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928B1 -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928B1
KR101856928B1 KR1020160128613A KR20160128613A KR101856928B1 KR 101856928 B1 KR101856928 B1 KR 101856928B1 KR 1020160128613 A KR1020160128613 A KR 1020160128613A KR 20160128613 A KR20160128613 A KR 20160128613A KR 101856928 B1 KR101856928 B1 KR 101856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formation
content
rgb level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861A (ko
Inventor
권제영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riority to KR1020160128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92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텐츠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면의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한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처리하여 시야각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RGB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와 방법{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발광 표시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RGB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자발광 표시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거나, 픽셀의 열화 데이터 맵을 이용해 픽셀의 열화를 보상함으로써 자발광 표시 장치의 잔상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발광 소자(예 :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가 적용된 표시 장치(예 : 모니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상기 예시한 오엘이디(OLED)는 자연색에 가까운 색상을 구현할 수 있고, 반응속도가 기존의 엘시디(LCD : Liquid Crystal Display)에 비해 1000배 이상 빠르며, 백라이트가 필요 없다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오엘이디(OLED)는 백라이트(BLU : Backlight Unit)가 아닌 화소 자체가 발광(즉, 자발광)하여 화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오엘이디(OLED)에 가해지는 전류량으로 오엘이디(OLED)의 밝기 조절이 가능하다.
그런데 오엘이디(OLED) 표시 장치는 특정 화면이 고정된 상태로 장시간 구동될 경우 발광소자(즉, 픽셀 또는 화소) 가운데 일부가 열화(劣化)로 인해 휘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오엘이디(OLED) 소자는 박막트랜지스터(TFT)에서 전류를 흘려줘야 발광하는데, 장시간 같은 화면을 표시하면 전류 역시 장시간 흐르므로 그에 따른 스트레스 때문에 수명이 줄고 휘도가 감소하며 색상에도 변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즉, 픽셀 또는 화소) 간 휘도 차이가 3% 이상이면 화면에 잔상 혹은 얼룩이 남은 것처럼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일단 열화가 이뤄진 화소(또는 픽셀)는 처음으로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자발광 표시 장치에 대한 수명을 연장시키거나, 색상의 변화 및 잔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기존에는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이미지(예 : 시작버튼, 로고, 메뉴버튼 등)가 계속 나오지 않도록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거나, 구동회로를 조절해 각각의 휘도(Brightness, Luminance) 감소를 보상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자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에 최적화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61134호(2007.09.17.등록, APL을 이용한 잔상 제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잔상 제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자발광 표시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RGB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자발광 표시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발광 표시 장치의 각 픽셀에 대한 열화 데이터 맵을 이용해 픽셀의 열화를 보상함으로써 자발광 표시 장치의 잔상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는, 콘텐츠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면의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한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처리하여 시야각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RGB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별도의 광원이 없이 자체적으로 발광이 가능한 자발광 소자로 구현되며, 오엘이디(OLED), 피디피(PDP), 또는 큐엘이디(Q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표시 영역별로 RGB 레벨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분하는 표시 영역은, 중심 표시 영역과 주변 표시 영역을 포함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GB 레벨을 상향 조정하거나 하향 조정하되, 적어도 2개로 구분된 표시 영역 중, 주변 표시 영역의 RGB 레벨은 조정하지 않고 중심 표시 영역의 RGB 레벨만 상향 조정하거나, 중심 표시 영역의 RGB 레벨은 조정하지 않고 주변 표시 영역의 RGB 레벨만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는 RGB 레벨 값은, 기 설정된 절대 값이거나, 조정할 표시 영역 대비 다른 표시 영역에 대한 상대적인 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별로 RGB 레벨이 다르게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미리 저장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옵션에 따라, 상기 산출된 시야각 정보에 대응하여 RGB 레벨이 설정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서 읽거나 제공받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서브픽셀, 픽셀 또는 블록 단위로 열화 정보를 검출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열화 정보를 바탕으로 전체 화면에 대한 열화 정도와 분포를 판별할 수 있는 열화 데이터 맵을 생성하고, 상기 열화 데이터 맵을 바탕으로, 화면 전체 또는 미리 구분된 표시 영역별로 열화가 덜 된 서브픽셀, 픽셀 또는 블록 단위로 잔상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표시 영역의 픽셀 간 휘도 차이가 영역 평균 대비 기 설정된 비율 보다 큰 픽셀에 대하여 잔상 보상 및 색상 보상을 수행하거나, 화면 전체의 픽셀 간 휘도 차이가 화면 전체 평균 대비 기 설정된 비율 보다 큰 픽셀에 대하여 잔상 보상 및 색상 보상을 수행하되, 휘도가 낮은 픽셀의 경우는 색상을 보상해 주고, 휘도가 높은 픽셀은 색상 보상 및 잔상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 되는 배경을 OSD(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출력하는 OSD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센싱부를 통하여 검출된 열화 데이터 맵을 이용하여 콘텐츠와는 별도로 열화가 많이 된 부분은 RGB의 색상을 보상해주고 열화가 적게 된 부분은 열화를 더 시켜서 평균치에 맞게 조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방법은, 검출부가 디스플레이부 전면의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검출한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응시하는 방향, 응시 지점, 및 거리에 따른 시야각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RGB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RGB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중심 표시 영역과 주변 표시 영역을 포함한 적어도 2개 이상의 표시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표시 영역별로 RGB 레벨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RGB 레벨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분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표시 영역 중, 주변 표시 영역의 RGB 레벨은 조정하지 않고 중심 표시 영역의 RGB 레벨만 상향 조정하거나, 중심 표시 영역의 RGB 레벨은 조정하지 않고 주변 표시 영역의 RGB 레벨만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는 RGB 레벨 값은, 기 설정된 절대 값이거나, 조정할 표시 영역 대비 다른 표시 영역에 대한 상대적인 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별로 RGB 레벨이 다르게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부에 미리 저장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고, 미리 설정된 옵션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산출된 정보에 대응하여 RGB 레벨이 설정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서 읽어오거나 제공받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센싱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픽셀, 서브픽셀 또는 블록 단위로 열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열화 정보를 바탕으로 전체 화면에 대한 열화 정도와 분포를 판별할 수 있는 열화 데이터 맵을 생성하여, 상기 열화 데이터 맵을 바탕으로 화면 전체 또는 미리 구분된 표시 영역별로 열화가 덜 된 픽셀, 서브픽셀 또는 블록 단위로 잔상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잔상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각 표시 영역의 픽셀 간 휘도 차이가 영역 평균 대비 기 설정된 비율 보다 큰 픽셀에 대하여 잔상 보상 및 색상 보상을 수행하거나, 화면 전체의 픽셀 간 휘도 차이가 화면 전체 평균 대비 기 설정된 비율 보다 큰 픽셀에 대하여 잔상 보상 및 색상 보상을 수행하되, 상기 잔상 보상은 휘도가 낮은 픽셀의 경우는 색상을 보상해주고, 휘도가 높은 픽셀의 경우는 색상 보상 및 잔상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OSD(On Screen Display)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 되는 배경을 OSD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센싱부를 통하여 검출된 열화 데이터 맵을 이용하여 콘텐츠와는 별도로 열화가 많이 된 부분은 RGB의 색상을 보상해주고 열화가 적게 된 부분은 열화를 더 시켜서 평균치에 맞게 조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발광 표시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콘텐츠의 RGB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자발광 표시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픽셀의 열화 데이터 맵을 이용해 픽셀의 열화를 보상함으로써 자발광 표시 장치의 잔상현상 및 색상의 틀어짐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된 자발광 표시 장치의 외관 형상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인지되는 정보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기본 콘텐츠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사용자의 응시 지점이 화면 중앙일 때 RGB 레벨의 조정 방법 및 조정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사용자의 응시 지점이 화면 중앙일 때의 다른 RGB 레벨의 조정 방법 및 조정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상기 도 5 내지 도 6에 있어서, RGB 레벨을 조정하는 다른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상기 도 8에 있어서, 영역별 열화된 픽셀에 대한 잔상 보상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콘텐츠 표시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2는 상기 도 11에 있어서, OSD 부를 통해 출력하는 배경을 통해 RGB 레벨을 하향시키는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방법 중 RGB 레벨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방법 중 잔상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와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는, 검출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콘텐츠 제공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부(1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전면에 있는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검출부(110)에서 검출한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처리하여 안구가 응시하는 방향, 응시 지점, 및 거리에 따른 시야각을 검출한다.
이때 상기 안구의 응시 방향, 응시 지점, 및 시야각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110)는 스테레오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와 같이 스테레오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 안구의 응시 방향, 응시 지점, 및 거리에 따른 시야각을 더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에 포함되는 각 카메라가 설치되는 위치, 간격, 및 각도는 자발광 표시장치의 형상이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오엘이디(OLED), 피디피(PDP), 또는 큐엘이디(QLED) 등과 같이 별도의 광원이 없이 자체적으로 발광이 가능한 소자로 구현되며,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콘텐츠 제공부(140)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읽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안구가 응시하는 방향, 응시 지점, 및 거리에 따른 시야각을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RGB 레벨을 조정한다.
참고로, 상기 시야각(또는 화각)이란, 모니터를 상하좌우의 위치에서 비스듬히 볼 때와 정 중앙에서 볼 때와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예컨대 수평시야각이 170도라고 하면 좌로 85도, 우로 85도의 위치에서 보아도 괜찮다는 뜻이다. 하지만, 시야각의 표시 기준이 명암비가 10:1이 되는 각도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볼 때에는 휘도의 저하와 변색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스펙상의 시야각과 체감적인 시야각은 차이가 있다.
한편 동일한 시청거리에서 화면 사이즈가 커지면 시야각이 넓어진다. 그러나 시청거리가 멀어지면 화면 사이즈가 커져도 시야각은 넓어지지 않는다.
이때 상기 시야각은 눈의 구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사람의 눈동자 한 가운데에는 사물의 색깔과 이미지를 구별하는 오목한 부분이 있는데 이를 중심와(fovea)라고 부르며, 이 중심와를 통해 또렷하게 사물을 인지할 수 있는 시야를'중심시야'라고 하는데, 눈동자를 움직이지 않고 고정시켰을 때 이 중심시야의 각도는 좌우 각 16도씩 총 32도가 된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이 인지할 수 있는 공간 해상도는 시야각 1도당 약 60픽셀 정도이며, 따라서 중심시야의 각도가 약 32도라고 가정할 경우, "32ㅀ* 60픽셀 = 총 1920 픽셀"을 수평 해상도의 기준으로 잡을 수 있다.
그런데 눈에는 중심시야 외에 '주변시야'라는 것이 또 있으며, 이는 중심와(fovea)에 맺히는 또렷한 이미지가 아니며 불완전하고 확연치가 않다. 하지만 상(像)이 존재한다는 것은 충분히 인지할 수 있는 범위를 '주변시야'라고 부른다. 대략 좌우 각 50ㅀ씩 총 100ㅀ가 그 범위이다.
다만 상기 시야각은 사람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빛의 3원색(Red, Green, Blue)을 이용해 색상을 표현하는 방법으로서 TV나 모니터 등에서 사용되는 RGB 색상 표시법과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CMYK(Cyan, Magenta, Yellow, Black) 색상 표시법이 있는데, 상기 CMYK 색상 표시법은 색상이 겹쳐질수록(즉, 혼합될수록) 어두워지는 감산혼합이 적용되는 반면, 상기 RGB 색상 표시법은 색상이 겹쳐질수록(즉, 혼합될수록) 밝아지는 가산혼합이 적용된다.
따라서 RGB 레벨(예 : 0~255레벨)(또는 RGB 출력레벨)을 조절하여 해당 색상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RGB 레벨은 이미지 색상의 명도 값을 조정하여 색상의 균형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이미지 전체를 밝게 하거나 어둡게 할 수 있고, 밝은 부분은 더 밝게 처리하고 어두운 부분을 더 어둡게 처리하며, 색상의 분포를 조절하여 색상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가령 색상이 혼합되는 부분이 가산혼합에 의해 너무 밝아지지 않도록 RGB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된 자발광 표시 장치의 외관 형상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인지되는 정보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야각은 화면 사이즈가 동일할 때 거리(시청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시야각이 좁아진다. 하지만 가까운 거리에서 응시 지점을 기준으로 시야각이 좁을 경우에는 글씨(text)도 인식할 수 있으나, 시야각이 넓어질 경우에는 형상(shape)이나 색상(color) 정도만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 일정 크기 이상의 표시 장치(예 : 카지노 등에 설치된 40인치 이상의 표시 장치)를 사용자가 가까이서 볼 경우 응시 지점을 기준으로 일부분(정면의 일정 범위)의 정보는 뚜렷하게 보이지만 그 주변의 정보는 점점 흐릿하게 보여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사람의 시야각에 따라 인지할 수 있는 요소가 상이함에 따라, 상기 검출부(110)를 이용해 사람의 안구(또는 눈동자)를 관측하여 현재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방향, 응시 지점, 및 거리에 따른 시야각을 검출(또는 산출)한 후, 이 검출 정보(또는 산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RGB 레벨을 화면 표시 영역에 따라 조정함으로써, 자발광 표시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RGB 레벨을 화면 표시 영역에 따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기본 콘텐츠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기본 콘텐츠는, 붉은색 배경의 화면 상단부에 텍스트가 표시되고, 회색 배경의 화면 하단부에 텍스트가 표시되며, 녹색 배경의 화면 중앙부에 4개의 회색 블록이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표시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기본 콘텐츠는 설명의 편의상 카지노의 게임기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예시적으로 보인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형상의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사용자의 응시 지점이 화면 중앙일 때 RGB 레벨의 조정 방법 및 조정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응시 지점이 화면 중앙일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응시 지점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시야각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사이즈의 화면 표시 영역의 RGB 레벨을 기 설정된 값(또는 센싱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 값)으로 상향 조정한다. 상기 응시 지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사이즈의 화면 표시 영역 이외의 다른 표시 영역의 RGB 레벨 값은 조정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상향 조정하는 RGB 레벨 값은 절대 값이거나 주변 표시 영역에 대한 상대적인 값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 중심 표시 영역에 대한 화질이 주변 표시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향상되는 느낌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음에 따라 해당 표시 영역에 표시된 내용에 대한 전달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의 RGB 레벨을 상향 시키는 것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고(즉, 소모 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주변 표시 영역(예 : 화면 상단부와 하단부 등)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사용자의 응시 지점이 화면 중앙일 때의 다른 RGB 레벨의 조정 방법 및 조정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RGB 레벨의 조정 방법과는 반대로 제어하는 방식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응시 지점이 화면 중앙일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응시 지점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시야각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사이즈의 화면 표시 영역의 RGB 레벨을 조정하지 않고, 주변 표시 영역(즉, 상기 응시 지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사이즈의 화면 표시 영역 이외의 다른 표시 영역)의 RGB 레벨 값을 하향 조정한다.
이때 상기 하향 조정하는 RGB 레벨 값은 절대 값이거나 상기 중심 표시 영역에 대한 상대적인 값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 5에서와 마찬가지로, 화면 중심 표시 영역에 대한 상대적인 화질이 향상되는 느낌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의 RGB 레벨을 상향시키는 것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고(즉, 소모 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중심 표시 영역의 RGB 레벨을 상향시키지 않기 때문에 중심 표시 영역에 대한 화소들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RGB 레벨의 조정 방법은 화면 표시 영역별 화소에 대한 RGB 레벨을 상향 또는 하향시키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의 RGB 레벨이 다르게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제공부(140)가 제공하고,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방향, 응시 지점, 및 거리에 따른 시야각에 기초하여 그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읽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옵션 선택을 통해, 상기 콘텐츠 제공부(140)에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방향, 응시 지점, 및 거리에 따른 시야각에 따라, 해당 표시 영역별(예 : 중심 표시 영역, 좌측 표시 영역, 우측 표시 영역, 주변 표시 영역 등) RGB 레벨이 다르게 설정된(즉, 어느 하나의 영역의 RGB 레벨은 상향시키고 다른 영역의 RGB 레벨은 하향시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미리 저장해 두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방향, 응시 지점, 및 거리에 따른 시야각에 따라 그에 대응하여 RGB 레벨이 설정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제공부(140)에서 읽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콘텐츠 저장을 위한 저장 용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필요할 수 있으나,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상기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상기 도 5 내지 도 6에 있어서, RGB 레벨을 조정하는 다른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응시 지점이 주로 중앙부인 점을 고려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사용자의 응시 지점이 화면 중앙일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응시 지점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시야각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사이즈의 사각형의 화면 표시 영역을 포함하되, 원형인 눈의 구조를 고려하여 상기 사각형의 화면 표시 영역이 내접하는 원형으로 변환하여 상기 원형의 화면 표시 영역의 RGB 레벨을 기 설정된 값(또는 센싱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 값)으로 상향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원형의 화면 표시 영역의 사이즈를 일정 간격으로 주변 영역으로 확장시키며 RGB 레벨을 기 설정된 값으로 점차 하향 조정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RGB 레벨의 변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임으로써 RGB 레벨 변화로 인한 불편한 느낌을 갖지 않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변 영역으로 확장시키는 원형의 화면 표시 영역의 확장 간격은 최소 1 화소 단위일 수 있으며 적어도 수십 화소 단위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향 조정하는 RGB 레벨 및 상기 하향 조정되는 RGB 레벨 값은 절대 값이거나 상대적인 값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도 7에서는 중심 표시 영역의 RGB 레벨 조정과 주변 표시 영역의 RGB 레벨 조정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각 영역별 RGB 레벨의 상향 조정 및 RGB 레벨의 하향 조정은 별개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중심 표시 영역의 RGB 레벨 상향 조정만 수행되거나 주변 표시 영역의 RGB 레벨 하향 조정만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센싱부(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센싱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메인 픽셀(또는 서브픽셀 또는 블록 단위)에 대한 열화 정보를 센싱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자발광 표시 장치는 각각의 픽셀이 별도로 발광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 픽셀마다 열화 정도가 상이하다. 따라서 픽셀 또는 블록 단위로 열화 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측정된 픽셀 또는 블록 단위의 열화 정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발광 표시 장치의 전체 화면에 대한 열화 정도와 분포를 판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 센싱부(150)는 상기 픽셀 또는 블록 단위로 전압이나 전류를 센싱하여 기 설정된 기준 값과의 비교를 통해 픽셀(또는 블록 단위)의 열화 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센싱부(150)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를 주기적으로 스캔하는 방식으로 픽셀(또는 블록 단위)의 열화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검출된 열화 정보를 바탕으로 열화 데이터 맵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열화 데이터 맵을 통해 전체 화면에서 열화된 픽셀(또는 블록 단위)의 분포를 알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픽셀의 열화 정보를 검출하는 이유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픽셀(또는 화소) 간 휘도 차이가 3% 이상이면 화면에 잔상 혹은 얼룩이 남은 것처럼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검출한 열화 정보(또는 열화 데이터 맵)에 기초하여 픽셀 간 휘도 차이가 기 설정된 비율(예 : 3%) 보다 큰 픽셀(또는 블록 단위) 영역(예 : 열화가 덜 된 픽셀이 분포된 영역)에 대하여 잔상 보상을 수행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잔상 보상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0은 상기 도 8에 있어서, 영역별 열화된 픽셀에 대한 잔상 보상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콘텐츠 표시 화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콘텐츠 표시 화면은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화면의 중심 표시 영역에서 주변 표시 영역까지 복수의 영역(예 : 텍스트 인지 영역, 형상 인지 영역, 색상 인지 영역, 인지범위 이외 영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시야각에 따라 구분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설명은, 이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오엘이디(OLED) 표시 장치의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사용자의 거리(즉, 시청거리)가 가까울 경우 시야각의 커짐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인지범위 이외 영역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으로 RGB 레벨의 조정을 수행할 경우, 상기 인지범위 이외 영역에 가까운 픽셀일수록 열화가 덜 된 픽셀이 분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가 수행하는 잔상 보상은 상기 열화가 덜 된 픽셀이 분포하는 영역(예 : 인지범위 이외 영역)에서 주로 이루어지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열화 데이터 맵을 통해 전체 화면에서 열화가 덜 된 픽셀이 분포된 영역을 알 수 있고, 상기 영역 내의 픽셀(즉, 열화가 덜 된 픽셀)에 대하여 잔상 보상을 수행한다. 상기 잔상 보상은 해당 픽셀의 RGB 레벨을 상향(예 : 최대 상향)시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잔상 보상은 각 영역의 픽셀 간 휘도 차이가 영역 평균 대비 기 설정된 비율(예 : 3%) 보다 큰 픽셀에 대하여 수행(예 : 사용자가 화면 중심부를 주시하고 있을 경우, 시야각을 벗어난 영역 단위로 잔상 보상 수행)되거나(도 9 참조), 화면 전체의 픽셀 간 휘도 차이가 화면 전체 평균 대비 기 설정된 비율(예 : 3%) 보다 큰 픽셀에 대하여 수행(예 : 사용자가 화면을 주시하고 있지 않을 경우, 화면 전체에 대하여 잔상 보상 수행)될 수 있다(도 10 참조).
상기와 같이 잔상 보상을 통해 해당 픽셀을 강제로 열화 시킴으로써 픽셀들이 균일하게 열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잔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잔상 보상이 이루어지는 영역은 잔상 보상할 픽셀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전체는 RGB 레벨을 기 설정된 값으로 하향 조정함으로써, 상기 잔상 보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서는 인지범위 이외 영역 전체의 RGB 레벨이 기 설정된 값으로 하향 조정되었으며, 도 10에서는 표시 영역 전체의 RGB 레벨이 기 설정된 값으로 하향 조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8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OSD(On Screen Display) 부(160)를 더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OSD(On Screen Display)는 모니터 화면을 사용자가 직접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해 주는 조정 기능으로서, 화면에 나타난 OSD 창을 통해 조정할 수 있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OSD(On Screen Display) 부(160)는 사용자가 직접 화면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화면 전체(또는 일부)를 가리는(즉, 오버레이 시키는) 배경을 출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전에 이미 출력되고 있던 콘텐츠 이미지와 합성되게 하여 RGB 레벨(또는 화이트 레벨)이 하향되게 한다. 이로써 자발광 표시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OSD 부(160)를 이용하여 RGB 레벨을 조정하는 방식은 별도의 잔상 보상이 필요하지 않을 때 수행할 수 있는 방식이다.
상기 OSD 부(160)를 이용하여 RGB 레벨을 조정하는 방식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컨대 OSD의 경우 통상적으로 투명도 및 RGB 레벨을 0~255 단계로 조정이 가능하고, 이는 RGB의 서브픽셀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130)와 그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130)의 각 픽셀을 OSD로 제어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0)에 비디오 데이터를 보내는 스케일러의 경우 OSD 기능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OSD를 이용하여 잔상보상 또는 색상보상을 해줌으로써 콘텐츠 제공부(140)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줄여 줄 수가 있으며, 또한 이 기능은 모니터 자체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어떠한 콘텐츠가 들어오더라도 모니터 자체적으로 보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OSD를 이용한 잔상보상 혹은 색상보상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상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센싱부(150)를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열화 데이터 맵을 구성하고, 도 9,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10)를 통하여 계산된 시야각을 바탕으로 각각의 인지영역에 따라서 OSD를 오버레이 함으로써 각각 다른 휘도를 설정하고(예 : 텍스트 인지영역은 OSD의 오버레이를 하지 않거나 투명도를 100%로 설정하여 콘텐츠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형상 인지영역은 OSD의 RGB를 100%로 하고 투명도를 90%로 하여 10% 정도의 RGB 레벨을 줄일 수 있다. 색상(Color) 인지영역은 RGB를 100%, 투명도를 80%로 하여 20% 정도의 RGB 레벨을 줄임으로써 해당 영역의 수명 연장을 가져오고 열화현상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인지범위 이외의 영역은 열화 데이터 맵을 이용하여 검정색 바탕(OLED OFF)에 각각의 열화정도에 따라서 RGB 레벨을 동일하게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잔상을 보상해 주거나, RGB 서브픽셀 중 레드(RED)픽셀이 열화가 많이 되었을 경우 그린(Green)과 블루(Blue)만 255레벨로 디스플레이하면서 디스플레이 센싱부(150)를 통해 열화정도를 피드백 받아서 레드(Red)와 동일한 정도로 열화 시켜줌으로써 색상에 대한 보정도 실시할 수 있다.
도 10은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을 설명하는 예시도로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를 보고 있지 않을 경우, 전체 배경은 OSD로 블랙처리하고 보상이 필요한 영역만 OSD로 RGB로 조정하면서 잔상 보상 및 색상 보상을 해주는 실시예이다.
여기서 상기 서브픽셀에 대해 좀 더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부는 각각의 픽셀이 모여서 구성되며, 이 픽셀의 숫자가 해상도를 결정하는 요소가 된다. 즉, 1920*1080이라고 하면, 가로로 픽셀이 1920개 세로로 픽셀이 1080개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이 각각의 픽셀들은 제조사에 따라 상이하기는 하지만 RGB 또는 RGBW로 이루어지며, 이 RGB의 Red, Green, Blue 픽셀 또는 RGBW의 Red, Green, Blue, White 픽셀을 서브픽셀이라고 한다.
도 12는 상기 도 11에 있어서, OSD 부를 통해 출력하는 배경을 통해 RGB 레벨을 하향시키는 화면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발광 표시 장치의 화면을 주시하고 있지 않을 경우, OSD 부(160)를 이용하여 화면 전체(또는 일부)를 가리는 배경(예 : 어두운 색상의 배경)을 출력하여 이전에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와 합성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화면 전체(또는 일부)에 대한 RGB 레벨(또는 화이트 레벨)을 하향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수행하는 보상에 대해서 이해를 위해 좀 더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각각의 픽셀은 RGB와 같은 서브픽셀로 이루어지며, 콘텐츠에 따라 RGB 각각의 서브픽셀의 열화정도가 다름에 따라 휘도의 저하뿐만 아니라 색상이 틀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열화로 인한 문제는 흔히 말하는 휘도차이인 잔상뿐만 아니라 색상 틀어짐까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열화가 많이 되어 휘도가 낮은 픽셀에 대한 센싱 결과가 Red가 열화가 많이 되고 Green과 Blue가 열화가 덜 된 상태라고 가정할 경우, 해당 픽셀이 사용자의 시야각 밖에 있을 때 보상을 실시하되 OSD나 콘텐츠로 해당 픽셀에 Red 값은 주지 않고 Green과 Blue 데이터만 보내서 Green과 Blue의 열화를 진행시켜서 색상 틀어짐을 보상해 주도록 하며 Red 서브픽셀과 열화정도가 동일하게 될 때 까지 보상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열화가 적게 되어 화면의 평균치(즉 평균 열화정도) 보다 지정된 일정 비율이상 높은 픽셀(즉, 열화가 덜 된 픽셀)에 대해서는 상기 열화가 많이 된 픽셀과 동일하게 색상 보상 동작을 수행하되 색상 보상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RGB를 동일하게 열화시키면서 기 설정된 일정 비율에 도달할 때까지 해당 픽셀을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색상 보상 뿐만 아니라 잔상 보상까지 수행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방법 중 RGB 레벨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검출부(110)를 이용해 사용자의 응시 방향, 응시 지점, 및 거리에 따른 시야각 정보를 검출한다(S101).
상기 사용자의 응시 방향은 사용자가 자발광 표시 장치의 화면을 바라보는지 아니면 다른 방향을 바라보는지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응시 지점은 사용자가 화면을 바라볼 때 화면의 중앙부를 바라보는지 주변부를 바라보는지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시야각 정보는 사용의 시청 거리에 따라 인지할 수 있는 정보(예 : 텍스트, 형상, 색상 등)의 종류에 대응하는 인지 영역을 구분할 수 있는 정보이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검출된 정보(예 : 응시 방향, 응시 지점, 및 거리에 따른 시야각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30)의 표시 영역을 구분한다(S102).
이때 상기 구분하는 표시 영역은 적어도 2개의 영역(예 : 중심 표시 영역, 주변 표시 영역) 이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구분되는 각 영역의 형상은 사각형 형상이거나, 눈의 구조를 고려한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표시 영역이 구분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각 표시 영역별로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RGB 레벨을 하향 또는 상향 조정한다(S103).
예컨대 상기 주변 표시 영역의 RGB 레벨은 조정하지 않고 중심 표시 영역의 RGB 레벨만 상향 조정하거나, 중심 표시 영역의 RGB 레벨은 조정하지 않고 주변 표시 영역의 RGB 레벨만 하향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분되는 영역이 많을수록 각 영역별 RGB 레벨 차이를 작게 하여 사용자가 불편한 느낌을 갖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방법 중 잔상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센싱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30)의 픽셀에 대한 열화 정보를 검출한다(S201).
다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검출된 픽셀의 열화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 전체에 대한 열화 정도와 분포를 알 수 있는 열화 데이터 맵을 생성한다(S202).
상기 열화 데이터 맵을 통해 화면 전체에서 열화된 픽셀의 분포를 알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열화 데이터 맵을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120)는 화면 전체 또는 미리 구분된 표시 영역별로 열화가 덜 된 픽셀이 분포된 영역에 대하여 잔상 보상을 수행한다(S203).
이때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검출된 정보(예 : 응시 방향, 응시 지점, 및 거리에 따른 시야각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예 : 중심 표시 영역, 주변 표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상 보상이 수행되는 픽셀은 해당 영역 내에서 픽셀 간 휘도 차이가 기 설정된 비율(예 : 3%) 보다 큰 픽셀에 대하여 RGB 레벨을 상향시킴으로써 잔상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검출부
120 :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콘텐츠 제공부
150 : 디스플레이 센싱부
160 : OSD 부

Claims (19)

  1. 콘텐츠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면의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한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처리하여 시야각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RGB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표시 영역별로 RGB 레벨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되,
    상기 구분하는 표시 영역은, 중심 표시 영역과 주변 표시 영역을 포함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별도의 광원이 없이 자체적으로 발광이 가능한 자발광 소자로 구현되며,
    오엘이디(OLED), 피디피(PDP), 또는 큐엘이디(Q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GB 레벨을 상향 조정하거나 하향 조정하되,
    적어도 2개로 구분된 표시 영역 중, 주변 표시 영역의 RGB 레벨은 조정하지 않고 중심 표시 영역의 RGB 레벨만 상향 조정하거나, 중심 표시 영역의 RGB 레벨은 조정하지 않고 주변 표시 영역의 RGB 레벨만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는 RGB 레벨 값은,
    기 설정된 절대 값이거나, 조정할 표시 영역 대비 다른 표시 영역에 대한 상대적인 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
  8. 콘텐츠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면의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한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처리하여 시야각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RGB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별로 RGB 레벨이 다르게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미리 저장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옵션에 따라, 상기 산출된 시야각 정보에 대응하여 RGB 레벨이 설정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서 읽거나 제공받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
  9. 콘텐츠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면의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한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처리하여 시야각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RGB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서브픽셀, 픽셀 또는 블록 단위로 열화 정보를 검출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열화 정보를 바탕으로 전체 화면에 대한 열화 정도와 분포를 판별할 수 있는 열화 데이터 맵을 생성하고, 상기 열화 데이터 맵을 바탕으로, 화면 전체 또는 미리 구분된 표시 영역별로 열화가 덜 된 서브픽셀, 픽셀 또는 블록 단위로 잔상 보상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각 표시 영역의 픽셀 간 휘도 차이가 영역 평균 대비 기 설정된 비율 보다 큰 픽셀에 대하여 잔상 보상 및 색상 보상을 수행하거나, 화면 전체의 픽셀 간 휘도 차이가 화면 전체 평균 대비 기 설정된 비율 보다 큰 픽셀에 대하여 잔상 보상 및 색상 보상을 수행하되, 휘도가 낮은 픽셀의 경우는 색상을 보상해 주고, 휘도가 높은 픽셀은 색상 보상 및 잔상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
  10. 삭제
  11. 콘텐츠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면의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한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처리하여 시야각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RGB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 되는 배경을 OSD(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출력하는 OSD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센싱부를 통하여 검출된 열화 데이터 맵을 이용하여 콘텐츠와는 별도로 열화가 많이 된 부분은 RGB의 색상을 보상해주고 열화가 적게 된 부분은 열화를 더 시켜서 평균치에 맞게 조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
  12. 검출부가 디스플레이부 전면의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검출한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응시하는 방향, 응시 지점, 및 거리에 따른 시야각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RGB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RGB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중심 표시 영역과 주변 표시 영역을 포함한 적어도 2개 이상의 표시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표시 영역별로 RGB 레벨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방법.
  13. 삭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RGB 레벨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분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표시 영역 중, 주변 표시 영역의 RGB 레벨은 조정하지 않고 중심 표시 영역의 RGB 레벨만 상향 조정하거나, 중심 표시 영역의 RGB 레벨은 조정하지 않고 주변 표시 영역의 RGB 레벨만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는 RGB 레벨 값은,
    기 설정된 절대 값이거나, 조정할 표시 영역 대비 다른 표시 영역에 대한 상대적인 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방법.
  16. 검출부가 디스플레이부 전면의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검출한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응시하는 방향, 응시 지점, 및 거리에 따른 시야각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RGB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별로 RGB 레벨이 다르게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부에 미리 저장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고,
    미리 설정된 옵션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산출된 정보에 대응하여 RGB 레벨이 설정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서 읽어오거나 제공받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방법.
  17. 검출부가 디스플레이부 전면의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검출한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응시하는 방향, 응시 지점, 및 거리에 따른 시야각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RGB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센싱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픽셀, 서브픽셀 또는 블록 단위로 열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열화 정보를 바탕으로 전체 화면에 대한 열화 정도와 분포를 판별할 수 있는 열화 데이터 맵을 생성하여, 상기 열화 데이터 맵을 바탕으로 화면 전체 또는 미리 구분된 표시 영역별로 열화가 덜 된 픽셀, 서브픽셀 또는 블록 단위로 잔상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잔상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각 표시 영역의 픽셀 간 휘도 차이가 영역 평균 대비 기 설정된 비율 보다 큰 픽셀에 대하여 잔상 보상 및 색상 보상을 수행하거나, 화면 전체의 픽셀 간 휘도 차이가 화면 전체 평균 대비 기 설정된 비율 보다 큰 픽셀에 대하여 잔상 보상 및 색상 보상을 수행하되, 상기 잔상 보상은 휘도가 낮은 픽셀의 경우는 색상을 보상해주고, 휘도가 높은 픽셀의 경우는 색상 보상 및 잔상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방법.
  18. 삭제
  19. 검출부가 디스플레이부 전면의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검출한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응시하는 방향, 응시 지점, 및 거리에 따른 시야각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RGB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OSD(On Screen Display)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 되는 배경을 OSD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센싱부를 통하여 검출된 열화 데이터 맵을 이용하여 콘텐츠와는 별도로 열화가 많이 된 부분은 RGB의 색상을 보상해주고 열화가 적게 된 부분은 열화를 더 시켜서 평균치에 맞게 조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방법.
KR1020160128613A 2016-10-05 2016-10-05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와 방법 KR101856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613A KR101856928B1 (ko) 2016-10-05 2016-10-05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613A KR101856928B1 (ko) 2016-10-05 2016-10-05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61A KR20180037861A (ko) 2018-04-13
KR101856928B1 true KR101856928B1 (ko) 2018-05-15

Family

ID=6197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613A KR101856928B1 (ko) 2016-10-05 2016-10-05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9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5850B2 (en) 2020-11-25 2023-04-25 Lx Semicon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egradation compensation of an area selected for rubb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1257A (zh) * 2019-04-02 2019-07-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亮度调整方法及相关设备
CN110211545B (zh) * 2019-05-15 2021-08-17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残影消除方法、残影消除电路及显示装置
KR20220168009A (ko) * 2021-06-15 2022-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잔상을 예측 및 보상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7935726B (zh) * 2024-03-22 2024-05-17 深圳市元亨光电股份有限公司 Mini-LED显示屏色彩均化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2342A (ja) 2007-03-29 2008-10-09 Victor Co Of Japan Ltd テレビジョン装置
JP2011048037A (ja) 2009-08-26 2011-03-10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KR101231068B1 (ko) 2010-10-07 2013-03-11 (주)아이리스아이디 생체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2342A (ja) 2007-03-29 2008-10-09 Victor Co Of Japan Ltd テレビジョン装置
JP2011048037A (ja) 2009-08-26 2011-03-10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KR101231068B1 (ko) 2010-10-07 2013-03-11 (주)아이리스아이디 생체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5850B2 (en) 2020-11-25 2023-04-25 Lx Semicon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egradation compensation of an area selected for rubb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61A (ko)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928B1 (ko) 자발광 표시 장치의 운영 장치와 방법
CN105405380B (zh) 显示装置、显示控制装置和显示方法
US7786971B2 (en) Flat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compensating a panel defect electrically and picture quality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814966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TWI476753B (zh) 處理用於顯示於包含多原色圖像顯示面板之顯示裝置之圖像資料之方法
JP4780422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
US2010022017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0001387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50027954A (ko) 영상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70045443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257915A1 (en) Display apparatus
JP201120370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の制御方法
US20200035194A1 (en)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US9368072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of a multi-display type with local and global control
KR20190067286A (ko) 휘도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20160240147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822414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装置
KR20170049241A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87067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11242665A (ja) 画像表示装置
KR102261759B1 (ko) 표시 장치
US2014005551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80895B1 (ko) 투명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9237438A (ja) 液晶表示装置
JP2016029487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