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561A - Air clener type sterilizer module apparatus using filter - Google Patents

Air clener type sterilizer module apparatus using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561A
KR20220068561A KR1020200155471A KR20200155471A KR20220068561A KR 20220068561 A KR20220068561 A KR 20220068561A KR 1020200155471 A KR1020200155471 A KR 1020200155471A KR 20200155471 A KR20200155471 A KR 20200155471A KR 20220068561 A KR20220068561 A KR 20220068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bacteria
air purifier
modu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4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인경필
남승하
이강홍
Original Assignee
(주) 세라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라컴 filed Critical (주) 세라컴
Priority to KR1020200155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8561A/en
Publication of KR20220068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5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type sterilization module device using filter capture. The air purifier-type sterilization module device using filter cap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ir path configured to flow air in one direction; a filter for capturing pathogens included in the air flowing in the path; a fan for sending air consistently to the filter to facilitate capture; and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with a wavelength having sufficient energy to eradicate the pathogens captured in the filter. The air purifier-type sterilization module device using filter capture is an air purifier or a module configured to capture pathogens in flowing air and to eradicate the captured pathogens instead of performing eradication in still air space and has the purpose of eradicating pathogens.

Description

필터 포집을 이용한 공기청정기형 살균 모듈 장치{AIR CLENER TYPE STERILIZER MODULE APPARATUS USING FILTER}Air purifier type sterilization module device using filter collection {AIR CLENER TYPE STERILIZER MODULE APPARATUS USING FILT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나 살균 기능을 가진 장치에 포함되어지는 살균 모듈 장치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ilization module device included in an air purifier or a device having a sterilization function.

가시광선 부근의 빛은 해당 파장에 따라 적외선(파장 780nm 이상), 가시광선(파장 780~400nm), 자외선(파장 100~400nm)으로 나뉘며, 자외선의 경우 UV-A(파장 315~400nm), UV-B(파장 280~315nm), UV-C(파장 200~280nm), vacuum UV(파장 100~200nm)로 분리된다. 파장이 낮을수록 빛의 에너지가 높으며 같은 시간동안 더 높은 에너지를 공급할 수가 있다. Light in the vicinity of visible light is divided into infrared rays (wavelength 780 nm or more), visible rays (wavelength 780-400 nm), and ultraviolet rays (wavelength 100-400 nm) depending on the wavelength. It is separated into -B (wavelength 280~315nm), UV-C (wavelength 200~280nm), and vacuum UV (wavelength 100~200nm). The lower the wavelength, the higher the energy of the light, and the higher the energy can be supplied for the same time.

이러한 자외선의 파장별 특수 효과로서 UV-A의 경우 광화학 반을을 이용한 산업용 사용이 유리하여 UV잉크의 경화, 프린팅에 사용되고, UV-B의 경우 피부질환 치료용 등으로 사용된다. 반면 에너지가 높은 UV-C의 경우 살균선이라는 용어를 쓸 정도로 일정 조건이 되면 세포의 DNA, RNA 구조를 파괴하여 해당 세포가 살아갈 수 없게 되고, 사멸에 이르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서 이를 이용한 살균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As a special effect for each wavelength of ultraviolet rays, in the case of UV-A, industrial use using a photochemical band is advantageous, so it is used for curing and printing of UV ink, and in the case of UV-B, it is used for treating skin diseas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high energy UV-C, when certain conditions are met enough to use the term sterilization line, it destroys the DNA and RNA structure of the cell, making the cell unable to live, and has the effect of leading to death. is becoming

특히 살균용 파장으로 254~275nm의 파장이 주로 이용되어 이를 발광하는 소자들도 개발되어 광효률이 낮았던 형광등형인 UV lamp를 개선하여 UV LED들이 개발되고 있다.In particular, UV LEDs are being developed by improving the UV lamp, which is a fluorescent lamp, which has low light efficiency, since the wavelength of 254 to 275 nm is mainly used as the wavelength for sterilization, and devices that emit light have been developed.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청정기 또는 살균기의 살균 모듈의 구성에 팬을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한 방향으로 보내도록 구성하고 해당 공기의 방향중 한곳에 모든 통과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에 헤파필터, 세라믹 분리막 필터 등의 필터를 장착하여 해당 필터에 미세먼지는 물론 세균들이 통과되지 못하고 걸러져 머무를수 있게 포집하고, 이 포집된 필터의 표면을 향해 최적의 거리에서 균들을 사멸시킬 수 있는 자외선 광원이 닿을 수 있도록 자외선 광원을 해당면에 수평 또는 사각으로 준비하여 쪼임으로 인해 균들이 사멸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 이상을 유지하여 해당 필터에 포집된 균들이 모두 살균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상황을 지속적으로 팬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해당 공기청정기 또는 살균기가 놓여진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켜, 균들을 포집하여 반복적인 살균이 유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fa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terilization module of the air purifier or sterilizer to send the flow of air in one direction, and in one of the directions of the air, a HEPA filter and a ceramic separator filter By attaching a filter such as a filter such as fine dust, as well as microbes to the filter, it is collected so that it can be filtered and stayed, and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that can kill the bacteria at an optimal distance reaches the surface of the collected filter. Prepare the light source horizontally or squarely on the corresponding surface to maintain more than enough time for the bacteria to be killed by squeezing so that all bacteria collected in the filter can be sterilized, and repeat this situation using a fan continuously. To provide a structure of a device that circulates air in a space in which the corresponding air purifier or sterilizer is placed and collects germs so that repeated steriliza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필터 포집을 이용한 공기청정기형 살균 모듈 장치는, 단방향으로 공기가 흘러갈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기 통로, 해당 통로내에 흘러가는 공기내에 포함된 균들이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필터에 공기를 지속적으로 보내서 포집이 유리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팬, 필터에 포집된 균들의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를 가진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광원으로 구성하여 공기가 정지된 공간에서 살균하지 않고, 흐르는 공기중의 균들을 포집하고 포집된 균들을 살균하도록 구성된 공기청정기 또는 모듈로서 세라티아균, 레지오넬라균, 결핵균, 살모넬라균, 콜레라균,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비브리오균, 대장균, 인플루엔자균, 전염성간염균, 아데노바이러스, 노타바이러스, 곰팡이류, 누룩곰팡이류, 효모류 들을 살균하는 목적을 가진다.An air purifier type sterilization module device using filter trapping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passage configured to allow air to flow in one direction, and a filter to trap bacteria contained in air flowing in the passage. , It consists of a fan that continuously sends air to the filter so that the collection proceeds favorably, and a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of a wavelength with energy to sterilize the bacteria trapped in the filter. It is an air purifier or module configured to collect bacteria in the flowing air and sterilize the collected bacteria. , It has the purpose of sterilizing infectious hepatitis, adenovirus, notavirus, mold, yeast, yeast.

또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또는 필터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or a filter module for removing fine dust.

또한, 자외선 방출 광원이 파장 200~300nm의 광을 방출하는 UV LED이거나 UV lamp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V emitting light source may be a UV LED or UV lamp emitting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200 to 300 nm.

또한, 살균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기 흐름의 방향을 조절하거나 속도를 낮추는 장치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also include devices or structures that direct or slow down the air flow to increase sterilization efficiency.

또한, 살균에 효과적인 고온용 적외선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n infrared light source for high temperature effective for sterilization.

본 발명을 통해 기존의 흐르는 공기중에 있는 균들을 살균시키는 형태의 공기청정기 또는 살균기의 살균 효율에 비해 공기중에 포함된 균들을 포집하여 살균하는 방법으로 인해 월등히 높은 살균 효율을 가진다.Compared to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an air purifier or sterilizer that sterilizes bacteria in the flowing air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collecting and sterilizing the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has a significantly higher steriliza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포집을 이용한 공기청정기형 살균 모듈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필터 포집을 이용한 공기청정기형 살균 모듈 장치와 다른 실시예들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필터 포집을 이용한 공기청정기형 살균 모듈 장치에 의한 정지 상태의 대장균의 살균 인증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type sterilization module device using filter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the air purifier type sterilization module device using the filter collection of FIG. 1 and other embodiments.
3 to 6 are views showing sterilization authentication data of E. coli in a stationary state by the air purifier type sterilization module device using the filter collection of FIG. 1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may be possible to implement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될 수 있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되며,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인바, 도면에 도시된 내용은 실제 발명의 구현모습에 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기재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tential effects that can be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tail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compared to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mitted or abbreviated.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세균을 살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UV광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는 대상이되는 세균을 배양해놓고, 일정한 거리에서 정해진 시간 이상을 유효파장의 UV광을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효율적인 조건을 찾는다면 대략 10분 정도에서 대부분의 균을 사멸시킬 수 있는 정도의 에너지가 된다. 반면 이동 중인 균을 살균하기 위해서는 순간적인 에너지가 매우 높거나, 이동 중인 균을 따라다니면서 광을 쪼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문제가 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균을 일정하게 고정시켜 놓는 방법이 유리하다.There are various methods to sterilize bacteria, but as a method using UV light, a method of culturing the target bacteria and irradiating UV light with an effective wavelength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from a certain distance is used. It is enough energy to kill most bacteria in a minute or so.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terilize moving bacteria, instantaneous energy is very high, or light must be applied while following moving bacteria, which is a very difficult proble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advantageous to constantly fix the bacteria.

일반 공기청정기는 공기의 흐름을 강제로 제어하여 일정한 공간에 있는 공기를 빨아들여 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류, 세균류, 유해가스 등을 필터링하는 방법으로 일정 장소에 머무르게 포집하거나 줄여서, 이렇게 줄어든 상태의 공기를 다시 배출하여 공기청정기가 놓여진 공간의 공기가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청정해지게 만드는 장치를 말한다. 이런 공기청정기의 대다수는 미세먼지만을 걸러내기 위해 미세먼지 필터인 헤파필터나 다공성 세라믹 필터를 포함시키거나,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 적외선을 통한 가열을 이용하거나, 자외선의 특정파장을 이용하는 모듈을 포함시키거나, 암모니아, 톨루엔, 폼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와 같은 유해가스를 분해 또는 흡착하기 위해 활성탄과 같은 흡착 필터를 이용하거나 광촉매와 같이 스스로의 촉매작용을 이용하여 가스를 분해하는 모듈을 포함하게 된다.General air purifiers control the flow of air forcibly, suck air in a certain space, and filter dust, bacteria, and harmful gases contained in the air. It refers to a device that discharges air again to gradually clean the air in the space where the air purifier is placed over time. Most of these air purifiers include a HEPA filter or a porous ceramic filter, which is a fine dust filter, to filter out only fine dust, or include a module that uses infrared heating to remove bacteria or uses a specific wavelength of UV light. Or, to decompose or adsorb harmful gases such as ammonia, toluene,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an adsorption filter such as activated carbon is used, or a module for decomposing gas using its own catalysis such as a photocatalyst is included.

이런 공기청정기의 본래의 목적이 미세먼지에 중점적으로 맞춰있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 강제로 일정 방향으로 공기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공기의 속도가 빨라 해당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을 살균하고자 하는 장치를 달아도 짧은 시간에 세균이 지나가 버리므로 살균 효율이 좋은 장치라 하더라도 세균이 살균되는 에너지를 포함하는 자외선에 노출되는 시간이 ?J아지며 살균의 효율이 극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런 장치는 제한된 공간의 공기를 반복하여 순환시켜 살균함으로써 살균의 효과를 올리는 방식으로 되어있어 실질적으로 세균을 살균하는 데에는 매우 저효율의 방법이 된다.Since the original purpose of such an air purifier is focused on fine dust, it creates an air flow and forcibly moves the air in a certain direction. Bacteria pass through in a short time even if you put on a sterilizer, so even with a device with good sterilization efficiency, the time the bacteria are exposed to ultraviolet light, which contains the energy to sterilize, shortens, and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drops dramatically. This device is design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terilization by repeatedly circulating and sterilizing air in a limited space, so it is a very low-efficiency method to actually sterilize bacteria.

또한 이와 유사한 작은 면적의 공간을 밀폐시키고 살균하는 장치를 제외하고, 공기를 순환하는 살균 전용 장치(살균기)도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게 되어 살균의 효과가 그리 높이 않다. In addition, except for a device that seals and sterilizes a small space similar to this, a device (sterilizer) dedicated to circulating air uses the same method, so the effect of sterilization is not very high.

특정 파장의 자외선의 경우 일정한 시간을 살균하고자 하는 세균에 쪼임으로 인해 해당 균들의 세포를 사멸시키는 장치의 고유 특성상 일정 시간 동안 세균에게 해당 자외선이 노출되게 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공기의 흐름을 타고 세균이 지나가는 방식의 살균 장치는 세균에게 사멸에 필요한 시간과 에너지를 충분히 줄 수 없기 때문에 해당 특성에 반하는 장치가 된다.In the case of UV rays of a specific wavelength, it is essential to expose the UV rays to the bacteri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ue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that kills the cells of the bacteria due to exposure to the bacteria to be steriliz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 pass-through sterilization device is a device that goes against its characteristics because it cannot give enough time and energy to kill bacteria.

이에 이를 더욱 효과가 높아지도록 구성된 장치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 necessity of a device configured to further increase the effect is emphasized.

자외선의 살균 원리는 자외선을 DNA에 조사되면 DNA의 염기 중 티민의 분자구조가 집중적으로 파괴된다. 자외선을 흡수한 티민은 이웃한 티민이나 시토신과 눌러붙게 됩니다. 이와 같이 티민이 중합되면 DNA의 복제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생명체로서의 기능이 정지하게 된다. 세균들마다 자외선에 대한 민감성이 차이가 나는 것은 DNA속에 포함된 티민의 양이 다르기 때문으로 이외에도 자외선은 세포막을 이루는 인지질과 단백질을 산화시켜 세균들의 생명활동이 연장되지 못하도록 한다.The principle of sterilization of ultraviolet rays is that when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to DNA,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ymine among the bases of DNA is intensively destroyed. Thymine that absorbs UV light sticks to neighboring thymine or cytosine. When thymine is polymerized in this way, DNA replication cannot take place properly, so its function as a living organism stops. The difference in sensitivity to ultraviolet light between bacteria is because the amount of thymine contained in DNA is different. In addition, ultraviolet light oxidizes phospholipids and proteins that make up cell membranes, preventing the extension of life activities of bacteria.

자외선의 살균효과는 파장 및 강도, 조사 시간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250 ~ 260nm 파장의 uv가 가장 효과적으로 250 ~ 260nm 파장에서의 살균효과는 피 조사되는 적산UV량(방사강도×조사시간)에 비례 관계가 있다.The sterilization effect of ultraviolet rays varies depending on the wavelength, intensity, and irradiation time. In particular, UV with a wavelength of 250 to 260 nm is the most effective. There is a relationship.

또한 자외선 살균효과는 많은 균종과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비슷한 효과가 있다. 특히 새로 생기는 변종에 대한 살균 효과도 기존의 알려진 바이러스와 비슷하다 것은 약품에 의한 살균 보다 매우 큰 장점이다.In addition, the UV sterilization effect has a similar effect on many bacterial species and viruses. In particular, the sterilization effect on new strains is similar to that of known viruses, which is a huge advantage over sterilization by drugs.

조사된 UV광에 노출된 균의 생존율은 조사량(방사강도×조사시간)에 대해 거의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낸다.The survival rate of bacteria exposed to the irradiated UV light decreases almost exponentially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irradiation (radiation intensity × irradiation time), and is expressed as follows.

S = P/P0 = e(-Et)/QS = P/P0 = e(-Et)/Q

S : 살균의 생존율S: survival rate of sterilization

P : 조사후의 균수(군체수)P: Number of bacteria after irradiation (number of colonies)

P0 : 조사전의 균수(군체수)P0: number of bacteria before irradiation (number of colonies)

E : 살균선의 방사강도 (μW/cm^2)E : Radiation intensity of sterilization line (μW/cm^2)

t : 조사시간 (min)t : irradiation time (min)

Q : 기초조사량 - 생존율 S가 1/e(36.8%)가 되는데 필요한 살균선 조사량 (μWmin)Q: Basic dose - sterilization radiation dose (μWmin) required for survival rate S to become 1/e (36.8%)

Q의 값은 동일균종이라도 그 환경에 따라 달라서 비교적 건조한 상온공기 중의 대장균에 대한 Q의 값은 약 5μW·min/cm^2이지만, 습한 공기중에서는 이 2배정도이고, 배지상에서는 3 ~ 5배, 수중에서는 약 8배의 값이 된다. 이 데이터는 대부분의 균은 습도에 따라서 UV살균을 하여도 잘 죽지 않음을 의미하기도 하고, 수분이 있으면 균이 잘 살아간다는 것을 나타낸다.The value of Q for E. coli in relatively dry room temperature air is about 5 μW min/cm^2, but it is about twice this in humid air, and 3 to 5 times on the medium, In water, it is about 8 times the value. This data means that most bacteria do not die well even after UV sterilization depending on the humidity, and it indicates that the bacteria survive well if there is mois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포집을 이용한 공기청정기형 살균 모듈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필터 포집을 이용한 공기청정기형 살균 모듈 장치와 다른 실시예들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필터 포집을 이용한 공기청정기형 살균 모듈 장치에 의한 정지 상태의 대장균의 살균 인증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type sterilization module device using filter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the air purifier type sterilization module device using filter collection of FIG. 1 and other embodiments. It is a drawing. 3 to 6 are views showing sterilization authentication data of E. coli in a stationary state by the air purifier type sterilization module device using the filter collection of FIG. 1 .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청정기 또는 살균기의 살균 모듈의 구성에 팬을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한 방향으로 보내도록 구성하고 해당 공기의 방향중 한곳에 모든 통과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에 헤파필터, 세라믹 분리막 필터 등의 필터를 장착하여 해당 필터에 미세먼지는 물론 세균들이 통과되지 못하고 걸러져 머무를수 있게 포집하고, 이 포집된 필터의 표면을 향해 최적의 거리에서 균들을 사멸시킬 수 있는 자외선 광원이 닿을 수 있도록 자외선 광원을 해당면에 수평 또는 사각으로 준비하여 쪼임으로 인해 균들이 사멸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 이상을 유지하여 해당 필터에 포집된 균들이 모두 살균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상황을 지속적으로 팬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해당 공기청정기 또는 살균기가 놓여진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켜, 균들을 포집하여 반복적인 살균이 유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fa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terilization module of the air purifier or sterilizer to send the flow of air in one direction, and in one of the directions of the air, in the passage through which all the air passes. By installing filters such as HEPA filters and ceramic separator filters, the filter collects fine dust as well as bacteria so that they cannot pass through and stays filtered. Prepare the UV light source horizontally or squarely on the corresponding surface so that the light source can reach it, and maintain it for more than enough time for the bacteria to be killed by squeezing, so that all the bacteria collected in the filter can be sterilized, and keep this situation continuously To provide a structure of a device that repeatedly circulates air in a space in which the corresponding air purifier or sterilizer is placed using a fan to collect bacteria so that repeated steriliza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공기청정기 또는 살균기에 효율적인 살균 효과를 위해서는 일정한 공간에 포집하고 이것을 살균하는 방식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자외선 광원, 자외선 광원 고정 PCB, 팬, 필터와 이러한 것들이 공기의 흐름에 순차적으로 접할 수 있게 처리하고 공기가 다른 곳으로 새지 않도록 하는 공기 흐름 통로를 포함한다.For an effective sterilization effect on an air purifier or sterilizer, it is necessary to collect it in a certain space and sterilize it. Includes airflow passages to prevent leaks elsewhere.

팬은 공기청정기나 살균기의 한 방향에서 공기를 유입시켜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로 일정한 통로를 구성하여 해당 통로의 한곳에 통로의 방향으로 공기가 흘러갈 수 있도록 팬이 한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배치한다. 이때 공기청정기의 미세먼지를 걸러내기 위한 공기 흐름을 위한 팬과 겸할수도 있다.A fan is a device for introducing air from one direction of an air purifier or sterilizer and discharging air in the other direction. place it At this time, it can also serve as a fan for air flow to filter out fine dust from the air purifier.

또한 필터는 앞선 팬을 이용하여 이동된 공기의 전체가 앞서 준비한 통로를 통해서 지나가면서 거쳐 지나갈 수 있도록 통로의 공기 흐름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게 되고 설치된 필터의 모양에 따라 통로의 팬 위치보다 전단이나 후단에 설치할 수 있다. 필터는 걸러내어 포집될 균들의 크기보다 작은 통과 구멍을 가진 분리막형 필터로 헤파필터(H10~H14)를 사용하거나 오픈포어 직경이 0.05~10μm인 세라믹 재질의 필터, 또는 이러한 정도의 통과 구멍을 가진 다른 재질의 필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air flow of the passage so that all of the air moved using the preceding fan can pass through the passage prepared previousl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installed filter,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fan can be installed on The filter is a separator-type filter with a passage hol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bacteria to be filtered and collected. Use a HEPA filter (H10 ~ H14) or a ceramic filter with an open pore diameter of 0.05 ~ 10 μm, or a filter with such a passage hole. It may be a filter of a different material.

또한 광원은 포집된 균들이 모여지는 필터를 가능한 넓은 면적으로 쪼여질 수 있도록 필터에 대해 수평 또는 사선으로 놓여지도록 배치되어 충분한 광원의 에너지가 필터에 닿을 수 있는 가까운 구조로 구성한다. 광원의 파장은 200~300nm중 일부의 파장을 방출하는 것을 사용하며 대상 균이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의 경우 10,000~20,000Ws/cm^2, 곰팡이의 경우 약 80,000Ws/cm^2의 광출력이 가능한 것을 사용한다. 이렇게 구성된 광원은 PCB(회로인쇄기판)이나, 개별 공정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고정된 광원 및 광원 고정장치나 PCB에 공기의 흐름이 막히지 않도록 광원 발광 지점을 제외한 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멍을 뚫어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In addition, the light source is arranged to be placed horizontally or obliquely to the filter so that the filter where the collected bacteria are collected can be applied to a wide area as possible, so that the energy of the light source is close enough to reach the filter. The wavelength of the light source is one that emits some of the wavelengths from 200 to 300 nm, and the light output of 10,000 to 20,000 Ws/cm^2 for bacteria or viruses and about 80,000Ws/cm^2 for mold is used. use. The light source configured in this way can be fixed using a PCB (circuit printed board) or an individual process device, and all or part of the part except for the light source emitting point is removed so that the air flow is not blocked in the fixed light source and the light source fixing device or the PCB. Punch a hole to allow air to flow smoothly.

앞서 배치된 팬, 필터, 광원이 순차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일정한 통로상에 놓여지며 해당 통로를 통해 공기의 한 방향으로 흐름이 있게 구성하고, 해당 통로의 필터 부분이 공기가 새어 나가거나 새어 들어오지 않도록 필터의 측면 틈새가 없도록 구성한다.It is placed on a certain passage so that the previously placed fans, filters, and light sources can be placed sequentially, and the air flows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passage. It is constructed so that there are no side gaps.

또한 본 구성중에 미세먼지 제거용 필터 시스템을 갖춘 공기청정 장치 또는 모듈, 유해가스 분해용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장치 또는 모듈, 유해가스 흡착 및 제거용 활성탄 모듈과 일부 구성물을 공유할 수 있거나, 같은 공간에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다른 기능과 겸하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ome components can be shared with an air cleaning device or module equipped with a filter system for removing fine dust, a titanium dioxide photocatalyst device or module for decomposing harmful gases, and an activated carbon module for adsorption and removal of harmful gases, or sequentially in the same space. It can be arranged as a function to further improve the efficiency by combining with other function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is is als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o fall within the scope of

Claims (5)

단방향으로 공기가 흘러갈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기 통로, 해당 통로내에 흘러가는 공기내에 포함된 균들이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필터에 공기를 지속적으로 보내서 포집이 유리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팬, 필터에 포집된 균들의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를 가진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광원으로 구성하여 공기가 정지된 공간에서 살균하지 않고, 흐르는 공기중의 균들을 포집하고 포집된 균들을 살균하도록 구성된 공기청정기 또는 모듈로서 다음의 균들을 살균하는 목적을 가진 필터 포집을 이용한 공기청정기형 살균 모듈 장치.
세라티아균
레지오넬라균
결핵균
살모넬라균
콜레라균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비브리오균
대장균
인플루엔자균
전염성간염균
아데노바이러스
노타바이러스
곰팡이류
누룩곰팡이류
효모류
An air passage that allows air to flow in one direction, a filter that allows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 the passage to be collected, a fan that continuously sends air to the filter so that the collection proceeds favorably, and the filter collects An air purifier or module configured to collect and sterilize the bacteria in the flowing air without sterilizing in a space where the air is still, composed of a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of a wavelength with energy to sterilize the bacteria As an air purifier type sterilization module device using filter collection for the purpose of sterilizing the following bacteria.
serratia
Legionella
Mycobacterium tuberculosis
Salmonella
cholera
streptococci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bacteria
coli
influenza
Infectious hepatitis
adenovirus
notavirus
fungus
yeast mold
yeast
제1 항에 있어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또는 필터 모듈을 더 포함하는 필터 포집을 이용한 공기청정기형 살균 모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air purifier type sterilization module device using filter collection further comprising a filter or filter module for removing fine dust.
제1 항에 있어서,
자외선 방출 광원이 파장 200~300nm의 광을 방출하는 UV LED이거나 UV lamp를 이용하는 필터 포집을 이용한 공기청정기형 살균 모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air purifier-type sterilization module device using a UV LED that emits light with a wavelength of 200 to 300 nm as a UV emitting light source or filter collection using a UV lamp.

제1 항에 있어서,
살균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기 흐름의 방향을 조절하거나 속도를 낮추는 장치나 구조물을 포함하는 필터 포집을 이용한 공기청정기형 살균 모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air purifier type sterilization module device using filter collection, which includes a device or structure that controls the direction or lowers the speed of air flow to increase sterilization efficiency.
제1 항에 있어서,
살균에 효과적인 고온용 적외선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포집을 이용한 공기청정기형 살균 모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air purifier type sterilization module device using filter coll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frared light source for high temperature effective for sterilization.

KR1020200155471A 2020-11-19 2020-11-19 Air clener type sterilizer module apparatus using filter KR202200685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471A KR20220068561A (en) 2020-11-19 2020-11-19 Air clener type sterilizer module apparatus using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471A KR20220068561A (en) 2020-11-19 2020-11-19 Air clener type sterilizer module apparatus using fi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561A true KR20220068561A (en) 2022-05-26

Family

ID=8180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471A KR20220068561A (en) 2020-11-19 2020-11-19 Air clener type sterilizer module apparatus using fil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856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7873C2 (en) Fluid processing device
US20040166037A1 (en) Air filtration and treatment apparatus
KR102211993B1 (en) Sterilization Module for Hepa Filter Mounting and Air purifier or air handling unit that contains this
KR101922560B1 (en) Air purification device having an antimicrobial function by the photoelectric effect
KR102219356B1 (en) Air Cleaner Comprising Ultraviolet Air Sterilizer
US20230001040A1 (en) Air sterilizing device
KR20150124646A (en) Apparatus of insect trap including air conditioning ability
KR20190119861A (en) Air purification device
KR20170090209A (en) Air sterilizing unit and air cleaner comprising the same
KR20150123037A (en) Apparatus of insect trap including air conditioning ability
JP7011401B2 (en)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method
KR101463216B1 (en) Apparatus for omitting bad smell having improved efficiency
KR20080100047A (en) Fluid cleaner having 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
KR102263083B1 (en) Air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apparatus
KR200443340Y1 (en) Air Sterilizer equipped with dual fan and dual case
KR20220068561A (en) Air clener type sterilizer module apparatus using filter
CN112254260A (en) Device for removing new coronavirus in air
JP4113345B2 (en) Sterilization filter unit and air purification system
JP2003116973A (en)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air
JP2005342142A (en) Air purifier and air conditioner using it
RU2386451C2 (en) Method of indoor air disinfection
JP2007000101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
KR20230009023A (en) The high perfomance antiviral sterilization system securing the antibacterial effect and UV-C sterilization time of the silver fiber HEPA filter
KR102487242B1 (en) Air purifier for air conditioner
US20230277717A1 (en) Uv-c light in the ventilator unit of individually ventilated cag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