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527A - 리프팅 완충 체어 - Google Patents

리프팅 완충 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527A
KR20220069527A KR1020200156734A KR20200156734A KR20220069527A KR 20220069527 A KR20220069527 A KR 20220069527A KR 1020200156734 A KR1020200156734 A KR 1020200156734A KR 20200156734 A KR20200156734 A KR 20200156734A KR 20220069527 A KR20220069527 A KR 20220069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seating
cylinder device
bas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56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9527A/ko
Publication of KR20220069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6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means, or adapted, for inclining the legs of the chair or stool for varying height of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8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additional seat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height of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47C7/0213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detachably secured to seats, e.g. by ties or hook and loop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47C7/142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by fluid mean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노약자의 기립을 도우면서 컴팩트하고 경제적인 리프팅 완충 체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가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어 지지대상체의 하중이 지지되는 안착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단부와 상기 안착부의 후단부에 양단이 힌지 연결되는 제1 링크부재;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단부에 양단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 링크부재와 교차점에서 힌지 연결된 제2링크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양단이 힌지 연결되어 팽창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장치를 포함하는 리프팅 완충 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프팅 완충 체어{lift assisting chair}
본 발명은 리프팅 완충 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세부적으로는 노약자의 기립을 도우면서 컴팩트하고 효율성이 향상된 리프팅 완충 체어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노인을 위한 안전보조 기구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유럽 등의 선진 국가들도 의료기술의 발달과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노인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고령화가 심화됨에 따라 노약자를 위한 보조 기기들이 다양해지면서 증가하고 있다.
한편, 고령자의 안전사고는 바깥에서보다 실내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노인들이 앉았다 일어날 때, 계단을 오를 때 등과 같은 행동은 큰 부담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다. 특히, 도와줄 사람이 옆에 있다면 보조 기기가 필요 없겠지만 가족과 떨어져 지내는 독거노인들이 많아지면서 누군가의 도움 없이 자립을 돕는 보조 기기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노인보조기구들을 찾아보면 걸음 보조기, 변기 안전 손잡이, 접이식 지팡이 등 자립을 위한 물건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는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어 고령자나 근골격계 질환자들은 혼자 일어나기 어렵고, 기립 시에 잘못된 중심 이동으로 인하여 낙상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노약자를 위한 휠체어 및 리프팅 완충 체어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종래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15282호에서는 가스실린더와 탄성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외부 동력의 필요 없이 작은 힘으로도 시트를 기울여 쉽게 기립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작동법이 간단하고 유지비용이 감소된 의자를 제공하였다.
또한, 종래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08664호에서는 지면으로부터 시트까지의 높이를 최소화하고 조절 수단이 구비된 구조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까지 수월하게 승강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노약자 등이 기립할 때 의자를 단순히 경사지게 들어 올리면 상복부가 앞쪽으로 급격히 기울어져 허리에 무리가 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승하강만 가능한 구조는 일어날 때 도움은 되겠지만 몸을 앞쪽으로 움직이면서 노약자 등의 무릎에 무리가 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착부를 사선으로 들어 올리는 구조 등이 고려되었으나, 힘의 분배 및 전달 방향이 조악하여 내구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착부가 완전히 닫혔을 때 내부 구조물들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신축성 재질의 받침부가 없어 불안하고, 사용자가 앉았을 때 사용자의 무게에 눌려 체어에 충격이나 무리가 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15282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0866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약자의 기립을 도우면서 컴팩트하고 효율성이 향상된 리프팅 완충 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가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어 지지대상체의 하중이 지지되는 안착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단부와 상기 안착부의 후단부에 양단이 힌지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단부에 양단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와 교차점에서 힌지 연결된 제2링크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양단이 힌지 연결되어 팽창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장치를 포함하는 리프팅 완충 체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링크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1 돌기가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장공부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2돌기가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장공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장치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안착부의 하면부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교차점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전방부 일측 및 상기 제2링크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전방부 일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는 상기 안착부의 하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신축성 재질의 안착 받침부가 상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링크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전방부 일측이 힌지연결되어 노약자 등이 기립할 때 안착부가 상승되는 복원력과 경사지게 전방측으로 밀어주는 복원력이 순차적이고 부드럽게 연결된 기립보조력으로 제공됨으로써 노약자의 허리 뿐만 아니라 무릎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동시에 최소화하여 안전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둘째, 대향물에 구비된 돌기에 결합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장공부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안착부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안착부가 들어올려지는 방향과 실린더장치가 팽창 복원되는 방향이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설정되어 힌지 연결부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소용량의 컴팩트화된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어 내구성 및 경제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상기 안착부의 하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신축성 재질의 안착 받침부가 상향 돌설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의 구조물들을 보호하고 사용자가 앉을 때 신축성 재질이 받쳐주므로 충격이 덜어지게 되어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완충 체어가 접힌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완충 체어가 펴진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완충 체어가 들어올려지는 중의 상태일때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완충 체어가 끝까지 펴진 상태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완충 체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완충 체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리프팅 완충 체어는 베이스부(10), 안착부(20), 제1링크부재(30), 제2링크부재(40), 그리고 실린더장치(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는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상세히, 상기 지지수단은 지면으로부터 표준적인 인체의 무릎높이에 대응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의자의 다리부로 구비되거나, 관람석의 관람단턱 등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무릎 높이까지 상기 베이스부(10)를 이격시키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의 모양이 사용자의 엉덩이 모양과 비슷하게 고정된 굴곡진 모양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고, 사용자가 모서리에 찍힐 위험 없이 안전하게 들고 다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0)는 후술되는 링크부재들(30,40)과 실린더장치(5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부(10)의 상측에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20)의 상부에는 노약자 등의 엉덩이 내지 허벅지와 같은 지지대상체의 하중이 지지된다.
여기서, 지지대상체는 주로 허리나 무릎이 약한 노약자이다. 또한, 상기 안착부(20)는 목재 및 플라스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는 쿠션이나 방석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수단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0) 상단부에 쿠션이나 방석을 올려 놓음으로써 후술되는 실린더장치(50)와 함께 2중의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와 같은 모양을 하여 상기 리프팅 완충 체어(100)가 접히거나 펴질때 사용자에게 일체감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링크부재(30)의 전단은 상기 베이스부(10)의 전단부에 제1힌지(11)로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안착부(20)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링크부재(40)의 전단은 상기 안착부(20)의 전단부에 제3힌지(21)로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베이스부(10)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링크부재(30)와 상기 제2링크부재(40)를 측면에서 보면 X자 형상으로, 후술되는 실린더장치(50)에 의해 접히거나 펴진다고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실린더장치(50)가 팽창될 때, 상기 제1힌지(11)에 연결된 상기 제1링크부재(30)는 후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3힌지(21)에 연결된 상기 제2링크부재(40)도 후측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부재(30)와 상기 제2링크부재(40)는 교차점(43)에서 힌지 연결된다. 이와 같이, 힌지로 연결되는 부분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제1링크부재(30)와 상기 제2링크부재(40)가 교차점(43)에서 힌지연결됨으로써, 힌지연결이 없을 때보다 더 안정적이고 내구성이 개선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부재(30)와 상기 제2링크부재(40)는 좌우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한쌍으로 구비되며, 세부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안착부(20) 사이의 우측부와 좌측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링크부재(30)의 끝쪽에 형성된 제1돌기(31)와 상기 안착부(20) 하단면의 후방부에 형성된 제1장공부(32)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장공부(32)는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전방공간(32a)과 후방공간(32b)으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장치(50)가 팽창될 때, 상기 제1돌기(31)가 전방공간(32a)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20)가 전측으로 이동되면서 전방부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기울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실린더장치(50)의 피스톤로드(51)가 공압식 복원력에 의해 들어올려진다.
한편, 상기 실린더장치(50)가 압축될 때, 상기 제1돌기(31)가 후방공간(32b)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20)가 후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베이스부(10)와 평행 상태가 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실린더장치(50)의 상기 피스톤로드(51)가 공압식 압축력에 의해 내려진다. 따라서, 완충효과로 인해 상기 피스톤로드(51)의 하향이동속도가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느려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부재(40)의 끝쪽에 형성된 제2돌기(41)와 상기 베이스부(10) 상단면의 후방부에 형성된 제2장공부(42)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장공부(42)는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전방공간(42a)과 후방공간(42b)으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장치(50)가 팽창될 때, 상기 제2돌기(41)가 전방공간(42a)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20)가 전측으로 이동되고 들어올려진다.
한편, 상기 실린더장치(50)가 압축될 때, 상기 제2돌기(41)가 후방공간(42b)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20)가 후측으로 이동되고 내려진다.
여기서, 상기 장공부(32,42)가 포함되지 않거나 하나만 포함되는 구조보다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안착부(20)에 각각 상하로 구비됨으로써 더 안정적인 구조가 제공되어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대향물에 구비된 돌기에 결합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제1 및 제2장공부(32,42)가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안착부(20)의 후방부에 각각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안착부(20)가 들어올려지는 방향과 상기 실린더장치(50)가 팽창 복원력을 제공하는 방향이 상호 예각을 이루도록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로드(51)의 단부에 연결된 힌지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용량의 컴팩트화된 상기 실린더장치(50)를 사용할 수 있어 내구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장치(50)가 팽창될 때, 장공부가 하나만 있을 때보다 상하로 각각 하나씩 구비될 때 상기 안착부(20)가 더 전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일어나기 위해 몸을 앞으로 움직이지 않아도 돼 무릎과 허리에 무리가 덜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실린더장치(50)가 팽창될 때, 상기 안착부(20)가 상기 베이스부(10)보다 살짝 앞으로 나오고, 상기 실린더장치(50)가 압축될 때 상기 안착부(20)가 상기 베이스부(10)만큼 다시 뒤쪽으로 돌아가는 구조라고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종래에는 체어가 들어올려질때 급격히 경사지게 기울어져 허리에 무리가 갔으나, 본원발명은 상기 제1,2 링크부재(30,40)의 중앙으로부터 전방부 일측이 힌지연결되어 노약자 등이 기립할 때 상기 안착부(20)가 상승되는 복원력과 경사진 전방측으로 밀어주는 복원력이 순차적이고 부드럽게 연결된 기립보조력으로 제공됨으로써 노약자의 허리 뿐만 아니라 무릎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동시에 최소화하여 안전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앉은 상태에서 일어나려면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하는 무릎을 약 90° 로 펴면서 허리를 앞으로 기울여야 하는데 상기 리프팅 완충 체어(100)는 위로 상승시키는 기립보조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전측으로 살짝 라운드지게 경사진 방향으로 밀어주는 기립보조력을 제공하는 과정이 부드럽게 연결되어 수행되므로 허리뿐만 아니라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까지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노약자 등이 일어나거나 앉을 때 허리와 무릎에 무리가 덜어진다고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교차점(43)은 상기 제1링크부재(30)의 중앙으로부터 전방부 일측 및 상기 제2링크부재(40)의 중앙으로부터 전방부 일측에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교차점(43)이 중앙으로부터 전방부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실린더장치(50)가 팽창되었을 때 상기 안착부(20)가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안착부(20)에 앉기가 더 수월해진다고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실린더장치(50)는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안착부(20) 사이에 양단이 힌지 연결되어 팽창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장치(50)는 비어있는 원통형 용기 안에서 원기둥이 내부 기체 내지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51)가 왕복직선 복원운동을 하는 기계장치라고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장치(50)는 공압식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팽창력을 얻는 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공압은 공기 내지 가스의 압력으로써 공기분자가 팽창되거나 압축될 때의 압력이다.
상세히, 상기 실린더장치(50)의 내부에는 작동유체가 구비되며, 피스톤이 외력에 의해 가압시 상기 작동유체가 압축되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된 작동유체가 팽창되면서 피스톤을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여기서, 외력은 노약자 등의 엉덩이를 통해 상기 안착부(20)를 눌러 내려가는 몸무게의 힘이라고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외력이 상기 피스톤로드(51)에 전달되어 상기 실린더장치(50) 내부의 공기분자가 압축되면서 피스톤이 실린더장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장치(50)의 전체적인 길이가 줄어든다.
또한, 상기 리프팅 완충 체어(100)가 펴지는 원리는 상기 실린더장치(50) 내부의 공기분자가 압축되었다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을 이용한다.
상세히, 사용자가 일어날때 압축되어 있던 공기분자가 다시 팽창되어 흩어진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로드(51)가 다시 위로 올라가면서 상기 실린더장치(50)의 전체적인 길이가 늘어나 상기 안착부(20)가 들어올려진다.
즉, 별도의 전기를 필요로하는 인위적인 힘이 아닌 공압의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앉을 때의 외력에 의해 공기가 서서히 압축되면서 에너지가 저장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저장된 에너지를 팽창 복원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더 부드러운 움직임이 가능해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부드러운 움직임으로 사용자가 일어날 때 무릎에 무리를 덜어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일어날 때 상기 안착부(20)가 위로 상승하는 과정과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기울어지면서 상승하는 과정으로 나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안착부(20)가 위로 들리는 과정은 상기 실린더장치(50)가 팽창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로드(51)가 들어올려진다. 또한, 상기 안착부(20)가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기울어지는 과정은 상기 교차점(43)이 중앙으로부터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교차점(43)을 기준으로 상기 제1,2링크부재(30,40)의 전측은 짧고, 후측이 길어 들릴때 상기 안착부(20)의 후측이 더 높게 들어올려진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20)가 위로 들리는 과정과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기울어지는 과정이 동시에 일어나 상기 안착부(20)가 자연스럽게 사선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장치(50)는 상기 베이스부(10) 상단부의 후방부와 상기 안착부(20)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힌지에 의해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 완충 체어(100)가 완전히 접혔을 때는 상기 실린더장치(50)가 누워있는 모습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리프팅 완충 체어(100)가 완전히 펴졌을 때는 상기 실린더장치(50)가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안착부(20)사이에 사선방향으로 구비되어진다.
상세히, 외력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장치(50)의 상기 피스톤로드(51)가 내측으로 신축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피스톤로드(51)가 원위치로 복원되는 힘에 의해 리프팅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장치(50) 및 상기 피스톤로드(51)의 신축되거나 복원 신장되는 방향과 상기 안착부(20)의 이동방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피스톤로드(51)의 단부에 연결된 힌지에 무리하게 힘을 받지 않도록 하고 골고루 힘을 받을 수 있게한다.
즉, 상기 실린더장치(50) 및 상기 피스톤로드(51)의 신축되거나 복원 신장되는 방향과 상기 안착부(20)의 이동방향이 다를 때에는 상기 피스톤로드(51)의 단부에 연결된 힌지가 무리하게 힘을 받아 어느 한쪽의 힌지만 닳거나 상기 피스톤로드(51)가 휘어질 수 있어 내구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장치(50) 및 피스톤의 신축되거나 복원 신장되는 방향과 상기 안착부(20)의 이동방향을 같게 하여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골고루 힘을 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피스톤로드(51)를 보호할 수 있어 내구성이 좋아진다.
상세히, 상기 리프팅 완충 체어(100)가 펴질때 작동과정을 보면, 상기 안착부(20)는 상기 교차점(43)으로 인해 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기울어진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장치(50)가 상기 안착부(20)를 위로 밀면서 전측으로 함께 밀어줌으로써 상기 장공부(32,42)를 따라 상기 돌기(31,41)가 전방(32a,42a)으로 쉽게 이동된다.
또한, 상기 리프팅 완충 체어(100)의 전측으로 상기 실린더장치(50)가 팽창되므로 상기 안착부(20)가 전측으로 이동해 사용자가 일어날 때 몸을 앞으로 움직이지 않아도 돼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아 편리해진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장치(50)가 팽창될 때 상기 피스톤로드(51)가 위로 올라가면서 상기 안착부(20)가 위로 들려진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부재(30)와 상기 제2링크부재(40)도 상기 실린더장치(50)가 팽창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사선으로 들어올려진다.
상세히, 도면의 측면도로 보면 상기 안착부(20)의 전측인 왼쪽은 조금만 들리지만 후측인 오른쪽은 최대로 들린다. 여기서, 상기 교차점(43)이 중앙보다 전측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교차점(43)을 기준으로 상기 제1,2링크부재(30,40)의 전측은 짧고 후측이 길어 후측이 더 많이 들린다고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장치(50)가 압축될 때 상기 피스톤로드(51)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상기 안착부(20)가 아래로 내려진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부재(30)와 상기 제2링크부재(40)도 상기 실린더장치(50)가 압축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아래로 눕혀진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장치(50) 안의 공압으로 인해 체어가 빠르게 접히거나 펴지는 것이 아닌, 완충되어 앉을 때 부드럽게 앉을 수 있고 일어날 때도 부드럽게 일어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장치(50) 및 피스톤의 신축되거나 복원 신장되는 방향과 상기 안착부(20)의 이동방향이 같아 실린더에 들어가는 힘이 최소화 된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 완충 체어(100)가 펴지는 작동과정을 보면, 상기 안착부(20)가 상기 교차점(43)으로 인해 전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장치(50)는 상기 베이스부(10) 상단의 후방부와 상기 안착부(20) 하단의 중앙부에서 살짝 전측에 힌지연결되어 측면에서 봤을때 사선으로 들어올려진다. 이를 통해, 상기 실린더장치(50)에 의해 제공되어야 할 복원력이 작더라도 강한 복원력으로 작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장치(50) 및 피스톤의 신축되거나 복원 신장되는 방향과 상기 안착부(20)의 이동방향이 달랐다면 실린더에 더 많은 힘이 들어가야만 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컴팩트하고 소용량의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어 실린더의 제작비용이 감소하여 경제성이 좋아진다. 또한, 그만큼 부피가 감소되어 외관상으로도 보기 좋아지고 가벼워져 들고다니기에도 편리해진다.
한편, 상기 실린더장치(50)로 완충 효과를 준다고 해도 사용자가 상기 리프팅 완충 체어(100)가 완전히 닫혔을 때 앉으면 무게로 인해 눌려 내부의 구조들에게 무리가 가거나 파손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는 상기 안착부(20)의 하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신축성 재질의 안착 받침부(13)가 상향 돌설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서 후방부에 한 개, 그리고 우측부와 좌측부의 중반부에 각각 하나씩 위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안착부(20)가 완전하게 내려갔을 때 안전하게 받쳐줌으로써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안착부(20) 사이의 구조물들을 보호해준다. 그리고, 사용자가 안착부에 앉을 때 상기 안착부(20)를 신축성 재질이 받쳐주므로 충격이 덜어진다.
또한, 상기 실린더장치(50)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후방부에 제2힌지(12)로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고, 상단부는 상기 안착부(20)의 하면부에 제4힌지(22)로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힌지(12)와 상기 제4힌지(22)는 회전되지 않고 힌지에 결합된 상기 실린더장치(50)만이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장치(50)가 팽창될 때, 상기 제2힌지(12)에서는 상기 실린더장치(50)가 후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4힌지(22)에서는 상기 실린더장치(50)가 전측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제1힌지(11), 상기 제2힌지(12), 상기 제3힌지(21), 상기 제4힌지(22)는 상기 제1링크부재(30) 및 상기 제2링크부재(40)와 상기 실린더장치(5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부(10)로부터 상기 안착부(20)의 높이를 가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고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힌지(11), 상기 제2힌지(12), 상기 제3힌지(21), 상기 제4힌지(22)는 스스로 회전되는 것이 아닌 상기 실린더장치(50)가 팽창될 때 상기 안착부(20)가 들어올려지면서 자연스럽게 회전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리프팅 완충 체어 10 : 베이스부
11 : 제1힌지 12 : 제2힌지
13 : 안착 받침부 20 : 안착부
21 : 제3힌지 22 : 제4힌지
30 : 제1링크부재 32 : 제1장공부
40 : 제2링크부재 42 : 제2장공부
43 : 교차점 50 : 실린더장치
51 : 피스톤로드

Claims (5)

  1. 하부가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어 지지대상체의 하중이 지지되는 안착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단부와 상기 안착부의 후단부에 양단이 힌지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단부에 양단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와 교차점에서 힌지 연결된 제2링크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양단이 힌지 연결되어 팽창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장치를 포함하는 리프팅 완충 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링크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1돌기가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장공부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2돌기가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장공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완충 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장치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후반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안착부의 하면부에 힌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완충 체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점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전방부 일측 및 상기 제2링크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전방부 일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완충 체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는 상기 안착부의 하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신축성 재질의 안착 받침부가 상향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완충 체어.
KR1020200156734A 2020-11-20 2020-11-20 리프팅 완충 체어 KR20220069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734A KR20220069527A (ko) 2020-11-20 2020-11-20 리프팅 완충 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734A KR20220069527A (ko) 2020-11-20 2020-11-20 리프팅 완충 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527A true KR20220069527A (ko) 2022-05-27

Family

ID=81796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734A KR20220069527A (ko) 2020-11-20 2020-11-20 리프팅 완충 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95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1455A (ko) 2022-08-10 2024-02-19 최병현 앉고서는 것이 불편한 사람을 위한 좌변기 및 휠체어용 승강형 좌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664A (ko) 2009-03-30 2010-10-08 장순기 기립보조장치
KR20170115282A (ko) 2016-04-07 2017-10-1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실린더와 탄성체를 이용한 기립보조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664A (ko) 2009-03-30 2010-10-08 장순기 기립보조장치
KR20170115282A (ko) 2016-04-07 2017-10-1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실린더와 탄성체를 이용한 기립보조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1455A (ko) 2022-08-10 2024-02-19 최병현 앉고서는 것이 불편한 사람을 위한 좌변기 및 휠체어용 승강형 좌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0135B2 (en) Electric height adjustable desk with synchronous moving mechanical footrest
KR101038579B1 (ko) 앉고 일어서기 쉬운 의자
KR101429950B1 (ko) 기립도우미형 의자보조장치
CN201230731Y (zh) 一种辅助站立座椅
CN106214368B (zh) 一种新型座椅机构及设有该座椅机构的轮椅车
JP2007507281A (ja) 高さ調節可能なワークチェア
US20200237602A1 (en) Wheelchair for assisting walking
WO2006118756A2 (en) Assistive walking device
JP6888236B2 (ja) 回転可能なシートクレードル
JP7411628B2 (ja) 押し上げ機構と椅子
CN106333803A (zh) 一种多用途代步车
KR20230133423A (ko) 거꾸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US20190269249A1 (en) Foldable chair
KR20220069527A (ko) 리프팅 완충 체어
KR20200046600A (ko) 무브 체어
US20020089227A1 (en) Kneeling and standing assist device
JP2606353Y2 (ja) リフトアップチェア
CN106974465A (zh) 四姿态办公椅
CN206315209U (zh) 一种新型座椅机构及设有该座椅机构的轮椅车
CN109009795A (zh) 可折叠式坐站辅助装置
CN204562606U (zh) 可收折的辅助起身椅
CN208958596U (zh) 坐站辅助器
CN110477656A (zh) 一种弹簧储能的起身联动装置
KR101959377B1 (ko) 기립 보조기
US5591208A (en) Exercising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