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786A -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 - Google Patents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786A
KR20220068786A KR1020200155946A KR20200155946A KR20220068786A KR 20220068786 A KR20220068786 A KR 20220068786A KR 1020200155946 A KR1020200155946 A KR 1020200155946A KR 20200155946 A KR20200155946 A KR 20200155946A KR 20220068786 A KR20220068786 A KR 20220068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helicopter
source unit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0584B1 (ko
Inventor
김기원
백영선
강행근
양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00155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584B1/ko
Priority to PCT/KR2021/017070 priority patent/WO2022108382A1/ko
Publication of KR20220068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8Combination of two or more successive refractors along an op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6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aircraft runway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에 선박 등의 수상에 부유하는 수상 부유구조물에 설치된 헬리데크로 헬리콥터를 유도하기 위한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은 서로 상이한 색을 갖는 제1 내지 제3유도광을 통해 안전비행영역, 상부가이드라인과 하부가이드라인이 상호 나란하며 상하로 적층되는 안전경로를 형성하여 헬리콥터를 헬리데크로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은 빔 폭 조절유닛에 의해 제1 내지 제3콜리메이트렌즈를 통해 제1 내지 제3유도광이 보다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조사유도됨으로서 중심측에 형성되는 헬리콥터가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안전비행영역 확인이 용이하여 헬리콥터를 더욱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Lamp unit for landing induction of helicopter at night}
본 발명은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에 선박 등의 수상에 부유하는 수상 부유구조물에 설치된 헬리데크로 헬리콥터를 유도하기 위한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쉽(Drill ship)이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Offshore plant) 또는 해상에서 오랜 시간을 체류해야 하는 선박들은 인원 이동을 위해서 헬리콥터(Helicopter)를 운용해야 하고, 이로 인해 선수 또는 선미에 헬리데크(Helideck)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
헬리데크는 일반적으로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데크 플로어(deck floor)를 형성하는 팬케익(pancake)부와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팬케익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팬케익부는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플랭크(plank)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팬케익 지지부는 팬케익부를 지지할 수 있는 H형 빔(beam)들을 포함 할 수 있다.
한편, 헬리데크는 야간에 헬리콥터를 운영할 경우 착륙을 돕기 위해서 헬리데크의 윤곽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페리미터 라이트(Perimeter light)와, 헬리콥터의 승하선을 위하여 측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플러드 라이트(Floodlight)와 같은 조명이 설치된다.
그러나, 페리미터 라이트와 플러드 라이트만으로는 상부에 페인팅 된 H 마크(Hmark)와 터치 다운/포지셔닝 마킹써클(Touch down/positioning making circle)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헬리콥터의 조종사가 정확한 착륙 위치를 가늠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H 마크(Hmark) 하단에 매립형 조명부를 추가로 삽입 설치하여 헬리데크(Helideck)의 상방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H 마크와 터치 다운/포지셔닝 마킹 써클이 보다 명확히 드러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헬리데크에 구성되는 조명은 H 마크와 터치 다운/포지셔닝 마킹 써클을 보다 명확히 드러내도록 하여 헬리콥터의 조종사가 정확한 착륙 위치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위한 온/오프(On/Off)만으로 구동하는 단순한 조명의 기능으로만 제공하고 있어, 그 사용상의 한계성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해상에서 운용되는 헬리데크의 경우, 헬리콥터가 바람에 의해 받는 영향뿐만 아니라 헬리데크 자체가 수평, 수직 운동을 하기 때문에, 헬리콥터를 헬리데크에 안전하게 착륙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실질적으로 헬리데크가 설치되어 있는 부유식 구조물 또는 선박의 움직임을 헬리콥터의 착륙을 위해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 어려워 현재로서는 헬리콥터 조종사의 조종 실력의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해상 조건은 기본적으로 바람이 강하고, 파도도 거셀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아무리 실력이 뛰어난 조종사라고 하더라도 불의의 상황에 안전하게 대처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기상조건이 열악한 경우나 야간의 경우에는 위험도가 더욱 증가한다.
따라서, 야간에 헬리콥터가 해상에서 운용되는 헬리데크에 착륙할 때에는 보다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보조해 줄 수 있는 장치가 추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43218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을 개발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 램프유닛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하여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조사되는 빔들의 폭을 간결한 구조로 조절함으로써 조종자가 안전경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하여 후속출원 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3381호 : 헬리데크 조명의 제어장치 및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6798호 : 헬기의 안전착률을 위한 헬리데크 난기류 알림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안전경로가 형성되도록 서로 상이한 색의 다수의 광을 상하로 적층되게 조사하는 다수의 광원부에 각각 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설치하여, 안전경로 구분이 명확하도록 한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로 램프유닛은 수상부유구조물의 헬리데크로 접근해오는 헬리콥터의 조종자에게 상기 헬리데크로 착륙을 위한 안전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색으로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게 다수의 유도광을 측 방향으로 조사하는 광원유닛과; 상기 광원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광원유닛에서 조사되는 다수의 상기 유도광이 구획되어 나란하게 조사되게 유도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측에 설치되어 상기 헬리데크로 착륙을 위한 상기 안전경로 중 안전비행영역을 표시하는 제1유도광을 조사하는 센터광원부와, 상기 센터광원부의 상방에 위치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1유도광과 상이한 색의 제2유도광을 상기 안전비행영역 상방으로 조사하여 상기 안전경로 중 상부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는 상부광원부와, 상기 센터광원부의 하방에 위치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1유도광 및 상기 제2유도광과 상이한 색의 제3유도광을 상기 안전비행영역 하방으로 조사하여 상기 안전경로 중 하부가이드라인을 표시하는 하부광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터광원부, 상기 상부광원부와 상기 하부광원부는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을 조사하는 엘이디모듈조립체와,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을 굴절시키는 콜리메이트 렌즈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콜리메이트렌즈는 상기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이 조사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호형곡률을 갖도록 각각 길이 연장되며, 폭 방향의 중심측이 폭 방향 양측보다 전방 측에 위치되게 볼록한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 전방에 위치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유도광의 폭이 좁아지게 굴절시키는 빔 폭 조절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빔 폭 조절유닛은 상기 센터광원부, 상기 상부광원부와 상기 하부광원부의 각 상기 콜리메이트렌즈의 수평 전방에 각각 위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각각 좌우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상하방향의 횡단면의 양측이 볼록한 복수의 빔 폭 조절렌즈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빔 폭 조절렌즈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곡률보다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일측면의 상하방향의 곡률이 크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중심측 곡률보다 길이방향 양측의 곡률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빔 폭 조절유닛은 상기 센터광원부, 상기 상부광원부와 상기 하부광원부의 각 상기 콜리메이트렌즈의 수평 전방에 각각 위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좌우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각각 길이연장되고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이 조사되는 영역의 가장자리 측의 외부로 조사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확장되게 관통형성된 빔 폭 조절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복수의 빔 폭 조절블럭;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은 서로 상이한 색을 갖는 제1 내지 제3유도광을 통해 안전비행영역, 상부가이드라인과 하부가이드라인이 상호 나란하며 상하로 적층되는 안전경로를 형성하여 헬리콥터를 헬리데크로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은 빔 폭 조절유닛에 의해 제1 내지 제3콜리메이트렌즈를 통해 제1 내지 제3유도광이 보다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조사유도됨으로서 중심측에 형성되는 헬리콥터가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안전비행영역 확인이 용이하여 헬리콥터를 더욱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은 제1유도광이 조사되는 측에 형성된 빔 폭 조절공이 좌우방향으로 구획되어 안전비행영역이 좌우방향으로 구획됨에 따라 헬리콥터 조종사가 좌우방향에서 보다 안전한 내측으로 이동유도될 수 있어 안전유도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램프가 장착된 수상부유구조물에 대한 일부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헬리콥터 야간착륙 유도 램프유닛에 대한 일부 사시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헬리콥터 야간착륙 유도 램프유닛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헬리콥터 야간착륙 유도 램프유닛의 제2 또는 제3콜리메이트 렌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헬리콥터 야간착륙 유도 램프유닛의 제1 콜리메이트 렌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빔 폭 조절렌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램프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9은 도 8의 빔 폭 조절 블럭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빔 폭 조절 블럭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헬리콥터 야간 착륙유도 램프유닛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헬리콥터 야간 착륙유도 램프유닛(2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헬리콥터 야간 착륙유도 램프유닛(20)은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야간이나 안개가 심한 경우에 수상부유구조물(1)의 헬리데크(helideck)(3)로 헬리콥터(5)가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안전경로(6)를 안내할 수 있도록 헬리콥터(5)가 접근해오는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색의 다수의 유도광을 조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헬리콥터 야간 착륙유도 램프유닛(20)의 하부는 수상부유구조물(1)에 장착되어 헬리콥터(5)가 접근해오는 방향으로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20)을 수상부유구조물(1)에 대해 회전 또는 상하 회동시키는 광원조사방향 조절유닛(90)과 연결된다.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20)은 헬리데크(3)로 접근해오는 헬리콥터(5)의 조종자에게 헬리데크(3)로 착륙을 위한 안전경로(6)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며 서로 상이한 색의 다수의 유도광을 측 방향으로 조사하는 광원유닛(30)과; 광원유닛(30)이 장착되며 광원유닛(30)에서 조사되는 다수의 유도광이 구획되어 나란하게 조사되게 유도하는 하우징(60)과, 하우징(6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0)과, 빔 폭 조절유닛(600);을 구비한다.
광원유닛(30)은 하우징(60)의 중심측에 설치되어 안전경로(6) 중 안전비행영역(7)을 표시하는 제1유도광(7)을 조사하는 센터광원부(31)와, 센터광원부(31)의 상방에 위치되게 하우징(60)에 설치되며 제1유도광과 상이한 색의 제2유도광을 안전비행영역(7) 상방으로 조사하여 안전경로(6) 중 상부 가이드라인(8)을 표시하는 상부광원부(41)와, 센터광원부(31)의 하방에 위치되게 하우징(60)에 설치되며 제1유도광 및 제2유도광과 상이한 색의 제3유도광을 안전비행영역(7) 하방으로 조사하여 안전경로(6) 중 하부가이드라인(9)을 표시하는 하부광원부(51)를 구비한다.
센터광원부(31), 상부광원부(41)와 하부광원부(51)는 각 제1 내지 제3유도광(7,8,9)이 동일 측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하우징(60)에 상호 나란하게 수용된다.
센터광원부(31)는 녹색의 제1유도광을 발광하는 제1엘이디(34)를 포함하는 제1엘이디모듈(33)과, 하우징(60)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제1엘이디모듈(33)을 고정하며 제1엘이디(34) 발광 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유도 하는 제1방열부재(36)를 포함하는 제1엘이디모듈조립체(32)와, 제1유도광이 조사되는 전방 측, 즉 제1엘이디모듈(33)에 대해 일측으로 이격되게 하우징(60)에 고정되는 제1콜리메이트렌즈(39)를 구비한다.
상부광원부(41)는 노란색의 제2유도광을 발광하는 제2엘이디(44)를 포함하는 제2엘이디모듈(43)과, 하우징(60)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제2엘이디모듈(43)을 고정하며 제2엘이디(44) 발광 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유도 하는 제2방열부재(46)를 포함하는 제2엘이디모듈조립체(42)와, 제2유도광이 조사되는 전방 측, 즉 제2엘이디모듈(43)에 대해 일측으로 이격되게 하우징(60)에 고정되는 제2콜리메이트렌즈(49)를 구비한다.
하부광원부(51)는 적색의 제1유도광을 발광하는 제3엘이디(54)를 포함하는 제3엘이디모듈(53)과, 하우징(60)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제3엘이디모듈(53)을 고정하며 제3엘이디(54) 발광 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유도 하는 제3방열부재(46)를 포함하는 제3엘이디모듈조립체(52)와, 제3유도광이 조사되는 전방 측, 즉 제3엘이디모듈(53)에 대해 일측으로 이격되게 하우징(60)에 고정되는 제3콜리메이트렌즈(59)를 구비한다.
제1 내지 제3방열부재(36,46,56)는 하우징(6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내부가 관통형성되며, 일측단으로 제1엘이디(34), 제2엘이디(44) 또는 제3엘이디(54)가 돌출되게 제1기판부(35), 제2기판부(45) 또는 제3기판부(55)를 고정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방열부재(36,46,56)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돌출되며 내부가 관통된 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어 하우징(6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복수의 슬라이딩결합리브(37,47,57)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제2 및 제3방열부재(46,56)는 상단과 하단에 슬라이딩결합리브가 양측으로 하방으로 인입되며 슬라이딩결합리브에 나란한 복수의 방열홈(48,58)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콜리메이트 렌즈(39)는 제1엘이디(34)에서 발광되는 제1유도광을 수평방향으로 집광시킨다. 제2 콜리메이트렌즈(49)는 제2엘이디(44)에서 발광되는 제2유도광을 수평방향으로 집광시키며, 제3 콜리메이트 렌즈(59)는 제3엘이디(54)에서 발광되는 제3유도광을 수평방향으로 집광시킨다.
제1콜리메이트렌즈(39), 제2콜리메이트렌즈(49) 및 제3콜리메이트렌즈(59)는 제1 내지 제2유도광이 조사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호형곡률을 갖도록 각각 길이 연장되며, 폭 방향의 중심측이 폭 방향 양측보다 전방 측에 위치되게 볼록한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제1콜리메이트렌즈(39)은 제1유도광이 제2유도광 및 제3유도광과 겹쳐지지 않게 수평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제2콜리메이트렌즈(49)와 제3콜리메이트렌즈(59)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콜리메이트렌즈(39)는 상하방향 즉, 폭 방향으로 제2콜리메이트렌즈(49)와 제3콜리메이트렌즈(59)보다 큰 호형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콜리메이트렌즈(48)와 제3콜리메이트렌즈(58)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60)은 상기 제1 내지 제3유도광이 나란하게 조사되게 센터광원부(31), 상부광원부(41) 및 상기 하부광원부(51)가 나란하게 장착되는 광원부수용부(63,73,83)와, 광원부수용부(63,73,83)에서 제1 내지 제3엘이디모듈조립체(32,42,52)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내지 제3유도광이 겹치지 않고 조사될 수 있도록 내부가 구획된 광확산부(66,76,86)를 구비한다.
광확산부(66,76,86)는 하우징(60)은 안전경로(6)가 하우징(60)에서 멀어질수록 확장되어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유도광이 조사되게 개방된 일단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확장되게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하우징(60)을 구분해보면, 하우징(60)은 상호 적층된 , 센터광원부장착부(61)와, 상부광원부장착부(71)와, 하부광원부장착부(81)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광원부장착부(71)와, 센터광원부장착부(61)와, 하부광원부장착부(81)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부광원부장착부(61)와, 센터광원부장착부(71)와, 하부광원부장착부(81)를 결속하는 복수의 결합판(92,96)을 구비한다.
센터광원부장착부(61)는 양측으로 개방된 제1내부공간(62)이 형성되며, 제1엘이디모듈조립체(32)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센터광원부수용부(63)와, 센터광원부수용부(63)와 연결되며 내측에 제1엘이디(34)에서 조사되는 제1유도광을 외부로 안내하는 센터광확산부(66)를 구비한다.
상부광원부장착부(71)는 양측으로 개방된 제2내부공간(72)이 형성되며, 제2엘이디모듈조립체(42)가 슬라이딩 결합되며 센터광원부수용부(63)의 상방에 위치되는 상부광원부수용부(73)와, 상부광원부수용부(73)와 연결되며 내측에 제2엘이디(44)에서 조사되는 제2유도광을 외부로 안내하며 센터광확산부(66)의 상방에 위치되는 상부광확산부(76)를 구비한다.
하부광원부장착부(81)는 양측으로 개방된 제3내부공간(82)이 형성되며, 제3엘이디모듈조립체(52)가 슬라이딩 결합되며 센터광원부수용부(63)의 하방에 위치되는 하부광원부수용부(83)와, 하부광원부수용부(83)와 연결되며 내측에 제3엘이디(54)에서 조사되는 제3유도광을 외부로 안내하며 센터광확산부(66)의 하방에 위치되는 하부광확산부(86)를 구비한다.
센터광원부수용부(63)는 제1방열부재(36)의 슬라이딩결합리브(37)가 수용되는 복수의 제1슬라이딩홈(64)과, 제1콜리메이트렌즈(39)의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1렌즈장착홈(65)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1슬라이딩홈(64)은 센터광원부수용부(63)의 내주면 상단과 하단에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입되며 제1내부공간(62)의 일단까지 제1내부공간(62)의 관통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복수의 제1렌즈장착홈(65)은 제1슬라이딩홈(64)에 이격된 위치의 센터광원부수용부(63)의 내주면 상단과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입되며 제1내부공간(62)의 폭 방향으로 각각연장된다.
상부광원부수용부(73)는 제2방열부재(46)의 슬라이딩결합리브(47)가 수용되는 복수의 제2슬라이딩홈(74)과, 제2콜리메이트렌즈(49)의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2렌즈장착홈(75)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2슬라이딩홈(74)은 상부광원부수용부(73)의 내주면 상단과 하단에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입되며 제2내부공간(72)의 일단까지 제2내부공간(72)의 관통 방향에 나란하게 각각 연장된다. 복수의 제2렌즈장착홈(75)은 복수의 제1렌즈장착홈(65)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내부공간(72)의 상단과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입되며 제2내부공간(72)의 폭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하부광원부수용부(83)는 제3방열부재(56)의 슬라이딩결합리브(57)가 수용되는 복수의 제3슬라이딩홈(84)과, 제3콜리메이트렌즈(59)의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3렌즈장착홈(85)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3슬라이딩홈(84)은 하부광원부수용부(83)의 내주면 상단과 하단에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입되며 제3내부공간(82)의 일단까지 제3내부공간(82)의 관통 방향에 나란하게 각각 연장된다. 복수의 제3렌즈장착홈(85)은 복수의 제2렌즈장착홈(75)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3내부공간(82)의 상단과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입되며 제3내부공간(82)의 폭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센터광확산부(66)와, 상부광확산부(76)와, 하부광확산부(86)는 안전경로가 하우징(60)에 멀어질수록 확장되어 원거리에서도 시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유도광이 외부로 조사되게 개방된 일단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확장되게 형성된다.
센터광확산부(66)는 개방된 일단에 상하방향으로 마주하게 돌출되어 제1유도광이 하우징(60) 외부로 조사되는 상하방향의 폭을 줄여 제2유도광과 제3유도광과 겹치는 것을 방지하며 제1유도광이 좌우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상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광조사제한턱(67)이 형성된다. 그리고, 센터광확산부(66)는 후술되는 빔 폭조절유닛(600)의 제1 빔 폭 조절렌즈(610)가 장착되기 위해 복수의 제1장착홈(68)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1장착홈(68)은 센터광확산부(66)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인입되며 호형상으로 각각 길이연장된다.
상부광확산부(76)는 제2유도광이 상방으로 확산유도될 수 있도록 개방된 일측에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부광원부수용부(73)에서 연장된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광확산부(76)는 후술되는 빔 폭조절유닛(600)의 제2 빔 폭 조절렌즈(615)가 장착되기 위해 복수의 제2장착홈(78)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2장착홈(78)은 상부광확상부(76)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인입되며 호형상으로 각각 길이연장된다.
하부광확산부(86)는 제3유도광이 하방으로 확산유도될 수 있도록 개방된 일측에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하부광원부수용부(83)에서 연장된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광확산부(86)는 후술되는 빔 폭조절유닛(600)의 제3 빔 폭 조절렌즈(620)가 장착되기 위해 복수의 제3장착홈(88)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3장착홈(88)은 하부광확상부(76)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인입되며 호형상으로 각각 길이연장된다.
빔 폭 조절유닛(600)은 제1, 제2, 및 제3 콜리메이트 렌즈(39,49,59)의 각 전방에 위치되게 하우징(60) 내에 장착되어 제1 내지 제3유도광의 폭이 좁아지게 굴절시키는 제1 내지 제3 빔폭조절렌즈(610,615,620)를 구비한다.
제1 내지 제3 빔폭조절렌즈(610,615,620)는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각각 좌우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상하방향의 횡단면의 양측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 내지 제3 빔폭조절렌즈(610,615,620)는 횡단면이 양측으로 볼록한 렌즈본체부(611,616,621)와, 렌즈본체부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하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렌즈본체부(611,616,621)의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결합리브(613,618,623)를 구비한다.
제1 내지 제3 빔폭조절렌즈(610,615,620)의 렌즈본체부(611,616,621)는 상하방향으로 퍼지는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을 전방측으로 보다 집광시킬 수 있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곡률(a)보다,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일측면의 상하방향의 곡률(b)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빔폭조절렌즈(610,615,620)의 렌즈본체부(611,616,621)는 좌우방향으로 퍼지는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을 전방측으로 집광시킬 수 있게, 도 7을 참고하면, 길이방향의 중심측(a') 곡률보다 길이방향 양측(a")의 곡률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20)은 서로 상이한 색을 갖는 제1 내지 제3유도광(7,8,9)을 통해 안전비행영역, 상부가이드라인과 하부가이드라인이 상호 나란하며 상하로 적층되는 안전경로를 형성하여 헬리콥터를 헬리데크로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20)은 빔 폭 조절유닛(600)에 의해 제1 내지 제3콜리메이트렌즈(39,49,59)를 통해 제1 내지 제3유도광이 보다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되게 조사유도됨으로서 중심측에 형성되는 헬리콥터가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안전비행영역 확인이 용이하여 헬리콥터를 더욱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8과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헬리콥터 야간착륙유도램프유닛(12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헬리콥터 야간착륙유도램프유닛(120)은 빔 폭 조절유닛(700)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헬리콥터 야간착륙유도램프유닛(20)의 구조와 동일하다.
빔 폭 조절유닛(700)은 센터광확산부(66)와, 상부광확산부(76) 및 하부광확산부(86)에 각각 장착되는 제1, 제2 및 제3빔폭 조절블럭(710,715,720)을 구비한다.
제1, 제2 및 제3빔폭조절블럭(710,715,720)은 빔폭 조절블록본체(711,716,721)와 복수의 결합리브(713,718,723)를 각각 구비한다.
제1, 제2 및 제3빔폭조절블럭(710,715,720)의 빔폭조절블록본체(711,716,721)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제1, 제2 또는 제3 콜리메이트 렌즈(39,49,59)에서 제1,제2 또는 제3유도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좌우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길이연장된다.
그리고 제1, 제2 및 제3빔폭조절블럭(710,715,720)의 빔폭조절블록본체(711,716,721)는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이 조사되는 영역의 가장자리 측의 외부로 조사되는 것을 제한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제1, 제2, 및 제3 콜리메이트 렌즈(39,49,59)에서 멀어질수록 좌우 폭이 확장되게 관통형성된 빔 폭 조절공(714,719,724)이 각각 형성된다.
제1, 제2 및 제3빔폭조절블럭(710,715,720)의 복수의 결합리브(713,718,723)는 빔폭조절블록본체(711,716,721)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하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렌즈본체부(611,616,621)의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1, 제2 또는 제3장착홈(68,78,88)에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리브(613,618,623)를 구비한다.
제1빔폭조절블럭(710)에 형성된 빔폭 조절공(714)은 도 8을 참고하면, 복수의 광조사제한턱(67)이 상하로 이격된 거리보다 상하로 좁은 폭을 갖도록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의 제1빔폭조절블럭(810)이 도시되어 있다.
제1빔폭조절블럭(810)은 복수의 빔 구획격벽(831)을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헬리콥터 야간 착륙유도램프유닛(12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복수의 빔 구획격벽(831)은 제1유도광이 하우징(60) 외측에서 좌우방향으로 단절된 형태로 조사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제1유도광 조사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빔 구획격벽(831)은 제1빔폭조절블럭(810)의 빔 폭 조절공(714) 내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빔 폭 조절공(714a,714b)을 구획한다.
복수의 빔 구획격벽(831)의해 좌우로 구획되는 안전비행영역(7) 중 중심측이 가장자리 측보다 좌우폭이 넓게 형성되도록, 복수의 빔 구획격벽(831)은 상호 이격된 거리가 마주하는 빔폭 조절블록본체(711)의 내측면과 이격된 거리보다 길게 상호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은 제1빔폭조절블럭(810)에 마련되는 복수의 빔 구획격벽(831)에 의해 빔 폭 조절공(714)이 좌우방향으로 구획되어 안전비행영역이 좌우방향으로 구획됨에 따라 헬리콥터 조종사가 좌우방향에서 보다 안전한 내측으로 이동유도될 수 있어 안전유도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수상부유구조물 3 : 헬리데크
5 : 헬리콥터 6 : 안전경로
7 : 안전비행영역 8 : 상부가이드라인
9 : 하부가이드라인
20,120 : 헬리콥터 야간착륙 유도 램프유닛 30 : 광원유닛
31 : 센터광원부 41 : 상부광원부
51 : 하부광원부 60 : 하우징
63 : 센터광원부수용부 66 : 센터광확산부
73 : 상부광원부수용부 76 : 상부광확산부
83 : 하부광원부수용부 86 : 하부광확산부
600,700 : 빔 폭 조절유닛 610 : 제1 빔 폭조절렌즈
615 : 제2 빔 폭 조절렌즈 620 : 제3 빔 폭 조절렌즈
710 : 제1 빔폭 조절블럭
715 : 제2빔폭조절블럭
720 : 제3빔폭조절블럭

Claims (5)

  1. 수상부유구조물의 헬리데크로 접근해오는 헬리콥터의 조종자에게 상기 헬리데크로 착륙을 위한 안전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색으로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게 다수의 유도광을 측 방향으로 조사하는 광원유닛과; 상기 광원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광원유닛에서 조사되는 다수의 상기 유도광이 구획되어 나란하게 조사되게 유도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측에 설치되어 상기 헬리데크로 착륙을 위한 상기 안전경로 중 안전비행영역을 표시하는 제1유도광을 조사하는 센터광원부와, 상기 센터광원부의 상방에 위치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1유도광과 상이한 색의 제2유도광을 상기 안전비행영역 상방으로 조사하여 상기 안전경로 중 상부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는 상부광원부와, 상기 센터광원부의 하방에 위치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1유도광 및 상기 제2유도광과 상이한 색의 제3유도광을 상기 안전비행영역 하방으로 조사하여 상기 안전경로 중 하부가이드라인을 표시하는 하부광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터광원부, 상기 상부광원부와 상기 하부광원부는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을 조사하는 엘이디모듈조립체와,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을 굴절시키는 콜리메이트 렌즈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콜리메이트렌즈는 상기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이 조사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호형곡률을 갖도록 각각 길이 연장되며, 폭 방향의 중심측이 폭 방향 양측보다 전방 측에 위치되게 볼록한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 전방에 위치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유도광의 폭이 좁아지게 굴절시키는 빔 폭 조절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빔 폭 조절유닛은
    상기 센터광원부, 상기 상부광원부와 상기 하부광원부의 각 상기 콜리메이트렌즈의 수평 전방에 각각 위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각각 좌우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상하방향의 횡단면의 양측이 볼록한 복수의 빔 폭 조절렌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빔 폭 조절렌즈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곡률보다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일측면의 상하방향의 곡률이 크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중심측 곡률보다 길이방향 양측의 곡률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빔 폭 조절유닛은
    상기 센터광원부, 상기 상부광원부와 상기 하부광원부의 각 상기 콜리메이트렌즈의 수평 전방에 각각 위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좌우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각각 길이연장되고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이 조사되는 영역의 가장자리 측의 외부로 조사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확장되게 관통형성된 빔 폭 조절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복수의 빔 폭 조절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 야간 착륙유도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광원부의 수평 전방에 위치되는 상기 빔 폭 조절블럭은
    상기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이 상기 하우징 외측에서 좌우방향으로 단절된 형태로 조사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제2 또는 제3유도광 조사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빔 폭 조절공 내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빔 폭 조절공을 좌우방향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빔 구획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 야간 착륙유도램프.
KR1020200155946A 2020-11-19 2020-11-19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 KR102490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946A KR102490584B1 (ko) 2020-11-19 2020-11-19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
PCT/KR2021/017070 WO2022108382A1 (ko) 2020-11-19 2021-11-19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946A KR102490584B1 (ko) 2020-11-19 2020-11-19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786A true KR20220068786A (ko) 2022-05-26
KR102490584B1 KR102490584B1 (ko) 2023-01-19

Family

ID=8170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946A KR102490584B1 (ko) 2020-11-19 2020-11-19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0584B1 (ko)
WO (1) WO2022108382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6533A (ja) * 2013-07-26 2015-02-05 株式会社クワガタ 赤外線投光器
KR20170006798A (ko) 2015-07-09 2017-01-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헬기의 안전착륙을 위한 헬리데크 난기류 알림장치
KR20170123381A (ko) 2016-04-28 2017-11-08 유명엔지니어링(주) 헬리데크 조명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8198164A (ja) * 2017-05-24 2018-12-13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KR20190005291A (ko) * 2017-07-06 2019-01-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램프 장치
KR20200077906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엠에스엘테크놀로지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과 이를 이용한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819B1 (ko) * 2008-03-28 2011-02-07 김기원 차량용 엘이디등의 렌즈
AT519453B1 (de) * 2017-03-30 2018-07-15 Zkw Group Gmbh Lasermodul und Laserquellenanordnung für einen Fahrzeugscheinwerf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6533A (ja) * 2013-07-26 2015-02-05 株式会社クワガタ 赤外線投光器
KR20170006798A (ko) 2015-07-09 2017-01-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헬기의 안전착륙을 위한 헬리데크 난기류 알림장치
KR20170123381A (ko) 2016-04-28 2017-11-08 유명엔지니어링(주) 헬리데크 조명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8198164A (ja) * 2017-05-24 2018-12-13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KR20190005291A (ko) * 2017-07-06 2019-01-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램프 장치
KR20200077906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엠에스엘테크놀로지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과 이를 이용한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8382A1 (ko) 2022-05-27
KR102490584B1 (ko)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218B1 (ko)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과 이를 이용한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장치
KR102384816B1 (ko) 자이로센서를 적용한 야간착함유도시스템
JP2008540884A (ja) 昼光遮蔽装置
US20140168609A1 (en) Device for generating a light beam with three or more sectors for a glide angle indicator for aircraft and a guide angle indicator comprising the device
KR102490584B1 (ko)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
KR20120053280A (ko) 헬리데크
EP2541134B1 (en) Aviation obstacle light
US10621877B2 (en) Illuminator
WO2014029171A1 (zh) 灯塔
CN102679245A (zh) 一种平板灯
US20150292713A1 (en) Glass Lens LED Luminaire for Underwater Use
KR102009592B1 (ko) 해상에서 등명기로부터의 빛을 상시 일정한 수직 및 수평배광으로 유지하는 등부표
KR102556076B1 (ko) 헬리콥터 착함 지원 시스템
KR200446950Y1 (ko) 시인성이 향상된 무인 등대 및 등표용 등탑 구조물
KR102336967B1 (ko) 착함 유도를 위한 nvis용 조명 시스템
KR101619305B1 (ko) 헬리데크용 광 반도체 조명장치
CN104067046A (zh) 信标灯光学部件、信标灯、获得信标灯光学部件的方法
KR102417863B1 (ko) 착함 유도를 위한 nvis용 조명장치
JP4456582B2 (ja) 発光ダイオード式セクターライト
KR10217305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 유도선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230029477A (ko) 항공장애등용 광 모듈 및 이를 위한 광 조사 방법
KR100491130B1 (ko) 적층형 엘이디 등명기
KR102190702B1 (ko) 교통 표시 및 횡단보도 조명등
EP3401205B1 (en) Device for integrating lighting and signalling for nagivation purposes
KR101999141B1 (ko) 항공등화의 멀티 렌즈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