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580A -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580A
KR20220067580A KR1020200152855A KR20200152855A KR20220067580A KR 20220067580 A KR20220067580 A KR 20220067580A KR 1020200152855 A KR1020200152855 A KR 1020200152855A KR 20200152855 A KR20200152855 A KR 20200152855A KR 20220067580 A KR20220067580 A KR 20220067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hromic
layer
ion storage
point
electrochrom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3310B1 (en
Inventor
김병동
김현종
남정규
Original Assignee
립하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립하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립하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2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310B1/en
Priority to PCT/KR2021/016701 priority patent/WO2022103234A1/en
Publication of KR20220067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5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3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G02F1/15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ion transporting layer, e.g. electroly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electrochromic element. The electrochromic ele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substrate; an electrochromic stack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on the electrochromic stack, wherein the electrochromic stack comprises an electrochromic layer, an ion storage layer, and an electrolyte layer which is arrang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the electrochromic layer comprises tungsten oxide, and a first tungsten atomic percentage at a first poin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which is positioned at a first distance from the substrate, is larger than a second tungsten atomic percentage at a second poin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which is positioned at a second distance that is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from the substrate,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d the electrochromic apparatus can maintain the high reliability even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d the electrochromic apparatus are used for a long time.

Description

전기변색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Electrochromic device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same

본 출원은 전기변색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체 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electrochromic device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a solid electrochromic layer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전기변색이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유발되는 산화 환원 반응에 기초하여 색이 변경되는 현상이다. 상기 전기변색될 수 있는 물질은 전기변색물질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물질은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색을 띠지 않고 있다 전원이 인가되면 색을 띠게 되거나, 반대로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색을 띠고 있다 전원이 인가되면 색을 소멸하는 특성을 갖는다.Electrochromism is a phenomenon in which a color is changed based on a redox reaction induced by an applied power. The electrochromic material may be defined as an electrochromic material. The electrochromic material has no color when power is not applied from the outside. When power is applied, the electrochromic material takes on a color, or, conversely, has a color when power is not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color disappears when power is applied. have characteristics.

상기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는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차량에 사용되는 후방 미러(rear view mirror)의 후방 차량의 강한 불빛으로 인한 운전자의 시야 방해를 차단하거나, 건축용 창유리나 자동차 유리의 광투과도 또는 반사도를 조절하는 용도로 이용되어 왔다.Electrochromic devices including the electrochromic material have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particular,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used to block the driver's view obstruction due to the strong light of the rear vehicle of the rear view mirror used in the vehicle, or to adjust the light transmittance or reflectivity of window glass for construction or automobile glass. has been

그런데,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전기변색속도가 느리고 전기변색의 균일도가 떨어져,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계속하여 있어 왔다. 따라서, 최근 전기변색속도가 빠르고 전기변색의 균일도가 향상된 전기변색소자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However, since the electrochromic device has a slow electrochromic speed and a poor electrochromic uniformity, the performance of applications in which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provided has continued to be deteriorated. Accordingly, the demand for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fast electrochromic speed and improved electrochromic uniformity has recently increased.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빠른 변색속도를 가지는 전기변색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fast color change rate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높은 변색 균일도를 가지는 전기변색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high color change uniformity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전기변색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high reliability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belong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의 전기변색스택; 및 상기 전기변색스택 상의 제2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스택은 전기변색층, 이온저장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이온저장층 사이에 배치되는 전해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은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으로부터 제1 거리에 위치한 상기 전기변색층의 제1 지점에서의 제1 텅스텐 원자백분율은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에 위치한 상기 전기변색층의 제2 지점에서의 제2 텅스텐 원자백분율보다 미리 정해진 값 이상 큰 전기변색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substrate; an electrochromic stack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on the electrochromic stack, wherein the electrochromic stack includes an electrochromic layer, an ion storage layer, and an electroly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the electrochromic layer comprising: a first tungsten atomic percentage at a first poin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located at a first distance from the substrate comprising tungsten oxide; An electrochromic elemen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an the second tungsten atomic percentage at the two points may be provided.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의 전기변색스택; 및 상기 전기변색스택 상의 제2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스택은 전기변색층, 이온저장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이온저장층 사이에 배치되는 전해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은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으로부터 제1 거리에 위치한 상기 전기변색층의 제1 지점에서의 제1 산소 원자백분율은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에 위치한 상기 전기변색층의 제2 지점에서의 제2 산소 원자백분율보다 미리 정해진 값 이상 작은 전기변색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substrate; an electrochromic stack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on the electrochromic stack, wherein the electrochromic stack includes an electrochromic layer, an ion storage layer, and an electroly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the electrochromic layer comprising: a first oxygen atomic percentage at a first poin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located at a first distance from the substrate comprising tungsten oxide; An electrochromic element smaller than the second oxygen atom percentage at the two points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may be provided.

과제의 해결 수단은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to the problem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solutions, and solution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belong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빠른 변색속도를 가지는 전기변색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fast color change rate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may be provided.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높은 변색 균일도를 가지는 전기변색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high color change uniformity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may be provided.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시간 사용에도 성능이 유지되는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전기변색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high reliability that maintains performance even after long-term use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an be provided.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the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belong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제어 모듈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조성을 XPS 깊이 분석법으로 측정한 그래프 및 표이다.
도 6 및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조성을 XPS 깊이 분석법으로 측정한 그래프 및 표이다.
도 8 및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조성을 XPS 깊이 분석법으로 측정한 그래프 및 표이다.
도 1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에 관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의 일 영역에 관한 도면이다.
1 is a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of a control module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and 5 are graphs and tables in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measured by XPS depth analysis.
6 and 7 are graphs and tables in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measured by XPS depth analysis.
8 and 9 are graphs and tables in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measured by XPS depth analysis.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11 is a view of a cross-section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12 is a view of a region of a cross-sec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본 출원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출원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present applica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exemplifi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also, an element or layer may be referred to as “on” or “on” another component or layer. What is referred to includes all cases in which another layer or other component is interposed in the middle as well as directly on top of another component or laye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in principle. 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출원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의 전기변색스택; 및 상기 전기변색스택 상의 제2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스택은 전기변색층, 이온저장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이온저장층 사이에 배치되는 전해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은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으로부터 제1 거리에 위치한 상기 전기변색층의 제1 지점에서의 제1 텅스텐 원자백분율은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에 위치한 상기 전기변색층의 제2 지점에서의 제2 텅스텐 원자백분율보다 미리 정해진 값 이상 큰 전기변색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substrate; an electrochromic stack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on the electrochromic stack, wherein the electrochromic stack includes an electrochromic layer, an ion storage layer, and an electroly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the electrochromic layer comprising: a first tungsten atomic percentage at a first poin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located at a first distance from the substrate comprising tungsten oxide; An electrochromic elemen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an the second tungsten atomic percentage at the two points may be provided.

상기 이온저장층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판으로부터 제3 거리에 위치한 상기 이온저장층의 제3 지점에서의 상기 금속의 제1 원자백분율 및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3 거리보다 큰 제4 거리에 위치한 상기 이온저장층의 제4 지점에서의 상기 금속의 제2 원자백분율 사이의 차이는 상기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을 수 있다.The ion storage layer may include a metal oxide, and a first atomic percentage of the metal at a third point of the ion storage layer located at a third distance from the substrate and a fourth greater than the third distance from the substrate A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atomic percentage of the metal at the fourth point of the ion storage layer located at a distance may b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상기 금속 산화물은 전원이 인가됨으로 인해 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tal oxid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colored due to the application of power.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 사이의 영역 내에서의 텅스텐 원자백분율은 상기 제1 텅스텐 원자백분율 및 상기 제2 텅스텐 원자백분율 사이의 값을 갖을 수 있다.A tungsten atomic percentage in the region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may have a value between the first tungsten atomic percentage and the second tungsten atomic percentage.

상기 제1 지점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텅스텐 원자백분율은 상기 제1 텅스텐 원자백분율로부터 상기 제2 텅스텐 원자백분율로 감소할 수 있다.The tungsten atomic percentage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may decrease from the first tungsten atomic percentage to the second tungsten atomic percentage.

상기 이온저장층은 제1 금속 산화물 및 제2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온저장층의 양 표면 영역 중 상기 전해질층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상기 제1 금속의 원자백분율 및 상기 제2 금속의 원자백분율의 차이는 상기 양 표면 영역 중 나머지 영역에서의 상기 차이보다 클 수 있다.The ion storage layer may include a first metal oxide and a second metal oxide, and an atomic percentage of the first metal and an atomic percentage of the second metal in a region adjacent to the electrolyte layer among both surface reg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The difference in atomic percentage may be greater than the difference in the remaining area of the two surface areas.

상기 전기변색층은 변색 칼럼 및 변색 미디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리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may include a physical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lor-changing column and a color-changing medium.

상기 제2 지점에서의 상기 물리적 구조의 밀도는 상기 제1 지점에서의 상기 물리적 구조의 밀도보다 클 수 있다.A density of the physical structures at the second point may be greater than a density of the physical structures at the first point.

상기 변색 칼럼은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전극층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coloration column may be formed from the second point toward the first electrode layer.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의 전기변색스택; 및 상기 전기변색스택 상의 제2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스택은 전기변색층, 이온저장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이온저장층 사이에 배치되는 전해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은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으로부터 제1 거리에 위치한 상기 전기변색층의 제1 지점에서의 제1 산소 원자백분율은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에 위치한 상기 전기변색층의 제2 지점에서의 제2 산소 원자백분율보다 미리 정해진 값 이상 작은 전기변색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substrate; an electrochromic stack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on the electrochromic stack, wherein the electrochromic stack includes an electrochromic layer, an ion storage layer, and an electroly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the electrochromic layer comprising: a first oxygen atomic percentage at a first poin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located at a first distance from the substrate comprising tungsten oxide; An electrochromic element smaller than the second oxygen atom percentage at the two points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may be provided.

상기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해질층 사이에 형성된 제1 계면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층, 상기 제1 계면 영역 및 상기 전해질층에서 산소 원자백분율의 피크값은 상기 제1 계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nterface region form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electrolyte layer, wherein the peak value of the oxygen atom percentage in the electrochromic layer, the first interface region, and the electrolyte layer is in the first interface region can be located

상기 전해질층 및 상기 이온저장층 사이에 형성된 제2 계면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해질층, 상기 제2 계면 영역 및 상기 이온저장층에서 산소 원자백분율의 피크값은 상기 제2 계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terface region formed between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wherein the peak value of the oxygen atom percentage in the electrolyte layer, the second interface region and the ion storage layer is in the second interface region can be located

상기 이온저장층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판으로부터 제3 거리에 위치한 상기 이온저장층의 제3 지점에서의 제3 산소 원자백분율 및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3 거리보다 큰 제4 거리에 위치한 상기 이온저장층의 제4 지점에서의 제4 산소 원자백분율 사이의 차이는 상기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을 수 있다.The ion storage layer may include a metal oxide, and a third oxygen atomic percentage at a third point of the ion storage layer located at a third distance from the substrate and a fourth distance greater than the third distance from the substr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urth oxygen atom percentage at the fourth point of the ion storage layer positioned may b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 사이의 영역 내에서의 산소 원자백분율은 상기 제1 산소 원자백분율 및 상기 제2 산소 원자백분율 사이의 값을 갖을 수 있다.The oxygen atom percentage in the region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may have a value between the first oxygen atom percentage and the second oxygen atom percentage.

상기 제1 지점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산소 원자백분율은 상기 제1 산소 원자백분율로부터 상기 제2 산소 원자백분율로 증가할 수 있다.The oxygen atom percentage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may increase from the first oxygen atom percentage to the second oxygen atom percentage.

상기 전기변색층은 변색 칼럼 및 변색 미디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리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may include a physical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lor-changing column and a color-changing medium.

상기 제2 지점에서의 상기 물리적 구조의 밀도는 상기 제1 지점에서의 상기 물리적 구조의 밀도보다 클 수 있다.A density of the physical structures at the second point may be greater than a density of the physical structures at the first point.

상기 변색 칼럼은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전극층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coloration column may be formed from the second point toward the first electrode layer.

이하에서는 전기변색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ochromic device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본 출원에서 설명하는 전기변색장치는, 전원이 인가됨으로 인해 빛의 파장대에 따른 반사율 또는 투과율이 조정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일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반사율 또는 투과율은 상기 전기변색장치 내부에서의 이온 이동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이온은 H+ 및 L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refer to a device having a characteristic in which reflectance or transmittance according to a wavelength band of light can be adjusted due to the application of power. The reflectance or transmittance can be adjusted by ion movement inside the electrochromic device. The 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H+ and Li+.

예시적으로, 본 출원에서 설명하는 전기변색장치는 전기변색미러일 수 있고, 전기변색윈도우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설명하는 전기변색미러는 차량용 리어뷰 미러, 사이드 미러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설명하는 전기변색윈도우는 차량용 유리, 건축용 유리, 안경용 렌즈, 카메라용 렌즈 등에 이용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electrochromic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n electrochromic mirror or an electrochromic window. The electrochromic mirror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used for a vehicle rearview mirror, a side mirror, and the like. The electrochromic window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used for vehicle glass, architectural glass, glasses lens, camera lens, and the lik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에 관한 도면이다.1 is a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1)는 제어 모듈(1000) 및 전기변색소자(20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electrochromic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1000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2000 .

상기 전기변색장치(1)는 외부전원(2)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1 may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2 .

상기 외부전원(2)은 상기 전기변색장치(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2)은 상기 제어 모듈(10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2)은 상기 제어 모듈(1000)에 전압 및/또는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2)은 상기 제어 모듈(1000)에 직류전압 또는 교류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The external power source 2 may supply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1 . The external power source 2 may supply power to the control module 1000 . The external power source 2 may supply voltage and/or current to the control module 1000 . The external power source 2 may supply a DC voltage or an AC voltage to the control module 1000 .

상기 제어 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000)은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에 기초하여 구동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000)은 상기 구동전원을 통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율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반사율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를 변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를 탈색 또는 착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탈색 또는 착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0 may control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generate driving power based on the power input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and supply it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driv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change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through the driving power. The control module 1000 may adjust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adjust the reflec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change the colo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discolor or color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control module 1000 may control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to be discolored or colored.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기 제어 모듈(1000)에 의해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탈색 또는 착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투과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반사율이 변경될 수 있다.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changed by the control module 1000 .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changed by the driving voltage.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discolored by the driving voltage.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iscolored or colored by the driving voltag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changed by the driving voltage. The reflec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changed by the driving voltage.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전기변색미러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전기변색윈도우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전기변색미러에 이용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반사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전기변색윈도우에 이용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투과율이 변경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used in an electrochromic mirror.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used in an electrochromic window.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used for an electrochromic mirror, the reflectan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changed by the driving voltage.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used in the electrochromic window,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changed by the driving voltage.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전기변색미러에 이용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착색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반사율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탈색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반사율이 증가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used in an electrochromic mirror,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colored, the reflectan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decrease, and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discolored The reflectan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increase.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전기변색윈도우에 이용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착색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율이 감소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탈색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율이 증가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used in the electrochromic window,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colore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decreases, and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discolored,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discolored. Transmittance of the color-changing element 2000 may increase.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제어 모듈에 관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of a control module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제어 모듈(1000)은 제어부(1100), 전원 변환부(1200), 출력부(1300) 및 저장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ontrol module 1000 of the electrochrom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0 , a power conversion unit 1200 , an output unit 1300 , and a storage unit 1400 .

상기 제어부(1100)는 상기 전원 변환부(1200), 출력부(1300) 및 저장부(14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0 may control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 the output unit 1300 , and the storage unit 1400 .

상기 제어부(1100)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부(1300)로 출력하여, 상기 출력부(130)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stat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and output it to the output unit 1300 to control the voltage output by the output unit 130 .

상기 제어부(1100)는 상기 외부전원(2) 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12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0 may operate by the voltage output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or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

상기 제어부(1100)가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0)는 전원을 변환시킬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교류전압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0)는 상기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동작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의 직류전압을 강하시켜 동작에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1100 operates by the voltage output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the control unit 1100 may include a configuration capable of converting power. For example, when receiving an AC voltage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the controller 1100 may convert the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and use it for operation. In addition, when receiving a DC voltage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the control unit 1100 may lower the DC voltage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and use it for operation.

상기 전원 변환부(120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1200)는 전류 및/또는 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1200)는 직류전압 또는 교류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receive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The power converter 1200 may receive current and/or voltage.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receive a DC voltage or an AC voltage.

상기 전원 변환부(120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에 기초하여 내부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120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변환하여 내부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1200)는 상기 내부전원을 상기 제어 모듈(1000)의 각각의 구성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1200)는 상기 제어부(1100), 출력부(1300) 및 저장부(1400)로 상기 내부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내부전원은 상기 제어 모듈(1000)의 각각의 구성이 동작하기 위한 동작 전원일 수 있다. 상기 내부전원에 의해 상기 제어부(1100), 출력부(1300) 및 저장부(1400)가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1200)가 상기 제어부(1100)로 내부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100)에는 전원을 변환시킬 수 있는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generate internal power based o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conver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2 to generate internal power.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supply the internal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control module 1000 .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supply the internal power to the control unit 1100 , the output unit 1300 , and the storage unit 1400 . The internal power may be an operating power for operating each component of the control module 1000 . The control unit 1100 , the output unit 1300 , and the storage unit 1400 may operate by the internal power supply. When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supplies internal power to the control unit 1100 , the control unit 1100 may not receive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for convert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1100 may be omitted.

상기 전원 변환부(120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의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120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1200)는 상기 외부전원(2)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경할 수 있다.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change the level of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chang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into DC power.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chang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into AC power.

일 예로, 상기 전원 변환부(1200)는 외부전원(2)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경한 후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1200)가 외부전원(2)으로부터 교류전압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전원 변환부(1200)는 직류전압으로 변경한 후 변경된 직류전압의 레벨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 변환부(1200)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1200)는 공급받은 전원을 직접적으로 조정하는 리니어 레귤레이터(linear regulator)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받은 전원에 기초하여 펄스를 생성하고, 펄스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조정된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switching regulator)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change the level after chang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to the DC power. When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receives the AC voltage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change the DC voltage and then change the level of the changed DC voltage. In this case,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include a regulator.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include a linear regulator that directly adjusts the supplied power, generates a pulse based on the supplied power, and outputs an adjusted voltage b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pulse It may include a switching regulator (switching regulator).

다른 예로, 상기 전원 변환부(1200)가 외부전원(2)으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전원 변환부(1200)는 공급된 직류전압의 레벨을 변경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receives a DC voltage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change the level of the supplied DC voltage.

상기 전원 변환부(1200)로부터 출력되는 내부전원은 다수의 전압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1200)는 상기 제어 모듈(1000)의 각각의 구성이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다수의 전압레벨을 가지는 내부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The internal power output from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voltage levels. The power conversion unit 1200 may generate internal power having a plurality of voltage levels required for each component of the control module 1000 to operate.

상기 출력부(1300)는 구동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0)는 상기 내부전원에 기초하여 구동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0)는 상기 제어부(1100)의 제어에 의해 구동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0)는 상기 구동전압을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0)는 상기 제어부(1100)의 제어에 의해 다른 레벨을 가지는 구동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출력부(1300)는 상기 제어부(1100)의 제어에 의해 구동전압의 레벨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전압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전압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착색 또는 탈색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300 may generate a driving voltage. The output unit 1300 may generate a driving voltage based on the internal power. The output unit 1300 may generate a driving volt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0 . The output unit 1300 may apply the driving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 The output unit 1300 may output driving voltages having different level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0 . That is, the output unit 1300 may change the level of the driving volt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0 .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discolored by the driving voltage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300 .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may be colored or discolored by the driving voltage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300 .

상기 구동전압의 범위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착색과 탈색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전압이 특정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착색될 수 있고, 상기 구동전압이 특정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탈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전압이 특정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탈색될 수 있고, 상기 구동전압이 특정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착색될 수 있다. 상기 특정레벨이 0인 경우 상기 구동전압의 극성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착색 또는 탈색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Coloring and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etermined by the range of the driving voltage.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voltage is above a specific level,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colored, and when the driving voltage is below a specific level,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iscolored. Alternatively, when the driving voltag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specific level,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iscolored, and when the driving voltage is lower than a specific level,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colored. When the specific level is 0,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changed to a colored or discolored state by the polarity of the driving voltage.

상기 구동전압의 크기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변색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변색정도는 상기 구동전압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구동전압의 크기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착색 또는 탈색의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벨의 구동전압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제1 정도로 착색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벨보다 큰 제2 레벨의 구동전압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는 제1 정도보다 큰 제2 정도로 착색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에 큰 레벨의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착색정도는 더 클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미러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에 더 큰 전압이 공급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반사율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가 윈도우인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에 더 큰 전압이 공급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율이 감소할 수 있다.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etermined by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voltage.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correspond to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voltage. The degree of coloring or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etermined by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voltage. For example, when a driving voltage of a first level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colored to a first degree. When a driving voltage of a second level greater than the first level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colored to a second degree greater than the first level. That is, when a large level of voltage is su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 the degree of coloring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be greater. When a larger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a mirror, the reflectan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decrease. When a larger voltage is su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is a window,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may decrease.

상기 저장부(1400)는 상기 구동전압과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0)는 상기 변색정도와 대응되는 구동전압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0)에는 상기 변색정도와 대응되는 구동전압이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0 may store data related to the driving voltage. The storage unit 1400 may store a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discoloration. The storage unit 1400 may store the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discoloration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상기 제어부(1100)는 외부로부터 변색정도를 입력받고, 이에 대응되는 구동전압을 상기 저장부(1400)로부터 로드하여 이에 대응되는 구동전압을 상기 출력부(1300)를 제어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0)는 외부의 환경에 기초하여 변색정도를 결정하고, 이에 대응되는 구동전압을 상기 저장부(1400)로부터 로드하여 이에 대응되는 구동전압을 상기 출력부(1300)를 제어하여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0 may receive a degree of discoloration from the outside, load a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hereto from the storage unit 1400 , and generate a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hereto by controlling the output unit 1300 . The control unit 1100 determines the degree of discoloration ba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loads a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hereto from the storage unit 1400, and controls the output unit 1300 to generate a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hereto. can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도면이다.3 is a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000)는 기판(2100), 제1 전극층(2200), 전기변색스택 및 제2 전극층(2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스택은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및 전기변색층(23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substrate 2100 , a first electrode layer 2200 , an electrochromic stack,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electrochromic stack may include an ion storage layer 2310 , an electrolyte layer 2320 , and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

상기 기판(2100)은 제1 전극층(2200), 이온저장층(2310), 전해질층(2320), 전기변색층(2330) 및 제2 전극층(2400)이 형성되는 물체일 수 있다.The substrate 2100 may be an object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electrolyte layer 2320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re formed.

상기 기판(2100)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물체일 수 있다. 상기 기판(2100)은 렌즈와 같이 빛을 모으거나 분산하기 위하여 형성된 물체일 수 있다. The substrate 2100 may be an object having a property through which light may pass. The substrate 2100 may be an object formed to collect or disperse light, such as a lens.

상기 기판(2100)의 재질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판(2100)은 유리로 형성된 투명한 기판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기판(2100)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투명한 기판일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2100 may be various. For example, the substrate 2100 may be a transparent substrate formed of glass. As another example, the substrate 2100 may be a transparent substrate formed of plastic.

상기 제1 전극층(2200)은 상기 기판(21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positioned on the substrate 2100 .

상기 제1 전극층(2200) 상에는 상기 제2 전극층(240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은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상기 제2 전극층(2400)의 사이에는 전기변색층(2330)이 위치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n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고체 타입의 전기변색물질층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단일층(single layer) 형태일 수 있고, 또는, 멀티층(multi-layer) 형태일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a solid-type electrochromic material layer.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in the form of a single layer, or may be in the form of a multi-laye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상기 제1 전극층(2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2320)은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상기 이온저장층(23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 The electrolyte layer 23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

또는,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상기 제2 전극층(24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2320)은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상기 이온저장층(23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 The electrolyte layer 23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은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 중 어느 하나는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고, 나머지 하나는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transmit incident light. Alternatively, any on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reflect the incident light, and the other may transmit the incident light.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전기변색윈도우에 이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은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전기변색미러에 이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 중 어느 하나는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 is used in the electrochromic window,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transmit incident light.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used for an electrochromic mirror, any on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reflect incident light.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전기변색윈도우에 이용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은 투명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은 투명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은 인듐(indium), 주석(tin), 아연(zinc), 및/또는 옥사이드(oxide) 중 적어도 하나가 도핑된(doped) 금속(meta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은 ITO(indium tin oxide), ZnO(zinc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used in the electrochromic window,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of transparent electrodes.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are doped with at least one of indium, tin, zinc, and/or oxide. Metal. may include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formed of indium tin oxide (ITO), zinc oxide (ZnO), or indium zinc oxide (IZO).

상기 전기변색소자(200)가 전기변색미러에 이용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1 전극층(2200) 및 제2 전극층(2400) 중 어느 하나는 투명전극이 되고, 나머지 하나는 반사전극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 전극층(2200)은 투명전극이 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층(2400)은 반사전극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반사전극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전극은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금(Au), 은(Ag) 및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은 투명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 3에서도 상기 제1 전극층(2200)이 반사전극, 상기 제2 전극층(2400)이 투명전극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s used in the electrochromic mirror, any on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a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other one may be a reflective electrode. hav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a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a reflective electrode. In this case, the reflective electrode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reflectance. The reflective electrod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luminum (Al), copper (Cu), molybdenum (Mo), chromium (Cr), titanium (Ti), gold (Au), silver (Ag), and tungsten (W). have. The transparent electrode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f course, in FIG. 3 as well, the first electrode layer 2200 may be a reflec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400 may be a transparent electrode.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유입되거나, 상기 전기변색층(2330)으로부터 유출된 이온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유입되거나, 상기 전기변색층(2330)으로부터 유출된 이온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변색될 수 있다.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changed by ions flowing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or flowing out from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discolored by ions flowing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or flowing out from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는 이온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착색 또는 탈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광투과율 및/또는 광흡수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이온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환원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이온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환원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이온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환원착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환원탈색될 수도 있다.Ions may b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changed.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discolored.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colored or discolored.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light transmittance and/or light absorpt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changed. As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reduced. As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reduced in color. As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reduced in color. Alternatively,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reduced and decolorized.

상기 전기변색층(2330)에 유입된 이온은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착색 또는 탈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광투과율 및/또는 광흡수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산화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산화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산화착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산화탈색될 수 있다.Ions introduced into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released. When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opt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changed. When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discolored. When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colored or discolored. When the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the light transmittance and/or the light absorption rat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changed. As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oxidized. As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oxidatively discolored. As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oxidized. Alternatively, when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oxidized and discolored.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이온이동에 의해 변색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텅스텐 산화물(예: WO3), 티타늄 산화물(예: TiO2), 바나듐 산화물(예: V2O5), 니오븀 산화물(예: Nb2O5), 크롬 산화물(예: Cr2O3), 망간 산화물(예: MnO2), 철 산화물(예: FeO2), 코발트 산화물(예: CoO2), 니켈 산화물(예: NiO), 로듐 산화물(예: RhO2), 탄탈럼 산화물(예: Ta2O5) 및 이리듐 산화물(예: IrO2) 등의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은 물리적 내부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discolored by ion migratio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tungsten oxide (eg, WO 3 ), titanium oxide (eg, TiO 2 ), vanadium oxide (eg, V 2 O 5 ), niobium oxide (eg, Nb 2 O 5 ), chromium oxide (eg Cr 2 O 3 ), manganese oxide (eg MnO 2 ), iron oxide (eg FeO 2 ), cobalt oxide (eg CoO 2 ), nickel oxide (eg NiO), rhodium oxide (eg RhO) 2 ), tantalum oxide (eg, Ta 2 O 5 ), and iridium oxide (eg, IrO 2 )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etal oxides.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have a physical internal structure.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이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유입되거나, 상기 이온저장층(2310)으로부터 유출된 이온에 의해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유입되거나, 상기 이온저장층(2310)으로부터 유출된 이온에 의해,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변색될 수 있다.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store ions.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hanged by ions flowing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or flowing out from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discolored by ions flowing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or flowing out from the ion storage layer 2310 .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는 이온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착색 또는 탈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광투과율 및/또는 광흡수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이온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이온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변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이온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착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이온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탈색될 수도 있다.Ions may b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hanged.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discolored.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olored or discolored.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light transmittance and/or light absorption rate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hanged. As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duced. As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duced in color. As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duced in color. Alternatively, when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duced and decolorized.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유입된 이온은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광학적 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착색 또는 탈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광투과율 및/또는 광흡수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산화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산화변색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산화착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산화탈색될 수 있다.The ions introduced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leased. When the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hanged. When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discolored. When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olored or discolored. When the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light transmittance and/or the light absorption rate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hanged. As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oxidized. As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oxidatively discolored. As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oxidized. Alternatively, when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oxidized and discolored.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이온이동에 의해 변색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이리듐 산화물(예: IrO2), 탄탈럼 산화물(예: Ta2O5), 니켈 산화물(예: NiO), 망간 산화물(예: MnO2), 코발트 산화물(예: CoO2), 이리듐-마그네슘 산화물, 니켈-마그네슘 산화물 및 티타늄-바나듐 산화물 등의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물리적 내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물리적 내부구조는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물리적 내부구조와 상이할 수 있다.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discolored by ion migration. The ion storage layer 2310 is iridium oxide (eg, IrO 2 ), tantalum oxide (eg, Ta 2 O 5 ), nickel oxide (eg, NiO), manganese oxide (eg, MnO 2 ), cobalt oxide (eg : CoO 2 ), iridium-magnesium oxide, nickel-magnesium oxide, and titaniu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etal oxide such as vanadium oxide.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have a physical internal structure. The physical internal structure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different from the physical internal structur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상기 전해질층(2320)은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이온저장층(2310) 사이의 이온의 이동통로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이온저장층(2310)은 상기 전해질층(2320)을 통해 이온을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2320)은 이온의 입장에서는 이동통로가 되는데 반해, 전자의 입장에서는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전해질층(2320)을 통해 이온은 이동할 수 있으나 전자는 이동할 수 없다. 다시 말해, 상기 전기변색층(2330)와 이온저장층(2310)은 상기 전해질층(2320)을 통해 이온을 교환할 수 있으나, 전자를 교환할 수는 없다.The electrolyte layer 2320 may be a passage of ions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exchange ions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320 . The electrolyte layer 2320 may serve as a movement path for ions, whereas it may act as a barrier for electrons. That is, ions can move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320 but electrons cannot. In other words,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can exchange ions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320, but cannot exchange electrons.

상기 전해질층(2320)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2320)은 고체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2320)은 탄탈럼 산화물(예: Ta2O5), 실리콘 산화물(예: SiO2), 알루미늄 산화물(예: Al2O3), 니오븀 산화물(예: Nb2O3, Nb2O5), 리튬-탄탈럼 산화물(예: LiTaO3), 리튬-니오븀 산화물(예: LiNbO3), 란탄-티타늄 산화물(예: La2TiO7, LaTiO3), 스트론튬-아연 산화물(예: SrZrO3), 아연 산화물(예: ZrO2), 이트륨 산화물(예: Y2O3) 및 하프늄 산화물(예: Hf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layer 2320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The electrolyte layer 2320 may be a solid. The electrolyte layer 2320 may include tantalum oxide (eg, Ta 2 O 5 ), silicon oxide (eg, SiO 2 ), aluminum oxide (eg, Al 2 O 3 ), and niobium oxide (eg, Nb 2 O 3 , Nb). 2 O 5 ), lithium-tantalum oxide (eg LiTaO 3 ), lithium-niobium oxide (eg LiNbO 3 ), lanthanum-titanium oxide (eg La 2 TiO 7 , LaTiO 3 ), strontium-zinc oxide (eg : SrZrO 3 ), zinc oxide (eg, ZrO 2 ), yttrium oxide (eg, Y 2 O 3 ), and hafnium oxide (eg, HfO 2 ) may include at least one.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이온이 이탈되면, 이탈된 이온이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이온저장층(2310)의 이온이 이탈되면, 이탈된 이온이 상기 전기변색층(23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이온은 상기 전해질층(2320)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re released, the released ions may flow into the ion storage layer 2310 , and when the 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310 are released, the separated ions are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may be introduced. The ions may move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320 .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이온저장층(2310)에서 발생하는 화학반응은 서로 다른 반응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이온저장층(2310)은 서로 반대되는 화학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산화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환원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산화될 수 있다.Chemical reactions occurring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have opposite chemical reactions.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oxidiz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duced.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reduc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oxidized.

이에 따라,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상기 전기변색층(2330)의 대향전극 역할을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serve as a counter electrod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이온의 이동에 의해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The state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hanged by movement of ions.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상기 이온저장층(2310)에는 서로 대응되는 광학적 상태 변경이 유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착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도 착색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탈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도 탈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산화착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착색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환원착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산화착색될 수 있다.Corresponding optical state changes may be induc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 For example,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also be colored, and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dis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also be discolored. have.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oxidatively 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duced in color, and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reduced in color,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oxidatively colored. have.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이온저장층(2310)에는 서로 다른 광학적 상태 변경이 유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착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이 탈색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탈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이 착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산화착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탈색될 수 있고,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산화탈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환원착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상기 이온저장층(2310)은 서로 다른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상기 이온저장층(2310)이 서로 다른 투과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330)과 이온저장층(2310)의 서로 다른 광학적 상태 변경에 의해서도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도가 조정될 수 있다.Different optical state changes may be induc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 For example,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discolored, and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dis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colored. have.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oxidatively 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duced and colored, and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oxidized and 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be reduced and colored. have.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may have different transmittances. Since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have different transmittances,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is also changed by different optical state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and the ion storage layer 2310 . ) can be adjusted.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도는 착색된 층의 투과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기변색층(2330)이 착색되었을 때 투과도가 상기 이온저장층(2310)이 착색되었을 때 투과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330)을 착색시켰을 때,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도가 상기 이온저장층(2310)을 착색시켰을 때의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도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착색층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000)의 투과도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determined by the transmittance of a colored layer, the transmittance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colored is the transmittance when the ion storage layer 2310 is colored. When smaller than that,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330 is colore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smaller than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when the ion storage layer 2310 is colored. Accordingly,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0 may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colored layer.

일부 실시예에서, 전기변색소자는 스퍼터링과 같은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층, 전기변색층, 전해질층, 이온저장층 및 제2 전극층 중 적어도 일부는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formed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such as sputtering.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electrochromic layer, the electrolyte layer, the ion storag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may be formed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이하에서는 몇몇 실시예를 들어 전기변색소자의 조성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mposi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ome embodiments.

도 4 및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조성을 XPS 깊이 분석법으로 측정한 그래프 및 표로,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기판, ITO로 형성된 제1 전극층, 텅스텐 산화물로 형성된 전기변색층, 탄탈럼 산화물로 형성된 전해질층, 이리듐-탄탈럼 산화물로 형성된 이온저장층 및 ITO로 형성된 제2 전극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이다.4 and 5 are graphs and tables obtained by measuring the composit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y XPS depth analysis. The electrochromic el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formed of ITO, and tungsten oxide. The formed electrochromic layer, the electrolyte layer formed of tantalum oxide, the ion storage layer formed of iridium-tantalum oxide,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formed of ITO are sequentially stacked.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 전극층은 제1 깊이(1)부터 제2 깊이(2)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은 제3 깊이(3)부터 제4 깊이(4)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은 제5 깊이(5)부터 제6 깊이(6)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은 제7 깊이(7)부터 제8 깊이(8)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은 제9 깊이(9)부터 제10 깊이(10)에 대응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레이어 사이의 영역은 계면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해질층 사이의 영역인 상기 제4 깊이(4)부터 상기 제5 깊이(5) 사이의 영역은 상기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해질층 사이의 계면 영역이고, 이는 다른 레이어 사이의 계면 영역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것이다.4 and 5 , the first electrode layer may correspond to a first depth 1 to a second depth 2 .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correspond to a third depth 3 to a fourth depth 4 . The electrolyte layer may correspond to a fifth depth (5) to a sixth depth (6). The ion storage layer may correspond to a seventh depth (7) to an eighth depth (8). The second electrode layer may correspond to a ninth depth 9 to a tenth depth 10 . Regions between different layers may be referred to as interfacial regions. For example, the region between the fourth depth 4 and the fifth depth 5, which is a region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electrolyte layer, is an interfacial region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electrolyte layer, which The same will apply to the interfacial region between different layers.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기변색층의 텅스텐 원자백분율은 상기 제3 깊이(3)부터 상기 제4 깊이(4)까지 감소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전기변색층의 산소 원자백분율은 상기 제3 깊이(3)부터 상기 제4 깊이(4)까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3 깊이(3)는 상기 제4 깊이(4)보다 기판에 근접한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3 깊이(3)는 상기 제4 깊이(4)보다 먼저 형성된 전기변색층일 수 있다. 4 and 5 , the tungsten atomic percentag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decrease from the third depth 3 to the fourth depth 4 . On the other hand, the oxygen atom percentag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increase from the third depth 3 to the fourth depth 4 . The third depth 3 may be a position closer to the substrate than the fourth depth 4 . The third depth 3 may be an electrochromic layer formed before the fourth depth 4 .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기변색층의 양 표면 영역에서의 원자백분율의 차이는 상기 전해질층 또는 상기 이온저장층의 양 표면 영역에서의 원자백분율의 차이보다 클 수 있다. 4 and 5 , the difference in atomic percentage in both surface region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be greater than the difference in atomic percentage in both surface regions of the electrolyte layer or the ion storage layer.

일 예로, 상기 전기변색층의 상기 제3 깊이(3) 및 상기 제4 깊이(4)에서의 텅스텐 원자백분율의 차이는 미리 정해진 값(예: 1%, 2%, 3%, 4%) 이상일 수 있다. 반면, 상기 전해질층의 상기 제5 깊이(5) 및 상기 제6 깊이(6)에서의 탄탈럼 원자백분율의 차이는 상기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온저장층의 상기 제7 깊이(7) 및 상기 제8 깊이(8)에서의 이리듐 원자백분율의 차이는 상기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제3 깊이(3)에서의 텅스텐 원자백분율은 37.75%로, 상기 제4 깊이(4)에서의 33.29%보다 4.46%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5 깊이(5)에서의 탄탈럼 원자백분율은 28.88%로 상기 제6 깊이(6)에서의 29.46%보다 0.58% 작고, 상기 제7 깊이(7)에서의 이리듐 원자백분율은 15.88%로 상기 제8 깊이(8)에서의 16.08%보다 0.20% 작다.For examp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ungsten atomic percentage at the third depth 3 and the fourth depth 4 of the electrochromic lay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eg, 1%, 2%, 3%, 4%). can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ntalum atomic percentage at the fifth depth 5 and the sixth depth 6 of the electrolyte layer may b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Alterna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iridium atomic percentage at the seventh depth 7 and the eighth depth 8 of the ion storage layer may b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In FIG. 5 , it can be seen that the tungsten atomic percentage at the third depth 3 is 37.75%, which is 4.46% greater than the 33.29% at the fourth depth 4 . On the other hand, the tantalum atomic percentage at the fifth depth 5 is 28.88%, which is 0.58% smaller than 29.46% at the sixth depth 6, and the iridium atomic percentage at the seventh depth 7 is 15.88%. is 0.20% smaller than 16.08% at the eighth depth 8 .

다른 예로, 상기 전기변색층의 상기 제3 깊이(3) 및 상기 제4 깊이(4)에서의 산소 원자백분율의 차이는 미리 정해진 값(예: 1%, 2%) 이상일 수 있다. 반면, 상기 전해질층의 상기 제5 깊이(5) 및 상기 제6 깊이(6)에서의 산소 원자백분율의 차이는 상기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온저장층의 상기 제7 깊이(7) 및 상기 제8 깊이(8)에서의 산소 원자백분율의 차이는 상기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제3 깊이(3)에서의 산소 원자백분율은 63.67%로, 상기 제4 깊이(4)에서의 66.16%보다 2.49%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5 깊이(5)에서의 산소 원자백분율은 70.77%로 상기 제6 깊이(6)에서의 70.26%보다 0.51% 크고, 상기 제7 깊이(7)에서의 산소 원자백분율은 60.78%로 상기 제8 깊이(8)에서의 60.88%보다 0.10% 작다.As another examp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oxygen atom percentage at the third depth 3 and the fourth depth 4 of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be a predetermined value (eg, 1% or 2%)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xygen atom percentage at the fifth depth 5 and the sixth depth 6 of the electrolyte layer may b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Alterna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ntage of oxygen atoms in the seventh depth 7 and the eighth depth 8 of the ion storage layer may b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In FIG. 5 , it can be seen that the oxygen atom percentage at the third depth 3 is 63.67%, which is 2.49% smaller than 66.16% at the fourth depth 4 . On the other hand, the oxygen atom percentage at the fifth depth 5 is 70.77%, which is 0.51% greater than 70.26% at the sixth depth 6, and the oxygen atom percentage at the seventh depth 7 is 60.78%. 0.10% less than 60.88% at the eighth depth 8 .

도 4를 참고하면, 레이어의 일 계면 영역에서의 원자백분율의 기울기는 다른 계면 영역에서의 원자백분율의 기울기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제1 전극층 사이의 계면 영역(제2 깊이(2)부터 제3 깊이(3))에서의 텅스텐 원자백분율의 기울기는 상기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해질층 사이의 계면 영역(제4 깊이(4)부터 제5 깊이(5))에서의 텅스텐 원자백분율의 기울기와 상이할 수 있고, 특히 기울기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slope of the atomic percentage in one interfacial region of the layer may be different from the slope of the atomic percentage in the other interfacial region. For example, the slope of the tungsten atomic percentage in the interfacial region (second depth 2 to third depth 3)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electrolyte layer.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slope of the tungsten atomic percentage in the interface region (the fourth depth 4 to the fifth depth 5), and in particular, the magnitude of the slope may be different.

도 4를 참고하면, 계면 영역에서 일 원소의 원자백분율의 기울기는 다른 원소의 원자백분율의 기울기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해질층 사이의 계면 영역(제4 깊이(4)부터 제5 깊이(5))에서 텅스텐 원자백분율의 기울기는 탄탈럼 원자백분율의 기울기와 상이할 수 있고, 특히 기울기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slope of the atomic percentage of one element in the interface region may be different from the slope of the atomic percentage of the other element. For example, the slope of the tungsten atomic percentage in the interfacial region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electrolyte layer (the fourth depth 4 to the fifth depth 5) may be different from the slope of the tantalum atomic percentage, In particular, the magnitude of the slope may be different.

도 4를 참고하면, 인접하는 레이어 사이의 계면 영역에서의 원자백분율은 상기 인접하는 레이어에서의 원자백분율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의 계면 영역(제2 깊이(2)부터 제3 깊이(3))은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보다 산소 원자백분율이 작거나, 산소 원자백분율이 작은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해질층 사이의 계면 영역(제4 깊이(4)부터 제5 깊이(5))은 상기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해질층보다 산소 원자백분율이 크거나, 산소 원자백분율이 큰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전해질층 및 상기 이온저장층 사이의 계면 영역(제6 깊이(6)부터 제7 깊이(7))은 상기 전해질층 및 상기 이온저장층보다 산소 원자백분율이 크거나, 산소 원자백분율이 큰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n atomic percentage in an interface region between adjacent layers may be different from an atomic percentage in the adjacent layers. For example, an interfacial region (second depth 2 to third depth 3)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has a smaller oxygen atom percentage tha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or oxygen It may include a point where the atomic percentage is small. As another example, the interfacial region (fourth depth (4) to fifth depth (5))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electrolyte layer has a higher oxygen atom percentage tha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electrolyte layer, or an oxygen atom percentage You can include this big spot. As another example, the interfacial region between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the sixth depth 6 to the seventh depth 7) has an oxygen atom percentage greater than that of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or oxygen atoms It may include points with large percentages.

도 4를 참고하면, 인접하는 레이어 사이에서 원자백분율의 피크값은 상기 인접하는 레이어 사이의 계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전극층부터 상기 전기변색층에 걸쳐(제1 깊이(1)부터 제4 깊이(4)) 산소 원자백분율의 피크값(여기에서는 국소 최소값)은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의 계면 영역(제2 깊이(2)부터 제3 깊이(3))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전기변색층부터 상기 전해질층에 걸쳐(제3 깊이(3)부터 제6 깊이(6)) 산소 원자백분율의 피크값(여기에서는 국소 최대값)은 상기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해질층 사이의 계면 영역(제4 깊이(4)부터 제5 깊이(5))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전해질층부터 상기 이온저장층에 걸쳐(제5 깊이(5)부터 제8 깊이(8)) 산소 원자백분율의 피크값(여기에서는 국소 최대값)은 상기 전해질층 및 상기 이온저장층 사이의 계면 영역(제6 깊이(6)부터 제7 깊이(7))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peak value of an atomic percentage between adjacent layers may be located in an interface region between the adjacent layers. For example, from the first electrode layer to the electrochromic layer (first depth (1) to fourth depth (4)), the peak value of the oxygen atomic percentage (here, the local minimum value) is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It may be located in the interface region between the layers (second depth 2 to third depth 3). As another example, the peak value (here, the local maximum) of the oxygen atomic percentage from the electrochromic layer to the electrolyte layer (third depth (3) to sixth depth (6)) is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electrolyte layer It may be located in the interfacial region (fourth depth 4 to fifth depth 5) therebetween. As another example, from the electrolyte layer to the ion storage layer (from the fifth depth (5) to the eighth depth (8)), the peak value of the oxygen atomic percentage (here, the local maximum) is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It may be located in the interface region between the layers (6th depth 6 to 7th depth 7).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이온저장층의 양 표면 영역에서의 제1 금속과 제2 금속의 원자백분율의 차이 또는 비율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온저장층의 양 표면 영역 중 상기 전해질층에 인접한 영역(예: 제7 깊이(7))에서의 이리듐 원자백분율 및 탄탈럼 원자백분율의 차이는 상기 양 표면 영역 중 나머지 영역(예: 제8 깊이(8))에서의 차이보다 클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difference or ratio of atomic percentages of the first metal and the second metal in both surface reg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omic percentage of iridium and the atomic percentage of tantalum in a region adjacent to the electrolyte layer (eg, the seventh depth 7) among both surface reg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is the remaining region ( Example: It may be greater than the difference in the eighth depth (8).

도 6 및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조성을 XPS 깊이 분석법으로 측정한 그래프 및 표로,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기판, ITO로 형성된 제1 전극층, 텅스텐 산화물로 형성된 전기변색층, 탄탈럼 산화물로 형성된 전해질층, 이리듐-탄탈럼 산화물로 형성된 이온저장층 및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제2 전극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이다.6 and 7 are graphs and tables in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measured by XPS depth analysis. The electrochromic elem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made of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formed of ITO, and tungsten oxide The formed electrochromic layer, the electrolyte layer formed of tantalum oxide, the ion storage layer formed of iridium-tantalum oxide,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formed of aluminum are sequentially stacked.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1 전극층은 제1 깊이(1)부터 제2 깊이(2)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은 제3 깊이(3)부터 제4 깊이(4)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은 제5 깊이(5)부터 제6 깊이(6)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은 제7 깊이(7)부터 제8 깊이(8)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은 제9 깊이(9)부터 제10 깊이(10)에 대응될 수 있다. 6 and 7 , the first electrode layer may correspond to a first depth 1 to a second depth 2 .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correspond to a third depth 3 to a fourth depth 4 . The electrolyte layer may correspond to a fifth depth (5) to a sixth depth (6). The ion storage layer may correspond to a seventh depth (7) to an eighth depth (8). The second electrode layer may correspond to a ninth depth 9 to a tenth depth 10 .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원자백분율에 대해서는 전술한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원자백분율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As for the atomic percentag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atomic percentag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applied, and thus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8 및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조성을 XPS 깊이 분석법으로 측정한 그래프 및 표로,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기판, ITO로 형성된 제1 전극층, 이리듐-탄탈럼 산화물로 형성된 이온저장층, 탄탈럼 산화물로 형성된 전해질층, 텅스텐 산화물로 형성된 전기변색층 및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제2 전극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이다.8 and 9 are graphs and tables in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measured by XPS depth analysis.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formed of ITO, and iridium-tantalum;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n ion storage layer formed of rum oxide, an electrolyte layer formed of tantalum oxide, an electrochromic layer formed of tungsten oxide,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formed of aluminum are sequentially stacked.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1 전극층은 제1 깊이(1)부터 제2 깊이(2)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의 두께는 약 130nm이다. 상기 이온저장층은 제3 깊이(3)부터 제4 깊이(4)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의 두께는 약 90nm이다. 상기 전해질층은 제5 깊이(5)부터 제6 깊이(6)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의 두께는 약 210nm이다. 상기 전기변색층은 제7 깊이(7)부터 제8 깊이(8)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의 두께는 약 420nm이다. 상기 제2 전극층은 제9 깊이(9)부터 제10 깊이(10)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의 두께는 약 200nm이다. 8 and 9 , the first electrode layer may correspond to a first depth 1 to a second depth 2 .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is about 130 nm. The ion storage layer may correspond to a third depth 3 to a fourth depth 4 . The thickness of the ion storage layer is about 90 nm. The electrolyte layer may correspond to a fifth depth (5) to a sixth depth (6). The thickness of the electrolyte layer is about 210 nm.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correspond to a seventh depth 7 to an eighth depth 8 . The thicknes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is about 420 nm. The second electrode layer may correspond to a ninth depth 9 to a tenth depth 10 .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is about 200 nm.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경우, 레이어의 순서가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와 다르지만 전술한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원자백분율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cas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lthough the order of the layers is different from the electrochromic el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atomic percentag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applied.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일부 실시예에서, 전기변색소자는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기판, ITO로 형성된 제1 전극층, 텅스텐 산화물로 형성된 전기변색층, 탄탈럼 산화물로 형성된 전해질층, 이리듐-탄탈럼 산화물로 형성된 이온저장층 및 ITO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제2 전극층 순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텅스텐 원자를 포함하는 상기 전기변색층이 상기 기판과 가깝게 위치함으로써 열화를 줄일 수 있어 변색 컬러가 유지될 수 있다. 이리듐 원자는 텅스텐 원자에 비해 열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텅스텐 원자를 포함하는 상기 전기변색층을 외부와 인접하는 상기 기판에 가깝게 위치시켜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es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formed of ITO, an electrochromic layer formed of tungsten oxide, an electrolyte layer formed of tantalum oxide, and an ion storage formed of iridium-tantalum oxide as shown in FIGS. 4 to 7 . It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a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formed of ITO or aluminum are stacked in order. In this case, since the electrochromic layer including tungsten atoms is positioned close to the substrate, deterioration can be reduced, and thus a color change can be maintained. Since the iridium atom is more likely to be deformed when heat is applied compared to the tungsten atom, the electrochromic layer including the tungsten atom is positioned close to the substrate adjacent to the outside to prevent deterioration.

일부 실시예에서, 전기변색소자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기판, ITO로 형성된 제1 전극층, 이리듐-탄탈럼 산화물로 형성된 이온저장층, 탄탈럼 산화물로 형성된 전해질층, 텅스텐 산화물로 형성된 전기변색층 및 ITO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제2 전극층 순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이리듐-탄탈럼 산화물을 포함하는 상기 이온저장층이 상기 기판과 가깝게 위치함으로써 최대 반사율과 최소 반사율의 편차 또는 최대 투과율과 최소 투과율의 편차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을 통해 입사된 광은 상기 제1 전극층을 통해 상기 이온저장층으로 입사되는데, 상기 제1 전극층이 ITO인 경우 상기 ITO와 이리듐-탄탈럼 산화물의 굴절률 차이가 상기 ITO와 텅스텐 산화물의 굴절률 차이보다 작으므로 표면에서 소실되는 광을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전기변색소자 내부로 입사되는 광량이 증가하고 이를 통해 최대 반사율과 최소 반사율의 편차 또는 최대 투과율과 최소 투과율의 편차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에서 최대 반사율과 최소 반사율의 편차 또는 최대 투과율과 최소 투과율의 편차가 클수록 조절가능한 광량의 범위가 늘어나므로, 상기 이온저장층이 상기 기판과 가깝게 위치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제어 가능한 범위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이리듐 원자는 상대적으로 광촉매 반응에 안정적이므로, 상기 이리듐 원자를 포함하는 상기 이온저장층에 광이 조사된다고 하더라도 전기적 특성에 변화가 작아 제품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es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formed of ITO, an ion storage layer formed of iridium-tantalum oxide, an electrolyte layer formed of tantalum oxide, and an electrochromic material formed of tungsten oxide, as shown in FIGS. 8 and 9 . It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a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formed of ITO or aluminum are stacked in order. In this case, since the ion storage layer including iridium-tantalum oxide is located close to the substrate, a deviation between maximum reflectance and minimum reflectance or a deviation between maximum transmittance and minimum transmittance may increase.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substrate is incident on the ion storage layer through the first electrode layer. When the first electrode layer is I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ITO and iridium-tantalum oxide is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ITO and tungsten oxide. Since it is smaller, light lost on the surface can be reduced. That is,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in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increases, and thus, the deviation between the maximum reflectance and the minimum reflectance or the deviation between the maximum transmittance and the minimum transmittance may increase. The greater the deviation between the maximum reflectance and the minimum reflectance or the greater the deviation between the maximum transmittance and the minimum transmittance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the greater the range of the adjustable light quantity. has the effect of broadening the In addition, since the iridium atom is relatively stable to the photocatalytic reaction, even when light is irradiated to the ion storage layer including the iridium atom, there is a small change in electrical properties, thereby increasing the lifespan of the product.

도 1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에 관한 도면으로, 전기변색소자의 단면을 FIB-SEM(Focused Ion Beam-Scanning Electron Microscopy)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10의 전기변색소자(3000)는 유리로 형성된 기판(3100), ITO로 형성된 제1 전극층(3200), 텅스텐 산화물로 형성된 전기변색층(3330), 탄탈럼 산화물로 형성된 전해질층(3320), 이리듐-탄탈럼 산화물로 형성된 이온저장층(3310) 및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제2 전극층(34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이다.10 is a view of a cross-sec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is an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cross-sec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by FIB-SEM (Focused Ion Bea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electrochromic device 3000 of FIG. 10 includes a substrate 3100 formed of glass, a first electrode layer 3200 formed of ITO, an electrochromic layer 3330 formed of tungsten oxide, an electrolyte layer 3320 formed of tantalum oxide, The ion storage layer 3310 formed of iridium-tantalum oxide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3400 formed of aluminum are sequentially stacked.

도 1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에 관한 도면으로, 전기변색소자의 단면을 STEM(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11의 전기변색소자(4000)는 유리로 형성된 기판(4100), ITO로 형성된 제1 전극층(4200), 텅스텐 산화물로 형성된 전기변색층(4330), 탄탈럼 산화물로 형성된 전해질층(4320), 이리듐-탄탈럼 산화물로 형성된 이온저장층(4310) 및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제2 전극층(44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이다.11 is a view of a cross-section of an electrochromic elemen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and is an image of the cross-sect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taken by 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TEM). The electrochromic device 4000 of FIG. 11 includes a substrate 4100 formed of glass, a first electrode layer 4200 formed of ITO, an electrochromic layer 4330 formed of tungsten oxide, an electrolyte layer 4320 formed of tantalum oxide, The ion storage layer 4310 formed of iridium-tantalum oxide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4400 formed of aluminum are sequentially stacked.

도 12는 상기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의 일 영역에 관한 도면으로, 도 11의 이미지의 일 영역을 확대한 이미지에 관한 것이다.12 is a view of a region of a cross-sec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and relates to an enlarged image of one region of the image of FIG. 11 .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상기 제4 실시예 및 상기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에 기초하여 전기변색소자의 물리적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shown in FIGS. 10 to 12 .

일부 실시예에서, 전기변색소자는 물리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변색층 및 이온저장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물리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구조는 칼럼(column) 및 미디움(mediu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럼은 전기변색층에 포함된 변색 칼럼(3010, 4010) 및 이온저장층에 포함된 이온 칼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디움은 전기변색층에 포함된 변색 미디움(4020, 4030) 및 이온저장층에 포함된 이온 미디움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include a physical structur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may include the physical structure. The physical structur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lumn and a medium. The column may includ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an ion column included in the ion storage layer. The medium may include the discoloration medium 4020 and 4030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medium included in the ion storage layer.

상기 칼럼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칼럼은 제1 전극층에서 제2 전극층의 방향, 또는 제2 전극층에서 제1 전극층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lumn may have an external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column may have an external shape extending from the first electrode layer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or from the second electrode layer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상기 칼럼의 길이는 수십 nm 내지 수백 nm일 수 있다.The length of the column may be several tens of nm to several hundreds of nm.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은 상기 전기변색층의 전체 두께에 걸쳐 상기 전기변색층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은 상기 전기변색층의 일부 두께에 걸쳐 상기 전기변색층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일부 두께는 전체 두께의 20% 이상, 40% 이상, 60% 이상 또는 80% 이상일 수 있다.The discoloration columns 3010 and 4010 may have an external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may have an external shape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over the entire thicknes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As another example, 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may have an external shape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over a partial thicknes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The partial thickness may be 20% or more, 40% or more, 60% or more, or 80% or more of the total thickness.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은 상기 전기변색층의 일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외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은 상기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해질층 사이의 경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외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은 상기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제1 전극층 또는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의 경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외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의 일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은 전체 변색 칼럼의 50% 이상일 수 있다.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may have an external shape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For example, 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may have an external shape extending from an interface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electrolyte layer. As another example, 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may have an external shape extending from an interface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or the second electrode layer. 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be 50% or more of the total color-changing columns.

상기 이온 칼럼에도 상기 변색 칼럼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ontents of the discoloration column may also be applied to the ion column, a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복수의 칼럼은 서로 이격되거나 접촉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olumns may be spaced apart from or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은 다른 변색 칼럼(3010, 4010)이나 이온 칼럼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온 칼럼은 다른 이온 칼럼이나 변색 칼럼(3010, 4010)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other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or ion columns. The ion column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other ion columns or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은 다른 변색 칼럼(3010, 4010)과 접촉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온 칼럼은 다른 이온 칼럼과 접촉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may be formed in contact with other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 The ion column may be formed in contact with another ion column.

상기 칼럼의 밀도는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칼럼의 밀도는 단위 길이, 단위 영역 또는 단위 부피당 상기 칼럼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The density of the column may be different for each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The density of the column may refer to the number of the columns per unit length, unit area, or unit volume.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의 밀도는 상기 전기변색층의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 영역에서의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의 밀도는 중심 영역에서의 밀도보다 높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전기변색층의 일 표면 영역에서의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의 밀도는 다른 표면 영역에서의 밀도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의 밀도가 높은 표면 영역은 두 표면 영역 중 기판에서 거리가 먼 표면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의 밀도가 높은 표면 영역은 두 표면 영역 중 나중에 형성된 표면 영역일 수 있다.The density of 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may be different for each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For example, the density of 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in the surface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be higher than the density in the central region. As another example, the density of 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in one surface area of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be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surface area. The high-density surface area of 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may be a surface area farther from the substrate among the two surface areas. The dense surface area of the discoloration columns 3010 and 4010 may be a later formed surface area among the two surface areas.

상기 이온 칼럼의 밀도에도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의 밀도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density of 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may also be applied to the density of the ion column, a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의 밀도는 상기 이온 칼럼의 밀도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의 밀도는 상기 이온 칼럼의 밀도보다 높을 수 있다.The density of 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may be different from the density of the ion column. For example, the density of 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may be higher than that of the ion column.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 및 상기 이온 칼럼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electrochromic element may include only one of 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and the ion column.

상기 미디움은 구형 또는 이와 유사한 외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medium may have a spherical shape or a similar external shape.

상기 미디움의 크기는 수 nm 내지 수십 nm일 수 있다.The size of the medium may be several nm to several tens of nm.

복수의 미디움은 서로 이격되거나 접촉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ediums may be spaced apart from or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변색 미디움(4020, 4030)은 다른 변색 미디움(4020, 4030)이나 이온 미디움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온 미디움은 다른 이온 미디움이나 변색 미디움(4020, 4030)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discoloration mediums 4020 and 403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other discoloration mediums 4020 and 4030 or the ion medium. The ion medium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other ion mediums or discoloration mediums 4020 and 4030.

상기 변색 미디움(4020, 4030)은 다른 변색 미디움(4020, 4030)과 접촉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온 미디움은 다른 이온 미디움과 접촉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discoloration mediums 4020 and 4030 may be formed in contact with other discoloration mediums 4020 and 4030 . The ion medium may be formed by contacting another ion medium.

상기 미디움과 상기 칼럼은 서로 이격되거나 접촉될 수 있다.The medium and the column may be spaced apart from or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변색 미디움(4020, 4030)은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이나 상기 이온 칼럼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온 미디움은 상기 이온 칼럼이나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color-changing mediums 4020 and 403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or the ion column. The ion medium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on column or 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

상기 변색 미디움(4020, 4030)은 상기 변색 칼럼(3010, 4010)과 접촉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온 미디움은 상기 이온 칼럼과 접촉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color-changing mediums 4020 and 4030 may be formed in contact with the color-changing columns 3010 and 4010 . The ion medium may be formed in contact with the ion column.

상기 미디움의 밀도는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미디움의 밀도는 단위 길이, 단위 영역 또는 단위 부피당 상기 미디움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The density of the medium may be different for each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The density of the medium may mean the number of the medium per unit length, unit area, or unit volume.

상기 변색 미디움(4020, 4030)의 밀도는 상기 전기변색층의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 영역에서의 상기 변색 미디움(4020, 4030)의 밀도는 중심 영역에서의 밀도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표면 영역은 상기 전기변색층의 표면으로부터 5% 이하, 10% 이하 또는 20% 이하의 깊이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전기변색층의 일 표면 영역에서의 상기 변색 미디움(4020, 4030)의 밀도는 다른 표면 영역에서의 밀도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변색 미디움(4020, 4030)의 밀도가 높은 표면 영역은 두 표면 영역 중 기판에서 거리가 먼 표면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변색 미디움(4020, 4030)의 밀도가 높은 표면 영역은 두 표면 영역 중 나중에 형성된 표면 영역일 수 있다.The density of the discoloration medium 4020 and 4030 may be different for each area of the electrochromic layer. For example, the density of the color-changing mediums 4020 and 4030 in the surface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be higher than the density in the central region. The surface area may be an area located at a depth of 5% or less, 10% or less, or 20% or less from th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As another example, the density of the color-changing mediums 4020 and 4030 in one surface area of the electrochromic layer may be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surface area. The high density surface area of the discoloration mediums 4020 and 4030 may be a surface area farther from the substrate among the two surface areas. The high-density surface area of the discoloration medium 4020 and 4030 may be a surface area formed later among the two surface areas.

상기 이온 미디움의 밀도에서 상기 변색 미디움(4020, 4030)의 밀도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density of the discoloration medium 4020 and 4030 may be applied from the density of the ion medium,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변색 미디움(4020, 4030)의 밀도는 상기 이온 미디움의 밀도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색 미디움(4020, 4030)의 밀도는 상기 이온 미디움의 밀도보다 높을 수 있다.The density of the discoloration medium 4020 and 4030 may be different from the density of the ion medium. For example, the density of the discoloration medium 4020 and 4030 may be higher than that of the ion medium.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상기 변색 미디움(4020, 4030) 및 상기 이온 미디움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electrochromic element may include only one of the color-changing mediums 4020 and 4030 and the ion medium.

상기 물리적 구조는 전기변색소자의 공극률(porosity)이 높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물리적 구조는 전기변색소자의 공극률이 높을수록 많이 형성될 수 있다.The physical structure may be formed in a region having a high porosity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lternatively, the physical structure may be formed more as the porosity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increases.

상기 물리적 구조는 전기변색소자의 산소 함량이 높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물리적 구조는 전기변색소자의 산소 함량이 높을수록 많이 형성될 수 있다. 전기변색소자의 산소 함량이 높은 경우 다공성이 증가하므로, 산소 함량이 높은 것은 공극률이 높은 것에 대응될 수 있다.The physical structure may be formed in a region having a high oxygen content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lternatively, the physical structure may be formed more as the oxygen content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increases. When the oxygen content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high, porosity increases, so that a high oxygen content may correspond to a high porosity.

한편, 계면 영역에서는 인접하는 레이어 사이의 격자 미스매치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극률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물리적 구조가 많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interfacial region, lattice mismatch between adjacent layers may occur, and accordingly, the porosity may increase, so that a large number of the physical structures may be formed.

일부 실시예에서, 전기변색소자는 기판과 제1 전극층 사이에 형성된 추가층(3500, 4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층(3500, 4500)은 상기 기판과 상기 제1 전극층 사이의 접합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추가층(3500, 4500)은 실리콘 산화물(예: SiO2, Si2O3) 및 알루미늄 산화물(예: Al2O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층(3500, 4500)은 스퍼터링이나 ALD와 같은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layers 3500 and 4500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additional layers 3500 and 4500 may improv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additional layers 3500 and 45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ilicon oxide (eg, SiO 2 , Si 2 O 3 ) and aluminum oxide (eg, Al 2 O 3 ). The additional layers 3500 and 4500 may be formed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such as sputtering or ALD.

일부 실시예에서, 전기변색소자는 제2 전극층의 상부에 형성된 보호층(3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6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포함하는 이온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600)은 실리콘 산화물(예: SiO2, Si2O3) 및 알루미늄 산화물(예: Al2O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600)은 스퍼터링이나 ALD와 같은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layer 3600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The protective layer 3600 may prevent the ions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from being separated. The protective layer 36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ilicon oxide (eg, SiO 2 , Si 2 O 3 ) and aluminum oxide (eg, Al 2 O 3 ). The protective layer 3600 may be formed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such as sputtering or ALD.

상기에서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vident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전기변색장치
2: 외부전원
1000: 제어 모듈
1100: 제어부
1200: 전원 변환부
1300: 출력부
1400: 저장부
2000, 3000, 4000: 전기변색소자
2100, 3100, 4100: 기판
2200, 3200, 4200: 제1 전극층
2310, 3310, 4310: 이온저장층
2320, 3320, 4320: 전해질층
2330, 3330, 4330: 전기변색층
2400, 3400, 4400: 제2 전극층
3010, 4010: 변색 칼럼
3500, 4500: 추가층
3600: 보호층
4020, 4030: 변색 미디움
1: Electrochromic device
2: External power
1000: control module
1100: control unit
1200: power conversion unit
1300: output unit
1400: storage
2000, 3000, 4000: electrochromic element
2100, 3100, 4100: substrate
2200, 3200, 4200: first electrode layer
2310, 3310, 4310: ion storage layer
2320, 3320, 4320: electrolyte layer
2330, 3330, 4330: electrochromic layer
2400, 3400, 4400: second electrode layer
3010, 4010: discoloration column
3500, 4500: additional floor
3600: protective layer
4020, 4030: discoloration medium

Claims (18)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의 전기변색스택; 및
상기 전기변색스택 상의 제2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스택은 전기변색층, 이온저장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이온저장층 사이에 배치되는 전해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은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으로부터 제1 거리에 위치한 상기 전기변색층의 제1 지점에서의 제1 텅스텐 원자백분율은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에 위치한 상기 전기변색층의 제2 지점에서의 제2 텅스텐 원자백분율보다 미리 정해진 값 이상 큰
전기변색소자.
Board;
a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substrate;
an electrochromic stack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on the electrochromic stack;
The electrochromic stack includes an electrochromic layer, an ion storage layer, and an electroly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The electrochromic layer includes tungsten oxide,
The first atomic percentage of tungsten at a first poin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located at a first distance from the substrate is a second at a second poin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located at a second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from the substrat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greater than the tungsten atomic percentage
electrochromic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저장층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으로부터 제3 거리에 위치한 상기 이온저장층의 제3 지점에서의 상기 금속의 제1 원자백분율 및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3 거리보다 큰 제4 거리에 위치한 상기 이온저장층의 제4 지점에서의 상기 금속의 제2 원자백분율 사이의 차이는 상기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은
전기변색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ion storage layer includes a metal oxide,
a first atomic percent of the metal at a third point of the ion storage layer located at a third distance from the substrate and at a fourth point of the ion storage layer located at a fourth distance greater than the third distance from the substr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atomic percentages of the metal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electrochromic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전원이 인가됨으로 인해 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etal ox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is discolored due to the application of power
electrochromic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 사이의 영역 내에서의 텅스텐 원자백분율은 상기 제1 텅스텐 원자백분율 및 상기 제2 텅스텐 원자백분율 사이의 값을 갖는
전기변색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tungsten atomic percentage in the region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has a value between the first tungsten atomic percentage and the second tungsten atomic percentage
electrochromic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텅스텐 원자백분율은 상기 제1 텅스텐 원자백분율로부터 상기 제2 텅스텐 원자백분율로 감소하는
전기변색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tungsten atomic percentage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decreases from the first tungsten atomic percentage to the second tungsten atomic percentage
electrochromic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저장층은 제1 금속 산화물 및 제2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이온저장층의 양 표면 영역 중 상기 전해질층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상기 제1 금속의 원자백분율 및 상기 제2 금속의 원자백분율의 차이는 상기 양 표면 영역 중 나머지 영역에서의 상기 차이보다 큰
전기변색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ion storage layer includes a first metal oxide and a second metal oxid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omic percentage of the first metal and the atomic percentage of the second metal in a region adjacent to the electrolyte layer among both surface reg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is greater than the difference in the remaining region of the both surface regions
electrochromic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변색 칼럼 및 변색 미디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리적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chromic layer includes a physical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lor-changing column and a color-changing medium.
electrochromic devic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점에서의 상기 물리적 구조의 밀도는 상기 제1 지점에서의 상기 물리적 구조의 밀도보다 큰
전기변색소자.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ensity of the physical structures at the second point is greater than the density of the physical structures at the first point
electrochromic devic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 칼럼은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전극층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기변색소자.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iscoloration column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from the second point.
electrochromic device.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의 전기변색스택; 및
상기 전기변색스택 상의 제2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스택은 전기변색층, 이온저장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이온저장층 사이에 배치되는 전해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층은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으로부터 제1 거리에 위치한 상기 전기변색층의 제1 지점에서의 제1 산소 원자백분율은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에 위치한 상기 전기변색층의 제2 지점에서의 제2 산소 원자백분율보다 미리 정해진 값 이상 작은
전기변색소자.
Board;
a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substrate;
an electrochromic stack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on the electrochromic stack;
The electrochromic stack includes an electrochromic layer, an ion storage layer, and an electroly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The electrochromic layer includes tungsten oxide,
A first oxygen atomic percentage at a first poin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located at a first distance from the substrate is a second at a second poin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located at a second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from the substrate.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less than the atomic percentage of oxygen
electrochromic devic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 및 상기 전해질층 사이에 형성된 제1 계면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층, 상기 제1 계면 영역 및 상기 전해질층에서 산소 원자백분율의 피크값은 상기 제1 계면 영역에 위치하는
전기변색소자.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first interface region form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electrolyte layer,
In the electrochromic layer, the first interface region, and the electrolyte layer, the peak value of the oxygen atom percentage is located in the first interface region.
electrochromic devic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 및 상기 이온저장층 사이에 형성된 제2 계면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해질층, 상기 제2 계면 영역 및 상기 이온저장층에서 산소 원자백분율의 피크값은 상기 제2 계면 영역에 위치하는
전기변색소자.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second interface region formed between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The peak value of the oxygen atom percentage in the electrolyte layer, the second interface region and the ion storage layer is located in the second interface region
electrochromic devic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저장층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으로부터 제3 거리에 위치한 상기 이온저장층의 제3 지점에서의 제3 산소 원자백분율 및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3 거리보다 큰 제4 거리에 위치한 상기 이온저장층의 제4 지점에서의 제4 산소 원자백분율 사이의 차이는 상기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은
전기변색소자.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ion storage layer includes a metal oxide,
a third oxygen atomic percentage at a third point of the ion storage layer located at a third distance from the substrate and a fourth at a fourth point of the ion storage layer at a fourth distance greater than the third distance from the substr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oxygen atomic percentages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electrochromic devic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 사이의 영역 내에서의 산소 원자백분율은 상기 제1 산소 원자백분율 및 상기 제2 산소 원자백분율 사이의 값을 갖는
전기변색소자.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oxygen atom percentage in the region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has a value between the first oxygen atom percentage and the second oxygen atom percentage
electrochromic devic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산소 원자백분율은 상기 제1 산소 원자백분율로부터 상기 제2 산소 원자백분율로 증가하는
전기변색소자.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oxygen atom percentage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increases from the first oxygen atom percentage to the second oxygen atom percentage
electrochromic devic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변색 칼럼 및 변색 미디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리적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electrochromic layer includes a physical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lor-changing column and a color-changing medium.
electrochromic device.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점에서의 상기 물리적 구조의 밀도는 상기 제1 지점에서의 상기 물리적 구조의 밀도보다 큰
전기변색소자.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density of the physical structures at the second point is greater than the density of the physical structures at the first point
electrochromic device.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 칼럼은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전극층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기변색소자.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discoloration column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from the second point.
electrochromic device.
KR1020200152855A 2020-11-16 2020-11-16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5133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855A KR102513310B1 (en) 2020-11-16 2020-11-16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PCT/KR2021/016701 WO2022103234A1 (en) 2020-11-16 2021-11-16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855A KR102513310B1 (en) 2020-11-16 2020-11-16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580A true KR20220067580A (en) 2022-05-25
KR102513310B1 KR102513310B1 (en) 2023-03-24

Family

ID=8160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855A KR102513310B1 (en) 2020-11-16 2020-11-16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3310B1 (en)
WO (1) WO2022103234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4944A (en) * 2016-03-08 2017-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chromic device
KR20190010783A (en) * 2017-07-21 2019-01-31 립하이 주식회사 Electochromic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123A (en) * 2002-03-05 2003-09-1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Electrochrom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34444B1 (en) * 2016-03-08 2019-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chromic Device
US11753712B2 (en) * 2017-09-08 2023-09-12 Essilor International Durabl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ungsten oxide film prepared in high ion bombardment and low pressure deposition environment, and/or methods of mak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4944A (en) * 2016-03-08 2017-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chromic device
KR20190010783A (en) * 2017-07-21 2019-01-31 립하이 주식회사 Electochromic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310B1 (en) 2023-03-24
WO2022103234A1 (en)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2722B2 (en) Electrochromic devices
KR102014040B1 (en) Electrochromic devices
US9720298B2 (en) Electrochromic devices
US11681198B2 (en)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671664B2 (en) Electrochromic devices
JP3603963B2 (en) Electrochromic device
JP2008203740A (en) Dimming element and dimming device
US7586667B2 (en) Electronic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
KR102217923B1 (en) Electochromic element
KR20220123191A (en) Electrochromic device
KR102035385B1 (en) Electochromic element
KR102513310B1 (en)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0939842B1 (en) Electro chromic transparent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030780A (en) Electrochromic mirror using tungsten oxide film and optical modulator including same
CN113632368A (en) Apparatus for operating electroactive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175203B1 (en) Electochromic element
KR20210070957A (en) Electochromic element
KR102296307B1 (en) Electrochromic device
JPH07104324A (en) Optical switch
JP2006220746A (en) Light controller and structural body use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