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317A - 심색성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심색성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317A
KR20220069317A KR1020200156327A KR20200156327A KR20220069317A KR 20220069317 A KR20220069317 A KR 20220069317A KR 1020200156327 A KR1020200156327 A KR 1020200156327A KR 20200156327 A KR20200156327 A KR 20200156327A KR 20220069317 A KR20220069317 A KR 20220069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yester
filament yarn
properties
fee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1544B1 (ko
Inventor
조연정
최종덕
권영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여주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여주티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여주티앤씨
Priority to KR1020200156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5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6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02J1/228Stretching in two or more steps, with or without intermediate step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3/00Heating or cooling the yarn, thread, cord, rope, or the like, not specific to any one of the processe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치온가염성 폴리에스테르반연신필라멘트사의 특성을 이용하여 아세테이트와 유사한 물성을 가지는 심색성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복합가공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카치온가염성 폴리에스테르반연신필라멘트사의 특성을 이용하여 아세테이트와 유사한 구김성, 광택, 대전방지성, 반발성, 촉감 및 심색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터 복합가공사를 제공하여 원단으로 제작하는 경우에 원단의 촉감상에 바삭바삭한 Crispness와 우수한 드레이프성 및 이수축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색성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Process Of Producing Composite Yarn Having Excellent Color Depth And Drapability Property}
본 발명은 심색성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카치온가염성 폴리에스테르반연신필라멘트사의 특성을 이용하여 아세테이트와 유사한 물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터 복합가공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Gucci, Prada 등으로 대표되는 유럽의 여러 고가 의류브랜드에서는 초고가의 가격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데, 이러한 바탕에는 브랜드 value와 독창적인 디자인, 패턴 등의 다양한 요소가 존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쉽게 접할 수 없는 신 감성의 "차별화된 소재" 에 대한 요구는 날이 갈수록 커져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듯 섬유산업에서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은 단연 "소재" 라고 할 수 있는데, 고가 의류 브랜드뿐만 아니라 SPA 브랜드들도 소재의 고급화에 눈을 돌리기 시작하였으며 그 대표적인 주자가 트리아세테이트이다.
Tri-acetate 소재는 열에 강하고 견에 가까운 광택과 촉감, 초기탄성율이 낮아 유연하고 우수한 드레이프성을 가지고 있다. 면이나 레이온보다 레질리언스가 우수하여 구김이 덜 생기고 디아세테이트보다 트리아세테이트의 레질리언스가 더욱 좋아 습도가 높아도 구김이 잘 생기지 않는 특성을 보여 이런 다양한 특성을 바탕으로 트리아세테이트는 "차별화, 고급화 touch"를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충실하게 부응하는 item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트리아세테이트의 경우 일본의 三菱Rayon社에서 독점적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타국 업체의 경우 원사의 구입에 있어서도 자유롭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어 일반 합성섬유로 Tri-acetate의 촉감이나 광택을 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어왔다.
개발된 아세테이트 관련 제품을 보면 PET 필라멘트의 이형단면을 이용하여 아세테이트의 고급스러운 광택 특성을 나타내고자 한 것이나, 원사 단면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아세테이트의 독특한 특성을 발현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또한, 디아세테이트를 100% 경사로 사용하고 나일론/스판덱스, 폴리에스터/스판덱스사를 위사로 사용한 원단이 개발되었으나, 일방향 스트레치성만을 발현하는데 그치고 있어 아세테이트와 유사한 구김성, 광택, 대전방지성, 반발성, 촉감 및 심색성과 같은 다양화되고 고급화된 물성으로 최근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한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제 10-2008-0008742호(2008년01월24일 공개)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카치온가염성 폴리에스테르반연신필라멘트사의 특성을 이용하여 아세테이트와 유사한 구김성, 광택, 대전방지성, 반발성, 촉감 및 심색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터 복합가공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에스테르연신필라멘트사와 카치온가염성 폴리에스테르반연신필라멘트사를 제1피드롤러를 통과시키고,
공기압은 0.5~2.5kg/㎠이고, 노즐직경은 1.0~2.0㎜인 인터레이스노즐에서 인터레이스 한 후,
150℃~200℃의 히터에서 열처리한 후, 제 2 피드롤러를 통과시키고 오일링한 후 권취롤러로 사속 400~800m/분으로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색성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심색성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은 폴리에스테르연신필라멘트사와 카치온가염성 폴리에스테르반연신필라멘트사를 인터레이스한 후 열처리하고 권취하여 아세테이트와 유사한 구김성, 광택, 대전방지성, 반발성 및 심색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연신필라멘트사(1)와 카치온가염성 폴리에스테르반연신필라멘트사(2)를 제1피드롤러(3)를 통과시키고, 공기압은 0.5~2.5kg/㎠이고, 노즐직경은 1.0~2.0㎜인 인터레이스노즐(4)에서 인터레이스한 후, 150℃~200℃의 히터(5)에서 열처리한 후, 제2피드롤러(6)를 통과시키고 오일링한 후 권취롤러(7)로 사속 400~800m/분으로 권취한다.
본 발명에서 원사 중 하나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연신필라멘트사(1)는 일명 FDY사로도 불리우는 필라멘트사로서 그 물성이 의류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강신도를 가지고 있어 본 발명의 복합가공사에서 심사로서 기본 물성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원사 중 하나로 사용하는 카치온가염성 폴리에스테르반연신필라멘트사(2)는 염기성염료에 대한 염색성을 향상시키고자 제조된 필라멘트사로서 일반적으로 Cation dyeable PET(CDP)라 칭하고 있다. 이러한 카치온가염성 폴리에스테르반연신필라멘트사는 일반적인 중합법에 의한 PET 원사보다 용융점이 20℃ 정도 낮아, 방사온도도 그에 맞춰 조절하게 되며, 제조된 원사를 취급함에 있어서도 그 용융점을 감안한 공정온도를 설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염색가공 공정중에서는 설정온도에 따라 경화되는 공정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이는 제품의 불량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CDP의 경화 현상을 이용하여 그 경화 정도에 따라 원단의 촉감상에 바삭바삭한 Crispness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또한 잠재자발적인 신장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방사속도 2,500∼3,500 m/m 로 만들어진 반연신사를 이펙트사로 적용하고, 이를 다른 원사와 복합하여 열처리함으로써, 자발신장케 하여 이수축효과를 발휘하면서도 Crispness를 발현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연신필라멘트사(1)와 카치온가염성 폴리에스테르반연신필라멘트사(2)를 제1피드롤러(3)를 통과시키고, 공기압은 0.5~2.5kg/㎠이고, 노즐직경은 1.0~2.0㎜인 인터레이스노즐(4)에서 인터레이스하게 되는데, 공기압력 0.5㎏/㎠미만에서는 가공사의 집합성이 미흡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2.5㎏/㎠초과시에는 루프가 다량 발생하여 후공정에서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연신필라멘트사는 30~100d/24~48fila이고, 상기 카치온가염성 폴리에스테르반연신필라멘트사는 50~250d/24~96fila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최종 복합가공사의 심색성, 드레이프성, CRISPNESS(바삭바삭한 느낌의 터치, 광택을 나타내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레이스후, 150℃~200℃의 히터(5)에서 열처리한 후, 제2피드롤러(6)를 통과시키고 오일링한 후 권취롤러(7)로 사속 400~800m/분으로 권취하여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를 제조하게 된다.
히터온도 150℃미만에서는 CRISPNESS(바삭바삭한 느낌의 터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200℃초과시에는 필라멘트가 융착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피드롤러와 제2피드롤러간의 오버피드율은 ­1.02~1.05인 것이 바람직한데, 오버피드율 ­1.02미만에서는 사절이 발생하고 교락 형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며, 1.05를 초과하는 겅우에는 모우 및 루프가 발생하고, 권취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카치온가염성 폴리에스테르반연신필라멘트사의 특성을 이용하여 아세테이트와 유사한 구김성, 광택, 대전방지성, 반발성, 촉감 및 심색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터 복합가공사를 제공하여 원단으로 제작하는 경우에 원단의 촉감상에 바삭바삭한 Crispness와 우수한 드레이프성 및 이수축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가공사의 제조공정의 모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가공사로 편직한 편물의 사진이며,
도 3은 비교예 1의 편물의 사진이다.
다음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복합가공사를 제조하는 비한정적인 예시를 하고 있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연신필라멘트사(PET FDY 50d/36fila SD)와 카치온가염성 폴리에스테르반연신필라멘트사(PET CD POY 85d/36fila BR)를 제1피드롤러를 통과시키고, 공기압은 2.0kg/㎠이고, 노즐직경은 1.4㎜인 인터레이스노즐에서 인터레이스한 후, 170℃의 히터에서 열처리한 후, 오버피드율 1.05로 제2피드롤러를 통과시키고 오일링한 후 권취롤러로 사속 500m/분으로 권취하여 복합가공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트리아세테이트 120d/33fila 사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편직한 원단을 준비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가연가공사 및 그로 편직된 편물과 비교예 1의 편물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비교하였다.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 고
인장강도 2.92 1.46
신도 32 24
수축율 9.8 1.88
균제도 0.48 0.4
1 : 폴리에스테르연신필라멘트사
2 : 카치온가염성 폴리에스테르반연신필라멘트사
3 : 제1피드롤러 4 : 인터레이스노즐
5 : 히터
6 : 제2피드롤러 7 : 권취롤러

Claims (3)

  1. 폴리에스테르연신필라멘트사와 카치온가염성 폴리에스테르반연신필라멘트사를 제1피드롤러를 통과시키고,
    공기압은 0.5~2.5kg/㎠이고, 노즐직경은 1.0~2.0㎜인 인터레이스노즐에서 인터레이스 한 후,
    150℃~200℃의 히터에서 열처리한 후, 제 2 피드롤러를 통과시키고 오일링한 후 권취롤러로 사속 400~800m/분으로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색성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연신필라멘트사는 30~100d/24~48fila이고, 상기 카치온가염성 폴리에스테르반연신필라멘트사는 50~250d/24~96fil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색성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드롤러와 제2피드롤러간의 오버피드율은 ­1.02~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색성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20200156327A 2020-11-20 2020-11-20 심색성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2451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327A KR102451544B1 (ko) 2020-11-20 2020-11-20 심색성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327A KR102451544B1 (ko) 2020-11-20 2020-11-20 심색성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317A true KR20220069317A (ko) 2022-05-27
KR102451544B1 KR102451544B1 (ko) 2022-10-06

Family

ID=8179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327A KR102451544B1 (ko) 2020-11-20 2020-11-20 심색성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54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430A (ja) * 1993-04-14 1994-10-25 Asahi Chem Ind Co Ltd 自発伸長性加工糸の製造法
JP2001003232A (ja) * 1999-06-21 2001-01-09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系複合加工糸の製造方法
KR20010003982A (ko) * 1999-06-26 2001-01-15 조정래 폴리에스터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0727210B1 (ko) * 2006-06-21 2007-06-13 제원화섬 주식회사 Pet ity 복합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petity 복합사 제조방법
KR20080008742A (ko) 2006-07-21 2008-01-24 주식회사 효성 우수한 멜란지 효과를 가지는 아세테이트섬유조폴리에스테르 공기교락사의 제조방법
KR20180024197A (ko) * 2016-08-29 2018-03-08 주식회사 대영합섬 마섬유특성을 부여한 ity복합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430A (ja) * 1993-04-14 1994-10-25 Asahi Chem Ind Co Ltd 自発伸長性加工糸の製造法
JP2001003232A (ja) * 1999-06-21 2001-01-09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系複合加工糸の製造方法
KR20010003982A (ko) * 1999-06-26 2001-01-15 조정래 폴리에스터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0727210B1 (ko) * 2006-06-21 2007-06-13 제원화섬 주식회사 Pet ity 복합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petity 복합사 제조방법
KR20080008742A (ko) 2006-07-21 2008-01-24 주식회사 효성 우수한 멜란지 효과를 가지는 아세테이트섬유조폴리에스테르 공기교락사의 제조방법
KR20180024197A (ko) * 2016-08-29 2018-03-08 주식회사 대영합섬 마섬유특성을 부여한 ity복합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544B1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655B1 (ko)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KR101908901B1 (ko) Pet 원착사를 이용한 ity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환편 니트 원단
KR101607171B1 (ko) 멜란지효과가 우수한 입체무늬직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708976B (zh) 一种超细旦异形涤纶丝的制备方法
KR20120055966A (ko) 농담효과가 우수한 폴리에스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226839B1 (ko) 투톤 발현이 가능한 복합 가연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직물
CN110004553B (zh) 在fdy设备上制备不含阻燃剂的膨体阻燃纤维的方法
KR102451544B1 (ko) 심색성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US20030177749A1 (en) Elastic air textured yar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981757B1 (ko) 신축성이 우수한 면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367037B1 (ko) 심색성, 신축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편직물
KR20190142894A (ko) 기능성 이형단면 다중공 섬유 및 이를 활용한 플리스 기모 직물
CN110029419B (zh) 一种涤纶混纤假捻加工丝、制备方法及其织物
KR102232005B1 (ko) 멜란지톤의 발현이 우수한 복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JPH03829A (ja) 合成繊維先染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89743B1 (ko) 대나무사를 포함하는 이색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KR20180024197A (ko) 마섬유특성을 부여한 ity복합사의 제조방법
US20030005682A1 (en) Elastic air textured yar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10070262A (ko) 멜란지 효과를 가지는 폴리에스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89745B1 (ko) 대나무사를 이용한 신축성 및 멜란지톤 발현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에어텍스쳐 가공사의 제조방법
KR20180116647A (ko) 벌키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면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343782B1 (ko) 폴리에스테르사의제조방법
KR102622694B1 (ko) 보온성과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958528B1 (ko) 다색톤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CN113913995A (zh) 改性聚酯复合长丝的匹染弹性毛织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