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951A - 비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비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951A
KR20220072951A KR1020200160303A KR20200160303A KR20220072951A KR 20220072951 A KR20220072951 A KR 20220072951A KR 1020200160303 A KR1020200160303 A KR 1020200160303A KR 20200160303 A KR20200160303 A KR 20200160303A KR 20220072951 A KR20220072951 A KR 20220072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ole
pneumatic tire
vertical
wheel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832B1 (ko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0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832B1/ko
Publication of KR20220072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00Attaching rim to wheel body
    • B60B23/06Attaching rim to wheel body by screws, bolts, pins, or clips
    • B60B23/08Attaching rim to wheel body by screws, bolts, pins, or clips arranged rad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07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comprising lateral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60C7/146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extending substantially radially, e.g. like spo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하고, 휠부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지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트레드부(Tread Part), 차축과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휠부(Wheel Part),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휠부의 사이에서 상기 휠부에 연결되는 휠밴드부(Wheel Band Part) 및 상기 휠밴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드부에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휠밴드부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스포크부(Spoke Part)를 포함하고, 부는 상기 휠밴드부에 스크류(Screw)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공기입 타이어{NON-PNEUMATIC TIRE}
본 발명은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하고, 휠부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소형 차량부터 중장비 차량까지 다양한 차량의 휠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타이어는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 차량의 동력을 지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 기능 및 차량 주행 시 발생되는 진동, 충격 등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대부분의 차량에 공기입 타이어를 사용하였다.
공기입 타이어의 경우 내부에 공기압이 구비되어 충돌, 굴신에 대한 완충 작용이 우수한 효과가 있으나, 외부 물질에 의한 찔림이나 충격 등으로 타이어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타이어가 파손되는 경우에는 내부 공기압이 유지되기 어려워서 차량의 핸들링, 제동능력을 저하시켜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의 공기 충진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는 대부분 휠과 타이어가 일체화된 일체형이다.
이러한 일체형 비공기입 타이어의 휠 부분은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에서 사용하는 휠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체형 비공기입 타이어의 경우에는 휠을 차량으로부터 떼어내거나 차량에 장착할 경우, 다수의 휠 너트를 풀거나 조립해야 하므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일체형 비공기입 타이어의 경우에는 교체 시 휠 부분까지도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9140호[문헌 1]에서는 비공기입 타이어가 트레드부, 트레드부와 결합하는 완충부 및 완충부와 결합하는 림을 포함하고, 여기서 트레드부는 2~8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완충부에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 1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는 2~8개의 분할된 부분을 완충부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해야 하는 등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하며 시간이 상당히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비공기입 타이어에 대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8984[문헌 2]에서는 스포크를 다수의 고정부재와 다수의 결속핀을 이용하여 림에 결속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2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는 다수의 고정부재와 다수의 결속핀의 사용으로 인해 작업이 복잡하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며, 비공기입 타이어 자체의 무게도 과도하게 증가할 수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9140호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8984
본 발명은 장착 또는 탈거 작업이 용이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상대적으로 가벼운 무게를 갖는 비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휠부를 재사용할 수 있는 비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지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트레드부(Tread Part), 차축과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휠부(Wheel Part),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휠부의 사이에서 상기 휠부에 연결되는 휠밴드부(Wheel Band Part) 및 상기 휠밴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드부에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휠밴드부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스포크부(Spoke Part)를 포함하고, 부는 상기 휠밴드부에 스크류(Screw)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부는 상기 차축과 나란한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연장되며, 원기둥 혹은 원통 형태를 갖는 제 1 수직부분(First Vertical Part), 상기 제 1 수직부분의 상기 차축과 교차하는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외곽을 향하는 외측면(Outer Side Surface)에 형성되는 제 1 나사선부(First Helix Part), 상기 제 1 수직부분의 일측 끝단부에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외곽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테두리부(First Brim Part) 및 상기 제 1 테두리부에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홀(First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밴드부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통 형태를 갖는 제 2 수직부분(Second Vertical Part) 및 상기 제 2 수직부분의 상기 수평방향으로 중심을 향하는 내측면(Inner Side Surface)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나사선부와 맞물리는 제 2 나사선부(Second Helix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밴드부는 상기 수직방향으로의 일측 끝단면에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홀에 대응되는 제 2 홀(Second Ho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홀과 상기 제 2 홀을 통해 상기 휠부와 상기 휠밴드부를 체결하는 제 1 체결수단(First Fastening Memb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주방향(Circular Direction)으로 상기 제 1 홀의 폭은 상기 제 2 홀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수직부분은 벽두께(Wall Thickness)가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부분(First Part) 및 벽두께가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부분(Second Part)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나사선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중심을 향하는 상기 제 1 부분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홀은 상기 제 1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홀은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 1 부분과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밴드부는 상기 제 2 수직부분의 일측 끝단부에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외곽을 향해 연장되는 제 2 테두리부(Second Brim Part) 및 상기 제 2 테두리부에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홀(Third Ho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홀과 상기 제 3 홀을 통해 상기 휠부와 상기 휠밴드부를 체결하는 제 2 체결수단(Second Fastening Memb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포크부는 상기 제 1 홀 및 상기 제 3 홀에 대응되는 제 4 홀(Fourth Ho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홀, 상기 제 3 홀 및 상기 제 4 홀을 통해 상기 휠부, 상기 휠배드부 및 상기 스포크부를 체결하는 제 3 체결수단(Third Fastening Memb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전진 주행 시 상기 차축의 회전방향을 제 1 회전방향이라 할 때, 상기 제 1 나사선부는 상기 제 1 회전방향과 반대인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2 나사선부에 맞물려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장착 또는 탈거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됨에 따라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는 경량화가 가능함으로서 연료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휠부와 휠밴드부를 연결하는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휠부와 휠밴드부를 연결하는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휠부와 휠밴드부의 체결방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 1 홀과 제 2 홀을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휠부와 휠밴드부를 연결하는 방법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휠부와 휠밴드부를 연결하는 방법의 제 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 대해 설명하기 이전에 방향(Direction)에 대해 먼저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시하지 않은 차축과 나란한 방향(혹은 평행한 방향)을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 DRV)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차축과 교차하는 방향(혹은 수직한 방향)을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 DRH)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방향(DRH)을 비공기입 타이어의 중심으로부터 차축과 교차(수직)하여 방사되는 방향, 즉 방사 방향(Radiation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비공기입 타이어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둘레를 따르는 방향을 원주 방향(Circular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원둘레를 따르는 방향은 휠밴드부의 둘레를 따르는 방향, 트레드부의 둘레를 따르는 방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1A)는 트레드부(Tread Part, 40), 휠부(Wheel Part, 10), 휠밴드부(Wheel Band Part, 20) 및 스포크부(Spoke Part, 3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40)는 지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드부(40)는 지면과의 마찰에 대응하기 위해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트레드부(40)의 외측면(Outer Side Surface), 즉 접지면에는 웨트(Wet) 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트레드 홈(도시하지 않음)이 하나 이상의 패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포크부(30)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1A)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및 흡수함으로써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포크부(30)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패턴의 충격흡수 구조를 갖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스포크부(30)는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수지 재질,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성의 관점에서 스포크부(30)는 열경화성 수지, 예컨대 에폭시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또는 멜라민계 수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스포크부(30)의 재질은 위에서 설명한 수지 재질, 고무(Rubber),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강철(Steel) 및 스프링강(Spring Steel)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 혹은 선택된 2개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포크부(30)는 트레드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포크부(30)의 외측면은 트레드부(40)의 내측면(Inner Side Surface)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스포크부(30)는 휠밴드부(20)와 트레드부(40)의 사이에 배치되고, 트레드부(40)에 연결되는 부분 및 휠밴드부(20)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휠부(10)는 도시하지 않은 차축과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휠부(10)는 차량의 엔진(미도시) 혹은 모터(미도시)가 제공하는 회전력을 비공기입 타이어(1A)에 전달하기 위한 차축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휠부(10)는 차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
차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휠부(10)가 회전한다는 조건 하에서는 차축과 휠부(10)의 연결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휠부(10)는 스틸,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휠밴드부(20)는 트레드부(40)와 휠부(10)의 사이에서 휠부(10)에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휠밴드부(20)는 스포크부(30)와 휠부(10)의 사이에 위치하고, 휠부(10)에 연결될 수 있다.
휠부(10)는 휠밴드부(20)에 스크류(Screw) 방식으로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휠부(10)와 휠밴드부(20)에는 각각 나사선이 형성되고, 휠부(10)는 스크류 방식으로 회전하여 휠밴드부(2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휠부(10)와 휠밴드부(20)의 연결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은 휠부와 휠밴드부를 연결하는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휠부(10)는 제 1 수직부분(First Vertical Part, 100) 및 제 1 나사선부(First Helix Part, H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직부분(100)은 차축(AX)과 나란한 수직방향(DRV)으로 연장되며, 원기둥 혹은 원통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 1 수직부분(100)은 차축(AX)과 교차하는 수평방향(DRH)으로의 단면은 대략 원 또는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 나사선부(HP1)는 제 1 수직부분(100)의 수평방향(DRH)으로 외곽을 향하는 외측면(OSS)에 형성될 수 있다.
휠배드부(20)는 제 2 수직부분(Second Vertical Part, 200) 및 제 2 나사선부(Second Helix Part, H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수직부분(200)은 수직방향(DRV)으로 연장되며, 원통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 2 수직부분(200)은 수평방향(DRH)으로의 단면은 대략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2 나사선부(HP2)는 제 2 수직부분(200)의 수평방향(DRH)으로 중심을 향하는 내측면(ISS)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나사선부(HP2)는 휠부(10)의 제 1 나사선부(HP1)와 맞물릴 수 있다.
제 1 나사선부(HP1)와 제 2 나사선부(HP2)가 맞물린 상태에서 휠부(10)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휠부(10)가 휠밴드부(20)에 스크류 방식으로 삽입 및 체결될 수 있다.
이처럼, 휠부(10)가 휠밴드부(20)에 스크류 방식으로 삽입되고 체결되는 경우에는, 비공기입 타이어(1A)의 교체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아울러, 비공기입 타이어(1A)를 차량에 연결시키기 위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서 차량이 무게를 줄이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1A)의 좌측은 차량의 외부를 향하고, 비공기입 타이어(1A)의 우측은 차량을 향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1A)의 우측으로 차축(AX)이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설정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휠부와 휠밴드부를 연결하는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휠부(10)는 제 1 테두리부(First Brim Part, 11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홀(First Hole, H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테두리부(110)는 제 1 수직부분(100)의 일측 끝단부에서 수평방향(DRH)으로 중심으로부터 외곽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테두리부(110)는 수평방향(DRH)의 단면이 링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홀(H1)은 제 1 테두리부(110)에 수직방향(DRV)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테두리부(110)를 따라 복수의 제 1 홀(H1)이 형성되고, 복수의 제 1 홀(H1)은 제 1 테두리부(110)에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서 설명하지 않은 식별부호 AXH는 차축과의 연결을 위한 차축 연결 홀일 수 있다.
도 5의 (A)를 살펴보면, 휠밴드부(20)의 제 2 수직부분(200)은 수직방향(DRV)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의 (B)를 살펴보면, 휠밴드부(20)의 제 2 수직부분(200)은 수평방향(DRH)으로의 벽두께(Wall Thickness)가 서로 다른 제 1 부분(First Part, 201)과 제 2 부분(Second Part, 20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부분(201)의 벽두께(T1)는 제 2 부분(202)의 벽두께(T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제 2 부분(202)은 휠부(10)가 삽입되는 입구측에 위치할 수 있다.
휠밴드부(20)의 수직방향(DRV)으로의 일측 끝단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홀(Second Hole, H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홀(H2)은 휠밴드부(20)의 일측 끝단면의 일부가 수직방향(DRV)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제 1 홀(H1)에 대응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충분한 벽두께를 갖는 휠밴드부(20)의 제 2 부분(202)에 제 2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휠밴드부(20)의 제 2 부분(202)의 내측면에 제 2 나사선부(HP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휠부(10)의 제 1 나사선부(HP1)와 휠밴드부(20)의 제 2 나사선부(HP2)가 맞물린 상태에서 휠부(10)가 회전하면 휠부(10)가 휠밴드부(20)에 스트류 방식으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아울러, 휠부(10)가 휠밴드부(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 1 체결수단(First Fastening Member, FM1)이 제 1 홀(H1)과 제 2 홀(H2)을 통해 휠부(10)가 휠밴드부(20)를 더욱 강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휠부(10)를 휠밴드부(20)에 스크류 방식으로 1차적으로 체결한 이후에 제 1 체결수단(FM1)을 이용하여 휠부(10)와 휠밴드부(20)를 2차적으로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휠부와 휠밴드부의 체결방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차량의 전진 주행 시 차축(AX)의 회전방향을 제 1 회전방향(DR1)이라 할 때, 휠부(10)는 휠밴드부(20)에 제 1 회전방향(DR1)에 반대방향인 제 2 회전방향(DR2)으로 회전하여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휠부(10)의 제 1 나사선부(HP1)는 제 1 회전방향(DR1)과 반대인 제 2 회전방향(DR2)으로 회전하여 휠밴드부(20)의 제 2 나사선부(HP2)에 맞물려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축(AX)과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1A)를 보다 강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8은 제 1 홀과 제 2 홀을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의 (A) 및 (B)를 살펴보면, 제 1 홀(H1)은 원주방향으로 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홀(H1)은 부드럽게 구부러진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도 8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제 1 홀(H1)의 폭(S1)은 제 2 홀(H2)의 폭(S2)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체결수단(FM1)이 보다 용이하게 제 1 홀(H1)과 제 2 홀(H2)을 관통하여 휠부(10)와 휠밴드부(20)를 체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휠부와 휠밴드부를 연결하는 방법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9의 (A) 및 (B)를 살펴보면, 휠밴드부(20)는 제 2 테두리부(Second Brim Part, 21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3 홀(Third Hole, H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테두리부(210)는 제 2 수직부분(200)의 일측 끝단부에서 수평방향(DRH)으로 중심으로부터 외곽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테두리부(210)는 수평방향(DRH)의 단면은 대략 링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홀(H3)은 제 2 테두리부(210)에 수직방향(DRV)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테두리부(210)에 복수의 제 3 홀(H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 3 홀(H3)은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소정의 체결수단이 제 1 홀(H1)과 제 3 홀(H3)을 통해 휠부(10)와 휠밴드부(20)를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체결수단(Second Fastening Member, FM2)이 제 1 홀(H1)과 제 3 홀(H3)을 통해 휠부(10)와 휠밴드부(20)를 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체결수단(FM2)은 제 1 홀(H1)은 관통하지만, 제 3 홀(H3)을 관통하지는 않을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2 체결수단(FM2)의 끝단은 휠밴드부(20)의 제 2 테두리부(2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휠배드부(20)의 제 2 테두리부(210)의 수직방향(DRV)으로의 두께가 충분히 두꺼운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방향(DRV)으로 제 2 테두리부(210)의 두께(T3)는 수평방향(DRH)으로의 제 2 수직부분(200)의 벽두께(T1, T2)보다 더 두꺼운 경우에, 제 2 체결수단(FM2)의 끝단은 휠밴드부(20)의 제 2 테두리부(2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수직부분(200)이 제 1 부분(201)과 제 2 부분(202)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수직방향(DRV)으로 제 2 테두리부(210)의 두께(T3)는 수평방향(DRH)으로의 제 2 부분(202)의 벽두께(T2)보다 더 두꺼운 경우에, 제 2 체결수단(FM2)의 끝단은 휠밴드부(20)의 제 2 테두리부(2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 2 체결수단(FM2)은 제 3 홀(H3)을 관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제 2 체결수단(FM2)은 제 2 테두리부(210)를 수직방향(DRV)으로 관통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포크부(30)는 제 1 홀(H1) 및 제 3 홀(H3)에 대응되는 제 4 홀(Fourth Hole H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체결수단(Third Fastening Member, FM3)은 제 1 홀(H1) 및 제 3 홀(H3) 및 제 4 홀(H4)을 통해 휠부(10), 휠배드부(20) 및 스포크부(30)를 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체결수단(FM3)의 끝단은 스포크부(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3 체결수단(FM3)의 길이는 충분히 길 수 있고, 이로 인해 비공기입 타이어(1A)를 차축(AX)에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서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휠부와 휠밴드부를 연결하는 방법의 제 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휠밴드부(20)는 벽두께가 서로 다른 제 1 부분(201)과 제 2 부분(202)을 포함하고, 제 2 수직부분(200)의 일측 끝단에서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되는 제 2 테두리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부분(202)에 제 2 홀(H2)이 형성되고, 제 2 테두리부(210)에 제 3 홀(H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 2 실시예와 제 3 실시예를 병합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휠부(10)의 제 1 테두리부(110)에는 제 1-1 홀(H1a)과 제 1-2 홀(H1b)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1 홀(H1a)과 제 1-2 홀(H1b)은 제 1 테두리부(110)를 수직방향(DRV)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1 홀(H1a)은 제 1-2 홀(H1b)보다 차축 연결 홀(AXH)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1 홀(H1a)은 제 2 홀(H2)에 대응되고, 제 1-2 홀(H1b)은 제 3 홀(H3)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4를 살펴보면, 제 1 체결수단(FM1)이 제 1-1 홀(H1a)과 제 2 홀(H2)을 통해 휠부(10)와 휠밴드부(20)를 체결하고, 제 3 체결수단(FM3)이 제 1-2 홀(H1b)과 제 3 홀(H3) 및 제 4 홀(H4)을 통해 휠부(10)와 휠밴드부(20)를 더욱 강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비공기입 타이어(1A)와 차축을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 2 체결수단(FM2)을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제 1-2 홀(H1b) 및 제 3 홀(H3)을 통해 휠부(10)와 휠밴드부(20)를 체결하는 제 2 체결수단(FM2)을 사용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지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트레드부(Tread Part);
    차축과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휠부(Wheel Part);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휠부의 사이에서 상기 휠부에 연결되는 휠밴드부(Wheel Band Part); 및
    상기 휠밴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드부에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휠밴드부에 연결되는 부분을 함하는 스포크부(Spoke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휠부는 상기 휠밴드부에 스크류(Screw) 방식으로 삽입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는
    상기 차축과 나란한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연장되며, 원기둥 혹은 원통 형태를 갖는 제 1 수직부분(First Vertical Part);
    상기 제 1 수직부분의 상기 차축과 교차하는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외곽을 향하는 외측면(Outer Side Surface)에 형성되는 제 1 나사선부(First Helix Part);
    상기 제 1 수직부분의 일측 끝단부에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외곽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테두리부(First Brim Part); 및
    상기 제 1 테두리부에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홀(First Hole);
    을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휠밴드부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통 형태를 갖는 제 2 수직부분(Second Vertical Part); 및
    상기 제 2 수직부분의 상기 수평방향으로 중심을 향하는 내측면(Inner Side Surface)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나사선부와 맞물리는 제 2 나사선부(Second Helix Part);
    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휠밴드부는
    상기 수직방향으로의 일측 끝단면에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홀에 대응되는 제 2 홀(Second Ho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홀과 상기 제 2 홀을 통해 상기 휠부와 상기 휠밴드부를 체결하는 제 1 체결수단(First Fastening Member)을 더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원주방향(Circular Direction)으로 상기 제 1 홀의 폭은 상기 제 2 홀의 폭보다 더 큰 비공기입 타이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부분은
    벽두께(Wall Thickness)가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부분(First Part); 및
    벽두께가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부분(Second Part);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나사선부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중심을 향하는 상기 제 1 부분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홀은 상기 제 1 부분에 형성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휠밴드부는
    상기 제 2 수직부분의 일측 끝단부에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외곽을 향해 연장되는 제 2 테두리부(Second Brim Part); 및
    상기 제 2 테두리부에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홀(Third Hole);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홀과 상기 제 3 홀을 통해 상기 휠부와 상기 휠밴드부를 체결하는 제 2 체결수단(Second Fastening Member)을 더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부는
    상기 제 1 홀 및 상기 제 3 홀에 대응되는 제 4 홀(Fourth Ho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홀, 상기 제 3 홀 및 상기 제 4 홀을 통해 상기 휠부, 휠배드부 및 상기 스포크부를 체결하는 제 3 체결수단(Third Fastening Member)을 더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9. 제 3 항에 있어서,
    차량의 전진 주행 시 상기 차축의 회전방향을 제 1 회전방향이라 할 때,
    상기 제 1 나사선부는 상기 제 1 회전방향과 반대인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2 나사선부에 맞물려 체결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KR1020200160303A 2020-11-25 2020-11-25 비공기입 타이어 KR102546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303A KR102546832B1 (ko) 2020-11-25 2020-11-25 비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303A KR102546832B1 (ko) 2020-11-25 2020-11-25 비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951A true KR20220072951A (ko) 2022-06-03
KR102546832B1 KR102546832B1 (ko) 2023-06-26

Family

ID=8198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303A KR102546832B1 (ko) 2020-11-25 2020-11-25 비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83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140A (ko) 2014-05-08 2015-11-1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교체형 비공기압 타이어
JP2016179731A (ja) * 2015-03-24 2016-10-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非空気入りタイヤ
US20170368877A1 (en) * 2014-12-17 2017-12-28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Non-pneumatic tire with integrated polymeric flexible wheel center mount
JP2018505087A (ja) * 2014-12-22 2018-02-22 ブリヂストン アメリカズ タイヤ オペレーションズ、 エルエルシー フランジ付きタイヤ及びホイール組立体
KR20190028984A (ko) 2017-09-11 2019-03-2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비공기입 타이어용 림 및 이를 포함하는 휠
WO2020103734A1 (zh) * 2018-11-20 2020-05-28 邱金和 一种车轮结构
KR20200062536A (ko) * 2018-11-27 2020-06-04 유일산업주식회사 Suv용 비공기압 타이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140A (ko) 2014-05-08 2015-11-1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교체형 비공기압 타이어
US20170368877A1 (en) * 2014-12-17 2017-12-28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Non-pneumatic tire with integrated polymeric flexible wheel center mount
JP2018505087A (ja) * 2014-12-22 2018-02-22 ブリヂストン アメリカズ タイヤ オペレーションズ、 エルエルシー フランジ付きタイヤ及びホイール組立体
JP2016179731A (ja) * 2015-03-24 2016-10-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非空気入りタイヤ
KR20190028984A (ko) 2017-09-11 2019-03-2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비공기입 타이어용 림 및 이를 포함하는 휠
WO2020103734A1 (zh) * 2018-11-20 2020-05-28 邱金和 一种车轮结构
KR20200062536A (ko) * 2018-11-27 2020-06-04 유일산업주식회사 Suv용 비공기압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832B1 (ko) 202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9326B2 (en) Rim for non-pneumatic tire and wheel including the same
KR101976279B1 (ko) 지지 구조체용 휠
EP3000619B1 (en) Airless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421319B2 (en) Non-pneumatic tire with integrated polymeric flexible wheel center mount
US20070205654A1 (en) Wheel Rim
US9981500B2 (en) Impact resistant rim
US20200298616A1 (en) Tire with tensioned spokes
CN102975570A (zh) 复合自行车车轮
JP2014527494A (ja) 自動車用ホイール
WO2015098656A1 (ja) エアレスタイヤ
CN110799351A (zh) 具有轮辋的滚动组件,该轮辋的凸缘形成轴向宽度增加的支撑件
KR20220072951A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2296157B1 (ko) 비공기입 타이어용 림 및 이를 포함하는 휠
CN112867607B (zh) 车轮
CN111152603B (zh) 非充气轮胎的轮辋及包括该轮辋的车轮
US10696094B2 (en) Damper assembly
US20160114621A1 (en) Wheel assembly
KR102412865B1 (ko) 비공기입 타이어
US20150321525A1 (en) Foam Tire Flap for Low Pressure Applications
CN107074024A (zh) 具有非对称胎体帘布层结构的轮胎
KR102213605B1 (ko) 차량용 휠장치
US9004120B2 (en) Wheel system
US10882364B2 (en) Tire with concave sidewalls
KR102495966B1 (ko) 날개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KR102412858B1 (ko) 비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