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186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67186A KR20220067186A KR1020200153610A KR20200153610A KR20220067186A KR 20220067186 A KR20220067186 A KR 20220067186A KR 1020200153610 A KR1020200153610 A KR 1020200153610A KR 20200153610 A KR20200153610 A KR 20200153610A KR 20220067186 A KR20220067186 A KR 202200671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ll pan
- opening
- pan assembly
- inclined portion
- refrigerator accor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mull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장실(F1,F2)을 갖는 캐비넷과, 상기 저장실(F1,F2)을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리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F1,F2)의 후방에는 그릴팬어셈블리(50)가 세워질 수 있고,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에는 냉기를 송풍하는 송풍팬(8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에는 조절노브(90)가 구비되는데, 상기 조절노브(90)는 상기 송풍팬(80)의 회전축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리어(30)의 상면과,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저면에는 서로 밀착되는 경사부(A1,A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릴팬어셈블리(50)의 장착과정에서 그릴팬어셈블리(50)와 저장실(F1,F2)의 간섭이 줄어들 수 있다.
이때, 상기 베리어(30)의 상면과,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저면에는 서로 밀착되는 경사부(A1,A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릴팬어셈블리(50)의 장착과정에서 그릴팬어셈블리(50)와 저장실(F1,F2)의 간섭이 줄어들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기를 토출하는 그릴팬 어셈블리가 설치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따른 냉매의 순환을 이용하여 생성한 냉기로 다양한 식품이나 음료를 장시간 보관하도록 제공되는 가전 기기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냉장실의 상측에 냉동실이 배치되는 탑 프리저형 냉장고와, 냉장실의 하측에 냉동실이 위치되는 바텀 프리저형 냉장고와,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로 구획되어 위치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냉장고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상기 탑 프리저형 냉장고의 경우 냉동실 내의 후방측 공간에 증발기가 위치되고,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는 냉기 공급 및 순환을 위해 송풍팬이 설치된 그릴팬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에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 증발기를 통과하여 송풍되는 냉기의 일부가 냉장실로 제공되도록 안내하는 냉장실용 유로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용 유로가이드는 온도 조절장치에 의해 개폐량이 조절되면서 냉동실 내의 온도가 조절된다.
상기 냉장실용 유로가이드의 하부에는 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홀을 통해서 냉기가 냉장실 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홀은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베리어의 연통홀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홀과 연통홀의 연결구조를 통해서, 상기 냉기의 일부가 냉장실 쪽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탑 프리저형 냉장고에 관련하여는 실용신안공보 실1991-0002814호, 공개특허 제10-2016-0100548호, 공개특허 제10-2017-0006995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그런데, 상기 그릴팬어셈블리는 별개물로 제작된 후에 냉동실에 설치되는데, 그릴팬어셈블리를 냉동실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그릴팬어셈블리의 하부가 냉동실의 상면과 간섭되면서 부품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특히, 상기 냉동실의 바닥면에는 상기 토출홀과 연결되는 연통홀이 관통되고, 그 주변에는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폼이 구비되는데, 그릴팬어셈블리의 조립과정에서 그릴팬어셈블리의 하부가 실링폼을 이탈시키거나 파손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토출홀-연통홀 사이로 냉기가 누설되거나, 이탈된 실링폼이 연결부위를 막아 냉기의 원활한 유동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온도 조절장치는 대략 원판구조이고, 회전축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눕혀진 상태로 냉장고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도 조절장치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냉기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 방향으로 노출된 온도 조절장치의 모습이 눕혀진 상태의 원판구조 일부에 불과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조작한 조작량을 정확하게 알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온도 조절장치에 조작눈금을 프린팅하기 위한 면적도 자기 때문에 사용자의 인식을 더욱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전술된 온도 조절장치는 냉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판상의 개폐플레이트 뿐 아니라,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품들도 필요하므로 전체 부품수와 조립공수가 많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릴팬어셈블리를 냉장고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그릴팬어셈블리와 냉동실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동실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노브의 회전축이 냉동실의 전후 깊이방향으로 형성되게 하여, 조절노브가 원통형상의 다이얼 형태로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절노브의 구조를 단순화하되 냉장실로 전달되는 냉기량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저장실을 갖는 캐비넷과, 상기 저장실을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의 후방에는 그릴팬어셈블리가 세워질 수 있고,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에는 냉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에는 조절노브가 구비되는데, 상기 조절노브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축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리어의 상면과,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저면에는 서로 밀착되는 경사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릴팬어셈블리의 장착과정에서 그릴팬어셈블리와 냉동실의 간섭이 줄어들 수 있고, 그릴팬어셈블리나 냉동실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베리어의 상면에서 상기 연통홀의 가장자리를 둘러 구비되는 제1경사부와,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저면에서 상기 토출홀의 가장자리를 둘러 구비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경사부는 상기 제2경사부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는 각각 상기 캐비넷의 후방을 향해 높이가 점차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는 서로 같은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경사부 또는 상기 제2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연통홀과 상기 토출홀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밀폐시키는 실링폼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홀과 마주보는 상기 저장실의 상면에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상단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상면과 상기 제2경사부 사이의 높이는 상기 걸림홈과 상기 제1경사부 사이의 높이 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의 상면에는 상기 연통홀이 형성된 장착부가 돌출되고, 상기 장착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경사부와 인접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저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리브는 상기 제1경사부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는 내부에 회수덕트가 형성되는 베리어몸체와, 상기 베리어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수덕트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베리어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리어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장착부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에는 상기 조절노브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하부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에는 상기 연통홀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커버의 상면과 마주보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표면에는 상기 제2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양측면부와 각각 분리되어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하부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노브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그릴팬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저장실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노브몸체와, 상기 노브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그린팬어셈블리의 조절턱과 간섭돌 수 있다. 상기 노브몸체에는 연결암을 통해 개폐블레이드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블레이드의 표면은 곡면형상이고, 상기 개폐블레이드의 표면은 상기 냉장실용 유로의 개폐입구 내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블레이드는 상기 냉장실용 유로의 개폐입구 폭 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블레이드에는 상기 개폐블레이드의 일부가 함몰된 형태의 확대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대개방부를 통해 상기 냉장실용 유로의 개폐입구가 개방된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브몸체에는 회전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회전보스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고정보스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몸체에는 지지레그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에는 밀착돌부가 돌출되고, 상기 밀착돌부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양쪽 내면 중에서 상기 지지레그가 밀착되는 내면과 마주보는 반대편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노브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되게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의 표면에는 조절홈이 함몰되어 상기 조절홈에 상기 조절턱이 끼워질 수 있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내면에는 스토퍼가 돌출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결암의 측면과 간섭되어 상기 조절노브의 최대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는 서로 이격된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노브의 최대개방각도와 최소개방각도를 각각 제한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그릴팬어셈블리의 저면과 이와 밀착되는 냉동실의 바닥면 사이에는 서로 대응하는 경사부가 구비되므로, 그릴팬어셈블리의 장착과정에서 그릴팬어셈블리와 냉동실의 간섭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그릴팬어셈블리의 장착과정에서 그릴팬어셈블리나 냉동실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냉기 전달을 위한 유로입구(연통홀)에는 실링폼이 설치되는데, 그릴팬어셈블리가 설치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방지되기 때문에 실링폼이 손상되거나 이탈되지 않을 수 있고, 냉기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효율이 향상되고, 냉동실의 온도조절정확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냉기전달을 위한 유로입구(연통홀)도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평면형상에 비해 유로입구의 면적이 증가된다. 따라서, 냉장실로 전달되는 냉기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냉기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냉동실의 온도조절을 위한 조절노브의 회전축이 냉동실의 전후 깊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조절노브는 원통형상의 다이얼 형태로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직감적으로 조절노브를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조절노브의 미감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원통형상의 다이얼을 돌리면서 냉동실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조작한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노브의 조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는 조절노브를 조작할 때, 원통형상의 조절노브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끌어지지 않고 조절노브를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조절노브가 눕혀지는 방향이 아니라 세워지는 방향으로 그릴팬어셈블리에 설치되므로, 조절노브가 그릴팬어셈블리에서 차지하는 전후 방향의 폭이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조절노브를 그릴팬어셈블리의 중심부에 설치하더라도, 그릴팬어셈블리의 두께를 충분히 작게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절노브는 곡면형상이고, 냉장실용 유로가이드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냉장실용 유로가이드를 통해 흘러내리는 수분은 조절노브에 고이지 않고 조절노브의 표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따라서 조절노브 주변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는 조절노브가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그릴팬어셈블리에 구비된 고정보스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단순한 구조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조절노브의 전체적인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최소한의 구성 요소에 의해 상대물간 결빙 발생 지점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조절노브에 구비된 개폐블레이드의 외주면 전체가 냉장실용 유로가이드의 개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유로의 완전한 개방시 토출되는 유량이 최대화될 수 있고, 냉장실로 전달되는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그릴펜어셈블리의 하부에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가 구비되는데, 하부플레이트는 그릴펜어셈블리의 좌우측면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그릴팬어셈블리가 냉동실에 장착될 때, 하부플레이트는 경사부에 안내되면서 보다 원활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고, 장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캐비넷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 중에서 베리어와 그릴팬어셈블리를 캐비넷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에서 냉동실의 구성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그릴팬어셈블리의 하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그릴팬어셈블리와 베리어의 연결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그릴팬어셈블리와 베리어의 연결부위를 도 7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그릴팬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그릴팬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에 그릴팬과 조절노브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그릴팬어셈블리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9의 그릴팬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에 그릴팬과 조절노브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절노브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각각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절노브가 최소로 개방된 상태를 각각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절노브의 구성을 서로 다른 각도로 각각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절노브가 그릴팬어셈블리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그릴팬어셈블리를 냉동실 내부에 장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조립순서도.
도 18(a) 내지 도 18(e)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절노브의 회전각도에 따라 냉장실용 유로의 입구가 개방되는 정도가 달라지는 상태를 각각 보인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 중에서 베리어와 그릴팬어셈블리를 캐비넷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에서 냉동실의 구성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그릴팬어셈블리의 하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그릴팬어셈블리와 베리어의 연결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그릴팬어셈블리와 베리어의 연결부위를 도 7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그릴팬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그릴팬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에 그릴팬과 조절노브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그릴팬어셈블리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9의 그릴팬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에 그릴팬과 조절노브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절노브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각각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절노브가 최소로 개방된 상태를 각각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절노브의 구성을 서로 다른 각도로 각각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절노브가 그릴팬어셈블리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그릴팬어셈블리를 냉동실 내부에 장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조립순서도.
도 18(a) 내지 도 18(e)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절노브의 회전각도에 따라 냉장실용 유로의 입구가 개방되는 정도가 달라지는 상태를 각각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동실(F1)의 후방에 설치된 증발기에서 발생한 냉기가 냉동실(F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냉기의 일부는 냉동실(F1)의 하부에 배치된 냉장실(F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F1)과 상기 냉장실(F2) 사이의 냉기전달은 그릴팬어셈블리(50)가 담당할 수 있는데,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는 상기 증발기의 냉기 중 일부를 냉장실(F2) 쪽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는 베리어(30)의 상부에 세워질 수 있다. 상기 베리어(30)는 상기 냉동실(F1)과 상기 냉장실(F2)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와 상기 베리어(30)가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실링폼이 구비되어 냉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와 상기 베리어(30)의 사이가 밀착되는 부분에 경사부(A1,A2)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가 상기 냉동실(F1)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실링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캐비넷이 도시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캐비넷은 아웃케이스와 이너케이스(10)로 구성되고, 아웃케이스와 이너케이스(10)의 사이에는 발포액이 충진되어 단열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는 이너케이스(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10)의 상부에는 냉동실(F1)이 마련되고, 냉동실(F1)의 하부에는 냉장실(F2)이 마련된다. 상기 냉동실(F1)과 상기 냉장실(F2)은 각각 서로 구획된 저장실로서, 음식물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F2)은 하부케이스(11)가 골격을 만들고, 상기 냉동실(F1)은 상부케이스(13)가 골격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냉동실(F1)이 하부에 있고 냉장실(F2)이 상부에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냉동실(F1)과 상기 냉장실(F2)은 이미 상기 냉동실(F1)의 바닥면(14)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고 볼 수도 있지만, 상기 냉동실(F1)의 바닥면(14)은 덕트입구(16)를 비롯한 경로로 인해 하부로 뚫려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냉동실(F1)과 냉장실(F2)을 구획해주는 것은 아래에서 설명될 베리어(30)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F1)을 보면, 상기 냉동실(F1)의 바닥면(14)은 평판구조이고, 상기 냉동실(F1)의 바닥면(14)에는 다수개의 리브구조(15)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F1)의 입구에 가까운 상기 냉동실(F1)의 바닥면(14)에는 덕트입구(16)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덕트입구(16)는 냉동실(F1)로 공급된 냉기가 회수되는 경로의 입구로서, 상기 냉동실(F1)의 냉기는 상기 덕트입구(16)를 통해 베리어(3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베리어(30) 내부의 회수덕트를 통해 다시 증발기 쪽으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0)의 가장 깊은 내면은 이너케이스(10)의 후면플레이트(17)가 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후면플레이트(17)는 노출되어 있지만, 상기 후면플레이트(17)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가 설치된 후에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후면플레이트(17)과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 사이에 해당하는 빈 공간에는 증발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는 증발실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케이스(13)의 내부공간은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를 기준으로 전방의 냉동실(F1)과,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와 상기 후면플레이트(17)의 사이에 형성된 증발실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너케이스(10)는 아웃케이스와 결합되어 캐비넷을 구성하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캐비넷에는 도어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냉동실(F1)과 냉장실(F2)을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냉동실(F1)용 도어와 냉장실(F2)용 도어가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0)의 상부케이스(13)와 하부케이스(11)의 사이에는 베리어(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30)는 상기 냉동실(F1)과 상기 냉장실(F2)을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30)는 (i) 상기 냉동실(F1)의 냉기를 다시 회수하여 상기 증발실로 전달하는 역할과, (ii) 상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에 의해 토출된 냉기 중 일부를 상기 냉장실(F2)로 전달하는 역할과, (iii) 상기 냉장실(F2)의 냉기를 다시 회수하여 상기 증발실로 전달하는 역할 등을 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베리어(30)는 대략 사각틀 형태이고,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30)에는 베리어몸체(31)가 있다. 상기 베리어몸체(31)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고, 그 내부에는 회수덕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수덕트는 상기 냉동실(F1)의 냉기를 상기 증발기 쪽으로 다시 회수하기 위한 유로로서, 상기 냉동실(F1)의 바닥면(14)에는 상기 회수덕트의 입구가 되는 덕트입구(16)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베리어(30)의 내부에는 상기 냉장실(F2)의 냉기를 회수하기 위한 덕트구조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리어몸체(31)의 상부에는 베리어커버(3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커버는 상기 베리어몸체(31)의 상부를 덮는 평판구조이고, 상기 베리어커버(33)는 상기 회수덕트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베리어커버(33)는 상기 베리어몸체(31)의 상면 보다 짧게 형성되어서, 전방 부분에 일종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빈 공간은 상기 덕트입구(16)와 연결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커버(33)에는 장착부(34)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4)는 상기 베리어커버(33)의 상부에서 더 돌출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장착부(34)는 대략 사각틀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4)는 상기 베리어커버(33)의 상면에서 가장 돌출될 부분이고, 상기 냉동실(F1)의 바닥면(14)에서도 가장 돌출된 부분이 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베리어(30)가 상기 이너케이스(10)에 조립되면, 상기 베리어(30)의 대부분은 상기 냉동실(F1)의 바닥면(14)에 의해 가려지지만, 상기 베리어커버(33)의 장착부(34)는 상기 냉동실(F1)의 바닥면(14)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냉동실(F1)의 바닥면(14)에 장착홈(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 상기 장착부(34)가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34)의 중심에는 연통홀(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35)은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토출홀(67)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베리어커버(33)를 상하로 관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35)은 상기 베리어커버(33)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베리어몸체(31)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35)은 상기 베리어커버(33)에서 상기 베리어몸체(31)까지 연속적으로 관통되어서, 공기를 상하방향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에서 토출된 냉기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토출홀(67)로 토출되고, 토출홀(67)에 맞닿아 있는 상기 연통홀(35)을 통해서 아래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아래쪽은 상기 냉장실(F2)이 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35)의 주변에는 제1경사부(A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A1)는 상기 연통홀(35)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연통홀(35)의 주변에 형성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경사부(A1)는 상기 장착부(34)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A1)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7)를 향한 상기 이너케이스(10)의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경사부(A1)는 상기 냉동실(F1)의 입구에 해당하는 전방에서, 상기 후면플레이트(17)를 향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것이다. 상기 제1경사부(A1)는 평면형상이거나 또는 곡면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A1)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제2경사부(A2)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가 상기 이너케이스(10)에 장착될 때,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제2경사부(A2)가 상기 제1경사부(A1)를 타고 오르면서 상기 제1경사부(A1)와 상기 제2경사부(A2)가 서로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경사부(A1)에는 실링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폼은 상기 제1경사부(A1)의 가장자리를 둘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폼은 상기 제1경사부(A1)의 중심에 있는 상기 연통홀(35) 주변으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링폼은 어느 정도 탄성변형이 가능한 고무, 실리콘 또는 우레탄폼 등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실링폼은 상기 제1경사부(A1)와,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제2경사부(A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실링폼은 상기 제1경사부(A1) 중심의 연통홀(35)과, 상기 제2경사부(A2) 중심의 토출홀(67) 사이에 위치하고, 양쪽 표면이 각각 상기 제1경사부(A1)와 제2경사부(A2)에 의해 눌려 압축되면서 실링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30)의 상부에는 드레인트레이(3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트레이(37)는 상기 베리어커버(33)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리어커버(33)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드레인트레이(37)의 상부에는 상기 증발기가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제상수가 상기 드레인트레이(37)에 집수된 후에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트레이(37)에는 상기 증발기에 발생한 성에를 녹이기 위한 히터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38은 유로커버로, 상기 회수덕트를 통해 회수된 냉기가 상기 증발기 쪽으로 다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를 설명하면,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는 상기 상부케이스(13) 내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7)와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후면플레이트(17)와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 사이에 상기 증발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실에는 상기 증발기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보면,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는 상기 이너케이스(10)의 측면부(17a) 보다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측면부(17a)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실이 마련된다고 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상기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는 상기 냉동실(F1)의 후방에 세워져 상기 냉동실(F1)의 후면을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는 상기 상부케이스(13)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조립되는데,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와 상기 상부케이스(13)의 내면, 즉 상기 냉동실(F1)의 내면과 간섭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가 상기 상부케이스(13)의 내면과 간섭되면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가 손상되거나, 또는 상기 실링폼이 탈거될 수 있는데, 상기 제1경사부(A1)와 함께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제2경사부(A2)가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경사부(A2)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A2)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제1하우징(6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60)의 하부에는 하부플레이트(66)가 구비되고, 상기 제2경사부(A2)는 상기 하부플레이트(66)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부플레이트(66) 전체가 제2경사부(A2)가 된다. 즉, 상기 하부플레이트(66) 자체가 제2경사부(A2)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경사부(A2)의 중심에는 토출홀(6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홀(67)은 상기 제2경사부(A2)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해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연통홀(35)과 맞닿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토출홀(67)은 상기 저장실 방향으로 개방되어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송풍팬(80)이 토출하는 냉기를 저장실 쪽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A2)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가 상기 상부케이스(13)에 세워지는 상하방향과 직교한 방향인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경사부(A2)는 상부케이스(13)의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후 방향은 상기 냉동실(F1)의 깊이 방향과 같은 것이다. 상기 제2경사부(A2)는 평면형상이거나 또는 곡면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A2)는 상기 연통홀(35)의 주변에 형성된 상기 제1경사부(A1)와 대응하는 것이다.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가 상기 상부케이스(13)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경사부(A2)는 상기 제1경사부(A1)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제1경사부(A1)와 상기 제2경사부(A2)가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이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상단이 상기 상부케이스(13)의 상부에 있는 걸림홈(19, 도 4참조)에 먼저 끼워진 상태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하단이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케이스(13)에 장착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하단이 회전할 때,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하부에 있는 제2경사부(A2)가 상기 베리어(30)에 마련된 제1경사부(A1)와 접하면서 회전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제1경사부(A1)와 상기 제2경사부(A2)가 없다면,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하단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하단의 저면과 상기 상부케이스(13)의 바닥면 또는 상기 베리어(30)의 상면이 간섭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간섭에 의해 상기 실림폼이 탈거되거나 원위치를 벗어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경사부(A1)와 상기 제2경사부(A2)가 이러한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도 5를 보면, 상기 제1경사부(A1)와 상기 제2경사부(A2)가 서로 같은 각도를 갖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A1)와 상기 제2경사부(A2)는 냉동실(F1)의 깊이 방향인 전후방향(도 5를 기준으로는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상부케이스(13)의 후방을 향해 소정각도(x)만큼 상향경사진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A1)와 상기 제2경사부(A2)는 서로 같은 경사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1경사부(A1)와 상기 제2경사부(A2)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게 되면, 상기 제1경사부(A1)와 상기 제2경사부(A2)의 사이가 이격되어 냉기가 누설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경사부(A1)와 상기 제2경사부(A2)의 경사각은 5°내지 3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각이 5°이하이면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부케이스(13)와 간섭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경사각이 30°이상이면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하단이 상기 제1경사부(A1)의 상면, 즉 상기 실링폼의 상면에 고정되지 못하고 전방으로 미끌어져 이탈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도 6을 보면, 상기 제2경사부(A2)의 좌우에는 각각 가이드리브(68)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68)는 상기 제2경사부(A2)와 인접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가 상기 상부케이스(13)에 장착되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리브(68)는 상기 제1경사부(A1)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68)는 상기 제1경사부(A1)의 주변을 둘러 싸서, 상기 제1경사부(A1)와 상기 제2경사부(A2)가 서로 정확한 위치에서 마주할 수 있도록 안내해준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7와 도 8에도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경사부(A1)와 상기 제2경사부(A2)가 경사진 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연통홀(35)과 상기 토출홀(67)도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35)과 상기 토출홀(67)이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평면형상에 비해 유로입구의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F2)로 전달되는 냉기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냉기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가 상기 상부케이스(13)에 장착될 때,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저면 대부분은 상기 베리어커버(33)와만 밀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저면을 형성하는 제2경사부(A2)는 상기 베리어커버(33)의 제1경사부(A1)에 구비된 실링폼을 따라 이동하되, 실링폼을 압축하면서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를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의 냉기를 냉동실(F1) 및 냉장실(F2) 방향으로 토출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상기 냉동실(F1)과 상기 증발실을 구획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전면이 드러나도록 도시되어 있다.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는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제2하우징(70) 전면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골격은 크게 제1하우징(60)과 제2하우징(70)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하우징(60)은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전면을 구성하고, 제2하우징(70)은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60)은 쉬라우드로 칭하고, 제2하우징(70)은 그릴팬으로 칭할 수도 있다.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전면에는 조절노브(9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70)의 중심에는 노브개구부(72)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노브(90)의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절노브(90)의 노브몸체(91)는 원통형상이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형상의 노브몸체(91)가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브몸체(91)의 노출된 부분을 파지하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냉동실(F1) 내부로 토출되는 냉기량이 조절될 수 있다.
도 10에는 상기 제2하우징(70)이 제거된 상태의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2하우징(70)의 뒤쪽에는 제1하우징(60)이 배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60)에는 송풍팬(80)과 조절노브(90)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하우징(60)과 상기 제2하우징(70)의 사이에 상기 송풍팬(80)과 조절노브(90)가 각각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송풍팬(80)은 팬과 모터가 함께 구비된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송풍팬(80)이 작동하면 증발기로부터 냉기가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된 냉기는 상기 제1하우징(60)에 구비된 냉동실용 유로(냉동유로(63a))와 냉장실용 유로(냉장유로(64a1,64a2))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냉동실(F1)과 냉장실(F2)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송풍팬(80)은 장착몸체(81)와 상기 장착몸체(81)에 설치된 팬(8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송풍팬(80)은 상기 제1하우징(60)에 관통된 팬개구부(62a)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개구부(62a)는 증발실을 향해서도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증발실의 냉기는 상기 송풍팬(80)에 의해 유로공간(62)으로 흡입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장착몸체(81)에는 장착플랜지(85)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하우징(60)에는 상기 장착플랜지(85)에 대응하는 장착보스(61a)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85)가 상기 장착보스(61a)와 적층되면, 상기 장착플랜지(85)에 관통된 플랜지홀(85')과 상기 장착보스(61a)에 형성된 보스홀(61a')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체결구(B)가 상기 플랜지홀(85')과 보스홀(61a')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면, 상기 송풍팬(80)이 상기 제1하우징(60)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장착플랜지(85)는 상기 장착몸체(81)에 총 3개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보스(61a)도 상기 제1하우징(60)에 총 3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송풍팬(80)의 중심을 기준으로, 총 3개의 장착플랜지(85) 중 한 개는 좌측에, 그리고 두 개는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85)는 상기 송풍팬(80)에서 토출되는 냉기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해야 하므로, 상기 장착플랜지(85)는 상기 냉동유로(63a)와 냉장유로(64a1,64a2)의 입구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례에서 왼쪽의 장착플랜지(85)는 좌측의 냉동유로(63a)의 입구 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오른쪽의 두 장착플랜지들(85)은 우측의 냉동유로(63a)의 입구와 간섭되지 않도록 서로 벌어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장착플랜지(85)와 상기 장착보스(61a)의 개수와 위치는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하우징(60)의 가장자리에는 펜스부(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펜스부(61)는 상기 제1하우징(6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2하우징(70)을 향한 전방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펜스부(61)는 상기 제1하우징(6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펜스부(61)의 안쪽에는 빈 공간인 유로공간(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60)의 유로공간(62)에는 유로가이드(63,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가이드(63,64)는 상기 제1하우징(60)의 전면(혹은, 제2하우징(70)의 배면(71a))에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유로가이드(63,64)는 상기 제2하우징(70)의 냉기토출구(74a,74b,74c)가 형성된 부위로 냉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냉동실용 유로가이드(63) 및 냉장실(F2)로 냉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냉장실용 유로가이드(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냉장실용 유로가이드(64)의 양쪽에는 각각 상기 냉동실용 유로가이드(6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용 유로가이드(63)의 안쪽에는 냉동유로(63a)가 형성되고, 상기 냉동유로(63a)는 상기 제2하우징(70)의 냉기토출구(74a,74b,74c)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용 유로가이드(64)는 그 안쪽에 냉장실용 유로인 냉장유로(64a1,64a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유로(64a1,64a2)는 상기 송풍팬(80)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를 제공받는 상부유로(64a1) 및 상기 상부유로(64a1)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면서 폭이 넓어지는 하부유로(64a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유로(64a1)와 상기 하부유로(64a2)의 사이에는 상기 개폐입구(64a')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유로(64a1)는 상기 송풍팬(8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송풍팬(80)의 회전에 의해 방사 방향으로 토출되는 냉기 중 상기 송풍팬(80)의 하부를 향해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냉장실용 유로가이드(64)의 상부유로(64a1)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상부유로(64a1)의 입구가 상기 송풍팬(80)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지만, 이와 달리 상부유로(64a1)가 상기 송풍팬(80)의 바로 아래가 아니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용 유로가이드(64)의 상기 상부유로(64a1)는 상기 냉장유로(64a1,64a2)의 개폐입구(64a')를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상부유로(64a1)의 구조를 통해 상기 송풍팬(80)으로부터 송풍되는 냉기가 냉장실(F2)에 이르기까지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냉장실용 유로가이드(64)는 상기 하부유로(64a2)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면서 냉장실(F2)과 연통되는 출구부(6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출구부(65)의 안쪽에는 출구유로(65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구부(65)의 하측 끝단 부위에는 제1하우징(60)의 하부플레이트(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66)는 상기 출구부(65)와 함께 상기 출구유로(65a)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플레이트(66)에 형성된 토출홀(67)은 상기 출구유로(65a)와 연결되어서, 상기 출구유로(65a)의 냉기를 아래쪽, 보다 정확하게는 냉장실(F2) 쪽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출구유로(65a)가 형성된 부분에는 응축수배출홀(69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배출홀(69a)은 상기 제1하우징(6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해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응축수배출홀(69a)은 상기 냉장유로(64a1,64a2)를 따라 흐르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응축수가이드(69)가 상기 제1하우징(60)의 배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응축수가이드(69)의 내부에 상기 응축수배출홀(69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용 유로가이드(64)에 의해 형성된 상기 냉장유로(64a1,64a2)에는 냉기와 함께 수분이 흐를 수도 있다. 상기 냉장유로(64a1,64a2)에서 유동하는 수분은 상기 냉장실(F2)로 공급되지 않고, 상기 응축수배출홀(69a)에 의해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외부, 예를 들어 상기 드레인트레이(37)에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66)에는 상기 토출홀(6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플레이트(66)의 저면에는 상기 토출홀(67)의 주변을 둘러 앞서 설명한 제2경사부(A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부플레이트(66) 전체가 전후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서, 하부플레이트(66) 자체가 제2경사부(A2)가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하부플레에트의 두께가 전후방향으로 달라지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66)의 저면에 제2경사부(A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하부플레이트(66)는 제1하우징(60)의 좌우측면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플레이트(66)는 제1하우징(60)의 좌우측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빈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하부플레이트(66)는 상기 제1하우징(60)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일종의 외팔보구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하부플레이트(66)는 보다 자유롭게 탄성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가 상부케이스(13)에 장착될 때, 상기 하부플레이트(66)는 제1경사부(A1)에 안내되면서 보다 원활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상기 제1하우징(60)의 내면에는 조절턱(G)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턱(G)은 상기 제1하우징(60)의 내면에서 상기 제2하우징(70)의 배면(71a) 방향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조절턱(G)은 아래에서 설명될 조절노브(90)의 조절홈(93)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조절턱(G)이 상기 조절홈(93)에 끼워지면, 상기 조절노브(90)가 특정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13(b)에서 보듯이, 상기 조절턱(G)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조절턱(G)은 서로 일정한 곡률반경을 이루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조절턱(G)은 각각 상기 조절홈(93)에 끼워지거나, 상기 조절홈(93) 중 일부에 끼워질 수 있다. 본 실시례와 달리 상기 조절턱(G)은 복수개가 아니라 한 개만 구비되고, 한 개의 조절턱(G)이 서로 다른 조절홈(93)에 끼워지면서 조절노브(90)의 각도가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절턱(G)은 상기 제1하우징(60)의 내면에서 돌출된 외팔보 구조로, 원기둥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조절턱(G)은 상기 제2하우징(70)의 배면(71a)에서 돌출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제1하우징(60)의 내면에는 스토퍼(ST1,ST2)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ST1,ST2)는 상기 조절노브(90)가 최대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조절노브(90)와 간섭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ST1,ST2)는 상기 조절턱(G)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하우징(60)의 내면에서 돌출되는 원기둥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스토퍼(ST1,ST2)는 상기 조절노브(90)의 연결암(94)의 측면과 간섭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ST1,ST2)가 상기 연결암(94)의 측면에 간섭되면, 상기 조절노브(90)의 최대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ST1,ST2)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스토퍼(ST1,ST2)는 서로 이격된 제1스토퍼(ST1)와 제2스토퍼(ST2)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노브(90)의 최대개방각도와 최소개방각도를 각각 제한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3(b)에는 상기 조절노브(90)가 최대개방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제1스토퍼(ST1)가 상기 연결암(94)의 일측면과 간섭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b)에는 상기 조절노브(90)가 최소개방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제2스토퍼(ST2)가 상기 연결암(94)의 타측면과 간섭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스토퍼(ST1,ST2)는 상기 조절턱(G) 보다 돌출된 길이가 짧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스토퍼(ST1,ST2)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절노브(90)의 각도조절부(92)가 상기 제1하우징(6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되어서, 상기 스토퍼(ST1,ST2)는 상기 각도조절부(92)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토퍼(ST1,ST2)는 상기 조절노브(90)의 연결암(94)이 상기 제1하우징(6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 보다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ST1,ST2)는 상기 연결암(94)과는 간섭될 수 있다.
도 9와 도 11을 참조하여 제2하우징(70)을 보면, 상기 제2하우징(70)은 상기 제1하우징(60)에 대응하는 평판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70)은 상기 제1하우징(60)에 결합되어서 그 내부에 차폐된 유로공간(6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70)의 상단에는 제1결합단부(71)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단부(71)는 상기 제1하우징(60)의 상단에 구비된 상기 펜스부(61)의 안쪽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70)의 하단에는 제2결합단부(73)가 돌출될 수 있는데, 상기 제2결합단부(73)는 상기 제1하우징(60)의 좌우측면과 상기 하부플레이트(66) 사이의 빈 공간을 메울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상기 냉동실용 유로가이드(63)와 상기 냉장실용 유로가이드(64)는 모두 상기 제1하우징(60)에 형성되었지만, 이와 달리 상기 냉동실용 유로가이드(63)와 상기 냉장실용 유로가이드(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2하우징(70)의 배면(71a)에서 돌출될 수도 있다.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냉기토출구(74a,74b,74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토출구(74a,74b,74c)는 증발실의 냉기를 냉동실(F1) 내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냉기토출구(74a,74b,74c)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제1하우징(60)의 냉동실용 유로가이드(63)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토출구(74a,74b,74c)는 상기 제2하우징(70)의 상부와 중앙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하우징(70)의 상부에는 상측토출구(74a)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조절노브(9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좌측토출구(74b)와 우측토출구(74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70)의 하단에는 하부턱(78)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턱(78)은 상기 냉동실(F1)의 입구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제2하우징(70)의 하단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턱(78)은 상기 출구유로(65a)의 폭을 넓힐 수 있고, 상기 토출홀(67)의 위치가 상기 냉동실(F1)의 입구 쪽으로 치우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보면, 상기 토출홀(67)의 위치가 그 상부에 위치한 상기 하부유로(64a2) 보다 전방(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치우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60)과 제2하우징(70)은 체결구로 결합되거나, 레이저용접 또는 접착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하우징(70)에는 체결돌부(79)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돌부(79)의 중심에는 제1체결홀(7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70)에는 상기 체결돌부(79)와 마주보는 위치에 체결보스(P)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보스(P)는 상기 냉동유로(63a)와 냉장유로(64a1,64a2)를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냉동유로(63a)와 냉장유로(64a1,64a2)를 회피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부(79)와 상기 체결보스(P)가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체결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제1체결홀(79')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보스(P)에 조여지면, 상기 제1하우징(60)과 제2하우징(70)은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에 설치되는 조절노브(9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절노브(90)는 회전을 통해 상기 냉장유로(64a1,64a2)의 개폐입구(64a')를 개폐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장유로(64a1,64a2)를 구성하는 상부유로(64a1) 및 하부유로(64a2)의 경계에 위치한 개폐입구(64a')가 상기 조절노브(9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개폐입구(64a')의 개폐란, 상기 개폐입구(64a')를 완전히 차단하거나 완전히 개방하는 것 뿐 아니라, 상기 개폐입구(64a')의 일부만 차단하거나 일부를 개방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노브(90)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에 설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송풍팬(80)의 회전축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노브(90)는 눕혀진 방향이 아니라 세워지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조절노브(90)는 원통형상의 다이얼 형태로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보다 직감적으로 조절노브(9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원통형상의 다이얼을 돌리면서 냉동실(F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조작한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상기 조절노브(90)를 조작할 때, 원통형상의 상기 조절노브(9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파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여러 손가락을 동시에 이용하여 조절노브(90)를 파지함으로써, 미끌어지지 않고 조절노브(90)를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노브(90)가 눕혀지는 방향이 아니라 세워지는 방향으로 그릴팬어셈블리(50)에 설치되면, 상기 조절노브(90)가 그릴팬어셈블리(50)에서 차지하는 전후 방향의 폭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조절노브(90)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홀(67)로 송풍되는 송풍량을 회전각도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노브(90)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상기 토출홀(67)을 통해 상기 냉장실(F2)에 전달되는 냉기량이 조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냉동실(F1)의 온도 조절도 가능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절노브(90)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내부에 형성된 냉장유로(64a1,64a2)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조절노브(90)는 상기 냉장유로(64a1,64a2)의 개폐입구(64a')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노브(90)의 개폐블레이드(95)는 상기 냉장실용 유로의 개폐입구(64a')를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조절노브(90)의 골격은 원통형상의 노브몸체(91)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노브몸체(91)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로부터 상기 냉동실(F1)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돌출된 부분이 파지부가 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노브몸체(91)의 외주면에는 각도조절부(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92)는 상기 노브몸체(9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하우징(60)에서 돌출된 상기 조절턱(G)과 간섭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92)는 상기 노브몸체(91)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각도조절부(92)는 대략 얇은 띠형태의 구조이고, 상기 각도조절부(92)의 표면에는 조절홈(93)이 함몰된다. 상기 조절홈(93)에는 상기 조절턱(G)이 끼워져 상기 조절노브(90)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조절홈(93)은 상기 각도조절부(92)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그 간격은 상기 복수개의 조절턱(G)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92)에는 밀착돌부(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착돌부(92')는 상기 각도조절부(92)에서 상기 제2하우징(70)의 배면(71a)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조절노브(90)가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에 설치되면, 상기 밀착돌부(92')는 상기 제2하우징(70)의 배면(71a)에 밀착되어서, 상기 제2하우징(70)의 배면(71a)과 상기 조절노브(90) 사이의 유격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밀착돌부(92')는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레그(97)가 밀착되는 제1하우징(60)의 내면과 마주보는 반대편 내면인 상기 제2하우징(70)의 배면(71a)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노브몸체(91)의 외주면에는 연결암(94)이 돌출되고, 상기 연결암(94)에는 개폐블레이드(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블레이드(95)는 상기 노브몸체(91)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으로, 상기 개폐입구(64a')를 실질적으로 차폐하거나 개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암(94)은 상기 제1하우징(60)의 스토퍼(ST1,ST2)에 간섭되어 상기 조절노브(90)의 최대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도 13(b)과 같이 상기 조절노브(90)가 최대개방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제1스토퍼(ST1)가 상기 연결암(94)의 일측면과 간섭되거나, 도 14(b)와 같이 상기 조절노브(90)가 최소개방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제2스토퍼(ST2)가 상기 연결암(94)의 타측면과 간섭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블레이드(95)의 표면은 곡면형상이고, 상기 개폐블레이드(95)의 표면은 상기 냉장실용 유로의 개폐입구(64a') 내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냉장유로(64a1,64a2)를 통해 흘러내리는 수분은 상기 개폐블레이드(95)에 고이지 않고 상기 개폐블레이드(95)의 표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따라서 조절노브(90) 주변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개폐블레이드(95)는 상기 냉장유로(64a1,64a2)의 개폐입구(64a') 폭 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4(b)에서 보듯이, 상기 개폐블레이드(95)는 상기 개폐입구(64a')를 차폐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조절노브(9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개폐블레이드(95)의 양단 사이의 사이각은 상기 조절노브(9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개폐입구(64a')의 양단 사이의 사이각 보다 클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개폐블레이드(95)는 상기 개폐입구(64a')의 전체 영역을 모두 가릴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블레이드(95)에는 확대개방부(96a,96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대개방부(96a,96b)는 상기 개폐블레이드(95)의 일부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서, 상기 냉장유로(64a1,64a2)의 개폐입구(64a')가 개방된 면적이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확대개방부(96a,96b)는 상기 조절노브(90)의 전후방향 길이, 즉 상기 조절노브(90)의 회전축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개폐블레이드(95)의 폭이 줄어든 부분으로 볼 수도 있다. 상기 확대개방부(96a,96b)를 통해서 상기 개폐입구(64a')는 항상 소정의 면적은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고, 상기 확대개방부(96a,96b)는 상기 조절노브(90)를 통해 상기 개폐입구(64a')의 개방면적을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확대개방부(96a,96b)는 복수개가 상기 개폐블레이드(95)의 회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확대개방부(96a,96b)는 제1개방부(96a)와 제2개방부(96b)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개방부(96a) 보다 제2개방부(96b)가 더 크다. 물론, 이와 반대로 제2개방부(96b) 보다 제1개방부(96a)가 더 클 수도 있고, 상기 제1개방부(96a)와 제2개방부(96b)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노브몸체(91)에는 지지레그(97)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97)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제1하우징(60) 내면에 밀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97)는 상기 노브몸체(91)에서 상기 제1하우징(60)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외팔보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지지레그(97)는 상기 노브몸체(91)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그 사이사이는 빈 공간이 된다. 이에 따라 냉기가 상기 지지레그(97)에 의해 갇히지 않고 지지레그(97) 사이로 빠져나갈 수 있고, 지지레그(97)의 끝 부분에 성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을 보면, 상기 제1하우징(60)의 내면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레그(97)의 끝부분은 두께가 얇아지는 밀착단부(97')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단부(97')는 상기 지지레그(97)가 상기 제1하우징(60)의 내면과 면접촉이 아니라 선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노브(90)를 회전시킬 때, 조절노브(90)와 제1하우징(60)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노브몸체(91)에는 회전보스(98)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보스(98)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고정보스(65)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부분이다. 도 16을 보면, 상기 제1하우징(60)에는 고정보스(65)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보스(65)는 상기 회전보스(98)의 안쪽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보스(98)와 상기 고정보스(65)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조절노브(90)가 회전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절노브(90)는 별도의 체결구 없이도 회전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그릴팬어셈블리(50)를 장착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를 상기 상부케이스(13)의 입구로부터 안쪽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높이는 상기 냉동실(F1)의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를 기울인 상태로 상기 상부케이스(13)의 입구로부터 밀어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가 상기 상부케이스(13)의 안쪽, 즉 후방으로 이동된 후에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상단을 상기 걸림홈(19)에 끼워넣을 수 있다. 상기 걸림홈(19)은 상기 상부케이스(13)의 후방 상단에 함몰된 부분으로, 여기에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상단을 집어 넣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7(a)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하단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하단에 구비된 제2경사부(A2)가 상기 제1경사부(A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가 상기 이너케이스(10)에 장착될 때,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제2경사부(A2)가 상기 제1경사부(A1) 상면의 실링폼을 타고 오르면서 상기 제1경사부(A1)와 상기 제2경사부(A2)가 서로 밀착되고, 그 사이의 실링폼이 압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의 상면과 상기 제2경사부(A2) 사이의 높이는 상기 걸림홈(19)과 상기 제1경사부(A1) 사이의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폼이 상기 제1경사부(A1)와 상기 제2경사부(A2)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실링기능을 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는 상기 상부케이스(13)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조립되는데,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가 회전하여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경사부(A1)와 제2경사부(A2)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와 상기 상부케이스(13)의 내면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릴팬어셈블리(50)가 설치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방지되기 때문에 실링폼이 손상되거나 이탈되지 않을 수 있고, 냉기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가 도 17(b)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여 저장실로 전달되는 송풍량(냉기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도 18에서 상부의 도면은 개폐입구(64a')를 위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표현한 것이고, 하부의 도면은 조절노브(90)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도 18(a)는 상기 조절노브(90)가 개폐입구(64a')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이처럼 최대개방각도에서는 상기 노브몸체(91)가 더 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데, 이것은 제1스토퍼(ST1)가 상기 연결암(94)을 간섭하고 있기 때문이다.(도 13b) 참조) 이 상태에서 상기 냉장유로(64a1,64a2)로부터 상기 토출홀(67)을 통해 냉장실(F2)로 토출되는 냉기량이 최대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조절노브(9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8(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는 상기 조절노브(90)가 약 30°정도 회전된 상태로, 상기 각도조절부(92)의 조절홈(93)에 상기 조절턱(G)이 끼워지므로 상기 조절노브(90)는 특정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절홈(93)에 조절턱(G)이 끼워지는 조작감을 통해서 특정각도로 회전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8(b)을 보면, 상기 개폐블레이드(95)가 상기 개폐입구(64a')를 완전히 가리고 있지는 않고, 대략 절반 정도를 차폐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조절노브(90)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18(c)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는 상기 조절노브(90)가 약 60°정도 회전된 상태로, 상기 각도조절부(92)의 조절홈(93)에 상기 조절턱(G)이 끼워지므로 상기 조절노브(90)는 특정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8(c)을 보면, 상기 개폐블레이드(95)의 좌우양단은 상기 개폐입구(64a')를 대부분 가리고 있지만, 상기 확대개방부(96a,96b) 중에서 제1개방부(96a)가 개폐입구(64a')와 중첩된다. 따라서 냉기는 상기 제1개방부(96a)를 통해서 아래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조절노브(90)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18(d)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는 상기 조절노브(90)가 약 90°정도 회전된 상태로, 상기 각도조절부(92)의 조절홈(93)에 상기 조절턱(G)이 끼워지므로 상기 조절노브(90)는 특정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8(d)을 보면, 상기 개폐블레이드(95)의 좌우 양단은 상기 개폐입구(64a')를 완전히 가로질러 가리고 있지만, 상기 확대개방부(96a,96b) 중에서 제1개방부(96a) 및 제2개방부(96b)가 개폐입구(64a')와 중첩된다. 따라서 냉기는 상기 제1개방부(96a)와 제2개방부(96b)를 통해서 아래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상기 조절노브(90)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18(e)와 같이 최소개방각도가 상태가 된다. 이는 상기 조절노브(90)가 약 120°정도 회전된 상태로, 상기 각도조절부(92)의 조절홈(93)에 상기 조절턱(G)이 끼워지므로 상기 조절노브(90)는 특정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8(e)을 보면, 상기 개폐블레이드(95)의 좌측단이 상기 개폐입구(64a')의 한쪽을 약간 개방시키고 있고, 상기 확대개방부(96a,96b) 중에서 제2개방부(96b)가 개폐입구(64a')와 중첩된다. 따라서 냉기는 상기 제2개방부(96b)를 통해서도 아래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스토퍼(ST2)에 상기 연결암(94)이 간섭되고, 상기 조절노브(90)는 더 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도 14(b) 참조)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조절노브(90)를 회전시키면, 도 18(a)의 최대개방각도로부터 도 18(e)의 최소개방각도에 이르기까지 상기 개폐입구(64a')의 개방정도는 점차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홈(93)에 상기 조절턱(G)이 끼워지므로, 각 단계에서 상기 조절노브(90)는 고정되고, 상기 조절노브(9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임의로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유로(64a1,64a2)를 따라 냉장실(F2)로 공급되는 냉기에는 수분이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개폐블레이드(95)와 상기 개폐입구(64a') 사이에서 결빙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개폐블레이드(95)의 표면은 상기 냉장실용 유로가이드(64)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그 틈새를 통해 수분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결빙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된 수분은 상기 응축수배출홀(69a)을 통해 그릴팬어셈블리(50)의 외부로 배출된 후 증발기 하부에 위치되는 드레인트레이(37)에 고여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용 유로가이드(64)를 통해 냉장실(F2)로 냉기가 공급되는 도중 상기 냉장실(F2)의 내부 온도가 설정영역에 속하게 되면 상기 송풍팬(80) 및 압축기 등의 운전이 정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 이너케이스
11: 하부케이스
13: 상부케이스 16: 덕트입구
30: 베리어 31: 베리어몸체
33: 베리어커버 34: 장착부
35: 연통홀 50:그릴팬어셈블리
60: 제1하우징 63: 냉동실용 유로가이드
64: 냉장실용 유로가이드 65: 출구부
66: 하부플레이트 67: 토출홀
70: 제2하우징 74a,74b,74c: 냉기토출구
80: 송풍팬 90: 조절노브
91: 노브몸체 94: 연결암
95: 개폐블레이드 A1: 제1경사부
A2: 제2경사부
13: 상부케이스 16: 덕트입구
30: 베리어 31: 베리어몸체
33: 베리어커버 34: 장착부
35: 연통홀 50:그릴팬어셈블리
60: 제1하우징 63: 냉동실용 유로가이드
64: 냉장실용 유로가이드 65: 출구부
66: 하부플레이트 67: 토출홀
70: 제2하우징 74a,74b,74c: 냉기토출구
80: 송풍팬 90: 조절노브
91: 노브몸체 94: 연결암
95: 개폐블레이드 A1: 제1경사부
A2: 제2경사부
Claims (29)
- 저장실을 갖는 캐비넷;
상기 저장실을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면에는 상기 다수개의 공간 사이로 냉기를 전달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베리어;
상기 저장실의 후방에 세워지고, 저면에는 상기 연통홀과 연결되는 토출홀이 형성되며, 냉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이 설치된 그릴팬어셈블리;와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에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축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회전각도를 통해 상기 토출홀로 송풍되는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홀이 형성된 상기 베리어의 상면과, 상기 토출홀이 형성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저면에는 서로 밀착되는 경사부가 각각 형성되는 냉장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베리어의 상면에서 상기 연통홀의 가장자리를 둘러 구비되는 제1경사부;와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저면에서 상기 토출홀의 가장자리를 둘러 구비되고, 상기 제1경사부과 밀착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는 각각 상기 캐비넷의 후방을 향해 높이가 점차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는 서로 같은 경사각을 갖는 냉장고.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 또는 상기 제2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연통홀과 상기 토출홀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밀폐시키는 실링폼이 구비되는 냉장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과 마주보는 상기 저장실의 상면에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상단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냉장고.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상면과 상기 제2경사부 사이의 높이는 상기 걸림홈과 상기 제1경사부 사이의 높이 보다 크거나 같은 냉장고.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의 상면에는 상기 연통홀이 형성된 장착부가 돌출되고, 상기 장착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경사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부와 인접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저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리브는 상기 제1경사부의 주변을 둘러싸는 냉장고.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는
내부에 회수덕트가 형성되는 베리어몸체;
상기 베리어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수덕트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베리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장착부가 돌출되는 냉장고.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에는 상기 조절노브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하부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에는 상기 연통홀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베리어커버의 상면과 마주보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표면에는 상기 제2경사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양측면부와 각각 분리되어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하부 중심부에 구비되는 냉장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노브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내부에 형성된 냉장실용 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노브의 개폐블레이드는 상기 냉장실용 유로의 개폐입구를 개폐하는 냉장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노브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그릴팬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저장실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노브몸체;
상기 노브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그린팬어셈블리의 조절턱과 간섭되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노브몸체와 연결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노브몸체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개폐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개폐블레이드의 표면은 곡면형상이고, 상기 개폐블레이드의 표면은 상기 냉장실용 유로의 개폐입구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냉장고.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개폐블레이드는 상기 냉장실용 유로의 개폐입구 폭 보다 큰 폭을 갖는 냉장고.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조절노브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개폐블레이드의 양단 사이의 사이각은 상기 조절노브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냉장실용 유로 개폐입구의 양단 사이의 사이각 보다 큰 냉장고.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개폐블레이드에는 상기 개폐블레이드의 일부가 함몰된 형태의 확대개방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확대개방부는 복수개가 상기 개폐블레이드의 회전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확대개방부는 서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 냉장고.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노브몸체에는 회전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회전보스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고정보스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냉장고.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노브몸체에는 지지레그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내면에 밀착되는 냉장고.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노브몸체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내면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레그의 끝부분은 두께가 얇아지는 밀착단부로 형성되는 냉장고.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에는 밀착돌부가 돌출되고, 상기 밀착돌부는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양쪽 내면 중에서 상기 지지레그가 밀착되는 내면과 마주보는 반대편 내면에 밀착되는 냉장고.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노브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되게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의 표면에는 조절홈이 함몰되어 상기 조절홈에 상기 조절턱이 끼워질 수 있는 냉장고.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내면에는 상기 조절턱이 돌출되고, 상기 조절턱은 다수개가 일정한 곡률반경을 이루면서 배치되는 냉장고.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내면에는 스토퍼가 돌출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결암의 측면과 간섭되어 상기 조절노브의 최대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냉장고.
-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서로 이격된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노브의 최대개방각도와 최소개방각도를 각각 제한하는 냉장고.
-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각도조절부가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각도조절부와 간섭되지 않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결암이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 보다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결암과 간섭되는 냉장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용 유로의 개폐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조절노브가 배치되고, 상기 냉장실용 유로의 출구부에는 상기 토출홀이 형성되는 냉장고.
- 저장실을 갖는 캐비넷;
상기 저장실을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면에는 상기 다수개의 공간 사이로 냉기를 전달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베리어;와
상기 저장실의 후방에 세워지고, 저면에는 상기 연통홀과 연결되는 토출홀이 형성되며, 냉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이 설치된 그릴팬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의 상면에는 상기 연통홀의 가장자리를 둘러 제1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릴팬어셈블리의 저면에는 상기 토출홀의 가장자리를 둘러 제2경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경사부과 상기 제2경사부는 서로 밀착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3610A KR20220067186A (ko) | 2020-11-17 | 2020-11-17 | 냉장고 |
US17/798,819 US20230266046A1 (en) | 2020-11-17 | 2021-09-28 | Refrigerator |
PCT/KR2021/013279 WO2022108092A1 (en) | 2020-11-17 | 2021-09-28 | Refrigerator |
AU2021382499A AU2021382499B2 (en) | 2020-11-17 | 2021-09-28 | Refrigerator |
EP21894864.4A EP4248155A4 (en) | 2020-11-17 | 2021-09-28 |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3610A KR20220067186A (ko) | 2020-11-17 | 2020-11-17 | 냉장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7186A true KR20220067186A (ko) | 2022-05-24 |
Family
ID=8170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3610A KR20220067186A (ko) | 2020-11-17 | 2020-11-17 | 냉장고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266046A1 (ko) |
EP (1) | EP4248155A4 (ko) |
KR (1) | KR20220067186A (ko) |
AU (1) | AU2021382499B2 (ko) |
WO (1) | WO202210809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089749B (zh) * | 2022-06-22 | 2024-04-26 |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 控制机构及消毒柜 |
CN115164488B (zh) * | 2022-07-30 | 2024-09-27 | 北京欣阳通力商业设备有限公司 | 一种改进型冷藏冷库设备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2814A (ko) | 1989-07-14 | 1991-02-26 | 무라이 하찌로오 | 부틸3 -(1h-테트라졸-5-일) 옥사닐레이트의 제조법 |
KR20160100548A (ko) | 2015-02-16 | 2016-08-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20170006995A (ko) | 2015-07-10 | 2017-0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0012U (ko) * | 1997-12-29 | 1999-07-26 | 구자홍 | 냉장고용 냉기덕트 |
KR200345579Y1 (ko) * | 1999-02-05 | 2004-03-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의 냉기 량 조절장치 |
JP2012255602A (ja) * | 2011-06-09 | 2012-12-27 | Sharp Corp | 冷蔵庫 |
KR102176725B1 (ko) * | 2013-12-20 | 2020-11-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CN110895071B (zh) * | 2019-11-22 | 2022-02-08 |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 一种冰箱 |
-
2020
- 2020-11-17 KR KR1020200153610A patent/KR20220067186A/ko unknown
-
2021
- 2021-09-28 EP EP21894864.4A patent/EP4248155A4/en active Pending
- 2021-09-28 AU AU2021382499A patent/AU2021382499B2/en active Active
- 2021-09-28 WO PCT/KR2021/013279 patent/WO2022108092A1/en unknown
- 2021-09-28 US US17/798,819 patent/US20230266046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2814A (ko) | 1989-07-14 | 1991-02-26 | 무라이 하찌로오 | 부틸3 -(1h-테트라졸-5-일) 옥사닐레이트의 제조법 |
KR20160100548A (ko) | 2015-02-16 | 2016-08-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20170006995A (ko) | 2015-07-10 | 2017-0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08092A1 (en) | 2022-05-27 |
EP4248155A4 (en) | 2024-10-16 |
US20230266046A1 (en) | 2023-08-24 |
AU2021382499A1 (en) | 2022-07-21 |
AU2021382499B2 (en) | 2024-06-13 |
EP4248155A1 (en) | 2023-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580504B1 (en) | Cold air guide structure for ice-making chamber in cold chamber door | |
EP3864355B1 (en) | Refrigerator | |
US9568234B2 (en) | Refrigerator | |
EP4015949A1 (en) | Refrigerator | |
EP0715137B1 (en) | Cool air discharge controller for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220067186A (ko) | 냉장고 | |
KR102615047B1 (ko) | 냉장고 | |
US11512887B2 (en) | Refrigerator | |
EP3745058A1 (en) | Refrigerator | |
KR102492165B1 (ko) | 냉장고 | |
US20210148623A1 (en) | Refrigerator | |
US20230011875A1 (en) | Refrigerator | |
US11493259B2 (en) | Refrigerator including cabinet and cooling module detachably mounted on the cabinet | |
EP3008409B1 (en) | Refrigerator | |
KR101132554B1 (ko) | 냉장고 | |
KR102720463B1 (ko) | 냉장고 | |
US20240200856A1 (en) | Refrigerator | |
US20240175619A1 (en) | Refrigerator | |
KR20210072669A (ko) | 냉장고 | |
US20240318896A1 (en) | Refrigerator | |
EP4027080A1 (en) | Refrigerator | |
US20210270513A1 (en) | Refrigerator | |
KR20210156142A (ko) | 냉장고 및 가전기기 | |
CN116685818A (zh) | 冰箱 | |
KR20240092488A (ko) |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가전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