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037A - 전동식 킥보드 - Google Patents

전동식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037A
KR20180062037A KR1020160161883A KR20160161883A KR20180062037A KR 20180062037 A KR20180062037 A KR 20180062037A KR 1020160161883 A KR1020160161883 A KR 1020160161883A KR 20160161883 A KR20160161883 A KR 20160161883A KR 20180062037 A KR20180062037 A KR 20180062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heel
gear
steering
handl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얼
Original Assignee
정한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한얼 filed Critical 정한얼
Priority to KR1020160161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2037A/ko
Publication of KR20180062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륜이 조향축보다 후방으로 위치되게 설치함으로써 주행시 직진 운동력의 효율을 향상시키되, 핸들과 전륜 사이에 조향기어부를 설치함으로써, 핸들의 위치가 전륜으로부터 후방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하여 급정지 또는 충돌에 의해 사용자가 전방으로 전복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동식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식 킥보드는, 내부에 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0)가 수용되며 상부에 평면을 제공하는 보드몸체(100)와, 상기 배터리(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00)와, 상기 보드몸체(100)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후륜부(300)와, 상기 보드몸체(10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륜부(400)와, 상기 전륜부(400)와 조향기어부(50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전륜부(400)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할 수 있도록 된 핸들축(610)과 그 핸들축(610)의 상단에 설치된 핸들(620)로 구성된 핸들부(600)와, 상기 후륜부(300) 및 전륜부(400)에 각각 설치되거나 상기 후륜부(300) 또는 전륜부(400)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브레이크(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륜부(400)은 전륜휠(410)과, 그 전륜휠(410)의 외주를 감싸는 전륜타이어(420)와, 상부에 조향축(431)이 형성되고 하부 좌·우 양측에는 상기 전륜휠(410)을 상기 조향축(431)보다 후방으로 위치되게 고정하는 포크다리(432)로 이루어진 포크(430)로 구성되며, 상기 조향기어부(5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기어부몸체(510)와, 상기 기어부몸체(5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핸들축(610)의 하단에 그 핸들축(610)과 동일한 중심으로 결합되는 제1기어(520)와, 상기 제1기어(520)의 전방에 위치하며 그 제1기어(520)와 기어물림되어 회전하는 제2기어(530)와, 상기 제2기어(530)의 전방에 위치하며 그 제2기어(530)와 기어물림되어 회전하는 제3기어(540)로 구성되며, 상기 제3기어(540)의 하부 중앙에 상기 조향축(431)이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전륜휠(410)은 조향축(431)보다 후방에 위치하면서도, 상기 핸들축(610)은 상기 전륜휠(410)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식 킥보드{Electric kickborad}
본 발명은 전동식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륜이 조향축보다 후방으로 위치되게 설치함으로써 주행시 직진 운동력의 효율을 향상시키되, 핸들과 전륜 사이에 조향기어부를 설치함으로써, 핸들의 위치가 전륜으로부터 후방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하여 급정지 또는 충돌에 의해 사용자가 전방으로 전복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동식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발판과, 그 발판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는 전륜 및 후륜과, 전륜을 조향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한쪽 발을 발판에 올리고 다른 한쪽의 발을 굴러 앞으로 나아가도록 구성된 것으로, 취미·레져활동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가 발을 굴러 사용하는 무동력 방식의 킥보드는 이동중에 사용자의 체력이 소진되거나 특히 오르막의 경우에는 주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사용자가 한쪽 발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주행이 어려웠다.
따라서, 근래에는 사용자가 직접 발을 굴러 운행하던 무동력 방식을 벗어나, 전원공급을 통한 모터의 회전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킥보드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는 추세이다.
전동식 킥보드가 보급됨에 따라 종래의 레져활동에 한정되었던 이용에서 벗어나 개인 이동수단으로 사용되며 그 용도는 출퇴근, 통학, 대리운전 기사들의 이동수단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전동식 킥보드의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6243호(2001.06.18, 전동식 주행용 보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전동식 주행용 보드는 브레이크 레버가 구비된 핸들부재와, 전동모터와 풀리 및 벨트를 포함하는 구동부재와, 회로장치와, 커버수단 등으로 이루어져 전동의 힘으로 주행이 가능한 것이다.
전동식 킥보드를 포함하는 킥보드는 핸들과 동일한 축으로 조향축이 형성되어 있고, 그 조향축에 전륜이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킥보드는 조향축의 중심과 앞바퀴를 고정하는 포크의 상부축의 중심이 일치하기 때문에 조향축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주행에 전혀 이용되지 못하고, 사용자의 발을 사용한 추진력 또는 전동모터의 힘으로만 추진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피로해지거나, 전동모터를 작동시키는 배터리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7537호(2007.02.21, 조향장치의 바퀴 설치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발판의 전후에 바퀴를 각각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바퀴가 조향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조향 축에 장착되는 바퀴가 브라켓을 통해 조향 축의 축 중심으로부터 뒤쪽으로 치우쳐 위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조향 축에 부착된 브래킷은 상하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바퀴가 그 브래킷 아래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바퀴 설치구조를 갖는 킥보드는 조향 축에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그에 장착된 바퀴의 앞쪽으로 치우쳐서 작용하게 되어 바퀴가 전진하려고 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되어 비교적 적은 힘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된 것이나, 상기 종래기술의 조향축이 조향장치(핸들)와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형성되어 무게중심이 과도하게 전방으로 치우치게 되며, 따라서 급정지 또는 주행중 작은 충격을 받거나, 일반적인 킥보드로 넘어갈 수 있는 정도의 요철을 지날 때에도 킥보드가 전방으로 전복되려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문헌 1) 실용신안등록공보 제 0236243호(2001.06.18, 전동식 주행용 보드) 특허등록공보 제 0687537호(2007.02.21, 조향장치의 바퀴 설치구조)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시 직진 운동력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전륜이 조향축보다 후방으로 위치되게 설치하되, 조향축과 핸들축은 동일한 중심의 축을 갖지 않도록 하고 그 핸들축의 위치가 전륜으로부터 후방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하여 급정지 또는 충돌에 의해 사용자가 전방으로 전복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동식 킥보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식 킥보드는, 내부에 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0)가 수용되며 상부에 평면을 제공하는 보드몸체(100)와, 상기 배터리(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00)와, 상기 보드몸체(100)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후륜부(300)와, 상기 보드몸체(10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륜부(400)와, 상기 전륜부(400)와 조향기어부(50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전륜부(400)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할 수 있도록 된 핸들축(610)과 그 핸들축(610)의 상단에 설치된 핸들(620)로 구성된 핸들부(600)와, 상기 후륜부(300) 및 전륜부(400)에 각각 설치되거나 상기 후륜부(300) 또는 전륜부(400)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브레이크(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륜부(400)은 전륜휠(410)과, 그 전륜휠(410)의 외주를 감싸는 전륜타이어(420)와, 상부에 조향축(431)이 형성되고 하부 좌·우 양측에는 상기 전륜휠(410)을 상기 조향축(431)보다 후방으로 위치되게 고정하는 포크다리(432)로 이루어진 포크(430)로 구성되며, 상기 조향기어부(5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기어부몸체(510)와, 상기 기어부몸체(5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핸들축(610)의 하단에 그 핸들축(610)과 동일한 중심으로 결합되는 제1기어(520)와, 상기 제1기어(520)의 전방에 위치하며 그 제1기어(520)와 기어물림되어 회전하는 제2기어(530)와, 상기 제2기어(530)의 전방에 위치하며 그 제2기어(530)와 기어물림되어 회전하는 제3기어(540)로 구성되며, 상기 제3기어(540)의 하부 중앙에 상기 조향축(431)이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전륜휠(410)은 조향축(431)보다 후방에 위치하면서도, 상기 핸들축(610)은 상기 전륜휠(410)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동식 킥보드에 따르면, 전륜휠이 조향축보다 후방으로 위치되게 설치되며, 조향축과 핸들축은 동일한 중심의 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핸들축의 위치가 전륜휠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핸들축으로 이어져 조향축으로 향하는 힘은 주행에 도움이 되도록 하면서도 무게중심이 과도하게 앞으로 치우지지 않게되어 급정지 또는 충돌에 의해 사용자가 전방으로 전복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전동식 킥보드를 나타낸 사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동식 킥보드를 다른 각도로 나타낸 사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식 킥보드의 전륜부를 발췌한 사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동식 킥보드의 조향기어부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동식 킥보드에 완충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 상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전동식 킥보드의 주행시 발걸림부를 사용해 장애물을 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킥보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동식 킥보드는 보드몸체(100), 모터(200), 후륜부(300), 전륜부(400), 조향기어부(500), 핸들부(600), 브레이크(7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보드몸체(100)는 내부에 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그 수용공간에는 배터리 연결 커넥터(미도시)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사용자가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평면을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배터리(11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11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측의 보드몸체(100)의 상부면 일측에는 개방 및 폐쇄가 용이한 배터리커버(11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110)는 상기 보드몸체(100)에서 빼내어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 보드몸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충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보드몸체(10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 연결 커넥터와 연결된 충전단자(11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200)는 상기 배터리(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후륜부(30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모터몸체와,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구동력 전달수단 등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후륜휠의 내주면에 그 후륜휠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허브모터 형태로 도시하였다.
전기자전거, 전동스쿠터, 전동식 킥보드 등에 널리 사용되는 휠을 대신하거나 휠의 내주면에 그 휠과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사용하는 허브모터와 관련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0058813호(2012.06.08, 전기 자전거의 허브와 휠의 결합구조)와 같이 근래에 들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전동식 킥보드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200)를 허브모터로 구성하게 되면 모터를 이루는 각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고장의 위험이 적고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구동력 전달수단의 교체 등으로 인한 번거로움이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후륜부(300)는 상기 보드몸체(100)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후륜휠(310)과, 그 후륜휠(310)의 외주를 감싸는 전륜타이어(320)로 구성되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허브모터로 된 모터(2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후륜휠(310)의 내주면에 모터(200)를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전륜부(400)는 상기 보드몸체(10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륜휠(410)과, 그 전륜휠(410)의 외주를 감싸는 전륜타이어(420)와, 상부에 조향축(431)이 형성되고 하부 좌·우 양측에는 상기 전륜휠(410)을 상기 조향축(431)보다 후방으로 위치되게 고정하는 포크다리(432)로 구성된 것입니다.
아울러, 상기 후륜타이어(320) 및 전륜타이어(420)는 내부가 중공되지 않은 우레탄 또는 내마모성을 갖는 합성수지로된 것이거나, 내부에 튜브가 삽입되어 그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는 튜브형 타이어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킥보드에 사용되는 핸들부는 핸들과 핸들축이 전륜의 조향축과 직접 연결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상기 핸들부(600)는 상기 전륜부(400)와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닌, 조향기어부(50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전륜부(400)와 연결되어 상기 전륜부(400)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할 수 있도록 된 것이며, 그 구성은 핸들축(610)과 상기 핸들축(610)의 상단에 설치된 핸들(6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핸들(620)에는 상기 모터(200)를 작동하기 위한 스로틀레버(621)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스로틀레버(62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끼워 설치된 방식이거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푸쉬레버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핸들축(6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핸들축(611)과 하부핸들축(612)로 분할 형성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조절 후 고정하는 방식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핸들축(610)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에 핀을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상기 핸들축(610)에 고정용 클램프를 설치하여 길이조절 후 그 클램프를 고정시킴으써 핸들축(610)의 높이를 조정 후 고정하는 등, 상기 핸들축(610)의 높이가 조절된 후 고정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핸들축(610)의 하단부가 폴딩(folding)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딩된 핸들축(610)을 세운 상태에서 고정하는 방식은 어떠한 방식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QR레버 방식 또는 폴딩부를 감싸는 별도의 홀더를 형성하여 고정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핸들축(61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은 사용자마다 키와 팔 길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그에 맞추어 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폴딩되게 하는 것은 차량에 싣거나, 대중교통 이용시 휴대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륜부(400)와 핸들부(600)를 상호 연결하는 조향기어부(500)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향기어부(5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보드몸체(100)와 일측이 고정설치되는 기어부몸체(510)와, 상기 기어부몸체(5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핸들축(610)의 하단에 그 핸들축(610)과 동일한 중심으로 결합되는 제1기어(520)와, 상기 제1기어(520)의 전방에 위치하며 그 제1기어(520)와 기어물림되어 회전하는 제2기어(530)와, 상기 제2기어(530)의 전방에 위치하며 그 제2기어(530)와 기어물림되어 회전하는 제3기어(54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기어(520), 제2기어(530), 제3기어(540)를 구성하게 되면 상기 핸들축(610)이 회전되는 방향과 제1기어(520)의 회전방향은 동일하며, 상기 제2기어(530)의 회전방향은 제1기어의(520)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3기어(540)의 회전방향은 상기 핸들축(610) 및 제1기어(52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기어(520), 제2기어(530), 제3기어(540)의 직경 및 톱니는 상기 제1기어(520)의 회전과 제3기어(540)의 회전반경이 같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사용자가 핸들부(600)를 조작함에 있어서 어색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부(600)는 사용자 측으로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주행에 있어서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기어(520)와 제2기어(530)의 톱니의 형상을 일정 각도를 주어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기어(520)에 연결된 핸들부(600)가 기울기를 갖을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레이크(700)는 전동식 킥보드의 주행중 안전한 정차를 위해 후륜부(300) 및 전륜부(400)에 각각 설치되거나 상기 후륜부(300) 또는 전륜부(40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핸들(620)에 형성된 브레이크레버(622)를 조작하여 작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에는 후륜부(300)에는 디스크식브레이크(710)를 적용하고 전륜부(400)에는 드럼식브레이크(720)를 적용하여 도시하였으나 그것은 하나의 실시 예이므로 실제 브레이크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안전하게 전동식 킥보드를 정차시킬 수 있는 어떠한 브레이크 장치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3기어(540)의 하부 중앙에 상기 조향축(431)이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전륜휠(410)은 조향축(431)보다 후방에 위치하면서도, 상기 핸들축(610)은 상기 전륜휠(410)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포크(430)의 상부면에는 상기 기어부몸체(510)의 저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한개 또는 복수개의 회전부재(440)가 설치되게 함으로써, 주행중 사용자의 가압 또는 노면의 요철, 급정차시 충격 등에 의해 상기 기어부몸체(510)의 저면과 상기 포크(430)가 맞닿아 파손되거나 맞닿았을 경우 마찰에 의해 조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포크(430)의 상부면에는 상기 조향축(431)을 둘러싼 형태의 조향축회전부재(450)를 설치함으로써 조향축(43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동식 킥보드를 주행하는 도중에 넘어야 할 장애물이 발견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킥보드 주행에 숙련된 사용자는 핸들(620)을 파지한 상태에서 직접 들어올려 전륜부(400)를 지면과 이격시킨 상태로 전진 주행하여 장애물을 넘고자 시도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이때 후륜부(300)가 장애물을 넘지 못하게 되면 넘어져 크게 부상을 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드몸체(100)의 후방 상부면에 사용자가 발뒷꿈치를 걸어 올림으로써 후륜부(300)를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할 수 있는 발걸림부(120)를 형성함으로써 전동식 킥보드를 숙련된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주행중 장애물을 발견하더라도 지면으로 내려오지 않고 킥보드에 올라탄 상태에서 장애물을 넘거나 인도로 올라탈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포크다리(432)에는 주행중 지면의 요철 및 장애물, 또는 일정높이에서 낙하운동함에 따라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스프링장치 또는 가스 및 오일을 이용한 쇼크업쇼버 등의 완충부재(433)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동식 킥보드에 따르면, 전륜휠이 조향축보다 후방으로 위치되게 설치되며, 조향축과 핸들축은 동일한 중심의 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핸들축의 위치가 전륜휠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조향축의 중심이 전륜휠보다 앞쪽으로 치우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핸들을 파지하게 되면 핸들축으로 이어져 조향축에 그 축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은 전륜휠의 중심 앞쪽으로 치우쳐서 작용하게 되어 그 전륜휠이 전방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발을 굴러 이동하는 경우에는 피로도를 줄일 수 있고, 모터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그 모터를 작동시키는 배터리의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되면서도, 전동식 킥보드의 무게중심이 과도하게 앞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되어 급정지 또는 충돌에 의해 사용자가 전방으로 전복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보드몸체 110 : 배터리
200 : 모터 300 : 후륜부
310 : 후륜휠 320 : 후륜타이어
400 : 전륜부 410 : 전륜휠
420 : 전륜타이어 430 : 포크
500 : 조향기어부 600 : 핸들부
700 : 브레이크

Claims (3)

  1. 내부에 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0)가 수용되며 상부에 평면을 제공하는 보드몸체(100)와, 상기 배터리(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00)와, 상기 보드몸체(100)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후륜부(300)와, 상기 보드몸체(10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륜부(400)와, 상기 전륜부(400)와 조향기어부(50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전륜부(400)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할 수 있도록 된 핸들축(610)과 그 핸들축(610)의 상단에 설치된 핸들(620)로 구성된 핸들부(600)와, 상기 후륜부(300) 및 전륜부(400)에 각각 설치되거나 상기 후륜부(300) 또는 전륜부(400)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브레이크(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륜부(400)은 전륜휠(410)과, 그 전륜휠(410)의 외주를 감싸는 전륜타이어(420)와, 상부에 조향축(431)이 형성되고 하부 좌·우 양측에는 상기 전륜휠(410)을 상기 조향축(431)보다 후방으로 위치되게 고정하는 포크다리(432)로 이루어진 포크(430)로 구성되며,
    상기 조향기어부(5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기어부몸체(510)와, 상기 기어부몸체(5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핸들축(610)의 하단에 그 핸들축(610)과 동일한 중심으로 결합되는 제1기어(520)와, 상기 제1기어(520)의 전방에 위치하며 그 제1기어(520)와 기어물림되어 회전하는 제2기어(530)와, 상기 제2기어(530)의 전방에 위치하며 그 제2기어(530)와 기어물림되어 회전하는 제3기어(540)로 구성되며,
    상기 제3기어(540)의 하부 중앙에 상기 조향축(431)이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전륜휠(410)은 조향축(431)보다 후방에 위치하면서도, 상기 핸들축(610)은 상기 전륜휠(410)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킥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430)의 상부면에는 상기 기어부몸체(510)의 저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한개 또는 복수개의 회전부재(4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킥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몸체(100)의 후방 상부면에는 사용자가 발뒷꿈치를 걸어 올림으로써 후륜부(300)를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할 수 있는 발걸림부(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킥보드.
KR1020160161883A 2016-11-30 2016-11-30 전동식 킥보드 KR20180062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883A KR20180062037A (ko) 2016-11-30 2016-11-30 전동식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883A KR20180062037A (ko) 2016-11-30 2016-11-30 전동식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037A true KR20180062037A (ko) 2018-06-08

Family

ID=6260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883A KR20180062037A (ko) 2016-11-30 2016-11-30 전동식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20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911U (ko) * 2020-02-14 2021-08-24 조근호 전동 킥보드용 후방 카울
KR20220073465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이엠이코리아 전동킥보드
KR20220112479A (ko) *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블루트란 배터리용 레일을 포함하는 전동 킥보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243Y1 (ko) 2001-03-14 2001-10-08 주식회사 디지털 피봇 전동식 주행용 보드
KR100687537B1 (ko) 2005-03-14 2007-02-27 이갑수 조향장치의 바퀴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243Y1 (ko) 2001-03-14 2001-10-08 주식회사 디지털 피봇 전동식 주행용 보드
KR100687537B1 (ko) 2005-03-14 2007-02-27 이갑수 조향장치의 바퀴 설치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911U (ko) * 2020-02-14 2021-08-24 조근호 전동 킥보드용 후방 카울
KR20220073465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이엠이코리아 전동킥보드
KR20220112479A (ko) *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블루트란 배터리용 레일을 포함하는 전동 킥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7203B2 (en) Powered personal mobility vehicle with rotating wheels
KR101377986B1 (ko) 조향핸들 정위치 복원형 셀프 밸런싱 스쿠터
JP5292286B2 (ja) 全方向に移動可能な乗り物
CN211943615U (zh) 脚控的个人运输器具
US20130248573A1 (en) Backpack Type Bag With Self-Balancing Electric Vehicle Mounted Thereon
US3016967A (en) Motorcycle with wide tread wheels
KR20180062037A (ko) 전동식 킥보드
KR20150115768A (ko) 사용자 추진 탑승 차량
CN211943609U (zh) 用自平衡驱动轮组装成的滑板车组合器具
US8864150B2 (en) Foot propelled vehicle
KR20060092517A (ko) 직립형 외륜 구동 이동장치
KR101729620B1 (ko) 전동식 주행 보드
KR100894418B1 (ko) 킥보드
CN216102576U (zh) 脚控个人运输器
WO2021132198A1 (ja) 電動モビリティ
US1587650A (en) Child's toy vehicle
US20210347434A1 (en) Upright single-wheeled electromotive apparatus
KR20180077934A (ko) 전동 주행장치
KR102235347B1 (ko)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전동 승용물
JP2009161160A (ja) 車椅子車輪の構造
WO2007090285A1 (en) Tricycle for use on a golf course
JP2015131575A (ja) 立ち乗り式自転車
US20220289330A1 (en) Hands free bicycle
JP3665332B2 (ja) 車輪乗物
JP2021130414A (ja) 自転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