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327A - 데이터처리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데이터처리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처리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데이터처리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327A
KR20220072327A KR1020200159806A KR20200159806A KR20220072327A KR 20220072327 A KR20220072327 A KR 20220072327A KR 1020200159806 A KR1020200159806 A KR 1020200159806A KR 20200159806 A KR20200159806 A KR 20200159806A KR 20220072327 A KR20220072327 A KR 20220072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data
pixel
touch
characteristic valu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호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to KR1020200159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2327A/ko
Priority to US17/529,033 priority patent/US11635850B2/en
Priority to TW110142919A priority patent/TW202221688A/zh
Priority to CN202111401782.6A priority patent/CN114546156A/zh
Publication of KR20220072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61Repa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데이터처리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데이터처리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기능을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여 번인 발생 영역을 판단하고, 번인 발생 영역에 대한 열화 보상을 정확하게 수행하는 데이터처리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데이터처리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데이터처리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데이터처리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DATA PROCESSING DEVICE, DISPALY DEVICE AND DETERIORATION COMPENSATION METHOD OF DATA PROCESSING DEVICE}
본 실시예는 데이터처리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데이터처리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디스플레이장치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중에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고속의 응답속도를 가지고, 자체 발광으로써, 광시야각을 가지기 때문에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복수 개의 화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각 화소를 발광시키는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각 화소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유기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기발광소자는 유기물로서 전기적인 스트레스(Stress) 및 발광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열화(degradation)가 진행된다.
유기발광소자의 열화는 비선형 특성을 가지며, 열화 정도는 전기적인 스트레스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인접한 화소 간의 휘도 편차가 발생되어 휘도가 불균일해지며, 특히 장시간 구동 후에는 유기발광소자의 열화로 인해 잔상 또는 색상 번짐과 같은 번인(Burn-in)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번인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분석하고 각 화소별 센싱 동작을 통해 유기발광소자의 열화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 내부적으로 전류, 전압 등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디스플레이장치 외부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번인 현상의 정도와 디스플레이장치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파악된 번인 현상의 정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제로 디스플레이장치 외부에서 디스플레이장치를 바라볼 때 인지하는 번인 발생 영역에 대한 정확한 보상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기능을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여 번인 발생 영역을 판단하고, 번인 발생 영역에 대한 열화 보상을 정확하게 수행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화면 문지름을 인식하고 다수의 화소가 배치된 터치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화면 문지름이 발생한 문지름 영역을 특정한 후에 상기 문지름 영역을 포함하는 화소센싱영역을 특정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화소센싱영역에 대한 센싱영역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센싱영역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에 배치된 화소들을 센싱 대상으로 구분하고, 상기 센싱 대상에 대한 화소센싱데이터를 화소센싱장치로부터 수신한 후에 상기 화소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번인(Burn-in)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화소센싱영역에 번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센싱 대상에 대한 열화 보상을 수행하는 열화 보상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열화 보상부는 상기 화소센싱데이터를 상기 화소센싱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다수의 화소 전체에 대한 화소센싱데이터인 일반 센싱데이터를 기저장할 수 있다.
열화 보상부는 상기 일반 센싱데이터 중에서 상기 화소센싱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선별하고, 상기 화소센싱데이터와 상기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번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화소센싱데이터는 상기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교용 센싱데이터는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을 포함하며,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상기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의 차이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화소센싱영역에 번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열화 보상부는 상기 다수의 화소에 대한 보상값들을 포함한 룩업 테이블을 기저장할 수 있다.
화소센싱데이터는 상기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을 포함하고,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특성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센싱 대상에 대한 보상값들을 수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터치디스플레이 패널에 배치된 다수의 터치센서를 통해 상기 터치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고, 상기 터치에 대한 터치 좌표 정보를 포함한 터치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터치구동장치; 상기 터치디스플레 패널에 배치된 다수의 화소의 특성값을 센싱하는 화소센싱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터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화면 문지름에 대한 문지름 영역이 상기 터치디스플레이 패널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문지름 영역을 포함하는 화소센싱영역에 대한 센싱영역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센싱영역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에 배치된 화소들을 센싱 대상으로 구분하며, 상기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만을 포함한 화소센싱데이터를 상기 화소센싱장치로부터 수신한 후에 상기 화소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번인(Burn-in)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처리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터치구동장치는 일정 시간 동안 다수의 터치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다수의 터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터치가 상기 터치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영역 내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한 것을 확인하되, 상기 일 영역의 일측과 타측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가 2회 이상 발생한 것을 확인한 경우에 상기 일 영역을 상기 문지름 영역으로 특정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화소센싱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다수의 화소 전체에 대한 센싱데이터인 일반 센싱데이터를 기저장하고, 상기 화소센싱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상기 일반 센싱데이터 중에서 상기 화소센싱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선별하고, 상기 화소센싱데이터와 상기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번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비교용 센싱데이터는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상기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의 차이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화소센싱영역에 번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다수의 화소에 대한 보상값들을 포함한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센싱 대상의 보상값들을 수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데이터처리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에 있어서, 터치구동장치로부터 터치데이터를 수신한 외부장치가 상기 터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화면 문지름에 대한 문지름 영역이 터치디스플레이 패널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문지름 영역을 포함하는 화소센싱영역에 대한 센싱영역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영역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센싱영역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화소들을 센싱 대상으로 구분하는 센싱영역 구분 단계; 상기 터치디스플레이 패널에 배치된 다수의 화소의 특성값을 센싱하는 화소센싱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만을 포함한 부분 센싱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기저장한 일반 센싱데이터 -상기 다수의 화소의 특성값들을 포함- 중에서 상기 부분 센싱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선별하고, 상기 부분 센싱데이터와 상기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번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열화 판단 단계; 및 상기 화소센싱영역에 번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센싱 대상에 대한 열화 보상을 수행하는 열화 보상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처리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을 제공한다.
열화 보상 단계에서 상기 비교용 센싱데이터는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상기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의 차이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화소센싱영역에 번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열화 보상 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화소에 대한 보상값들을 포함한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센싱 대상의 보상값들을 수정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 및 가공한 영상데이터에 상기 룩업 테이블을 적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번인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터치 동작을 통해 직접 지정한 터치디스플레이 패널의 번인 발생 영역에 대해서 열화 보상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번인 발생 영역에 대한 열화 보상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각 화소에 대한 구조 및 데이터구동장치와 화소센싱장치에서 화소로 입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문지름 영역의 발생을 판단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처리장치에서 번인 발생 여부를 판단 및 번인에 대한 열화 보상을 수행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처리장치에서 번인에 대한 열화 보상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터치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동하는 패널구동장치(120, 130, 140, 150, 16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디스플레이 패널(110)에는 다수의 데이터라인(DL), 다수의 게이트라인(GL), 다수의 화소센싱라인(SL) 및 다수의 터치센싱라인(TSL)이 배치되고, 다수의 화소(P)와 다수의 터치센서(TS)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구동하는 장치들(120, 130, 140, 150, 160)이 패널구동장치로 호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구동장치(120), 화소센싱장치(130), 게이트구동장치(140), 데이터처리장치(150), 터치구동장치(160) 등이 패널구동장치로 호칭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장치(120, 130, 140, 150, 160)가 패널구동장치로 호칭될 수 있고, 전체 혹은 다수의 장치가 패널구동장치로 호칭될 수도 있다.
패널구동장치에서, 게이트구동장치(140)는 턴온전압 혹은 턴오프전압의 스캔신호를 게이트라인(GL)으로 공급할 수 있다. 턴온전압의 스캔신호가 화소(P)로 공급되면 해당 화소(P)는 데이터라인(DL)과 연결되고 턴오프전압의 스캔신호가 화소(P)로 공급되면 해당 화소(P)와 데이터라인(DL)의 연결은 해제된다.
패널구동장치에서, 데이터구동장치(120)는 데이터라인(DL)으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한다. 데이터라인(DL)으로 공급된 데이터전압은 스캔신호에 따라 데이터라인(DL)과 연결된 화소(P)로 전달되게 된다.
패널구동장치에서, 화소센싱장치(130)는 각 화소(P)에 형성되는 아날로그신호-예를 들어, 전압, 전류 등-를 수신한다. 화소센싱장치(130)는 스캔신호에 따라 각 화소(P)와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센싱신호에 따라 각 화소(P)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별도의 센싱신호는 게이트구동장치(14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화소(P)들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P)에 포함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및 트랜지스터의 특성은 시간 혹은 주변 환경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센싱장치(130)는 각 화소(P)에 포함된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특성을 센싱하여 후술할 데이터처리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소(P)는 도 2와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구동트랜지스터(DRT), 스위칭트랜지스터(SWT), 센싱트랜지스터(SENT) 및 스토리지캐패시터(Cst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전극, 유기층 및 캐소드전극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어에 따라 애노드전극은 구동전압(EVDD) 측과 연결되고 캐소드전극은 기저전압(EVSS)과 연결되면서 발광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구동트랜지스터(DRT)가 턴온되면서 구동전압(EVDD) 측으로부터 구동전류가 공급되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발광할 수 있고,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 사이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특성에 따른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트랜지스터(DRT)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1노드(N1)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소스 노드 혹은 드레인 노드일 수 있다.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2노드(N2)는 스위칭트랜지스터(SWT)의 소스 노드 혹은 드레인 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게이트 노드일 수 있다.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3노드(N3)는 구동전압(EVDD)을 공급하는 구동전압라인(DV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드레인 노드 혹은 소스 노드일 수 있다.
스위칭트랜지스터(SWT)는 데이터라인(DL)과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2노드(N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게이트 라인(GL1 및 GL2)을 통해 스캔신호를 공급받아 턴온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트랜지스터(SWT)가 턴온되면 데이터라인(DL)을 통해 데이터구동장치(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전압(Vdata)이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2노드(N2)로 전달되게 된다.
스토리지캐패시터(Cstg)는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1노드(N1)와 제2노드(N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토리지캐패시터(Cstg)는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1노드(N1)와 제2노드(N2) 사이에 존재하는 기생캐패시터일 수도 있고,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외부에 의도적으로 설계한 외부 캐패시터일 수 있다.
센싱트랜지스터(SENT)는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1노드(N1)와 센싱라인(SL)을 연결시키고, 센싱라인(SL)은 제1노드(N1)로 기준전압(Vref)을 전달하고 제1노드(N1)에 형성되는 아날로그신호-예를 들어, 전압 혹은 전류-를 화소센싱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화소센싱장치(130)는 센싱라인(SL)을 통해 전달되는 아날로그신호(Vsense 혹은 Isense)를 이용하여 화소(P)의 특성을 측정하게 된다.
제1노드(N1)의 전압을 측정하면, 구동트랜지스터(DRT)의 문턱전압, 이동도(mobility), 전류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노드(N1)의 전압을 측정하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문턱전압, 기생정전용량, 전류특성 등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열화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화소센싱장치(130)는 제1노드(N1)의 전압, 즉 화소(P)들의 특성값을 측정하고 특성값을 포함한 디지털데이터인 화소센싱데이터를 데이터처리장치(도 1의 150 참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장치(도 1의 150 참조)는 이러한 화소센싱데이터를 각 화소(P)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소센싱장치(130)는 다수의 센싱라인(SL)별로 배치된 채널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회로는 전류적분회로, 전류비교회로, 샘플앤홀드회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P)와 전류적분회로 사이 또는 화소(P)와 샘플앤홀드회로 사이에는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패널구동장치에서, 터치구동장치(160)는 터치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배치된 다수의 터치센서(TS)에 터치구동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구동장치(160)는 터치구동신호에 대응하여 터치센서(TS)에 형성되는 반응신호에 따라 터치센서(TS)에 대한 터치센싱값을 생성할 수 있다. 터치구동장치(160)는 다수의 터치센서(TS)에 대한 터치센싱값을 이용하여 외부 오브젝트(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터치 좌표 정보를 계산할 수 있고, 터치 좌표 정보를 포함한 터치데이터를 외부 장치인 호스트(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호스트(10)는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컴퓨터의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gphic Processor Unit) 등일 수 있다.
패널구동장치에서, 데이터처리장치(150)는 게이트구동장치(140) 및 데이터구동장치(120)로 각종 제어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5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이 시작되도록 하는 게이트제어신호(GCS)를 생성하여 게이트구동장치(1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장치(150)는 외부 장치인 호스트(10)에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RGB)를 데이터구동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한 영상데이터(RGB')를 데이터구동장치(12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처리장치(150)는 각 타이밍에 맞게 데이터구동장치(120)가 각 화소(P)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제어신호(DCS)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50)는 화소(P)의 특성에 따라 영상데이터(RGB')를 보상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처리장치(150)는 화소센싱장치(130)로부터 화소센싱데이터(S_DATA)를 수신할 수 있다. 화소센싱데이터(S_DATA)에는 화소(P)의 특성에 대한 특성값이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소센싱장치(130)는 터치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체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화소를 모두 센싱하고, 데이터처리장치(150)는 다수의 화소(P)의 특성값을 모두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영상데이터(RGB')를 보상하였다.
하지만, 일 실시예에서는 터치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잔상 또는 색상 번짐과 같은 번인(Burn-in) 현상이 발생한 부분을 사용자가 문지르면, 터치구동장치(160)의 터치데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문지른 화면 영역을 특정하고, 해당 화면 영역에 배치된 화소(P)들의 특성값만을 이용하여 해당 화면 영역의 번인 현상을 정확하게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터치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잔상에 해당하는 번인(Burn-in) 현상이 발생한 번인 영역(310)이 도 3과 같이 존재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사용중인 사용자는 도 4와 같이 자신의 손가락으로 번인 영역(310)을 반복적으로 문지르게 된다.
이 때에 터치구동장치(160)는 도 4와 같이 번인 영역(310)이 포함된 문지름 영역(410)에 대한 다수의 터치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장치인 호스트(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화면 문지름은 일정 시간 동안 반복될 수 있기 때문에 터치구동장치(160)는 다수의 터치데이터를 일정 시간 동안에 생성 및 호스트(10)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구동장치(160)로부터 터치데이터를 수신한 호스트(10)는 터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반복적인 화면 문지름을 인식할 수 있다.
호스트(10)는 터치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화면 문지름이 발생한 문지름 영역(410)을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호스트(10)는 일정 시간 동안에 다수의 터치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다수의 터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터치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 영역에 해당하는 문지름 영역(410) 내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한 것을 확인하되, 문지름 영역(410)의 일측(412)과 타측(414)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2회 이상 발생한 것을 확인한 경우에 일 영역을 문지름 영역(410)으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10)는 도 5와 같이 문지름 영역(410)을 포함하는 화소센싱영역(510)을 특정할 수 있고, 화소센싱영역(510)에 대한 센싱영역데이터(A_DATA)를 생성하여 데이터처리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호스트(10)는 다수의 터치데이터에 포함된 터치 좌표 정보들을 이용하여 문지름 영역(410)을 특정할 수 있고, 터치 좌표 정보들과 다수의 화소(P)의 배치 정보를 이용하여 화소센싱영역(510)을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화소(P)의 배치 정보는 각 화소(P)와 연결된 센싱라인(SL) 또는 센싱채널에 대한 식별 정보와 각 화소(P)와 연결된 게이트라인(GL)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50)는 외부장치인 호스트(10)로부터 수신한 센싱영역데이터(A_DATA)를 이용하여 화소센싱영역(510)에 배치된 화소들을 센싱 대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데이터처리장치(150)는 화소센싱장치(130)에서 화소센싱영역(510)에 배치된 화소들만을 센싱하도록 하는 스위칭신호 또는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화소센싱장치(130)에 직접 전송하거나, 데이터구동장치(120)를 경유해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처리장치(150)는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만을 포함한 화소센싱데이터인 부분 센싱데이터를 화소센싱장치(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소센싱장치(130)는 터치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체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화소를 모두 센싱한다.
하지만,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처리장치(150)가 화소센싱영역(510)에 배치된 화소들을 센싱 대상으로 구분한 경우, 화소센싱장치(130)는 다수의 화소를 모두 센싱하는 것이 아니라 센싱 대상에 해당하는 화소들만을 센싱할 수 있다.
부분 센싱데이터를 수신한 데이터처리장치(150)는 부분 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소센싱영역(510)의 번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처리장치(150)는 부분 센싱데이터를 화소센싱장치(130)로부터 수신하기 전에 다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센싱데이터인 일반 센싱데이터를 기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데이터처리장치(150)가 호스트(10)로부터 센싱영역데이터(A_DATA)를 수신하기 전에는 화소센싱장치(130)는 다수의 화소를 모두 센싱하고, 데이터처리장치(150)는 다수의 화소에 대한 일반적인 센싱데이터를 화소센싱장치(130)로부터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출고시에 화소센싱장치(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포함된 다수의 화소를 모두 센싱할 수 있고, 이에 대한 화소센싱데이터인 초기 센싱데이터를 데이터처리장치(15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장치(150)는 화소센싱장치(130)로부터 수신한 초기 센싱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센싱데이터는 다수의 화소 각각에서 열화가 시작되지 않았을 때의 특성값인 초기 특성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처리장치(150)는 기저장한 일반 센싱데이터 및 기저장한 초기 센싱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서 부분 센싱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50)가 일반 센싱데이터에서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선별하는 경우, 비교용 센싱데이터는 화소센싱영역(510)의 주변 영역(도 6의 610 참조)에 배치된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영역(610)에 배치된 비교 대상 화소들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용 기간에 따라 어느 정도 열화가 진행된 상태일 수 있지만, 화소센싱영역(510)에 배치된 센싱 대상에 비해서는 열화 정도가 현저하게 낮을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50)가 초기 센싱데이터에서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선별하는 경우, 비교용 센싱데이터는 화소센싱영역(510)에 배치된 센싱 대상의 초기 특성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50)가 일반 센싱데이터와 초기 센싱데이터에서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선별하는 경우, 비교용 센싱데이터는 주변 영역(610)에 배치된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과 화소센싱영역(510)에 배치된 센싱 대상의 초기 특성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교용 센싱데이터가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을 포함하는 경우, 데이터처리장치(150)는 부분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특성값들, 즉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비교용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을 비교할 수 있다.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을 비교한 결과,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의 차이가 제1 기준 이상인 경우, 데이터처리장치(150)는 화소센싱영역(510)에 잔상 또는 색상 번짐과 같은 번인(Burn-in)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대상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열화 정도가 주변 영역(610)에 배치된 비교 대상 화소들의 열화 정도보다 클 경우,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의 차이도 제1 기준 이상일 수 있고, 이로 인해 화소센싱영역(510)에 번인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처리장치(150)는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의 차이가 제1 기준 이상이면, 화소센싱영역(510)에 번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데이터처리장치(150)는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에 대한 평균값과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고, 두 개의 평균값의 차이가 제1 기준 이상인 경우, 화소센싱영역(510)에 번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비교용 센싱데이터가 화소센싱영역(510)에 배치된 센싱 대상의 초기 특성값들을 포함하는 경우, 데이터리장치(150)는 부분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비교용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초기 특성값들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처리장치(150)는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에 대한 평균값과 초기 특성값들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 후에 두 개의 평균값을 비교할 수 있다.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비교용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초기 특성값들을 비교한 결과,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비교용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초기 특성값들의 차이가 제2 기준 이상인 경우, 데이터처리장치(150)는 화소센싱영역(510)에 잔상 또는 색상 번짐과 같은 번인(Burn-in)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은 제1기준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비교용 센싱데이터가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 및 센싱 대상의 초기 특성값들을 포함하는 경우, 데이터처리장치(150)는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을 비교하고,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초기 특성값들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의 차이가 제1 기준 이상이고,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초기 특성값들의 차이가 제2 기준 이상인 경우, 데이터처리장치(150)는 화소센싱영역(510)에 잔상 또는 색상 번짐과 같은 번인(Burn-in)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50)는 위와 같이 화소센싱영역(510)에 번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후에 화소센싱영역(510) 즉, 화소센싱영역(510)의 배치된 화소들인 센싱 대상에 대한 열화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처리장치(150)는 다수의 화소에 대한 보상값들을 포함한 룩업 테이블(LUT: Look-up Table)을 저장할 수 있고, 룩업 테이블에서 센싱 대상에 대한 보상값들을 수정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처리장치(150)는 부분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을 이용하여 센싱 대상에 대한 보상값들을 수정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을 수정한 후, 데이터처리장치(150)는 데이터구동장치(120)로 전송할 영상데이터(RGB')에 룩업 테이블의 보상값들을 적용함으로써 화소센싱영역(510)에 존재하는 번인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동작을 통해 직접 지정한 터치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번인 발생 영역 대해서만, 데이터처리장치(150)가 집중적으로 열화 보상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100) 내부에서 번인 발생 여부를 판단 및 보상하는 일반적인 방식에 비해 번인 발생 영역에 대한 열화 보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만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번인 발생 영역의 판단 및 열화 보상을 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150)의 구성과 열화 보상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150)는 수신부(710) 및 열화 보상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710)는 외부 장치인 호스트(10)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710)는 호스트(10)로부터 화소센싱영역(510)에 대한 센싱영역데이터(A_DATA)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호스트(10)는 터치구동장치(160)로부터 수신하는 터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반복적인 화면 문지름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호스트(10)는 터치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화면 문지름이 발생한 문지름 영역(410)을 특정한 후에 문지름 영역(410)을 포함하는 화소센싱영역(510)을 특정할 수 있다.
이후, 호스트(10)는 화소센싱영역(510)에 대한 센싱영역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처리장치(150)의 수신부(710)로 전송할 수 있다.
열화 보상부(720)는 센싱영역데이터(A_DATA)를 이용하여 화소센싱영역(510)에 배치된 화소들을 센싱 대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대상으로 구분한다는 것은 화소센싱장치(130)에서 화소센싱영역(510)에 배치된 화소들만을 센싱하도록 하는 스위칭신호 또는 제어데이터를 열화 보상부(720)에서 생성하여 화소센싱장치(130)에 직접 전송하거나, 데이터구동장치(120)를 경유해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열화 보상부(720)는 센싱 대상에 대한 화소센싱데이터인 부분 센싱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부분 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소센싱영역(510)의 번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열화 보상부(720)는 일반 센싱데이터 및 초기 센싱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기저장한 상태에서 부분 센싱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열화 보상부(720)는 기저장한 일반 센싱데이터 및 기저장한 초기 센싱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서 부분 센싱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이후, 열화 보상부(720)는 부분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특성값들과 비교용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특성값들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부분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특성값들은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이고, 비교용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특성값들은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 및 센싱 대상의 초기 특성값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비교 결과, 부분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특성값들과 비교용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특성값들의 차이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 열화 보상부(720)는 화소센싱영역(510)에 번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화소센싱영역(510) 즉, 센싱 대상에 대한 열화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화 보상부(720)는 다수의 화소에 대한 보상값들을 포함한 룩업 테이블을 기저장할 수 있고, 룩업 테이블에서 센싱 대상에 대한 보상값들을 수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열화 보상부(720)는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을 이용하여 센싱 대상에 대한 보상값을 수정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을 수정한 후에 열화 보상부(720)는 데이터구동장치(120)에 전송될 영상데이터(RGB')에 룩업 테이블의 보상값들을 적용함으로써, 화소센싱영역(510)에 존재하는 번인을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처리장치에서 번인에 대한 열화 보상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데이터처리장치(150)는 외부장치인 호스트(10)로부터 센싱영역데이터(A_DATA)를 수신할 수 있다(S810). 여기서, 호스트(10)는 터치구동장치(160)로부터 수신한 터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화면 문지름에 대한 문지름 영역(410)이 터치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호스트(10)는 센싱영역데이터(A_DATA)를 생성하여 데이터처리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싱영역데이터를 수신한 데이터처리장치(150)는 화소센싱영역(510)에 배치된 화소들을 센싱 대상으로 구분하고, 화소센싱장치(130)로부터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만을 포함한 부분 센싱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820, S830).
데이터처리장치(150)는 기저장한 일반 센싱데이터 및 기저장한 초기 센싱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서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선별하고, 부분 센싱데이터와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S840).
부분 센싱데이터와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부분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특성값들과 비교용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특성값들의 차이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 데이터처리장치(150)는 화소센싱영역(510)에 잔상 또는 색상 번짐과 같은 번인(Burn-in)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센싱 대상에 대한 열화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S850, S860). 여기서, 비교용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특성값들은 도 6의 주변 영역(610)에 배치된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 및 센싱 대상의 초기 특성값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860에서 데이터처리장치(150)는 기저장한 룩업 테이블에서 센싱 대상에 대한 보상값들만을 수정한 후에 룩업 테이블에 포함된 보상값들을 영상데이터(RGB')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처리장치(150)는 부분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을 이용하여 센싱 대상에 대한 보상값들을 수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S850에서 부분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특성값들과 비교용 센싱데이터에 포함된 특성값들의 차이가 일정 기준 미만인 경우, 데이터처리장치(150)는 센싱 대상에 대한 열화 보상을 미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룩업 테이블에서 센싱 대상에 대한 보상값들을 수정하는 구성을 미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번인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과 열화 보상을 데이터처리장치(150)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일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호스트(10)에서 번인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과 열화 보상을 실시할 수도 있다.

Claims (14)

  1. 사용자의 화면 문지름을 인식하고 다수의 화소가 배치된 터치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화면 문지름이 발생한 문지름 영역을 특정한 후에 상기 문지름 영역을 포함하는 화소센싱영역을 특정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화소센싱영역에 대한 센싱영역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센싱영역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에 배치된 화소들을 센싱 대상으로 구분하고, 상기 센싱 대상에 대한 화소센싱데이터를 화소센싱장치로부터 수신한 후에 상기 화소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번인(Burn-in)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화소센싱영역에 번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센싱 대상에 대한 열화 보상을 수행하는 열화 보상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화소센싱데이터를 상기 화소센싱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다수의 화소 전체에 대한 화소센싱데이터인 일반 센싱데이터를 기저장하는 데이터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일반 센싱데이터 중에서 상기 화소센싱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선별하고, 상기 화소센싱데이터와 상기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번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센싱데이터는 상기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교용 센싱데이터는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을 포함하며,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상기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의 차이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화소센싱영역에 번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데이터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다수의 화소에 대한 보상값들을 포함한 룩업 테이블을 기저장하는 데이터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센싱데이터는 상기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을 포함하고,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특성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센싱 대상에 대한 보상값들을 수정하는 데이터처리장치.
  7. 터치디스플레이 패널에 배치된 다수의 터치센서를 통해 상기 터치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고, 상기 터치에 대한 터치 좌표 정보를 포함한 터치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터치구동장치;
    상기 터치디스플레 패널에 배치된 다수의 화소의 특성값을 센싱하는 화소센싱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터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화면 문지름에 대한 문지름 영역이 상기 터치디스플레이 패널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문지름 영역을 포함하는 화소센싱영역에 대한 센싱영역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센싱영역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에 배치된 화소들을 센싱 대상으로 구분하며, 상기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만을 포함한 화소센싱데이터를 상기 화소센싱장치로부터 수신한 후에 상기 화소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번인(Burn-in)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처리장치
    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구동장치는 일정 시간 동안 다수의 터치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다수의 터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터치가 상기 터치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영역 내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한 것을 확인하되, 상기 일 영역의 일측과 타측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가 2회 이상 발생한 것을 확인한 경우에 상기 일 영역을 상기 문지름 영역으로 특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화소센싱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다수의 화소 전체에 대한 센싱데이터인 일반 센싱데이터를 기저장하고, 상기 화소센싱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상기 일반 센싱데이터 중에서 상기 화소센싱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선별하고, 상기 화소센싱데이터와 상기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번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용 센싱데이터는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상기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의 차이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화소센싱영역에 번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다수의 화소에 대한 보상값들을 포함한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센싱 대상의 보상값들을 수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데이터처리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에 있어서,
    터치구동장치로부터 터치데이터를 수신한 외부장치가 상기 터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화면 문지름에 대한 문지름 영역이 터치디스플레이 패널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문지름 영역을 포함하는 화소센싱영역에 대한 센싱영역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영역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센싱영역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화소들을 센싱 대상으로 구분하는 센싱영역 구분 단계;
    상기 터치디스플레이 패널에 배치된 다수의 화소의 특성값을 센싱하는 화소센싱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만을 포함한 부분 센싱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기저장한 일반 센싱데이터 -상기 다수의 화소의 특성값들을 포함- 중에서 상기 부분 센싱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선별하고, 상기 부분 센싱데이터와 상기 비교용 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번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열화 판단 단계; 및
    상기 화소센싱영역에 번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센싱 대상에 대한 열화 보상을 수행하는 열화 보상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처리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 보상 단계에서
    상기 비교용 센싱데이터는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센싱 대상의 특성값들과 상기 비교 대상 화소들의 특성값들의 차이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화소센싱영역에 번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데이터처리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 보상 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화소에 대한 보상값들을 포함한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센싱 대상의 보상값들을 수정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 및 가공한 영상데이터에 상기 룩업 테이블을 적용하여 상기 화소센싱영역의 번인을 제거하는 데이터처리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
KR1020200159806A 2020-11-25 2020-11-25 데이터처리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데이터처리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 KR20220072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806A KR20220072327A (ko) 2020-11-25 2020-11-25 데이터처리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데이터처리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
US17/529,033 US11635850B2 (en) 2020-11-25 2021-11-17 Device and method for degradation compensation of an area selected for rubbing
TW110142919A TW202221688A (zh) 2020-11-25 2021-11-18 資料處理裝置、顯示裝置和資料處理裝置的劣化補償方法
CN202111401782.6A CN114546156A (zh) 2020-11-25 2021-11-19 数据处理装置、显示装置和数据处理装置的劣化补偿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806A KR20220072327A (ko) 2020-11-25 2020-11-25 데이터처리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데이터처리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327A true KR20220072327A (ko) 2022-06-02

Family

ID=8165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806A KR20220072327A (ko) 2020-11-25 2020-11-25 데이터처리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데이터처리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35850B2 (ko)
KR (1) KR20220072327A (ko)
CN (1) CN114546156A (ko)
TW (1) TW2022216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573B1 (ko) * 2022-02-23 202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584B1 (ko) 2003-11-17 2007-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잔상제거방법
KR101990036B1 (ko) * 2012-10-31 2019-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613591B2 (en) * 2014-08-29 2017-04-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mov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device
KR102271436B1 (ko) 2014-08-29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잔상 제거 방법
US10156978B2 (en) * 2015-03-31 2018-12-18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59249B1 (ko) 2015-12-31 2022-10-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잔상 영역 보정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잔상 영역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1856928B1 (ko) 2016-10-05 2018-05-15 (주)코텍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와 방법
KR20220060219A (ko) * 2020-11-04 2022-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20069201A (ko) * 2020-11-19 2022-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프로세서,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21688A (zh) 2022-06-01
US11635850B2 (en) 2023-04-25
US20220164061A1 (en) 2022-05-26
CN114546156A (zh)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3162B2 (en) Grayscale compens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luminous display, and self-luminous display device
TWI600323B (zh) 一種顯示裝置以及用於顯示裝置之畫素補償模組及畫素補償方法
KR101731178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240448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89664B1 (ko) 컨트롤러,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935559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32209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6004708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70072994A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 장치 및 방법
JP2015156002A (ja) 表示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150071549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2484869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US11635850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gradation compensation of an area selected for rubbing
KR20190074548A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11783750B2 (en) Locally different gamma mapping for multi-pixel density OLED display
KR202200918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잔상 보상 방법
KR102456428B1 (ko) 백색 서브 픽셀을 가지는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20170135526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보상방법
CN112992078A (zh) 源极驱动器及包括该源极驱动器的显示设备
KR2016009217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00309099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00052508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502800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24002963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mpensating for an image of the display device
KR102438260B1 (ko) 광학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