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1766A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ing member for battery cell modul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ing member for battery cell modul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1766A
KR20220071766A KR1020200159260A KR20200159260A KR20220071766A KR 20220071766 A KR20220071766 A KR 20220071766A KR 1020200159260 A KR1020200159260 A KR 1020200159260A KR 20200159260 A KR20200159260 A KR 20200159260A KR 20220071766 A KR20220071766 A KR 20220071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flexible printed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2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문
박광석
정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200159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1766A/en
Publication of KR20220071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7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1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by means of a preformed insulating foi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5Arrangements wherein electric components are disposed between and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wo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e.g. Cordwood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72Busbars, i.e. thick metal bars mounted on the PCB as high-current 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battery cell module connection membe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excellent ductility, high degree of freedom in circuit wiring design, lightweightness, and excellent productivity, and a battery cell module connection member including the same.

Description

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ING MEMBER FOR BATTERY CELL MODULE HAVING THE SAME}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battery cell module connection member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에 관한 것으로, 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회로 배선의 설계 자유도가 높으며, 경량성, 생산성이 우수한 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battery cell module connection member including the same, and to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excellent ductility and a high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circuit wiring, light weight and excellent productivity, and a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It relates to a module connection member.

이차전지는 모바일 기기, 보조 전력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종래 가솔린 차량이나 디젤 차량이 갖는 대기 오염 등의 각 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주된 동력원으로서도 주목 받고 있다.Secondary batteries are widely used in mobile devices, auxiliary power devices, and the like. In addition, secondary batteri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main power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hybrid electric vehicles,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etc.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solve various problems such as air pollution of conventional gasoline or diesel vehicles.

다만, 전기자동차 등에는 고출력 대용량 배터리의 필요성으로 인해 복수 개의 배터리셀을 적층시킨 후 이를 전기적으로 직렬 및 병렬 연결한 배터리셀 모듈이 사용된다. However, due to the need for high-output, large-capacity batteries in electric vehicles, battery cell modules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then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are used.

상기 배터리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기 위해 버스바 모듈이 이용되고 있다. 버스바 모듈은 버스바의 집합체로, 각 버스바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의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버스바 모듈을 통해 배터리셀 모듈과 주변기기(예, 차량의 ECU)가 연결됨으로써 배터리셀의 과전압, 과전류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버스바 모듈의 FFC는 일직선 형태의 배선만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배선으로 설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 FFC는 너무 얇은 도선이 사용되기 때문에, 생산 과정 중에 도선이 끓어질 우려가 있어, 적용 가능한 도선의 폭과 두께도 제한적이었다.A bus bar module is used to connect the battery cells in series or in parallel. The busbar module is an aggregate of busbars,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each busba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rminal portion of a flexible flat cable (FFC). A battery cell module and a peripheral device (eg, an ECU of a vehicle) are connected through such a bus bar module, so that overvoltage and overcurrent of the battery cell can be controlled. However, since the FFC of the busbar module can only be wired in a straight line, there is a limitation in designing it with various types of wiring. In addition, since the FFC uses too thin a conducting wire, there is a fear that the conducting wire may boil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applicable width and thickness of the conducting wire are also limited.

이에, 종래에는 FFC 대신 연성 인쇄회로기판(FPCB)을 사용하고자 하였다.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식각 공정을 통해 회로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FFC에 비해 회로 설계의 자유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폭이 좁은 회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서 회로 배선 상에 커버레이 필름을 부착한다. Accordingly, conventionally,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has been used instead of an FFC. Sinc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ms a circuit pattern through an etching process, it has a higher degree of freedom in circuit design compared to an FFC and can also form a narrow circuit. In such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 coverlay film is attached to the circuit wiring in order to protect the circuit.

다만, 종래에는 커버레이 필름의 부착시 핫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였다. 이 때문에, FFC와 같이 길이가 긴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함에 있어, 1장의 커버레이 필름만으로 회로 배선을 커버할 수 없어 복수 개의 커버레이 필름을 서로 연결시켜 사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였고, 이로 인해 커버레이 필름의 중첩 부위에 내열성, 내진동성이 저하되고 제품이 뒤틀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대형 핫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대형 사이즈의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대형 핫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대형 사이즈의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할 경우, 면 프레스이기 때문에 제품 내부의 압력 불균일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품질 저하나 두께 편차가 발생하였고, 또 대형 사이즈의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적층시 취급에 의한 불량도 발생하였다. However, conventionally, a hot press device was used for attaching the coverlay film. For this reason, in manufacturing a lo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such as FFC, circuit wiring cannot be covered with only one coverlay film, so a plurality of coverlay film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used to manufacture a printed circuit board. As a result, heat resistance and vibration resistance were lowered at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coverlay film, and the product was warped.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it was attempted to manufacture a large-sized printed circuit board using a large-sized hot press device. However, when a large-siz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manufactured using a large-sized hot press device, pressure unevenness occurred inside the product because it is a cotton press, which resulted in quality deterioration or thickness deviation, and also the large-siz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When the printed circuit board was laminated, there were also defects due to handling.

이와 같이, 종래에는 길이가 길거나 또는 대형 사이즈의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As such, there has been a limitation in manufactur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long length or a large size in the related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길이 및 회로 패턴으로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으면서, 곡면 구현이 가능하고, 절연성, 내열성이 우수한 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apable of freely designing a desired length and circuit pattern, realizing a curved surface, and having excellent insulation and heat resistance, and a battery cell module connecting member including the sam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의 일면에 배치되고, 일단에 버스바(bus-bar)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를 갖는 복수의 회로 배선; 상기 복수의 회로 배선을 커버하고, 제1 절연층의 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 사이에 개재된 제1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서,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의 접합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두께 편차가 1 내지 5 ㎛ 범위인,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insulating layer; a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us-bar at one end; a second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and continuously formed along one direc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a first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wherei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s one direction along a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To provid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hat is formed to extend and has a thickness deviation of 1 to 5 μm.

일례에 따르면,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절연층과 복수의 회로 배선 사이에 개재된 제2 접착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plurality of circuit wires.

다른 일례에 따르면,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절연층의 타면에 배치되고, 일단에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부를 갖는 복수의 제2 회로 배선;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배선을 커버하고, 상기 제1 절연층의 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3 절연층; 및 상기 제1 절연층과 제3 절연층 사이에 개재된 제3 접착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절연층과 복수의 회로 배선 사이에 개재된 제2 접착제층; 및/또는 상기 제1 절연층과 복수의 제2 회로 배선 사이에 개재된 제4 접착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e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second terminal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at one end; a third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and continuously formed along one direc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a third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In this case, a second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 and/or a fourth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es.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cell module connecting member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일례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는 상기 제2 절연층과 회로 배선 간의 접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각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버스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battery cell module connection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bus bar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a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circuit wir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terminal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다른 일례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는 상기 제3 절연층과 제2 회로 배선 간의 접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각 제2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버스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battery cell module connecting member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third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circuit wiring, and a second bus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second terminal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y include more.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길이의 한계를 넘어 원하는 길이로 자유롭게 설계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곡면 구현이 가능하고, 절연성,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배터리셀 모듈 내 서로 이웃하는 배터리 셀들의 단자부들을 연결하는 단자 연결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designed to a desired length beyond the limit of the length, can be curved, and has excellent insulation and heat resistance. It can be used as a terminal connecting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7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연성 인쇄회로기판 내 회로 배선의 단자부의 오픈면 부분을 평면 사진이다.
도 12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연성 인쇄회로기판 내 회로 배선의 단자부의 오픈면 부분을 평면 사진이다.
도 13(a)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단면을 나타낸 현미경 사진이고, 도 13(b)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단면을 나타낸 현미경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7 .
9 is a plan view of a battery cell modul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9 , and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attery cell module connection member including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1 is a plan photograph of an open surface portion of a terminal portion of a circuit wiring i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in Example 1. FIG.
12 is a plan photograph of an open surface portion of a terminal portion of a circuit wiring i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in Comparative Example 1. Referring to FIG.
13(a) is a photomicrograph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in Example 1, and FIG. 13(b) is a photomicrograph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in Comparative Example 1. Referring to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It is not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Relative dimensions and proportions of parts in the drawing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drawings, and any dimensions are illustrative only and not limiting.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features to the same structure, element, or part appearing in two or mor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presents an ide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iagram are expected. Accordingly,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of the illustrated area, and includes, for example, a shape modification by manufactur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8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8 .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 100B, 100C, 100D)은 배터리셀 모듈에서 서로 이웃하는 배터리 셀들의 단자부들을 연결하는 단자 연결 부재(예,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서로 대면 배치된 제1 절연층(10) 및 제2 절연층(30)과, 이들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회로 배선(20) 및 상기 제1 접착제층(4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0B, 100D)은 상기 제1 절연층(10)과 복수의 회로 배선(20)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제층(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0C, 100D)은 상기 제1 절연층(10)의 타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을 커버하는 제3 절연층(70); 및 상기 제1 절연층과 제3 절연층 사이에 개재된 제3 접착제층(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0D)은 상기 제1 절연층(10)과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 사이에 개재된 제4 접착제층(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은 제1 절연층(10)과 제2 절연층(30)의 접합면을 따라 일 방향[예, Machine Direction(MD)]으로 연장 형성되되, 두께 편차가 1 내지 5 ㎛ 범위이다. 1 to 8 ,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A, 100B, 100C, 100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connecting member (eg, a battery cell module)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y cells in a battery cell module. connecting member, etc.),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20 sequentially dispos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40). Optionally,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100B and 100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dhesive layer 50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plurality of circuit wires 20 . . In additi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C, 100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es (60)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 third insulating layer 70 covering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60; and a third adhesive layer 8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In additi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adhesive layer 9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es 60 . However,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extending in one direction [eg, Machine Direction (MD)] along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the thickness The deviation ranges from 1 to 5 μm.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 100B, 100C, 100D)은 제1 절연층(10) 상에 복수의 회로 배선(20), 제1 접착제층(40) 및 제2 절연층(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일체화된 것으로, 일 방향(예, MD)으로 연장 형성된 롤 형태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 100B, 100C, 100D)은 제1 절연층(10) 상에 복수의 회로 배선(20)이 적층된 제1 적층체와 제2 절연층(30) 상에 제1 접착제층(40)이 적층된 제2 적층체(예, 커버레이 필름)가 롤투롤(roll-to-roll) 연속 자동 방식을 통해 서로 합지되어 일 방향(예, MD)으로 연장 형성된 롤 형태로 제조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2 적층체는 제1 적층체의 복수의 회로 배선(20) 상에 배치될 때, 일정 크기로 절단된 상태가 아니라 일 방향으로 연속하는 롤 형태로 공급되어 회로 배선(20) 상에 적층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달리, 복수의 제2 적층체를 서로 맞닿는 끝단을 중첩시켜 연결시키지 않고도, 제1 적층체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제2 적층체를 제1 적층체 상에 적층시켜 회로 배선(20)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절연층(30)과 제1 접착제층(40)은 종래와 달리, 일정 길이마다 중첩된 부위없이 일 방향(예, MD)으로 연속 형성됨으로써, 중첩 부위로 인한 내열성, 내진동성의 저하나 제품의 뒤틀림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 공급되는 제2 절연층(30)과 제1 접착제층(40)의 제2 적층체가 한 쌍의 히팅 롤러(heating roller)에 의해 복수의 제1 회로 배선(20) 상에 선 라미네이팅됨으로써, 프레스기에 의한 면 라미네이팅과 달리, 연속적으로 균일한 선압(line contact pressure)으로 프레스된다. 이 때문에, 제2 절연층(30)과 제1 접착제층(40)의 제2 적층체는 크기가 대형이더라도 복수의 회로 배선(20)이 형성된 제1 절연층(10) 표면 상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A, 100B, 100C, 100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ircuit wires 20, a first adhesive layer 40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 30)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integrated, and are in the form of rolls extending in one direction (eg, M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100A, 100B, 100C, and 100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first laminate in which a plurality of circuit wires 20 are laminated on a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30 on the A second laminate (eg, a coverlay film) on which the first adhesive layer 40 is laminated is laminated to each other through a roll-to-roll continuous automatic method to extend in one direction (eg, MD) It is manufactured in roll form. That is, when the second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20 of the first laminate, the circuit wiring 20 ) can be stacked on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a second laminat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laminate is laminated on the first laminate without overlapping and connecting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laminat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otect the circuit wiring 20 . Therefore, unlike the prior art,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4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tinuously formed in one direction (eg, MD) without overlapping portions every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heat resistance due to overlapping portions, There is no deterioration in vibration resistance or distortion of the produc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aminate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40 continuously supplied is on the plurality of first circuit wirings 20 by a pair of heating rollers. By the line lamination, unlike the face lamination by a press machine, it is continuously pressed with a uniform line contact pressure (line contact pressure). For this reason, the second laminate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40 is uniform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on which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20 are formed, even if the size is large. It can be arranged in thicknes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 100B, 100C, 100D)은 제1 절연층(10)과 제2 절연층(30)의 접합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두께 편차가 1 내지 5 ㎛ 범위 내로 제어됨으로써, 내열성, 내전압성, 장기 신뢰성 등과 같은 기판 내 특성의 균일도가 확보되어 기판 내 품질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 100B, 100C, 100D)은 길이의 한계를 넘어 원하는 길이로 자유롭게 설계 가능할 뿐만 아니라, 회로 패턴의 설계도 자유롭고, 곡면 구현이 가능하며, 절연성,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배터리셀 모듈 내 서로 이웃하는 배터리 셀의 단자부를 연결하는 단자 연결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100A, 100B, 100C, and 100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along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and the thickness deviation is By being controlled within the range of 1 to 5 μm, uniformity of properties in the substrate, such as heat resistance, voltage resistance, long-term reliability, etc., can be secured, so that quality deviation within the substrate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A, 100B, 100C, 100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designed to a desired length beyond the limit of the length, and the circuit pattern can be freely designed, curved, and has excellent insulation and heat resistance Therefore, it may be used as a terminal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erminal portions of adjacent battery cells in the battery cell module.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1) 제1 절연층(1) first insulating layer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에서, 제1 절연층(10)은 제1 접착제층(40)에 의해 제2 절연층(30)과 합지되어 복수의 회로 배선(20)을 보호한다.I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is laminated with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by the first adhesive layer 40 to form a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 20) is protected.

이러한 제1 절연층(10)은 당 분야에서 플렉시블(flexible) 특성을 갖는 연성 물질로 이루어진 박막 형태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곡면 구현이 가능하고, 절연성, 내열성 고분자 필름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is a plastic film in the form of a thin film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flexible properties in the art,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capable of realizing a curved surface and is an insulating and heat-resistant polymer film.

구체적으로, 제1 절연층(10)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이미드(PI) 필름,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필름,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필름,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필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필름,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필름,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필름,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AP,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필름,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poly(arylene ether sulfone)) 필름 등이 있다. 이러한 고분자 필름은 투명 혹은 반투명일 수 있고, 또는 착색되어 있거나 혹은 무착색된 것일 수도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플렉시블 기판(100)은 폴리이미드 기판일 수 있다. 이때, 제1 절연층(10)은 단층이거나 복수층일 수 있고, 복수층일 경우 서로 상이한 2종 이상의 필름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Specifically, non-limiting example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include a polyimide (PI) film, a polyethersulphone (PES) film, a polyacrylate (PAR) film, and a polyetherimide (PEI) film. ) film,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fil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polyphenylene sulfide (PPS, polyphenylene sulfide) film, polyallylate film, polycarbonate (PC) films, cellulose triacetate (TAC) films,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films, poly(arylene ether sulfone) films, and the like. Such a polymer film may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or may be colored or uncolored,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flexible substrate 100 may be a polyimide substrate. In this case,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may be a singl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and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layers,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films are stacked.

이러한 제1 절연층(10)은 일 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것으로, 예컨대 일 방향(예, 길이 방향, MD)으로 연속하는 롤(roll) 형태의 필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절연층(10)은 폭 방향(예, TD)의 길이(LTD)에 대한 길이 방향(예, MD)의 길이(LMD)의 비율(LMD/LTD)이 약 1 내지 150 범위일 수 있다. 이때, 길이 방향의 길이(LMD)는 약 500 ㎜ 이상, 약 500~3,000 ㎜일 수 있고, 폭 방향의 길이(LTD)는 약 20 ㎜ 이상, 약 20~500 ㎜일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is continuously formed in one direction, and may be, for example, a roll-shaped film continuous in one direction (eg, longitudinal direction, MD). Accordingly, i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 the ratio (L MD /L TD ) of the length (L MD )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MD) to the length (L TD ) in the width direction (eg, TD) is about 1 to 150. In this case, the length (L MD )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about 500 mm or more and about 500 to 3,000 mm, and the length (L TD )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about 20 mm or more, about 20 to 500 mm.

또, 제1 절연층(1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약 12 내지 50 ㎛ 범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about 12 to 50 μm.

(2) 복수의 회로 배선(2) Multiple circuit wiring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에서, 복수의 회로 배선(20)은 제1 절연층(10)의 일면 상에 배치된 것으로, 복수의 회로 배선(20)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소정의 형상으로 패턴화되어 있다. 예컨대, 복수의 회로 배선(20)은 상기 제1 절연층(10)의 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직선형의 패턴들로, 각각의 패턴이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일 방향 및/또는 교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소정의 패턴들이 일 방향으로 연속 배열된 구조일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복수의 회로 배선(20) 각각은 제1 절연층(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며, 각 회로 배선(20)은 제1 절연층(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배치될 수 있다.I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ircuit wires 20 ar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 and the plurality of circuit wires 20 are predetermined It is patterned in a predetermined shape having a width and thickness of .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20 are linear patterns extending along one direc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 and each pattern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formed in parallel, or in one direction and Alternatively, 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predetermined patterns extending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an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2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 and each circuit wiring 20 is arrang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 can be

복수의 회로 배선(20)의 재료는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전성 물질, 구체적으로 도전성 금속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도전성 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크롬(Cr), 니켈(Ni), 아연(Zn), 몰리브덴(Mo), 텅스텐(W), 코발트(Co), 납(Pb), 은(Ag), 탄탈륨(Ta), 구리(Cu), 알루미늄(Al), 망간(Mn), 철(Fe), 티타늄(Ti), 주석(Sn), 스틸(Steel), 아연(Zn) 및 바나듐(V), 팔라듐(Pd)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 또는 합금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복수의 회로 배선(20)은 구리 배선일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nductive material generally used in the art, specifically, a conductive metal. Non-limiting examples of the conductive material include chromium (Cr), nickel (Ni), zinc (Zn), molybdenum (Mo), tungsten (W), cobalt (Co), lead (Pb), silver (Ag), tantalum (Ta), copper (Cu), aluminum (Al), manganese (Mn), iron (Fe), titanium (Ti), tin (Sn), steel (Steel), zinc (Zn) and vanadium (V), palladium (Pd) and the like, a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the form of a mixture or alloy of two or more thereof. According to an example,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20 may be copper wirings.

이러한 각각의 회로 배선(20)은 일단에 버스바(bus-bar)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21), 및 상기 단자부(21)의 일측으로 연장된 내부 회로부(22)를 포함한다.Each of these circuit wirings 20 includes a terminal part 21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us-bar at one end, and an internal circuit part 22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terminal part 21 .

상기 단자부(21)는 회로 배선(20)의 일단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제2 절연층(30)과 비(非)-중첩되어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례에 따르면, 단자부(21)는 버스바와 직접적으로 면 접촉한다. 이로써, 단자부(21)와 버스바 간의 접속 불량이나 쇼트(short) 발생이 최소화되어 접속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접촉 저항이 낮아질 수 있다. The terminal part 21 is a portion located at one end of the circuit wiring 20 , non-overlapping with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terminal part 21 is in direct surface contact with the bus bar. As a result, connection failure or a short circuit between the terminal unit 21 and the bus bar is minimized, so that connection stability can be improved, and contact resistance can be lowered.

상기 단자부(21)에 버스바를 접촉시키는 방법으로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Solder Paste를 통한 Reflow Soldering, 납땜, Laser Soldering, 초음파 융착, 직접 Bolting 등이 있다.A method of contacting the bus bar to the terminal unit 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generally known in the art, and for example, reflow soldering through solder paste, soldering, laser soldering, ultrasonic welding, direct bolting, or the like.

또, 단자부(21)는 표면이 노출된 오픈면을 포함하고, 상기 오픈면의 일측 상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기계 방향(MD)으로 방향성을 가진 접착제 비드층(41)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part 21 includes an open surface with an exposed surface, and an adhesive bead layer 41 having a directionality in the machine direction MD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n surface.

구체적으로, 롤투롤 방식에 의해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을 제조함에 있어, 제1 접착제층(40)과 제2 절연층(30)을 포함하는 커버레이 필름이 회로 배선(20)이 배치된 제1 절연층(10) 상에 한 쌍의 히팅 롤러부에 의해 선 라미네이팅된다. 이때, 히팅 롤러부의 열에 의해 제1 접착제층(40)이 용융되는데, 핫프레스 공정에 의한 면 라미네이팅과 달리, 용융된 접착제는 히팅 롤러부의 압력에 의해 공정 진행 방향인 기계 방향(MD) 측으로만 흐름성을 갖는다. 따라서, 용융된 접착제 일부가 제2 절연층(30)과 비중첩되어 노출된 단자부(20)의 오픈면 상으로 흐르고, 이렇게 흐른 접착제 일부가 경화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면의 일측에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기계 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진 접착제 비드층(41)이 형성된다. 이때, 접착제 비드층(41)은 제1 접착제층(4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것이다. 또,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절연층(10)과 복수의 회로 배선(20) 사이에 제2 접착층(50)이 위치할 경우, 상기 접착제 비드층(41)은 제1 접착제층(40) 뿐만 아니라 제2 접착층(5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것으로, 제1 접착층(40)과 제2 접착층(50)의 성분이 혼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단자부(21)는 핫프레스 공정에 의한 면 라미네이팅과 달리, 단자부(21)의 오픈면에 방향성을 가진 접착제 비드층(41)이 형성되기 때문에, 버스바가 접촉될 수 있는 단자부(21)의 면적이 증가하여 전기적 경로가 확대되고, 따라서 전기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manufacturing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A by the roll-to-roll method, the coverlay film including the first adhesive layer 4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is the circuit wiring 20 disposed therei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is laminated with a pair of heating rollers. At this time, the first adhesive layer 40 is melted by the heat of the heating roller part. Unlike the face lamination by the hot press process, the molten adhesive flows only in the machine direction (MD) side, which is the process progress direction, by the pressure of the heating roller part have a gender Accordingly, a part of the molten adhesive flows onto the open surface of the exposed terminal part 20 by not overlapping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and when a part of the adhesive that has flowed in this way is cured, as shown in FIG. An adhesive bead layer 41 having directionality in the machine direction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formed on one side. In this case, the adhesive bead layer 41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adhesive layer 40 . In addition, as in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20, the adhesive bead layer 41 is a first adhesive layer ( 40) as well as being formed extending from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the component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4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are mixed. As such, in the terminal part 21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surface lamination by the hot press process, since the adhesive bead layer 41 having directionality is formed on the open surface of the terminal part 21, the terminal part to which the bus bar can be contacted. The area of (21) is increased to enlarge the electrical path, and thus the electrical resistance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회로 배선(20)은 타단에 위치하여 외부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2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연층(30)과 비중첩되어 외부로 노출된 표면을 갖는다. 이러한 커넥터부(23)를 통해 배터리셀 모듈이 외부 장치(예, 자동차 ECU 등)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배터리셀 모듈의 전압, 전류 및 온도는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면서, 과도한 충전이나 방전이 미연에 방지되어 배터리셀 모듈의 안전성과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circuit wiring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part 23 positioned at the other en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it board. As shown in FIG. 1 , the connector part 23 has a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by not overlapping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 As the battery cell modul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eg, automobile ECU, etc.) through the connector unit 23, the voltage, current, and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 module are monitored in real time, and excessive charging or discharging is prevented in advance. Thus,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battery cell module can be improved.

회로 배선(20)의 폭 및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폭은 약 30 ㎛ 이상, 구체적으로 약 30~100 ㎛ 범위일 수 있고, 두께는 약 6~70㎛ 범위일 수 있다.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circuit wiring 2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the width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30 μm or more, specifically, about 30 to 100 μm, and the thickness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6 to 70 μm.

(3) 제2 절연층(3) second insulating layer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에서, 제2 절연층(30)은 복수의 회로 배선(20)을 커버하는 부분으로, 제1 절연층(10)과 합지되어 복수의 회로 배선(20)을 보호한다. 또, 제2 절연층(30)은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제조시 제1 접착제층(40)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체의 역할도 한다. I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covers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20 , and is laminated with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to provide a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20 . to protect In additi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also serves as a support for forming the first adhesive layer 40 whe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manufactured.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제2 절연층(30)은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고분자 필름, 구체적으로 절연성 고분자 필름일 수 있으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셀로판, 다이아세틸셀룰로스 필름,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필름, 아세틸셀룰로스부티레이트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스타이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설폰 필름, 폴리에터에터케톤 필름, 폴리에터설폰 필름, 폴리에터이미드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불소수지 필름, 폴리아마이드 필름, 아크릴수지 필름, 노보넨계 수지 필름, 사이클로올레핀 수지 필름 등이 있다. 이러한 고분자 필름은 투명 또는 반투명일 수 있고, 또한 착색되거나 무착색된 것일 수 있으나, 용도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한다. 일례에 따르면, 제2 절연층(30)은 폴리이미드(PI) 필름,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필름,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필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필름, 폴리에스테르 술폰 필름,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및 폴리아릴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nventional polymer film known in the art, specifically, an insulating polymer film, and non-limiting examples thereof includ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polybutylene tere. Phthalate film, polyethylene naphthalate film, polyethylene film, polypropylene film, cellophane, diacetyl cellulose film, triacetyl cellulose film, acetyl cellulose butyrate film, polyvinyl chloride film, polyvinylidene chloride film, polyvinyl alcohol film,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ilm, polystyrene film, polycarbonate film, polymethylpentene film, polysulfone film, polyetheretherketone film, polyethersulfone film, polyetherimide film, polyimide film, fluororesin film, There are polyamide films, acrylic resin films, norbornene-based resin films, and cycloolefin resin films. The polymer film may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and may be colored or uncolored, but is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use.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may be a polyimide (PI) film,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a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film, a polyphenylene sulfide (PPS) film, or a polyetheretherketone (PEEK) film. ,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ester sulfone film, an aromatic polyamide film, a polycarbonate film, and a polyarylate film.

이러한 제2 절연층(30)은 제1 절연층(10)의 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컨대 길이 방향(예, MD)으로 연속하는 롤(roll) 형태의 필름일 수 있다.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one direc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 and may be, for example, a roll-shaped film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M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절연층(30)은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제조시 일정 크기로 절단된 상태로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롤투롤 자동 연속 방식을 통해 일 방향(예, 길이 방향, MD)을 따라 연속되는 롤 형태로 복수의 회로 배선(20) 상에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제1 절연층(10)에 제1 접착제층(40)에 의해 합지된다. 즉, 제2 절연층(30)은 종래와 달리, 일정 길이마다 중첩된 부위없이 일 방향으로 연속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절연층(30)은 폭 방향(예, TD)의 길이(LTD)에 대한 길이 방향(예, MD)의 길이(LMD)의 비율(LMD/LTD)이 약 1 내지 150 범위일 수 있다. 이때, 제2 절연층(30)은 길이 방향의 길이(LMD)가 약 500 ㎜ 이상, 약 500~3,000 ㎜일 수 있고, 폭 방향의 길이(LTD)는 약 20 ㎜ 이상, 약 20~500 ㎜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upplied in a state cut to a predetermined size when manufactur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but in one direction (eg, longitudinal direction, MD) through a roll-to-roll automatic continuous method. It is continuously supplied on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20 in the form of a continuous roll along the line and is laminated to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by the first adhesive layer 40 . That is, unlike the related art,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may be continuously formed in one direction without overlapping portions every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ly, i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 a ratio (L MD /L TD ) of a length (L MD ) in a longitudinal direction (eg, MD) to a length (L TD ) in a width direction (eg, TD) is about 1 to 150. At this time,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may have a length (L MD )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bout 500 mm or more and about 500 to 3,000 mm, and a length (L TD ) in the width direction of about 20 mm or more, about 20 ~ It may be 500 mm.

또한, 제2 절연층(30)이 전술한 바와 같이, 중첩 부위 없이 연속 형성되어 복수의 회로 배선(20)을 커버할 경우, 제2 절연층(20)과 제1 접착층(40)의 두께를 합한 총 두께는 균일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핫프레스 공정을 통해 제조된 종래의 연성 인쇄회로기판과 달리, 두께 편차가 약 1 내지 5 ㎛ 범위일 수 있다. 여기서, 두께 편차는 연성 인쇄회로기판(500㎜X500㎜)을 25 ㎜ 간격으로 총 100개 지점에 대한 두께를 측정한 다음,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 간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때, 제2 절연층(20)과 제1 접착층(40)의 두께를 합한 총 두께의 편차가 약 1 내지 5 ㎛ 범위일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is continuously formed without overlapping portions to cover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20 , the thickness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40 is reduced. The combined total thickness is uniform. For this reas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hickness deviation of about 1 to 5 μm, unlike a conventional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through a hot press process. Here, the thickness deviation refers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thickness and the minimum thickness after measuring the thickness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500 mmX500 mm) at 25 mm intervals for a total of 100 points. In this case, the deviation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40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1 to 5 μm.

상기 제2 절연층(3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약 12 내지 50 ㎛ 범위일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about 12 to 50 μm.

(4) 제1 접착제층(4) first adhesive layer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에서, 제1 접착제층(40)은 제1 절연층(10)과 제2 절연층(30) 사이에 개재된 것으로, 이를 통해 제2 절연층(30)이 제1 절연층(10)에 합지된다. 이때, 제2 절연층(30)이 복수의 회로 배선(20)에 밀착되어 복수의 회로 배선(20)을 보호할 수 있다. 또, 제1 접착제층(40)은 복수의 회로 배선(20)과 제2 절연층(30) 사이에도 개재될 수 있다.I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layer 4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through which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It is laminated to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In this case,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circuit wires 20 to protect the plurality of circuit wires 20 . Also, the first adhesive layer 4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ircuit wires 2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

제1 접착제층(40)은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열경화형 접착제일 수 있다. 제1 접착제층(40)은 에폭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아마이드이미드계, 폴리아믹에시드계, 폴리페닐렌 옥사이드(PPO)계, 및 아크릴계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first adhesive layer 40 may use a conventional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known in the art, and specifically may be a thermosetting adhesive. The first adhesive layer 40 may be any one of an epoxy-based, polyimide-based, polyamide-imide-based, polyamic acid-based, polyphenylene oxide (PPO)-based, and acrylic adhesive.

이러한 제1 접착제층(4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약 12 내지 100 ㎛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bout 12 to 100 μm.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은 길이의 한계를 넘어 원하는 길이로 자유롭게 설계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곡면 구현이 가능하고, 절연성,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배터리셀 모듈 내 서로 이웃하는 배터리 셀의 단자부를 연결하는 단자 연결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외에 종래 연성 인쇄회로기판이 적용되는 모든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designed to a desired length beyond the limit of the length, can be curved, and has excellent insulation and heat resistance, so a battery cell module It can be used as a terminal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erminal parts of neighboring battery cells.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all uses to which the conventional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applied.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0B)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B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0B)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연층(10); 상기 제1 절연층(1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일단에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21)를 갖는 복수의 회로 배선(20); 상기 회로 배선(20)을 커버하고, 제1 절연층(10)의 일 방향으로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 절연층(30); 상기 제1 절연층(10)과 제2 절연층(30) 사이에 개재된 제1 접착제층(40); 및 상기 제1 절연층(10)과 회로 배선(20) 사이에 개재된 제2 접착제층(50)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B)은 제1 절연층(10)과 제2 절연층(30)의 접합면을 따라 일 방향[예, MD]으로 연장 형성되되, 두께 편차가 약 1 내지 5 ㎛ 범위이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sulating layer 10; a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20)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having a terminal part (21)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us bar at one end; a second insulating layer 30 covering the circuit wiring 20 and continuously formed along one direc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 first adhesive layer 4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and a second adhesive layer 5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circuit wiring 20 . However,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eg, MD] along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and the thickness deviation is about 1 to 5 μm.

제1 절연층(10), 복수의 회로 배선(20), 제2 절연층(30) 및 제1 접착제층(40)에 대한 설명은 각각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Description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20 ,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40 are omitted since they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respectively.

제2 접착제층(50)은 상기 제1 절연층(10) 상에 배치되어 복수의 제1 회로 배선(20)을 제1 절연층(10)에 접착시킨다.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is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to adhere the plurality of first circuit wires 20 to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

이러한 제2 접착제층(50)은 제1 접착제층(40)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열경화형 접착제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접착제층(50)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폭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아마이드이미드계, 폴리아믹에시드계, 폴리페닐렌 옥사이드(PPO)계, 및 아크릴계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first adhesive layer 40 , and a conventional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and specifically may be a thermosetting adhesive. Specific example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may be any one of an epoxy-based adhesive, a polyimide-based adhesive, a polyamide-imide-based adhesive, a polyamic acid-based adhesive, a polyphenylene oxide (PPO)-based adhesive, and an acrylic adhesive.

또, 제2 접착제층(5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약 1 내지 50 ㎛ 범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about 1 to 50 μm.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0C)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C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0C)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연층(10); 상기 제1 절연층(1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일단에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이하, '제1 단자부')(21)를 갖는 복수의 회로 배선(이하, '제1 회로 배선')(20); 상기 제1 회로 배선(20)을 커버하고, 제1 절연층(10)의 일 방향으로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 절연층(30); 상기 제1 절연층(10)과 제2 절연층(30) 사이에 개재된 제1 접착제층(40); 상기 제1 절연층(10)의 타면에 배치되고, 일단에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부를 갖는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을 커버하고, 상기 제1 절연층(10)의 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3 절연층(70); 및 상기 제1 절연층(10)과 제3 절연층(70) 사이에 개재된 제3 접착제층(80)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C)은 제1 절연층(10)과 제2 절연층(30)의 접합면을 따라 일 방향[예, MD]으로 연장 형성되되, 두께 편차가 약 1 내지 5 ㎛ 범위이다.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C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s shown in FIGS. 5 and 6 , a first insulating layer 10; A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hereinafter, 'first circuit wiring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having a terminal unit (hereinafter, 'first terminal unit') 2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at one end ')(20); a second insulating layer 30 covering the first circuit wiring 20 and continuously formed along one direc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 first adhesive layer 4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a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60)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having a second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us bar at one end; a third insulating layer (70) covering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60) and continuously formed along one direc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a third adhesive layer 8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 However,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eg, MD] along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and the thickness deviation is about 1 to 5 μm.

제1 절연층(10), 복수의 회로 배선(20), 제2 절연층(30) 및 제1 접착제층(40)에 대한 설명은 각각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Since the description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20,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4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respectively, they are omitted.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은 제1 절연층(10)의 타면 상에 배치된 것으로, 복수의 제1 회로 배선(20)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소정의 형상으로 패턴화되어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은 상기 제1 절연층(10)의 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직선형의 패턴들로, 각각의 패턴이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일 방향 및/또는 교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소정의 패턴들이 일 방향으로 연속 배열된 구조일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 각각은 제1 절연층(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며, 각각의 제2 회로 배선(60)은 제1 절연층(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60 ar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 and similarly to the plurality of first circuit wirings 20 ,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60 have a predetermined width. It is patterned in a predetermined shape having a thickness and thicknes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60 are linear patterns extending along one direc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 and each of the pattern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formed in parallel, or 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predetermined patterns extending in a direction and/or crossing direction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an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6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 and each second circuit wiring 60 has a length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 It may be arranged to extend along the direction.

제2 회로 배선(60)의 재료는 제1 회로 배선(20)의 재료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전성 물질, 구체적으로 도전성 금속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도전성 물질의 예는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The material of the second circuit wiring 6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circuit wiring 20 ,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nductive material generally used in the art, specifically, a conductive metal. Since the example of such a conductive material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1st Embodiment, it is abbreviate|omitted.

각각의 제2 회로 배선(60)은 일단에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부(미도시됨), 및 상기 제2 단자부의 일측으로 연장된 제2 내부 회로부(미도시됨)를 포함한다.Each of the second circuit wires 60 includes a second terminal part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at one end, and a second internal circuit part (not shown)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second terminal part.

상기 제2 단자부는 제2 회로 배선(60)의 일단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제3 절연층(70)과 비-중첩되어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례에 따르면, 제2 단자부는 버스바와 직접적으로 면 접촉한다. 이로써, 제2 단자부와 버스바 간의 접속 안정성이 향상되고, 접촉 저항이 낮아질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portion is a portion located at one end of the second circuit wiring 60 , does not overlap 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s in direct surface contact with the bus bar. Accordingly,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the second terminal unit and the bus bar may be improved, and contact resistance may be lowered.

또, 제2 단자부는 제1 단자부(21)와 마찬가지로, 표면이 노출된 오픈면을 포함하고, 상기 오픈면의 일측 상에는 기계 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진 접착제 비드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착제 비드층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Also, like the first terminal part 21 , the second terminal part includes an open surface with an exposed surface, and an adhesive bead layer having directionality in the machine direc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n surface. Since the description of such an adhesive bead layer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omitted.

또, 제2 회로 배선(60)은 타단에 위치하여 외부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커넥터부(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커넥터부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커넥터부 부분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ircuit wiring 6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nector part (not shown) located at the other en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it board. The description of this second connector part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first connector part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제2 회로 배선(60)의 폭 및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폭은 약 30 ㎛ 이상, 구체적으로 약 30~100 ㎛ 범위일 수 있고, 두께는 약 6~70㎛ 범위일 수 있다.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second circuit wiring 6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the width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30 μm or more, specifically, about 30 to 100 μm, and the thickness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6 to 70 μm.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C)에서, 제3 절연층(70)은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을 커버하는 부분으로, 제1 절연층(10)과 합지되어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을 보호한다. I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C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covers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es 60 , and is laminated with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to form a plurality of second circuits. The wiring 60 is protected.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제3 절연층(70)은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고분자 필름, 구체적으로 절연성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이때, 제3 절연층(70)은 제2 절연층(30)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의 예는 제1 실시 형태의 제2 절연층 부분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nventional polymer film known in the art, specifically, an insulating polymer film. In this case, 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 Since the example of the said polymer film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2nd insulating layer part of 1st Embodiment, it is abbreviate|omitted.

제3 절연층(70)은 일 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것으로, 예컨대 길이 방향(예, MD)으로 연속하는 롤 형태의 필름일 수 있다. 이러한 제3 절연층(70)은 제2 절연층(30)과 마찬가지로,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제조시 절단 없이 일 방향으로 연속하는 롤 형태로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 상에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제1 절연층(10)에 제2 접착제층(80)에 의해 합지됨으로써, 일정 길이마다 중첩된 부위 없이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절연층(70)은 폭 방향(예, TD)의 길이(LTD)에 대한 길이 방향(예, MD)의 길이(LMD)의 비율(LMD/LTD)이 약 1 내지 150 범위일 수 있다. 이때, 제3 절연층(70)은 길이 방향의 길이(LMD)가 약 500 ㎜ 이상, 약 500~3,000 ㎜일 수 있고, 폭 방향의 길이(LTD)는 약 20 ㎜ 이상, 약 20~500 ㎜일 수 있다.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is continuously formed in one direction, and may be, for example, a roll-shaped film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MD). Like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 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is continuously suppli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60 in the form of a roll continuous in one direction without cutting during the manufacturing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By being laminated to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by the second adhesive layer 80 , it is possible to cover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60 without overlapping portions every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ly, in 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 the ratio (L MD /L TD ) of the length (L MD )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MD) to the length (L TD ) in the width direction (eg, TD) is about 1 to 150. In this case, 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may have a length (L MD ) of about 500 mm or more and about 500 to 3,000 m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ength (L TD ) of about 20 mm or more, about 20 ~ It may be 500 mm.

또, 제2 절연층(30)뿐만 아니라 제3 절연층(70)도 중첩 부위 없이 연속 형성되어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을 커버할 경우, 제2 절연층(20)과 제1 접착층(40)의 총 두께 및 제3 절연층(70)과 제3 접착층(80)의 총 두께가 모두 균일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두께 편차가 약 1 내지 5 ㎛ 범위일 수 있다. 여기서, 두께 편차는 연성 인쇄회로기판(500㎜X500㎜)을 25 ㎜ 간격으로 총 100개 지점에 대한 두께를 측정한 다음,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 간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때, 제3 절연층(70)과 제3 접착층(80)의 두께를 합한 총 두께의 편차는 약 1 내지 5 ㎛ 범위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not only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but also 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are continuously formed without overlapping portions to cover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60 ,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Since the total thickness of 40 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and the third adhesive layer 80 are all uniform, the thickness deviation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1 to 5 μm. have. Here, the thickness deviation refers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thickness and the minimum thickness after measuring the thickness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500 mmX500 mm) at 25 mm intervals for a total of 100 points. In this case, the deviation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and the third adhesive layer 80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1 to 5 μm.

상기 제3 절연층(7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약 12 내지 50 ㎛ 범위일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about 12 to 50 μm.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C)에서, 제3 접착제층(80)은 제1 절연층(10)과 제3 절연층(70) 사이에 개재된 것으로, 제1 절연층(10)과 제3 절연층(70)을 합지시킨다. 이때, 제3 절연층(70)이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에 밀착되어 회로 배선을 보호할 수 있다.I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C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adhesive layer 8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3 The insulating layer 70 is laminated. In this case, 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60 to protect the circuit wirings.

제3 접착제층(80)은 제1 접착제층(40)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접착제층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접착제층 부분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The third adhesive layer 8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first adhesive layer 40 . Since it is the same as what was described in the 1st adhesive bond layer part of 1st Embodiment, description about this 3rd adhesive bond layer is abbreviate|omitted.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0D)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100D)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연층(10); 상기 제1 절연층(1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일단에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이하, '제1 단자부')(21)를 갖는 복수의 회로 배선(이하, '제1 회로 배선')(20); 상기 제1 회로 배선(20)을 커버하고, 제1 절연층(10)의 일 방향으로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 절연층(30); 상기 제1 절연층(10)과 제2 절연층(30) 사이에 개재된 제1 접착제층(40); 상기 제1 절연층(10)과 복수의 제1 회로 배선(20) 사이에 개재된 제2 접착제층(50); 상기 제1 절연층(10)의 타면에 배치되고, 일단에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부를 갖는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을 커버하고, 상기 제1 절연층(10)의 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3 절연층(70); 상기 제1 절연층(10)과 제3 절연층(70) 사이에 개재된 제3 접착제층(80); 및 상기 제1 절연층(10)과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 사이에 개재된 제4 접착제층(9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절연층(30) 및 제4 접착제층(90)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D)은 제1 절연층(10)과 제2 절연층(30)의 접합면을 따라 일 방향[예, MD]으로 연장 형성되되, 두께 편차가 약 1 내지 5 ㎛ 범위이다.As shown in FIGS. 7 and 8 ,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sulating layer 10; A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hereinafter, 'first circuit wiring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having a terminal unit (hereinafter, 'first terminal unit') 2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at one end ')(20); a second insulating layer 30 covering the first circuit wiring 20 and continuously formed along one direc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 first adhesive layer 4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a second adhesive layer (5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plurality of first circuit wires (20); a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60)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having a second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us bar at one end; a third insulating layer (70) covering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60) and continuously formed along one direc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 third adhesive layer 8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and a fourth adhesive layer 9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es 60 . In this case, any one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and the fourth adhesive layer 90 may be omitted. However,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eg, MD] along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and the thickness deviation is about 1 to 5 μm.

제1 절연층(10), 복수의 회로 배선(20), 제2 절연층(30) 및 제1 접착제층(40)에 대한 설명은 각각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고, 제2 접착제층(50)에 대한 설명은 제2 실시 형태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며,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 제3 절연층(70) 및 제3 접착제층(80)에 대한 설명은 각각 제3 실시 형태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Description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20,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4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respectively,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 description of (5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60, 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and the third adhesive layer 80 is the third embodiment, respectively. Since it is the same as what was described in the form, it abbreviate|omits.

제4 접착제층(90)은 상기 제1 절연층(10) 상에 배치되어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을 제1 절연층(10)에 접착시킨다. 이러한 제4 접착제층(90)은 제1 접착제층(40), 제2 접착제층(50) 및 제3 접착제층(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접착제층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접착제층 부분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The fourth adhesive layer 90 is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to bond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es 60 to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 The fourth adhesive layer 9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40 , the second adhesive layer 50 , and the third adhesive layer 80 . Since it is the same as what was described in the 1st adhesive bond layer part of 1st Embodiment, description about this 4th adhesive bond layer is abbreviate|omitted.

전술한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 100B)은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 예컨대 롤투롤(roll-to-roll)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일면에 복수의 회로 배선이 형성된 제1 절연 필름과 일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제2 절연 필름을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한 후, 롤투롤 연속 자동 방식에 의해 가압 및 가열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100A and 100B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 roll-to-roll process. For example, a first insulating film having a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formed on one surface and a second insulation film having an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surfac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n integrated by pressing and heating by a roll-to-roll continuous automatic metho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 100B)은 (S100) 제1 절연 필름의 일면에 금속박(metal foil)이 배치된 제1 적층체를 일 방향(예, MD)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금속박을 패터닝하여 복수의 회로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S200) 제2 절연 필름의 일면에 제1 접착제층이 배치된 제2 적층체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제2 적층체의 일부를 펀칭하여 단자 노출부 및 얼라인부를 형성하는 단계; (S300) 상기 (S10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1 적층체와 상기 (S20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2 적층체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들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절연 필름과 금속박 사이에 제2 접착제층이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공정의 단계가 변형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혼용되어 수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S100) 단계와 (S200) 단계 사이에는 시간적 선후가 존재하지 않는다.Specifically,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A, 100B) of the present invention (S100) while transferring the first laminate in which a metal foil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film in one direction (eg, MD), forming a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by patterning the metal foil; (S200) forming a terminal exposed portion and an alignment portion by punching a portion of the second laminate while transferring a second laminate having a first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film in one direction; (S300) The first laminate transferred in step (S100) and the second laminate transferred in step (S200) may be manufactured by a method comprising laminating them while moving in one direction. Optionally, a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film and the metal foil. However, it is not limited only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steps of each process may be modified or selectively mixed as needed. In particular, there is no temporal precedence between the steps (S100) and (S200).

(S100) 단계: 제1 절연 필름의 일면에 금속박(metal foil)이 배치된 제1 적층체를 일 방향으로 공급하면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금속박을 패터닝하여 복수의 회로 배선을 형성한다. Step (S100): while supplying and moving the first laminate in which a metal foil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film in one direction, the metal foil is patterned to form a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

제1 적층체는 제1 절연 필름, 및 상기 제1 절연 필름 상에 배치된 금속박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절연 필름과 금속박 사이에 개재된 제2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일 방향(예, 길이 방향, MD)으로 연속하는 롤(roll) 형태이다. The first laminate includes a first insulating film and a metal foil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film, and optionally a second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film and the metal foil, in one direction ( eg, in the form of a roll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상기 제1 절연 필름은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제1 절연층(10)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필름으로, 자세한 설명은 제1 절연층(10)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The first insulating film is a polymer film used as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

상기 금속박은 제1 절연 필름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형성한 다음, 제1 절연 필름 상에 도포 후 건조된 제2 접착제층을 통해 제1 절연 필름 상에 접착될 수 있다. The metal foil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film, or formed separately, then applied on the first insulating film and then adhered to the first insulating film through a dried second adhesive layer.

상기 금속박의 재료는 제1 회로 배선에 설명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또, 제2 접착제층에 대한 설명도 제2 실시 형태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The material of the metal foil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described for the first circuit wiring. In addition, since it is the same as that of 2nd Embodiment, description of a 2nd adhesive bond layer is also abbreviate|omitted.

상기 제2 접착제층의 도포 방법은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딥 코트법, 에어나이프 코트법, 커튼 코트법, 와이어 바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콤마 코트법, 슬롯 코트법, 익스트루전 코트법, 스핀 코트 방법, 슬릿 스캔법, 잉크젯법 등이 있다. 상기 건조공정은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조건 내에서 적절히 실시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약 10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for applying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commonly known in the art, and for example, a dip coat method, an air knife coat method, a curtain coat method, a wire bar coat method, a gravure coat method, a comma coat method, a slot coat method method, an extrusion coating method, a spin coating method, a slit scan method, an inkjet method, and the like. The drying process may be appropriately carried out within conventional condition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about 100 to 200 ℃.

상기 금속박의 패터닝 방법은 당 분야에 공지된 회로패턴화 공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인쇄법, 포토레지스트법, 습식 또는 건식 에칭법 등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atterning method of the metal foi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ircuit patterning proces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there is a printing method, a photoresist method, a wet or dry etching method,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S200) 단계: 제2 절연 필름의 일면에 접착제층이 배치된 제2 적층체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제2 적층체의 일부를 펀칭하여 단자 노출부 및 얼라인부를 형성한다. Step (S200): While transferring the second laminate on which the adhesive layer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film in one direction, a part of the second laminate is punched to form terminal exposed parts and alignment parts .

제2 적층체는 제2 절연 필름, 및 상기 제2 절연 필름 상에 배치된 제1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일 방향(예, MD)으로 연속하는 롤(roll) 형태이다. The second laminate includes a second insulating film and a first adhesive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film, and is in the form of a roll continuous in one direction (eg, MD).

제2 절연 필름은 최종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 100B)의 제2 절연층(30)이 되는 부분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또, 제1 접착제층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The second insulating film is a portion that becomes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of the final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100A and 100B, and a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since it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description about a 1st adhesive bond layer is abbreviate|omitted.

상기 제2 적층체를 펀칭하는 장치는 당 업계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펀칭 유닛, 예컨대 레이저(Laser) 장치, 펀칭기(금형 펀칭, 로터리 펀칭)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펀칭 유닛을 이용하여 제2 적층체를 상하 관통하여 단자 노출부 및 얼라인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단자 노출부는 회로 배선의 단자부가 노출되는 부분으로, 회로 배선의 단자부가 위치하는 부분, 예컨대 제2 적층체의 가장자리 및/또는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얼라인부는 제1 절연 필름에 마련된 얼라인 핀, 얼라인 마크 또는 얼라인 홀과 평면 상에서 정합(alignment)된다.The device for punching the second laminate may be a punching unit generally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 laser device, a punching machine (mold punching, rotary punching), or the like.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and the alignment portion are formed by vertically penetrating the second laminate by using such a punching unit. Here,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is a portion in which the terminal portion of the circuit wiring is exposed, and may be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terminal portion of the circuit wiring is located, for example, an edge and/or a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laminate. On the other hand, the alignment part is aligned with the alignment pin, the alignment mark, or the alignment hole provided in the first insulating film on a plane.

(S300) 단계: 상기 (S10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1 적층체와 상기 (S20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2 적층체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들을 열압착 라미네이션한다. Step (S300): The first laminate transferred in step (S100) and the second laminate transferred in step (S200) are laminated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while moving in one direction .

(S300) 단계는 상기 (S10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1 적층체 상에 상기 (S20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2 적층체의 위치를 정렬한 다음, 이들을 한 쌍의 히팅 롤러에 의해 열압착한다. 선택적으로, 정렬 후 제1 적층체와 제2 적층체를 가접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적층체의 복수의 회로 배선과 제2 적층체의 제1 접착제층이 서로 대향하여 합지되어, 상기 제1 접착제층에 의해 제1 절연 필름과 제2 절연 필름이 서로 부착된다.Step (S300) aligns the positions of the second laminate transferred in step (S200) on the first laminate transferred in step (S100), and then thermocompresses them by a pair of heating rollers. Optionally, the first laminate and the second laminate may be temporarily bonded after alignment.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of the first laminate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of the second laminate are laminat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first insulating film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adhesive layer.

상기 제1 적층체와 제2 적층체 간의 정렬은 당 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얼라인 공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제2 적층체의 얼라인부의 중심이 제1 적층체의 얼라인 마크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한다.The alignment between the first laminate and the second lamin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alignment process generally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the center of the alignment part of the second laminate is the center of the alignment mark of the first laminate and the make it match

상기 제1 적층체와 제2 적층체의 가접 조건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롤러 온도가 약 50~150 ℃인 한 쌍의 히팅 롤러를 이용하여 약 0.1~1 ton/m의 선압으로 약 0.1~5 m/min의 압착 속도로 수행될 수 있는데,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temporary bonding conditions of the first laminate and the second laminate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a conventional range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it may be carried out at a compression speed of about 0.1-5 m/min with a linear pressure of about 0.1-1 ton/m using a pair of heating rollers having a roller temperature of about 50-150° C.,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

상기 열압착 조건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롤러 온도가 약 50~300 ℃인 한 쌍의 히팅 롤러를 이용하여 약 0.5~4 ton/m의 선압으로 약 0.1~5 m/min의 압착 속도로 수행될 수 있는데,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conditions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a conventional range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it can be carried out at a compression speed of about 0.1-5 m/min with a linear pressure of about 0.5-4 ton/m using a pair of heating rollers having a roller temperature of about 50-300° C.,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

전술한 방법에 의해서, 본 발명은 제1 절연층(10) 상에 복수의 회로 배선(20), 제1 접착제층(40) 및 제2 절연층(3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의 접합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두께 편차가 약 1 내지 5 ㎛ 범위인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 100B)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압착시, 제1 적층체 내 회로 배선의 제1 단자부(21)가 제2 적층체의 단자 노출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회로 배선의 제1 단자부(21)는 오픈면을 갖는다. 이때, 한 쌍의 히팅 롤러에 의해 제2 적층체 내 제1 접착제층이 용융되고, 용융된 제1 접착제층의 접착제 일부가 히팅 롤러의 압력에 의해 상기 오픈면 상으로 흐른 후 경화됨으로써, 오픈면의 일측 상에는 기계 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진 접착제 비드층(41)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20, a first adhesive layer 40,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30 ar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the first insulating layer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100A and 100B extending in one direction along the bonding surface of the layer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thickness deviation in the range of about 1 to 5 μm may be manufactured. In addition, during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the first terminal part 21 of the circuit wiring in the first laminat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erminal exposed part of the second laminate, so that the first terminal part 21 of the circuit wiring has an open surface . At this time, the first adhesive layer in the second laminate is melted by a pair of heating rollers, and a part of the melted adhesiv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flows onto the open surface by the pressure of the heating roller and then hardens, so that the open surface An adhesive bead layer 41 having directionality in the machine direc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

전술한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C, 100D)은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 예컨대 롤투롤(roll-to-roll)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양면에 복수의 회로 배선이 형성된 제1 절연 필름의 상, 하부에, 일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제2 절연 필름들을 각각 배치한 후, 롤투롤 연속 자동 방식에 의해 가압 및 가열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100C and 100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 roll-to-roll process. For example, after arranging second insulating films each having an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side above and below the first insulating film having a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formed on both sides, pressurizing and heating by a roll-to-roll continuous automatic method to integrate them. ca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C, 100D)은 (S10) 제1 절연 필름의 양면에 제1 및 제2 금속박(metal foil)이 각각 배치된 제1 적층체를 일 방향(예, MD)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박을 패터닝하여 복수의 제1 및 제2 회로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S20) 제2 절연 필름의 일면에 제1 접착제층이 배치된 제2 적층체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제2 적층체의 일부를 펀칭하여 단자 노출부 및 얼라인부를 형성하는 단계; (S30) 제3 절연 필름의 일면에 제3 접착제층이 배치된 제3 적층체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제3 적층체의 일부를 펀칭하여 단자 노출부 및 얼라인부를 형성하는 단계; (S40) 상기 (S1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1 적층체, 상기 (S2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2 적층체와 상기 (S3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3 적층체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들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절연 필름과 제1 금속박 사이에 제2 접착제층이 개재되어 있을 수 있고/있거나, 상기 제1 절연 필름과 제2 금속박 사이에 제4 접착제층이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공정의 단계가 변형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혼용되어 수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S10) 단계, (S20) 단계 및 (S30) 단계 사이에는 시간적 선후가 존재하지 않는다.Specifically,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C, 100D) of the present invention (S10) a first laminate in which first and second metal foil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sulating film in one direction (eg, form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ircuit wirings by patterning the first and second metal foils while transferring them to MD); (S20) forming a terminal exposed portion and an alignment portion by punching a portion of the second laminate while transferring the second laminate having the first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film in one direction; (S30) forming a terminal exposed part and an alignment part by punching a part of the third laminate while transferring a third laminate having a third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third insulating film in one direction; (S40) The first laminate transferred in the step (S10), the second laminate transferred in the step (S20), and the third laminate transferred in the step (S30) are laminated while moving in one direction It may be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ptionally, a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film and the first metal foil, and/or a fourth adhesive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film and the second metal foil. However, it is not limited only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steps of each process may be modified or selectively mixed as needed. In particular, there is no temporal precedence between the steps (S10), (S20) and (S30).

(S10) 단계: 제1 절연 필름의 양면에 제1 및 제2 금속박(metal foil)이 각각 배치된 제1 적층체를 일 방향으로 공급하면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금속박을 패터닝하여 복수의 제1 및 제2 회로 배선을 형성한다. Step (S10): while supplying and moving a first laminate in which first and second metal foil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sulating film in one direction, patterning the first and second metal foils to form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ircuit wirings .

(S10) 단계는 제1 절연 필름의 양면에 제1 및 제2 금속박이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제1 적층체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 전술한 제조방법의 (S100) 단계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게 수행한다. Step (S10)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step (S100) of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except for using the first lamin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etal foil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urfaces of the first insulating film.

상기 제1 금속박 및 제2 금속박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제1 금속박은 패터닝되어 복수의 제1 회로 배선(20)을 형성하고, 제2 금속박은 패터닝되어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을 형성한다. 다만, 제1 금속박의 패터닝 공정과 제2 금속박의 패터닝 공정은 동시에 수행되거나, 혹은 제1 금속박의 패터닝 공정 후 제2 금속박의 패터닝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metal foil and the second metal foil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rst metal foil is patterned to form a plurality of first circuit wirings 20 , and the second metal foil is patterned to form a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60 . However, the patterning process of the first metal foil and the patterning process of the second metal foil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the patterning process of the second metal foil may be performed after the patterning process of the first metal foil.

또, 제1 적층체는 제1 절연 필름과 제1 금속박 사이에 개재된 제2 접착제층(50), 및/또는 제1 절연 필름과 제2 금속박 사이에 개재된 제4 접착제층(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laminate includes a second adhesive layer 5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film and the first metal foil, and/or a fourth adhesive layer 9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film and the second metal foil. may include more.

상기 제2 접착제층에 대한 설명은 제2 실시 형태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고, 제4 접착층에 대한 설명은 제4 실시 형태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다.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of the fourth adhesive layer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S20) 단계: 제2 절연 필름의 일면에 제1 접착제층이 배치된 제2 적층체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제2 적층체의 일부를 펀칭하여 단자 노출부 및 얼라인부를 형성한다.Step (S20): A portion of the second laminate is punched out while transferring the second laminate in which the first adhesive layer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film in one direction to form an exposed terminal part and an alignment part.

(S20) 단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제조방법의 (S200) 단계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The description of the step (S20)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step (S200) of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S30) 단계: 제3 절연 필름의 일면에 제3 접착제층이 배치된 제3 적층체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제3 적층체의 일부를 펀칭하여 단자 노출부 및 얼라인부를 형성한다.Step (S30): A portion of the third laminate is punched out while transferring the third laminate on which the third adhesive layer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third insulating film in one direction to form an exposed terminal part and an alignment part.

(S30) 단계는 (S20) 단계의 제2 적층체 대신 제3 적층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S20) 단계와 동일하게 수행한다.Step (S30)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step (S20), except that the third laminate is used instead of the second laminate in step (S20).

이때, 제3 적층체는 제3 절연 필름, 및 상기 제3 절연 필름 상에 배치된 제3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일 방향(예, 길이 방향, MD)으로 연속하는 롤 형태이다.In this case, the third laminate includes a third insulating film and a third adhesive layer disposed on the third insulating film, and is in the form of a roll continuous in one direction (eg, longitudinal direction, MD).

제3 절연 필름은 최종 연성 인쇄회로기판(100C, 100D)의 제3 절연층(70)이 되는 부분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제3 실시 형태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The third insulating film is a part that becomes 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of the final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100C and 100D, and a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또, 제3 접착제층에 대한 설명은 제3 실시 형태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3rd adhesive bond layer is the same as that of 3rd Embodiment, it is abbreviate|omitted.

(S40) 단계: 상기 (S1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1 적층체, 상기 (S2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2 적층체와 상기 (S3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3 적층체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들을 합지한다. Step (S40): While moving the first laminate transferred in step (S10), the second laminate transferred in step (S20), and the third laminate transferred in step (S30) in one direction, these combine

(S40) 단계는 (S1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1 적층체의 상, 하부에, 상기 (S2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2 적층체 및 상기 (S3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3 적층체의 위치를 정렬한 다음, 이들을 한 쌍의 히팅 롤러에 의해 열압착한다. 선택적으로, 정렬 후 제2 적층체-제1 적층체-제3 적층체를 가접할 수 있다. 이때, 제1 적층체의 복수의 제1 회로 배선과 제2 적층체의 제1 접착제층을 서로 대향하여 합지하면서, 제1 적층체의 복수의 제2 회로 배선과 제3 적층체의 제3 접착제층을 서로 대향하여 합지한다. 다만, 제1 적층체의 일면에 제2 적층체를 한 쌍의 히팅 롤러에 의해 합지한 후, 상기 제1 적층체의 타면에 제3 적층체를 한 쌍의 히팅 롤러에 의해 합지할 수도 있다.In step (S40), the positions of the second stack transported in step (S20) and the third stack transported in step (S30) are located above and below the first stacked body transported in step (S10). After alignment, they are thermocompression-bonded by a pair of heating rollers. Optionally, the second laminate-first laminate-third laminate may be temporarily bonded after alignment. At this time, while laminating the plurality of first circuit wirings of the first laminate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of the second laminate to face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of the first laminate and the third adhesive of the third laminate Lay the layers facing each other. However, after laminating the second laminate on one surface of the first laminate by a pair of heating rollers, the third laminate may be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laminate by a pair of heating rollers.

이러한 (S40) 단계는 (S1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1 적층체, 상기 (S2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2 적층체 및 상기 (S30) 단계에서 이송되는 제3 적층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S300) 단계와 동일하게 수행한다. 따라서, 적층체들 간의 정렬 방법, 가접 조건, 열압착 조건은 전술한 (S300) 단계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This step (S40) is performed except that the first laminate transferred in step (S10), the second laminate transferred in step (S20), and the third laminate transferred in step (S30) are used. ,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step (S300) described above. Accordingly, since the alignment method, temporary bonding condition, and thermocompression bonding condition between the laminate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300), they are omitted.

전술한 방법에 의해서, 본 발명은 제1 절연층(10)의 일면 상에 복수의 제1 회로 배선(20), 제1 접착제층(40) 및 제2 절연층(3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제1 절연층(10)의 타면 상에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 제3 접착층(80) 및 제3 절연층(7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의 접합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두께 편차가 약 1 내지 5 ㎛ 범위인 연성 인쇄회로기판(100C, 100D)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C, 100D)은 상기 제1 절연층(10)과 복수의 제1 회로 배선(20) 사이에 개재된 제2 접착제층(50); 및/또는 상기 제1 절연층(10)과 복수의 제2 회로 배선(60) 사이에 개재된 제4 접착제층(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압착시, 제1 적층체 내 제1 및 제2 회로 배선(20, 60)의 각 단자부가 제2 적층체 및 제3 적층체의 단자 노출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각 단자부는 오픈면을 갖고, 이러한 오픈면의 일측 상에는 기계 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진 접착제 비드층(41)이 형성될 수 있다.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first circuit wirings 20, a first adhesive layer 40,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30 sequenti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 a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60 , a third adhesive layer 80 and a third insulating layer 70 ar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100C and 100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long the bonding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thickness deviation of about 1 to 5 μm. In additi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C, 100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adhesive layer 5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plurality of first circuit wires 20; and/or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adhesive layer 9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es 60 . In addition, during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each terminal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wirings 20 and 60 in the first laminat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erminal exposed portions of the second laminate and the third laminate, so that each terminal portion It has an open surface, and an adhesive bead layer 41 having directionality in the machine direc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n surface.

이하,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battery cell modul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0 .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는 전술한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 100B, 100C, 100D)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컨대 배터리셀 모듈 내 서로 이웃하는 배터리셀들의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모듈일 수 있다. 또,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제1 커넥터부(23) 및/또는 제2 커넥터부(미도시됨)를 통해 배터리셀 모듈을 외부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he battery cell modul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100A, 100B, 100C, and 100D, for example, a bus bar module that electrically connects terminals of battery cell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battery cell module. can be In addition, the battery cell module connecting member electrically connects the battery cell module to the external board through the first connector part 23 and/or the second connector part (not shown)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일례에 따르면,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100); 및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100)의 회로 배선(20)과 제2 절연층(30)[또는, 제1 접착제층(40)] 간의 접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 내 각 회로 배선의 단자부(이하, '제1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버스바(이하, '제1 버스바')(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성 인쇄회로기판(100)이 제3 및 제4 실시 형태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C, 100D)과 같이 양면 구조일 경우,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는 제2 회로 배선(20)과 제3 절연층(70)[또는, 제3 접착제층(80)] 간의 접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 내 각 제2 회로 배선의 제2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버스바(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battery cell module connecting member is shown in FIG. 9,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 and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ircuit wiring 2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or the first adhesive layer 40)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 and each i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t may include a bus bar (hereinafter, 'first bus bar') 2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art (hereinafter, 'first terminal part') of the circuit wiring. At this time, whe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 has a double-sided structure like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100C and 100D of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the battery cell module connecting member is the second circuit wiring 20 and the third The second bus bar (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100)은 버스바 배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띠 형상의 부재로, 이에 대한 설명은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의 연성 인쇄회로기판(100A, 100B, 100C, 100D) 부분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 is a band-shaped member extending along the bus bar arrangement direction, and a description thereof is provided i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100A, 100B, 100C, 100D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It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described.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는 배터리 셀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금속 부재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버스바는 연성 인쇄회로기판(100)의 양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The first and second bus bars are metal member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art of the battery cell, and as shown in FIG. 9 , each bus bar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both edges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 . has been

제1 버스바(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로 배선(20)과 제2 절연층(30)[또는, 제1 접착제층(40)] 간의 접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되, 각각의 회로 배선(20)의 제1 단자부(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제1 버스바(200)는 제1 단자부(21)와 직접적으로 면 접촉한다. 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버스바(미도시됨)는 제2 회로 배선(60)과 제3 절연층(70)[또는, 제3 접착제층(80)] 간의 접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되, 각각의 회로 배선(60)의 제2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제2 버스바는 제2 단자부와 직접적으로 면 접촉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1 및 제2 버스바와 제1 및 제2 단자부가 서로 긴밀하게 결합됨으로써 배터리셀 모듈의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 the first bus bar 200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first circuit wiring 2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30 (or the first adhesive layer 40 ). However,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art 21 of each circuit wiring 20 . At this time, the first bus bar 200 is in direct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part 21 . Also,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bus bar (not shown)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econd circuit wiring 60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70 (or the third adhesive layer 80 ). However,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of each circuit wiring 60 . At this time, the second bus bar is in direct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part.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bus bars and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cell module and ensuring stability.

제1 및 제2 버스바의 개수는 각각 연성 인쇄회로기판(100)의 길이 및 버스바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 연성 인쇄회로기판(100)의 길이 500 ㎜당 5~20개일 수 있다. 일례로, 연성 인쇄회로기판(100)의 길이가 500~1,000 ㎜일 경우, 버스바의 개수는 5~40개일 수 있다.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bus bar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 and the size of the bus bars,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 along one edge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t may be 5-20 pieces per 500 mm. 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00 is 500 to 1,000 mm, the number of bus bars may be 5 to 40.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1> <Example 1>

1-1.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1-1. Manufacturing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롤투롤(Roll-to-roll) 장치로 하기와 같이,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연속적으로 제조하였다.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was continuously manufactured using a roll-to-roll apparatus as follows.

먼저, 제1 적층체 공급 롤러로부터 제1 적층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제1 적층체의 동박을 원하는 패턴으로 노광한 뒤 에칭하여 복수의 회로 배선을 형성하였다. 이때, 제1 적층체는 PI 필름(두께: 25 ㎛)의 일면에 동박(두께: 35 ㎛)이 배치된 구조로, 진행 방향으로 연속하는 롤 형태였다. 한편, 제2 적층체 공급 롤러로부터 제2 적층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공급되는 제2 적층체의 일부를 엑시머(excimer) 레이저기로 펀칭하여 단자 노출부 및 얼라인부를 형성하였다. 이때, 제2 적층체는 커버레이 필름(㈜ 두산의 DPF-200)으로, 제2 절연 필름(두께: 25 ㎛) 상에 접착제층(두께: 30 ㎛)이 적층된 구조를 갖고, 기계 이송 방향(MD)으로 연속하는 롤 형태이었다. 이후, 상기 단자 노출부 및 얼라인부가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제2 적층체를 일 방향으로 진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복수의 회로 배선이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제1 적층체의 상부에 적층하되, 비전 유닛을 이용하여 제1 적층체의 얼라인 마크와 제2 적층체의 얼라인부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정합한 후, 한 쌍의 히팅 롤러(롤러 온도: 100 ℃, 선압: 1 ton/m, 압착 속도: 1 m/min)를 통해 100 ℃에서 가접한 다음, 한 쌍의 히팅 롤러(롤러 온도: 200 ℃, 선압: 3 ton/m, 압착 속도: 1 m/min)로 본접(열압착)한 다음, 소정의 크기(MD 길이: 500 ㎜, TD 길이: 500 ㎜)로 절단하여 최종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였다. First, while continuously supplying the first laminate from the first laminate supply roller, the copper foil of the first laminate was exposed in a desired pattern and then etched to form a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At this time, the first laminate had a structure in which a copper foil (thickness: 35 μm) wa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I film (thickness: 25 μm), and was in the form of a roll continuous in the traveling direction. On the other hand, while continuously supplying the second laminate from the second laminate supply roller, a part of the supplied second laminate was punched out with an excimer laser machine to form terminal exposed parts and alignment parts. At this time, the second laminate is a coverlay film (DPF-200 of Doosan Corporation),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dhesive layer (thickness: 30 µm) is laminated on a second insulating film (thickness: 25 µm), and the machine transport direction (MD) was in the form of a continuous roll. Thereafter, while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and the alignment portion are formed and the continuously supplied second laminate is moved in one direction, a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are formed and stacked on top of the continuously supplied first laminate. , using a vision unit to align the alignment marks of the first laminate with the centers of the alignment portions of the second laminate, and then a pair of heating rollers (roller temperature: 100 ° C, linear pressure: 1 ton/m, Pressing speed: 1 m/min) at 100 °C, followed by bonding (thermocompression bonding) with a pair of heating rollers (roller temperature: 200 °C, linear pressure: 3 ton/m, pressing speed: 1 m/min) Then, it was cut into predetermined sizes (MD length: 500 mm, TD length: 500 mm) to prepare a final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에서 제조된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도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회로 배선의 단자부의 오픈면에는 일측 상에 접착제 비드층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때, 접착제 비드층은 롤 방향(MD)으로 방향성을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FIG. 11 , i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above, an adhesive bead layer was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n surface of the terminal part of the circuit wiring. At this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adhesive bead layer had directionality in the roll direction (MD).

1-2. 버스바 모듈의 제조1-2. Manufacturing of busbar modules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각 단자부에 버스바를 직접 접촉하여 버스바 모듈을 제조하였다. 이때, 버스바의 총 개수는 26개이었다.A bus bar module was manufactured by directly contacting the bus bar to each terminal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in Example 1-1. At this time, the total number of bus bars was 26.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1-1.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1-1. Manufacturing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Hot Press 장치로 하기와 같이,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였다.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was manufactured using a hot press device as follows.

먼저, 제1 적층체 공급 롤러로부터 제1 적층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제1 적층체의 동박을 원하는 패턴으로 노광한 뒤 에칭하여 복수의 회로 배선을 형성하였다. 이때, 제1 적층체는 PI 필름(두께: 25 ㎛)의 일면에 동박(두께: 35 ㎛)이 배치된 구조로, 진행 방향으로 연속하는 롤 형태이었다. 이후, 복수의 회로 배선이 형성된 제1 적층체를 소정의 크기(MD 길이: 500 ㎜, TD 길이: 500 ㎜)로 절단하였다. 한편, 제2 적층체 공급 롤러로부터 제2 적층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공급되는 제2 적층체의 일부를 엑시머(excimer) 레이저기로 상기 제1 적층체의 회로 배선의 설계에 따라 펀칭하여 단자 노출부 및 얼라인부를 형성하였다. 이때, 제2 적층체는 커버레이 필름(㈜ 두산의 DC-200)으로, 제2 절연 필름(두께: 25 ㎛) 상에 접착제층(두께: 30 ㎛)이 적층된 구조를 갖고, 기계 이송 방향(MD)으로 연속하는 롤 형태였다. 이후, 상기 단자 노출부 및 얼라인부가 형성된 제2 적층체를 소정의 크기(MD 길이: 500 ㎜, TD 길이: 500 ㎜)로 절단하였다. 이어서, 상기 절단된 제2 적층체를, 절단된 제1 적층체의 회로 배선 상에 배치하였다. 상기 절단된 제2 적층체를 배치할 때, 비전 유닛을 이용하여 제1 적층체의 얼라인 마크와 제2 적층체의 얼라인부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정합하였다. 이후, 핫프레스기(온도: 150 ℃, 면압: 80 kgf, 압착 시간: 1 hr)로 열압착하여 연성 인쇄회로기판(MD 길이: 500 ㎜, TD 길이: 500 ㎜)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제2 적층체의 단자 노출부를 통해 각 회로 배선의 단자부는 노출되어 오픈면을 갖고, 상기 오픈면의 일측 상에 접착제 비드가 형성되어 있다. First, while continuously supplying the first laminate from the first laminate supply roller, the copper foil of the first laminate was exposed in a desired pattern and then etched to form a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At this time, the first laminate had a structure in which a copper foil (thickness: 35 μm) was disposed on one surface of a PI film (thickness: 25 μm), and was in the form of a continuous roll in the traveling direction. Thereafter, the first laminate on which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were formed was cut into predetermined sizes (MD length: 500 mm, TD length: 500 mm). On the other hand, while continuously supplying the second laminate from the second laminate supply roller, a part of the supplied second laminate is punched out according to the circuit wiring design of the first laminate with an excimer laser machine to expose the terminals A portion and an alignment portion were formed. At this time, the second laminate is a coverlay film (DC-200 from Doosan Corporation),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dhesive layer (thickness: 30 µm) is laminated on a second insulating film (thickness: 25 µm), and the machine transport direction (MD) was a continuous roll form. Thereafter, the second laminate on which the terminal exposed part and the alignment part were formed was cut to a predetermined size (MD length: 500 mm, TD length: 500 mm). Next, the cut second laminate was disposed on the circuit wiring of the cut first laminate. When disposing the cut second laminate, the center of the alignment mark of the first laminate and the center of the alignment portion of the second laminate was matched using a vision unit. Thereafte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D length: 500 mm, TD length: 500 mm) was prepared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with a hot press machine (temperature: 150° C., surface pressure: 80 kgf, compression time: 1 hr). In this case, the terminal portion of each circuit wiring is exposed through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of the second laminate to have an open surface, and an adhesive bea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n surface.

상기에서 제조된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도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회로 배선의 단자부의 오픈면에는 일측 상에 접착제 비드층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때, 접착제 비드층은 롤 방향(MD)의 길이가 거의 일정하여 방향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FIG. 12 , i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above, an adhesive bead layer was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n surface of the terminal part of the circuit wiring. At this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adhesive bead layer had almost constant length in the roll direction (MD), and thus had no directionality.

1-2. 버스바 모듈의 제조1-2. Manufacturing of busbar modules

비교예 1-1에서 제조된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각 단자부에 버스바를 직접 접촉하여 버스바 모듈을 제조하였다. 이때, 버스바의 총 개수는 26개이었다.A bus bar module was manufactured by directly contacting the bus bar to each terminal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in Comparative Example 1-1. At this time, the total number of busbars was 26.

<실험예 1> -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두께 균일도<Experimental Example 1> - Thickness uniformity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두께 균일도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2 및 도 13에 나타내었다.The thickness uniformity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measured as follow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2 and FIG. 13 .

(1)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두께 편차 측정(1) Measurement of thickness deviation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제조된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가로 25 ㎜, 세로 25 ㎜ 간격으로 구획한 다음, 총 100개소의 두께를 두께 측정기(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하였고, 측정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partitioned at intervals of 25 mm in width and 25 mm in length, and then the thickness of 100 places was measured with a thickness gauge (micrometer), and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and Table 2.

(2)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단면 이미지 분석(2) Cross-sectional image analysis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제조된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가로 25 ㎜, 세로 25 ㎜ 간격으로 구획한 다음, MD 및 TD로 225 ㎜ 위치의 단면을 현미경(Microscop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Each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as partitioned at intervals of 25 mm in width and 25 mm in length, and then the cross section at 225 mm in MD and TD was analyzed using a microscope, and the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3 .

실시예 1Example 1 MD 측 두께 측정 위치 (mm)MD side thickness measurement position (mm) 2525 7575 125125 175175 225225 275275 325325 375375 425425 475475 TD 측 두께 측정 위치
(㎜)
TD side thickness measurement location
(mm)
2525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20.112 0.1120.112 0.1120.112 0.1110.111 0.1110.111 0.1110.111
7575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20.112 0.1120.112 0.1120.112 0.1110.111 0.1110.111 0.1110.111 125125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20.112 0.1120.112 0.1120.112 0.1110.111 0.1110.111 0.1110.111 175175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20.112 0.1120.112 0.1120.112 0.1110.111 0.1110.111 0.1110.111 225225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20.112 0.1120.112 0.1120.112 0.1110.111 0.1110.111 0.1110.111 275275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20.112 0.1120.112 0.1110.111 0.1110.111 0.1110.111 325325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20.112 0.1120.112 0.1120.112 0.1110.111 0.1110.111 0.1110.111 375375 0.1100.110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20.112 0.1120.112 0.1120.112 0.1110.111 0.1110.111 0.1110.111 425425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20.112 0.1120.112 0.1120.112 0.1110.111 0.1110.111 0.1110.111 475475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20.112 0.1120.112 0.1110.111 0.1110.111 0.1110.111 0.1110.11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MD 측 두께 측정 위치 (mm)MD side thickness measurement position (mm) 2525 7575 125125 175175 225225 275275 325325 375375 425425 475475 TD 측 두께 측정 위치
(㎜)
TD side thickness measurement location
(mm)
2525 0.1010.101 0.1020.102 0.1030.103 0.1040.104 0.1060.106 0.1070.107 0.1060.106 0.1040.104 0.1020.102 0.1010.101
7575 0.1030.103 0.1040.104 0.1040.104 0.1060.106 0.1070.107 0.1070.107 0.1070.107 0.1060.106 0.1040.104 0.1020.102 125125 0.1040.104 0.1060.106 0.1060.106 0.1080.108 0.1080.108 0.1090.109 0.1080.108 0.1070.107 0.1070.107 0.1030.103 175175 0.1060.106 0.1070.107 0.1090.109 0.1100.110 0.1100.110 0.1110.111 0.1110.111 0.1090.109 0.1080.108 0.1050.105 225225 0.1070.107 0.1090.109 0.1100.110 0.1110.111 0.1130.113 0.1130.113 0.1120.112 0.1110.111 0.1090.109 0.1070.107 275275 0.1050.105 0.1080.108 0.1080.108 0.1100.110 0.1110.111 0.1120.112 0.1110.111 0.1090.109 0.1080.108 0.1060.106 325325 0.1040.104 0.1060.106 0.1070.107 0.1080.108 0.1100.110 0.1110.111 0.1090.109 0.1080.108 0.1060.106 0.1040.104 375375 0.1030.103 0.1050.105 0.1060.106 0.1070.107 0.1090.109 0.1090.109 0.1070.107 0.1060.106 0.1050.105 0.1020.102 425425 0.1020.102 0.1040.104 0.1050.105 0.1060.106 0.1080.108 0.1080.108 0.1060.106 0.1040.104 0.1030.103 0.1010.101 475475 0.1020.102 0.1030.103 0.1040.104 0.1060.106 0.1070.107 0.1060.106 0.1040.104 0.1030.103 0.1020.102 0.1000.10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평균 두께가 약 0.111 ㎜로, 두께 편차가 약 1 ㎛이었다. 반면, 비교예 1은 평균 두께가 0.106 ㎜로, 두께 편차가 약 12 ㎛이었다(표 2 참조). 여기서, 두께 편차는 최고 두께와 최저 두께 간의 차이였다. As shown in Table 1, Example 1 had an average thickness of about 0.111 mm and a thickness variation of about 1 μm. On the other hand, Comparative Example 1 had an average thickness of 0.106 mm, and a thickness deviation of about 12 µm (see Table 2). Here, the thickness deviation w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thickness and the lowest thickness.

한편,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두께가 전체적으로 균일하였다. 반면, 비교예 1은 두께가 중심부에 비해 다른 부위가 얇아 전체적으로 불균일하였다(도 13(b) 참조).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3(a),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f Example 1 had an overall uniform thickness.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thickness of the other parts was thinner than that of the central part, and thus the overall thickness was non-uniform (see FIG. 13(b)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두께가 전체적으로 균일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niform as a whole.

10: 제1 절연층, 20: 회로 배선, 제1 회로 배선,
21: 단자부, 22: 내부 회로부,
23: 커낵터부, 30: 제2 절연층,
40: 제1 접착제층, 50: 제2 접착제층,
60: 제2 회로 배선, 70: 제3 절연층,
80: 제3 접착제층, 90: 제4 접착제층,
100, 100A, 100B, 100C, 100D: 연성 인쇄회로기판,
200: 버스바, 제1 버스바,
1000: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
10: first insulating layer, 20: circuit wiring, first circuit wiring;
21: terminal part, 22: internal circuit part,
23: connector portion, 30: second insulating layer,
40: a first adhesive layer, 50: a second adhesive layer,
60: a second circuit wiring, 70: a third insulating layer;
80: a third adhesive layer, 90: a fourth adhesive layer;
100, 100A, 100B, 100C, 100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00: a bus bar, a first bus bar;
1000: no battery cell module connection

Claims (14)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의 일면에 배치되고, 일단에 버스바(bus-bar)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를 갖는 복수의 회로 배선;
상기 복수의 회로 배선을 커버하고, 제1 절연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 사이에 개재된 제1 접착제층
을 포함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서,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의 접합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두께 편차가 1 내지 5 ㎛ 범위인, 연성 인쇄회로기판.
a first insulating layer;
a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us-bar at one end;
a second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plurality of circuit wirings and continuously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A first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mprising a,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along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thickness deviation is in the range of 1 to 5 μ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층과 제1 접착제층의 전체 두께 편차는 1 내지 5 ㎛ 범위인, 연성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
The total thickness deviation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is in the range of 1 to 5 μm,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표면이 노출된 오픈면을 포함하고,
상기 오픈면의 일측 상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기계 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진 접착제 비드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연성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part includes an open surface with an exposed surface,
An adhesive bead layer having a directionality in the machine direction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n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버스바와 직접적으로 면 접촉하는 것인, 연성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portion will be in direct surface contact with the bus ba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배선은 타단에 위치하여 외부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연성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
The circuit wiring is located at the other end and further includes a connector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층은 폭 방향의 길이(LTD)에 대한 길이 방향의 길이(LMD)의 비율(LMD/LTD)이 1 내지 150 범위인, 연성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insulating layer has a ratio (L MD /L TD ) of a length (L MD ) to a length (L TD ) in the width direction in a range of 1 to 150,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층은 길이 방향의 길이(LMD)가 500 내지 3,000 ㎜ 범위이고, 폭 방향의 길이(LTD)가 20 내지 500 ㎜ 범위인, 연성 인쇄회로기판.
7. The method of claim 6,
The length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MD ) is in the range of 500 to 3,000 mm, and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L TD ) is in the range of 20 to 500 mm,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과 복수의 회로 배선 사이에 개재된 제2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연성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plurality of circuit wi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의 타면에 배치되고, 일단에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단자부를 갖는 복수의 제2 회로 배선;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배선을 커버하고, 상기 제1 절연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3 절연층; 및
상기 제1 절연층과 제3 절연층 사이에 개재된 제3 접착제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인, 연성 인쇄회로기판.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second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at one end;
a third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ings and continuously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A third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Which will further includ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연층과 제3 접착제층의 총 두께의 편차가 1 내지 5 ㎛ 범위인, 연성 인쇄회로기판.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eviation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third insulating layer and the third adhesive layer is in the range of 1 to 5 μm,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과 복수의 제1 회로 배선 사이에 개재된 제2 접착제층; 및 상기 제1 절연층과 복수의 제2 회로 배선 사이에 개재된 제4 접착제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연성 인쇄회로기판.
10. The method of claim 9,
a second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plurality of first circuit wirings; and at least one of a fourth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ircuit wires.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A battery cell module connecting member comprising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층과 제1 회로 배선 간의 접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각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버스바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battery cell module connecting member further comprising a bus bar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a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first circuit wir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terminal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연층과 제2 회로 배선 간의 접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각 제2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버스바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셀 모듈 연결 부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battery cell module connecting memb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us bar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a contact surface between the third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circuit wir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second terminal portion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1020200159260A 2020-11-24 2020-11-24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ing member for battery cell module having the same KR202200717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260A KR20220071766A (en) 2020-11-24 2020-11-24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ing member for battery cell modu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260A KR20220071766A (en) 2020-11-24 2020-11-24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ing member for battery cell modul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766A true KR20220071766A (en) 2022-05-31

Family

ID=8178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260A KR20220071766A (en) 2020-11-24 2020-11-24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ing member for battery cell modul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176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7889B2 (en)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with bus ba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attery system
CN102458056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iring substrate
US9113556B2 (en) Flexible board and electronic device
US20170288202A1 (en) Battery circuit contactors
US20090133898A1 (en) Flexible flat cable with carrier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705567B2 (en) Multilayer substrate, mounting structure of multilayer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US20070128952A1 (en) Wired circuit board
KR20140136890A (en) Flat cable
KR20220071766A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ing member for battery cell module having the same
WO2014002786A1 (en) High-frequency signal line and signal-line-bearing substrate layer manufacturing method
JPWO2018037871A1 (en) Resin multilayer substrate, transmission line, module, and module manufacturing method
CN219421172U (en) Circuit board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circuit board
JP2018094949A (en) Vehicular window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vehicular window glass
JP625843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with bus bar
WO2017138381A1 (en) Flexible-cable-equipped electronic component ar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cable-equipped electronic component array
JP5482734B2 (en) Flat cable
JP2021077449A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ircuit body and conductor
TWI788075B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wiring substrate group
WO201311821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eet lamination module
US1192498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substrate and multilayer substrate
US10980123B2 (en) Electric element
US20230050989A1 (en) Signal transmission line
CN111149177B (en) Indu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516514B2 (en) Wiring member
US11445618B2 (en) Flexible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