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361A - 음료 추출용 드립백 - Google Patents

음료 추출용 드립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361A
KR20220072361A KR1020200159870A KR20200159870A KR20220072361A KR 20220072361 A KR20220072361 A KR 20220072361A KR 1020200159870 A KR1020200159870 A KR 1020200159870A KR 20200159870 A KR20200159870 A KR 20200159870A KR 20220072361 A KR20220072361 A KR 20220072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dy
filter paper
wing
drip ba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7550B1 (ko
Inventor
조윤정
Original Assignee
조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정 filed Critical 조윤정
Priority to KR1020200159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5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2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suspended from the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as to remain in contact with the prepared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피추출물이 충전되는 봉지 형상의 여과지 및 상기 여과지의 둘레에 끼워져 추출 용기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드립백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여과지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고, 상기 지지부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지지본체; 상기 지지본체의 외측 표면에 접힘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져, 하단이 추출 용기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날개부; 및 상기 지지본체의 내부에서 날개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의 접힘 정도를 조절하는 접힘조절부재;를 포함하여, 드립백이 컵의 내부에 인입되도록 배치되지 않고 컵의 상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져, 드립백의 여과지가 수용된 찻잎이나 커피 원두 등의 원료가 추출액에 잠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최종 추출액인 음료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추출용 드립백{Drip bag for extracting beverages}
본 발명은 음료 추출용 드립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립백이 컵의 내부에 인입되도록 배치되지 않고 컵의 상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져, 드립백의 여과지가 수용된 찻잎이나 커피 원두 등의 원료가 추출액에 잠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최종 추출액인 음료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음료 추출용 드립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립 커피(Drip coffee)란 로스팅 후 분쇄된 원두 커피를 필터에 담고, 그 위에 물을 부어 만드는 커피이다. 물은 중력하에 커피 원두층에 스며들어 커피 기름 성분과 에센스를 흡수한 다음 필터 아래쪽을 통과하며 통과한 커피 추출액은 필터 하부에 배치된 용기인 서버로 떨어진다.
이와 같은 드립 커피 제조 방식은 커피 세계에서 가장 흔한 커피 제조방식으로서, 자동 방식과 수동 방식으로 나뉘는데, 자동 방식은 커피 메이커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커피 메이커를 이용하면 소정 시간동안 규칙적으로 필터 상부에 물이 자동으로 공급되어, 기기 하부에 배치된 서버로부터 추출된 커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자동 방식의 드립 커피 제조 방법은 사용자가 기기를 한 번 세팅해두면 소정 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커피의 추출이 완료되므로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물의 온도, 원두에 커피가 머무르는 시간 등과 같은 파라미터에 따라 맛이 천차만별로 달라지는 커피의 특성상 일정한 맛의 드립 커피만이 제조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 수동 방식의 드립 커피 제조 방법은 수동식 드립-브류잉 기구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핸드드립 방식이라고도 한다. 구체적으로, 필터를 받칠 수 있는 받침대인 드리퍼에 필터를 끼워넣고, 필터에 분쇄된 원두를 담은 뒤 드리퍼를 컵 위에 설치하고, 뜨거운 물을 그 위에 붓는 순서로 수행되며, 원두층에 부어진 물은 드리퍼 하단의 홀을 통해 컵으로 드립되어 바로 음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수동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커피에 물을 부어 커피를 추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기호에 맞게 커피를 제조해서 음용할 수 있고, 전기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으며 사용, 세척 및 이동이 간편하여 접근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최근 들어 다양한 커피 전문점이 생겨나고 커피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해져 커피에 대한 전문 지식 및 기호를 갖춘 일반인이 증가함에 따라 이와 같이 기호에 따라 커피를 음용할 수 있고 쉽게 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수동 방식의 드립 커피 제조 방법이 각광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컵에 지지되는 구조를 가져 별도의 드리퍼 없이도 수동 방식으로 드립 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일회용 드립백(drip ba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일본 및 국내에서 상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드립백은 분쇄 원두가 채워져 밀봉된 여과지와 여과지 외부에 구비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여과지의 상부를 개봉하고 지지부를 파단 혹은 조립하여 지지 날개를 형성하면, 지지날개가 컵에 끼워져 드립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드립백은 지지 날개가 컵에 끼워지며 여과지의 하단이 컵에 인입되게 되는데, 이 경우, 추출 초기에는 상술한 드립 방식의 추출이 가능하나, 추출 중기나 후기에는 여과지의 하단이 추출액에 잠겨 침출 방식의 추출이 이루어지므로 커피의 풍미가 변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온전한 드립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새로운 일회용 음료 추출용 드립백에 관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633012호(2016.06.17. 등록)
본 발명에서는 드립백이 컵의 내부에 인입되도록 배치되지 않고 컵의 상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져, 드립백의 여과지가 수용된 찻잎이나 커피 원두 등의 원료가 추출액에 잠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최종 추출액인 음료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음료 추출용 드립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피추출물이 충전되는 봉지 형상의 여과지(100) 및 상기 여과지(100)의 둘레에 끼워져 추출 용기(20)에 지지되는 지지부(200)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여과지(10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지지부(20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지지본체(210); 상기 지지본체(210)의 외측 표면에 접힘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져, 하단이 추출 용기(20)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날개부(220); 및 상기 지지본체(210)의 내부에서 날개부(220)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220)의 접힘 정도를 조절하는 접힘조절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지(100)는 세로 주름이 형성된 주름지일 수 있다.
상기 날개부(220)는 제1 날개부(221), 제2 날개부(222), 제3 날개부(223) 및 제4 날개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힘조절부재(230)는, 제1 날개부(221) 및 제2 날개부(222)를 연결하는 제1 접힘조절부재(231); 및 제3 날개부(223) 및 제4 날개부(224)를 연결하는 제2 접힘조절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220)의 하단은 복수개의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돌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210)의 내측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21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형 리브(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2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13) 또는 파단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할 수 있는 절개선(21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추출용 드립백은, 드립백이 컵의 내부에 인입되도록 배치되지 않고 컵의 상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져, 드립백의 여과지가 수용된 찻잎이나 커피 원두 등의 원료가 추출액에 잠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최종 추출액인 음료의 풍미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의 개봉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을 구성하는 여과지(100)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여과지(100)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부(20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0)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0)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의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피추출물이 충전되는 봉지 형상의 여과지와 상기 여과지의 둘레에 끼워져 추출 용기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용 드립백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의 개봉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은 내부에 피추출물이 충전되는 봉지 형상의 여과지(100) 및 상기 여과지(100)의 둘레에 끼워져 추출 용기(20)에 지지되는 지지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추출 용기(20)는 컵일 수 있으나,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는 용기라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여과지(10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고, 상기 지지부(20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지지본체(210); 상기 지지본체(210)의 외측 표면에 접힘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져, 하단이 추출 용기(20)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날개부(220); 및 상기 지지본체(210)의 내부에서 날개부(220)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220)의 접힘 정도를 조절하는 접힘조절부재(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지지본체(21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여과지(100)의 하부 일부가 노출되도록 지지부(200)에 여과지(100)가 끼워진다. 따라서, 날개부(220)의 하단을 추출 용기(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입구 둘레에 지지되도록 배치시키면 피추출물이 수용된 여과지(100)의 최하부의 극히 일부만이 추출 용기(20)의 내부로 인입되므로 음료 추출시 피추출물이 이미 추출된 음료에 잠기지 않아 종래의 드립백과 달리 침출 방식의 추출이 방지되고, 온전히 드립 방식으로 음료의 추출이 가능하므로, 음료의 맛과 향을 더욱 고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접힌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220)의 최대 거리(L)는 약 12cm일 수 있다. 이때 최대 거리(L)는 일측 날개부(220) 하단의 일단과 타측 날개부(200) 하단의 타단을 연결하는 거리로, 도 1에서 좌측에 배치된 날개부(200)의 좌측 하단 꼭지점과 우측에 배치된 날개부(200)의 우측 하단 꼭지점을 잇는 거리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을 구성하는 여과지(100)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여과지(100)는 다공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여과성 시트재료로, 열가소성 합성 섬유나 천연 섬유 또는 생분해성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여과지(100)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 같은 합성 섬유,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같은 천연 섬유 또는 폴리젖산,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 폴리에틸렌석시네이트 등의 생분해성 섬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재료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동일 재료 혹은 이종 재료로 구성된 여과성 시트 재료가 2층 이상 적층되어 여과지(100)로 이용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장섬유 부직포와 단섬유 부직포를 적층하고 열 엠보싱 가공을 하여 얻어진 적층 부직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여과지(100)는 내부에 커피 원두나 찻잎과 같은 피추출물이 수용되어 밀봉된 것일 수 있으며, 여과지(100)의 상단에는 절취선(110)이 구비되어, 사용시 절취선(100)을 따라 절취하면 여과지(100)가 개봉되어 물을 부어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여과지(100)는 지지본체(210)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접착되어 여과지(100)와 지지부(200)가 일체형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여과지(10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면, 접힌 상태에서 여과지(100)의 형태는 꼭지점이 하부에 위치하는 역삼각형, 부채꼴, 마름모 등의 형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역삼각형일 수 있다. 따라서 여과지(100)와 동일 혹은 유사하게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지지본체(210)에 여과지(100)가 끼워져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여과지(100)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여과지(100)는 세로 주름이 주름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여과지(100)의 표면적이 넓어져 여과지(100) 내에 머무는 추출액의 체류시간이 짧아지므로 체류시간이 짧을수록 풍미가 향상되는 피추출물에 적용하면 더욱 우수한 향미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지지부(20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으로, 도 5(A)는 지지부(200)의 앞면을, 도 5(B)는 지지부(200)의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지지부(20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지지본체(210); 상기 지지본체(210)의 외측 표면에 접힘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져, 하단이 추출 용기(20)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날개부(220); 및 상기 지지본체(210)의 내부에서 날개부(220)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220)의 접힘 정도를 조절하는 접힘조절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본체(21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상부와 하부에 서로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지지본체(210)의 내부에 여과지(100)가 끼워질 수 있다. 지지본체(210)는 접힌 상태에서 하부의 폭이 더 좁은 등변사다리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210)의 내측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과지(100)를 통과하여 추출되는 추출액이 지지본체(210)에 스며들지 않아 지지본체(210)의 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으며, 동시에 지지본체(210)에 스며들었다가 다시 추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추출액의 향미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은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트산, 에폭시, 아크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210)의 외측 표면에는 날개부(220)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지지본체(210)와 날개부(220)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날개부(220)가 접힘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본체(210)와 날개부(220)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을 추출 용기(20)의 상부에 지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두꺼운 종이, 플라스틱 시트, 또는 그와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22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며, 예를 들어, 삼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날개부(220)의 하단은 지면과 수평인 변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추출 용기(20)에 직접 접촉하며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을 지지하는 날개부(220)의 하단이 직선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추출 용기(20)의 입구 크기에 관계 없이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이 추출 용기(20)의 입구와 수평하게 지지될 수 있으므로,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에 수용된 피추출물의 표면이 수평하게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추출시 여과지(100) 내의 혼합액이 기울어지지 않아 균일한 추출이 가능해지므로 균일하고 우수한 풍미를 갖는 추출액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200)의 하단은 지지본체(210)의 하단 개구부와 동일하거나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됨에 따라 지지본체(210)의 하단 개구부를 통과하여 지지되는 여과지(100)의 하단부와 추출 용기(20)의 입구 사이의 거리가 더 멀어지므로 침출식 추출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220)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제1 날개부(221), 제2 날개부(222), 제3 날개부(223) 및 제4 날개부(224)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 개의 날개부(220)가 형성됨에 따라 추출 용기(20)의 입구에 보다 균형있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220)의 하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개의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돌기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돌기의 홈 부분에 추출 용기(20)의 입구 부분이 인입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날개부(220)가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돌기 구조의 예시로 요철 형상, 톱니 형상 및 물결 형상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날개부(221) 및 제2 날개부(222) 사이와 상기 제3 날개부(223) 및 제4 날개부(224) 사이의 지지본체(210)에는 세로 방향으로 접힘선(2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접힘선(211)을 따라 지지본체(210)를 접으면 지지본체(210)의 상,하부 개구부가 오픈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힘조절부재(230)는 상기 지지본체(210)의 내부에서 날개부(220)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220)의 접힘 정도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본체(210)의 내부에서 날개부(220)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지지본체(210)와 날개부(220)의 외측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아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의 미관을 개선시키고, 지지본체(210)의 내측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아 지지본체(210)의 내측에서 추출되는 음료의 맛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상기 접힘조절부재(230)는 금속선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피복재로 코팅된 금속선일 수 있다. 따라서, 금속선의 특성상 접힘조절부재(230)에 힘을 가하면 소정 형상으로 변형되고, 변형된 형태가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다.
금속선을 형성하는 금속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철, 구리 또는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선의 표면이 피복재로 코팅된 경우, 금속선에 방청 효과가 부여되어 쉽게 녹슬지 않으므로 금속선의 부식에 의한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의 손상이나 추출액의 향미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피복재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트산, 에폭시, 아크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고분자 피복재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힘조절부재(23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날개부(221) 및 제2 날개부(222)를 연결하는 제1 접힘조절부재(231); 및 제3 날개부(223) 및 제4 날개부(224)를 연결하는 제2 접힘조절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날개부(221, 222, 223, 224) 각각이 개별적으로 지지본체(210)에 대하여 접힌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접힘선(211)을 따라 지지본체(210)를 접었을 때 지지본체(210)의 접힌 상태가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날개부(221)와 제4 날개부(224) 사이와 제2 날개부(222) 및 제3 날개부(223) 사이에는 별도의 접힘조절부재(230)가 구비되지 않아, 이들 사이에 위치한 지지본체(210)가 접혀 도 2에 도시된 접힘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지지본체(210)가 접히는 영역에 접힘조절부재(230)가 구비되는 경우,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의 제조 과정에서 접힘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정밀한 접힘 공정이 요구되고,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의 배송, 판매 과정에서 온도나 환경 변화에 따라 접힘조절부재(230)의 형상이 변형되면 이에 따라 지지본체(210)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접힘조절부재(230)는 상술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접힘조절부재(231) 및 제2 접힘조절부재(2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접힘조절부재(231) 및 제2 접힘조절부재(232)는 각각 하나의 금속선일 수 있고,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금속선일 수 있으며, 선재, 판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의 사용 전 상태인 접힌 상태에서 상기 지지본체(210)는 등변사다리꼴의 형태를 갖고, 복수개의 날개부(220)는 모두 지지본체(210)의 면방향과 나란히 배치되며, 이 상태에서 접힘조절부재(230)는 구부러지지 않은 직선 혹은 유사 직선 형태로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음료 추출용 드립백(10)을 사용할 때, (211)을 따라 지지본체(210)를 접고, 제1 날개부(221)와 제2 날개부(222)를 서로를 향한 방향 접고, 제3 날개부(223)와 제4 날개부(224)를 서로를 향한 방향으로 접으면, 지지부(200)가 접힌 상태(도 2 참조)에서 개봉 상태(도 1 참조)로 고정,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0)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20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형 리브(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형 리브(212)는 지지본체(210)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지지본체(210)의 내부를 향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이 경우, 여과지(100)를 통과하여 여과지(100)와 지지본체(210) 사이로 배출된 추출액이 돌출형 리브(212)를 따라 지지본체(210) 하부로 빠르게 흘러내리므로, 여과지(100)와 지지본체(210) 사이에서의 추출액의 체류 시간이 감소되어, 추출액의 향미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돌출형 리브(212)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돌출형 리브(212)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지지본체(210)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추출액의 드립을 가속화할 수 있는 형태라면 그 형태나 배치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0)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 상기 지지부(200)의 지지본체(2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13) 또는 파단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할 수 있는 절개선(2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213)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여과지(100)를 통과한 추출액의 지지부(200) 외부로의 배출, 즉 드립이 빠르게 진행되므로 음료 추출용 드립백(10) 내부에서의 추출액 체류 시간이 짧아져 침출에 의한 추출이 최소화되므로, 추출액의 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파단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할 수 있는 절개선(214)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 홀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풍미를 갖춘 음료의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홀(213)이나 절개선(214)에 의해 형성될 홀의 형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일 수 있고, 지지본체(210)의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 형태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홀(213)이나 절개선(214)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각 변형예들은 단독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적어도 둘 이상이 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음료 추출용 드립백 100: 여과지
200: 지지부 210: 지지본체
220: 날개부 230: 접힘조절부재
221: 제1 날개부 222: 제2 날개부
223: 제3 날개부 224: 제4 날개부
231: 제1 접힘조절부재 232: 제2 접힘조절부재
212: 돌출형 리브 213: 홀
214: 절개선

Claims (8)

  1. 내부에 피추출물이 충전되는 봉지 형상의 여과지(100) 및 상기 여과지(100)의 둘레에 끼워져 추출 용기(20)에 지지되는 지지부(200)를 포함하는 드립백(10)에 있어서,
    상기 여과지(10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고,
    상기 지지부(20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지지본체(210);
    상기 지지본체(210)의 외측 표면에 접힘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져, 하단이 추출 용기(20)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날개부(220); 및
    상기 지지본체(210)의 내부에서 날개부(220)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220)의 접힘 정도를 조절하는 접힘조절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용 드립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지(100)는 세로 주름이 형성된 주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용 드립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20)는 제1 날개부(221), 제2 날개부(222), 제3 날개부(223) 및 제4 날개부(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용 드립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조절부재(230)는,
    제1 날개부(221) 및 제2 날개부(222)를 연결하는 제1 접힘조절부재(231); 및
    제3 날개부(223) 및 제4 날개부(224)를 연결하는 제2 접힘조절부재(2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용 드립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20)의 하단은 복수개의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돌기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용 드립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210)의 내측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용 드립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21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형 리브(2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용 드립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2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13) 또는 파단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할 수 있는 절개선(2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용 드립백.
KR1020200159870A 2020-11-25 2020-11-25 음료 추출용 드립백 KR102467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870A KR102467550B1 (ko) 2020-11-25 2020-11-25 음료 추출용 드립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870A KR102467550B1 (ko) 2020-11-25 2020-11-25 음료 추출용 드립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361A true KR20220072361A (ko) 2022-06-02
KR102467550B1 KR102467550B1 (ko) 2022-11-16

Family

ID=8198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870A KR102467550B1 (ko) 2020-11-25 2020-11-25 음료 추출용 드립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5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571A (ja) * 1994-07-22 1996-02-06 Sasaki Tsusho Kk 漉し器
JPH10216018A (ja) * 1997-02-03 1998-08-18 Car Mate Mfg Co Ltd コーヒードリッパーのフィルター受け
KR20120002434U (ko) * 2010-09-29 2012-04-06 유재혁 수동형 커피 드립퍼
JP3200732U (ja) * 2015-02-06 2015-11-05 有限会社 福富ヘルスサイエンスアンドサービス ドリップパック
KR101633012B1 (ko) 2014-12-19 2016-06-23 씨케이코퍼레이션즈 주식회사 개봉기능을 갖는 커피 추출용 백
KR20170000350U (ko) * 2015-07-16 2017-01-25 상운 남 필터 내장된 커피 드리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0732B2 (ja) * 1996-09-09 2001-08-20 豊田合成株式会社 フューエル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571A (ja) * 1994-07-22 1996-02-06 Sasaki Tsusho Kk 漉し器
JPH10216018A (ja) * 1997-02-03 1998-08-18 Car Mate Mfg Co Ltd コーヒードリッパーのフィルター受け
KR20120002434U (ko) * 2010-09-29 2012-04-06 유재혁 수동형 커피 드립퍼
KR101633012B1 (ko) 2014-12-19 2016-06-23 씨케이코퍼레이션즈 주식회사 개봉기능을 갖는 커피 추출용 백
JP3200732U (ja) * 2015-02-06 2015-11-05 有限会社 福富ヘルスサイエンスアンドサービス ドリップパック
KR20170000350U (ko) * 2015-07-16 2017-01-25 상운 남 필터 내장된 커피 드리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550B1 (ko)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49702B (zh) 用于冲泡饮料的装置和方法
US10004353B2 (en) Method, device and capsule for brewing a beverage
JP6644056B2 (ja) コーヒー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パック
AU2009347079B2 (en) System, capsule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US6189438B1 (en) Filtering device, filter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lter element used for the preparation of brewed beverages
JP6644057B2 (ja) コーヒー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パック
CN104334061B (zh) 滴漏袋
KR102467550B1 (ko) 음료 추출용 드립백
US10624487B2 (en) Anti-overflow brewing filter and spiral hanging-ear structure coupled thereto
KR102259245B1 (ko) 음료용 드립백
US20240099497A1 (en) Extraction bag
KR102256608B1 (ko) 티백 겸용 음료캡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