측 끝단에 구비되는 전륜부(400)와;
상기 본체부(200)의 후방 끝단에 구비되는 후륜부(500)와;
상기 전륜부(400) 및 상기 후륜부(5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100)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동력을 통해 상기 전륜부(400) 및 상기 후륜부(50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며 상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개방구를 구비하는 본체(210)와, 본체(210)의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며 사용자를 지지하여 탑승하도록 하는 지지발판(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발판(220)은,
상기 본체(210)의 상면 일단에 힌지결합하여, 힌지회전을 통해 본체(210)의 상부 개방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발판(220)은,
회전을 통해 상기 본체(210)의 일부와 간섭 또는 간섭해제 되어 본체(210)의 상부 개방구를 개폐하는 로킹부(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100)는,
화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지부(110)와, 상기 전지부(110)의 일단에 구비되어 본체부(200)와 잠금되는 전지로킹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내부공간(S)에 상기 배터리(100)가 삽입되기 위한 전지프레임(230)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100)가 상기 전지프레임(230)에 삽착되어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지프레임(230)은,
선형이동을 통해 상기 전지로킹부(120)와 간섭함으로써 상기 배터리(100)를 잠금하는 간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내부공간(S)에 여분의 배터리(100)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프레임(24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의 측면에 배치되어 본체부(200)를 기준으로 전방, 후방 및 측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발광하는 조명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600)는,
상기 본체부(200)의 측면에 구비되는 조명관(620)과, 상기 조명관(6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관(620)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LED광원(6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며 측면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측면개방구를 구비하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상기 측면개방구를 개폐하는 개폐하는 측면도어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측면도어부(260)는,
상기 배터리(100)가 삽입되기 위한 전지프레임(23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210)의 상기 내부공간(S)에 삽입되는 측면도어본체와;
상기 측면도어본체가 상기 본체(210) 내부로 슬라이드되어 삽입되도록 상기 측면도어본체에 구비되는 레일부(2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1559A KR102414630B1 (ko) | 2020-11-26 | 2020-11-26 | 전동킥보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1559A KR102414630B1 (ko) | 2020-11-26 | 2020-11-26 | 전동킥보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3465A true KR20220073465A (ko) | 2022-06-03 |
KR102414630B1 KR102414630B1 (ko) | 2022-06-29 |
Family
ID=8198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1559A KR102414630B1 (ko) | 2020-11-26 | 2020-11-26 | 전동킥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463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302392A (zh) * | 2023-03-30 | 2023-12-29 | 深圳曼威科技有限公司 | 一种含可拆卸供电装置的电动滑板车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6315A (ko) * | 2014-10-20 | 2016-04-28 | 이국환 | 안전 조명 장치가 구비된 스쿠터 |
US20170073042A1 (en) * | 2015-09-14 | 2017-03-16 | Mark Clifford Evensen | Battery container and bicycle using the same |
KR20180062037A (ko) * | 2016-11-30 | 2018-06-08 | 정한얼 | 전동식 킥보드 |
CN108337883A (zh) * | 2016-10-13 | 2018-07-27 | 深圳易马达科技有限公司 | 电动滑板车 |
WO2020177279A1 (zh) * | 2019-03-04 | 2020-09-10 | 深圳市正祥科技实业有限公司 | 一种可换电池的电动滑板车 |
-
2020
- 2020-11-26 KR KR1020200161559A patent/KR102414630B1/ko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6315A (ko) * | 2014-10-20 | 2016-04-28 | 이국환 | 안전 조명 장치가 구비된 스쿠터 |
US20170073042A1 (en) * | 2015-09-14 | 2017-03-16 | Mark Clifford Evensen | Battery container and bicycle using the same |
CN108337883A (zh) * | 2016-10-13 | 2018-07-27 | 深圳易马达科技有限公司 | 电动滑板车 |
KR20180062037A (ko) * | 2016-11-30 | 2018-06-08 | 정한얼 | 전동식 킥보드 |
WO2020177279A1 (zh) * | 2019-03-04 | 2020-09-10 | 深圳市正祥科技实业有限公司 | 一种可换电池的电动滑板车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302392A (zh) * | 2023-03-30 | 2023-12-29 | 深圳曼威科技有限公司 | 一种含可拆卸供电装置的电动滑板车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14630B1 (ko) | 2022-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4364599B (zh) | 电动自行车 | |
CN100410129C (zh) | 自行车用照明装置 | |
TWI275512B (en) | Article storage structure for scooter-type vehicle | |
US9502702B2 (en) | Bicycle battery holder, bicycle battery, and retaining member for bicycle battery | |
US7298241B2 (en) |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a saddle-type vehicle | |
KR102414630B1 (ko) | 전동킥보드 | |
US7268695B2 (en) |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a saddle-type vehicle | |
KR20120055104A (ko) | 자동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조명장치 | |
JP4730803B2 (ja) | 二輪車搭載車両 | |
JP2012201256A5 (ko) | ||
US20050174792A1 (en) | Lighting system for vehicles | |
US20220063743A1 (en) | Motorcycle keyless controller arrangement structure | |
CN104973200B (zh) | 可发光的自行车脚踏板 | |
KR20230148607A (ko) | 전동킥보드 | |
US7256680B2 (en) |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a saddle-type vehicle | |
JP2012162124A (ja) | 電動車両 | |
CN204567877U (zh) | 一种自行车灯 | |
TWI853975B (zh) | 電動腳踏車 | |
CN216887071U (zh) | 一种新型便捷式可折叠的电动车 | |
CN215717924U (zh) | 极简提把锁 | |
CN218929318U (zh) | 用于车辆的车灯和具有它的车辆 | |
US12104756B2 (en) | Detachable light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CN212473758U (zh) | 一种自行车后货架及自行车 | |
CN219215273U (zh) | 鹅头机构及两轮车 | |
KR20120028767A (ko) |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명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