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976A - 긴담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긴담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976A
KR20220067976A KR1020200154811A KR20200154811A KR20220067976A KR 20220067976 A KR20220067976 A KR 20220067976A KR 1020200154811 A KR1020200154811 A KR 1020200154811A KR 20200154811 A KR20200154811 A KR 20200154811A KR 20220067976 A KR20220067976 A KR 20220067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long tobacco
tobacco
aller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규
박태후
권유진
정상훈
권학철
최용수
배애님
이재욱
김지윤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54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7976A/ko
Publication of KR20220067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원에는 긴담배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긴담배풀 에탄올 추출물 또는 긴담배풀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세포 독성이 없어 인체에 안전하고, STAT6 활성 억제, 비만세포가 갖고 있는 과립 배출 억제 및 NO 생성 저해 활성을 가짐으로써 알러지 비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긴담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ALLERGY COMPRISING EXTRACT OF CARPESIUM DIVARICATUM}
본 개시물에는 좀담배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알러지 비염 (allergic rhinitis)은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동시에 머리가 무겁고 눈물이 나오기도 한다. 1년 중 환절기라든지 추운 계절에 많이 나타나며, 흔히 코감기로 혼동되는데 감기와는 다르며 천식이나 두드러기를 동반하는 경우도 많다.
알러지 비염은 염증 반응을 수반하는 자가면역질환 중의 하나로서, 알러지 비염을 앓는 환자들에게서는 인터루킨-4 (interleukin-4, IL-4), 인터루킨-5 (IL-5), 인터루킨-13 (IL-13)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알러지 비염을 앓는 경우 항알러지제나 항히스타민제, 항생제나 소염제 등이 처방되고 있다. 세포 면역 반응에 의해 분비된 히스타민은 혈관의 염증을 유발하는데,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히스타민 분비가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되지만 꽃가루와 같은 항원에 반응한 경우라면 알러지를 일으키게 된다. 이때, 항히스타민제는 감염 방지를 위해 세포에서 분비된 히스타민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하는데, 일반적으로 항히스타민제는 알러지 비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높지 않고, 졸음이 오거나, 현기증, 구강 건조, 흥분, 식욕 부진, 복통, 변비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코막힘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항히스타민제는 근본적인 치료제가 아니고 일시적으로 증상을 조절하는 것이기 때문에 약효는 12-24시간이다. 따라서, 항히스타민제는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는데, 항히스타민제 복용 시 간이나 신장으로 대사되어서 전신에 흡수되기 때문에 매일 먹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알러지 비염에 대한 처방 중 하나로써 코막힘을 없애기 위해서 코에 뿌리는 국소용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데, 이 역시 사용하는 순간에는 증세를 없애지만 오래 사용하면 오히려 축농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2주 이상 사용해선 안된다. 항생제나 소염제 또한 일시적 증상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뿐이다. 이와 같이, 알러지 비염을 완치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치료 효과가 우수한 알러지 비염의 치료제에 대한 요구가 높은 실정이다.
KR 10-2011-0077131 A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긴담배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긴담배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비염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긴담배풀 (Carpesium divaric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의 농도는 70 내지 95% (v/v)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물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5 내지 20 ㎍/ml의 농도로 조성물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알러지 비염 (allergic rhiniti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알러지 비염 (allergic rhinitis)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에 개시된 기술은 긴담배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에 개시된 기술은 긴담배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비염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물에 따른 조성물은 세포 독성이 없어 인체에 안전하고, STAT6 활성 억제, 비만세포가 갖고 있는 과립 배출 억제 및 NO 생성 저해 활성을 가짐으로써 알러지 비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험예에서 HPLC 성분 분석에 이용된 용매의 농도 구배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분(min), 세로축은 A 용매(%)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험예에 따른 담배풀 에탄올 추출물의 HPLC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험예에 따른 담배풀 물 추출물의 HPLC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일 실험예에 따른 긴담배풀 에탄올 추출물의 HPLC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실험예에 따른 긴담배풀 물 추출물의 HPLC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 실험예에 따른 긴담배풀 추출물의 세포 독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일 실험예에 따른 긴담배풀 추출물의 STAT6 활성 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은 일 실험예에 따른 긴담배풀 추출물의 탈과립 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일 실험예에서 담배풀 추출물과 긴담배풀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활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개시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긴담배풀 (Carpesium divaric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긴담배풀 (Carpesium divaric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긴담배풀 (Carpesium divaric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긴담배풀 (Carpesium divaric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비염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유효성분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로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원에서 알러지는 생물체가 어떤 외래성 물질 (allergen)과 접해 항원항체반응에 의하여 나타나는 생체 내 반응 변화 현상을 총칭한다. 상기 외래성 물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구체적으로 꽃가루, 약물, 식물성 섬유, 미세먼지, 세균, 음식물, 염색약 또는 화학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알러지의 예방 또는 치료용이란 알러지 및 알러지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이의 치료 용도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예방 또는 치료의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알러지 유발물질 등의 생성을 근본적으로 억제하여 상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알러지 개선용이란 알러지 및 알러지와 관련된 질환의 정도를 낮추어 주거나 완화시키는 용도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미 발생한 질환의 정도를 낮추어 주거나 완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본 개시물의 조성물이 알러지 유발물질을 근본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알러지 및 알러지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도 가능할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알러지는 알러지 비염 (allergic rhinitis), 고초열 (hay fever), 퀸케부종 (Quincke's edema), 아나필락시스 (anaphylaxis), 두드러기 (hives), 알러지성 결막염 (allergic conjunctivitis) 및 알러지성 각막염 (allergic keratiti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 긴담배풀 추출물은 긴담배풀의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추출물의 가공물, 예를 들어 건조, 농축, 분획, 발효 등 추가적인 가공에 의한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긴담배풀 추출물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긴담배풀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긴담배풀 추출물은 4) '단계 3)'의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긴담배풀은 재배한 것, 채취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의 제한이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단계 1)의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6, 또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추출용매의 양은 긴담배풀 중량의 1 내지 20 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배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1)의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이 있으며, 1회 내지 5회 추출될 수 있다. 추출하는 온도는 10 내지 100 ℃, 또는 50 내지 80 ℃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온에서 추출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하는 시간은 1시간 내지 7일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추출하는 방법은 초임계 추출, 아임계 추출, 고온 추출, 고압 추출 등의 추출 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한 방법 또는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나 자연발효 방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 유체 추출법으로 긴담배풀 추출물의 제조가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초임계 유체는 기체가 고온 고압 조건에서 임계점에 도달하였을 때 갖는 액체 및 기체의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화학적으로 비극성 용매와 유사한 극성을 지니고 있어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초임계 유체는 지용성 물질의 추출에 사용되고 있다. 이산화탄소는 초임계 유체기기의 작동으로 압력 및 온도가 임계점까지 이르는 과정을 거치면서 액체 및 기체 성질을 동시에 지닌 초임계 유체가 되고 그 결과 지용성 용질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일정량의 시료를 함유한 추출 용기를 통과하게 되면 시료에 함유된 지용성 물질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추출되어 나온게 된다. 지용성 물질을 추출한 후 추출 용기에 남아있는 시료에 다시 소량의 공용매가 함유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흘려 통과시키면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로는 추출되지 않았던 성분들이 추출되어 나오게 할 수도 있고, 이러한 공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된 시료는 대부분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산화탄소는 실온에서 공기 중으로 휘발되며, 공용매는 감압증발기로 제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초음파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초음파 추출법으로 긴담배풀 추출물의 제조가 가능하다. 초음파가 수용성 용매 속에서 시료에 포함된 불용성 물질을 파괴할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높은 국부온도로 인하여 주위에 위치하는 반응물 입자들의 운동에너지를 크게 하기 때문에 반응에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얻게 되고, 초음파 에너지의 충격 효과로 높은 압력을 유도하여 시료에 함유된 물질과 용매의 혼합 효과를 높여 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발효 과정을 거쳐 긴담배풀 추출물의 제조가 가능하다. 긴담배풀을 100 내지 500 메쉬 정도로 미세하게 파쇄한 다음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액을 1 내지 50 g/L로 첨가하고 효모균 또는 유산균 등의 미생물을 10,000 내지 100,000 cfu/L의 양으로 첨가한다. 배양 온도는 30 내지 37℃의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 조건으로 배양하고 pH는 5 내지 7로 호기적 또는 혐기적인 조건에서 약 5 내지 10일간 배양하며, 이후 숙성 및 여과를 통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감압농축 후 건조할 수 있으며, 건조는 감압 건조, 진공 건조, 비등 건조, 분무 건조, 상온 건조 또는 동결 건조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단계 4)의 유기용매는 노르말-헥산, 염화 메틸렌,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노르말-부탄올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4)의 분획물은 긴담배풀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노르말-헥산, 염화 메틸렌, 에틸아세테이트, 노르말-부탄올 및 물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수득한 노르말-헥산 분획물, 염화 메틸렌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노르말-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획물은 긴담배풀 추출물로부터 분획 과정을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하여 수득할 수 있고, 분획 후 감압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의 농도는 70 내지 95% (v/v)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물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에탄올 추출물은 5 내지 20 ㎍/ml, 5 내지 15 ㎍/ml, 5 내지 10 ㎍/ml, 5 내지 7 ㎍/ml, 또는 5.55 내지 16.6 ㎍/ml의 농도로 조성물에 포함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물 추출물은 20 내지 100 ㎍/ml의 농도로 조성물에 포함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제, 현탁제, 유액제, 겔제, 점적제, 크림제, 연고제, 패취제, 패드제 또는 분무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형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부형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현탁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또는 완충제, 착색제, 향신료, 안정화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투여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001 mg/g/일 내지 100 mg/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0.5 mg/g/일 내지 50 mg/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인 것일 수 있다.
본 개시물에서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식품 첨가제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침출차, 액상차, 음료, 발효유, 치즈, 요구르트, 주스, 생균제제 또는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또는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또는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명세서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 또는 0.01 내지 3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물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개시물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개시물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비교예 1. 담배풀 추출물의 제조
담배풀 (Carpesium abrotanoides)의 전초를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게 잘게 분쇄하였다. 이후, 전초 분쇄물 1 kg에 물 10 L와 70% (v/v) 에탄올 수용액 10 L를 각각 가하여 담배풀 물 추출물 (W)과 담배풀 에탄올 추출물 (E)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환류 추출 방법으로 80 ℃에서 가열한 후 추출물을 여과지에 통과시켰다. 위의 과정을 3회 반복하고 용매를 감압 휘발시켜 121.9 mg (물 용매 사용), 172.3 mg (에탄올 용매 사용)의 농축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담배풀 추출물은 DMSO (Dimethyl sulfoxide)에 녹인 후, 하기 실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긴담배풀 추출물의 제조
긴담배풀 (Carpesium divaricatum)의 전초를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게 잘게 분쇄하였다. 이후, 전초 분쇄물 1 kg에 물 10 L와 70% (v/v) 에탄올 수용액 10 L를 각각 가하여 긴담배풀 물 추출물 (W)과 긴담배풀 에탄올 추출물 (E)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환류 추출 방법으로 80 ℃에서 가열한 후 추출물을 여과지에 통과시켰다. 위의 과정을 3회 반복하고 용매를 감압 휘발시켜 108.3 mg (물 용매 사용), 163.7 mg (에탄올 용매 사용)의 농축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긴담배풀 추출물은 DMSO (Dimethyl sulfoxide)에 녹인 후, 하기 실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HPLC 성분 분석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담배풀 추출물 및 긴담배풀 추출물의 화학적 프로파일링을 비교하기 위해 하기 조건으로 HPLC 분석하였다.
- 검출기기명 : Agilent 1200 LC-MS
- 컬럼 : Phenomenex C18 column (4.6 mm ⅹ 150 mm, 5 μm), C18 guard column (4.6 mm ⅹ 12.5 mm, 5μm)
- 용매 조건 : 30 ℃, Solvent A (MeCN, 0.05% FA), Solvent B (water, 0.05% FA), 도 1 참조
- 유속 : 0.7 mL/min, 주입 사이에 7분간 평형 유지
그 결과, 담배풀 추출물과 긴담배풀 추출물은 각기 다른 화학적 프로파일링을 나타내어 추출물에 함유된 화학 성분군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같은 식물이라 하더라도 추출 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화학적 프로파일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 내지 5 참조).
실험예 2. MTT assay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긴담배풀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EZ-Cytox kit (DAEILLAB Co, Ltd, Republic of Korea)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확인하였다.
RAW 264.7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25,000 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37 ℃, 5% CO2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각각의 긴담배풀 추출물을 농도별 (5.55~50 ㎍/mL)로 처리하여 2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LPS (1 ㎍/mL)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한 후 플레이트에 EZ-Cytox 용액을 처리하여 37 ℃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LPS 단독 처리군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하여 나머지 실험군의 세포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긴담배풀 에탄올 추출물 (E)은 50 ㎍/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이 현저하게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도 6 참조). 한편, 긴담배풀 물 추출물 (W)은 모든 농도 범위에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STAT6 assay
STAT6는 알레르기 반응에 있어서 IL-4에 의해 활성화되어 하위 신호전달체계를 활성화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한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긴담배풀 추출물의 STAT6 활성 억제 효능을 아래와 같이 확인하였다.
HEK-Blue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40,000 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37 ℃, 5% CO2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각각의 긴담배풀 에탄올 추출물 (E)을 농도별 (33.3~100 ㎍/mL)로 처리하여 2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IL-4 (1 ng/mL)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등액을 취득하여 quanti-blueTM와 반응시킨 후 6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IL-4 단독 처리군의 STAT6 활성을 100%로 하여 나머지 실험군의 STAT6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긴담배풀 에탄올 추출물 (E)은 농도 의존적으로 STAT6 활성 억제 효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7 참조).
실험예 4. Degranulation assay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긴담배풀 추출물의 탈과립 억제 효능을 아래와 같이 확인하였다.
비만세포주인 RBL-2H3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25,000 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IgE 100 ng/mL를 첨가하여 37 ℃, 5% CO2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긴담배풀 에탄올 추출물 (E)을 농도별 (5.55~50 ㎍/mL)로 처리하여 2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DNP-BSA (100 ng/mL)를 처리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등액을 취하여 기질 버퍼 (substrate buffer)와 1시간 동안 37 ℃에서 암반응시킨 후, 정지 용액 (stop solution)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IgE 및 DNP-BSA 처리군의 탈과립 억제 활성을 기준으로 나머지 실험군의 탈과립 억제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긴담배풀 에탄올 추출물 (E)은 농도 의존적으로 탈과립 억제 효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8 참조).
실험예 5. NO assay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담배풀 추출물 및 긴담배풀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효능을 아래와 같이 확인하였다.
RAW 264.7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25,000 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37 ℃, 5% CO2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각각의 추출물을 농도별 (5.55~50 ㎍/mL)로 처리하여 2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LPS (1 ㎍/mL)를 처리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등액을 취하여 그리스 시약 (griess reagent)과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긴담배풀 추출물은 담배풀 추출물에 비해 NO 생성 억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긴담배풀 에탄올 추출물 (E)은 담배풀 에탄올 추출물 (E)과 비교하여 저농도에서 현저하게 높은 NO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긴담배풀 물 추출물 (W)은 농도 의존적으로 NO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담배풀 물 추출물 (W)의 NO 억제 효과보다 우수하였다 (도 9 참조).
본 개시물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물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 제제예 1] 연질캅셀제
실시예 1의 긴담배풀 에탄올 추출물 150 mg, 팜유 2 mg, 팜경화유 8 mg, 황납 4 mg 및 레시틴 6 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캡슐 당 400 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2] 정제
실시예 1의 긴담배풀 에탄올 추출물 150 mg, 포도당 100 mg, 홍삼 추출물 50 mg, 전분 96 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 ℃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 제제예 3] 과립제
실시예 1의 긴담배풀 에탄올 추출물 150 mg, 포도당 100 mg, 홍삼 추출물 50 mg 및 전분 600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1 g으로 하였다.
[ 제제예 4] 드링크제
실시예 1의 긴담배풀 에탄올 추출물 150 mg, 포도당 10 g, 홍삼 추출물 50 mg, 구연산 2 g 및 정제수 187.8 g을 혼합하고 병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용량은 200 ml로 하였다.
[ 제제예 5] 건강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긴담배풀 에탄올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 .......................................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 제제예 6] 건강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긴담배풀 에탄올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 비율을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개시물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개시물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본 개시물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개시물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물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긴담배풀 (Carpesium divaric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인, 항알러지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의 농도는 70 내지 95% (v/v)인, 항알러지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물 추출물인, 알러지 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5 내지 20 ㎍/ml의 농도로 조성물에 포함된 것인, 항알러지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러지 비염 (allergic rhiniti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인, 항알러지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 비염 (allergic rhinitis)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인, 항알러지용 조성물.
KR1020200154811A 2020-11-18 2020-11-18 긴담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KR20220067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811A KR20220067976A (ko) 2020-11-18 2020-11-18 긴담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811A KR20220067976A (ko) 2020-11-18 2020-11-18 긴담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976A true KR20220067976A (ko) 2022-05-25

Family

ID=8180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811A KR20220067976A (ko) 2020-11-18 2020-11-18 긴담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79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131A (ko) 2009-12-30 2011-07-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장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131A (ko) 2009-12-30 2011-07-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장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983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ctinidia arguta and related speci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and non-allergic inflammatory disease
RU2523384C2 (ru) Фитокомплекс из плодов бергамота,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и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пищевой добавки и в области фармакологии
AU2006218875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Actinidia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00111927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ctinidia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2218823B1 (ko) 지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KR20160125019A (ko) 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2093A (ko) 피부 질환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29003B1 (ko) 황칠 추출물 또는 황칠액 발효대사체를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1435B1 (ko) 상추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수면 유도 조성물 제조방법
KR102369924B1 (ko) 섬초롱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67961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2536812B1 (ko) 장수만리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KR102479482B1 (ko) 좀담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KR101865142B1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067976A (ko) 긴담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JP5403320B2 (ja) 天然抽出物より得られた脱顆粒抑制剤、β−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抗アレルギー剤および抗炎症剤
KR101999374B1 (ko) 감 발효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220098594A (ko)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1066673A (ja) アレルギー性の鼻炎症状抑制剤
KR20200117501A (ko) 신경세포 손상 개선 또는 신경세포 사멸 억제용 조성물
KR102542555B1 (ko) 식물성 뮤신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6006B1 (ko)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93731B1 (ko) 맥문동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JP2023509324A (ja) アトピー皮膚炎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20210017293A (ko) 좁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