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675B1 - 미세먼지 제거 및 소독 기능을 갖는 간이 방역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제거 및 소독 기능을 갖는 간이 방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675B1
KR102379675B1 KR1020210068479A KR20210068479A KR102379675B1 KR 102379675 B1 KR102379675 B1 KR 102379675B1 KR 1020210068479 A KR1020210068479 A KR 1020210068479A KR 20210068479 A KR20210068479 A KR 20210068479A KR 102379675 B1 KR102379675 B1 KR 102379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ooth
disinfectant
ai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보경
이건호
박근수
채창우
정진우
장대희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68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47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이 용이하게 구성된 부스 내로 공기를 유입하여 강한 압력으로 송풍함과 더불어, 부스 내부에 소독제를 방출하여 사람의 몸과 의복 등에 묻은 미세먼지와 바이러스의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부스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 및 여과하여 살균된 깨끗한 공기만 송풍할 수 있는 간이 방역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간이 방역 장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스; 상기 부스의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부스 내부의 챔버로 공기를 송풍하는 급기부; 상기 부스 내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 부스의 챔버 내로 소독제를 분사하는 소독제분사부; 상기 급기부와 배기부와 소독제분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부스로 들어오는 사람의 신장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신장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제거 및 소독 기능을 갖는 간이 방역 장치{Epidemic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간이 방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이 가능한 부스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및 여과하여 살균 작용을 한 후 부스 내부로 분사하고, 부스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 및 여과하여 살균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부스 내부에 소독제를 방출하여 미세먼저 제거 및 소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간이 방역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부에서 활동을 하고 나면 의복이나 신체에 먼지나 더러운 먼지, 유해한 세균이나 바이러스, 악취 등이 부착되게 된다.
이러한 먼지나 유해 세균, 바이러스 등을 부착된 상태로 집이나 병원, 학교, 공공기관과 같은 건물 안으로 진입하게 되면 실내에서의 환경이 오염되어 거주자의 건강을 해롭게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되며, 이는 특히 어린이, 노약자, 환자 등과 같이 면역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사람에게는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한편 메르스 사태 이후 확산된 코로나19는 전세계에 빠른 속도로 확산되어 세계적인 위협이 되고 있지만, 방역은 도로 및 현장에 소독약을 살포 등의 수동적인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이 통상적인 유행기를 거쳐서 2020년 상반기에 종료되지 않고 장기화되거나 반복되어 발생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근래들어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유해 바이러스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하여 부스 내에 공기와 살균제를 분사하고, 살균램프를 통해 근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살균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방역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공개특허 제10-2013-0076159호에는 부스 내에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살균제를 공급하고, 복수의 살균램프를 통해 근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살균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 에어 샤워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의 에어 샤워 장치와 같이 살균제를 부스 내로 분사하는 경우 살균제가 얼굴에 분사되어 살균제를 흡입할 경우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살균램프를 통해 근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살균 작용을 하고 있으나, 부스 내로 유입되는 공기 자체에 유해한 세균과 바이러스가 존재할 경우 공기와 함께 유입된 세균과 바이러스가 미처 제거되지 못하고 부스 내의 사람의 호급기를 통해 유입되면 세균 또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6159호(2013.07.08.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이 용이하게 구성된 부스 내로 공기를 유입하여 강한 압력으로 송풍함과 더불어, 부스 내부에 소독제를 방출하여 사람의 몸과 의복에 묻은 미세먼지와 바이러스의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부스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 및 여과하여 살균된 깨끗한 공기만 송풍할 수 있는 간이 방역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간이 방역 장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스; 상기 부스의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부스 내부의 챔버로 공기를 송풍하는 급기부; 상기 부스 내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 부스의 챔버 내로 소독제를 분사하는 소독제분사부; 상기 급기부와 배기부와 소독제분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부스로 들어오는 사람의 신장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신장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기부는, 상기 유입구와 부스 내부의 챔버를 연결하는 급기덕트와, 상기 급기덕트에 설치되어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 쪽으로 송풍하는 급기팬과, 상기 부스의 챔버의 상단부에서 상기 급기덕트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챔버에 하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상부급기노즐와, 상기 부스의 챔버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급기덕트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챔버에 측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측방급기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장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람의 신장 정보에 따라 상기 측방급기노즐 중 사람의 얼굴 아래에 배치되는 것만 개방하여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급기부는 상기 급기덕트 내로 유입된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유해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급기필터부와, 급기덕트 내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살균하는 급기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기부는, 상기 급기덕트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가열부를 통과한 가열된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독제분사부는 부스의 챔버의 양 측면에 상하로 배열되어 챔버 내부로 소독제를 분사하는 복수의 소독제노즐과, 소독제저장탱크에 저장된 소독제를 상기 소독제노즐로 공급하는 소독제공급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장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람의 신장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소독제노즐 중 사람의 얼굴 아래에 배치되는 것만 사용하여 소독제를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배기부는 부스의 챔버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배기가열부, 및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배기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장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람의 신장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소독제노즐에서 소독제가 분사될 때 급기부의 측방급기노즐 중 사람의 어깨 부분에 해당하는 측방급기노즐만 작동하도록 하여 사람의 어깨 부분에서 수평하게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 방역 장치의 작동 방법은,
(S1) 부스의 챔버 내부로 들어오는 사람의 신장을 신장측정센서로 측정하는 단계;
(S2) 급기부를 통해 부스의 챔버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여 사람의 몸에 묻은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배기부를 작동시켜 챔버 내의 미세먼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삭제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3) 단계를 수행하는 도중 또는 (S3) 단계를 수행한 다음에 소독제분사부를 작동시켜 부스의 챔버 내로 소독제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S2) 단계에서는 급기부에서 공기를 가열한 다음 챔버 내부로 분사하고, 배기부에서 공기를 가열한 다음 부스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 방역 장치의 작동 방법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부스의 챔버 내로 소독제를 분사할 때, 제어부는 상기 신장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람의 신장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챔버의 측면에 상하로 배열된 복수의 측방급기노즐 중 사람의 어깨 부분에 해당하는 측방급기노즐만 작동하도록 하여 사람의 어깨 부분에서 수평하게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스의 상부 및 측면에서 높은 압력으로 공기를 송풍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소독제분사부를 통해 소독제를 분사함으로써 사람의 피부와 의복, 신발 등에 묻은 유해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정센서를 이용하여 부스 내의 사람의 신장을 측정하고, 측정된 신장 정보를 바탕으로 급기노즐과 소독제노즐의 작동을 제어하여 사람의 얼굴 쪽으로 공기와 소독제가 분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쾌감이나 소독제 흡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방역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D-D' 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간이 방역 장치의 작동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이 방역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을 후술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방역 장치는, 부스(10)와, 부스(10) 내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급기부(20), 부스(1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50), 부스(10) 내로 소독제를 분사하는 소독제분사부(30), 및 급기부(20)와 배기부(50)와 소독제분사부(30) 등 간이 방역 장치에 구성되는 각종 전기적 구성요소 및 기계적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부스(10)는 적어도 1명 이상의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챔버(11)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 함체 형태를 가지며, 부스(10)의 전방면과 후방면 각각에는 사람이 출입하는 입구(12) 및 출구(13)가 상기 챔버(11)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입구(12) 및 출구(13) 각각에는 입구(12) 및 출구(13)를 개폐하는 도어(16, 17)가 설치된다.
또한 부스(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4)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5)가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스(10)는 건물의 출입구 또는 실내, 또는 실외의 특정 지역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이 용이한 이동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부스(10)가 이동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부스(10)의 하부에 캐스터휠과 같은 복수의 바퀴(18)가 설치될 수 있다.
부스(10)의 상부에는 상기 유입구(14)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부스(10)의 내부 챔버(11) 내로 공기를 송풍하는 급기부(20)가 설치된다. 상기 급기부(20)는 유입구(14)와 부스(10) 내부의 챔버(11)를 연결하는 급기덕트(21)와, 상기 급기덕트(21)에 설치되어 유입구(14)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급기팬(23)을 포함한다. 급기팬(23)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부스(10) 내의 챔버(11) 쪽으로 송풍한다.
급기덕트(21)는 부스(10)의 상측에서 측방으로 분기되면서 챔버(11)의 상단부와 챔버(11)의 양 측면에 연통되는데, 이 때 급기덕트(21)의 끝단부에는 챔버(11) 내로 공기를 소정의 압력을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급기노즐(27, 28)이 연결된다. 편의상 상기 급기노즐(27, 28) 중 챔버(11)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을 상부급기노즐(27)이라 명하고, 챔버(11)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측방급기노즐(28)이라 명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방급기노즐(28)은 챔버(11)의 양 측면에 좌우 2열로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챔버(11) 내의 사람을 향해 측방으로 정화된 공기를 분사하여 미세먼지와 유해 바이러스를 제거한다. 복수의 측방급기노즐(28) 각각에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개폐 작동하여 측방급기노즐(28)을 통한 공기의 분사를 제어하는 급기제어밸브(2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급기제어밸브(29)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적용할 수 있다.
상부급기노즐(27)은 사람의 얼굴과 머리 부분을 향해 하방으로 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한다. 이 때 너무 강한 압력이 사람의 얼굴과 머리 부분에 가해지지 않도록 상부급기노즐(27)은 측방급기노즐(28)보다 넓은 개구면적을 갖는 노즐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급기부(20)는 급기덕트(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급기필터부(24)와, 급기필터부(24)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여 살균하는 급기가열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기필터부(24)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유해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거한다. 또한 급기가열부(25)는 급기덕트(21) 내에서 상기 급기필터부(24)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급기필터부(24)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가열하여 급기필터부(24)에서 걸러지지 않은 잔여 유해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공지의 전열선과 같은 히터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급기가열부(25)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부스(10) 내의 사람에게 직접 공급되면 화상이나 불쾌감이 생길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급기가열부(25)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재(26)가 급기덕트(21)의 하류측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부재(26)는 급기덕트(21)의 외면 또는 내면에 접촉하면서 나선형으로 설치되는 히트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각부재(26)는 내부에 작동유체가 수용된 공지의 히트파이프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히트파이프의 흡열부는 상기 급기덕트(21)의 외면 또는 내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방열부는 상기 급기가열부(25)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예열하는 작용을 수행하게 하거나, 혹은 부스(10)의 일측면을 통해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부스(10)의 하부에는 부스(1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50)가 구성된다. 배기부(50)는 부스(10)의 배출구(15)와 챔버(11)를 연결하는 배기덕트(51)와, 배기덕트(51)에 설치되어 배출구(15)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53)을 포함한다. 배기팬(53)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챔버(11) 내의 공기를 외부로 송풍하여 배출한다. 배기덕트(51)의 입구측은 챔버(11)의 바닥면과 연통되는데, 챔버(11)의 바닥면에는 사람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으며 공기와 이물질이 배기덕트(51)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격자 형태로 배열된 그레이팅(19)이 설치된다.
또한 배기부(50)는 배기덕트(5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세균, 바이러스를 걸러내는 배기필터부(54)와, 배기필터부(54)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여 최종 살균하는 배기가열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50)를 구성하는 배기덕트(51)는 부스(10)의 하단부 또는 부스(10)의 측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배기덕트(51) 내에는 부스(10) 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배출구(15)를 통해 배출되기 전에 공기 중의 유해 세균과 바이러스 및 미세 먼지를 사전에 제거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기가열부(55) 및 배기필터부(54)가 설치된다. 상기 배기가열부(55)는 급기가열부(25)과 마찬가지로 공지의 전열선과 같은 히터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소독제분사부(30)는 부스(10)의 챔버(11)의 양 측면에 상하로 배열되어 챔버(11) 내부로 소독제를 분사하는 복수의 소독제노즐(31)과, 소독제저장탱크(미도시)에 저장된 소독제를 상기 소독제노즐(31)로 공급하는 소독제공급펌프(32)를 포함한다. 소독제노즐(31)을 통해 분사되는 소독제는 인체에는 무해한 것으로 검증된 것을 사용해야 한다. 복수의 소독제노즐(31) 각각에는 제어부에 의해 개폐 작동하여 소독제노즐(31)을 통한 소독제의 분사를 제어하는 소독제제어밸브(33)가 설치될 수 있다. 소독제제어밸브(33) 역시 솔레노이드밸브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소독제분사부(30)는 소독제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무화(霧化)시켜 소독제노즐(31)을 통해 분무함으로써 부스(10) 내의 사람의 의류나 신발, 피부 등에 부착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을 살균한다. 소독제분사부(30)는 미세먼지만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유해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감염을 예방하고자 하는 방역활동이 필요한 상황에 한정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부스(10)에는 부스(10)로 들어오는 사람의 신장을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신장측정센서(60)가 설치될 수 있다. 신장측정센서(60)는 레이저스캐너나 광센서 등 공지의 신장측정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신장측정센서(60)에 의해 측정된 사람의 신장에 따라 상기 급기부(20)와 소독제분사부(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장측정센서(60)에 의해 측정된 사람의 신장이 클 경우에는 급기부(20)에서 공급되는 풍압을 크게 하고 급기부(20)의 측방급기노즐(28) 중 사람의 얼굴 바로 아래에 배치된 상단의 측방급기노즐(28)까지 사용하여 공기를 분사하고, 소독제노즐(31)도 모두 사용하거나 사람의 얼굴 바로 아래쪽에 배치된 것만 사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신장측정센서(60)에 의해 측정된 신장이 작은 사람(예를 들어 어린이나 유아 등)일 경우, 측방급기노즐(28)과 소독제노즐(31)중 상부에 배치된 것을 사용하지 않고 하부에 배치된 것만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미세먼지 제거 및 유해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소독제노즐(31)을 통해 분사되는 소독제가 인체에 무해한 것일지라도 소독제가 사람의 얼굴에 닿으면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는 소독제노즐(31)에서 소독제가 분사될 때, 신장측정센서(60)에 의해 측정된 사람의 신장 정보를 바탕으로 급기부(20)의 측방급기노즐(28) 중 사람의 어깨 부분에 해당하는 측방급기노즐(28)만 작동하도록 하여 사람의 어깨 부분에서 수평하게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소독제노즐(31)에서 분사되는 소독제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사람의 얼굴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측방급기노즐(28)에서 분사되는 공기와 소독제노즐(31)에서 분사되는 소독제가 직접 사람의 얼굴을 향해 분사되지 않도록 측방급기노즐(28)와 소독제노즐(31)은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간이 방역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사용자가 부스(10)의 입구(12)에 설치된 도어(16)를 개방하여 부스(10) 내부의 챔버(11)로 들어오면, 신장측정센서(60)가 사람의 신장을 측정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제어부(미도시)는 급기팬(23)을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에 전원을 인가하여 급기팬(23)을 작동시켜 유입구(14)를 통해 외부 공기를 유입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는 급기가열부(25)에도 전원을 인가하여 급기필터부(24)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한다.
상기 급기필터부(24)와 급기가열부(25)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유해 바이러스가 제거된 공기는 급기덕트(21)를 통해 유동하면서 냉각부재(26)에 의해 냉각된 후, 상부급기노즐(27) 및 측방급기노즐(28)을 통해 챔버(11) 내부로 분사되어 사람의 피부와 머리카락, 의류 등에 묻어 있는 미세먼지를 떨어낸다.
이어서 제어부는 소독제분사부(30)를 통해 소독제를 분사함으로써 잔여 유해 바이러스를 제거하게 된다. 전술한 것처럼 소독제분사부(30)는 방역상황이나 필요에 따라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소독제분사부(30)를 통해 소독제를 분사할 때, 신장측정센서(60)에 의해 측정된 사람의 신장 정보에 따라 상하로 배열된 소독제노즐(31)의 사용 위치와 갯수가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부스(10)의 챔버(11) 상측 및 측방에서 높은 압력으로 공기가 분사되고, 소독제분사부(30)를 통한 소독제 분사에 의해 미세먼지 및 유해 바이러스의 제거 작용이 이루어진 후, 부스(10) 내의 공기는 하측의 배기덕트(51)에서 작동하는 배기팬(53)에 의해 배기덕트(51)와 배출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배기덕트(5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필터부(54)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와 유해 바이러스가 여과되어 제거된 다음, 배기가열부(55)에 의해 가열되면서 유해 바이러스가 완전히 제거되어 배출된다. 따라서 미세먼지와 유해 바이러스가 제거된 깨끗한 공기만 배출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부스(10) 외부의 제3자에게 유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가능성이 거의 없게 된다.
부스(10) 내에서 미세먼지 제거 및 유해 바이러스의 제거가 완전히 종료되면, 출구(13) 측의 도어(17)를 개방하여 사람이 부스(10) 외부로 나간다. 부스(10) 외부로 사람이 나가고 부스(10) 내부가 빈 상태로 되면, 소독제분사부(30)를 통해 소독제를 분사함으로써 부스(10)의 챔버(11)에 대한 방역을 시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간이 방역 장치는 부스(10)의 상부 및 측면에 복수의 급기노즐(27, 28)이 배치되어 부스(10) 내의 사람의 상부와 측면에서 높은 압력으로 공기를 송풍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소독제분사부(30)를 통해 소독제를 분사함으로써 사람의 피부와 의복, 신발 등에 묻은 유해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정센서(60)를 이용하여 부스(10) 내의 사람의 신장을 측정하고, 측정된 신장 정보를 바탕으로 사람의 얼굴 쪽으로 소독제가 분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쾌감이나 소독제 흡입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측정된 신장 정보를 이용하여 사람의 얼굴 아래쪽에 배열된 소독제노즐(31)을 통해서만 소독제를 분사할 때, 사람의 어깨 부분의 높이에 해당하는 측방급기노즐(28)을 통해 공기를 분사하여 사람의 얼굴 바로 아래쪽에서 수평하게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소독제가 얼굴로는 분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부급기노즐(27)을 통해서도 소정의 압력으로 하측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소독제가 얼굴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 부스 11 : 챔버
12 : 입구 13 : 출구
14 : 유입구 15 : 배출구
16, 17 : 도어 18 : 바퀴
19 : 그레이팅 20 : 급기부
21 : 급기덕트 23 : 급기팬
24 : 급기필터부 25 : 급기가열부
26 : 냉각부재 27 : 상부급기노즐
28 : 측방급기노즐 29 : 급기제어밸브
30 : 소독제분사부 31 : 소독제노즐
32 : 소독제공급펌프 33 : 소독제제어밸브
50 : 배기부
51 : 배기덕트 53 : 배기팬
54 : 배기필터부 55 : 배기가열부
60 : 신장측정센서

Claims (13)

  1.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스;
    상기 부스의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부스 내부의 챔버로 공기를 송풍하는 급기부;
    상기 부스 내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
    부스의 챔버의 양 측면에 상하로 배열되어 챔버 내부로 소독제를 분사하는 복수의 소독제노즐과, 소독제저장탱크에 저장된 소독제를 상기 소독제노즐로 공급하는 소독제공급펌프를 포함하는 소독제분사부;
    상기 급기부와 배기부와 소독제분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부스로 들어오는 사람의 신장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신장측정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부는, 상기 유입구와 부스 내부의 챔버를 연결하는 급기덕트와, 상기 급기덕트에 설치되어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 쪽으로 송풍하는 급기팬과, 상기 부스의 챔버의 상단부에서 상기 급기덕트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챔버에 하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상부급기노즐과, 상기 부스의 챔버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급기덕트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챔버에 측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측방급기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측방급기노즐과 소독제노즐은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장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람의 신장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소독제노즐 중 사람의 얼굴 아래에 배치되는 것만 사용하여 소독제를 분사하며, 상기 소독제노즐에서 소독제가 분사될 때 급기부의 측방급기노즐 중 사람의 어깨 부분에 해당하는 측방급기노즐만 작동하도록 하여 사람의 어깨 부분에서 수평하게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간이 방역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장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람의 신장 정보에 따라 상기 측방급기노즐 중 사람의 얼굴 아래에 배치되는 것만 개방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간이 방역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는 상기 급기덕트 내로 유입된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유해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급기필터부와, 급기필터부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급기필터부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가열하는 급기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간이 방역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는, 상기 급기덕트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가열부를 통과한 가열된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부재를 더 포함하는 간이 방역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부스의 챔버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배기가열부, 및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배기필터부를 포함하는 간이 방역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10068479A 2021-05-27 2021-05-27 미세먼지 제거 및 소독 기능을 갖는 간이 방역 장치 KR102379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479A KR102379675B1 (ko) 2021-05-27 2021-05-27 미세먼지 제거 및 소독 기능을 갖는 간이 방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479A KR102379675B1 (ko) 2021-05-27 2021-05-27 미세먼지 제거 및 소독 기능을 갖는 간이 방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675B1 true KR102379675B1 (ko) 2022-03-30

Family

ID=8094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479A KR102379675B1 (ko) 2021-05-27 2021-05-27 미세먼지 제거 및 소독 기능을 갖는 간이 방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6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956A (ko) 2022-08-03 2024-02-14 바테크 주식회사 주택 출입문용 에어샤워 장치
KR20240018967A (ko) 2022-08-03 2024-02-14 바테크 주식회사 건물 출입구의 다중 에어샤워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6159A (ko) 2011-12-28 2013-07-08 유형복 에어 샤워 장치
KR101828942B1 (ko) * 2017-08-23 2018-02-13 주식회사 동양 다용도 클린부스
KR102217578B1 (ko) * 2020-08-06 2021-02-19 (주)어스열융합기술 광촉매 살균모듈을 이용한 살균 에어부스시스템
KR20210020454A (ko) * 2019-08-14 2021-02-24 현대건설주식회사 에어 샤워 시스템
KR102250257B1 (ko) * 2020-06-29 2021-05-10 주식회사 에프앤티이노베이션 비접촉 적외선 생체인식을 통한 인체적용 자외선 살균 세이프 게이트웨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6159A (ko) 2011-12-28 2013-07-08 유형복 에어 샤워 장치
KR101828942B1 (ko) * 2017-08-23 2018-02-13 주식회사 동양 다용도 클린부스
KR20210020454A (ko) * 2019-08-14 2021-02-24 현대건설주식회사 에어 샤워 시스템
KR102250257B1 (ko) * 2020-06-29 2021-05-10 주식회사 에프앤티이노베이션 비접촉 적외선 생체인식을 통한 인체적용 자외선 살균 세이프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2217578B1 (ko) * 2020-08-06 2021-02-19 (주)어스열융합기술 광촉매 살균모듈을 이용한 살균 에어부스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956A (ko) 2022-08-03 2024-02-14 바테크 주식회사 주택 출입문용 에어샤워 장치
KR20240018967A (ko) 2022-08-03 2024-02-14 바테크 주식회사 건물 출입구의 다중 에어샤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9675B1 (ko) 미세먼지 제거 및 소독 기능을 갖는 간이 방역 장치
US6497840B1 (en) Ultraviolet germicidal system
KR102208997B1 (ko) 현관 에어샤워 시스템
KR20120113324A (ko) 이동형 방역 소독장치
KR102263908B1 (ko) 복합 청정시스템이 구비된 스마트 게이트 제어시스템
WO2022071619A1 (ko) 자율주행 방역 장치
JP2011080745A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及び除菌・消臭方法
KR20220053712A (ko) Uv-c led를 이용한 실내 표면 및 공기 살균 정화 장치
KR102270838B1 (ko) 에어샤워 살균 게이트
JP2024019363A (ja) 顔用マスクと医療用衣類をマイクロ波エネルギーを用いて殺菌消毒する装置と方法
KR101419537B1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신발 및 장갑 세척건조살균탈취기
KR101112037B1 (ko) 소방 장비 세척기구 및 이를 이용한 감염방지장치
KR102284406B1 (ko) 방역 시스템
KR102263910B1 (ko) 복합 청정시스템이 구비된 스마트 게이트
KR102432145B1 (ko) 조립식 복합 방역 게이트
WO1994008633A1 (en) Ultraviolet germicidal system
KR102204144B1 (ko) 양손과 휴대폰을 동시에 자동으로 소독·건조하는 장치
KR102209633B1 (ko) 1인용 클린 게이트 시스템
KR20210131506A (ko) 정화 및 방역 기능을 구비한 부스
CN215426251U (zh) 消毒系统
KR102346394B1 (ko) 출입구용 멀티 방역장치
JP3230337U (ja) 防護服殺菌装置
KR20230120150A (ko) 게이트형 살균 시스템
KR102341585B1 (ko) 복합 공간방역기
KR102387962B1 (ko) 자동 인체 에어샤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