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500A -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500A
KR20220072500A KR1020200160182A KR20200160182A KR20220072500A KR 20220072500 A KR20220072500 A KR 20220072500A KR 1020200160182 A KR1020200160182 A KR 1020200160182A KR 20200160182 A KR20200160182 A KR 20200160182A KR 20220072500 A KR20220072500 A KR 20220072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emergency
light
information
ligh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734B1 (ko
Inventor
유연호
Original Assignee
유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연호 filed Critical 유연호
Priority to KR102020016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734B1/ko
Publication of KR20220072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은 복수 개의 보안등, 복수 개의 보안등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보안등의 상태를 검침하는 검침기, 복수 개의 보안등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보안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발전모듈, 복수 개의 보안등에 각각 설치되며 긴급 상황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내용을 녹화하는 카메라와, 긴급 상황 정보가 입력되면 점멸되는 발광유닛과, 긴급 상황 정보가 입력되면 알람음을 발생하는 알람유닛을 포함하는 긴급통신모듈, 상기 보안등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안등의 상태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보안등을 관리하는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관할 보안등의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보안등을 유지 보수 하는 관리자서버 및 상기 보안등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긴급통신모듈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를 전달받는 긴급 상황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은 보안등에 긴급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보안등을 구비하고, 상기 긴급통신모듈에서 발생되는 긴급신호가 긴급 상황 관제서버로 전달되도록 하여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 {Management system for smart security ligh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보안등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등은 야간차량 및 주민의 불편을 해소하고, 어두워서 범죄나 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는 지역에 안전을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보안등은 일몰시간에 일괄적으로 켜지고, 일출시간에 일괄적으로 꺼지도록 마련되어 보안등이 설치된 주변의 지리적, 환경 상황에 맞게 개별적으로 조절이 불가하여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안등은 낙뢰로부터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낙뢰로 인한 고정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등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안등은 긴급 상황 발생 시, 별도의 신고나 긴급 상황 알림 기능을 구비하지 못하여,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4954호
본원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긴급통신모듈이 포함된 보안등을 구비하고, 상기 긴급통신모듈에서 발생되는 긴급신호가 긴급 상황 관제서버로 전달되도록 하여 긴급 상황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은 복수 개의 보안등, 복수 개의 보안등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보안등의 상태를 검침하는 검침기, 복수 개의 보안등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보안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발전모듈, 복수 개의 보안등에 각각 설치되며 긴급 상황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내용을 녹화하는 카메라와, 긴급 상황 정보가 입력되면 점멸되는 발광유닛과, 긴급 상황 정보가 입력되면 알람음을 발생하는 알람유닛을 포함하는 긴급통신모듈, 상기 보안등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안등의 상태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보안등을 관리하는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관할 보안등의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보안등을 유지 보수 하는 관리자서버 및 상기 보안등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긴급통신모듈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를 전달받는 긴급 상황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긴급 상황 정보는 상기 긴급 상황 정보가 입력된 보안등의 위치, 사고발생 시간, 상기 카메라에 녹화된 동영상 또는 사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긴급통신모듈에 의해 상기 긴급 상황 정보가 긴급 상황 관제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발광유닛 및 알람유닛은 자동으로 큰 소리를 발생하며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안등에 긴급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보안등을 구비하고, 상기 긴급통신모듈에서 발생되는 긴급신호가 긴급 상황 관제서버로 전달되도록 하여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구간에 설치된 복수 개의 보안등을 동시에 제어하되, 지역이나 주변 환경 특성에 따라 구간별로 점소등 시간을 달리하도록 마련되어, 보안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보안등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례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100)은 검침기, 태양광발전모듈, 긴급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보안등(120)과, 상기 복수 개의 보안등과 RF무선통신하며 상기 보안등을 전체 관리하는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140)와, 구역 등에 의해 분할 구획된 복수 개의 보안등을 유지 보수하는 관리자서버(160)와, 상기 보안등으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를 전달받아 긴급 상황을 관리하는 긴급 상황 관제서버(18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보안등(120)은 시골 및 도시의 도로가 등에 안전을 위해 길가를 따라 설치되는 요소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안등(120)은 조명모듈(122), 검침기(124), 태양광발전모듈(126), 긴급통신모듈(128) 등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조명모듈(122)은 조명램프, 안정기, 제어부 등을 포함하며 빛을 점멸하는 요소이며, 상기 제어부는 조명램프 등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전력량계와, 외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신부가 RF무선통신을 사용하여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 및 긴급 상황 관제서버와 통신하도록 마련하였으나, 이는 실시례에 불과하며 RF무선통신 외 다양한 무선통신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모듈은 현장의 모션활동에 반응하여 사람 또는 차량의 진입방향으로 순차 점등(스마트점등)되고, 시간대별로 밝기조절(타임별 조명기능)이 가능하여 전력소모를 줄이도록 마련된다.
이어서, 상기 검침기(124)는 상기 조명모듈의 상태를 검침하는 요소이다.
상기 검침기는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감지부, 누전을 감지하기 위한 누전감지부, 전압감지부 및 전류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 및 전압을 바탕으로 조명램프의 고장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 등을 포함하며,
상기 검침기는 상기 조명모듈의 전력량, 고장유무, 현재 상태 등 보안등의 상태정보를 확인하여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140)로 해당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상기 태양광발전모듈(126)은 상기 보안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태양광발전모듈은 태양광으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태양광발전모듈은 입사되는 태양광을 이용해서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판, 전력을 저장하는 저장배터리,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생성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보안등에 공급하고, 상기 저장배터리를 충방전하는 전력변환부 등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긴급통신모듈(128)은 긴급 상황 입출력부, 카메라, 발광유닛, 알람유닛 등을 포함한다.
상기 긴급 상황 입출력부란, 긴급 상황 정보가 입력 및 출력되도록 하는 요소이며, 상기 긴급 상황 입출력부는 터치판넬이거나 또는, 다른 관용의 입출력유닛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긴급 상황 입력부에서는 사용자가 처한 상태에 따라 경찰서, 소방서, 대학병원 등 해당 긴급 상황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긴급 연락망을 선택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카메라는 녹음기능을 포함하며, 긴급한 상황을 영상으로 녹화하거나 사진으로 찍어서 긴급 상황 관제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정확한 긴급 상황 정보가 긴급 상황 관제서버로 신속하게 제공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긴급 상황 관제서버란, 경찰서, 소방서, 대학병원 등의 특정기관과 연동된 서버를 일컫으며, 긴급 상황 입력부 및 카메라에 의해 입력된 긴급 상황 정보는 긴급 상황 관제서버(180)로 전송된다.
상기 긴급 상황 정보는 긴급 상황 정보가 입력된 보안등의 위치, 사고발생 시간, 상기 카메라에 녹화된 동영상 또는 사진 등을 포함하며,
특히, 이때 상기 긴급 상황 관제서버와 연동되는 특정기관은 해당 보안등과 제일 근접한 경찰서(지구대), 소방서, 대학병원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덧붙여, 상기 긴급 상황 정보가 긴급 상황 관제서버(180)로 전송됨과 동시에, 상기 발광유닛 및 알람유닛은 자동으로 큰 소리를 발생하며 점멸된다.
이에 따라 보안등 근처에 있던 사람들이 긴급 상황임을 인지하게 되며, 경찰관, 소방관, 응급차 등 긴급 상황 관제서버에서 지원하는 인력이 도착하기 전, 사용자(신고자)가 주변에서 우선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해당 긴급 상황정보는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14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긴급통신모듈에 긴급 상황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긴급통신모듈에서 상기 긴급 상황 관제서버(180)로 해당 긴급 상황 정보가 직접적으로 전송되도록 마련하였으나,
상기 긴급 상황 정보는,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140)로 전송되고, 상기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에서 해당 긴급 상황 정보를 긴급 상황 관제서버(180)로 전달하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보안등에는 카메라가 설치되어 현장의 사진을 상황실과 관계자에게 실시간 전송을 하여 오작동이나 기타 장난신호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에 출동한 관계자가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가 녹화와 같은 블랙박스 기능을 가지도록 하되, 상기 카메라는 긴급상황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140)는 상기 복수 개의 검침기(124)로 부터 복수 개의 보안등(120)의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보안등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그리고 복수 개의 보안등은 각각의 고유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에는 보안등의 고유번호 및 해당 보안등을 관리하는 관리자서버의 관리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보안등과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통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여 복수 개의 보안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140)는 보안등의 조명모듈을 관리하는 조명 관리부, 보안등의 유지 보수를 관리하는 유지 보수 관리부, 보안등의 긴급통신모듈에서 발생된 긴급 상황을 관리하는 긴급 상황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 관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검침기(124)로부터 복수 개의 보안등(120)의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보안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조명 관리부에서는 별도의 점소등모듈이 마련되며, 상기 점소등모듈은 일정 구간에 설치된 복수 개의 보안등을 동시에 제어하되, 지역이나 주변 환경 특성에 따라 구간별로 점소등 시간을 달리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관리자는 상기 점소등모듈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원격으로 임의로 조명모듈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지 보수 관리부는 상기 보안등에 문제가 생긴 경우, 해당 보안등을 담당하고 있는 관리자서버에 문제발생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관리자서버에서 보안등을 보수 및 점검하도록 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저장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긴급 상황 관리부는 상기 보안등의 긴급통신모듈로부터 전송받은 긴급 상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요소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긴급 상황 정보를 긴급 상황 관제서버(180)로 전송하는 역할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관리자서버(160)는 상기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140)로부터 관할 보안등의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보안등을 유지 보수 하는 서버이다.
상기 관리자서버는 복수 개의 보안등을 유지 보수 하는 관할지역의 요지보수 업체이거나, 보안등관리자일 수 있으며, 관리자는 사용자단말기를 사용하여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로 부터 전송되는 보안등의 상태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긴급 상황 관제서버(180)는 상기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의 긴급 상황 관리부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해결하는 서버이다.
상기 긴급 상황 관제서버는 소방서, 경찰서, 대학병원 등 특정기관과 연동되며, 긴급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해당 보안등이 설치된 위치로 전문 인력을 출동시킨다.
이때, 긴급 상황 관제서버로 전달되는 상기 긴급 상황 정보란 해당 보안등에 부여된 일련번호에 의해 확인되는 사고발생 위치와, 긴급통신모듈에 기록된 사고발생 시간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긴급 상황 관제서버는 상기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의 긴급 상황 관리부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를 전달받도록 마련되어 있으나, 상기 보안등의 긴급통신모듈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를 다이렉트로 전달받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며,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100개의 보안등이 하나의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CDMA 통제 관제 장치)를 통해서 운용되고, 실시간으로 넓은 지역 현장에 설치된 보안등에 부여된 고유번호를 각각 인식하여, 비상상황이나 응급환자 발생 시 즉각적으로 조치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보안등은 상호 근거리 통신(RF, WIFI 등)의 통신기능을 이중으로 활용하되 보안성이 가미된 블록체인시스템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보안등은 LED등으로 마련되어, LED등의 초당 깜박임의 간격을 이용하여 보안신호를 생성하여 점멸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보안신호를 수신 및 해독하여, 상기 긴급상황 관제서버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신호가 자동 전송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보안신호를 수신 및 해독하기 위한 암호해독 서버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형식으로 제공되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활용하여 상기 암호해독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플랫폼을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데스크탑 PC, 태블릿PC, 스마트폰 단말기 등으로 암호해독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도구를 일컫는다.
그리고 이때, 보안신호로 사용되는 보안등의 점멸은 일반 사용자들이 육안으로는 인식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자신에게 위기상황이나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 단말기의 단축버튼을 통해서 자신의 긴급상황정보를 긴급상황 관제서버에 신속하게 전송한다.
즉, 상기 보안등은 led빛의 깜박거림의 미세한 시차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보안신호를 항시 전송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활용하여 긴급상황신호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를 실행하여 상기 보안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보안신호를 해독하여 긴급상황정보를 긴급상황 관제서버로 전송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들은 자동 동기화가 되고 블록체인화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기본적인 단위가 1개의 블록당 100개의 보안등이 포함되도록 하되 1블럭,2블럭, 3블럭, n블럭 등 블록체인 단위별로 하나의 구역을 가진다.
본 발명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대다수 보안등 설치지역의 통신의 한계를 근거리 통신망인 WIFI와 RF 통신기법을 이용하여 보안등 간의 WIFI통신과 증폭중계기능을 통해서 계속적으로 블록체인화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보안등의 점/소등 기능을 비롯한 안전기고장, 전구불량, 정전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태양광을 이용하여 자체전력으로 수행을 한다.
본 발명은 한전전력을 이용하여 LED 보안등을 운용하는 현장이나, 자체 태양광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보안등을 운용하는 현장 등 전력 공급원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을 위해서 사용자는 관련 어플을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개인정보동의 및 각종의 관련 사항에 대한 인증을 동의하여야 하며, 이러한 블록체인화에 필요한 보안 암호화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
120:보안등
122:조명모듈
124:검침기
126:태양광발전모듈
128:긴급통신모듈
140:보안등 관리 관제서버
160:관리자 서버
180:긴급 상황 관제서버

Claims (3)

  1. 복수 개의 보안등;
    복수 개의 보안등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보안등의 상태를 검침하는 검침기;
    복수 개의 보안등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보안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발전모듈;
    복수 개의 보안등에 각각 설치되며 긴급 상황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내용을 녹화하는 카메라와, 긴급 상황 정보가 입력되면 점멸되는 발광유닛과, 긴급 상황 정보가 입력되면 알람음을 발생하는 알람유닛을 포함하는 긴급통신모듈;
    상기 보안등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안등의 상태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보안등을 관리하는 보안등 관리 관제서버;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관할 보안등의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보안등을 유지 보수 하는 관리자서버; 및
    상기 보안등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긴급통신모듈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를 전달받는 긴급 상황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상황 정보는,
    상기 긴급 상황 정보가 입력된 보안등의 위치, 사고발생 시간, 상기 카메라에 녹화된 동영상 또는 사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통신모듈에 의해 상기 긴급 상황 정보가 긴급 상황 관제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발광유닛 및 알람유닛은 자동으로 큰 소리를 발생하며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
KR1020200160182A 2020-11-25 2020-11-25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 KR102524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182A KR102524734B1 (ko) 2020-11-25 2020-11-25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182A KR102524734B1 (ko) 2020-11-25 2020-11-25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500A true KR20220072500A (ko) 2022-06-02
KR102524734B1 KR102524734B1 (ko) 2023-04-24

Family

ID=8198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182A KR102524734B1 (ko) 2020-11-25 2020-11-25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7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781A (ko) * 2008-12-30 2010-07-08 (주)유비엔씨 태양광 기반 가로등의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가로등 디밍 컨트롤시스템
KR20120123805A (ko) * 2011-05-02 2012-11-12 노이환 범죄 예방 방범 시스템
KR20200124954A (ko)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명성이엔티 보안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781A (ko) * 2008-12-30 2010-07-08 (주)유비엔씨 태양광 기반 가로등의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가로등 디밍 컨트롤시스템
KR20120123805A (ko) * 2011-05-02 2012-11-12 노이환 범죄 예방 방범 시스템
KR20200124954A (ko)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명성이엔티 보안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734B1 (ko) 202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4897B2 (en) LED light fixture
KR101829040B1 (ko) 모듈형 시설장치에 부착된 모듈형 기기들을 원격으로 진단 제어하는 지능형 시스템
US9461740B2 (en) Building illumination apparatu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s, security and energy management
EP2709428B1 (en) Networked lighting infrastructure for sensing applications
US8111018B2 (en) Application infrastructure for constructing illumination equipments with networking capability
US20090230768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the Provision of Electrical Power As Pertains to a Self-Storage Facility
KR100681392B1 (ko) 무선보안과 관제 기능을 갖는 조명제어장치
CN106249656A (zh) 一种物联网智慧校园
KR20070094712A (ko) 전력량계의 원격검침시스템
CN204833444U (zh) 一种模块化户外智能服务桩
KR102524734B1 (ko) 스마트 보안등 통합관리시스템
CN205939054U (zh) 一种照明灯具
KR101047307B1 (ko) 에너지 절약형 가로등을 이용한 경로이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의 경로이탈 정보 제공 방법
KR20110022465A (ko) 스마트그리드 구현과 생활안전에 도움을 주는 인홈디스플레이장치
KR101554345B1 (ko) 독립전원을 구비한 보안 시스템
JP7097043B2 (ja) 見守りシステム
EP3473061B1 (en) Position estimating lighting system and position estimating method
JP2019161737A (ja) 独立型充電装置および独立型充電システム
JP2013196676A (ja) 救援依頼掲示板
CN205049964U (zh) 一种基于物联网的公共场所用电设备控制系统
WO2015179960A1 (en) Power provision via cell phone network
TWM413889U (en) Intelligent security protection lighting system
TWM540348U (zh) 行動式安全監控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