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456A - Waveguide Filter - Google Patents

Waveguide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456A
KR20210111456A KR1020200026419A KR20200026419A KR20210111456A KR 20210111456 A KR20210111456 A KR 20210111456A KR 1020200026419 A KR1020200026419 A KR 1020200026419A KR 20200026419 A KR20200026419 A KR 20200026419A KR 20210111456 A KR20210111456 A KR 20210111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ce
notch
ceramic block
waveguide filt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지만
김덕한
장대훈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200026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1456A/en
Priority to PCT/KR2021/001661 priority patent/WO2021177614A1/en
Publication of KR2021011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4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09Strip line filters with dielectric reson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A waveguide filter comprises: a ceramic block formed with a conductive coating layer on a surface; a resonance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wherein the resonance part comprises a first resonance group comprising a plurality of resonance grooves and a plurality of resonance grooves and comprises a second resonance group opposite to the first resonance group; a coupling part passing through a center part of the ceramic block, and formed between the first resonance group and the second resonance group; a notch part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part to pass through the ceramic block and comprising a notch hole formed between the first resonance group and the second resonance group; a separation part wherein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is not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an opening of the notch hol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and an input terminal and output terminal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having an effect for which an accuracy of a process is easy to secure.

Description

웨이브가이드 필터{Waveguide Filter}Waveguide Filter {Waveguide Filter}

본 발명은 웨이브가이드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RF 송수신 효율이 개선된 웨이브가이드 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veguide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veguide filter having improved RF transmission/reception efficiency.

무선신호 송수신 모듈에 탑재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널리 사용되는 공진홀을 가진 유전체 필터에 비해서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무선 통신의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최근에는 수십 GHz에 해당하는 높은 주파수 대역의 통신 기술이 도입되고 있고, 따라서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The waveguide filter mounted on the radio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n a high frequency band compared to the widely used dielectric filter having a resonance hole. As data traffic of wireless communication increases, communication technology of a high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several tens of GHz is recently introduced, and thus the need for a waveguide filter is further increased.

또한, 다른 형태의 종래의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복수의 유전체 재질의 모노블록을 연결하여 유전체 도파관 필터를 구현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모노블록이 맞닿는 면에 금속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 패턴의 형상을 조절하여 필터의 RF 특성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이는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유전체 도파관 필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4114호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의 RF 특성을 조절하는 공정이 간단하면서, 충분히 소형화가 가능한 유전체 도파관 필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another type of conventional waveguide filter implements a dielectric waveguide filter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monoblocks made of dielectric materials. Specifically, a metal pattern was formed on the surface where each monoblock abuts, and the shape of the metal pattern was adjusted to control the RF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However, this ha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limit to miniaturization. Such a dielectric waveguide filter is describ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104114.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dielectric waveguide filter in which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RF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is simple and sufficiently miniaturiz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4114호(공개일자: 2003년01월23일, 발명의 명칭: 유전체도파관 필터와 그 실장구조)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04114 (published date: January 23, 2003, title of inven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and its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필터의 RF 특성을 조절하는 공정이 간단하면서, 공정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용이한 웨이브가이드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veguide filter in which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RF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is simple and the process accuracy is easily secur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표면에 전도성 코팅층이 형성된 세라믹 블록, 상기 세라믹 블록의 일면에 형성되는 공진부 - 상기 공진부는 복수의 공진홈을 포함하는 제1 공진그룹 및 복수의 공진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진그룹과 대향되는 제2 공진그룹을 포함함 -, 상기 세라믹 블록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1 공진그룹과 상기 제2 공진그룹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이격되어 상기 세라믹 블록을 관통하고 상기 제1 공진그룹과 상기 제2 공진그룹 사이에 형성되는 노치홀을 포함하는 노치부, 상기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형성된 상기 노치홀의 개구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전도성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분리부,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를 포함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웨이브가이드 필터이다.The waveguide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ceramic block having a conductive coating layer formed on its surface, a resonance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 the resonance part includes a first resonance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resonance grooves, and a plurality of and a second resonant group opposing the first resonant group; a coupling portion penetrating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ceramic block and formed between the first resonant group and the second resonant group; A notch portion that passes through the ceramic block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includes a notch hole formed between the first resonant group and the second resonant group, and surrounds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A waveguide filter comprising a separation part in which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is not formed in the form,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formed on the other surface, and a waveguide fil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분리부는 고리형으로 상기 노치홀의 개구를 둘러싸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In 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part may be a waveguide filter surrounding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in a ring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노치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waveguide filter in which the notch hol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노치홀의 개구는 상기 공진홈의 개구보다 큰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In 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may be a larger waveguide filter than the opening of the resonance gro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노치부는 복수의 노치홀을 포함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In 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ch portion may be a waveguide filter including a plurality of notch ho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분리부는 상기 복수의 노치홀의 개구 모두를 둘러싸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In 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part may be a waveguide filter surrounding all of the openings of the plurality of notch ho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복수의 노치홀의 개구는 상기 공진홈의 개구보다 작은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In 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s of the plurality of notch holes may be smaller than the openings of the resonance groov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노치홀의 개구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In 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may be a waveguide filter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분리부는 사각형으로 상기 노치홀의 개구를 둘러싸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In 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part may be a waveguide filter surrounding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in a quadrangular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노치홀은 상기 제1 공진그룹 및 제2 공진그룹의 배열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In 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ch hole may be a waveguide filter in which the notch hole extends long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resonance group and the second resonance grou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노치부는 상기 세라믹 블록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는 상기 세라믹 블록의 타단에 위치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In 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ch portion may be located at one end of the ceramic block, and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may be a waveguide filter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ceramic blo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는 내측에 단자홈을 포함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In 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may be a waveguide filter including a terminal groove in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상기 단자홈의 개구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일 수 있다.In 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of the terminal groove may be a waveguide filter formed in a circular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는 RF 특성을 조절하는 공정이 간단하고 공정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RF characteristics is simple and it is easy to secure the accuracy of the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illustrating a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of a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illustrating a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of a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graph illustrating a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of a waveguide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ique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relevant field may mak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unclear, some of these will be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person or custom in the relevant field. Accordingly,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1)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waveguide filt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1 to 4 .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원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주로 무선통신을 위한 기기에 탑재된다. 특히, 많은 전력을 이용하는 위성이나 이동통신기지국에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고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전송손실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 제작된 필터로서 공진현상(Resonance Phenomenon)을 이용한다.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mounted on 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order to pass only a desired frequency band. In particular, it can be mounted on a satellite or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using a lot of power.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resonance phenomenon as a filter manufactured to minimize transmission loss in a device using a high-band frequency.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waveguide filt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세라믹 블록(10), 공진부(100), 결합부(200), 노치부(300), 분리부(400), 입력단자(500) 및 출력단자(600)로 구성된다.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ramic block 10 , a resonance part 100 , a coupling part 200 , a notch part 300 , a separation part 400 , an input terminal 500 and an output terminal 600 . ) is composed of

세라믹 블록(10)은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표면에 전도성 코팅층(20)이 형성된다. 세라믹 블록(10)의 일면에는 공진부(100), 결합부(200), 노치부(300) 및 분리부(400)가 형성되고, 그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는 입력단자(500) 및 출력단자(600)가 형성된다. 첨부의 도 1을 기준으로는 세라믹 블록(10)의 일면이 상면에 해당하고, 타면이 하면에 해당한다.The ceramic block 10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s a whole, and a conductive coating layer 20 is formed on the surface. The resonance part 100, the coupling part 200, the notch part 300 and the separating part 400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and the input terminal 500 and the output terminal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600) is form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 1 ,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corresponds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corresponds to the lower surface.

공진부(100)는 세라믹 블록(10)의 일면에 형성된다. 공진부(100)는 제1 공진그룹(110)과 제2 공진그룹(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공진그룹(110) 및 제2 공진그룹(120)은 각각 복수개의 공진홈을 포함한다. 공진홈은 세라믹 블록(10)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방향으로 파인 원통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라믹 블록(10)에서 공진홈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에도 전도성 코팅층(20)이 형성된다.The resonator 10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 The resonator 100 may include a first resonant group 110 and a second resonant group 120 . In this case, each of the first resonance group 110 and the second resonance group 120 includes a plurality of resonance grooves. The resonant groove may be formed as a cylindrical groove that is cut inward from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 A conductive coating layer 20 is also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on which the resonance groove is formed.

제1 공진그룹(110)은 복수개의 공진홈 예를 들어서, 2개 이상의 공진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공진그룹(110)은 세라믹 블록(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공진홈(111) 및 제1 공진홈(111)과 마주보는 제2 공진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esonance group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sonance grooves, for example, two or more resonance grooves. Specifically, the first resonance group 110 may include a first resonance groove 111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and a second resonance groove 112 facing the first resonance groove 111 . .

제2 공진그룹(120)은 제1 공진그룹(110)과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공진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공진그룹(120)은 세라믹 블록(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3 공진홈(121) 및 제3 공진홈(121)과 마주보는 제4 공진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공진홈(121)과 제4 공진홈(122)의 배열 방향은 제1 공진홈(111)과 제2 공진홈(112)의 배열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공진홈(121)과 제4 공진홈(122)이 이격된 거리는 제1 공진홈(111)과 제2 공진홈(112)이 이격된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진홈(111)과 제3 공진홈(121)과의 이격거리는 제2 공진홈(112)과 제4 공진홈(122)과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게 된다.Like the first resonance group 110 , the second resonance group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sonance grooves. Specifically, the second resonance group 120 may include a third resonance groove 121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and a fourth resonance groove 122 facing the third resonance groove 121 . . In this case,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hird resonance groove 121 and the fourth resonance groove 122 may be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resonance groove 111 and the second resonance groove 112 .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resonance groove 121 and the fourth resonance groove 122 may be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sonance groove 111 and the second resonance groove 112 . Accordingly,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sonance groove 111 and the third resonance groove 121 is the same a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esonance groove 112 and the fourth resonance groove 122 .

상술한 바를 토대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기능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입력단자(500)에 인가된 전기신호가 제1 공진그룹(110)과 제2 공진그룹(120)의 공진홈들에 의해 특정한 주파수응답 특성(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을 띄게 되고, 이러한 전기신호가 출력단자(600)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Looking at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the electric signal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500 of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first resonance group 110 and the second resonance group 110 . A specific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may be exhibited by the resonance grooves of the second resonance group 120 , and this electrica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output terminal 600 .

결합부(200)는 세라믹 블록(1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부(200)는 제1 공진그룹(110)과 제2 공진그룹(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00)는 제1 공진홈(111)과 제2 공진홈(112) 사이에서 제3 공진홈(121)과 제4 공진홈(122) 사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00)는 결합부(200)의 중심부에서 제1 공진홈(111)과 제3 공진홈(121) 사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200)의 개구가"T"형상이 되도록 세라믹 블록(10)을 관통할 수 있다. 세라믹 블록(10)에서 결합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표면에도 전도성 코팅층(20)이 형성된다.The coupling part 200 is formed to penetrate the center of the ceramic block 10 . Accordingly, the coupling unit 20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resonant group 110 and the second resonant group 120 . The coupling part 200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between the third resonance groove 121 and the fourth resonance groove 122 between the first resonance groove 111 and the second resonance groove 112 . 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200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between the first resonance groove 111 and the third resonance groove 121 from the center of the coupling part 200 . Accordingly, the opening of the coupling part 200 may penetrate through the ceramic block 10 to have a “T” shape. A conductive coating layer 20 is also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on which the coupling part 200 is formed.

노치부(300)는 세라믹 블록(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노치홀(310)을 포함한다. 이때 노치홀(310)은 결합부(200)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제2 공진홈(112)과 제4 공진홈(1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노치홀(3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세라믹 블록(10)의 표면에도 전도성 코팅층(20)이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전도성 코팅층(20)은 세라믹 블록(1)의 일면, 타면, 측면 및 노치홀의 내부까지 모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notch part 300 includes a notch hole 310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ramic block 10 . In this case, the notch hole 3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part 200 and formed between the second resonance groove 112 and the fourth resonance groove 122 . A conductive coating layer 20 is also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formed in the notch hole 310 . Due to this shape,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may be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one surface, the other surface, the sid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 and the inside of the notch hole.

노치홀(3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치홀(310)의 개구는 공진홈의 개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노치홀(310)의 단면의 지름이 공진홈의 단면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notch hole 3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is case,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310 may be larger than the opening of the resonance groove. Accordingly,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notch hole 31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resonance groove.

분리부(400)는 세라믹 블록(10)의 타면에 형성된다. 분리부(400)는 노치홀(310)의 개구를 둘러싸는 형태로 세라믹 블록(10)의 전도성 코팅층(20)이 형성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노치홀(310)의 바깥부분에 형성된 전도성 코팅층(20)이 일정한 형상으로 벗겨져 세라믹 블록(10)이 부분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분리부(400)를 형성하는 방법이 반드시 전도성 코팅층(20)을 벗기는 방법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동일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분리부(400)는 노치홀(310)의 개구 주변에 형성되는 전도성 코팅층(20)과 세라믹 블록(1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전도성 코팅(20)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즉, 세라믹 블록(10)의 표면을 모두 끊김없이(Seamless) 감싸고 있는 전도성 코팅층(20)이 분리부(400)에 의해 노치홀(310)의 주변에서 단절되는 것이다.The separation part 400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 The separator 40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310 so that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of the ceramic block 10 is not formed. That is,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form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notch hole 310 is peeled off in a predetermined shape to partially expose the ceramic block 10 to the outside. However, the method of forming the separation unit 40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method of peeling off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and the same result may be obtained by various methods. Due to this shape, the separator 400 may separate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formed around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310 and the conductive coating 20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from each other. That is,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seamlessly enclos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is cut off around the notch hole 310 by the separator 400 .

상술한 바와 같이 노치홀(310)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분리부(400)는 노치홀(310)을 둘러싸는 원형의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치홀(310)이 형성하는 고리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내경과 외경의 지름이 노치홀(310)의 개구의 지름보다 크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notch hole 3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separation unit 4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surrounding the notch hole 310 . At this time, the ring formed by the notch hole 310 has a certain thickness, and the diameters of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are larger than the diameters of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310 .

이러한 노치부(300)의 형상과 배치를 통해서 입력단자(500)에 인가된 전기신호가 특정한 주파수응답 특성(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을 갖도록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를 튜닝할 수 있다. 즉, 노치부(300)의 형상과 배치를 변경하는 것은 간단한 공정의 변화만을 요구하므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노치특성(Notch Characteristics)을 갖는 주파수응답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노치부(300)의 형상이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므로 상대적으로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것에 비하여 공정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용이하다.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uned so that the electric signal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500 has a specific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through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notch part 300 . That is, since chang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notch part 300 requires only a simple process change,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frequency response having notch characteristics in a relatively simple way. have. 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notch 300 is not complicated and simple, it is easy to secure the accuracy of the process compared to having a relatively complicated shape.

입력단자(500) 및 출력단자(600)는 세라믹 블록(1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입력단자(500) 및 출력단자(600)는 각각 1개씩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입력단자(500) 및 출력단자(600)는 각각 제1 공진홈(111) 및 제 3 공진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출력단자(600)는 제1 공진홈(111)과 대향되도록 타면에 형성될 수 있고, 입력단자(500)는 제3 공진홈(121)과 대향되도록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put terminal 500 and the output terminal 60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 One input terminal 500 and one output terminal 600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The input terminal 500 and the output terminal 60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resonance groove 111 and the third resonance groove, respectively. That is, the output terminal 60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o face the first resonance groove 111 , and the input terminal 50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o face the third resonance groove 121 .

입력단자(500) 및 출력단자(600)는 내측에 각각 입력단자(500)홈 및 출력단자(600)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단자(500)홈 및 출력단자(600)홈은 세라믹 블록(10)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방향으로 파인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입력단자(500)홈 및 출력단자(600)홈의 개구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력단자(500)홈 및 출력단자(600)홈이 형성되어 있는 세라믹 블록(10)의 표면도 전도성 코팅층(20)이 형성된다.The input terminal 500 and the output terminal 600 may include an input terminal 500 groove and an output terminal 600 groove respectively inside. The groove of the input terminal 500 and the groove of the output terminal 600 are formed in a shape that is recessed inward from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 In this case, the openings of the input terminal 500 groove and the output terminal 600 groove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 conductive coating layer 20 is also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in which the input terminal 500 groove and the output terminal 600 groove are formed.

입력단자(500) 및 출력단자(600)의 둘러싸는 전도성 코팅층(20)은 일정한 형상으로 벗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단자(500) 및 출력단자(600)는 세라믹 블록(1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전도성 코팅층(20)과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surrounding the input terminal 500 and the output terminal 600 may be formed to be peeled off in a predetermined shape. Accordingly, the input terminal 500 and the output terminal 600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

도 4는 고대역 주파수에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1,2는 입력단자(500)에 전기신호를 인가했을 때 출력단자(600)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S2,2는 입력단자(500)에 전기신호를 인가했을 때 입력단자(500)로 반사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S1,2는 대략 3.45 ~ 3.81GHz 대역에서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의 주파수응답 특성을 보인다. 즉, 해당 주파수 대역의 전기신호는 통과시키고 이 대역을 벗어난 전기신호는 제거하여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가 특정 대역에서 대역통과필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4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high band frequency. 4, S1,2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600 when the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500, S2,2 is the input terminal (500) It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signal reflected to the input terminal 500 when the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the . S1,2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band pass filter in the approximately 3.45 ~ 3.81 GHz band. That is, the electric signal o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is passed and the electric signal outside this band is removed so that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bandpass filter function in a specific band.

S2,2는 대략 3.5 ~ 3.75GHz 대역에서 대역차단필터(Band Reject Filter)의 주파수응답 특성을 보인다. 이는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가 해당 주파수 대역의 전기신호를 잘 통과시켜서 입력단자(500)로 반사되는 주파수 응답이 적은 특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S2,2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band reject filter in the 3.5 ~ 3.75 GHz band. This means that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acteristic of having a small frequency response reflected to the input terminal 500 by passing the electric signal o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well.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waveguide filte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에 대한 설명 중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상술한 세라믹 블록(10), 공진부(100), 결합부(200), 노치부(300), 분리부(400), 입력단자(500) 및 출력단자(60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 중 일부는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eramic block 10, the resonance part 100, the coupling part 200, the notch part ( 300), the separation unit 400, the input terminal 500, and some of th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the output terminal 600 will be omitted. Accordingly,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inly focused on point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노치부(300)는 복수의 노치홀(3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노치홀(310)은 제2 공진홈(112)에서 제4 공진홈(122)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치홀(3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치홀(310)의 개구는 공진홈의 개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노치홀(310)의 단면의 지름이 공진홈의 단면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notched part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tched holes 310 . The plurality of notched holes 310 may be formed to be arranged in a direction from the second resonance groove 112 to the fourth resonance groove 122 . The notch hole 3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is case,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310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opening of the resonance groove. Accordingly,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notch hole 31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resonance groove.

분리부(400)는 복수의 노치홀(310)의 개구 모두를 둘러싸는 형태로서 세라믹 블록(10)의 전도성 코팅층(20)이 형성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노치부(300)의 바깥부분에 형성된 전도성 코팅층(20)이 일정한 형상으로 벗겨져 세라믹 블록(10)이 부분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분리부(400)를 형성하는 방법이 반드시 전도성 코팅층(20)을 벗기는 방법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동일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분리부(400)는 노치홀(310)의 개구 주변에 형성되는 전도성 코팅층(20)과 세라믹 블록(1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전도성 코팅(20)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즉, 세라믹 블록(10)의 표면을 모두 끊김없이(Seamless) 감싸고 있는 전도성 코팅층(20)이 분리부(400)에 의해 노치홀(310)의 주변에서 단절되는 것이다.The separation unit 400 surrounds all the openings of the plurality of notch holes 310 and may be formed so that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of the ceramic block 10 is not formed. That is,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form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notch 300 is peeled off in a predetermined shape to partially expose the ceramic block 10 to the outside. However, the method of forming the separation unit 40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method of peeling off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and the same result may be obtained by various methods. Due to this shape, the separator 400 may separate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formed around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310 and the conductive coating 20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from each other. That is,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seamlessly enclos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is cut off around the notch hole 310 by the separator 400 .

상술한 바와 같이 노치홀(310)이 복수개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분리부(400)는 복수의 노치홀(310)을 둘러싸는 트랙형(Track shape)의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치홀(310)이 형성하는 고리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lurality of notched holes 310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separation unit 40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of a track shape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notched holes 310 . At this time, the ring formed by the notch hole 310 has a certain thickness.

이러한 노치부(300)의 형상과 배치를 통해서 입력단자(500)에 인가된 전기신호가 특정한 주파수응답 특성(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을 갖도록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를 튜닝할 수 있다. 즉, 노치부(300)의 형상과 배치를 변경하는 것은 간단한 공정의 변화만을 요구하므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노치특성(Notch Characteristics)을 갖는 주파수응답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노치부(300)의 형상이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므로 상대적으로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것에 비하여 공정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용이하다.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uned so that the electric signal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500 has a specific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through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notch part 300 . That is, since chang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notch part 300 requires only a simple process change,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frequency response having notch characteristics in a relatively simple way. have. 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notch 300 is not complicated and simple, it is easy to secure the accuracy of the process compared to having a relatively complicated shape.

도 8은 고대역 주파수에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1,2는 입력단자(500)에 전기신호를 인가했을 때 출력단자(600)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S2,2는 입력단자(500)에 전기신호를 인가했을 때 입력단자(500)로 반사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S1,2는 대략 3.52 ~ 3.8GHz 대역에서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의 주파수응답 특성을 보인다. 즉, 해당 주파수 대역의 전기신호는 통과시키고 이 대역을 벗어난 전기신호는 제거하여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가 특정 대역에서 대역통과필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8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high band frequency. Referring to FIG. 8 , S1,2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600 when the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500, S2,2 is the input terminal (500) It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signal reflected to the input terminal 500 when the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the . S1,2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band pass filter in the approximately 3.52 ~ 3.8 GHz band. That is, the electric signal o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is passed and the electric signal outside this band is removed so that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bandpass filter function in a specific band.

S2,2는 대략 3.55 ~ 3.75GHz 대역에서 대역차단필터(Band Reject Filter)의 주파수응답 특성을 보인다. 이는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가 해당 주파수 대역의 전기신호를 잘 통과시켜서 입력단자(500)로 반사되는 주파수 응답이 적은 특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S2,2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band reject filter in the approximately 3.55 ~ 3.75 GHz band. This means that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acteristic of having a small frequency response reflected to the input terminal 500 by passing the electric signal o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well.

이하, 첨부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waveguide filte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9 to 12 .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에 대한 설명 중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상술한 세라믹 블록(10), 공진부(100), 결합부(200), 노치부(300), 분리부(400), 입력단자(500) 및 출력단자(60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 중 일부는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eramic block 10, the resonance part 100, the coupling part 200, the notch part ( 300), the separation unit 400, the input terminal 500, and some of th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the output terminal 600 will be omitted. Accordingly,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inly focused on point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노치부(300)는 개구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노치홀(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노치홀(310)의 개구는 제1 공진그룹(110) 및 제2 공진그룹(120)의 배열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노치홀(310)은 직사각형의 개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notch part 300 may include a notch hole 310 having a rectangular opening. In this case,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310 may be formed to extend long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resonance group 110 and the second resonance group 120 . Accordingly, the notch hole 310 may be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opening.

분리부(400)는 노치홀(310)의 개구를 둘러싸는 형태로 세라믹 블록(10)의 전도성 코팅층(20)이 형성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노치부(300)의 바깥부분에 형성된 전도성 코팅층(20)이 일정한 형상으로 벗겨져 세라믹 블록(10)이 부분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분리부(400)를 형성하는 방법이 반드시 전도성 코팅층(20)을 벗기는 방법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동일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분리부(400)는 노치홀(310)의 개구 주변에 형성되는 전도성 코팅층(20)과 세라믹 블록(1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전도성 코팅(20)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즉, 세라믹 블록(10)의 표면을 모두 끊김없이(Seamless) 감싸고 있는 전도성 코팅층(20)이 분리부(400)에 의해 노치홀(310)의 주변에서 단절되는 것이다.The separation part 400 surrounds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310 and is formed so that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of the ceramic block 10 is not formed. That is,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form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notch 300 is peeled off in a predetermined shape to partially expose the ceramic block 10 to the outside. However, the method of forming the separation unit 40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method of peeling off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and the same result may be obtained by various methods. Due to this shape, the separator 400 may separate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formed around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310 and the conductive coating 20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from each other. That is,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0 seamlessly enclos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10 is cut off around the notch hole 310 by the separator 400 .

상술한 바와 같이 노치홀(310)의 개구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분리부(400)는 노치홀(310)을 둘러싸는 사각형의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치홀(310)이 형성하는 고리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3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separation unit 4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ring shape surrounding the notch hole 310 . At this time, the ring formed by the notch hole 310 has a certain thickness.

이러한 노치부(300)의 형상과 배치를 통해서 입력단자(500)에 인가된 전기신호가 특정한 주파수응답 특성(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을 갖도록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를 튜닝할 수 있다. 즉, 노치부(300)의 형상과 배치를 변경하는 것은 간단한 공정의 변화만을 요구하므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노치특성(Notch Characteristics)을 갖는 주파수응답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노치부(300)의 형상이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므로 상대적으로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것에 비하여 공정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용이하다.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uned so that the electric signal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500 has a specific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through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notch part 300 . That is, since chang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notch part 300 requires only a simple process change,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frequency response having notch characteristics in a relatively simple way. have. 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notch 300 is not complicated and simple, it is easy to secure the accuracy of the process compared to having a relatively complicated shape.

도 12는 고대역 주파수에서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S1,2는 입력단자(500)에 전기신호를 인가했을 때 출력단자(600)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S2,2는 입력단자(500)에 전기신호를 인가했을 때 입력단자(500)로 반사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S1,2는 대략 3.46 ~ 3.84GHz 대역에서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의 주파수응답 특성을 보인다. 즉, 해당 주파수 대역의 전기신호는 통과시키고 이 대역을 벗어난 전기신호는 제거하여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가 특정 대역에서 대역통과필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12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high band frequency. 12, S1,2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600 when the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500, S2,2 is the input terminal (500) It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signal reflected to the input terminal 500 when the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the . S1,2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band pass filter in the approximately 3.46 ~ 3.84 GHz band. That is, the electric signal o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is passed and the electric signal outside this band is removed so that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bandpass filter function in a specific band.

S2,2는 대략 3.55 ~ 3.75GHz 대역에서 대역차단필터(Band Reject Filter)의 주파수응답 특성을 보인다. 이는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1)가 해당 주파수 대역의 전기신호를 잘 통과시켜서 입력단자(500)로 반사되는 주파수 응답이 적은 특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S2,2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band reject filter in the approximately 3.55 ~ 3.75 GHz band. This means that the waveguide filt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acteristic of having a small frequency response reflected to the input terminal 500 by passing the electric signal o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well.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and unless they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and applied to different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의 웨이브가이드 필터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waveguide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also by thos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웨이브가이드 필터
10: 세라믹 블록
20: 전도성 코팅층
100: 공진부
110: 제1 공진그룹
111: 제1 공진홈
112: 제2 공진홈
120: 제2 공진그룹
121: 제3 공진홈
122: 제4 공진홈
200: 결합부
300: 노치부
310: 노치홀
400: 분리부
500: 입력단자
510: 입력단자홈
600: 출력단자
610: 출력단자홈
1: Waveguide filter
10: ceramic block
20: conductive coating layer
100: resonance unit
110: first resonance group
111: first resonance groove
112: second resonance groove
120: second resonance group
121: third resonance groove
122: fourth resonance groove
200: coupling part
300: notch
310: notch hole
400: separation unit
500: input terminal
510: input terminal groove
600: output terminal
610: output terminal groove

Claims (13)

표면에 전도성 코팅층이 형성된 세라믹 블록;
상기 세라믹 블록의 일면에 형성되는 공진부 - 상기 공진부는 복수의 공진홈을 포함하는 제1 공진그룹 및 복수의 공진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진그룹과 대향되는 제2 공진그룹을 포함함 -;
상기 세라믹 블록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1 공진그룹과 상기 제2 공진그룹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이격되어 상기 세라믹 블록을 관통하고 상기 제1 공진그룹과 상기 제2 공진그룹 사이에 형성되는 노치홀을 포함하는 노치부;
상기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형성된 상기 노치홀의 개구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전도성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분리부;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를 포함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웨이브가이드 필터.
a ceramic block having a conductive coating layer formed on its surface;
a resonance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eramic block, wherein the resonance part includes a first resonance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resonance grooves and a second resonance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resonance grooves and opposite to the first resonance group;
a coupling part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ceramic block and formed between the first resonance group and the second resonance group;
a notch part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part and penetrating the ceramic block and including a notch hole formed between the first resonance group and the second resonance group;
a separation part in which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is not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formed on the other surface;
A waveguide filter comprising a waveguide filt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고리형으로 상기 노치홀의 개구를 둘러싸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ion part is a wave guide filter surrounding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in a ring sha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notch hole is a wave guide filt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홀의 개구는 상기 공진홈의 개구보다 큰 웨이브가이드 필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is larger than the opening of the resonance groove wave guide filt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복수의 노치홀을 포함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notch portion is a wave guide filter including a plurality of notch hole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복수의 노치홀의 개구 모두를 둘러싸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paration part is a wave guide filter surrounding all of the openings of the plurality of notch hole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치홀의 개구는 상기 공진홈의 개구보다 작은 웨이브가이드 필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openings of the plurality of notch holes are smaller than the openings of the resonance groove wave guide filt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홀의 개구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is a wave guide filter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사각형으로 상기 노치홀의 개구를 둘러싸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paration part is a wave guide filter surrounding the opening of the notch hole in a square shap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홀은 상기 제1 공진그룹 및 제2 공진그룹의 배열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notch hole is a wave guide filter extending long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resonance group and the second resonance group.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상기 세라믹 블록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는 상기 세라믹 블록의 타단에 위치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notch part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ceramic block, and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are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ceramic bloc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는 내측에 단자홈을 포함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is a wave guide filter including a terminal groove on the insid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홈의 개구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웨이브가이드 필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opening of the terminal groove is a wave guide filter formed in a circular shape.
KR1020200026419A 2020-03-03 2020-03-03 Waveguide Filter KR2021011145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419A KR20210111456A (en) 2020-03-03 2020-03-03 Waveguide Filter
PCT/KR2021/001661 WO2021177614A1 (en) 2020-03-03 2021-02-08 Wave guide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419A KR20210111456A (en) 2020-03-03 2020-03-03 Waveguide Fi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456A true KR20210111456A (en) 2021-09-13

Family

ID=77613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419A KR20210111456A (en) 2020-03-03 2020-03-03 Waveguide Fil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11456A (en)
WO (1) WO202117761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8199A (en) * 2021-12-10 2023-06-19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Ceramic Waveguide Duplex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4114A (en) 2011-03-11 2012-09-20 도꼬가부시끼가이샤 Dielectric waveguide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502U (en) * 1991-08-30 1993-03-19 太陽誘電株式会社 Dielectric filter
JP2003115711A (en) * 2001-10-04 2003-04-18 Ube Electronics Ltd Electrode forming method for dielectric resonant component
CN208622916U (en) * 2018-09-25 2019-03-19 苏州艾福电子通讯有限公司 A kind of ceramic dielectric waveguide filter
CN209843914U (en) * 2019-07-16 2019-12-24 深圳市国人射频通信有限公司 Dielectric waveguide filter
CN209843916U (en) * 2019-07-19 2019-12-24 深圳市国人射频通信有限公司 Dielectric waveguide fil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4114A (en) 2011-03-11 2012-09-20 도꼬가부시끼가이샤 Dielectric waveguide fil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8199A (en) * 2021-12-10 2023-06-19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Ceramic Waveguide Duplex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7614A1 (en)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727B1 (en) Dielectric antenna including filter, dielectric antenna including duplexer and radio apparatus
KR101756124B1 (en) Cavity type radio frequency filter with cross-coupling notch structure
EP1363351B1 (en) High frequency circuit element and high frequency circuit module
US20070024399A1 (en) Filters and antennas for microwaves and millimetre waves, based on open-loop resonators and planar transmission lines
KR102241217B1 (en) Ceramic Waveguide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746681A1 (en) Plastic combline filter with metal post to increase heat dissipation
KR102193435B1 (en) Ceramic Waveguide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230564B1 (en) Method of making a millimeter wave transmission line filter
EP0999606B1 (en) Dielectric filter and RF apparatus employing thereof
KR20210111456A (en) Waveguide Filter
KR100276012B1 (en) Dielectric filter, transmitting/receiving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6975181B2 (en) Dielectric resonator loaded metal cavity filter
KR102363472B1 (en) Waveguide Filter
KR102280048B1 (en) Wireless Signal Transceiver Module
US10454148B2 (en) Compact band pass filter
KR102337905B1 (en) Waveguide Filter
KR102448010B1 (en) Waveguide Filter
KR102333921B1 (en) Waveguide filter with asymmetrical coupling
KR102144811B1 (en) Ceramic waveguide filter
US7292123B2 (en) Waveguide E-plane RF bandpass filter with pseudo-elliptic response
KR20230138350A (en) Waveguide Filter
Chaudhury et al. Tuning of Passbands in Compact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Bandpass Filter using perturbation slot
KR100733899B1 (en) Duplex and filter with improved characteristics
EP1028481B1 (en) Dielectric resonator,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oscillator, and communication device
JPH0229007A (en) Antenn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