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267A - 전기 레인지 - Google Patents

전기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267A
KR20220072267A KR1020200159683A KR20200159683A KR20220072267A KR 20220072267 A KR20220072267 A KR 20220072267A KR 1020200159683 A KR1020200159683 A KR 1020200159683A KR 20200159683 A KR20200159683 A KR 20200159683A KR 20220072267 A KR20220072267 A KR 20220072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bracket
bent part
electric stov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9666B1 (ko
Inventor
김승학
조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9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66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2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54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nductive pieces to direct the induced magnetic fiel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5Coil arrangements using supplementary conductive or ferromagnetic pie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전기 레인지의 일 실시예는, 케이스,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복수로 구비되고, 커버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복수로 구비되고, 가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열부를 지지하는 상부 브라켓, 및 상부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베이스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부 브라켓은, 서로 결합하는 부위에 각각 단차가 형성되고, 각각의 단차에서 복수의 상부 브라켓은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서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부품의 전기적인 절연구조가 개선된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 기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조리 기구는,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 레인지 및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 레인지를 포함한다.
전기 레인지는 크게 저항 가열 방식과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전기 저항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 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인가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열을 방사하거나 전도시켜 피가열체(일례로, 냄비, 프라이팬 등의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유도 가열 방식은 고주파 전력을 코일에 인가하여 코일 주변에 자계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계에서 생성된 와전류(eddy current)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유도 가열 방식의 기본적인 가열 원리를 살펴보면, 워킹 코일(Working Coil) 또는 가열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피가열체가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되면서 열이 생성되고, 생성된 열에 의하여 피가열체가 가열된다.
전기 레인지의 각 부품을 지지하는 브라켓은 대부분 판형으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판형의 구조는 부품의 하중 또는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브라켓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최근의 전기 레인지는 수요자에게 어필하기 위해 높이가 낮은 즉, 상하방향의 길이가 작은 슬림한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가 발전하고 있다.
슬림한 구조의 전기 레인지에서 각 부품을 조립하는 경우, 각 부품과 결합기구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각 부품들 또는 결합기구 사이에 서로 접촉하는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은 전기 레인지의 조립불량과 파손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문제가 된다. 특히, 예를 들어 전기 레인지 내부에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여 전기 레인지를 조작할 수 있는 제어보드가 내장되는데, 이러한 제어보드가 다른 금속재질의 부품 또는 결합기구와 간섭되는 경우에는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하여 전기 레인지의 오동작, 고장 및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품들 또는 결합기구 사이의 간섭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상부 브라켓이 서로 결합하는 부위에서 상부 브라켓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전기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상부 브라켓과 케이스가 서로 결합하는 부위에서 간단하고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측에 배치되는 제어보드와 전기적인 절연을 위한 이격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전기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기 레인지의 일 실시예는, 상부 브라켓이 각각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포함하고,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결합부위에는 각각의 브라켓이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에는 제1단차가 형성되고, 제2브라켓에는 제2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단차와 제2단차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서로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단차는 "U"자를 뒤집은 형상의 절곡부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2단차는 제1단체에 대응하는 "U"자를 뒤집은 형상의 절곡부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브라켓에 형성되는 제1단차는 제2브라켓에 형성되는 제2단차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브라켓은 제1-1절곡부, 제1-2절곡부 및 제1-3절곡부를 포함하고, 각 절곡부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제1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브라켓은 제2-1절곡부, 제2-2절곡부 및 제2-3절곡부를 포함하고, 각 절곡부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제2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전기 레인지의 일 실시예는, 케이스,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복수로 구비되고, 커버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복수로 구비되고, 가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열부를 지지하는 상부 브라켓, 및 상부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베이스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부 브라켓은, 서로 결합하는 부위에 각각 단차가 형성되고, 각각의 단차에서 복수의 상부 브라켓은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서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은, 복수의 가열부 중 일부를 지지하고, 제1단차가 형성되는 제1브라켓, 및 나머지 가열부를 지지하고, 제1브라켓과 분리되어 구비되고, 제2단차가 형성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고, 제1단차는 제2단차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브라켓은, 복수의 가열부 중 일부를 지지하는 제1바닥부, 제1바닥부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제1바닥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1절곡부, 제1-1절곡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2절곡부, 및 제1-2절곡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3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브라켓은, 복수의 가열부 중 나머지를 지지하는 제2바닥부, 제2바닥부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제2바닥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1절곡부, 제2-1절곡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2절곡부, 및 제1-2절곡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3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절곡부, 제1-2절곡부 및 제1-3절곡부는 제2-1절곡부, 제2-2절곡부 및 제2-3절곡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1절곡부는 제2-3절곡부와 좌우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제1-3절곡부는 제2-1절곡부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2절곡부는 제2-2절곡부 상에 배치되도록 구비되고, 제1-2절곡부와 제2-2절곡부는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기 레인지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2절곡부의 상측에는 전기 레인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판형의 제어보드가 제1-2절곡부의 상면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바닥부의 하면에서 제1-2절곡부의 상면까지의 거리로 측정되는 제1거리는, 제1-2절곡부의 상면에서 제어보드의 하단까지의 거리로 측정되는 제2거리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은 서로의 결합부위에서 복수의 절곡부위를 가지는 단차가 형성되고 이들 단차에서 서로 결합하므로, 이러한 단차에 의해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전체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하나의 스크류볼트에 의해 제1브라켓, 제2브라켓 및 제3케이싱은 서로 견고하게 체결됨으로써, 상부 브라켓과 케이스는 간단하고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제1바닥부의 하면에서 제1-2절곡부의 상면까지의 거리로 측정되는 제1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상부 브라켓과 제어보드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브라켓에 장착되는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4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레인지에서 일부 부품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전기 레인지의 일부 부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A부분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부품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일부 부품을 삭제하거나 추가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방향"은 전기 레인지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전기 레인지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좌우방향"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방향" 또는 "측방향"은 좌우방향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이들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혼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유도가열 방식으로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 있다. 이때, 피가열체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철 등의 금속재질을 함유하는 식기일 수 있다.
유도가열 방식은 고주파 전력을 워킹코일(31)에 인가하여 워킹코일(31) 주변에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생성된 와전류(eddy current)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즉, 워킹코일(31)이 페라이트 코어(330)(ferrite core)와 인접한 구조를 가진 가열부(30)에서, 상기 워킹코일(31)에 고주파 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워킹코일(31) 주변에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기장의 영역 내에 피가열체가 놓이면, 피가열체에는 자기장에 의해 와전류가 유도되고 와전류에 의해 줄열(Joule's heat)이 발생하여 상기 피가열체가 가열될 수 있다. 피가열체인 식기가 가열됨으로써, 상기 피가열체에 담긴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케이스(10), 커버 플레이트(20), 가열부(30), 상부 브라켓(40) 및 베이스 브라켓(5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전기 레인지 전기 레인지를 구성하는 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0)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케이스(10)는 워킹코일(31)에 의해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단열처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에는 가열부(30), 워킹코일(31), 상부 브라켓(40), 제어보드(80) 등의 전기 레인지를 이루는 부품이 수납될 수 있고, 상부는 개방되지만, 이러한 개방부위는 커버 플레이트(2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판형의 재료를 가공하여 상자 형상으로 만들어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제1케이싱(110), 제2케이싱(120) 및 제3케이싱(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싱(110)은 상기 케이스(1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싱(110)은 전술한 전기 레인지의 내장 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제1케이싱(110)에는, 내부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5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51)에 장착되는 회로소자 부품의 냉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공기가 유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케이싱(120)은 상기 제1케이싱(110)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싱(120)은 상기 제1케이싱(110)의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전기 레인지의 측벽이 될 수 있다.
대체로 4각형으로 형성되는 제1케이싱(110)의 각 변에 상기 제2케이싱(1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싱(120)은 상기 케이스(10) 전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즉, 판형의 제1케이싱(110)이 내장 부품의 무게 또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상기 제1케이싱(110)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케이싱(120)이 억제할 수 있다.
제2케이싱(120)은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는 배기홀(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홀(121)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와 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배기홀(12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10) 내부에 수납되는 부품의 냉각에 기여할 수 있다.
제3케이싱(130)은 상기 제2케이싱(120)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4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케이싱(130)은 상기 제1케이싱(110)의 각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케이싱(13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브라켓(4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상부판(41)이 안착하고, 제1상부판(41)과 제3케이싱(130)은 볼트 등의 결합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는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 결합되고,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는 케이스(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여 상기 케이스(10)에 수납된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피가열체가 놓이고, 가열부(3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커버 플레이트(20)를 통과하여 상기 피가열체에 도달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는 예를 들어, 세라믹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는 입력 인터페이스가 설치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의 특정영역 설치되고, 특정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전기 레인지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가열 강도나 가열 시간 등을 입력하기 위한 모듈로서, 물리적인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입력 인터페이스는 TFT 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플레이트(20)의 하부에는 상기 전기 레인지에 작동명령을 입력하는 제어보드(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보드(80)는 복수의 키 스위치가 구비되고, 사용자는 상기 키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어보드(80)에 명령을 입력하여 전기 레인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제어보드(80)의 상면은 커버 플레이트(20)의 하면에 밀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보드(80)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보드(80)와 입력 인터페이스는 정전식 터치 입력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명령은 제어보드(80)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의 특정영역에는 전기 레인지의 구동 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광 표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의 하부에는 광원유닛(91)이 배치될 수 있고, 광원유닛(91)에서 방사된 빛이 광 표시 영역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광 표시 영역과 광원유닛(91)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유닛(91)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광 표시 영역도 동일한 개수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커버 플레이트(20)를 지지하기 위한 커버 브라켓(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커버 브라켓(70)을 먼저 설명한다.
커버 브라켓(70)은 상기 상부 브라켓(40) 및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10)와 결합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브라켓(70)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커버 브라켓(70)은 사각형으로 구비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0)의 각 변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브라켓(70)은 사각형의 커버 플레이트(20)의 각 변에 배치되도록 총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커버 브라켓(70)은 제1커버판(710)과 제2커버판(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판(710)은 상기 제2케이싱(120)을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케이싱(120)과 결합할 수 있다. 제2커버판(720)은 상기 제1커버판(710)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커버판(720)의 상면에 커버 플레이트(20)가 안착되고, 제2커버판(720)과 커버 플레이트(20)는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제2커버판(720)과 커버 플레이트(20)의 결합은 접착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열부(30)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부(30)는 유도가열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가열부(30) 중 일부는 유도가열 방식으로 구비되고, 나머지는 전기저항 가열 방식을 이용한 하이라이트 가열장치로 구비되어, 이른바 하이브리드 레인지로 상기 전기 레인지가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가열부(30)가 모두 유도가열 방식으로 구비되는 전기 레인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가열부(30)는 상부 브라켓(40)에 장착될 수 있고, 실시예에서는 총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가열부(3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부(30)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열부(30)를 지지하는 상부 브라켓(40)도 필요에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가열부(30)는 코어 프레임(320)을 구비하고, 상기 코어 프레임(320)의 상면에 워킹코일(31)이 나선형으로 권선되고, 코어 프레임(320)의 하면에 페라이트 코어(330)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워킹코일(31)에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페라이트 코어(330)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형성된 자기장으로 피가열체에 와전류를 형성할 수 있다.
가열부(30)에 대해서는 하기에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브라켓(40)과 상기 상부 브라켓(40)에 장착되는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4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레인지에서 일부 부품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부 브라켓(40)은 상기 가열부(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부 브라켓(4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브라켓(4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부 브라켓(40)은 제1상부판(41) 및 제2상부판(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부판(41)은 상기 상부 브라켓(40)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가열부(3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상부판(41)은 하부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51)을 상하방향으로 가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이 복수인 경우, 인쇄회로기판(51)의 면적에 따라, 하나의 제1상부판(41)이 또는 복수의 제1상부판(41)들이 서로 결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51)을 가릴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상부판(41)은 가열부(30)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장 및 전자기파가 인쇄회로기판(51)과 인쇄회로기판(51)에 장착된 소자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부 브라켓(40)은 인쇄회로기판(51)에 대하여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및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성능을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상부판(42)은 제1상부판(41)으로부터 전기 레인지의 상하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상부판(42)은 제1상부판(41)의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체로 4각형으로 형성되는 제1상부판(41)의 각 변에 상기 제2상부판(42)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각 상부 브라켓(40)의 서로 인접한 변을 제외한 제1상부판(41)의 각 변에 제2상부판(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상부판(42)은 상기 상부 브라켓(40) 전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즉, 판형의 제1상부판(41)이 가열부(30)를 포함하는 내장 부품의 무게 또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상기 제1상부판(41)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상부판(42)이 억제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에는 광원유닛(91)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유닛(91)은 상부 브라켓(40)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51)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40)에는 광원유닛(9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브라켓 상에 광원유닛(91)이 배치되고, 상기 광원유닛(91)은 하부의 인쇄회로기판(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20)에는 광원유닛(91)에 대응하는 부위에 광 표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광원유닛(91)은, 예를 들어, 복수의 LED가 일렬로 정렬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광원유닛(91)은 가열부(30)가 작동하는 경우에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가열부(30)의 작동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또는 광원유닛(91)은 복수의 LED의 점등모양, 색깔 등을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전기 레인지의 작동상태를 알려줄 수도 있다.
광원유닛(91)의 개수는 가열부(30)의 개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6에서 3개의 가열부(30)에 대하여 3개의 광원유닛(91)이 구비되었다. 다만, 광원유닛(9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브라켓(50)은 상부 브라켓(40)의 하부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51)이 장착될 수 있고, 바닥판(510)과 측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510)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50)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면에 인쇄회로기판(51)이 장착될 수 있다.
측판(520)은 바닥판(510)으로부터 전기 레인지의 상하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측판(520)은 바닥판(510)의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체로 4각형으로 형성되는 바닥판(510)의 각 변에 상기 측판(5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각 상부 브라켓(40)의 서로 인접한 변을 제외한 바닥판(510)의 각 변에 측판(5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판(520)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50) 전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즉, 판형의 바닥판(510)이 회로기판 등의 내장 부품의 무게 또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상기 바닥판(510)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측판(520)이 억제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1)은 제어부를 구성할 수 있고,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외부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1)은 제어보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보드(8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1)은 광원유닛(91)과 워킹코일(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51)은 히트싱크(52), 송풍팬(53)을 포함한 능동소자, 수동소자가 장착되고, 전기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히트싱크(52)는 케이스(10) 내부의 열을 냉각하여, 케이스(10)에 수납되는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히트싱크(52)는 인쇄회로기판(51)에 장착되고, 회로기판의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히트싱크(52)는 가열부(30)가 작동하여 전자기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싱크(52)는 복수의 냉각핀이 형성되고, 이러한 냉각핀을 덮도록 구비되어 냉각핀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송풍팬(53)은 인쇄회로기판(5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53)에 의해 강제유동되는 공기가 히트싱크(52)로 유동하기 위해, 송풍팬(53)의 공기 유출구에는 히트싱크(52)가 배치된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이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53)이 작동하면 케이스(10) 내부의 공기가 히트싱크(52) 방향으로 강제유동하여, 히트싱크(52)에 의해 케이스(10)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에서 전기 레인지의 일부 부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7 및 도 8에서는 워킹코일(31)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가열부(30)를 상부 브라켓(40)에 장착하기 위해, 가열부(30)와 상부 브라켓(40)에는 서로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30)와 결합하는 제1결합부(410)를 구비할 수 있다. 가열부(30)는 상기 제1결합부(410)와 대응되는 제2결합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결합부(31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제2결합부(310)는 가열부(30)의 가장자리에 서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결합부(410)는 제2결합부(310)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고, 상부 브라켓(40) 상에 상기 제1결합부(4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410)와 제2결합부(310)는 예를 들어 볼트 등의 결합기구에 의해 체결되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상기 코어 프레임(320)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온도센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프레임(320)의 중앙부에는 온도센서(60)가 장착되는 장착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60)는 케이블에 의해 상부 브라켓(40)의 하측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센서(60)와 인쇄회로기판(51)을 연결하는 케이블은 상부 브라켓(4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브라켓(40)에는 상기 온도센서(60)의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홀(42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기 레인지는 상기 온도센서(60)를 코어 프레임(320)에 장착하기 위해 센서 브라켓(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브라켓(61)은 상기 온도센서(60)가 장착되고, 자신은 상기 장착홀(321)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온도센서(60)는 전기 레인지가 작동하는 동안에 가열부(3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유도가열 방식을 사용하므로, 가열부(30) 자신은 고온의 열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전자기 상호작용으로 인해 가열부(30)에서도 비록 저온이라도 열이 발생할 수 있다.
가열부(30)에서 발생하는 열은 가열부(30) 뿐만 아니라, 가열부(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51)과 이에 구비되는 각종의 소자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레인지에서는 가열부(30)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온도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제어부는 온도센서(60)가 측정한 가열부(30)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가열부(30)의 온도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기 레인지의 작동을 중단시키거나, 송풍팬(53)을 제어하여 냉각용량을 늘이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코어 프레임(320)에는 상기 코어 프레임(320)에 장착되는 워킹코일(31)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3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홀(322)은 코어 프레임(320)의 중앙부에서 상기 장착홀(321)과 직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워킹코일(31)은 제1삽입홀(322)의 관통하여 코어 프레임(320)의 중앙부 상면으로 인입되고, 코어 프레임(320)의 상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324)에 나선형으로 권선된 후, 코어 프레임(320)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상기 코어 프레임(32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워킹코일(31)은 상부 브라켓(40) 하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워킹코일(31)이 삽입되어 통과하는 삽입홀이 상부 브라켓(4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은 상부 브라켓(40)에 제2삽입홀(431)과 제3삽입홀(432)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삽입홀(431)은 상기 코어 프레임(320)으로 인입되는 상기 워킹코일(31)이 삽입될 수 있다. 제3삽입홀(432)은 상기 코어 프레임(320)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워킹코일(31)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워킹코일(31)을 용이하게 배치하기 위해, 제2삽입홀(431)은 제1삽입홀(3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제3삽입홀(432)은 코어 프레임(32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상기 워킹코일(31)은 인쇄회로기판(51)으로부터 상부 브라켓(40)의 제2삽입홀(431)을 통과하고, 다시 코어 프레임(320)에 형성된 제1삽입홀(322)을 통과하여 코어 프레임(320)의 중앙부 상면으로 인입될 수 있다.
워킹코일(31)은 코어 프레임(320)의 상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324)에 나선형으로 권선되면서 상기 코어 프레임(320)의 가장자리로 이동하고, 결국 상기 코어 프레임(32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코어 프레임(320)의 외부로 인출된 워킹코일(31)은 상부 브라켓(40)에 형성된 제3삽입홀(432)을 통과하여 인쇄회로기판(51)에 다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가열부(3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가열부(30)는 워킹코일(31), 코어 프레임(320) 및 페라이트 코어(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가열부(30)의 구조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워킹코일(31)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워킹코일(31)이 권선된 가열부(30)는 다른 도면들에 도시되었으므로,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고주파 전력을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코일(31)은 예를 들어 내구성이 우수한 리츠와이어(Ritz wire)로 제작될 수 있으나,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어 프레임(320)은 하면에 페라이트 코어(330)가 장착되고 상면에 워킹코일(31)이 권선될 수 있다. 코어 프레임(320)의 하면에는 복수의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채널(3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채널(323)에는 페라이트 코어(330)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채널(323)은 페라이트 코어(33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채널(323)은 상기 페라이트 코어(330)가 장착되는 장착홈과 상기 코어 프레임(32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장착홈을 형성하는 가이드라인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프레임(320)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페라이트 코어(330)가 코어 프레임(320)의 직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위에서는 장착홈이 없이 가이드라인만 형성될 수도 있다.
채널(323)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페라이트 코어(330)가 코어 프레임(320)의 원주방향으로 설정된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코일(31)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322)이 코어 프레임(320)의 중앙부에서, 서로 이웃하는 페라이트 코어(330) 사이에 형성되므로, 페라이트 코어(330)와 제1삽입홀(322)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제1삽입홀(322)과 이웃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채널(323)은 코어 프레임(320)의 중앙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삽입홀(322)의 직경보다 충분히 크게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페라이트 코어(330)의 상면에는 워킹코일(31)이 권선되는 가이드레일(32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324)은 코어 프레임(320)의 상면에 돌출되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코어 프레임(320)에 장착되는 워킹코일(31)이 나선형으로 권선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324)은 상기 코어 프레임(320)의 직경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레일(324)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워킹코일(31)이 안착되어, 상기 워킹코일(31)은 가이드레일(324)에 권선될 수 있다.
워킹코일(31)을 상기 코어 프레임(320)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가이드레일(324)과 이들 사이의 홈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워킹코일(31)은 코어 프레임(320)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다.
워킹코일(31)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상기 접착제는 절연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코어 프레임(320)에서 하면에 페라이트 코어(330)가 장착되지 않는 부위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24)은 코어 프레임(320)의 원주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레일(324)은 전체적으로 코어프레임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향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레일(324)에 권선되는 워킹코일(31)도 전체적으로 코어프레임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향하는 나선형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워킹코일(31)은 제1삽입홀(322)을 통과하여 코어 프레임(320)의 상면으로 인입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24)에 권선되어 전체적으로 나선형의 형태를 가지고, 코어 프레임(320)의 가장자리로부터 코어 프레임(32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페라이트 코어(330)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채널(323)에 장착되어 상기 코어 프레임(3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페라이트 코어(330)는 상기 채널(323)의 장착홈에 접착제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페라이트 코어(330)의 결합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워킹코일(31)에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페라이트 코어(330)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자기장이 분포하는 영역 내부에 피가열체가 놓이면, 피가열체에는 와전류가 발생하고 와전류로 인한 줄열이 발생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A부분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부품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실시예에서는 2개의 상부 브라켓(40)이 구비되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브라켓(40)은 3개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이웃하는 각각의 상부 브라켓(40)이 서로 결합하는 구조는 하기에 기술하는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2개의 상부 브라켓(40)에 대하여, 이들 사이의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2개의 상부 브라켓(40)은 각각 제1브라켓(40a) 및 제2브라켓(40b)으로 지칭할 수 있다.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이 서로 결합하는 부위는 상부 브라켓(40)의 가장자리 부위이므로, 제2상부판(42)과 유사하게 제1상부판(41)으로부터 절곡되는 구조가 필요하다. 상부 브라켓(40) 전체의 강성을 보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즉,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의 결합부위에 절곡구조를 형성하고, 이러한 절곡구조는 판형의 제1상부판(41)이 가열부(30)를 포함하는 내장 부품의 무게 또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의 결합부위에 제2상부판(42)과 동일한 절곡구조을 형성한다면, 이러한 절곡구조는 전기 레인지의 상하방향으로 상당한 길이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상부 브라켓(40) 바로 위에 배치되는 제어보드(80)의 하면과 상기 절곡구조의 상단이 서로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더라도 상부 브라켓(40)과 제어보드(80) 사이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한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어렵다.
특히, 전체 높이가 낮은 슬림형의 전기 레인지에서는 케이스(10) 내부에 부품을 배치할 공간이 협소하므로, 상부 브라켓(40)과 제어보드(80) 사이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한 이격거리를 확보하기가 더욱 어렵다.
따라서,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이 서로 결합하는 부위에서는 상부 브라켓(40)과 제어보드(80) 사이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한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제2상부판(42)과 다른 구조가 필요하다.
실시예에서는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이 서로 결합하는 부위에서, 상부 브라켓(40)과 제어보드(80) 사이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한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고, 동시에 상부 브라켓(40) 전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구조, 즉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의 결합구조를 제안한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상기 상부 브라켓(40)은 서로 결합하는 부위에 각각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단차에서 복수의 상기 상부 브라켓(40)은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서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부 브라켓(40)은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브라켓(40a)은 복수의 상기 가열부(30) 중 일부를 지지하고, 제1단차(4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브라켓(40b)은 나머지 상기 가열부(30)를 지지하고, 상기 제1브라켓(40a)과 분리되어 구비되고, 제2단차(4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차(440)는 상기 제2단차(450)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브라켓(40)의 제1상부판(41)을 제1바닥부(401) 및 제2바닥부(402)로 지칭할 수 있다. 즉, 제1브라켓(40a)의 제1상부판(41)을 제1바닥부(401), 제2브라켓(40b)의 제1상부판(41)을 제2바닥부(402)로 지칭할 수 있다.
제1브라켓(40a)은 제1바닥부(401), 제1-1절곡부(441), 제1-2절곡부(442) 및 제1-3절곡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닥부(401)는 복수의 상기 가열부(30) 중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1절곡부(441)는 상기 제1바닥부(40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바닥부(401)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2절곡부(442)는 상기 제1-1절곡부(441)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3절곡부(443)는 상기 제1-2절곡부(442)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40a)은 상기 제1바닥부(40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단차(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차(440)는 제1-1절곡부(441), 제1-2절곡부(442) 및 제1-3절곡부(443)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차(440)에서 상기 제1-1절곡부(441)와 상기 제1-3절곡부(443)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브라켓(40b)은 제2바닥부(402), 제2-1절곡부(451), 제2-2절곡부(452) 및 제2-3절곡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닥부(402)는 복수의 가열부(30) 중 제1브라켓(40a)의 상기 제1바닥부(401)가 지지하는 것 이외의 나머지 가열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1절곡부(451)는 상기 제2바닥부(402)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바닥부(402)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2절곡부(452)는 상기 제2-1절곡부(451)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3절곡부(453)는 상기 제1-2절곡부(442)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브라켓(40b)은 상기 제2바닥부(402)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단차(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단차(450)는 제2-1절곡부(451), 제2-2절곡부(452) 및 제2-3절곡부(453)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차(450)에서 상기 제2-1절곡부(451)와 상기 제2-3절곡부(453)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은 서로의 결합부위에서 복수의 절곡부위를 가지는 단차가 형성되고 이들 단차에서 서로 결합하므로, 이러한 단차에 의해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 전체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이 서로 결합하는 경우에, 제1단차(440)는 제2단차(450)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이 서로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제1-1절곡부(441), 상기 제1-2절곡부(442) 및 상기 제1-3절곡부(443)는 상기 제2-1절곡부(451), 상기 제2-2절곡부(452) 및 상기 제2-3절곡부(453)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이 서로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제1-1절곡부(441)는 상기 제2-3절곡부(453)와 좌우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1-3절곡부(443)는 상기 제2-1절곡부(451)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단차(440)가 제2단차(450)를 둘러싸기 위해, 상기 제1-1절곡부(441)는 상기 제2-1절곡부(45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1절곡부(441)의 폭은 제2-1절곡부(451)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이 서로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제1-2절곡부(442)는 상기 제2-2절곡부(452) 상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절곡부(442)와 상기 제2-2절곡부(452)는 전기 레인지의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2절곡부(442)와 상기 제2-2절곡부(452)는 서로 접촉하고, 스크류볼트(900)에 의해 서로 결합함으로써,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2절곡부(442)에는 제1체결홀(442a)이 형성되고, 상기 제2-2절곡부(452)에는 상기 제1체결홀(442a)에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홀(45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이 서로 결합하는 경우에, 제1체결홀(442a)과 제2체결홀(452a)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크류볼트(900)가 상기 제1체결홀(442a)과 상기 제2체결홀(452a)에 체결되어 상기 제1브라켓(40a)과 상기 제2브라켓(40b)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40a)과 상기 제2브라켓(40b)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3케이싱(13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케이싱(130)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제3케이싱(130)에는 상기 제1체결홀(442a) 및 상기 제2체결홀(452a)과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제3체결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이 서로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스크류볼트(900)의 단부는 상기 제3체결홀(131)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브라켓(40a), 제2브라켓(40b) 및 제3케이싱(130)은 동일한 스크류볼트(900)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하나의 스크류볼트(900)에 의해 제1브라켓(40a), 제2브라켓(40b) 및 제3케이싱(130)은 서로 견고하게 체결됨으로써, 상부 브라켓(40)과 케이스(10)는 간단하고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스크류볼트(900)의 볼트머리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볼트머리와 그 상부에 배치되는 제어보드(80)와 상하방향 이격거리를 더 길게하기 위해, 스크류볼트(900)의 볼트머리는 상면이 플랫(flat)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1은 도 10에서 일부 부품을 삭제하거나 추가한 단면도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11에서는 제1단차(440)와 제2단차(450) 그리고 스크류볼트(9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어보드(80)가 도시되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2절곡부(442)의 상측에는 상기 전기 레인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판형의 제어보드(80)가 상기 제1-2절곡부(442)의 상면으로부터 전기 레인지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볼트(900)의 상단과 상기 제어보드(80)의 하단은 전기적인 절연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충분한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제1-2절곡부(442)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바닥부(401)의 하면에서 상기 제1-2절곡부(442)의 상면까지의 거리로 측정되는 제1거리(L1)는, 상기 제1-2절곡부(442)의 상면에서 상기 제어보드(80)의 하단까지의 거리로 측정되는 제2거리(L2)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2절곡부(442)의 높이는 제3케이싱(130)의 상면에서 제어보드(80) 하단까지의 거리의 절반이 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볼트머리의 높이를 감안하더라도,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이 스크류볼트(900)에 의해 서로 결합한 경우에 상기 스크류볼트(900)의 상단에서 상기 제어보드(80)의 하단까지의 이격거리는 상부 브라켓(40)과 제어보드(80) 사이의 전기적 절연에 충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바닥부(401)의 하면에서 상기 제1-2절곡부(442)의 상면까지의 거리로 측정되는 제1거리(L1)를 제한함으로써, 상부 브라켓(40)과 제어보드(80)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체결홀(442a), 제2체결홀(452a) 및 제3체결홀(131)에는 스크류볼트(90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2체결홀(452a)과 제3체결홀(131)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볼트(90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홀(442a)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스크류볼트(900)는 제1삽입홀(322)로부터 제2삽입홀(431) 방향으로 삽입되고, 제2삽입홀(43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볼트(900)는 제1브라켓(40a)의 제1-2절곡부(442)를 가압할 수 있다.
만약, 제1삽입홀(322)과 제2삽입홀(431)의 각각의 내주면에 모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경우에 스크류볼트(900)를 회전시켜 제1브라켓(40a), 제2브라켓(40b) 및 제3케이싱(130)을 서로 결합시키는 작업이 오래 걸릴 수 있다.
또한 이경우에 제1삽입홀(322)의 내주면에 스크류볼트(900)가 잘못 체결되고, 이로 인해 스크류볼트(900)의 나사산이 파손되면, 파손된 스크류볼트(900)의 나사산이 제2삽입홀(431) 또는 제3삽입홀(432)의 나사산을 파손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제1삽입홀(322)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아, 스크류볼트(900)가 제2삽입홀(431)과 제3삽입홀(432)의 내주면에만 나사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크류볼트(900)가 제2삽입홀(431)의 내주면에 나사결합을 하면, 제1-2절곡부(442)는 스크류볼트(900)의 볼트머리에 의해 가압되어,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은 서로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케이스 110: 제1케이싱
111: 통풍구 120: 제2케이싱
121: 배기홀 130: 제3케이싱
131: 제3체결홀 20: 커버 플레이트
30: 가열부 31: 워킹코일
310: 제2결합부 320: 코어 프레임
321: 장착홀 322: 제1삽입홀
323: 채널 324: 가이드레일
330: 페라이트 코어 40: 상부 브라켓
40a: 제1브라켓 40b: 제2브라켓
41: 제1상부판 42: 제2상부판
401: 제1바닥부 402: 제2바닥부
410: 제1결합부 420: 케이블 삽입홀
431: 제2삽입홀 432: 제3삽입홀
440: 제1단차 441: 제1-1절곡부
442: 제1-2절곡부 442a: 제1체결홀
443: 제1-3절곡부 450: 제2단차
451: 제2-1절곡부 452: 제2-2절곡부
452a: 제2체결홀 453: 제2-3절곡부
50: 베이스 브라켓 510: 바닥판
520: 측판 51: 인쇄회로기판
52: 히트싱크 53: 송풍팬
60: 온도센서 61: 센서 브라켓
70: 커버 브라켓 710: 제1커버판
720: 제2커버판 80: 제어보드
91: 광원유닛 900: 스크류볼트
L1: 제1거리 L2: 제2거리

Claims (17)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는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베이스 브라켓
    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상부 브라켓은,
    서로 결합하는 부위에 각각 단차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단차에서 복수의 상기 상부 브라켓은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서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되는,
    전기 레인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은,
    복수의 상기 가열부 중 일부를 지지하고, 제1단차가 형성되는 제1브라켓; 및
    나머지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브라켓과 분리되어 구비되고, 제2단차가 형성되는 제2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차는 상기 제2단차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전기 레인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복수의 상기 가열부 중 일부를 지지하는 제1바닥부;
    상기 제1바닥부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바닥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1절곡부;
    상기 제1-1절곡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2절곡부; 및
    상기 제1-2절곡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3절곡부
    를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복수의 상기 가열부 중 나머지를 지지하는 제2바닥부;
    상기 제2바닥부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바닥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1절곡부;
    상기 제2-1절곡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2절곡부; 및
    상기 제1-2절곡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3절곡부
    를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절곡부, 상기 제1-2절곡부 및 상기 제1-3절곡부는 상기 제2-1절곡부, 상기 제2-2절곡부 및 상기 제2-3절곡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전기 레인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절곡부는 상기 제2-3절곡부와 좌우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1-3절곡부는 상기 제2-1절곡부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전기 레인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절곡부는 상기 제2-1절곡부보다 길게 형성되는,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절곡부는 상기 제2-2절곡부 상에 배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2절곡부와 상기 제2-2절곡부는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구비되는,
    전기 레인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절곡부에는 제1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2절곡부에는 상기 제1체결홀에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홀이 형성되고,
    스크류볼트가 상기 제1체결홀과 상기 제2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이 서로 결합하는,
    전기 레인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3케이싱 상부에 배치되는,
    전기 레인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케이싱에는 상기 제1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과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제3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볼트의 단부는 상기 제3체결홀에 체결되는,
    전기 레인지.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절곡부의 상측에는 상기 전기 레인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판형의 제어보드가 상기 제1-2절곡부의 상면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바닥부의 하면에서 상기 제1-2절곡부의 상면까지의 거리로 측정되는 제1거리는, 상기 제1-2절곡부의 상면에서 상기 제어보드의 하단까지의 거리로 측정되는 제2거리보다 짧게 구비되는,
    전기 레인지.
  13.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는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베이스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브라켓은,
    복수의 상기 가열부 중 일부를 지지하고, 제1단차가 형성되는 제1브라켓; 및
    나머지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브라켓과 분리되어 구비되고, 제2단차가 형성되는 제2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차는 상기 제2단차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전기 레인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복수의 상기 가열부 중 일부를 지지하는 제1바닥부와 상기 제1바닥부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1단차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차는,
    상기 제1바닥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1절곡부;
    상기 제1-1절곡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2절곡부; 및
    상기 제1-2절곡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3절곡부
    를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절곡부와 상기 제1-3절곡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전기 레인지.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복수의 상기 가열부 중 일부를 지지하는 제2바닥부와 상기 제2바닥부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상기 제2단차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차는,
    상기 제2바닥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1절곡부;
    상기 제2-1절곡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2절곡부; 및
    상기 제2-2절곡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3절곡부
    를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1절곡부와 상기 제2-3절곡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전기 레인지.
KR1020200159683A 2020-11-25 2020-11-25 전기 레인지 KR102419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683A KR102419666B1 (ko) 2020-11-25 2020-11-25 전기 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683A KR102419666B1 (ko) 2020-11-25 2020-11-25 전기 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267A true KR20220072267A (ko) 2022-06-02
KR102419666B1 KR102419666B1 (ko) 2022-07-08

Family

ID=81985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683A KR102419666B1 (ko) 2020-11-25 2020-11-25 전기 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6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536B1 (ko) * 2013-05-08 2014-06-20 심은지 전기 인덕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536B1 (ko) * 2013-05-08 2014-06-20 심은지 전기 인덕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666B1 (ko)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9831B1 (e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KR102419666B1 (ko) 전기 레인지
KR20220080379A (ko) 전기 레인지
EP3996470A1 (en) Induction cooking apparatus with heatsink
KR20220060669A (ko) 전기 레인지
KR20220072207A (ko) 전기 레인지
KR20220072206A (ko) 전기 레인지
KR20220080380A (ko) 전기 레인지
KR20220072208A (ko) 전기 레인지
KR20220161027A (ko) 전기 레인지
EP4096363A1 (en) Electric range
JP7325373B2 (ja) 誘導加熱調理器
EP4102936A1 (en) Electric range
KR20220160921A (ko) 전기 레인지
JP2011008933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30123158A (ko) 전기 레인지
KR101608983B1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KR20220166583A (ko) 전기 레인지
KR20220161029A (ko) 전기 레인지
KR20220161028A (ko) 전기 레인지
US20210071873A1 (en) Embossed feature for cooktop assembly
KR20220161106A (ko) 전기 레인지
KR20230025143A (ko) 전기 레인지
KR20220160922A (ko) 전기 레인지
KR20230143304A (ko) 전기 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