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1716A - Waveguide Filter - Google Patents

Waveguide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1716A
KR20220071716A KR1020200159163A KR20200159163A KR20220071716A KR 20220071716 A KR20220071716 A KR 20220071716A KR 1020200159163 A KR1020200159163 A KR 1020200159163A KR 20200159163 A KR20200159163 A KR 20200159163A KR 20220071716 A KR20220071716 A KR 20220071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resonance
group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1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8010B1 (en
Inventor
류지만
김덕한
장대훈
안달
강태훈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200159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010B1/en
Publication of KR20220071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7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0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veguide filter with improved RF characteristics. The waveguide filter comprises: a ceramic block having a conductive coating layer formed on a surface thereof;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a resonance part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wherein the resonance part includes a first resonance group which has an input groove facing the input terminal and at least one resonance groove arranged in one direction from the input groove, and a second resonance group which has an output groove facing the output terminal and at least one resonance groov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esonance group from the output groove; at least one first through-hole located between two adjacent grooves among the input groove and the at least one resonance groove of the first resonance group; at least one second through-hole located between two adjacent grooves among the output groove and the at least one resonance groove of the second resonance group; a coupling part located between the resonance groove furthest from the input groove in the first resonance group and the resonance groove furthest from the output groove in the second resonance group; and a blocking part located between the first resonance group and the second resonance group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t least one among the input groove, the output groove, and the resonance groove has a cross section which is parallel to one surface and is reduced in a direction from the one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Description

웨이브가이드 필터{Waveguide Filter}Waveguide Filter {Waveguide Filter}

본 발명은 웨이브가이드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Q-factor와 개선된 고조파 특성을 가져 RF 특성이 향상된 웨이브가이드 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veguide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veguide filter having improved RF characteristics by having a high Q-factor and improved harmonic characteristics.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널리 사용되는 공진홀을 가진 유전체 필터에 비해서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무선 통신의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최근에는 수십 GHz에 해당하는 높은 주파수 대역의 통신 기술이 도입되고 있고, 따라서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The waveguide filter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n a high frequency band compared to a widely used dielectric filter having a resonance hole. As data traffic of wireless communication increases, communication technology of a high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several tens of GHz is recently introduced, and thus the need for a waveguide filter is further increasing.

또한, 다른 형태의 종래의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복수의 유전체 재질의 모노블록을 연결하여 유전체 도파관 필터를 구현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모노블록이 맞닿는 면에 금속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 패턴의 형상을 조절하여 필터의 RF 특성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이는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유전체 도파관 필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4114호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의 RF 특성을 조절하는 공정이 간단하면서, 충분히 소형화가 가능한 유전체 도파관 필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another type of conventional waveguide filter implements a dielectric waveguide filter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monoblocks made of dielectric materials. Specifically, a metal pattern was formed on the surface where each monoblock abuts, and the shape of the metal pattern was adjusted to control the RF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However, this has problems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limit to miniaturization. Such a dielectric waveguide filter is describ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104114.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dielectric waveguide filter in which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RF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is simple and can be sufficiently miniaturiz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4114호(공개일자: 2003년01월23일, 발명의 명칭: 유전체도파관 필터와 그 실장구조)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04114 (published date: January 23, 2003, title of inven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and its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높은 Q-factor와 개선된 고조파 특성을 가져 RF 특성이 향상된 웨이브가이드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veguide filter having improved RF characteristics by having a high Q-factor and improved harmonic characteristic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표면에 전도성 코팅층이 형성된 세라믹 블록, 상기 세라믹 블록의 일면에 형성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되는 공진부 - 상기 공진부는 상기 입력단자에 대향되는 입력홈과 상기 입력홈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을 포함하는 제1 공진그룹 및 상기 출력단자에 대향되는 출력홈과 상기 출력홈으로부터 상기 제1 공진그룹과 평행하게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을 포함하는 제2 공진그룹을 포함함 -, 상기 제1 공진그룹의 상기 입력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홈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부, 상기 제2 공진그룹의 상기 출력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홈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부, 상기 제1 공진그룹 중 상기 입력홈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공진홈과 상기 제2 공진그룹 중 상기 출력홈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공진홈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부, 및 상기 제1 공진그룹 및 상기 제2 공진그룹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홈, 상기 출력홈 및 상기 공진홈 중 적어도 하나는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면에 평행한 단면이 작아지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이다.The waveguide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ceramic block having a conductive coating layer formed on its surface, input and output terminal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and a resonance unit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 the The resonance unit includes a first resonance group including an input groove opposite to the input terminal and at least one resonance groove arranged in one direction from the input groove, and an output groove opposed to the output terminal and the first resonance from the output groove a second resonant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resonant groove arranged in parallel to the group; One first through portion, at least one second through portion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grooves among the output groove of the second resonance group and the at least one resonance groove, and the input groove of the first resonance group a coupling part positioned between the resonance groove furthest away from the output groove and the resonance groove furthest from the second resonance group, and between the first resonance group and the second resonance group; A waveguide filter including a blocking part extending in the one direc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input groove, the output groove, and the resonance groove has a smaller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other surface from the other surface to the one surfac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제1 관통부 및 상기 제2 관통부는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관통부를 형성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waveguide filter that forms at least one coupling through-portion connected to each other by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and connecting the first through-portion and the second through-portion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결합관통부는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제1 결합관통부 및 제2 결합관통부를 포함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waveguide filter including a first coupling through part and a second coupling through part having different length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of the coupling through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차단부는 상기 결합관통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In 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part may be a waveguide filter extending in the one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coupling through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입력홈, 상기 출력홈 및 상기 공진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일 방향 단면이 원뿔대 형상인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In 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input groove, the output groove, and the resonance groove may be a waveguide filter having a truncated cone-shaped cross-section in on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는 패드 형태로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waveguide filter in which the input terminal or the output terminal is formed in the form of a pa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차단부는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홀로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In 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part may be a waveguide filter formed of a plurality of holes arranged in the on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관통부와 상기 제2 관통부 사이에서 상기 일면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주변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보조홈을 더 포함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The wave 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one surface and is formed to be depres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one surface between the first through-portion and the second through-portion, and includes an auxiliary groov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periphery. It may be a waveguide filter that further includ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보조홈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호 대칭적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며, 상기 보조홈 보다 깊게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1 내측홈 및 제2 내측홈을 더 포함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The wave 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side the auxiliary groove, is formed symmetr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 formed to be depressed inwardly deeper than the auxiliary groove. The first inner groove and the second inner groove It may be a waveguide filter further including a gro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보조홈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상기 보조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보조홈을 주변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The wave 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sulating portion position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uxiliary groove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auxiliary groove, wherein the insulation portion electrically separates the auxiliary groove from the surroundings It may be a waveguide fil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높은 Q-factor를 가지며 제2 하모닉 주파수가 높게 형성되어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고 보다 많은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Q-factor and a high second harmonic frequency, so that a desired frequency band can be passed and more noise can be rem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전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후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surface of a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sonance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resonance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illustra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ique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relevant field may mak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unclear, some of it will be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person or custom in the relevant field. Accordingly,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1)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waveguide filt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1 to 5 .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원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주파수 필터의 일종으로서 주로 무선통신을 위한 기기에 탑재된다. 특히, 많은 전력을 이용하는 위성이나 이동통신기지국에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고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전송손실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 제작된 필터로서 공진현상(Resonance Phenomenon)을 이용한다.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kind of frequency filter for passing only a desired frequency band, and is mainly mounted on devic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particular, it can be mounted on a satellite or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using a lot of power.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resonance phenomenon as a filter manufactured to minimize transmission loss in a device using a high-band frequency.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waveguide filt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세라믹 블록(100), 입력단자(200), 출력단자(300), 공진부(400), 관통부(500), 결합부(700) 및 차단부(800)를 포함한다.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ramic block 100 , an input terminal 200 , an output terminal 300 , a resonance part 400 , a penetration part 500 , a coupling part 700 , and a blocking part 800 . ) is includ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세라믹 블록(100)은 전체적으로 육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표면에 전도성 코팅층(110)이 형성된다. 즉, 세라믹 블록(100)의 6개 면에 전도성 물질이 코팅되어 있다. 세라믹 블록(100)의 일면에는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 있는 입력단자(200)와 출력단자(300)가 형성되고, 그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는 공진부(400), 제1 관통부(510), 제2 관통부(520), 결합부(700) 및 차단부(800)가 형성된다.1 and 2 , the ceramic block 100 is formed in a hexagonal shape as a whole, and a conductive coating layer 110 is formed on the surface. That is, the conductive material is coated on six surfaces of the ceramic block 100 . An input terminal 200 and an output terminal 300 that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0, and a resonance part 400, a first through part 510,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A second through portion 520 , a coupling portion 700 , and a blocking portion 800 are formed.

입력단자(200) 및 출력단자(300)는 세라믹 블록(100)의 일면에 각각 1개씩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입력단자(200) 및 출력단자(300)는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가 전기적으로 외부 기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 input terminal 200 and the output terminal 300 are symmetrically formed one by one on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0 . The input terminal 200 and the output terminal 300 function so that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입력단자(200) 및 출력단자(300)는 주변의 전도성 코팅층(110)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단자(200) 및 출력단자(300)는 절연체에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때, 절연체는 입력단자(200) 또는 출력단자(300)와 원형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put terminal 200 and the output terminal 300 may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surrounding conductive coating layer 110 . As shown in FIG. 2 , the input terminal 200 and the output terminal 300 may be formed to be surrounded by an insulator. At this time, in this case, the insulator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input terminal 200 or the output terminal 300 in a circle.

공진부(400)는 세라믹 블록(100)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된다. 공진부(400)는 복수개의 공진홈(430)으로 이루어진다. 공진부(400)는 복수개의 공진홈(430)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칭되도록 마주보는 제1 공진그룹 및 제2 공진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sonator 400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0 . The resonance unit 400 includes a plurality of resonance grooves 430 . The resonance unit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sonance grooves 430 and a first resonance group and a second resonance group facing each other to be symmetrical.

제1 공진그룹은 3개 이상의 공진홈(43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술한 입력단자(200)에 대향하도록 타면에 형성되는 입력홈(431), 입력홈(431)과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제1 공진홈(433) 및 입력홈(431)과 가장 멀리 위치한 제2 공진홈(434)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홈(431), 제1 공진홈(433) 및 제2 공진홈(434)은 세라믹 블록(100)의 타면에서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홈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세라믹 블록(100)의 타면에 평행한 단면이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뿔대 형상과 같이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홈이 좁아지고 내측면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통해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종래 공진홈(430)의 개구와 내측이 일정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1)에 비해서 높은 Q-factor를 가질 수 있다. Q-factor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The first resonance group may include three or more resonance grooves 430 , and an input groove 431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o face the above-described input terminal 200 , and a first resonance positioned closest to the input groove 431 . It may include a groove 433 and an input groove 431 and a second resonance groove 434 located farthest from the groove 433 . The input groove 431 , the first resonance groove 433 , and the second resonance groove 434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grooves become narrower toward the inside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0 . That is, the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other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0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smaller toward the inside. Preferably,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groov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inner side as in a truncated cone shape, and the inner surface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Through this shape,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igher Q-factor than the waveguide filter 1 in which the opening and the inner side of the conventional resonance groove 430 have a constant cross-sec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Q-facto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

입력홈(431), 제1 공진홈(433) 및 제2 공진홈(434)은 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홈(431), 제1 공진홈(433) 및 제2 공진홈(434)의 중심부를 잇는 중심선이 일직선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put groove 431 , the first resonance groove 433 , and the second resonance groove 434 may be formed to be arranged in one direction.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 a center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input groove 431 , the first resonance groove 433 , and the second resonance groove 434 may be formed to be a straight line.

제2 공진그룹은 3개 이상의 공진홈(43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술한 출력단자(300)에 대향하도록 타면에 형성되는 출력홈(432), 출력홈(432)과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제3 공진홈(435) 및 출력홈(432)과 가장 멀리 위치한 제4 공진홈(436)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홈(432), 제3 공진홈(435) 및 제4 공진홈(436)은 세라믹 블록(100)의 타면에서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홈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세라믹 블록(100)의 타면에 평행한 단면이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뿔대 형상과 같이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홈이 좁아지고 내측면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통해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종래 공진홈(430)의 개구와 내측이 일정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1)에 비해서 높은 Q-factor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Q-factor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The second resonance group may include three or more resonance grooves 430 , and an output groove 432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o face the above-described output terminal 300 , and a third resonance positioned closest to the output groove 432 . It may include a groove 435 and an output groove 432 and a fourth resonance groove 436 located farthest from the groove 435 . The output groove 432 , the third resonance groove 435 , and the fourth resonance groove 436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grooves become narrower inwar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0 . That is, the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other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0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smaller toward the inside. Preferably, as shown in FIG. 1, the groove becomes narrower in the inner direction like a truncated cone shape, and the inner surface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Through this shape,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igher Q-factor than the waveguide filter 1 in which the opening and the inner side of the conventional resonance groove 430 have a constant cross-section. Similarly,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Q-facto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

출력홈(432), 제3 공진홈(435) 및 제4 공진홈(436)은 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공진그룹을 구성하는 공진홈(430)들은 제1 공진그룹을 구성하는 공진홈(430)들과 평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The output groove 432 , the third resonance groove 435 , and the fourth resonance groove 436 may be formed to be arranged in one direction. Through this, the resonance grooves 430 constituting the second resonance group may be arranged to be parallel to the resonance grooves 430 constituting the first resonance group.

상술한 바를 토대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기능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입력단자(200)에 인가된 전기신호가 제1 공진그룹과 제2 공진그룹의 공진홈(430)들에 의해 특정한 주파수 특성을 띄게 되고, 이러한 전기신호가 출력단자(300)를 통해서 외부 기기에 인가될 수 있다.Looking at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200 is specified by the resonance grooves 430 of the first resonance group and the second resonance group.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such an electrical signal may be appli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output terminal 300 .

제1 공진그룹 및 제2 공진그룹을 형성하는 각각의 공진홈(430) 사이에는 복수개의 관통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500)는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관통부(500)가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하는 개구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부(500)의 개구는 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portions 500 may be formed between each of the resonance grooves 430 forming the first resonance group and the second resonance group. The penetrating portion 500 is formed to penetrate from one surface to the other. In addition, the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5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opening of the through part 500 may be formed in a long rectang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one direction.

제1 관통부(510)는 입력홈(431)과 제1 공진홈(433) 사이 또는 제1 공진홈(433)과 제2 공진홈(434)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부(510)는 인접한 공진홈(430)들(입력홈(431), 제1 공진홈(433) 및 제2 공진홈(434))의 중심부를 잇는 중심선보다 내측에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part 510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input groove 431 and the first resonance groove 433 or between the first resonance groove 433 and the second resonance groove 434 . The first through portion 510 may be located to be biased inward than the center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adjacent resonance grooves 430 (input groove 431, first resonance groove 433, and second resonance groove 434). have.

제2 관통부(520)는 출력홈(432)과 제4 공진홈(436) 사이 또는 제3 공진홈(435)과 제4 공진홈(436)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공진홈(435)과 제4 공진홈(436)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관통부(520)는 출력홈(432)과 제4 공진홈(436)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관통부(510)보다 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관통부(520)는 인접한 공진홈(430)들(출력홈(432), 제3 공진홈(435) 및 제4 공진홈(436))의 중심부를 잇는 중심선보다 내측에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through part 520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output groove 432 and the fourth resonance groove 436 or between the third resonance groove 435 and the fourth resonance groove 436 . At this time, the second through portion 520 formed between the third resonance groove 435 and the fourth resonance groove 436 is the first through portion formed between the output groove 432 and the fourth resonance groove 436 ( 510) may extend long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one direction. The second through portion 520 may be located to be biased inward than the center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adjacent resonance grooves 430 (output groove 432, third resonance groove 435, and fourth resonance groove 436). have.

도 1과 같이, 제1 관통부(510)와 제2 관통부(520)는 일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관통부(60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관통부(510)와 제2 관통부(520)가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면서 서로 이어져 하나의 개구를 형성하는 결합관통부(600)를 형성할 수 있다.1 , the first through part 510 and the second through part 520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direction to form at least one coupling through part 600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through-portion 510 and the second through-portion 520 are formed to extend inwardly, and the coupling through-portion 600 that connects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opening may be formed.

결합관통부(600)는 입력홈(431)과 출력홈(432) 근방에 형성되는 제1 결합관통부(610)와 결합부(700) 근방에 있는 제2 결합관통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관통부(610)와 제2 결합관통부(620)는 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관통부(610)가 제2 관통부(520)에 비해 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through portion 60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 610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input groove 431 and the output groove 432 and a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 620 in the vicinity of the coupling portion 700 . can The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 610 and the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 620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one direction. Preferably, the length of the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 61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one direction may be shorter than that of the second through portion 520 .

이러한 관통부(500)의 형상과 배치를 통해서 입력단자(200)에 인가된 전기신호가 특정한 주파수 특성을 갖도록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를 튜닝할 수 있다.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uned so that the electric signal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200 has a specific frequency characteristic through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through part 500 .

결합부(700)는 세라믹 블록(100)의 타면을 내측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결합부(700)는 제1 공진그룹 중 입력홈(431)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공진홈(430)과 제2 공진그룹 중 출력홈(432)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공진홈(430)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결합부(700)는 제2 공진홈(434)과 제3 공진홈(43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700)은 제2 관통부(520)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700)와 제2 관통부(520)이 형성하는 단면은 십자가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700)가 타면에 형성하는 개구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결합부(700)의 개구는 일 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upling part 700 is formed to penetrate the other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0 in the inward direction. The coupling part 700 is between the resonance groove 430 furthest from the input groove 431 of the first resonance group and the resonance groove 430 farthest from the output groove 432 of the second resonance group. is located in Accordingly, the coupling part 7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resonance groove 434 and the third resonance groove 435 . In this case, the coupling part 700 may be formed to cross the second through part 520 . Accordingly, the cross section formed by the coupling part 700 and the second through part 520 may have a cross shape. In addition, the opening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7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t this time, the opening of the coupling part 700 may be formed in a long rectangle in one direction.

차단부(800)는 제1 공진그룹 및 제2 공진그룹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차단부(800)는 입력홈(431) 및 제1 공진홈(433)과 인접하여 위치한다.The blocking unit 80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sonance group and the second resonance group. At this time, the blocking part 80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input groove 431 and the first resonance groove 433 .

차단부(800)는 제1 결합관통부(6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단부(800)가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일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결합관통부(610)와 이어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차단부(800)는 제1 결합관통부(610)를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1 결합관통부(610)와 함께 "T" 형상의 개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locking part 800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through part 610 . That is, the blocking portion 8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 610 formed by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whil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t this time, the blocking portion 800 may be formed to have a “T”-shaped opening along with the first coupling through-portion 610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first coupling through-portion 610 .

차단부(800)는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차단홀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800)의 차단홀은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단홀이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하는 개구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홀은 원통형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단홀의 개구의 크기는 공진홈(430)의 개구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차단홀은 제1 공진그룹의 공진홈(430)보다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차단홀은 제2 공진그룹의 공진홈(430)보다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locking unit 8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locking holes arranged in one direction. The blocking hole of the blocking part 800 may be formed to penetrate from one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In addition, the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blocking hole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ccordingly, the block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groove.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opening of the blocking hole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pening of the resonance groove 430 . A plurality of blocking holes may be formed than the resonance grooves 430 of the first resonance group. Similarly, a plurality of blocking holes may be formed than the resonance grooves 430 of the second resonance group.

보조홈(900)은 세라믹 블록(100)의 일면에 위치한다. 보조홈(900)은 제1 관통부()와 제2 관통부 사이에서 세라믹 블록(100)의 일면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보조홈(900)은 도 2와 같이 개구가 트랙(Track)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groove 900 is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0 . The auxiliary groove 900 is formed to be depres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0 between the first through-portion ( ) and the second through-portion. The auxiliary groove 90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opening has a track shape as shown in FIG. 2 .

보조홈(900)은 내측 또는 외측에는 보조홈(90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절연부(930)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절연부(930)가 보조홈(90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절연부(930)이 보조홈(900)의 외측에서 보조홈(900)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절연부(930)는 세라믹 블록(100)의 표면에 코팅된 전도성 코팅층(110)이 벗겨진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절연부(930)는 보조홈(900)을 주변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auxiliary groove 900 includes an insulating portion 930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uxiliary groove 900 on the inside or outside. 2 illustrates that the insulating part 930 is located inside the auxiliary groove 900 , the insulating part 93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auxiliary groove 900 on the outside of the auxiliary groove 900 . . The insulating part 93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110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0 is peeled off. Accordingly, the insulating part 930 serves to electrically separate the auxiliary groove 900 from the surroundings.

보조홈(900)은 보조홈(900)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호 대칭적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며, 보조홈(900) 보다 더 깊게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1 내측홈(910) 및 제2 내측홈(920)을 포함한다. 제1 내측홈(910)과 제2 내측홈(920)은 세라믹 블록(100)의 일면이 원형으로 파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groove 900 is located inside the auxiliary groove 900 , is formed symmetr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 formed to be depressed inwardly deeper than the auxiliary groove 900 , the first inner groove 910 and the second second groove. It includes an inner groove (920). The first inner groove 910 and the second inner groove 92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0 is recessed in a circle.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보조홈(900), 제1 내측홈(910) 및 제2 내측홈(920)에 의해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주파수의 특성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즉, 제1 공진홈 내지 제4 공진홈의 결합 특성에 따른 인덕턴스 성분과 커패시터 성분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제1 공진홈과 제3 공진홈 또는 제2 공진홈과 제4 공진홈은 각각 제2 공진홈과 제3 공진홈과 직접적으로 결합되어야 하는데, 서로의 결합으로 인해 주파수 특성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보조홈(900), 제1 내측홈(910) 및 제2 내측홈(920)을 구비하여 노치 특성을 갖는 주파수 응답을 얻을 수 있다.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by the auxiliary groove 900 , the first inner groove 910 , and the second inner groove 920 formed in this way. That i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ductance component and the capacitor component according to the coupling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to fourth resonance grooves. In particular, the first resonance groove and the third resonance groove or the second resonance groove and the fourth resonance groove must be directly coupled to the second resonance groove and the third resonance groove, respectively. ca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a frequency response having a notch characteristic by providing the auxiliary groove 900, the first inner groove 910 and the second inner groove 920 described above.

도 5는 노치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주파수 특성을 실험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11 Synthesis는 입력단자(200)에 전기신호를 인가했을 때 출력단자(300)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S21 Synthesis는 입력단자(200)에 전기신호를 인가했을 때 입력단자(200)로 반사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는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가 3,680MHz 부근과 3,820MHz 부근에서 급격한 주파수 응답의 변화가 있는 노치 형태의 응답을 나타냄을 보이고 있다. 이는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로서뿐만 아니라 대역차단필터(Band reject filter)로서 기능할 때에도 마찬가지의 특성을 보인다.5 is a graph experimentally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notch characteristic. Referring to FIG. 5 , S11 Synthesis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300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200 , and S21 Synthesis i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input terminal 200 . It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signal reflected to the input terminal 200 when the signal is applied. The graph shows that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notch-type response with a sudden change in frequency response in the vicinity of 3,680 MHz and 3,820 MHz. This shows the same characteristics when functioning not only as a band pass filter but also as a band reject filter.

이렇게 보조홈(900), 제1 내측홈(910) 및 제2 내측홈(920)을 배치하는 것은 간단한 공정의 변화만을 요구하므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노치특성(Notch Characteristics)을 갖는 주파수응답을 가져 높은 높은 Q-factor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조홈(900), 제1 내측홈(910) 및 제2 내측홈(920)의 형상이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므로 상대적으로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것에 비하여 공정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용이하다.Since disposing the auxiliary groove 900, the first inner groove 910, and the second inner groove 920 requires only a simple process change,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otch characteristic in a relatively simple way. It has a frequency response with notch characteristics and can have a high Q-factor. In addition, since the shapes of the auxiliary groove 900 , the first inner groove 910 , and the second inner groove 920 are simple and not complicated, it is easy to secure the accuracy of the process compared to those having a relatively complex shape.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to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and unless they are mutually incompatible, 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and applied to different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also by thos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웨이브가이드 필터
100: 세라믹 블록
110: 전도성 코팅층
200: 입력단자
300: 출력단자
400: 공진부
410: 제1공진그룹
420: 제2공진그룹
430: 공진홈
431: 입력홈
432: 출력홈
433: 제1 공진홈
434: 제2 공진홈
435: 제3 공진홈
436: 제4 공진홈
500: 관통부
510: 제1 관통부
520: 제2 관통부
600: 결합관통부
610: 제1 결합관통부
620: 제2 결합관통부
700: 결합부
800: 차단부
900: 보조홈
910: 제1 내측홈
920: 제2 내측홈
930: 절연부
1: Waveguide filter
100: ceramic block
110: conductive coating layer
200: input terminal
300: output terminal
400: resonance unit
410: first resonance group
420: second resonance group
430: resonance home
431: input home
432: output groove
433: first resonance groove
434: second resonance groove
435: third resonance groove
436: fourth resonance groove
500: penetrating part
510: first through portion
520: second penetrating portion
600: coupling through part
610: first coupling through part
620: second coupling through part
700: coupling part
800: blocking unit
900: auxiliary home
910: first inner groove
920: second inner groove
930: insulation

Claims (10)

표면에 전도성 코팅층이 형성된 세라믹 블록;
상기 세라믹 블록의 일면에 형성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되는 공진부 - 상기 공진부는 상기 입력단자에 대향되는 입력홈과 상기 입력홈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을 포함하는 제1 공진그룹 및 상기 출력단자에 대향되는 출력홈과 상기 출력홈으로부터 상기 제1 공진그룹과 평행하게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을 포함하는 제2 공진그룹을 포함함 -;
상기 제1 공진그룹의 상기 입력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홈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부;
상기 제2 공진그룹의 상기 출력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진홈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홈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부;
상기 제1 공진그룹 중 상기 입력홈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공진홈과 상기 제2 공진그룹 중 상기 출력홈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공진홈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부; 및
상기 제1 공진그룹 및 상기 제2 공진그룹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홈, 상기 출력홈 및 상기 공진홈 중 적어도 하나는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면에 평행한 단면이 작아지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a ceramic block having a conductive coating layer formed on its surface;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A resonance part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 The resonance part is a first resonance group including an input groove opposed to the input terminal and at least one resonance groove arranged in one direction from the input groove and to the output terminal. a second resonance group including an opposed output groove and at least one resonance groove arranged parallel to the first resonance group from the output groove;
at least one first through part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grooves among the input groove and the at least one resonance groove of the first resonance group;
at least one second penetrating portion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grooves among the output groove and the at least one resonance groove of the second resonance group;
a coupling part positioned between the resonance groove furthest from the input groove in the first resonance group and the resonance groove furthest from the output groove in the second resonance group; and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sonant group and the second resonant group and includes a blocking part extending in the one direction,
At least one of the input groove, the output groove, and the resonance groove is a wave guide filter whose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other surface becomes smaller as it goes from the other surface to one surface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부 및 상기 제2 관통부는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관통부를 형성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hrough portion and the second through portion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to form at least one coupling through portion connected to each oth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통부는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제1 결합관통부 및 제2 결합관통부를 포함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upling through portion wave guide filter including a first coupling through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through portion having different length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결합관통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locking portion is a wave guide filter extending in the one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coupling through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홈, 상기 출력홈 및 상기 공진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일 방향 단면이 원뿔대 형상인 웨이브가이드 필터.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input groove, the output groove, and the resonance groove has a truncated cone-shaped cross-section in one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는 패드 형태로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terminal or the output terminal is a wave guide filter formed in the form of a pa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홀로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ing portion is a waveguide filter formed of a plurality of holes arranged in the one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관통부와 상기 제2 관통부 사이에서 상기 일면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주변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보조홈을 더 포함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wave guide filter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groove disposed on the one surface and formed to be recessed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one surface between the first through-portion and the second through-portion, and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periphery.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홈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호 대칭적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며, 상기 보조홈 보다 깊게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1 내측홈 및 제2 내측홈을 더 포함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wave guide filter further comprising a first inner groove and a second inner groove located inside the auxiliary groove, formed symmetr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ed to be depressed inwardly deeper than the auxiliary groov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홈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상기 보조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보조홈을 주변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n insulating portion position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uxiliary groove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auxiliary groove,
The insulating portion is a wave guide filter for electrically separating the auxiliary groove from the surrounding.


KR1020200159163A 2020-11-24 2020-11-24 Waveguide Filter KR1024480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163A KR102448010B1 (en) 2020-11-24 2020-11-24 Waveguide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163A KR102448010B1 (en) 2020-11-24 2020-11-24 Waveguide Fi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716A true KR20220071716A (en) 2022-05-31
KR102448010B1 KR102448010B1 (en) 2022-09-27

Family

ID=81786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163A KR102448010B1 (en) 2020-11-24 2020-11-24 Waveguide Fil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01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004A (en) * 1998-09-25 2000-04-15 원대철 Dielectric filter
KR20120104114A (en) 2011-03-11 2012-09-20 도꼬가부시끼가이샤 Dielectric waveguide filter
JP2018526949A (en) * 2015-11-27 2018-09-13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Dielectric filters, transceivers, and base stations
WO2020143814A1 (en) * 2019-01-11 2020-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Fil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004A (en) * 1998-09-25 2000-04-15 원대철 Dielectric filter
KR20120104114A (en) 2011-03-11 2012-09-20 도꼬가부시끼가이샤 Dielectric waveguide filter
JP2018526949A (en) * 2015-11-27 2018-09-13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Dielectric filters, transceivers, and base stations
WO2020143814A1 (en) * 2019-01-11 2020-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010B1 (en)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727B1 (en) Dielectric antenna including filter, dielectric antenna including duplexer and radio apparatus
JP4109629B2 (en) RF-MEMs tuned slot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057483B2 (en) High-frequency circuit device and high-frequency circuit module
KR20230027139A (en) Radio frequency filter
US6031433A (en) Dielectric waveguide
WO2001013460A1 (en) Microwave filter
KR100276012B1 (en) Dielectric filter, transmitting/receiving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EP1777774A1 (en) Dielectric device
KR102363472B1 (en) Waveguide Filter
EP1148572B1 (en)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structure, high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2448010B1 (en) Waveguide Filter
KR102280048B1 (en) Wireless Signal Transceiver Module
CN112544015B (en) Waveguide slot antenna
KR102337905B1 (en) Waveguide Filter
JP2000013106A (en) Dielectric filter, shared transmitter/receiver sharing unit and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296513B1 (en) Waveguide filter
KR101946515B1 (e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EP0869573B1 (en) Dielectric filt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same
KR101788823B1 (en) Apparatus for triple-mode SIW tunable filter
CN114556693A (en) Band elimination filter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210111456A (en) Waveguide Filter
US20220285808A1 (en) Distributed constant filter, distributed constant line resonator, and multiplexer
MXPA05007338A (en) Waveguide e-plane rf bandpass filter with pseudo-elliptic response.
KR100295411B1 (en) Flat duplex filter
US20240030610A2 (en) Monopole wire-patch antenna with enlarged bandwid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