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928A - 터널형 소독 장치 - Google Patents

터널형 소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928A
KR20220067928A KR1020200154725A KR20200154725A KR20220067928A KR 20220067928 A KR20220067928 A KR 20220067928A KR 1020200154725 A KR1020200154725 A KR 1020200154725A KR 20200154725 A KR20200154725 A KR 20200154725A KR 20220067928 A KR20220067928 A KR 20220067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infectant solution
spray nozzle
particles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근
Original Assignee
(주)에이버츄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버츄얼 filed Critical (주)에이버츄얼
Priority to KR1020200154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7928A/ko
Publication of KR2022006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형 소독 장치에 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널형 소독 장치는 출입자가 지나가는 출입 통로를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소독액을 소독 미립자로 무화시키는 무화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무화된 상기 소독 미립자를 상기 출입 통로를 항해 분무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무 노즐부; 및 상기 분무 노즐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무 노즐부 내의 상기 소독 미립자로부터 액화된 상기 소독액을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배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널형 소독 장치{A tunnel type disinf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터널형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면서 사용자의 피부 또는 의복에 존재하는 세균 등을 살균할 수 있는 터널형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 19, 돼지열병 바이러스, 신종플루 등이 널리 확산되면서 전염성 질병의 확산에 대한 예방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염성질병의 대부분은 피부접촉 및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접촉은 특히 사용자의 손, 의류, 가방, 집기 등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러한 접촉은 학교, 버스 등 기타 공공장소에 널리 퍼져있어 이러한 전염성 질병의 확산을 특히 위협하고 있다.
의료당국에서는 이러한 전염성질병의 확산의 예방을 위해 이러한 사람 사이의 접촉이 많은 지역 및 공간에 소독액을 정기적으로 살포하는 방법을 하나의 예방책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소독액은 전염성질병의 병원균을 제거, 확산방지, 운동성을 저하 시킴으로써 병원균의 왕성한 활동을 억제하는데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현재 이러한 소독액의 살포는 정부당국의 주도하에 간이 분무장치에 의해 사람이 손으로 하고 있거나, 자동차에 달린 분무장치 등을 이용하여 실외에서만 행해지고 있다. 하지만, 해당 방법은 건물의 사전 방역에는 적용될 수 있으나, 건물을 방역한 후에 건물 출입자를 통한 병원균, 세균 등의 유입을 막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출입자를 통한 병원균, 세균 등의 유입을 막기 위한 방역 방법 및 장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인 추세이다.
(특허 문헌 1)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2-0005478호(2012.07.30.)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무 노즐부 내의 소독액이 분무 홀을 통해 흘러나와 본체를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널형 소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무 홀을 통해 흘러나오거나 분무 노즐부 내의 소독액을 소독액 공급부로 바이패스하여 소독액을 재활용할 수 있는 터널형 소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널형 소독 장치는 출입자가 통과하는 출입 통로를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소독액을 소독 미립자로 무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무화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무화부에서 무화된 상기 소독 미립자를 상기 출입 통로를 항해 분무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무 노즐부; 및 상기 분무 노즐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무 노즐부 내의 상기 소독액을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배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분무 노즐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위치되고, 상기 소독 미립자가 분무되는 분무 홀; 상기 몸체 내에 위치되고, 상기 소독 미립자를 상기 분무 홀로 안내하는 안내 유로; 상기 분무 홀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안내 유로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된 수용 홈; 및 상기 몸체 내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 홈과 상기 바이패스 배관부를 연결하는 배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분무 노즐부는, 상기 안내 유로 내를 유동하는 상기 소독 미립자를 가열하는 가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분무 노즐부는, 상기 몸체의 일면 상에 설치되고, 상기 분무 홀에서 토출된 소독액을 수용하는 액 받이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배관부는 상기 액 받이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액 받이 부재에 수용된 소독액을 바이패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무화부는, 상기 소독액을 초음파 진동시켜 상기 소독 미립자를 생성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출입 통로의 일측과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공기를 상기 출입 통로를 향해 토출하는 제1 에어 커튼 유닛; 및 상기 출입 통로의 타측과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공기를 상기 출입 통로를 향해 토출하는 제2 에어 커튼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어 커튼 유닛과 상기 제2 에어 커튼 유닛의 각각은, 상기 공기에 이온을 발산하여 상기 공기를 정화시키는 이온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출입 통로로 들어가는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열 감지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출입 통로로 들어가는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안면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무화부로 상기 소독액을 공급하는 소독액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배관은 상기 분무 노즐부와 상기 소독액 공급부를 연결하여 상기 분무 노즐부 내의 상기 소독액을 상기 소독액 공급부로 바이패스할 수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무 노즐부 내의 소독액이 분무 홀을 통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분무 홀을 통해 흘러나오거나 분무 노즐부 내의 소독액을 소독액 공급부로 바이패스하여 소독액을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출입자의 어깨 높이를 측정하여 출입자의 얼굴로 소독 미립자가 분무 되지 않도록 하여 소독 미립자에 따른 출입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널형 소독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터널형 소독 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터널형 소독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본체부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터널형 소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의 무화부를 나타낸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도 4의 분무 노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무 노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무 노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널형 소독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터널형 소독 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워컹 스루형 소독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본체부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터널형 소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널형 소독 장치(10)는 터널형 소독 장치(10)를 통과하는 출입자를 향해 소독 미립자(DP)를 분무하면서 출입자에게 묻은 바이러스, 세균 등을 소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입자는 터널형 소독 장치(10)를 워킹 스루하면서 소독될 수 있다.
터널형 소독 장치(10)는 본체부(100), 무화부(300), 분무 노즐부(200), 소독액 공급부(350), 및 바이패스 배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널형 소독 장치(10)는 제어부(700), 센서부(570), 안면인식부(500), 에어 커튼부(600), 및 열 감지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터널형 소독 장치(10)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내부의 수용되는 기기 등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출입 통로(P), 제1 측벽부(110), 제2 측벽부(110), 천정부(130) 및 바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바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입 통로(P)는 본체부(100)를 관통할 수 있다. 출입자는 출입 통로(P)를 통해 본체부(100)를 통과할 수 있다. 출입 통로(P)는 필요에 따라 사람, 동물, 자동차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에 따른 높이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출입 통로(P)는 일측에 입구를 형성하고, 타측에 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바닥부(150)는 본체부(10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부(150)는 소독을 위해 출입 통로(P)를 지나가는 출입자가 서있을 위치를 알려주는 알림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50)는 소독액에도 부식되지 않는 스테인리스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천정부(130)는 바닥부(15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10) 및 제2 측벽부(110)는 천정부(130)와 바닥부(15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측벽부(110)와 제2 측벽부(11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측벽부(110)는 제1 측벽부(110)로부터 제1 방향(D1)과 수직한 제2 방향(D2)으로 이격될 수 있다. 바닥부(150), 천정부(130), 제1 측벽부(110) 및 제2 측벽부(110)는 출입 통로(P)를 감쌀 수 있다. 천정부(130), 제1 측벽부(110), 및 제2 측벽부(110)는 내부에 무화부(300), 소독액 공급부(350), 바이패스 배관부(400)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바퀴부(170)는 본체부(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바퀴부(170)는 제1 측벽부(110)의 하단과 제2 측벽부(110)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무화부(300)는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무화부(300)는 소독액 공급부(350)에서 공급된 소독액을 소독 미립자(DP)로 무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소독액은 액체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소독 미립자(DP)는 기체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무화부(300)는 하나 이상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무화부(300)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무화부들(300)은 제1 측벽부(110) 및 제2 측벽부(1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무화부들(300)은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무화부(30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분무 노즐부(200)는 본체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분무 노즐부(200)는 무화부(300)에서 무화된 소독 미립자(DP)를 출입 통로(P)를 향해 분무할 수 있다. 분무 노즐부(200)는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분무 노즐부(200)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분무 노즐부들(200)은 제1 측벽부(110)와 제2 측벽부(1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분무 노즐부들(200)은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분무 노즐부(20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소독액 공급부(350)는 소독액을 무화부(300)로 공급할 수 있다. 소독액 공급부(350)는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소독액 공급부(350)는 저장 탱크(351) 및 공급 배관(35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독액 공급부(350)는 밸브부(3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탱크(351)는 외부에서 공급받은 소독액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저장 탱크(351)는 제1 측벽부(110)와 제2 측벽부(110) 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공급 배관(353)은 저장 탱크(351)와 무화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 배관(353)은 저장 탱크(351) 내의 소독액을 무화부(300)로 안내할 수 있다.
밸브부(355)는 공급 배관(353)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밸브부(355)는 공급 배관(353)을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부(355)는 무화부(300)로 제공되는 소독액을 조절할 수 있다. 밸브부(355)는 전자식 밸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밸브부(355)는 천정부(130)와 인접하는 무화부(300)와 연결되는 공급 배관(353)에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소독액은 치아염소산수일 수 있다. 치아염소산수는 인체에 무해한 물질이면서 살균력이 우수한 물질이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소독액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살균력을 갖는 다른 물질일 수 있다.
에어 커튼부(600)는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커튼부(600)는 공기를 출입 통로(P)를 항해 토출할 수 있다. 에어 커튼부(600)는 제1 에어 커튼 유닛(610)과 제2 에어 커튼 유닛(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어 커튼 유닛(610)은 출입 통로(P)의 일측과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본체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에어 커튼 유닛(610)은 본체부(100)의 천정부(13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에어 커튼 유닛(630)은 출입 통로(P)의 타측과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에어 커튼 유닛은 본체부(100)의 천정부(13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에어 커튼 유닛(630)은 제1 에어 커튼 유닛(610)으로부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수직한 제3 방향(D3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에어 커튼 유닛들(610, 630)의 각각은 공기를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에어 커튼 유닛들(610, 630)의 각각은 공기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에어 커튼 유닛들(610, 630)의 각각은 필터 어셈블리, 송풍기, 및 이온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는 필터 어셈블리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에 이온을 발산할 수 있다. 공기 중으로 발산된 이온은 공기 중의 세균, 바이러스 등을 살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온 발생기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이온 발생기는 공기 중에 플라즈마를 방전시켜 활성 수소와 산소 이온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터널형 소독 장치(10)는 제1 에어 커튼 유닛(610)에서 토출되는 공기, 분무 노즐부(200)에서 분무되는 소독 미립자(DP), 및 제2에어 커튼 유닛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통해 3번 살균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송풍기는 필터와 이온 발생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출입 통로(P)를 향해 유동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송풍기는 약 7.5 m/s 내지 약 13.5 m/s의 풍속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바이패스 배관부(400)는 분무 노즐부(200)에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배관부(400)는 분무 노즐부(200) 내의 소독액을 바이패스할 수 있다. 분무 노즐부(200) 내에서 유동하는 기체 상태의 소독 미립자(DP)는 온도 변화에 따라 액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무 노즐부(200) 내에 액화된 소독액이 흐를 수 있다. 바이패스 배관은 분무 노즐부(200) 내에서 액화된 소독액을 외부 또는 소독액 공급부(350)의 저장 탱크(351)로 바이패스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배관부(400)는 제1 배관(410) 및 제2배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관(410)은 분무 노즐부(200)와 제2배관(420)을 연결할 수 있다. 제2배관(420)은 제1 배관(410)과 소독액 공급부(350) 또는 외부와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배관(420)은 제1 배관(410)과 소독액 공급부(350)의 저장 탱크(351)와 제1 배관(410)을 연결할 수 있다. 제2배관(420)은 본체부(1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배관부(400)의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열 감지부(550)는 본체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열 감지부(550)는 출입 통로(P)의 일측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열 감지부(550)는 출입 통로(P)로 들어가는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열 감지부(550)는 출입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열 감지부(550)는 출입자와 비 접촉한 상태에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열 감지부(550)에서 측정한 정보는 제어부(700)로 전송될 수 있다.
안면인식부(500)는 본체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안면인식부(500)는 출입 통로(P)의 일측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안면인식부(500)는 출입 통로(P)로 들어가는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할 수 있다. 안면인식부(500)는 출입자의 안면 윤곽 등을 촬영하여 기 저장된 안면데이터와 비교하여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면인식부(500)는 출입자와 비 접촉한 상태에서 인식할 수 있다.
센서부(570)는 출입구로 들어가는 출입자와 본체부(100)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570)는 출입구로 들어가는 출입자의 어깨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570)에서 측정한 정보는 제어부(7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에어 커튼부(600), 무화부(300), 소독액 공급부(350), 분무 노즐부(200) 등의 전자기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열 감지부(550)에서 측정한 출입자의 체온 정보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경고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안면인식부(500)에서 인식한 신원 정보를 암호화하여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센서부(570)로부터 출입자의 어깨 높이 정보를 이용하여 소독액 공급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상기 높이 정보를 이용하여 소독액 공급부(350)의 밸브부(355)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분무 노즐부들(200)은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분무 노즐부들(200)의 배열 높이는 성인을 기준으로 배열될 수 있다. 소독액은 인체에 무해하지만 소독 미립자(DP)가 출입자의 눈으로 많이 들어가면 출입자의 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무 노즐부들(200)은 성인의 어깨 높이 이하로 소독 미립자(DP)를 분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하지만, 어린이도 워크 스루형 소독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상기 높이 정보를 이용하여 분무 노즐부들(200) 중 출입자의 어깨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된 분무 노즐부들(200)(이하, 상부 분무 노즐부라고 지칭한다.)이 소독 미립자(DP)를 분무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700)는 상기 상부 분무 노즐부들로 소독 미립자(DP)를 공급하는 무화부(300)로 소독액이 공급되지 않도록 밸브부(355)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입자의 눈으로 소독 미립자(DP)가 분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무화부를 나타낸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화부(300)는 하우징(310), 초음파 진동자(320), 제1 송풍 유닛(340), 및 연결 배관(3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소독액 공급부(350)에서 공급된 소독액(DL)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공급 배관(353)과 연결된 공급 홀(3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독액(DL)은 공급 홀(315)을 통해 수용 공간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공급 홀(315)은 하우징(31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연결 배관(330)과 연결되는 배기 홀(317)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 홀(317)은 초음파 진동자(320)에 의해 무화된 기체 상태의 소독 미립자(DP)가 배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배기 홀(317)은 초음파 진동자(320) 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320)는 하우징(3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320)는 하우징(31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320)는 제어부(70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320)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액체 상태의 소독액(DL)을 무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음파 진동자(320)는 기체 상태의 소독 미립자(DP)를 생성할 수 있다.
연결 배관(330)은 하우징(310)과 분무 노즐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연결 배관(330)은 하우징(310)의 배기 홀(317)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배관(330)은 기체 상태의 소독 미립자(DP)를 분무 노즐부(200)로 안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연결 배관(330)은 내부에 기체 상태의 소독 미립자(DP)가 유동하는 유로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배관(330)은 분무 노즐부(200)의 유입 홀(214)와 하우징(310)의 배기 홀(317)을 연결하는 유로(3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풍 유닛(340)은 기체 상태의 소독 미립자(DP)를 분무 노즐부(200)를 향해 강제 유동시킬 수 있다. 제1 송풍 유닛(340)은 하우징(310)의 배기 홀(317)과 마주보게 위치될 수 있다.
도 7a는 도 4의 분무 노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분무 노즐부(200)는 몸체(210), 분무 홀(213), 유입 홀(214), 안내 유로(215), 수용 홈(220) 및 배출 유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분무 노즐부(200)는 제2 송풍 유닛(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송풍 유닛(23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몸체(210)는 분무 노즐부(2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몸체(2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몸체(210)는 출입 통로(P)와 인접한 일면(211)과 일면(211)의 반대 면인 타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분무 홀(213)은 몸체(210)의 일면(211)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분무 홀(213)은 몸체(210)의 일면(211)의 중간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분무 홀(213)은 소독 미립자(DP)가 분무될 수 있다.
유입 홀(214)은 몸체(210)의 타면(212)에 위치될 수 있다. 유입 홀(214)은 몸체(210)의 타면(212)의 중간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유입 홀(214)은 무화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유입 홀(214)은 무화부(300)의 연결 배관(330, 도 7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배관(330)을 통해 유동하는 기체 상태의 소독 미립자(DP)는 유입 홀(214)을 통해 분무 노즐부(200)로 유입될 수 있다.
안내 유로(215)는 몸체(2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안내 유로(215)는 유입 홀(214)과 분무 홀(213)을 연결할 수 있다. 안내 유로(215)는 유입 홀(214)로 유입된 기체 상태의 소독 미립자(DP)를 분무 홀(213)로 안내할 수 있다.
수용 홈(220)은 몸체(2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수용 홈(220)은 안내 유로(215)로부터 하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안내 유로(215) 내의 소독 미립자(DP)는 액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 유로(215) 내에 액화된 소독액이 분무 홀(213)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수용 홈(220)은 분무 홀(213)을 향해 유동하는 소독액을 수용할 수 있다. 수용 홈(220)은 배출 유로(240)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수용 홈(220)은 측면(221)과 바닥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221)은 안내 유로(215)로부터 바닥면(222을 향해 연장된 면일 수 있다. 바닥면(222은 측면(221)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바닥면(222은 경사면과 배출 홀(223)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홀(223)은 배출 유로(2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 홀(223)은 수용 홈(220)으로 유입된 소독액을 배출 유로(240)로 배출할 수 있다. 경사면은 측면(221)과 배출 홀(223)을 연결할 수 있다. 배출 홀(223)은 측면(221)의 하단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면은 측면(221)으로부터 배출 홀(223)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이 배출 홀(223)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바닥면(222에 떨어진 소독액은 배출 홀(223)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배출 유로(240)는 몸체(2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배출 유로(240)는 수용 홈(220)과 바이패스 배관부(400)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배출 유로(240)의 일단은 바닥면(222의 배출 홀(223)과 연결될 수 있다. 배출 유로(240)의 타단은 바이패스 배관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 홈(220)에서 유입된 소독액은 배출 유로(240)를 통해 바이패스 배관부(400)로 유동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무 노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간편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7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분무 노즐부(201)는 몸체(210), 분무 홀(213), 유입 홀(214), 안내 유로(215), 수용 홈(220) 및 배출 유로(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무 노즐부(201)는 가열 유닛(260), 액 받이 부재(250), 및 제2 송풍 유닛(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유닛(260)은 안내 유로(215) 내를 유동하는 소독 미립자(DP)를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독 미립자(DP)가 온도 하강에 따라 액화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분무 홀(213)을 통해 흘러나오는 소독액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가열 유닛(260)은 코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부재는 몸체(2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코일 부재는 안내 유로(215)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코일 부재에 전원이 인가될 때, 코일 부재에서 열이 발생되어 안내 유로(215) 내의 소독 미립자(DP)를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독 액 미립자(DP)가 액화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액 받이 부재(250)는 몸체(210)의 일면(21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액 받이 부재(250)는 분무 홀(213)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액 받이 부재(250)는 분무 홀(213)에서 토출된 소독액을 수용할 수 있다. 액 받이 부재(250)는 바이패스 배관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이패스 배관부(400)는 액 받이 부재(250)에 수용된 소독액을 바이패스할 수 있다.
액 받이 부재(250)는 소독액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251)을 가질 수 있다. 액 받이 부재(250)는 상부가 개구될 수 있다. 액 받이 부재(250)는 내부 공간(251)을 감싸는 둘레부와 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는 그를 관통하는 관통 홀(252)을 가질 수 있다. 관통 홀(252)은 바이패스 배관부(400)의 제1 배관(410)과 연결될 수 있다.
액화된 소독액이 분무 홀(213)에서 토출될 때, 소독액은 본체부(100)의 제1 측벽부(110) 및/또는 제2 측벽부(110)로 흘러내릴 수 있다. 제1 측벽부(110) 및/또는 제2 측벽부(110)로 흘러내린 소독액은 제1 측벽부(110) 및/또는 제2 측벽부(110)를 부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용 홈(220)은 안내 유로(215) 내에서 액화된 소독액이 분무 홀(213)을 통해 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액 받이 부재(250)는 분무 홀(213)에서 토출된 소독액이 제1 측벽부(110) 및/또는 제2 측벽부(110)로 흘러내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 홈(220)과 액 받이 부재(250)는 본체부(10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무 노즐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편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7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을 참조하면, 분무 노즐부(202)는 몸체(210), 분무 홀(213), 유입 홀(214), 안내 유로(215), 및 수용 홈(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분무 노즐부(202)는 도 7a에 도시된 분무 노즐부(200)와 달리 배출 유로(240)가 생략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분무 노즐부(202)는 서브 무화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무 홀(213)은 몸체(210)의 일면(211)에 위치될 수 있다. 유입 홀(214)은 몸체(210)의 타면(212)에 위치될 수 있다. 수용 홈(220)은 안내 유로(215)로부터 하측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수용 홈(220)은 측면(221)과 바닥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바닥면(222에는 하측을 향해 함몰된 설치 홈(미부호)이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무화부(280)는 수용 홈(220)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서브 무화부(280)는 전술한 설치 홈에 설치될 수 있다. 서브 무화부(280)는 수용 홈(220) 내의 소독액(DL)을 소독 미립자(DP)로 무화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서브 무화부(280)는 초음파 진동을 통해 소독액(DL)을 무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서브 무화부(280)는 소독액(DL)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터널형 소독 장치 100: 본체부
200: 분무 노즐부 300: 무화부
350: 소독액 공급부 400: 바이패스 배관부
500: 안면인식부 550: 열 감지부
570: 센서부 600: 에어 커튼부

Claims (10)

  1. 출입자가 통과하는 출입 통로를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소독액을 소독 미립자로 무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무화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무화부에서 무화된 상기 소독 미립자를 상기 출입 통로를 항해 분무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무 노즐부; 및
    상기 분무 노즐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무 노즐부 내의 상기 소독액을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배관부를 포함하는 터널형 소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노즐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위치되고, 상기 소독 미립자가 분무되는 분무 홀;
    상기 몸체 내에 위치되고, 상기 소독 미립자를 상기 분무 홀로 안내하는 안내 유로;
    상기 분무 홀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안내 유로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된 수용 홈; 및
    상기 몸체 내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 홈과 상기 바이패스 배관부를 연결하는 배출 유로를 포함하는 터널형 소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노즐부는, 상기 안내 유로 내를 유동하는 상기 소독 미립자를 가열하는 가열 유닛을 더 포함하는 터널형 소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노즐부는, 상기 몸체의 일면 상에 설치되고, 상기 분무 홀에서 토출된 소독액을 수용하는 액 받이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배관부는 상기 액 받이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액 받이 부재에 수용된 소독액을 바이패스하는 터널형 소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는, 상기 소독액을 초음파 진동시켜 상기 소독 미립자를 생성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터널형 소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통로의 일측과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공기를 상기 출입 통로를 향해 토출하는 제1 에어 커튼 유닛; 및
    상기 출입 통로의 타측과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공기를 상기 출입 통로를 향해 토출하는 제2 에어 커튼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어 커튼 유닛과 상기 제2 에어 커튼 유닛의 각각은, 상기 공기에 이온을 발산하여 상기 공기를 정화시키는 이온 발생기를 포함하는 터널형 소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출입 통로로 들어가는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열 감지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출입 통로로 들어가는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안면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터널형 소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로 상기 소독액을 공급하는 소독액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배관은 상기 분무 노즐부와 상기 소독액 공급부를 연결하여 상기 분무 노즐부 내의 상기 소독액을 상기 소독액 공급부로 바이패스하는 터널형 소독 장치.
  9. 출입자가 통과하는 출입 통로를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소독액을 소독 미립자로 무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무화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무화부에서 무화된 상기 소독 미립자를 상기 출입 통로를 항해 분무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무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무 노즐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위치되고, 상기 소독 미립자가 분무되는 분무 홀;
    상기 몸체 내에 위치되고, 상기 소독 미립자를 상기 분무 홀로 안내하는 안내 유로; 및
    상기 분무 홀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안내 유로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된 수용 홈을 포함하는 터널형 소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 홈 내의 소독액을 소독 미립자로 무화시키는 서브 무화부를 더 포함하는 터널형 소독 장치.
KR1020200154725A 2020-11-18 2020-11-18 터널형 소독 장치 KR20220067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725A KR20220067928A (ko) 2020-11-18 2020-11-18 터널형 소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725A KR20220067928A (ko) 2020-11-18 2020-11-18 터널형 소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928A true KR20220067928A (ko) 2022-05-25

Family

ID=81797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725A KR20220067928A (ko) 2020-11-18 2020-11-18 터널형 소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79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478U (ko) 2011-01-20 2012-07-30 이대섭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대인 소독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478U (ko) 2011-01-20 2012-07-30 이대섭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대인 소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292B1 (ko) 고주파 소독연무를 이용한 소독 시스템
US6379616B1 (en) Sterilization apparatus
KR102161663B1 (ko) 출입구 방역장치
KR102237928B1 (ko) 무인 휴먼 클린 게이트
US20200282087A1 (en) Heavy Traffic Sanitization
JP3165150U (ja) 可搬式対人除菌装置
KR102379675B1 (ko) 미세먼지 제거 및 소독 기능을 갖는 간이 방역 장치
KR102292937B1 (ko) 복수 개의 노즐을 통해 소독액을 균일하게 분사하는 출입 게이트형 소독장치
KR20220067928A (ko) 터널형 소독 장치
KR102392195B1 (ko) 게이트형 살균 소독장치
KR101914290B1 (ko) 출입문 시건 제어 장치를 부착한 과산화수소연무발생장치
KR20130091883A (ko) 소독액 분무장치
WO2021245685A1 (en) A system for disinfecting human orobject from microbes using pressurized steam
US20220096689A1 (en) Portabl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space
KR101667304B1 (ko) 피에조 효과를 이용한 자가설치형 대인 소독기 및 소독방법
KR102385449B1 (ko) 워킹 스루 터널형 방역장치
KR102272481B1 (ko) 살균용 플라즈마모듈
KR200495029Y1 (ko) 인체 소독 장치
KR102433110B1 (ko) 대인 소독 챔버
KR102346394B1 (ko) 출입구용 멀티 방역장치
KR20210131506A (ko) 정화 및 방역 기능을 구비한 부스
KR20220043503A (ko) 출입구 스마트 소독장치
KR101706712B1 (ko) 자가세정 기능을 갖는 피에조 소독액 분사기
Yang et al. Intelligent product design study of contact scene disinfection in post-epidemic era
KR102526296B1 (ko) 공간 방역 및 타겟 방역 겸용 살균액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