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375A - Electric kettle - Google Patents
Electric kett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72375A KR20220072375A KR1020200159905A KR20200159905A KR20220072375A KR 20220072375 A KR20220072375 A KR 20220072375A KR 1020200159905 A KR1020200159905 A KR 1020200159905A KR 20200159905 A KR20200159905 A KR 20200159905A KR 20220072375 A KR20220072375 A KR 202200723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electric kettle
- touch
- cover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04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with heating elements arranged outside the water vesse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물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는 손잡이를 가지는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과;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바디 내부의 내용물이 가열되도록 열을 가하는 히팅모듈과;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에는, 외부로부터 손잡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나 이물질을 차단하는 차단부재 및 방지부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PCB를 포함하는 제어수단이 물에 의해 파손되거나 오작동되는 문제점이 방지된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kettle having a handle that is prevented from penetrating external water.
An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in which water or food is accommodated; a lid for shielding the opened upper side of the body; a heating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pplying heat to heat the contents inside the body;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handle configured to be held by hand; The handle is provided with a blocking member and a preventing member for blocking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handle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a problem in that the control means including the PCB is damaged by water or malfunctions is preven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으로 외부의 물 유입이 차단되는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kett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kettle in which external water inflow is blocked by a control means provided on a handle.
일반적으로 전기 주전자는 전기 공급에 의해 본체 내부에 수용된 물 등을 히터와 같은 가열 수단으로 가열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In general, an electric kettle refers to a device that heats water accommodated in a main body by a heating means such as a heater by supplying electricity.
그리고, 이러한 전기 주전자는 대부분 전원이 공급되는 베이스에 본체가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베이스에 안착된 상태로 가열되고, 손잡이를 잡고 본체를 들어 베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전기 주전자를 통상 무선 전기 주전자, 무선 전기 포트, 커피 포트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In addition, most of these electric kettles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main body is detachable from the base to which power is supplied, and is heated while seated on the base, and can be used by holding the handle and lifting the main body to separate it from the base. This type of electric kettle is usually called by various names such as a wireless electric kettle, a wireless electric pot, and a coffee pot.
이러한 전기 주전자는 본체의 형상이 복잡하고 내부 구성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체를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In such an electric kettle, the shape of the main body is complicated, and the main body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in order to facilitate the arrangement of the internal components.
그러나, 장기간 사용시 플라스틱의 유해 성분 또는 미세 플라스틱 성분이 고온의 물에 용해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스크래치 등에 취약하고 그로 인한 내부의 오염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harmful components or microplastic components of plastics can be dissolved in high-temperature water and are vulnerable to scratches and internal contamination problems.
또한, 본체를 유리 소재로 형성하게 될 경우에는 위생상 우수하고 외관이 매우 뛰어나지만, 충격 등에 의한 파손 우려가 있으며, 무게가 무거워 사용이 불편하며, 성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body is formed of a glass material, it is excellent in hygiene and has a very good appearance, but there is a risk of damage due to impact, etc.
따라서, 대한민국등록 실용신안 제20-0406420호에는 본체가 스테인레스로 구성되며,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는 무선 전기 포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본체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어 매우 위생적이고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06420 discloses a wireless electric port that has a body made of stainless steel and can heat water contained therein. In such a structure, the body is formed of a stainless material, so it is very hygienic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그리고, 손잡이의 상단과 하단이 본체에 연결되며, 특히 하단이 히터가 구비되는 가열부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는 온오프 스위치에 의해 물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andle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in particular, the lower end is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a heating unit provided with a heater, while water can be heated by an on/off switch provided on the handle. .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손잡이에는 단순이 히터를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될 뿐,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은 손잡이가 아닌 가열부에 구비되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such a structure, the handle is provided with a switch for simply turning the heater on and off, and the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output is provided in the heating unit rather than the handle, thereby causing inconvenience in use.
또한,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가열부와 상기 손잡이 상의 온오프스위치의 연결을 위해서는 손잡이가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연결되는 구조를 필요로 하여 제한적인 구조를 가지게 되며, 손잡이의 사용에 있어서도 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nect the heating unit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on-off switch on the handle, a structure in which the handle is connected to bo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is required, which has a limited structure, and it is inconvenient to use the handle this can result
뿐만 아니라,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부에 전열선과 제어부 등이 모두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따라서 상기 본체의 부피가 커지거나 실질적인 물 수용 공간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heating unit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a heating wire and a control unit are provided, and thus the volume of the main body increases or the actual water receiving space is reduced.
한편, 미국 특허번호 US 9,226,610 B2에는 손잡이에 푸시버튼(Push-button)과 상태표시(State display) 부분이 구비되어 있으나, 손잡이의 손 잡는 부분에 상태표시부가 구비되어 위쪽에서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우며, 손잡이의 상하단이 바디에 일체로 고정되므로 제조 및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On the other hand, US Patent No. US 9,226,610 B2 is provided with a push-button and a state display part on the handle, but the state display part is provided on the hand holding part of the handle, so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state from above, Sinc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andle are integrally fixed to the body,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manufacturing and assembly are difficult.
그리고,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7-0074313호에도 '블랜더 및 스티머 겸용 전기포트'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도 다이얼을 돌려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구동클러치의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을 조절하는 제1제어스위치는 베이스에 구비되고, 가열온도 및 가열 시간을 조절하는 제2스위치는 손잡이에 구비된다.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74313 also discloses a 'electric pot for blender and steamer', but even in this prior art, turning the dial to turn the power on or off or to adjust the rotation speed and rotation time of the driving clutch The first control switch is provided on the base, and the second switch for adjusting the heating temperature and heating time is provided on the handle.
따라서, 전기포트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각 다른 위치에 구비된 스위치를 별개로 구동하여야 하므로 제어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PCB) 등의 전자부품이 히터와 가까운 베이스에 구비되므로 가열로 인한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control the electric port,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drive the switches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so that the control is cumbersome. In addition, since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PCB for controlling power on/off are provided in the base close to the heater, a problem may occur due to heating.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럽 특허 EP 2805650 B1에는 제어장치가 손잡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conventional problem, European Patent EP 2805650 B1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trol device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외부로부터 물이나 이물질이 손잡이 내부로 침투하여 제어장치의 PCB가 파손되거나 오작동 또는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is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penetrate into the inside of the handle, and the PCB of the control device is damaged or malfunctions or loses its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에 제어수단이 구비되어 제어부품이 히터와 멀리 이격되어 가열에 의한 오작동이 방지되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kettle in which a control means is provided on a handle and the control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heater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heating. do it with
본 발명은 손잡이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물이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kettle configured to effectively block external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handle.
본 발명은 손잡이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물이나 이물질이 이중으로 차단되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kettle in which external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handle are double blocked.
본 발명은 엘이디커버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손잡이 외부로부터 물이나 이물질이 손잡이 내부의 제어수단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kettle in which the LED cove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prevents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control means inside the handle from the outside of the handl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손잡이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구비된다. 따라서, 손잡이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이 수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andle of 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locking member for blocking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ccordingly, the control means provided on the handle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moistur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에 방지부재가 더 구비되어 손잡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이중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손잡이 내부의 PCB가 외부의 물로부터 보호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eventing member to double block the water flowing into the handle. Thus, the PCB inside the handle is protected from external water.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나 이물질을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바디에 체결되는 손잡이의 손잡이체결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손잡이와 바디 사이의 틈새를 통한 물 유입이 차단된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ing member for blocking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handle is provided in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of the handle to be fastened to the body. Accordingly, water inflow through the gap between the handle and the body is blocked.
본 발명에서는 탄성을 가지는 방지부재가 터치부스터에 더 구비되어 손잡이의 손잡이체결부의 일면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와 바디 사이의 틈새를 통한 물 유입이 이중으로 차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 prevent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in the touch booster to come in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of the handle. Therefore, water inflow through the gap between the handle and the body is double blocked.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과;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바디 내부의 내용물이 가열되도록 열을 가하는 히팅모듈과;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에는, 외부로부터 손잡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나 이물질을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An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in which water or food is accommodated; a lid for shielding the opened upper side of the body; a heating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pplying heat to heat the contents inside the body;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handle configured to be held by hand; The hand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blocking member for blocking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handle from the outside.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바디에 체결되는 손잡이의 손잡이체결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of the handle fastened to the body.
상기 바디는,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이너바디와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바디를 포함하도록 이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우터바디에는 상기 손잡이의 손잡이체결부가 관통하는 손잡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is made of double so as to include an inner body forming an inner appearance and an outer body forming an outer appeara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body has a handle hole through which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of the handle is formed.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손잡이체결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of the handle.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히팅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거나 상기 바디 내부의 내용물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재는, 외부로부터 상기 제어수단으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ndle is provided with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modul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inside the body; The block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blocks the inflow of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to the control means.
상기 제어수단은, 다수의 제어부품이 구비되는 메인피시비와; 상기 메인피시비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편의 전원조작부 또는/및 온도조작부를 통해 전달되는 누름 또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피시비와; 상기 터치피시비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조작부 또는/및 제2조작부의 누름이나 터치가 상기 터치피시비로 오작동없이 전달되도록 하는 터치부스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means includes: a main PCB having a plurality of control parts; a touch PCB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PCB and configured to sense a press or touch transmitted through the upper power control unit and/or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touch boost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uch PCB and configured to transmit a press or a touch of the first manipulation unit or/and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to the touch pcb without malfunction.
상기 터치부스터에는, 상기 손잡이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어수단으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touch boo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vention member is further provided to prevent the inflow of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of the handle to the control means.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터치부스터의 일단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vention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touch booster to one side.
상기 방지부재의 하단은, 상기 손잡이의 손잡이체결부 상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end of the prevent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of the handle.
상기 방지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vention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elasticity.
상기 방지부재는, 폼테이프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ven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foam tape.
한편,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차단부재의 일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vention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locking member.
상기 방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바디에 체결되는 손잡이의 손잡이체결부 일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end of the preven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of the handle fastened to the body.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손잡이체결부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방지부재는, 하단이 상기 손잡이의 손잡이체결부 상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ing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of the handle; The prevention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of the handle.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손잡이를 구성하는 터치부스터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vention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touch booster constituting the handle.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터치부스터의 일단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vention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touch booster to one side.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하나,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의 상단부가 바디의 상단에 체결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전기주전자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handle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ic kettle as a whole has a compact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manufacture and assembly are easy.
둘,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브라켓이 이너바디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고, 손잡이는 손잡이브라켓에 스크류에 의해 체결된다. 따라서, 바디의 손상이 방지되면서도 손잡이의 체결이 쉽게 이루어지므로 외관이 수려하고 제조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Seco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bracket is coupled to the inner body by welding, etc., and the handle is fastened to the handle bracket by screws. Accordingly, while the body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the handle can be easily fastened, so it has a beautiful appearance and is convenient to manufacture.
셋,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의 외관을 구성하는 핸들커버와 핸들서포터가 원터치(one touch)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손잡이의 조립이 간단하게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Thir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cover and the handle supporter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handle are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one touch. Therefore, since assembly of the handle is possible simp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productivity is improved.
넷, 본 발명에서는 아우터바디에 걸리는 걸이단이 손잡이의 선단에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의 선단은 이너바디에 결합되고 걸이단에 의해 아우터바디에 걸려 지지되므로 손잡이의 고정이 견고하여 바디 내부의 내용물이 무거운 경우에도 파손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Fourt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end caught on the outer body is formed at the tip of the handle. Therefore, since the tip of the handle is coupled to the inner body and supported by the hook end on the outer body, the handle is firmly fixed, thereby preventing damage even when the contents inside the body are heavy.
다섯, 본 발명에서는 아우터바디에 걸리는 걸이단이 손잡이의 선단으로부터 하측 또는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먼저 걸이단이 아우터바디의 절개 부분(손잡이홀)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한 다음 스크류를 이용하여 손잡이브라켓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를 바디의 측면에 정확한 위치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불량이 방지되고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Fift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end caught on the outer body is configured to protrude downward or upward from the tip of the handle. Therefore, the hanger end is first inserted into the cutout (handle hole) of the outer body and then fixed to the handle bracket using a screw. Thi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nd increasing productivity.
여섯,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에 손잡이체결부가 구비되어 이너바디에 고정되는 손잡이브라켓에 스크류로 결합된다. 그리고, 이러한 손잡이체결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손잡이의 휨이 방지되고 손잡이의 강도가 커지는 장점이 있다.Sixth, in the present invention, a handle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handle and is coupled to the handle bracket fixed to the inner body with a screw. And,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ing rib for reinforcing strength.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bending of the handle is prevented and the strength of the handle is increased.
일곱, 본 발명에서는 바디가 이중으로 구성되고, 손잡이는 이중 바디의 외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바디 내부의 온도가 손잡이에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는 경우에도 화상을 입거나 거부감을 느끼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Seve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configured as a double, and the handle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double body. Therefore, since the temperature inside the body is not transmitted to the handl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does not feel burns or feel rejection even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여덟, 본 발명에서는 피시비(PCB)와 같은 제어수단이 손잡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바디 하측에 구비되는 히터로부터 제어수단이 멀리 이격되므로 히터의 가열시에도 히터의 열기가 제어부품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어 피시비(PCB)의 가열로 인한 오류나 고장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Eight,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means such as a PCB (PCB) is provided on the handle. Therefore, since the control means is far apart from the heat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the heat of the heater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ontrol part even when the heater is heated,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rrors or failures due to heating of the PCB are reduced.
아홉, 본 발명에서는 차단부재가 손잡이의 손잡이체결부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바디와 손잡이의 상측으로부터 침투되는 물 등이 차단부재에 막혀 손잡이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므로 손잡이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의 파손이나 오작동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Nin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of the handle.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amage or malfunction of the control means provided in the handle is prevented because water, etc., penetrat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body and the handle is blocked by the blocking member and does not flow into the inside of the handle.
열,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를 구성하는 터치부스터에 방지부재가 더 구비되며, 이러한 방지부재의 하단은 손잡이의 손잡이체결부 상면과 접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바디와 손잡이의 상측 또는 바디와 손잡이 틈새를 통해 손잡이 내부로 침투되는 물 등이 차단부재와 방지부재에 의해 이중으로 차단되므로 손잡이에 구비되는 제어수단 및 PCB 등의 파손이나 오작동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Hea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booster constituting the handl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preventing member, and the lower end of the preventing member is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of the handle. Therefore, the water penetrating into the handle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body and the handle or through the gap between the body and the handle is double blocked by the blocking member and the preventing member, so damage or malfunction of the control means and the PCB provided in the handle is prevented.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전기 주전자의 구성을 보인 상방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전기 주전자의 구성을 보인 하방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디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디의 구성을 보인 상방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디의 구성을 보인 하방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상방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하방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상반부 구성을 보인 부분 절개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핸들서포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핸들서포터의 후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핸들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메인피시비와 터치피시비의 구성을 보인 상방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메인피시비와 터치피시비의 구성을 보인 하방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터치부스터의 상방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터치부스터의 하방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엘이디커버 상방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엘이디커버 하방 사시도.
도 20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브라켓의 일 실시예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분해사시도.
도 23은 도 21에서 핸들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절개사시도
도 24는 도 21의 손잡이가 바디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25는 도 21의 손잡이가 이너바디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26은 도 21의 손잡이가 아우터바디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27은 도 21의 손잡이를 구성하는 손잡이서포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브라켓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30은 도 29의 손잡이가 바디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사시도.
도 31은 도 29에 도시된 손잡이를 구성하는 핸들서포터의 부분 사시도.
도 32는 도 29에 도시된 손잡이를 구성하는 터치부스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uppe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od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uppe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rom the botto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uppe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hand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hand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half of the hand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andle supporter of the hand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rear view of the handle supporter of the hand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cover of the hand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top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CB and the touch PCB of the hand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CB and the touch PCB of the hand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the touch booster of the hand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touch booster of the hand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the LED cover of the hand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LED cover of the hand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handle bracke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1;
23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andle cover is removed in FIG.
2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of FIG. 21 is fastened to the body;
2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of FIG. 21 is fastened to the inner body;
Figure 2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of Figure 21 is coupled to the outer body.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dle supporter constituting the handle of FIG.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le bracke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of FIG. 29 is fastened to the body;
Fig. 3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supporter constituting the handle shown in Fig. 29;
Figure 3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uch booster constituting the handle shown in Figure 29.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일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와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3과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주전자의 상방 및 하방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1 to 4 show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n FIGS. 1 and 2, a perspective view and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each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upper and lower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electric kettle shown in FIG. are shown respectively.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1)는,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20)과, 상기 바디(10)의 하측에 구비되어 바디(10)를 지지하는 베이스(60)와,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구비되어 바디(10) 내부의 물이나 음식물이 배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출수구(30)와,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체결되며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40)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 등이 수용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20) 그리고, 손잡이(40) 및 히팅모듈(50), 베이스(60) 등으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상기 바디(1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띠라서, 상기 바디(10)의 상면은 상기 뚜껑(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The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1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는 바디(10)의 상단 우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The
상기 베이스(60)는 바닥면에 배치되며, 전원 코드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60)의 상면에는 조립된 상태의 바디(10)가 안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ssembled
상기 바디(1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가열될 수 있는 가열 공간(101)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는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The
상기 베이스(60)와 바디(10)의 전원 공급방식은 전원 단자의 접촉에 의한 전원 공급 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60)와 바디(10)의 전원 공급방식은 전자기 유도 방식이 될 수도 있다. The power supply method between the base 60 and the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60)에는 1차 코일의 역할을 하는 로어 전원 모듈(64)이 구비되고, 이와 대응하는 상기 바디(10)에는 2차 코일의 역할을 하는 어퍼 전원 모듈(55)이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상기 바디(10)의 하단에는 히팅모듈(50)과 바텀커버(56) 등이 설치되며, 이러한 히팅모듈(50)과 바텀커버(56)는 상기 바디(10)의 하부 일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로어 바디'라고 부를 수도 있다.A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디(10) 내부의 바닥면을 형성하거나 바디(10)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히팅플레이트(52)와, 상기 히팅플레이트(52)를 가열하는 히터(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히팅플레이트(52)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디(10)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텀 커버(56)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바디(10)의 일단에는 출수구(spout)(3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을 따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one end of the
상기 출수구(30)의 반대방향에는 손잡이(4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10)의 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30)는 상기 바디(10)의 좌측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출수구(30)를 통해 물을 따르기 쉽게 된다.A
한편,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30)의 일측(도면에서는 우측) 외측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손잡이(40)는 사용자가 전기 주전자(1)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며, 데코와 탄성재질의 그립부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즉, 상기 손잡이(40)는 외장은 고급스럽게 구성되고, 적어도 일부(그립부분 등)에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쥐었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손잡이(40)에는 사용자가 온오프 조작 또는 온도 조절할 수 있는 버튼 등이 구비되어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40)의 내부에는 피시비(PCB)가 구비될 있으며, 상면에는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동작 상태가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바디(10)는 이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바디(11)와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이너바디(12)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너바디(1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손잡이브라켓(15)이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40)가 손잡이브라켓(15)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손잡이브라켓(15)은 상기 이너바디(12)의 외면에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 고정될 수 있다.The
상기 전기 주전자(1)의 개구된 상면 즉, 상기 바디(10)의 상면은 뚜껑(lid)(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상기 뚜껑(20)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전기 주전자(1)의 상면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바디(10)의 상단 둘레와 접하여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를 기밀시킬 수 있다. The
상기 뚜껑(20)의 중앙부에는 캡(21)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캡(21)은 사용자가 뚜껑(20)을 용이하게 들어올리거나, 상기 바디(10)에 결합하기 편하도록 하는 기능 등을 하게 된다.A
그리고,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에는 손잡이브라켓(15)이 부착 또는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40)가 상기 바디(10)에 체결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에는 온도센서(53)가 구비되어 상기 가열공간(101) 내부의 물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In addition, a
도 5 내지 도 7에는 상기 바디(1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에는 상기 바디(10)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및 도 7에는 상기 바디(10)의 상부와 하부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5 to 7 show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는 전체적으로는 상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형성되는 공간에는 물 등과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고, 하단부에는 히팅모듈(50)이 구비되어 바디(10) 내부의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상기 바디(10)는 이중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바디(10)는,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이너바디(12)와,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바디(11) 등으로 이루어진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이너바디(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는 물 등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아우터바디(11)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너바디(12)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아우터바디(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이너바디(12)는 아우터바디(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의 사이에는 틈새공간(102)이 형성되어 단일 벽 구조에 비해 현저히 단열 성능이 향상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Since the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는 모두 동일한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바디(11)는 바디(10)의 외관을 형성하고, 이너바디(12)는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Both the
이와 같이, 상기 이너바디(12)는 상기 아우터바디(11)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이너바디(12)는 상기 아우터바디(11)의 내측에 수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틈새공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As such, since the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사이 틈새공간(102)은 공기층이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바디(11)로 열이 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n air layer is formed in the
따라서, 상기 틈새공간(102)은 단열 틈새공간(102)이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뜨거운 상태에서도 상기 아우터바디(11)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그리고, 상기 단열 틈새공간(102)은 상기 히팅모듈(50)이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손잡이(40)의 내측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손잡이(40)에 위치된 손잡이 피시비(PCB)와 연결된 전선이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사이의 단열 틈새공간(102)을 지나 상기 히팅모듈(50)이 배치되는 공간까지 안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sulating
상기 바디(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 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이 서로 결합되어 성형될 수 있다. The
일 예로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단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상기 바디(10) 상단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상단과 이너바디(12)의 상단은 서로 결합되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upper end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너상단부(121)가 더 구비되어 상기 이너바디(12)의 아우터바디(11)의 상단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an inner
상기 이너상단부(121)는 이너바디(12)로부터 외측으로 단차지게 이중 연장되어 외측 끝단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상단에 접하도록 형성된다.The inner
따라서, 상기 틈새공간(102)의 상부는 상기 이너상단부(121)에 의해 차폐된다. 물론,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상단부가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과 접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ccordingly,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바디(10)에는 상기 손잡이(40)와 출수구(30) 등이 결합된다.The
구체적으로는 상기 손잡이(40)와 출수구(30)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부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40)와 출수구(30)는 상기 아우터바디(11)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따라서, 상기 아우터바디(11)에는 상기 손잡이(40)가 관통하여 설치되기 위한 손잡이홀(111)과 상기 출수구(30)가 관통하여 설치되기 위한 출수구홀(112)이 각각 형성된다.Accordingly, a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우측면 상단부에는 사각 형상의 절개홀인 손잡이홀(111)이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된다.Specifically, i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손잡이홀(111)의 반대편에는 상기 출수구홀(112)이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좌측면 상단부에는 상기 출수구홀(112) 형성되며, 이러한 출수구홀(112)은 상기 출수구(3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전면과 이너바디(12)의 전면에는 각각 아우터홀(113)과 이너홀(123)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In 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아우터홀(113)과 이너홀(123)은 아래에서 설명할 투시창(13)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홀(113)과 이너홀(123)은 투시창(1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하로 길게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이너바디(12)의 좌측면 상단부에는 출수공(125)이 다수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출수공(125)은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의 물이 상기 출구수(30)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출수공(125)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좌측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출수구홀(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125 are formed through the upper left side of the
상기 이너바디(12)의 우측면 상단부에는 손잡이브라켓(15)이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은 상기 손잡이(40)가 상기 이너바디(12)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형태(상방에서 볼 경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
따라서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의 좌측단은 상기 이너바디(12)에 용접이나 접착제 또는 체결기구 등에 의해 결합되고, 우측단은 상기 손잡이(40)와 결합된다.Accordingly, the left end of the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이 상기 이너바디(12)에 고정 장착되면, 손잡이브라켓(15)의 우측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을 통해 외측(우측)으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When the
그리고,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손잡이브라켓(15)에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손잡이브라켓(15)에 볼트(bolt) 및 너트(nut)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And, the
상기 바디(10)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며, 용접 등의 가공에 의해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10)는 전해 연마(Electropolishing)에 의해 가공 부위를 매끄럽게 하고, 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의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바디(10)는 전해 연마를 통해서 내외측면이 내식성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바디(10)는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의 결합 후 전해 연마 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바디(10)가 성형된 상태에서 전해 연마를 위해 상기 바디(10)를 전해액에 담근 후 전해 연마를 수행하게 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이 과정에서 상기 바디(10)의 구조적인 특성상 필연적으로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의 상기 단열 틈새공간(102)으로 전해액이 유입된다. 즉, 상기 바디(10)는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홀(111)과 출수구홀(112) 등이 개구되어 있으므로 전해액에 상기 바디(10)를 담글 경우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로 전해액이 필연적으로 유입될 수 밖에 없다.In this process, the electrolyte inevitably flows into the insulating
전해 연마 완료 후 상기 바디(10)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의 전해액은 틈새공간(102) 하측으로 배출된다. 즉,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의 하단은 서로 접하지 아니하고 상기 바텀커버(56) 등이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바텀커버(56) 등의 부품이 결합되기 전이므로 전해액이 틈새공간(102) 하방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When the
또한, 상기 전해 연마 완료 후 상기 바디(10)를 세척하는 경우에도, 상기 바디(10)를 세척액에 담가 세척한 후 들어올리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의 전해액이 틈새공간(102)을 통하여 하방으로 배출된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이와 같이, 전해 연마 가공 후 전해액의 제거는 물론 상기 전해 연마 후 세척되는 경우에도 상기 바디(10)의 잔여 액체들이 모두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all of the remaining liquid in the
상기 바디(10)에는 투시창(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창(13)은 상기 전기 주전자(1)의 외측에서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의 수위 또는 물이 끓는 상태 등을 뚜껑(20)을 열지 않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A see-through
상기 투시창(13)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바디(12) 및 아우터바디(11)에 각각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시창(13)은 상기 이너바디(12)에 결합된다.The see-through
상기 투시창(13)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바디(10)의 내부를 투시하여, 바디(10) 내부의 물 등과 같은 음식물의 양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투명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ee-through
상기 투시창(13)과 상기 바디(10) 사이에는 투시창가스켓(135)이 더 구비되어, 투시창(13)과 바디(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물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투시창(13)은 기밀 상태로 상기 바디(10)에 장착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a see-through
이와 같이, 상기 투시창(13)과 이너홀(123) 또는 아우터홀(113) 사이에는 투시창가스켓(135)이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시창가스켓(135)은 상기 이너홀(123)과 투시창(13)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의 물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In this way, the see-through
상기 투시창가스켓(135)은 상기 투시창(13)의 둘레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이너바디(12)의 이너홀(123)에 상기 투시창(13)이 고정 장착되면, 상기 투시창(13)의 내측면은 상기 이너바디(12)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see-through
따라서, 상기 투시창(13)이 상기 바디(10)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바디(12)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내부의 구조가 간결하고 청소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see-through
또한, 상기 투시창(13)의 전면도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외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투시창(13)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투시창(13)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외측면보다 돌출 또는 함몰되지 않게 되어 외관이 보다 개선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see-through
그리고, 상기 투시창(13)과 이너바디(12) 사이의 틈새는, 상기 투시창가스켓(135)에 의해 기밀되는 상태가 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see-through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아우터바디(11) 등에 추가의 가스켓 또는 패킹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상기 투시창(13)의 사이를 더 기밀하여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상기 투시창(13)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Of course, additional gaskets or packings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상기 바디(10)의 하부에는 상기 히팅모듈(5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에 히팅모듈(50)이 장착된다.The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디(10) 내부의 공간을 가열하여 물 등과 같은 내용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The
상기 히팅모듈(50)은 열을 생성하는 히터어셈블리(51)와,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의 물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3)와, 상기 히터어셈블리(5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어퍼 전원 모듈(55) 등으로 구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히팅모듈(50)의 하측에는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이 상기 바디(10)의 하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바텀커버(56)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a
상기 히팅모듈(50)과 상기 바텀 커버(56)는 상기 아우터바디(11)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장착되며, 상기 바디(10)의 하부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므로 바텀 바디라 부를 수도 있다. The
그리고, 상기 바텀 바디가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는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동작을 위해서는 상기 바텀 바디가 조립된 상태의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assembly of the bottom body is completed, the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바디(10)의 어퍼 전원 모듈(55)과 상기 베이스(60)의 로어 전원 모듈(64)은 서로 접하는 상태가 되어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히터(54)가 발열되어 물을 끓일 수 있다.When the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개구된 하면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텀 커버(56)를 분리할 경우 상기 아우터바디(11)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나머지 구성들이 노출될 수 있다.As shown, the
상기 히터어셈블리(51)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에 부착 결합되는 히팅플레이트(52)와,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저면에 고정 장착되는 히터(5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는, 상기 바디(10)의 하부 중앙에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이 배치되고,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의 바깥쪽에 히터(54)가 구비되어 이너바디(12)의 저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56)에는 상기 히터(54)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커버 피시비(PCB)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ver PCB for supplying power to the
이와 같이,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은 상기 히팅모듈(50)의 중앙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은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중앙에 장착될 수 있다.As such, the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는 상기 히터(54)가 장착될 수 있다.The
상기 히터(54)는 시즈히터(Sheathe heater)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54)는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보다 더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히터(54)의 양단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이격되며, 이격된 상기 히터의 양단에 연결 단자가 노출되어 상기 커버 피시비(PCB)와 전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s of the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면에 상기 히터(54)가 장착될 수 있다. The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열전도도가 높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54)의 열이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 전체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히팅플레이트(52)와 상기 히터(54)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는 상기 온도센서(53)가 장착되는 온도센서 장착홀(5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A temperature
상기 온도센서 장착홀(521)에는 센서패킹(5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패킹(531)은 상기 온도센서 장착홀(521)을 실링하게 된다.A sensor packing 531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temperature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과 완전히 밀착될 수 있으며,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블레이징 가공되어 상기 이너바디(12)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원형의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너바디(12)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The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에는 상기 온도센서(53)의 상단이 노출되는 센서홀(124)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A
상기 센서홀(124)은 상기 온도센서 장착홀(521)과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상기 온도센서(53)는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 상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가열 공간(101)의 물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The
한편, 상기 온도센서(53)의 상단 높이는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온도센서(53)와 이너바디(12) 사이의 틈새는 상기 센서패킹(531)에 의해 밀폐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53)의 상단이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바디(10)의 내부를 세척하는 경우에도 상기 온도센서(53)가 간섭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upper end of the
한편, 상기 바텀 커버(56)를 제외한 나머지 히팅모듈(50)은 모두 완전히 상기 바디(10)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56)의 장착시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히팅모듈(50)의 나머지 구성들을 차폐하게 되고 상기 바디(1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Meanwhile, all
상기 바텀 커버(56)의 중앙에는 바텀홀(561)이 형성되며, 상기 바텀홀(561)을 통해서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A
따라서, 상기 바텀홀(561)을 통해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이 노출되어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장착될 때 상기 로어 전원 모듈(64)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도 8 내지 도 20에는 상기 손잡이(4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는 상기 손잡이(40)의 상방 및 하방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상기 손잡이(40)의 부분 절개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과 도 12에는 상기 손잡이(40)를 구성하는 핸들서포터(41)의 사시도와 후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에는 상기 손잡이(40)를 구성하는 핸들커버(42)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와 도 15에는 상기 손잡이(40)를 구성하는 메인피시비(46)와 터치피시비(47)의 구성이 상방 및 하방 사시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16과 도 17에는 상기 손잡이(40)를 구성하는 터치부스터(48)의 상하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8과 도 19에는 상기 손잡이(40)를 구성하는 엘이디커버(49)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20에는 상기 손잡이(40)가 결합되는 손잡이브라켓(15)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8 to 20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는, 골격을 이루는 핸들서포터(41)와 상기 핸들서포터(41)에 구비되는 다수의 부품을 감싸는 핸들커버(42)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손잡이(40)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함과 동시에 골격을 이루는 핸들서포터(41)와, 상기 핸들서포터(41)와 결합되어 핸들서포터(41)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감싸는 것과 동시에 데코 역할을 하는 핸들커버(42)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상기 핸들서포터(41)는,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을 감싸는 측벽프레임(411)과,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일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기둥프레임(412) 등으로 이루어진다. The
구체적으로는, 상기 핸들서포터(41)는, 하부에 형성되어 손이 감싸는 부분이 되는 기둥프레임(412)과,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어수단(45)이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측벽프레임(411) 등으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이와 같이, 상기 핸들서포터(41)는, 사람의 손이 감싸는 부분이 되는 기둥프레임(412)과,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상측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어수단(45)이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측벽프레임(411)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way, the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핸들서포터(41)는 전체적으로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데, 상기 바디(10)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다수의 전장부품 등이 내장되는 측벽프레임(411)과,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일단(후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기둥프레임(412) 등으로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물론, 상기 기둥프레임(412)은 상기 측벽프레임(411)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지 아니하고, 예각을 가지거나 둔각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the
상기 핸들서포터(41)에는, 상기 손잡이브라켓(15)과 체결되는 손잡이체결부(413)이 구비된다. The handle supporter (41) is provided with a handle fastening portion (413) fastened to the handle bracket (15).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측벽프레임(411) 선단부에는 손잡이체결부(413)이 소정 크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전방은 개구되고, 이러한 개구된 부분은 소정 높이를 가지는 손잡이체결부(413)에 의해 차폐되며, 이러한 손잡이체결부(413)은 상기 손잡이브라켓(15)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부분이다.Specifically, a
따라서,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에는 볼트(bolt)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브라켓체결홀(413a)이 전후로 관통되게 하나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일단에는, 상기 아우터바디(11)에 걸리는 걸이단(415)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핸들서포터(41)에는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에 걸리는 걸이단(415)이 측벽프레임(411)의 선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At one end of the
구체적으로는,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측벽프레임(411) 선단에는 소정 크기의 걸이단(415)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측벽프레임(411) 전면 하단부에는 상기 아우터바디(11)에 걸리는 걸이단(415)이 측벽프레임(411)의 선단으로부터 전방 및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Specifically, at the front end of the
상기 걸이단(415)은,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선단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단(415)은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며, 이러한 이격된 걸이단(415)은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접합부(415a)에 의해 상기 측벽프레임(411)과 일체로 형성된다.The hanging
상기 걸이단(415)은,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선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단(415)이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접합부(415a)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걸이단(415)이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선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hanging
이와 같이, 상기 걸이단(415)이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선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면, 상기 걸이단(415)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 하단에 걸리게 될 것이다. 반대로, 상기 상기 걸이단(415)이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선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면, 상기 걸이단(415)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 상단에 걸리게 될 것이다.As such, when the hanging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의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의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413b)가 하나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의 후측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증가하는 보강리브(413b)가 하나 또는 2개가 쌍으로 형성된다. One or more reinforcing
따라서,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은 상기 보강리브(413b)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핸들서포터(4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Accordingly, the
상기 걸이단(415)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걸이단(415)의 일면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내면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이단(415)의 후면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내면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Preferably, the hanging
이렇게 되면, 상기 걸이단(415)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에 걸릴 때, 상기 걸이단(415)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내부에 위치되어 후면은 아우터바디(11)의 내면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단(415)의 후면과 아우터바디(11)의 내면 곡률이 일치하므로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hanging
상기 핸들서포터(41)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터치부스터(48)의 부스터지지단(487)이 수용되는 지지단홈(416)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후단에는 상방이 개구된 '∪'형상의 지지단홈(416)이 형성된다.A
그리고,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외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된 측벽후크홈(417)이 형성되며, 이러한 측벽후크홈(417)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측벽후크(443)가 삽입되어 체결된다.In addition, as shown, a side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터치부스터(48)의 걸림리브(488)가 안착되는 걸림리브홈(418)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더 형성되기도 한다.At the upper end of the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전면에는 그립부(401)가 더 형성되며, 이러한 그립부(401)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고무나 실리콘 재질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이와 같이 상기 그립부(401)가 플라스틱이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손으로 잡는 경우에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으며,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As such, when the
상기 그립부(4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측면에서 볼 경우)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전면은 물론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저면에도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그립부(401)는 상기 기둥프레임(412)이나 측벽프레임(411)에 용접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립부(401)는 상기 기둥프레임(412)과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가는 원기둥 등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그리고, 상기 그립부(401)의 일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었을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서 요철 형상 또는 주름 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401)를 안정적으로 쥐고 상기 전기 주전자(1)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ncave-convex shape or a wrinkle shap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상기 그립부(401)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쥐었을 한층 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저면에는 손잡이캡(402)이 더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캡(402)은 상기 손잡이(40)의 하단을 감싸는 것으로 상기 기둥프레임(412)에 용접 또는 접착제 등으로 결합되거나, 억지끼움 또는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A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후면(도 12에서는 전면)에는 하나 이상의 기둥후크홀(403)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둥후크홀(403)이 상하로 2개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둥후크홀(403)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기둥후크(444)가 체결된다.One or more pillar hook holes 403 are formed in the rear surface (front surface in FIG. 12 ) of the
상기 핸들커버(42)는 상기 바디(10) 등과 같이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잡이(40)의 외형을 형성하여 외장재(decoration) 기능을 하기도 한다. The
상기 핸들커버(42)는,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적어도 일면을 감싸는 기둥편(422)과, 상기 기둥편(422)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외부를 감싸는 측편(421)과,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개구된 상부를 차폐하는 상편(43)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기둥편(4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후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둥편(422)은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후면 곡률 및 형상과 대응되도록 성형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측편(421)은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측벽프레임(411)을 감싸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기둥편(422)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다.The
상기 상편(43)은 상기 핸들서포터(41)의 개구된 측벽프레임(411) 상방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측편(42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와 같은 상기 핸들커버(42)의 상기 손잡이(4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고급스러운 질감을 가지도록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 등과 같은 견고하면서도 매끈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is is to form the exterior of the
상기 핸들커버(42)는, 상기 핸들서포터(41)에 후크(hook) 결합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핸들서포터(41)와 핸들커버(42)는, 후크(hook)가 더 구비되어 원터치(one touch) 결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핸들커버(42)의 내측면에는 커버브라켓(44)이 더 구비되는데, 이러한 커버브라켓(44)에는 하나 이상의 후크(hook)가 구비된다.Specifically, a
상기 커버브라켓(44)은 상기 핸들커버(42)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브라켓(44)은, 상기 핸들커버(42)의 내측면에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해 밀착 고정된다.Preferably, the
상기 커버브라켓(44)은,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측부(441)와,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기둥부(442)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브라켓(44)은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The
따라서, 상기 기둥부(442)는 상기 핸들서포터(41)의 기둥프레임(412)의 후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측부(441)는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형상(상방에서 볼 경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물론, 이러한 커버브라켓(44)의 형상은 상기 핸들커버(42)의 내면 형상 및 곡률과도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상기 핸들커버(42)의 내면에 밀착 고정된다.Of course, the shape of the
상기 핸들서포터(41)와 커버브라켓(44)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되는 후크(443,444)와 후크홈(403,417))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브라켓(44)은 상기 핸들커버(42)에 일체로 부착된 상태로 상기 핸들서포터(41)와 원터치(one touch)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핸들커버(42)가 상기 핸들서포터(41)에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핸들서포터(41)와 커버브라켓(44)에는 각각 서로 결합되는 후크(443,444)와 후크홈(403,417) 등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후크(443,444)와 후크홈(403,417)은 상기 측벽프레임(411)과 측부(441) 그리고 상기 기둥프레임(412)과 기둥부(442)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후크(443,444)는, 상기 커버브라켓(44)의 측부(441)에 구비되는 측벽후크(443)와 상기 커버브라켓(44)의 기둥부(442)에 구비되는 기둥후크(444)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벽후크(443)와 기둥후크(444)는 상기 커버브라켓(44)으로부터 절개되어 밴딩(bending)된 것이다.Accordingly, th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측벽프레임(411)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 측면에 각각 한 쌍의 측벽후크홈(417)이 내측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그리고, 상기 핸들서포터(41)의 기둥프레임(412) 후면에는 기둥후크홀(403)이 형성된다. 상기 기둥후크홀(403)은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후면을 전후로 관통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기둥후크홀(403)이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후면을 전후로 관통하는 홀(hole) 형태 외에 내측(전방)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a
한편, 상기 커버브라켓(44)에는 측벽후크(443)와 기둥후크(444)가 각각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측벽후크(4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브라켓(44)의 측부(441)로부터 일정 부분이 절개된 것이며, 상기 기둥후크(444)는 상기 커버브라켓(44)의 기둥부(442)로부터 일정 부분이 절개된 것이다.As shown, the
상기 측벽후크(443)는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측벽후크홈(417)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핸들커버(42)와 상기 핸들서포터(41)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측벽후크(443)가 상기 측벽후크홈(417)에 수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상기 측벽후크(4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상기 측부(441)에 연결되고, 상단은 내측으로 밴딩(bending)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핸들커버(42)와 상기 핸들서포터(41)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측벽후크(443)의 상단부가 상기 측벽후크홈(417)에 수용되어 핸들커버(42)는 핸들서포터(41)의 상방 이탈이 방지된다.And, the
상기 기둥후크(444)는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기둥후크홀(40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핸들커버(42)와 상기 핸들서포터(41)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기둥후크(444)가 상기 기둥후크홀(403)에 삽입되어 걸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상기 기둥후크(4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상기 기둥부(442)에 연결되고, 하단은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핸들커버(42)와 상기 핸들서포터(41)가 서로 결합될 때 핸들커버(42)를 핸들서포터(41)의 후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아래로 내리면 상기 기둥후크(444)가 상기 기둥후크홀(403)에 저절로 삽입되어 핸들커버(42)는 핸들서포터(4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And, as shown, th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기둥후크(444)는, 상기 기둥부(442)로부터 절개되어 기둥부(442)와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수용부(444a)와, 상기 수용부(444a)의 일단(상단)으로부터 벤딩(bending)되어 상기 수용부(444a)와 기둥부(442)를 연결하는 지지부(444b)와, 상기 수용부(444a)의 다른 일단(하단)으로부터 밴딩(bending)되어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444c) 등으로 이루어진다.Looking more specifically, the
따라서 상기 기둥후크(444)는 전체적으로는 '┏'형상(우측방에서 볼 경우)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의 가이드부(444c)는 전방(우측에서 볼 경우에는 좌측)으로 밴딩(blending)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444a)와 상기 기둥부(442) 사이의 거리는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후면 두께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이렇게 되면, 상기 핸들커버(42)를 상기 핸들서포터(41) 후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아래로 내리면, 상기 기둥후크(444)의 가이드부(444c)가 상기 기둥후크홀(403) 속으로 저절로 들어가게 되고, 계속 핸들커버(42)를 아래로 내리면 상기 수용부(444a)는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상기 핸들커버(42)는 핸들서포터(41)에 결합되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그리고,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내측에는, 피시비(PCB)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rib)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ribs for supporting the PCB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은, 상기 이너바디(12)에 결합되는 부착부(151)와,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에 결합되는 체결부(152)와, 서로 이격된 상기 부착부(151)와 체결부(15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53)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부착부(151)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너바디(12)에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착부(151)가 좌우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부착부(151)는 3개 또는 그 이상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상기 체결부(152)는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부(152)는 상기 손잡이체결부(413)과 대응되도록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트(bolt) 등이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154)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손잡이(40)에는, 상기 히팅모듈(5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거나 상기 바디(10) 내부의 내용물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45)이 구비된다. Meanwhile, the
상기 제어수단(45)은, 상기 핸들서포터(41)와 핸들커버(42) 사이에 구비된다. 즉, 상기 손잡이(40)의 핸들서포터(41)를 구성하는 측벽프레임(411)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에 다수의 전장부품을 포함하는 제어수단(45)이 설치된다.The control means (45) is provided between the handle supporter (41) and the handle cover (42). That is, a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side the
한편,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은 사용자가 전기 주전자(1)의 작동을 조작하도록 하는 조작부 또는 사용자가 전기 주전자(1)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에는,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touch)에 의해 전기 주전자(1) 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제1조작부(431)와,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touch)에 의해 상기 바디(10) 내부의 온도를 설정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제2조작부(432) 등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상기 제1조작부(4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중심부는 상하로 유동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제2조작부(432)는 상기 제1조작부(431)의 앞측에 구비되며, 이러한 제2조작부(432)도 상하로 유동되도록 탄성을 가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제2조작부(432)의 전후에는 제2조작부(432)가 상하로 일정 부분 유동 가능하도록 소정 크기의 절개선(432a)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제2조작부(432)의 전방 즉, 상기 상편(43) 중 바디(10)에 근접한 부분에는 다수의 투시홀(433)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투시홀(433)은 아래에서 설명할 발광소자(477) 불빛이 상기 상편(43) 상측으로 투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홀(hole)이다.A plurality of see-through
그리고, 이러한 투시홀(433) 옆에는 투시홀(433)에 표시되는 빛이 온도를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온도 표시가 더 인쇄되기도 한다.In addition, a temperature display for allowing the light displayed on the see-through
상기 제어수단(45)은, 다수의 제어부품이 구비되는 메인피시비(46)와, 상기 상편(43)의 제1조작부(431) 또는/및 제2조작부(432)를 통해 전달되는 누름 또는 터치(touch)를 감지하는 터치피시비(47)와, 상기 상편(43)의 제1조작부(431) 또는/및 제2조작부(432)의 누름이나 터치가 상기 터치피시비(47)로 오작동없이 전달되도록 하는 터치부스터(48) 등으로 구성된다.The control means 45 includes a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 하측에는 상기 터치부스터(48)가 밀착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터치부스터(48)와 핸들커버(42)의 상편(43) 사이에는 터치부스터(48)가 상편(43)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양면테이프(451)가 사용되기도 한다.In more detail, the
상기 터치부스터(48)의 하측에는 상기 터치피시비(47)가 설치된다. 상기 터치피시비(47)도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저면에 밀착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터치부스터(48)와 터치피시비(47) 사이에도 두 부품의 결합을 위한 양면테이프(451)가 사용될 수 있다.The
상기 터치피시비(47)의 하측에는 메인피시비(46)가 구비된다.A
상기 메인피시비(46)는 전기 주전자(1)의 각종 기능을 설정하거나 작동 등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다수의 전장부품 등이 설치된다. 즉, 상기 메인피시비(46)는 전기 주전자(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히터모듈(50)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히터(5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메인피시비(46)는 상기 터치피시비(47)와 결합되며, 이를 위해 상기 터치피시비(47)와 메인피시비(46)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되는 상커넥터(47a)와 하커넥터(46a)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메인피시비(46)의 하측에는 전원연결 또는 데이터 인출입을 위한 연결커넥터(46b)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상기 터치피시비(47)는,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에 형성되는 제1조작부(431) 또는 제2조작부(432)의 누름 동작이나 터치(touch)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는 인디게이터기판(471)과, 상기 터치부스터(48)의 터치전달부(481)로부터 전달되는 누름 동작을 상기 인디게이터기판(471)의 센서로 전달하는 터치기판(473)과, 상기 인디게이터기판(471)과 터치기판(47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인디게이터기판(471)에 구비되는 센서가 외부의 간섭으로부터 차단되도록 보호하는 보호기판(475)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이와 같이 상기 터치피시비(47)는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하측에는 터치센서(472)와 같은 사용자의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 등이 설치되는 인디게이터기판(471)이 구비되고, 상기 인디게이터기판(471)의 상측에는 터치센서(472) 등과 같은 부품들이 외부 타 부품과 간섭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보호기판(475)이 구비되며, 이러한 보호기판(475)의 상측에는 상기 터치부스터(48)로부터 전달되는 동작을 터치센서(472) 등에 전달하기 위한 터치기판(473)이 구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터치센서(472)는 오감지를 방지하고 스테인레스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핸들커버(42)의 터치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압전소자를 이용한 피에조(Piezo) 타입의 터치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부(431,432)의 조작시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의 변형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이 빈번하게 닿을 수 있는 상기 손잡이(40)에서의 오인식을 방지하고 유효 조작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The
상기 터치센서(472)는 상기 조작부(431,432)와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431,432)를 누르게 되면 상기 터치센서(472)는 이를 감지하여 동작을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터치피시비(47)의 일측 또는 일단에는, 상기 바디(10)의 온도 상태 또는 온도 설정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발광소자(477)가 구비된다. 즉, 상기 터치피시비(47)의 선단(도 14에서는 좌측단)에는 다수의 발광소자(477)가 구비된다. 상기 발광소자(477)는 상기 투시홀(433)과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인디게이터기판(471)의 선단(도 14에서는 좌측단)에는 다수의 발광소자(477)가 구비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소자(477)가 총 5개의 세트로 등(等) 간격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하나의 세트에는 각각 빨강 불빛과 흰색 불빛을 발산하는 2개의 엘이디(LED)가 쌍을 이루고 있다.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따라서, 가열 상태나 보온 상태 등을 서로 다른 불빛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일례로 계속 가열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소자(477)의 엘이디(LED) 중 백색 엘이디(LED)가 켜지도록 하여 가열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고, 가열이 완료되어 보온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발광소자(477) 중 적색 엘이디(LED)가 켜지도록 하여 상기 투시홀(433)을 통해 적색 불빛이 새어나오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온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heating state or the keeping warm state with different lights. That is, in the case of continuous heating as an example, the white LED among the LEDs of the
이와 같이, 상기 발광소자(477)는 상기 터치피시비(47)의 선단에 등(等)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서로 다른 색상을 표출하는 2개 이상의 엘이디(LED)가 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way, a plurality of the
상기 터치피시비(47)의 일측에는, 상기 발광소자(477)를 감싸는 엘이디커버(49)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터치피시비(47)의 상면에 설치되는 발광소자(477) 상측에는 엘이디커버(49)가 더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477)의 상측을 감싸게 된다.An
상기 엘이디커버(49)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소자(477)에서 발광되는 빛이 통과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엘이디커버(49)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엘이디커버(49)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 빛의 확산 및 분산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소자(477)에서 조사되는 빛이 보다 밝게 빛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상기 엘이디커버(49)는,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477)를 각각 감싸는 다수의 개별커버(491)와, 상기 개별커버(491)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개별커버(491)를 지지하는 커버대(492)와, 상기 다수의 개별커버(491)와 상기 커버대(492)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커버연결부(493)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다수의 개별커버(491)는, 상기에서 설명한 각각의 발광소자(477) 즉, 2개의 엘이디(LED)가 세트로 이루어져 한 쌍(적색LED와 백색LED)을 구성하는 총 5개의 발광소자(477)를 각각 덮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개별커버(491)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커버대(492)에 연결된다.The plurality of individual covers 491, each of the
상기 개별커버(491)에는, 상기 발광소자(477)가 수용되는 엘이디홈(494)이 일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즉, 상기 개별커버(491)는 상기 발광소자(477)의 상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개별커버(491)의 저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엘이디홈(494)이 형성되고, 이러한 엘이디홈(494)은 상기 엘이디커버(49)가 상기 발광소자(477)를 덮을 때 각각의 발광소자(477)가 수용되는 부분이다.In the
상기 개별커버(491)는, 상기 터치피시비(47)의 일면에 접하는 베이스돔(491a)과, 상기 베이스돔(491a)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중간돔(491b)과, 상기 중간돔(491b)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상단돔(491c) 등으로 구성된다.The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돔(491a)은 상기 개별커버(491)의 하단을 구성하여 터치피시비(47)의 상면에 밀착되는 부분이며,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아래에서 설명할 터치부스터(48)의 커버홈(483)에 수용되는 부분이다.Specifically, the
상기 중간돔(491b)은 상기 베이스돔(491a)의 상면으로부터 싱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부분이며, 상기 베이스돔(491a)보다 작은 크기의 평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돔(491b)은 아래에서 설명할 터치부스터(48)의 중간홀(484)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중간돔(491b)은 아래에서 설명할 중간홀(484)과 대응되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상단돔(491c)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돔(491b)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중간돔(491b)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돔(491c)은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에 형성되는 투시홀(433)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부분이다. As shown, the
따라서, 상기 상단돔(491c)은 상기 투시홀(433)과 대응되는 형상(원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단돔(491c)의 외경은 상기 투시홀(433)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돔(491c)은 상기 투시홀(433)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투시홀(433)을 통해 상기 손잡이(40)의 외부에서 내부로 물 등이 침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Therefore, the
상기 터치부스터(48)는 전체적으로는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터치부스터(48)에는,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에 형성되는 제1조작부(431) 또는 제2조작부(432)의 누름 동작을 상기 터치피시비(47)로 전달하는 터치전달부(481)가 형성된다. 즉, 상기 터치부스터(48)에는 상기 제1조작부(431) 또는 제2조작부(432)의 설치위치와 오버랩(overlap)되는 위치에 터치전달부(481)가 각각 형성된다.In the
상기 터치전달부(481)는,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에 형성되는 제1조작부(431) 또는 제2조작부(432)의 중앙 하측에 위치된다.The
상기 터치전달부(481)는, 상기 터치부스터(48)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연결리브(482a)에 의해 터치부스터(48)에 연결되어 상하로 탄성 유동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터치전달부(481)는 중앙부가 상하로 일정 부분 유동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터치부스터(48)에는 상기 핸들커버(42)의 제1조작부(431)와 제2조작부(432) 하측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부스터홀(48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부스터홀(482)의 중앙에 상기 터치전달부(481)가 소정 크기의 사각평판으로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그리고, 상기 터치전달부(481)는 상기 부스터홀(482)의 크기보다 작으므로, 이러한 터치전달부(481)를 상기 터치부스터(48)와 연결하기 위해 연결리브(482a)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since the
상기 연결리브(482a)는, 'ㄱ' 또는 'ㄴ' 형상(상방에서 볼 때)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양단은 상기 터치전달부(481)와 터치부스터(48)에 각각 일체로 연결된다.The connecting
이와 같이 상기 터치전달부(481)가 상기 부스터홀(482) 중앙에 연결리브(482a)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사용자의 누름 동작이 상기 터치피시비(47)로 잘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터치전달부(481)는 상기 연결리브(482a)에 의해 탄성을 가져 상하로 유동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핸들커버(42)의 제1조작부(431)와 제2조작부(432)에 정확하게 누름 동작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러한 누름 동작이 상기 터치피시비(47)로는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forming the
상기 터치전달부(481)의 일면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누름돌기(481a)가 더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전달부(481)의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누름돌기(481a)가 더 형성된다. 상기 누름돌기(481a)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기판누름부(473a) 상면에 접하거나 이격된 위치에 오버랩(overlap)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A
상기 터치기판(473)에는, 상기 터치부스터(48)의 누름돌기(481a)와 접하여, 상기 누름돌기(481a)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인디게이터기판(471)의 센서로 전달하는 기판누름부(473a)가 더 구비된다.The
상기 기판누름부(473a)는, 상기 터치기판(473)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터치리브(473b)에 의해 연결되어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The
구체적으로는 상기 터치전달부(481)와 마찬가지로, 상기 기판누름부(473a)도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터치기판(473)에는 상기 터치부스터(48)의 부스터홀(482)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기판홀(473c)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기판홀(473c)의 중앙에는 기판누름부(473a)가 구비된다.Specifically, similarly to the
그리고, 상기 기판누름부(473a)는 전후좌우로 형성된 터치리브(473b)에 의해 상기 터치부스터(48)에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기판누름부(473a)는 상하로 소정 크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터치피시비(47)로부터 전달되는 정확한 누름 동작만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상기 터치부스터(48)에는, 상기 개별커버(491)의 베이스돔(491a)이 수용되어 장착되는 커버홈(483)과, 상기 개별커버(491)의 중간돔(491b)이 삽입 설치되는 중간홀(484)이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선단(도 17에서는 좌측단)에는, 터치부스터(48)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홈(483)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커버벽(485)이 형성된다. 즉,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좌측단(도 17에서)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사각 형상의 커버벽(485)이 형성되며, 이러한 커버벽(485)의 내부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소정 크기의 커버홈(483)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상기 커버홈(483)은 상기 터치부스터(48)의 하측에 상기 엘이디커버(49)가 결합될 때, 상기 엘이디커버(49)의 베이스돔(491a)이 수용되는 부분이다.The
상기 커버홈(483)의 상면에는 중간홀(48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중간홀(484)은 상기에서 설명한 엘이디커버(49)의 중간돔(491b)과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중간홀(484)에는 상기 터치부스터(48)의 하측에 상기 엘이디커버(49)가 결합될 때 상기 엘이디커버(49)의 중간돔(491b)이 삽입된다.An
상기 커버벽(485)에는, 상기 커버연결부(493)가 수용되는 연결홈(485a)이 일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벽(485)의 우측(도 17에서) 벽에는 연결홈(485a)이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홈(485a)은 상기 터치부스터(48)의 하측에 상기 엘이디커버(49)가 결합될 때, 상기 엘이디커버(49)의 커버연결부(493)가 수용되는 부분이다.A
상기 커버벽(485)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홈(483)에 수용된 상기 베이스돔(491a)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커버후크(486)가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벽(485)의 좌측단에는 좌측 또는 하측으로 더 돌출된 커버후크(486)가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커버홈(483)에 수용된 상기 베이스돔(491a)이 다시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On one side of the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일단에는, 상기 핸들서포터(41)의 기둥프레임(412) 상단에 수용되는 부스터지지단(487)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우측단(도 17에서)에는 하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부스터지지단(487)이 더 형성되는데, 이러한 부스터지지단(487)은 상기에서 설명한 핸들서포터(41)의 지지단홈(416)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At one end of the
이와 같이 상기 부스터지지단(487)의 하단이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지지단홈(416) 하단에 안착되면, 상기 터치부스터(48)는 상기 핸들서포터(41)에 안정적으로 놓여지기 된다. As such, when the lower end of the
따라서, 상기 부스터지지단(487)을 핸들서포터(41)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스크류나 체결수단이 불필요하다. 즉, 상기 부스터지지단(487)의 하단이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지지단홈(416) 하단에 안착되면 상기 터치부스터(48)의 하중이 지지되고, 여기에 상기 핸들커버(42)가 장착되면, 핸들커버(42)의 내면에 의해 외측(후측)으로의 유동도 방지된다.Accordingly, a separate screw or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그리고, 상기 부스터지지단(487)은 상기 핸들서포터(41) 기둥프레임(412) 후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 부스터지지단(487)의 일면에는, 상기 터치피시비(47) 또는 메인피시비(46)의 일단을 지지하는 기판지지턱(487a)이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부스터지지단(487)의 내면(도 17에서는 좌측면)에는 좌측(도 17에서)으로 돌출된 기판지지턱(487a)이 더 형성된다. On one surface of the
상기 기판지지턱(487a)에는 상기 터치피시비(47)의 인디게이터기판(471) 후단이 놓여져 지지된다.The rear end of the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기판지지턱(487a)이 상기 부스터지지단(487)의 하단에 추가로 더 형성되어, 상기 메인피시비(46)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nd, although not shown, such a
이와 같이, 부스터지지단(487)의 내면(전면)에 수평으로 기판지지턱(487a)이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어 상기 터치피시비(47)나 메인피시비(46) 등을 지지하게 되면, 스크류 등으로 터치피시비(47)나 메인피시비(46)를 고정할 필요도 없이 핸들서포터(41)에의 장착이 완료되게 된다.In this way, when one or more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부스터(48)와 터치피시비(47) 그리고 메인피시비(46)의 외곽 테두리는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측벽프레임(411) 내면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터치부스터(48)와 터치피시비(47), 메인피시비(46)가 각각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측벽프레임(411) 내부에 장착되고 나면, 전후좌우로의 유동도 방지된다.In addition, as shown, the outer edges of the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좌우 양단(도 17에서는 전후단)에는 걸림리브(488)가 전후(도 17에서)로 돌출되게 더 형성된다. 상기 걸림리브(488)는 상기 핸들서포터(41)의 걸림리브홈(418)에 삽입되는 부분이다.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touch booster 48 (front and rear ends in FIG. 17 ), engaging
이와 같이,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양단에 걸림리브(488)가 측방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되어 상기 핸들서포터(41)의 걸림리브홈(418)에 삽입되며,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터치부스터(48)가 핸들서포터(41)에 정위치에 안착되어 지지되게 된다. 즉, 상기 터치부스터(48)의 걸림리브(488)는 상기 핸들서포터(41)에 지지됨은 물론, 핸들커버(42)의 내면과도 접하게 될 것이므로 상기 터치부스터(48)는 상하는 물론 전후좌우와 같은 측방이동도 방지되어 고정된다.In this way, the locking
이처럼, 상기 터치부스터(48)는 상기 핸들커버(42)가 핸들서포터(41)에 장착되면, 상면은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 저면에 밀착되므로 상하로의 유동도 방지된다.As such, when the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에는, 상기 상단돔(491c)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투시홀(433)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투시홀(433)에는 상기 상단돔(491c)이 수용되어 상기 발광소자(477)의 빛이 상기 손잡이(40) 외부로 조사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40)의 상방에서 바디(10) 내부의 내용물이 가열 중인지 아니면 보온 중인지 등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한편,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손잡이(40) 내부의 공간에는 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40)의 내부 공간에 통신부가 구비되어 전기 주전자(1)가 무선 통신으로 제어되거나 정보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 communication unit may be provided in the space inside the
이러한 통신부는,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엔에프시(NFC)와 같은 통신 가능한 다양한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메인피시비(46) 등과도 연결되어 전기 주전자(1)의 전체적인 동작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Such a communication unit may be composed of various communication modules capable of communication, such as Wifi, ZigBee, and NFC.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도 21 내지 도 28에는 상기 손잡이(40)의 다른 실시예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1와 도 22에는 상기 손잡이(40)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3에는 손잡이(40)의 다른 실시예에서 핸들커버(42)가 제거된 상태의 절개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4에는 손잡이(40)의 다른 실시예가 바디(10)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5와 26에는 손잡이(40)의 다른 실시예가 이너바디(12) 및 아우터바디(11)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27과 도 28에는 상기 손잡이서포터(41) 및 손잡이브라켓(15)의 다른 실시예 구성이 사시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21 to 28 show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손잡이(40)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상기에서 설명한 것도 동일한 부품의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40)를 구성하는 핸들서포터(41) 및 손잡이브라켓(15)의 구성만 일부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As show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본 실시예에서 핸들서포터(41)는 선단부에 손잡이체결부(413)이 소정 크기의 평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손잡이체결부(413)은 전체적으로는 '⊃'형상(우측방에서 볼 경우)을 가지며, 3개의 스크류단(413c)이 원기둥 형상으로 성형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따라서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은 손잡이브라켓(15)에 3개의 스크류(screw) 등에 의해 체결된다.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의 전면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413b)가 더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413b)는 상기 스크류단(413c)을 서로 연결하거나, 중앙의 스크류단(413c)과 걸이단(415)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one or more reinforcing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의 상단에는 걸이단(415)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의 상면 선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걸이단(415)이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At the upper end of the
상기 걸이단(415)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 상단에 걸리는 부분이다.The hanging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내측에는 피시비(PCB)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안착리브(411a)가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내측면 하반부에는 좌우에 쌍으로 안착리브(411a)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e or
상기 안착리브(411a)의 상단은 상기 메인피시비(46)의 좌우 양단 저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메인피시비(46)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The upp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지지단홈(416) 하측에는 작업홈(416a)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더 형성된다. 상기 작업홈(416a)은 작업자가 드라이버(driver) 등을 핸들서포터(41)의 후방(도 25에서는 우측)에서 삽입하여 상기 스크류단(413c)에 스크루(screw) 등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홀(hole)이다.In addition, a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브라켓(15)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은 도 28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에서도 손잡이브라켓(15)은 3개의 스크루(screw)를 사용하여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것 외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각 부의 기능과 형태를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브라켓(15)은, 상기 이너바디(12)에 결합되는 부착부(151)와,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에 결합되는 체결부(152)와, 서로 이격된 상기 부착부(151)와 체결부(15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53) 등으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기 부착부(151)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너바디(12)에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 고정된다.In addition, the
다만, 여기에서는 스크류(screw)가 체결되는 체결홀(154)이 3군데 형성되며, 상기 부착부(151)도 좌우 외에도 하측에 추가로 하나 더 형성되는 구성이 상기에서와 상이할 뿐 나머지 기능과 역할은 동일하다.However, here, three
도 29 내지 도 32에는 상기 손잡이(40)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9에는 상기 손잡이(40)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0에는 도 29에 도시된 손잡이(40)가 바디(10)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1에는 도 29에 도시된 손잡이(40)를 구성하는 핸들서포터의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2에는 도 29에 도시된 손잡이(40)를 구성하는 터치부스터(48)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29 to 32 show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이들 도면에 도시된 상기 손잡이(40)의 또다른 실시예는 상기에서 설명한 손잡이(40)와 기본적인 기능과 구성은 동일하므로 상기에서 설명한 세부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은 반복 설명을 생략하고, 새로운 추가된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외측에는, 손잡이(4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나 이물질을 차단하는 차단부재(600)가 구비된다. 상기 차단부재(600)는, 상기 바디(10)에 체결되는 손잡이(40)의 바디(10) 방향 일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차단부재(600)는, 상기 손잡이(4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잡이(40)와 바디(10)가 체결되는 부위인 손잡이(40)의 바디(10) 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On the outside of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손잡이(40)에는 외부로부터 손잡이(4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나 이물질을 차단하는 차단부재(600)가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에 체결되는 손잡이(40)의 손잡이체결부(413)에 차단부재(600)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 손잡이(4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상기 차단부재(600)는, 상기 손잡이(40)의 손잡이체결부(413)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600)는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의 상면 우측단(도 31에서)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blocking
따라서, 상기 손잡이(40)와 바디(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물 등이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의 상면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손잡이(40)에는 PCB 등이 구비되는 제어수단(45)이 구비되는데, 상기 차단부재(600)는 외부로부터 상기 제어수단(45)으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ater flow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차단부재(600)는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의 상면 우측단에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한 쌍의 측벽프레임(411) 내부를 전후(도 31에서)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blocking
한편, 상기 손잡이(40)에는 외부의 물이나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방지부재(61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손잡이(40)에는 상기 차단부재(600) 외에 방지부재(610)가 더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물이나 이물질이 손잡이(4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방지부재(610)는, 상기 차단부재(6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단부재(600)와 같이 외부로부터 물이나 이물질이 상기 손잡이(4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방지부재(610)는, 상기 제어수단(45)을 구성하는 터치부스터(48)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40)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어수단(45)으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상기 방지부재(610)는,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일단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지부재(610)는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좌측단(도 32에서)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지부재(610)는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좌측단(도 32에서)으로부터 하측 및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방지부재(610)는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좌측단(도 32에서)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하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방지부재(610)의 하단은, 상기 손잡이(40)의 손잡이체결부(413) 상면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가 조립된 상태(도 30 참조)에서는 상기 방지부재(610)의 하단이 상기 손잡이체결부(413) 상면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상기 손잡이(40)와 바디(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물 등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의 상면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어수단(45)으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The lower end of the preventing
이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600)는 상기 손잡이(40)의 손잡이체결부(413)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방지부재(610)는 하단이 상기 손잡이(40)의 손잡이체결부(413) 상면과 접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600)와 방지부재(610)는 외부로부터 물이나 이물질이 상기 손잡이(40) 내부 특히 상기 제어수단(45)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blocking
한편, 상기 방지부재(610)는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방지부재(610)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거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지부재(610)는 폼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의 상면 선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걸이단(415)이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 상단에 걸리게 되며, 이러한 걸이단(415)의 우측(도 30 및 도 31에서)에 상기 차단부재(600)와 방지부재(610)가 위치된다. 즉, 도시(도 30 및 도 31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단(415)은 상기 손잡이체결부(413) 상면 좌측단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재(600)는 상기 손잡이체결부(413) 상면 우측단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지부재(610)는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좌측단(도 30 및 도 32에서)에 부착된 상태로 체결되어 상기 걸이단(415)의 우측(도 30에서)에 상하로 서로 교차되게 접하게 된다. 물론, 상기 방지부재(610)가 상기 걸이단(415)의 우측(도 30에서)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러한 방지부재(610)의 하단은 상기 손잡이체결부(413) 상면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a hanging
이렇게 되면, 상기 바디(10)의 상측 또는 상기 손잡이(40)의 상측으로 물이 낙하하는 경우에도 상기 손잡이(40)와 바디(10)의 틈새 등으로 침투한 물이 상기 걸이단(415)의 우측으로 넘어오더라도 상기 방지부재(610) 및 차단부재(600)에 막혀 우측으로 이동하여 손잡이(40) 내부로 유입되지는 않게 된다.In this case, even when water falls on the upper side of the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ke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1)의 사용을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60)에 연결된 전원선(도시되지 않음)을 콘센트에 꽂아 전원이 연결되도록 한다. First, in order to use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바디(10) 내부의 가열 공간(101)에 물이나 내용물을 넣고, 상기 바디(10)를 상기 베이스(60)에 올려놓게 된다.In this state, water or contents are put into the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되면,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과 로어 전원 모듈(64)은 서로 접하여 상기 베이스(60)로부터 상기 바디(10)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When the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0)의 상편(43)의 누름부를 조작하여 상기 히터(54)의 가열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투시홀(433)과 같은 표시부를 통해 설정된 온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조작부(431) 또는 제2조작부(432) 등을 조작하여 상기 가열공간(101)에 수용된 물의 가열 시작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온오프 버튼인 상기 제1조작부(431)를 눌러 상기 히터(54)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물의 가열과 중단을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user may operate the pressing part of the
그리고, 상기 제2조작부(432)를 눌러 조작함으로서 온도의 설정 및 조작의 지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두개 이상의 조작부(누름부)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And, by pressing and operating the
이러한 조작에 의해 상기 히터(54)는 동작이 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54)의 발열에 의해 상기 가열 공간(10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될 수 있다. By this operation, the
상기 온도센서(53)에 의해 상기 가열 공간(101) 내부의 물이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히터(54)는 동작을 중지하게 되며, 전기 주전자(1)는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When the water in the
전기 주전자(1)의 동작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0)를 쥐고 상기 바디(10)를 들어올려 상기 베이스(60)와 분리할 수 있으며, 전기 주전자(1)를 기울여 가열된 물을 상기 출수구(30)를 통해 따를 수 있게 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전기 주전자(1)는 물이 가열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이중 구조에 의해 열 전도를 줄이거나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바디(10)의 외측면과 접촉하게 되더라도 과도하게 뜨겁지 않게 되어 사용상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히터(54)가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가The
열된 물의 온도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water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한편,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10)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손잡이(4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On the other hand, the
먼저 상기 핸들서포터(41)에는 상기 제어수단(45)들과 같은 부품들이 장착을 완료하고, 다음으로는 상기 핸들서포터(41)에 핸들커버(42)를 결합하게 된다.First, parts such as the control means 45 are installed in the
이때, 상기 핸들커버(42)의 내면에는 상기 커버브라켓(44)이 용접 등으로 고정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커버(42)를 상기 핸들서포터(41)의 후측에서 근접시킨다.At this time, the
정확하게는 상기 핸들커버(42)가 상기 핸들서포터(41)보다 약간 높은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핸들서포터(41)의 후면에 밀착시킨다.Precisely, in a state where the
이렇게 되면, 상기 핸들커버(42)의 후면이 핸들서포터(41)의 후면에 밀착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핸들커버(42)를 아래로 내린다.In this case, the rear surface of the
상기 핸들커버(42)가 아래로 내려오면, 상기 커버브라켓(44)의 기둥부(442)가 상기 핸들서포터(41)의 기둥프레임(412) 후면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기둥후크(444)의 가이드부(444c)가 상기 기둥후크홀(403)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측벽후크(443)는 상기 측벽후크홈(417)에 수용된다.When the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핸들커버(42)는 핸들서포터(41)에 밀착 고정되고, 손잡이(40)이 조립이 완료된다.In this way, the
상기 손잡이(40)의 조립이 완료되면, 다음으로는 상기 손잡이(40)를 상기 바디(10)에 체결한다.When the assembly of the
이처럼 상기 손잡이(4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40)의 선단을 상기 바디(10)의 선단에 근접시킨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은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이다.In this way, in the state in which the
이때 상기 손잡이(40)를 바디(10) 측으로 약간 기울이면서 근접시키면, 상기 손잡이(40)의 걸이단(415)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걸이단(415)이 상기 아우터바디(11) 내부에 수용되면 상기 손잡이(40)를 바로세운다.At this time, when the
이렇게 되면, 상기 손잡이(40)의 손잡이체결부(413)이 상기 손잡이브라켓(15)에 밀착되므로, 스크류(screw) 등을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체결부(413)과 손잡이브라켓(15)을 서로 체결한다.In this case, since the
이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손잡이(40)가 상기 바디(10)에 결합된다.When this process is completed, the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손잡이체결부(413)과 손잡이브라켓(15) 체결시 2개의 스크류(screw)를 사용하여 체결하는 구성과 3개의 스크류(screw)를 사용하여 체결할 수 있는 구성이 모두 도시되어 있다.And,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또한, 상기 걸이단(415)이 구성에 따라 상기 손잡이(40)를 바디(1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하측 또는 상측으로 내려 상기 손잡이체결부(413)과 손잡이브라켓(15) 체결하게 된다. 즉, 첫번째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단(415)이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때에는 상기 손잡이(40)를 바디(10)에 밀착시킨 다음 아래로 내려 체결하게 된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이와 반대로 상기의 다른 손잡이(40)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단(415)이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때에는 상기 손잡이(40)를 바디(10)에 밀착시킨 다음 위로 올려 체결하게 된다.Conversely, in the
이처럼 상기 걸이단(415)이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바디(11)에 결합된 상태가 도 26에 도시되어 있다.As such, a state coupled to the
물론, 상기 손잡이(40)를 먼저 조립하지 아니하고, 상기 손잡이(40)의 핸들서포터(41)를 먼저 상기 바디(10)에 결합한 다음 상기 핸들커버(42)를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먼저 상기 핸들서포터(41)를 도 25 및 도 26과 같이 상기 아우터바디(11)를 통과시켜 걸이단(415)이 손잡이홀(111)에 걸리도록 한 다음, 스크류(screw)를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체결부(413)을 상기 손잡이브라켓(15)에 체결한다.Of course, without assembling the
그런 다음 상기 핸들커버(42)를 상기 핸들서포터(41)에 밀착시켜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핸들커버(42)의 결합 이전에 상기 제어수단(45) 등이 먼저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Then, it will be possible to attach the
또한, 상기 손잡이(40)가 도 30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10)에 졀합되면 상기 걸이단(415)의 우측(도 30 및 도 31에서)에 상기 차단부재(600)와 방지부재(610)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바디(10)와 손잡이(40) 사이의 틈새로 물이 침투하더라도 상기 제어수단(45)이 구비된 손잡이(40) 내부로는 유입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above, and within the technical scope as described above,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1.전기주전자
10.바디
11.아우터바디
12.이너바디
13.투시창
15.손잡이브라켓
20.뚜껑
21.캡
30.출수구
40.손잡이
41.핸들서포터
42.핸들커버
43.상편
44.커버브라켓
45.제어수단
46.메인피시비
46a.하커넥터
46b.연결커넥터
47.터치피시비
47a.상커넥터
48.터치부스터
49.엘이디커버
50. 히팅모듈
51.히터어셈블리
52.히팅플레이트
53.온도센서
54.히터
55.어퍼 전원 모듈
56.바컴커버
60.베이스
64.로어 전원 모듈
101.가열공간
102.틈새공간
111.손잡이홀
112.출수구홀
113.아우터홀
121.이너상단부
123.이너홀
124.센서홀
125.출수공
135. 투시창가스켓
151.부착부
152.체결부
153.연결부
154.체결홀
401.그립부
402.손잡이캡
403.기둥후크홀
411.측벽프레임
411a.안착리브
412.기둥프레임
413.손잡이체결부
413a.브라켓체결홀
413b.보강리브
413c.스크류단
415.걸이단
415a.접합부
416.지지단홈
416a.작업홈
417.측벽후크홈
418.걸림리브홈
421.측편
422.기둥편
431.제1조작부
432.제2조작부
432a.절개선
433.투시홀
441.측부
442.기둥부
443.측벽후크
444.기둥후크
444a.수용부
444b.지지부
444c.가이드부
451.양면테이프
471.인디게이터기판
472.터치센서
473.터치기판
473a.기판누름부
473b.터치리브
473c.기판홀
475.보호기판
477.발광소자
481.터치전달부
481a.누름돌기
482.부스터홀
482a.연결리브
483.커버홈
484.중간홀
485.커버벽
485a.연결홈
486.커버후크
487.부스터지지단
487a.기판지지턱
488.걸림리브
491.개별커버
491a.베이스돔
491b.중간돔
491c.상단돔
492.커버대
493.커버연결부
494.엘이디홈
521.온도센서장착홀
531.센서패킹
561.바텀홀
600.차단부재
610.방지부재1.
11.
13.
20.Lid 21.Cap
30.
41.Handle supporter 42.Handle cover
43.
45. Control means 46. Main PCB
46a.
47.
48.Touch Booster 49.LED Cover
50.
52.
54.Heater 55.Upper power module
56.
64.Lower power module 101.Heating space
102.
112.
121. Inner
124.Sensor hole 125.Exit water hole
135.
152. Fastening
154.
402.
411.
412.
413a.
413c.
415a.
416a. Working
418. Interlocking
422.
432.
433. see-through
442.
444.
444b.
451. Double-
472.
473a.
473c.
477.
481a.
482a.
484.
485a.
487.
488. Locking
491a.
491c.
493.
521. Temperature
561.
610. Prevention member
Claims (20)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과;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바디 내부의 내용물이 가열되도록 열을 가하는 히팅모듈과;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아우터바디의 외측에는, 손잡이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나 이물질을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a body in which water or food is accommodated, and a double body including an inner body forming an inner appearance and an outer body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lid for shielding the opened upper side of the body;
a heating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pplying heat to heat the contents inside the body;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handle configured to be held by hand;
The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ide of the out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blocking member for blocking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inside from the outside of the handle.
상기 바디에 체결되는 손잡이의 바디 방향 일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cking member,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body direction of the handle fastened to the body.
상기 바디에 체결되는 손잡이의 손잡이체결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locking member,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of the handle fastened to the body.
상기 손잡이의 손잡이체결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blocking member,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of the handle.
상기 히팅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거나 상기 바디 내부의 내용물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재는,
외부로부터 상기 제어수단으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handle,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module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inside the body is provided;
The blocking member is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it blocks the inflow of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to the control means.
다수의 제어부품이 구비되는 메인피시비와;
상기 메인피시비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편의 전원조작부 또는/및 온도조작부를 통해 전달되는 누름 또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피시비와;
상기 터치피시비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조작부 또는/및 제2조작부의 누름이나 터치가 상기 터치피시비로 오작동없이 전달되도록 하는 터치부스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ntrol means,
a main PCB having a plurality of control parts;
a touch PCB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PCB and configured to sense a press or touch transmitted through the upper power control unit and/or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An electric kettle comprising a; a touch boost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uch PCB and configured to transmit a press or a touch of the first control unit or/and the second control unit to the touch PCB without malfunction.
상기 손잡이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어수단으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touch booster,
The electric kettle further comprising a preventing member for preventing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control means from the outside of the handle.
상기 터치부스터의 일단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eventing member,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protrude to one side from one end of the touch booster.
상기 손잡이의 손잡이체결부 상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preventing member,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of the handle.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eventing member,
An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elasticity.
폼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reventing member,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am tape.
외부로부터 물이나 이물질이 상기 손잡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According to claim 1, At one side of the blocking member,
The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eventing member for preventing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handle from the outside.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reventing member,
An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elasticity.
폼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reventing member,
An electric kettle made of foam tape.
상기 바디에 체결되는 손잡이의 손잡이체결부 일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According to claim 12, One end of the prevention member,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of the handle fastened to the body.
상기 방지부재는, 하단이 상기 손잡이의 손잡이체결부 상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blocking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of the handle;
The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prevent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fastening portion of the handle.
상기 손잡이를 구성하는 터치부스터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preventing member,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touch booster constituting the handle.
상기 터치부스터의 일단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reventing member,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protrude to one side from one end of the touch booster.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preventing member,
An electric kett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elasticity.
폼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preventing member,
An electric kettle made of foam tap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9905A KR20220072375A (en) | 2020-11-25 | 2020-11-25 | Electric kettle |
PCT/KR2021/017392 WO2022114771A1 (en) | 2020-11-25 | 2021-11-24 | Electric kett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9905A KR20220072375A (en) | 2020-11-25 | 2020-11-25 | Electric kett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2375A true KR20220072375A (en) | 2022-06-02 |
Family
ID=81754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9905A KR20220072375A (en) | 2020-11-25 | 2020-11-25 | Electric kettl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72375A (en) |
WO (1) | WO2022114771A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6420Y1 (en) | 2005-11-04 | 2006-01-20 | 주식회사 유니코사이버컴 | Multi-function Codeless Electric Pot |
US9226610B2 (en) | 2011-10-04 | 2016-01-05 | Pi-Design Ag | Double-walled liquid container |
EP2805650B1 (en) | 2013-05-21 | 2016-03-16 | Seb S.A. | Boiler comprising a sealed housing |
KR20170074313A (en) | 2015-12-21 | 2017-06-30 |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Electric kettle combined with blender and steam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9773Y1 (en) * | 2003-04-15 | 2003-07-12 | 권순희 | Warning System for Fryingpan Handle |
JP2011254938A (en) * | 2010-06-08 | 2011-12-22 | Tiger Vacuum Bottle Co Ltd | Electric water heater |
JP5637628B2 (en) * | 2011-05-24 | 2014-12-10 |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 Water heating vessel |
JP6525731B2 (en) * | 2015-05-28 | 2019-06-05 | 株式会社ハーマン | Cooking container equipped with a temperature detection unit |
-
2020
- 2020-11-25 KR KR1020200159905A patent/KR20220072375A/en unknown
-
2021
- 2021-11-24 WO PCT/KR2021/017392 patent/WO202211477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6420Y1 (en) | 2005-11-04 | 2006-01-20 | 주식회사 유니코사이버컴 | Multi-function Codeless Electric Pot |
US9226610B2 (en) | 2011-10-04 | 2016-01-05 | Pi-Design Ag | Double-walled liquid container |
EP2805650B1 (en) | 2013-05-21 | 2016-03-16 | Seb S.A. | Boiler comprising a sealed housing |
KR20170074313A (en) | 2015-12-21 | 2017-06-30 |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Electric kettle combined with blender and steam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14771A1 (en) | 2022-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20211327B2 (en) | Electric kettle | |
EP3915445B1 (en) | Electric kettle | |
US11944229B2 (en) | Electric kettle | |
EP3711640B1 (en) | Electric kettle | |
EP3711636B1 (en) | Electric kettle | |
EP3711637B1 (en) | Electric kettle | |
KR20210103851A (en) | Electric kettle | |
KR20220072375A (en) | Electric kettle | |
US11944228B2 (en) | Electric kettle | |
CN107752746B (en) | Cooking utensil | |
KR20210094984A (en) | Electric kettle | |
KR20210094983A (en) | Electric kettle | |
KR20210112592A (en) | Electric kettle | |
KR102573902B1 (en) | Electric kettle | |
KR20210117549A (en) | Electric kettle | |
KR20210112591A (en) | Electric kettle | |
KR20210117548A (en) | Electric kettle | |
CN219396918U (en) | Multi-liner electric rice cooker | |
CN218009381U (en) | Liquid heating utensil with acid-base monitoring function | |
KR102716254B1 (en) | electric kettle | |
KR20220111491A (en) | Electric kettle | |
CN212165616U (en) | Decorative sheet, control device assembly and cooking utensil | |
CN211704246U (en) | Electric cooker heated by far infrared | |
CN211324531U (en) | Intelligent temperature-displaying vacuum thermos bottle | |
CN208551235U (en) | The operation of heating vessel shows structure and milk warming dev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