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448A - 미세 전류 마스크 팩 - Google Patents

미세 전류 마스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448A
KR20220067448A KR1020200159552A KR20200159552A KR20220067448A KR 20220067448 A KR20220067448 A KR 20220067448A KR 1020200159552 A KR1020200159552 A KR 1020200159552A KR 20200159552 A KR20200159552 A KR 20200159552A KR 20220067448 A KR20220067448 A KR 20220067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heet member
electrode
skin
mas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0549B1 (ko
Inventor
안승성
Original Assignee
안승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성 filed Critical 안승성
Publication of KR20220067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2Ion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ed Devi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미세 전류 마스크 팩이 개시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부를 커버하도록 시트 형상을 가지며, 전해질을 흡수 가능하도록 다수의 미세 기공이 형성된 시트 부재, 및 시트 부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피부에 접촉됨에 따라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극 패턴, 전극 패턴은 이온화 경향이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며 전해질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미세 전류 마스크 팩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미세 전류 마스크 팩{MICRO-CURRENT MASK PACK}
본 발명은 미세 전류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피부에 보습 및 영양을 제공하기 위해 저렴하고 간편하게 이용 가능한 마스크 팩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크 팩은 부직포 및 종이 재질의 시트에 화장품 원료를 함침하여 안면에 부착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마스크 팩은 그 효과가 즉각적이지만 시트에 수분 증발이 발생하여 지속력이 떨어지며, 피부는 마스크 팩에 함침된 영양 성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미흡하여 피부 미용의 효과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성능을 만족하되 화장품 내 유효 성분의 흡수력을 증진 가능한 마스크 팩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7395호(2015.11.11 공고)
본 발명은 착용자의 피부에 부착됨으로써, 피부의 미세 전류를 활성화하여 피부 미용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 전류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부를 커버하도록 시트 형상을 가지며, 전해질을 흡수 가능하도록 다수의 미세 기공이 형성된 시트 부재, 및 시트 부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피부에 접촉됨에 따라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전극 패턴은 이온화 경향이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며 전해질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미세 전류 마스크 팩이 제공된다.
제1 전극은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선회하여 배치되고, 제2 전극은 제1 전극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를 향할수록 단락이 방지되게 선회하여 배치될 수 있다.
시트 부재는 피부의 두께에 따라 복수의 접촉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극 패턴은 복수의 접촉 영역 각각에 서로 상이한 밀집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접촉 영역은 상대적으로 가장 얇은 피부와 접하는 제1 접촉 영역, 제1 접촉 영역보다 두꺼운 피부층을 가지는 제2 접촉 영역, 및 제2 접촉 영역보다 두꺼운 피부층을 가지는 제3 접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 영역은 전두부, 하안부 및 안검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제2 접촉 영역은 비부, 상악부 및 인중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제3 접촉 영역은 하악부 및 관골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시트 부재는 착용자의 목을 커버하도록 시트 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시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 부재는 착용자의 귀에 시트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지지부에는 착용자의 귀에 걸어 착용 가능한 착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시트 부재는 신축성 및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트 부재는 오픈 셀(open cell) 구조의 미세 기공이 다수 형성되는 발포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피부에 부착됨으로써, 피부의 미세 전류를 활성화하여 피부 미용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 전류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마스크 팩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마스크 팩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마스크 팩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마스크 팩을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마스크 팩을 나타낸 정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마스크 팩을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전류 마스크 팩(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 전류 마스크 팩(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를 커버하도록 시트 형상을 가지며 전해질을 흡수 가능하도록 다수의 미세 기공이 형성된 시트 부재(101) 및 시트 부재(101)의 표면에 형성되어 피부에 접촉됨에 따라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극 패턴(110)을 포함하고, 전극 패턴(110)은 이온화 경향이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며 전해질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112) 및 제2 전극(114)을 포함하는 미세 전류 마스크 팩(100)이 제공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마스크 팩(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전류 마스크 팩(100)은 피부를 커버하도록 시트 형상을 가지며, 시트 부재(101)는 전해질을 흡수 가능하도록 다수의 미세 기공이 형성되므로, 시트 부재(101)에 화장품의 유효 성분이 포함된 전해질이 함침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부착되는 경우 전해질 내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여 보다 오래 지속력을 유지 가능하도록 하며 착용자 피부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시트 부재(101)는 원단을 열가압하여 재단될 수 있으며, 신축성 및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착용자가 착용하고 탈거할 경우 복원력이 형성되어 시트 부재(101)의 변형을 방지하므로 본 실시예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101)는 0.3mm 내지 1mm의 두께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마스크 팩(100)의 시트 부재(101)는 오픈 셀(open cell) 구조의 미세 기공이 다수 생성되는 발포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발포 폴리우레탄 폼은 수중에서 폴리우레탄 수지를 발포함에 따라 용매가 용출되어 기공이 형성되는 습식 공법으로 제조됨으로써, 열린 셀(open cell) 구조를 가진 다수의 미세 기공이 형성되므로, 건식 공법으로 제조되어 닫힌 셀(closed cell)로 이루어진 기존의 폴리우레탄 폼에 비해 보다 유연하며 전해질에 대한 흡수력을 향상시켜 지속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습식 공법으로 제조된 습식 폴리우레탄은 보다 가벼운 무게를 가지며, 부드러운 표면이 형성되어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101)는 발포 폴리우레탄 폼에 항균제가 코팅됨에 따라, 항균제와 수분이 접촉하여 작용하는 경우 이온을 용출하여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항균성을 가질 수 있다.
전극 패턴(1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부재(101)의 표면에 형성되어 전해질이 도포된 피부에 접촉됨에 따라 미세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자발적인 산화와 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얻는 갈바닉 셀을 이용한 미용기기로, 전극 패턴(110)이 인체 내에 흐르는 미세 전류를 활성화하여 피부에 자극을 줌에 따라 화장품 내 영양 물질의 피부 침투력이 증진될 수 있다.
전극 패턴(110)은 이온화 경향이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며 전해질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112) 및 제2 전극(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두 전극은 보다 높은 이온 전도성을 가지도록 표준환원전위의 전위차에 따라서 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112)은 음극으로서 이온화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아 산화되기 쉬운 아연(Zn) 등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114)은 양극으로서 이온화 경향이 상대적으로 낮은 구리(Cu)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두 전극이 전해질을 통해 피부와 접촉함에 따라, 전자가 높은 위치에너지를 가진 음극에서 낮은 위치에너지를 가진 양극으로 이동하여 전기 에너지가 생성됨으로써, 0.5V의 전압을 발생시키므로 피부의 미세 전류를 보다 활성화시켜 피부의 근육을 자극하고 전해질 내에 함침된 영양 물질을 피부 깊숙이 침투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 패턴(110)에 의해 미세 전류가 발생됨에 따라 시트 부재(101)에 흡착된 오염 물질은 살균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12)은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선회하여 배치되고, 제2 전극(114)은 제1 전극(112)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를 향할수록 단락이 방지되게 선회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전극(112)은 시트 부재(101)의 일면에서 만곡되게 선회하여 나선 구조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제2 전극(114)은 제1 전극(112)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를 향할수록 양 전극이 중첩되지 않도록 곡선으로 선회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전극(112)은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절곡되게 선회하여 배치되고, 제2 전극(114)은 제1 전극(112)의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양 전극이 중첩되지 않도록 절곡되게 선회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전극(112)은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부를 향할수록 굴곡지게 선회하여 위치되고, 제2 전극(114)은 제1 전극(112)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부로 향할수록 이격되게 굴곡되어 선회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 패턴(110)이 선회하여 시트 부재(101)에 연장됨으로써, 전류는 나선형 구조를 따라 넓은 영역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으며, 제1 전극(112)과 제2 전극(114)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양 전극이 접속되어 발생 가능한 단락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시트 부재(101)는 착용자의 귀에 시트 부재(101)를 지지하는 지지부(120)를 더 포함하고, 지지부(120)에는 착용자의 귀에 걸어 착용 가능한 착용공(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용자가 귀를 착용공(122)에 장착함에 따라 본 실시예의 시트 부재(101)는 보다 견고하게 착용자의 귀에 지지되며 안면에 대응되도록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시트 부재(101)의 배면에는 안검부, 하안부 및 턱을 따라 음각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음각 라인에 의해 접히는 방향이 유도됨으로써, 시트 부재(101)는 안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마스크 팩(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마스크 팩(100)의 경우, 전극 패턴(110)이 피부 두께에 따라 상이하게 배치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으므로,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는 전극 패턴(110)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시트 부재(101)는 피부의 두께에 따라 복수의 접촉 영역(10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전극 패턴(110)은 복수의 접촉 영역(102) 각각에 서로 상이한 밀집도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얇은 피부 두께를 가지고 있어 피부 노화에 취약한 피부에 미세 전류를 집중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의 활성을 증진시키고, 영양 물질에 대한 피부의 흡수력을 증진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결을 개선할 수 있다.
복수의 접촉 영역(102)은 상대적으로 가장 얇은 피부와 접하는 제1 접촉 영역(103), 제1 접촉 영역보다 두꺼운 피부층을 가지는 제2 접촉 영역(104), 및 제2 접촉 영역보다 두꺼운 피부층을 가지는 제3 접촉 영역(105)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접촉 영역(103)에는 가장 작은 크기를 갖는 전극 패턴(110)이 가장 높은 밀집도를 가지도록 조밀하게 배치되며, 제2 접촉 영역(104)에는 전극 패턴(110)이 제1 접촉 영역(103)보다 큰 크기를 가지며 낮은 밀도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제3 접촉 영역(105)에는 전극 패턴(110)이 제2 접촉 영역(104)보다 큰 크기를 가지며 가장 낮은 밀집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접촉 영역(103)은 전두부, 하안부 및 안검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제2 접촉 영역(104)은 비부, 상악부 및 인중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제3 접촉 영역(105)은 하악부 및 관골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각 피부 부위의 표피와 진피층의 두께 차이를 고려하여 미세 전류가 발생되므로 피부에 발생 가능한 주름을 방지하고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마스크 팩(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부재(101)는 착용자의 목을 커버하도록 시트 부재(10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시트 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과는 달리 이러한 연장 시트 부재가 목의 피부까지 커버함에 따라, 코 부위보다 얇은 피부를 가지고 있어 주름에 취약한 목 피부까지 커버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목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의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미세 전류 마스크 팩
101: 시트 부재
102: 접촉 영역
103: 제1 접촉 영역
104: 제2 접촉 영역
105: 제3 접촉 영역
110: 전극 패턴
112: 제1 전극
114: 제2 전극
120: 지지부
122: 착용공
130: 연장 시트 부재

Claims (10)

  1. 피부를 커버하도록 시트 형상을 가지며, 전해질을 흡수 가능하도록 다수의 미세 기공이 형성된 시트 부재; 및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피부에 접촉됨에 따라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패턴은,
    이온화 경향이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 부재에 흡수된 상기 전해질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미세 전류 마스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회전하면서 연장되는 선형 구조를 갖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회전하면서 연장되는 선형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전극과 단락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전극과 어긋나게 배치되는, 미세 전류 마스크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피부의 두께에 따라 복수의 접촉 영역으로 구분되는, 미세 전류 마스크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복수의 접촉 영역 각각에 서로 상이한 밀집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미세 전류 마스크 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 영역은,
    상대적으로 가장 얇은 피부와 접하는 제1 접촉 영역;
    상기 제1 접촉 영역보다 두꺼운 피부와 접하는 제2 접촉 영역; 및
    상기 제2 접촉 영역보다 두꺼운 피부와 접하는 제3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미세 전류 마스크 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영역은 전두부, 하안부 및 안검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비부, 상악부 및 인중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접촉 영역은 하악부 및 관골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미세 전류 마스크 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착용자의 목을 커버하도록 상기 시트 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시트 부재를 더 포함하는, 미세 전류 마스크 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의 양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귀에 상기 시트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착용자의 귀에 걸어 착용 가능하도록 착용공이 형성되는, 미세 전류 마스크 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신축성 및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미세 전류 마스크 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오픈 셀(open cell) 구조의 미세 기공이 다수 형성되는 발포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미세 전류 마스크 팩.
KR1020200159552A 2020-11-17 2020-11-25 미세 전류 마스크 팩 KR102440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53388 2020-11-17
KR1020200153388 2020-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448A true KR20220067448A (ko) 2022-05-24
KR102440549B1 KR102440549B1 (ko) 2022-09-06

Family

ID=81805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552A KR102440549B1 (ko) 2020-11-17 2020-11-25 미세 전류 마스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5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395B1 (ko) 2015-03-02 2015-11-11 강형석 승화전사 인쇄층이 형성된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41589A (ko) * 2015-10-07 2017-04-17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개선된 폴리우레탄 마스크 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063830A (ko) * 2014-09-29 2017-06-08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마스크 또는 패치 형태로 미세전류를 이용한 피부관리 트리트먼트제의 표적화 및 개별화 전달
KR20170114672A (ko) * 2016-04-06 2017-10-16 유한실 이온 영동이 가능한 전기 자극 마스크팩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3906B1 (ko) * 2018-07-25 2020-02-05 김춘기 미세전류 마스크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3830A (ko) * 2014-09-29 2017-06-08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마스크 또는 패치 형태로 미세전류를 이용한 피부관리 트리트먼트제의 표적화 및 개별화 전달
KR101567395B1 (ko) 2015-03-02 2015-11-11 강형석 승화전사 인쇄층이 형성된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41589A (ko) * 2015-10-07 2017-04-17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개선된 폴리우레탄 마스크 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114672A (ko) * 2016-04-06 2017-10-16 유한실 이온 영동이 가능한 전기 자극 마스크팩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3906B1 (ko) * 2018-07-25 2020-02-05 김춘기 미세전류 마스크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549B1 (ko)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5987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RU2548824C2 (ru) Гальва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кожи
KR100628946B1 (ko) 미세 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팩 세트
CN108159563A (zh) 电皮肤裹布
KR102073906B1 (ko) 미세전류 마스크팩
US20160346529A1 (en) Electric mask comprising at least two compartments
JP6168640B1 (ja) 生体電池治療具
JP2023029569A (ja) 顔面ケアのためのマスク
CN113939256A (zh) 皮肤美容用发热贴片
KR102440549B1 (ko) 미세 전류 마스크 팩
KR101110135B1 (ko) 고전도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전기마스크 장치
US20230414145A1 (en) Electrodes having dry adhesive sections, wearable devices including such electrodes,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uch electrodes
CN210542874U (zh) 一种基于钛膜的离子导入装置
KR20220144587A (ko) 입자 형태의 양극 및 패턴 형성된 음극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KR20220144585A (ko) 양극 및 음극이 패턴 형성된 마스크 팩
US20190046786A1 (en) Electric cosmetic article having a repositionable battery
RU2793401C2 (ru) Маска для ухода за лицом
CN212118768U (zh) 一种低频微电流按摩面膜
CN210447850U (zh) 一种离子导入面贴膜组件
JP2018042886A (ja) 携帯型イオン導入デバイス
KR100610253B1 (ko)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JP2000237323A (ja) 皮接治療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