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337A - 공간 분할 용기 - Google Patents

공간 분할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337A
KR20220072337A KR1020200159827A KR20200159827A KR20220072337A KR 20220072337 A KR20220072337 A KR 20220072337A KR 1020200159827 A KR1020200159827 A KR 1020200159827A KR 20200159827 A KR20200159827 A KR 20200159827A KR 20220072337 A KR20220072337 A KR 20220072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opening
partition wall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8498B1 (ko
Inventor
서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고
Priority to KR1020200159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49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2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2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both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6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art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여러 종류의 제품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 분할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 용기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품이 격리된 채로 수납될 수 있도록 격벽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할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조립되고, 하단면에 상기 격벽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밀폐용 홈 부재가 구비된 마개 부재; 상기 마개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 상부를 밀폐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마개 부재를 누른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 및 상기 마개 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마개 부재를 덮도록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마개 부재에 형성된 관통 홀을 개폐하는 플러그가 형성된 개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간 분할 용기{Spatially divided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 화장품 등의 액상, 액체를 담을 수 있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러 종류의 제품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 분할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용기는 내부에 탄산음료, 쥬스, 주류, 화장품 기타 유동성이나 과자류와 같은 다양한 제품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용기는 하나의 용기에 한 가지의 음료를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 용기들은 용기 몸체에 뚜껑이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내외부를 밀폐하도록 한다.
그런데, 최근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로 인해 하나의 음료 용기에 여러 개의 종류가 다른 음료를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쌍둥이 음료수 용기'(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82170호)가 안출되었다. 또, 실링시트를 이용하여 각 실 내부를 개별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된 '내부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액체 보관 용기'(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2957호)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이 내부가 분할된 음료 용기가 다수 출원되어 온 점에 반해 실제 시중에서 유통되는 병이 없는 이유는 이러한 음료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과정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수개의 공간과 입구의 위치가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판이 회전하는 음료 용기를 제조한 후 다수개의 내부 공간에 서로 다른 음료를 채워 넣고자 하더라도 현재 음료수 제조 공정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음료수 제주 공정은 서로 별도의 공정 라인을 갖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82170호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에도 용기 내부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다양한 제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 분할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공간 분할 용기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품이 격리된 채로 수납될 수 있도록 격벽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할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조립되고, 하단면에 상기 격벽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밀폐용 홈 부재가 구비된 마개 부재; 상기 마개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 상부를 밀폐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마개 부재를 누른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 및 상기 마개 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마개 부재를 덮도록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마개 부재에 형성된 관통 홀을 개폐하는 플러그가 형성된 개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개 부재의 상부면에는 직선형의 힌지용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 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용 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직선형의 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 부재의 외관 내측에는 고정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출부가 삽입되는 고정용 홈부가 상기 너트 부재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개 부재와 상기 너트 부재의 플랜지부 사이에는 판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용 홈 부재는 상기 격벽에 밀착되는 하나의 반원판 격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공간 분할 용기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품이 격리된 채로 수납될 수 있도록 격벽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할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조립되고, 하단면에 상기 격벽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분할 부재가 구비된 마개 부재; 상기 마개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 상부를 밀폐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마개 부재를 누른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 및 상기 너트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마개 부재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 부재에 대하여 회전되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 홀을 개폐하도록 개폐용 볼이 안착되는 안착 홈이 형성된 개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개 부재에는 상기 볼이 지나가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는 상기 볼이 일정 각도마다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공간 분할 용기는 간단한 구조에도 내부 공간이 분할되어 복수개의 제품을 수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단면도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 용기의 복수개의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진 예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 용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 용기(1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용기 본체(20), 마개 부재(40), 너트 부재(50), 그리고 개폐 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품이 격리된 채로 수납될 수 있도록 격벽(22)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 본체(2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 본체(20)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튜브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점성이 많은 화장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합성수지로 단단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혹은 치약 케이스와 같은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다만 상기 용기 본체(20)의 상부면은 개구되고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외면에 나사(21)가 형성되되 나사가 형성된 부분은 체결을 위하여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저야 할 것이다. 상기 용기 본체(20)와 나사(21)는 서로 다른 재질로 제작한 다음 접착제 등으로 붙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중요한 점은 나사(21) 부분이 형태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용기 본체(20) 내부에는 내부 공간을 도 2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기 위한 격벽(2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용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이 2개로 분할된 것을 보여준다. 용기 본체(20) 내부를 예를 들면 3, 4 분할하기 위한 개수에 따라 격벽(22)의 형태가 결정될 것이다.
상기 마개 부재(4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용기 본체(20)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조립되고, 하단면에 상기 격벽(22)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밀폐용 홈 부재(4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개 부재(40)는 대략 원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면에는 격벽(22)이 삽입되는 밀폐용 홈 부재(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폐용 홈 부재(410는 상기 마개 부재(4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마개 부재(40)는 단단한 합성수지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밀폐용 홈 부재(41)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 유연하고 밀폐 기능성이 높은 재질을 적용하여 접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밀폐용 홈 부재(41)는 격벽(22)의 형태에 따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마개 부재(40)의 상부면에는 직선형의 힌지용 홈부(42)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 부재(60)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용 홈부(4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직선형의 힌지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힌지용 홈부(42)가 각 개폐 부재가 힌지 연결될 수 있도록 2줄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힌지용 홈부(42)는 다시 2개로 나누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도 5와 같이 개폐 부재(60)가 회전될 때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개폐 부재(60)에 형성되는 힌지부(62)도 개폐 부재(6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힌지부(620는 양쪽으로 힌지가 형성되어 힌지용 홈부(42)에 삽입되되, 중앙의 일정 길이는 힌지가 형성되지 않고 이 부분만 개폐 부재(6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 본체(20)의 격벽(22)에 의해 분할되는 내부 공간의 개수와 상기 개폐 부재(60)의 개수는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 본체(20)의 상단과 상기 마개 부재(40) 사이에는 오링(3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너트 부재(5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마개 부재(40)가 상기 용기 본체(20) 상부를 밀폐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20)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21)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50a)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51)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51)가 상기 마개 부재(40)를 누른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2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너트 부재(50)는 통상의 너트처럼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플랜지부(51)가 형성되어 상기 마개 부재(50)를 용기 본체(20) 쪽으로 압박하여 닫히도록 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상기 개폐 부재(6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마개 부재(5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마개 부재(40)를 덮도록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마개 부재(40)에 형성된 관통 홀(40a)을 개폐하는 플러그(6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러그(61)는 실리콘과 같이 유연하고 밀폐성이 높은 재질을 적용하도록 하고 끝단부는 구형으로 관통 홀(40a)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 부재(60)의 외관 내측에는 고정용 돌출부(6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출부(63)가 삽입되는 고정용 홈부(50b)가 상기 너트 부재(6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부재(60)를 힌지부(62)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개방한 다음 닫을 때에는 고정용 돌출부(63)가 고정용 홈부(50b)에 삽입하도록 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 용기(10)가 도시되어 있다. 용기 본체(20) 내부는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 되어 있기 때문에 2 종류의 제품을 용기 본체 내부에 수납이 가능하다. 원하는 제품은 2개의 개폐 부재(60) 중 하나를 열어 제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공간 분할 용기(10)는 용기 본체(20)에 오링(30), 마개 부재(40), 너트 부재(52), 그리고 개폐 부재(60)가 순서대로 조립될 수 있다. 너트 부재(50)를 용기 본체(20)와 나사 결합시켜 외부로 밀폐되도록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용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이 격벽(22)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내부 공간에 서로 다른 제품이 들어갈 수 있을 것이고, 서로 섞이지 않을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공간 분할 용기(10)에서 개폐 부재(60)를 개폐하는 작동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개폐 부재(60)는 힌지부(6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개폐하도록 하고, 이때 플러그(61)가 관통홀(40a)을 개폐하게 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a)의 경우에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같이 용기 본체(20)와 개폐 부재(60, 160, 260)가 2 분할 되어 있는 것이고, (b)는 3 분할, ⓒ는 4 분할 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 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은 마개 부재(40)와 너트 부재(50)의 플랜지부(51) 사이에는 판스프링(70)이 구비된 점에서 차이점이 있고, 또한 개폐 부재(60’)를 힌지부를 사용하지 않고 유연한 재질로 마개 부재(40)에 일단(62’)이 부착된 상태에서 그 부분을 중심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제작한 것이다. 플러그(61‘)와 고정용 돌출부(63’0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판스프링(70)은 평상 시에도 마개 부재(50)를 오링(30) 쪽으로 압박하는 탄성력을 계속 제공하게 되기 때문에 밀폐 신뢰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하면, 마개 부재(40)의 밀폐용 홈 부재가 홈 형태가 아닌 판상형 격벽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나의 격벽(41‘)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조립 시 용기 본체(20)가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회전되면서 결국에는 용기 본체(20)의 격벽(22)과 판상형 격벽(41’)이 밀착하게 되어 용기 본체(20)의 격벽(22)에 의한 공간 분리를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하면, 마개 부재(140)의 밀폐용 홈 부재가 판상형 격벽 형태로 이루어지되, 판상형 격벽(141)이 상기 용기 본체의 격벽에 밀착되는 하나의 반원판 격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용기 본체가 4분할 경우, 그에 대응되게 4개의 반원판 격벽(14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렇게 마개 부재의 격벽이 반원판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조립 시 자동적으로 용기 본체가 조립되면서 맞추어지게 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 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간 분할 용기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품이 격리된 채로 수납될 수 있도록 격벽(22)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할된 용기 본체(20)와, 상기 용기 본체(20)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조립되고, 하단면에 상기 격벽(22)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분할 부재(241)가 구비된 마개 부재(240)와, 상기 마개 부재(240)가 상기 용기 본체(20) 상부를 밀폐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20)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마개 부재(240)를 누른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20)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50(와, 상기 너트 부재(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마개 부재(24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 홀(240a)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홀(260a)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 부재(50)에 대하여 회전되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 홀(240a)을 개폐하도록 개폐용 볼(270)이 안착되는 안착 홈(260b)이 형성된 개폐 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개 부재(240)에는 상기 볼(270)이 지나가는 가이드 홈(240b)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240b)에는 상기 볼(270)이 일정 각도마다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2를 참고하면, 마개 부재(240)에 대하여 개폐 부재(260)를 회전시키면, 볼(270)이 가이드 홈(240b)을 따라 이동하면서 관통 홀(240a)을 개폐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홈(240b)에는 굴곡이 형성되어 있어 매우 부드럽게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에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부재의 회전에 의해 볼의 크기에 따라 개폐 부재와 마개 부재 사이가 벌어지게 되는데, 이는 재질 탄성력에 의해 흡수할 수 있거나 중앙에 스프링을 두어 해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공간 분할 용기
20 : 용기 본체 22 : 격벽
30 : 오링 40 : 마개 부재
50 : 너트 부재 30 : 개폐 부재

Claims (7)

  1.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품이 격리된 채로 수납될 수 있도록 격벽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할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조립되고, 하단면에 상기 격벽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밀폐용 홈 부재가 구비된 마개 부재;
    상기 마개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 상부를 밀폐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마개 부재를 누른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 및
    상기 마개 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마개 부재를 덮도록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마개 부재에 형성된 관통 홀을 개폐하는 플러그가 형성된 개폐 부재;
    를 포함하는, 공간 분할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재의 상부면에는 직선형의 힌지용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 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용 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직선형의 힌지부가 형성되는, 공간 분할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의 외관 내측에는 고정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출부가 삽입되는 고정용 홈부가 상기 너트 부재의 외면에 형성되는, 공간 분할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재와 상기 너트 부재의 플랜지부 사이에는 판스프링이 구비되는, 공간 분할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홈 부재는 상기 격벽에 밀착되는 하나의 반원판 격벽 형태로 이루어진, 공간 분할 용기.
  6.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품이 격리된 채로 수납될 수 있도록 격벽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할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조립되고, 하단면에 상기 격벽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분할 부재가 구비된 마개 부재;
    상기 마개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 상부를 밀폐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마개 부재를 누른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 및
    상기 너트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마개 부재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 부재에 대하여 회전되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 홀을 개폐하도록 개폐용 볼이 안착되는 안착 홈이 형성된 개폐 부재;
    를 포함하는, 공간 분할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재에는 상기 볼이 지나가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는 상기 볼이 일정 각도마다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굴곡이 형성된, 공간 분할 용기.



KR1020200159827A 2020-11-25 2020-11-25 공간 분할 용기 KR102438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827A KR102438498B1 (ko) 2020-11-25 2020-11-25 공간 분할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827A KR102438498B1 (ko) 2020-11-25 2020-11-25 공간 분할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337A true KR20220072337A (ko) 2022-06-02
KR102438498B1 KR102438498B1 (ko) 2022-08-31

Family

ID=8198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827A KR102438498B1 (ko) 2020-11-25 2020-11-25 공간 분할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4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5650U (ko) * 1989-02-20 1990-09-01
KR200282170Y1 (ko) 2002-04-20 2002-07-22 성하전 쌍둥이 음료수 용기
KR20120024522A (ko) * 2010-05-13 2012-03-14 (주)쿨테크 분할용기
US20160060004A1 (en) * 2013-11-26 2016-03-03 Munchkin, Inc. Multi-compartment container with flexible parti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5650U (ko) * 1989-02-20 1990-09-01
KR200282170Y1 (ko) 2002-04-20 2002-07-22 성하전 쌍둥이 음료수 용기
KR20120024522A (ko) * 2010-05-13 2012-03-14 (주)쿨테크 분할용기
US20160060004A1 (en) * 2013-11-26 2016-03-03 Munchkin, Inc. Multi-compartment container with flexible part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498B1 (ko)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011B1 (ko) 토출용기
US7874466B2 (en) Package comprising push-pull closure and slit valve
US6705490B1 (en) Self contained additive reservoirs for use with beverage containers
KR101301273B1 (ko) 용기 마개 및 시스템
US8821059B2 (en) Cosmetic container
AU2014300355A1 (en) Double-walled container
BRPI0515768B1 (pt) Tap for dispensing liquids contained in containers
KR20090059607A (ko) 토출이 용이한 액상화장품용기
US4558806A (en) Condiment cap
EA019743B1 (ru) Тумблерное выдачное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шарнирным задним краем
US8251240B2 (en) Plastic closure comprising a slide opening for a bottle neck or container neck
KR102438498B1 (ko) 공간 분할 용기
US5961010A (en) Dispensing beverage closure
CA2784088A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liquid
KR100980768B1 (ko) 이중용기
US20020170915A1 (en) Closure with secondary compartment
KR200448108Y1 (ko) 펌프를 가지는 튜브형 이중화장품용기
KR102092360B1 (ko)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KR200282192Y1 (ko) 서로 다른 음료수를 함께 담을 수 있는 병
US20020003120A1 (en) Self sealing cap
KR200315702Y1 (ko) 음료용기의 마개
KR200311954Y1 (ko) 음료 용기
KR101943533B1 (ko) 일체형 밀폐 용기
US6053367A (en) Liquid distributor
US20240124210A1 (en) Nested fluid dispen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