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844A - 공기 정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844A
KR20220072844A KR1020227012675A KR20227012675A KR20220072844A KR 20220072844 A KR20220072844 A KR 20220072844A KR 1020227012675 A KR1020227012675 A KR 1020227012675A KR 20227012675 A KR20227012675 A KR 20227012675A KR 20220072844 A KR20220072844 A KR 20220072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se
purifier
fa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2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스 헨릭 둔베르거
Original Assignee
블루에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에어 에이비 filed Critical 블루에어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20072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01D46/004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containing fixed gas displacement element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separation of ionising and collec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al use of mechanical effects, e.g. gravity
    • B03C3/155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03C3/368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by other than static mechanical means, e.g. internal ventilator or recyc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7Active noise-sup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or integrated in, furni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제거가능한 미립자 필터, 팬 또는 임펠러와 상기 팬 또는 임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상단 및 그에 대향하는 기부와 상기 기부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상단과 기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표면, 작동 구성에서 상기 기부 상에 배치되고 지면에 대면하는 기부 공기 흡입구, 작동 구성에서 상기 상단 상에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상단 공기 흡입구, 및 상기 측면 표면 상에 위치되는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기.

Description

공기 정화기
본 발명은 개선된 공기 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CN104014204A(Huang Yuemei)는 본체 외장과, 본체 외장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상단 포위체 및 하단 포위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기를 개시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본체 외장 내에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중심 유동 분배 판, 측면 공기 편향기, 제2 필터 망, 가스-상태 필터 망, 외풍 팬 박스, 허니콤 정류 판 및 제1 필터 망을 추가로 포함하고, 전체 기밀 구조물이 제2 필터 망, 가스-상태 필터 망, 외풍 팬 박스, 허니콤 정류 판 및 제1 필터 망으로 구성되고; 중심 유동 분배 판은 상단 포위체의 내부 벽과 고정 연결되고; V자 형상 섹션을 갖는 공기 출구 채널이 본체 외장의 내부 측벽에 연결되는 측면 공기 편향기 및 중심 유동 분배 판으로 구성되고, 이에 의해 수직 공기 유동이 평행 공기 유동으로 분배되고 그 후 유동 분할 방식으로 배출된다.
CN106051938A(University Shenyang Jianzhu)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을 개시하고, 필터 조립체 및 외풍 팬이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 탈착식 전방 패널이 케이스의 전방 단부 면 상에 배치된다. 측면 공기 입구가 케이스의 2개의 측면 내에 형성된다. 지면 근방의 공기 입구가 케이스의 하단 내에 형성된다. 공기 출구가 케이스의 상단 내에 형성된다. 필터 조립체는 외부에서 내부로 조대 필터 판, 마이크로 필터 판, 활성 필터 판 및 저온 촉매 필터 판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다각형 관통 구멍이 저온 촉매 필터 판의 판 몸체 내에 형성된다. 저온 촉매 필터 판의 전방 단부 면 및 후방 단부 면과 관통 구멍의 구멍 벽은 저온 촉매 코팅으로 코팅된다. 활성 필터 판은 관통 허니콤 구멍을 구비한 판 몸체를 포함하고, 판 몸체 내의 허니콤 구멍은 활성 탄소 및 고흡착 용량 활성 탄소 흡착 물질로 구성된 활성 흡착 물질로 충전되며, 결합해제 방지 망이 판의 전방 단부 면 및 후방 단부 면 상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CN108626809A(Suzhou Lyutian Electronic Tech Co Ltd)는 기부, 상위 외장 및 하위 외장을 포함하는 수직 공기 정화기를 개시한다. 이 발명은 수직 공기 정화기를 설계한다. 하위 외장은 지지 랙(supporting rack)을 통해서 공기 정화기의 기부 위에 탈착식으로 연결되고, 상위 외장 및 하위 외장은 지지 기둥을 통해서 탈착식으로 연결되고, 기부는 혼-형상(horn-shaped)이고, 저장 배터리가, 지지 랙 아래의, 기부의 위치에 배치되고, 제어 패널 및 충전 소켓이 저장 배터리의 원주 내에 형성되고, 하위 외장 및 상위 외장 내의 구조물은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공기 입구 및 공기 출구가 그리드 구조물로 형성되고, 상위 외장 및 하위 외장은 원통형 구조물이며, 상위 외장의 공기 출구 및 하위 외장의 공기 출구는 공기 대류를 가속하기 위해 대향하여 형성된다.
US4526592A(Armbruster)는 바닥 및 천장 중간에서 그 코너에 지지되는, 실내 또는 다른 폐쇄된 공간을 위한 공기 순환기 및 공기 여과 장치를 개시하며, 이들은 상향 개방 상단 공기 입구 및 하향 개방 하단 공기 입구를 포함하고, 각각의 입구는, 필터 조립체, 및 공기 순환기가 장착되는 코너를 형성하도록 교차하는 벽에 대체로 평행하고 그에 인접하는 경로 내에서 수평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한 쌍의 배출 출구를 포함한다. 공기 순환기는 단일 모터 및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상위 및 하위 송풍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위 송풍기 조립체는 상위 공기 입구하고만 연통하고 공기 출구 중 하나를 향해 배출하고, 하위 송풍기 조립체는 하단 입구하고만 연통하고 출구 중 다른 것을 향해 배출하여, 실내 전체에서의 공기의 효과적인 순환을 위해 실내의 교차 벽 각각을 따라 배출되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동일한 부피의 공기를 유지하고 실내의 온도 계층화를 실질적으로 제거한다. 각각의 공기 입구 필터 조립체는 순환되는 공기를 세정 및 정화하기 위해 발포체 프리-필터(pre-filter) 및 활성 탄소 필터를 포함한다.
US20090038480A(Hamilton Beach Brands)는 공기로부터 입자 또는 오염물을 제거하며 그리고 공기 입구, 공기 출구 및 그를 통한 공기 유동 경로를 갖는 기부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기를 개시한다. 임펠러가 공기를 공기 입구 내로, 공기 유동 경로를 통해서 그리고 공기 출구의 외부로 가압하고, 모터가 임펠러를 구동한다. 모터 및 임펠러는 기부 내에 지지된다. 접힘가능 공기 필터가 공기 출구와 유체 연통하고 공기 출구에 근접하여 기부의 외부 표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US20140331622A(Procter and Gamble)는 기부, 기부에 기능적으로 부착된 팬, 기부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된 공기 필터, 및 실질적으로 공기 불투과성인 외부 슬리브를 포함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도 불구하고, 개선된 공기 정화기, 특히 팬 속도를 단순히 증가시키지 않고 따라서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주변 공기의 순환을 개선하는 공기 정화기에 대한 요구가 남아 있다.
가정의 먼지는 보편적인 문제이고, 다른 형태의 미립자 오염에 대해서 상이한 과제를 제시한다. 가정의 먼지는 주로 인간 피부 및 모발로 구성되고, 공기 유동이 없거나 거의 없을 때 가라앉기에 충분히 무겁다. 따라서, 가정의 먼지는, 특히 표면 상에 가라앉았을 때, 눈에 보일만큼 충분히 큰 몇몇 오염물질 중 하나이다. 가라앉은 먼지가 교란될 때, 이는 응집되어 더 많은 시각적인 문제를 만든다.
따라서, 먼지 응집을 목표로 하여 특별하게 설계되는 공기 정화기가 소비자에게 특히 매력적이다.
따라서, 제1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거가능한 미립자 필터, 팬 또는 임펠러와 상기 팬 또는 임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상단 및 그에 대향하는 기부와 지면으로부터 상기 기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상단과 기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표면, 작동 구성에서 상기 기부 상에 배치되고 지면에 대면하는 기부 공기 흡입구, 작동 구성에서 상기 상단 상에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상단 공기 흡입구, 및 상기 측면 표면 상에 위치되는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기가 제공된다.
놀랍게도, 기부 상의 그리고 또한 공기 정화기의 상단 상의 공기 흡입구를 측면 상의 출구와 함께 조합하는 것이, 정화기의 전체적인 공기 정화 성능에 유리한 방식으로 공기 순환을 돕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이는 정화기 주위의 공기 순환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단순히 팬 속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그에 따른 에너지 소비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더 많은 순환을 허용하는 추가 이점을 갖는다.
공기 흡입구를 기부에 위치시키고 작동 구성에 있을 때 공기 흡입구가 지면을 향하는 방식으로 위치시키는 것은 공기가 팬 또는 임펠러에 의해 장치 내로 흡인될 때 기부와 지면 사이의 압력 축적을 야기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기부와 정화기가 위치되는 지면 사이에 어느 정도의 난류를 생성하고 이에 의해 가정의 먼지 입자의 응집을 증가시킨다. 이는 가정의 먼지의 제거가 더 효과적이고 또한 팬 또는 임펠러 속도가 동일한 정화 성능에 대해 더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도록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는 작동 구성에서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장치를 유지하기 위해 존재하는 임의의 레그 또는 스탠드에 의해서만 중단되는 주연부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기부 주위 전체로부터 공기를 흡인할 수 있고 임의의 하나의 특정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공기를 원주방향으로 흡인할 수 있는 것은 원하는 공기 유동 순환 특성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바람직하게는, 하단의 공기 흡입구는 모든 방향으로부터 공기의 동일한 흡인을 용이하게 하도록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유사하게, 상단 표면 상의 공기 흡입구는 동일한 이유로 실질적으로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출구는 장치로부터 나오는 공기의 지향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균일한 공기 유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장치로부터 나오는 공기의 분산된 유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공기 출구가 배치되는 측벽은 또한 실질적으로 평면형이다. 바람직하게는, 측벽 상의 공기 출구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단 표면과 하단 표면 사이에서 가상선의 양 측에서 연장된다. 이는 공기가 상단 또는 기부로부터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장치의 중심으로부터 장치로부터 방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단 또는 하단을 향하는 측면 공기 출구를 갖는 유사한 장치는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지 않을 것이며, 그 이유는 생성된 공기 나선류(whorl)가 실질적으로 균일하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공기 교반이 최적화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출구는 상단과 하단 사이의 중간의 가상선의 위와 아래로 그리고 측면 상에서 상단과 하단 사이의 평균 거리의 30%까지, 더 바람직하게는 50%까지, 특히 60%까지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단과 하단 사이의 측면의 길이의 76%까지 연장된다.
유사하게, 공기 출구는 측면 표면 상에서 전방과 후방 사이의 중간의 가상선의 양측에서 전방과 후방 사이의 평균 거리의 30%까지, 더 바람직하게는 전방과 후방 사이의 측면 표면 상의 평균 거리의 50%까지, 특히 60%까지, 가장 바람직하게는 76%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장치의 상단 및 또한 하단에 공기 흡입구를 포함하고, 측면에 한 쌍의 대향하는 공기 출구를 포함한다. 공기 흡입구는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평면형이며, 공기 출구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이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이다.
이러한 설계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의 순환은 가정의 먼지 입자의 응집을 용이하게 하고, 이는 특히 더 낮은 팬 속도 설정에서 그리고 또한 덜 조밀한 미립자 필터 매체로 상기 응집된 입자를 혼입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한다.
정화될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에 의해 주변으로부터 정화기로 통과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는 프리-필터에 의해 부분적으로 점유된다.
프리-필터는 낮은 공기 저항을 갖고 또한 포크 가드(poke guard)로서 기능하여, 사용자가 볼류트(volute) 또는 임펠러 조립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이다. 프리-필터는 공기 정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주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이는 전용 미립자 필터의 공기 저항 또는 입자 혼입 능력을 갖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프리-필터는 HEPA 필터가 아니다. 프리-필터가 공기 출구에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되는 경우, 이는 포크 가드로 지칭되지만 본질적으로 프리-필터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은 레그 또는 스탠드를 포함하며, 작동 구성에서 기부를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만큼의 수단이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은 장치의 전방에서 볼 때 입구의 평균 폭(그것이 원형인 경우, 원주)의 적어도 20%만큼 기부를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지지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레그는 기부의 주연부 주위에서 그리고 흡입구 주위에서 공기 흡입구로부터 이격된다. 정화기가 사용 중에 지면으로부터 너무 높게 유지되는 경우, 중요한 난류 효과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장치가 지면에 너무 가깝게 유지되는 경우, 장치 내로 공기를 흡인하는 데 필요한 압력은 너무 크고, 공기 유동과 지면 사이의 마찰은 본 설계를 통해 얻어지는 임의의 장점을 제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의 상단은 또한 추가의 공기 흡입구를 포함한다. 이는 정화기가 존재하는 실내 주위의 공기의 순환을 더 개선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주변 공기는 공기 정화기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흡인되고, 세정되고, 이어서 측면으로부터 분출된다. 이는 에너지를 덜 사용하고 팬/임펠러 소음을 덜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공기의 순환을 크게 증가시키는 특정 공기 순환 패턴을 발생시킨다. 사실상, 상단 공기 유동과 하단 공기 유동 사이에는 장치의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각각 흡인하고 또한 이것을 동일한 방향으로 분출할 때 시너지가 생성된다. 이는 장치가 유지되는 실내의 공기 순환을 크게 돕는 나선류를 생성한다. 그러나, 실제 장점은, 이것이 가정의 먼지가 장치 주위의 공기 유동 내에 응집되어 장치 내로 더 용이하게 흡인됨에 따라 주변 공기로부터 더 용이하게 여과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순환은 더 큰 부피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이러한 순환 패턴을 피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점에서 공기 정화기의 상황에서는 일반적이지 않다. 일반적으로, 공기 정화기는, 도입부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더 큰 부피의 주변 공기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공기를 측면 또는 하단으로부터 흡인하고 상단을 통해서 외부로 인출하도록 설계된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는 응집된 가정의 먼지 입자의 개선된 여과를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설계를 피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출구는 상기 측면 표면 상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출구는 기부 상의 흡입구의 평면에 그리고 또한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단 표면 상의 공기 흡입구의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면에 배치된다. 이는 정화기가 존재하는 실내 주위로 더 효과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단 및 기부는 형태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며, 상기 상단과 기부를 연결하는 4개의 측면 표면을 포함하고, 공기 출구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표면 상에 배치된다. 출구가 하나 초과의 측면 표면 상에 배치되는 경우, 출구는 대향 측면 표면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전방에서 볼 때 2개의 대향 측면 표면을 포함하고, 양 측면 표면은 공기 출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방으로부터 볼 때, 공기는 기부(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상단)로부터 흡인되고 대향 측면을 통해 인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다른 설계에 비해 공기 유동 순환이 개선된다. 이는 공기의 유동이 원통 형상 정화기에서는 보이지 않는 방식으로 벡터화(vectoring)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는 공기 출구가 대향 측면으로 제한됨에 따라 생성되는 공기 순환 나선류의 개선된 수직 성분을 제공하고, 공기 출구의 대향하여 바라보는 배치를 감안하면, 공기 출구는 공기가 정화기로부터 더 멀리 연장되도록 공기를 더 채널링된 방식으로 분출한다. 대조적으로, 원통형 구조물은 더 원주방향으로 확산되는 방식으로 공기를 분출할 것이고, 따라서 생성되는 임의의 나선류의 크기 및 영향을 감소시킨다. 이는 특히 정화기 주위의 먼지의 교반에 중요하다. 이는 또한 여과를 위한 표면적이 더 크다는 점에서 개선된 공기 정화 효율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점은 특히 장치 내로의 공기의 원주방향 흡인과 공기의 벡터화된 분출을 조합할 때 나타난다. 생성된 나선류는 사용자에 대해 공기를 강하게 송풍하지 않으면서 특히 먼지의 효율적인 공기 정화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장치는 사용자가 가정 환경 내에서 더 쉽게 공기 유동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종종 그 주위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느낌을 인식하지 못한다. 이는 공기 출구가 공기를 모든 방향으로 약하게 확산시키는 원통 타입 장치에서는 가능하지 않다.
공기 정화기가 공기 흡입구의 쌍을 포함하는 경우에, 정화기는 또한 각각의 흡입구를 위한 공기 유동 챔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공기 유동 흡입구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그 자체의 제거가능한 미립자 필터, 바람직하게는 HEPA 필터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설계에서, 정화기는 또한 각각의 챔버를 위한 팬 또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정화기는 단지 하나의 팬만을 포함하고 이것이 공기 유동 방향에서 제거가능한 미립자 필터에 뒤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공기 정화기는 한 쌍의 공기 유동 도관을 포함할 것이고, 각각의 공기 유동 도관은 공기 흡입구, 팬 또는 임펠러, 제거가능한 미립자 필터, 및 공기 출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공기 도관을 위한 팬 또는 임펠러는 단일 모터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의 정화기는 또한 장치를 통해 주변 공기를 가압하는 팬 또는 임펠러를 포함한다. 팬은 축류 팬일 수 있지만, 팬이 래디얼 팬(radial fan)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화기가 한 쌍의 공기 유동 챔버를 포함하는 경우, '팬'은 한 쌍의 대향하여 지향된 팬, 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작동되지만 공기를 대향 방향으로부터 흡인하고 대향 방향으로 인출하도록 기능하는 래디얼 팬을 포함한다. 이는 하나 초과의 공기 유동 챔버가 요구될 때 더 효율적인 팬 구조이다.
장치가 대향 측면 표면 상에 한 쌍의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경우, 공기가 어떠한 방향의 변화도 없이 팬으로부터 출구를 향해 지나가도록 팬 또는 임펠러의 회전축이 실질적으로 각각의 공기 출구를 향하게 팬 또는 임펠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공기 정화기는 이온화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온화기는 코로나 방전 팁 및 수용 전극을 포함한다. 코로나 방전 팁이 적절한 전기 전압을 받을 때, 이는 팁과 수용 또는 접지 전극 사이에 이온장을 발생시킨다.
이온화기는 상기 정화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온화기가 상기 장치의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이온화기는 장치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이온화기를 장치의 상단에 위치시키는 것은 가정의 먼지 입자가 공기를 통해 지면을 향해 낙하함에 따라 이온화되고 따라서 이들이 하전됨에 따라 더 응집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이 더 응집됨에 따라, 이들은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공기 순환 패턴 내에 더 용이하게 포획되고 더 용이하게 여과된다.
이온화기가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이온화기는 공기 유동 방향에서 제거가능한 미립자 필터 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장치는 내부 이온화기 및 외부 이온화기를 포함한다. 외부 이온화기는 가정의 먼지 입자의 응집을 용이하게 하고 내부 이온화기는 제거가능한 미립자 필터에 의한 응집된 먼지 입자의 포획을 용이하게 한다. 양 경우 모두에서, 이온화는 덜 조밀한 여과 매체 및 낮은 공기 속도(팬 속도)를 허용한다.
바람직하게, 공기 정화기는 상기 상단 위로 상승된 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판은 장치가 가정 환경에서 가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테이블 상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판은 정화기의 상단 표면 위로 상승되고, 상단 표면 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로드에 의해 유지되어, 판이 존재하는 경우, 공기는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단 표면과 판 사이로, 그리고 상기 로드(들) 주위의 주변 공간으로 통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거가능한 미립자 필터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이다. 공기 정화기의 필터 부분은 공기 정화기의 기능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공기 정화기는 일반적으로 필터가 적소에 있는 상태로 제조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사실상 항상 개별적으로 제조되고, 가장 중요하게는 종종 공기 정화기 자체의 제조사와는 다른 상업적 기업에 의해 제조된다. 필터의 제조사가 다른 제조사가 만든 다른 공기 정화기 모델을 위한 필터를 제조하는 것도 전형적이다. 미립자 필터는 프리-필터 또는 존재하는 임의의 먼지 필터와 대조를 이룬다. 프리-필터 및 먼지 필터는 HEPA 필터에서 보여지는 미립자 포착 능력을 갖지 않기 때문에 HEPA 필터로 간주되지 않는다.
이제 아래의 비제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측벽(1), 상단 표면(2) 및 하단 표면(3)을 갖는 공기 정화기를 통한 중간 단면을 도시한다. 상단 표면(2) 및 하단 표면(3)은 팬(표시됨)이 주변으로부터 장치 내로 공기를 흡인할 때 공기 흡입구로서 기능하는 개구(4a 및 4b)를 갖는다. 개구 공기 흡입구(4a 및 4b)는 포크 필터(5a 및 5b)에 의해서 보호된다.
또한, 장치는 공기가 팬에 의해 출구 개구(8)를 향해 이동될 때 공기가 통과해야 하는 한 쌍의 교체가능한 미립자 HEPA 필터(7a 및 7b)를 포함한다. 이러한 출구(8)는 사용자가 장치의 내부에 쉽게 접근하여 장치 또는 그 자체에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의 포크 가드(9)로 충전된다.
정화기의 내부는 2개의 별개의 공기 유동 챔버(A 및 B)로 형성되고, 여기서 공기는 공기 흡입구(4a) 및 HEPA 필터(7a)를 통해서 챔버(A) 내로 그리고 공기 흡입구(4b) 및 HEPA 필터(7b)를 통해서 챔버(B) 내로 장치 내로 흡인된다. 벌크헤드(bulkhead)(11)는 챔버(A 및 B)를 분리하고 또한 팬을 중앙 배치로 유지한다.
장치는 레그(10)에 의해 사용시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공기가 순환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장치는 레그(1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공기는 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기부 상의 개구를 통해 장치 내로 흡인된다. 공기는 측면(8) 상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공기는 또한 장치의 상단 상의 개구(18)를 통해 흡인되고, 따라서 기부(4)를 통해서 흡인되는 공기와 상단을 통해서 흡인되는 공기 사이에 특별히 유도된 공기 유동을 생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이다. 장치가 지면으로부터 멀리 유지되게 하기 위한 그리고 사용 중에 공기가 장치 아래로부터 흡인되게 하기 위한 레그(10) 상의 정화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단에는 공기가 팬에 의해 흡인되는 공기 흡입구(4a)가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며 장치 아래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흡입구가 기부(3) 상에 존재한다. 측벽(1)은 공기 출구를 갖지 않는 반면, 측벽(20)은 공기 흡입구(8)를 갖고, 이는 포크 가드에 의해 보호된다.
장치는 또한 가정용의 장식용 또는 기능성 물품을 세우기 위해 소비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테이블 상단(21)을 갖는다. 스탠드는 또한 장치 내로 흡인되는 공기를 교반하여 주변 공기 내의 먼지 입자의 응집을 개선시킨다.
도 4에서, 동일한 장치가 정면도로부터 관찰된다. 따라서, 측벽(20) 상의 공기 출구는 보이지 않는다. 기부(3)는 공기 스트림의 최적의 교반 및 따라서 주변 공기 내의 먼지 입자의 최적의 교반에 상응하는 양만큼 지면 위에 유지된다.
도 5는 프리-필터 또는 포크 가드에 의해 보호되는 원형 공기 흡입구(4b) 및 레그(10)를 도시하는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상단(2) 상의 공기 흡입구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해 테이블 상단 물품(21)이 없는 상태에서의 동일한 장치의 평면도이다. 공기 흡입구는 모든 방향으로부터 동일하게 공기를 흡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계가 원형이다.
도 7은 공기 출구(8)를 볼 수 있고 직사각형이며 포크 가드에 의해 보호되는 유사한 실시예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도이다. 공기 출구는 측면 프로파일에서 장치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이다.

Claims (9)

  1. 공기 정화기이며, 적어도 하나의 제거가능한 미립자 필터, 팬 또는 임펠러와 상기 팬 또는 임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상단 및 그에 대향하는 기부와 상기 기부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상단과 기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표면, 작동 구성에서 상기 기부 상에 배치되고 지면에 대면하는 기부 공기 흡입구, 작동 구성에서 상기 상단 상에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상단 공기 흡입구, 및 상기 측면 표면 상에 위치되는 공기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및 기부는 형태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고, 상기 상단과 기부를 연결하는 4개의 측면 표면을 포함하며, 공기 출구는 하나의 측면 표면 상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는 프리-필터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은 레그 또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온화기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이온화기는 정화기 외부의 공기를 이온화하도록 상기 정화기의 외부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위로 상승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거가능한 미립자 필터는 HEPA 필터인 공기 정화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공기 유동 도관을 포함하고, 각각의 공기 유동 도관은 공기 흡입구, 팬 또는 임펠러, 제거가능한 미립자 필터, 및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공기 도관을 위한 팬 또는 임펠러는 단일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공기 정화기.
KR1020227012675A 2019-10-21 2020-10-19 공기 정화기 KR202200728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04301 2019-10-21
EP19204301.6 2019-10-21
EP19204294 2019-10-21
EP19204294.3 2019-10-21
EP19204299.2 2019-10-21
EP19204299 2019-10-21
PCT/EP2020/079380 WO2021078688A1 (en) 2019-10-21 2020-10-19 Air purif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844A true KR20220072844A (ko) 2022-06-02

Family

ID=7562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675A KR20220072844A (ko) 2019-10-21 2020-10-19 공기 정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75955A1 (ko)
EP (1) EP4048959A1 (ko)
KR (1) KR20220072844A (ko)
WO (3) WO202107868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6592A (en) 1983-08-26 1985-07-02 Armbruster Joseph M Air circulator and air filtration device
US4737173A (en) * 1986-07-03 1988-04-12 Amway Corporation Room air treatment system
EP0646416A1 (en) 1993-10-04 1995-04-05 Trion Inc. Bipolar charged filt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749772B1 (ko) 2002-12-23 2007-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KR100926761B1 (ko) 2002-12-23 2009-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TWI301074B (en) 2003-10-27 2008-09-21 Hermannus Gerhardus Maria Silderhuis Air treatment device
US7141098B2 (en) 2004-01-22 2006-11-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ir filtration system using point ionization sources
US7531141B2 (en) * 2006-10-12 2009-05-12 Airinspace B.V. Mobile air decontamination and purification unit
US20090038480A1 (en) 2007-08-10 2009-02-12 Hamilton Beach Brands, Inc. Air purifier for removing particles or contaminants from air
CA2632450C (en) * 2008-06-02 2014-02-11 Richard D. Vanderploeg Central air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10274600A1 (en) * 2010-05-06 2011-11-10 Mineral Right, Inc. Ozone oxidation filtration and neutralization air cleaning system, apparatus & method
AU2014262583B2 (en) 2013-05-09 2017-03-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ir filtering device
CN104014204A (zh) 2014-06-18 2014-09-03 黄月媚 高效静音的空气净化器
CN106051938A (zh) 2016-05-27 2016-10-26 沈阳建筑大学 一种空气净化系统
CN107504589A (zh) 2017-10-13 2017-12-22 山东爱淇森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环境空气质量监测功能的空气净化器
CN108626809A (zh) * 2018-05-09 2018-10-09 苏州绿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立式空气净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75955A1 (en) 2022-09-01
WO2021078688A1 (en) 2021-04-29
EP4048959A1 (en) 2022-08-31
WO2021078687A1 (en) 2021-04-29
WO2021078686A1 (en)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1348B2 (en) Air cleaner airflow shaper
US5133788A (en) Air filtering device
JP5228319B2 (ja) 空気清浄機
KR20190031177A (ko) 개인화된 공기 정화 디바이스
US20070180996A1 (en) Tower air cleaner with improved airflow
JP7480157B2 (ja) 空気清浄機
US5065668A (en) Air circulation system
JP5808996B2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機の使用方法
US6264727B1 (en) Filter fan
WO2022007250A1 (zh) 吸油烟机
US20100003149A1 (en) Rear-positioned filter mount for use with a box or cage fan for reducing dust emission and improving interior air quality
CN203797855U (zh) 分级式双涡轮空气净化器
KR20080026466A (ko) 공기청정기
KR20220072844A (ko) 공기 정화기
CN213020145U (zh) 空气净化器
JP2002018219A (ja) 空気清浄機
KR20220013879A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JP4327271B2 (ja) 空気清浄機
CN212870103U (zh) 空气净化器
KR101201514B1 (ko) 공기청정가습기의 디스크 조립체
CN212319828U (zh) 吸油烟机
US20240033673A1 (en) Air purifier with integrated electronics cooling
KR102629979B1 (ko) 공기 청정기
JPH01139119A (ja) 空気清浄器
JP2024004000A (ja) 空気清浄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