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157A - 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of vehicle - Google Patents

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157A
KR20220067157A KR1020200153556A KR20200153556A KR20220067157A KR 20220067157 A KR20220067157 A KR 20220067157A KR 1020200153556 A KR1020200153556 A KR 1020200153556A KR 20200153556 A KR20200153556 A KR 20200153556A KR 20220067157 A KR20220067157 A KR 20220067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head
vehicle
vehicle body
pilla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바비모니 마니칸단
프라빈 니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3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7157A/en
Publication of KR20220067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1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Abstract

A 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of a vehicle, which includes an impact reinforcement member installed inside a B-pillar of a vehicle body. The impact reinforcement member comprises: an outer bulkhead attached to a lower side of the B-pillar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 inner bulkhead extended and attached to the outer bulkhead and install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 gusset attached to the end surface of the inner bulkhead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 retractor bulkhead which has an end surface attached to the gusset at the upper side of the inner bulkhead,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vehicle.

Description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OF VEHICLE}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of vehicle {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B-필라(Pillar)의 내측에 이음판과 벌크 헤드로 구성되는 충격 보강 부재를 설치하여 차량 측면 충돌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차체의 강성을 보강한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impact mitigating structur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shock reinforcing member composed of a joint plate and a bulk head inside a B-pillar of a vehicle body to be applied to the vehicle in a side impact of the vehicle. It relates to a 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of a vehicle in which the rigidity of a vehicle body is reinforced so as to mitigate the impact.

일반적으로, 차량의 차체는 주로 차량 정면 충돌시에 대비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설계, 제작되었던 반면에 상대적으로 차량 측면 충돌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면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차량 측면 충돌시에 발생되는 피해가 늘어나고 그 피해 정도가 커지고 있는 추세에 따라 이에 대한 관계 법규가 강화되고 있다. 또한, 수출용 차량에 대한 대외적인 법규 규제 등으로 인하여 그 중요성이 점차 인식되고 있는 것이 최근의 실정이다.In general, the body of a vehicle is mainly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have sufficient rigidity in case of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whereas the aspect of protecting occupants from the impact applied during a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is still insufficient. Accordingly,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re being strengthened according to the trend of increasing the amount of damage that occurs during a vehicle side collision and the degree of the damage. In addition, it is a recent situation that the importance of export vehicles is gradually recognized due to external laws and regulations.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차량의 차체 측면 구조 특히, 차량 측면 충돌시 가장 취약한 부위 중의 하나인 B-필라 부위에 대한 구조 개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From this point of view,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side structure of the vehicle body, particularly the B-pillar por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vulnerable portions in the event of a vehicle side collision.

종래의 B-필라 구조는 차량의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로드(2)와 시트 플로어 크로스 멤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충분한 지지 강성을 갖기에는 매우 취약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차량 측면 충돌시 충격파가 직접적으로 시트에 전달되고, 이로 인하여 충돌과 동시에 B-필라 부위가 안쪽으로 심하게 밀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인체 상해치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The conventional B-pillar structur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at rod 2 and the seat floor cross member constituting the seat of the vehicle, and has a very weak structure to have sufficient support rigidity. Accordingly, in the event of a side collision of a vehicle, the shock wav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eat, and thus the B-pillar portion is severely pushed inward at the same time as the collision occurs, and as a result, the injury to the human body is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B-필라의 내측에 이음판과 벌크 헤드로 구성되는 충격 보강 부재를 설치하여 B-필라 측면 충돌에 의한 차체의 강성을 보강한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n impact reinforcing member composed of a joint plate and a bulk head inside the B-pillar of a vehicle body to prevent damage caused by side collisions of the B-pil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that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vehicle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는, 차체의 B-필라 내측에 설치되는 충격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강 부재는, 상기 B-필라 하측에 부착되고 상기 차체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아우터 벌크 헤드와, 상기 아우터 벌크 헤드에 연장되어 부착되며 상기 차체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이너 벌크 헤드와, 상기 이너 벌크 헤드의 단면에 상기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부착 설치되는 이음판(gusset), 및 상기 이너 벌크 헤드의 상측에서, 상기 이음판에 단면이 부착되며 상기 차체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리트랙터(retractor) 벌크 헤드를 포함한다. The side impact relieving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side impact reinforcing member installed inside a B-pillar of a vehicle body, wherein the impact reinforcing member includes the B-pillar an outer bulkhead attached to the lower side and install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 inner bulkhead to extend to and attached to the outer bulkhead and install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 gusset attached to and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 retractor bulkhead having a cross-section attached to the joint plate a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om an upper side of the inner bulkhead include

상기 이음판은 상기 이너 벌크 헤드와 상기 리트랙터 벌크 헤드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joint plate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inner bulkhead and the retractor bulkhead.

상기 이음판의 하단부는 상기 차체의 시트 플로어 크로스 멤버에 부착될 수 있다. A lower end of the joint plate may be attached to a seat floor cross member of the vehicle body.

상기 아우터 벌크 헤드와 상기 이너 벌크 헤드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bulk head and the inner bulk head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B-필라와 아우터 벌크 헤드는 상기 차체의 내측 사이드 패널과 외측 사이드 패널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벌크 헤드와 상기 리트랙터 벌크 헤드는 상기 내측 사이드 패널의 내외측에 걸쳐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B-pillar and the outer bulkhead may be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side panel and the outer side panel of the vehicle body, and the inner bulkhead and the retractor bulkhead extend over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inner side panel, can be provided.

상기 아우터 벌크 헤드, 이너 벌크 헤드, 및 리트랙터 벌크 헤드는 상기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주름진 지그재그 형태의 면을 가질 수 있다.The outer bulkhead, the inner bulkhead, and the retractor bulkhead may have a zigzag-shaped surface corrugat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상기 리트랙터 벌크 헤드와 상기 이너 벌크 헤드는 서로 대칭된 형태로 상하 배치되어 각각 상기 이음판의 상측과 하측에 부착될 수 있다.The retractor bulkhead and the inner bulkhead may be vertically disposed in a symmetrical form to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joint plate, respectively.

상기 B-필라와 충격 보강 부재는 상기 차체의 사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B-pillar and the impact reinforcing member may b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side frame of the vehicle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체의 B-필라(Pillar)의 내측에 이음판과 벌크 헤드로 구성되는 충격 보강 부재를 설치하여 차량 측면 충돌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차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ck reinforcing member composed of a joint plate and a bulk head is installed inside the B-pillar of the vehicle body to alleviate the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during a vehicle side collision, and the rigidity of the vehicle body can be reinforced.

또한, 차량 측면 충돌시 충격 보강 부재가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차체의 B-필라와 시트 로드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mpact reinforcing member may mitigate the impact during a vehicle side collision, it may be designed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B-pillar of the vehicle body and the seat r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로서, 차량의 사이드 충격이 전달되는 제1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로서, 차량의 사이드 충격이 전달되는 제2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로서, 차량의 사이드 충격이 전달되는 제3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ide impact mitigating structure of a vehicle is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illustrating a first path through which a side impact of a vehicle is transmitte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illustrating a second path through which a side impact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and shows a third path through which a side impact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들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typically described in one embodiment by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nly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e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도 있다.It is not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Relative dimensions and proportions of par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drawings, and any dimensions are illustrative only and not limiting.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similar features to the same structure, element, or part appearing in two or more drawings.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on” or “on” another part, it may be directly on the other part or the other part may be involved in betwee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present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iagram are expected. Therefore,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of the illustrated area, and includes, for example, a shape modification by manufactur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impact mitigating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de shock mitigating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a vehicle the drawing show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는 차체의 B-필라(10) 내측에 설치되는 충격 보강 부재(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좌측 시트 부위에 설치된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의 우측 시트 부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1 and 2 , a side impact mitigating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pact reinforcing member 20 installed inside the B-pillar 10 of a vehicle body.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ide impact mitigating structure installed on the left seat portion of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right seat portion of the vehicle.

충격 보강 부재(20)는 아우터 벌크 헤드(22)와, 이너 벌크 헤드(24)와, 이음판(gusset)(26), 및 리트랙터(retractor) 벌크 헤드(28)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mpact reinforcing member 20 may include an outer bulk head 22 , an inner bulk head 24 , a gusset 26 , and a retractor bulk head 28 .

차체의 B-필라(10)는 차량의 차체와 지붕(루프)을 연결하는 기둥으로서, 차량의 앞뒤 문의 중심에 있고, 센터 필라 또는 사이드 필라라고도 한다. B-필라(10)는 차량의 지붕을 지탱하고 안전벨트를 고정하고 있는 부분도 있으며, B-필라(10)로 인해 차체의 강성과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B-pillar 10 of the vehicle body is a pillar connecting the vehicle body and the roof (roof),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doors of the vehicle, and is also called a center pillar or side pillar. The B-pillar 10 supports the roof of the vehicle and also has a portion for fixing the seat belt, and the rigidity and stability of the vehicle body may be improved due to the B-pillar 10 .

아우터 벌크 헤드(22)는 B-필라(10)의 하측에 부착될 수 있고, 차량의 내부를 향해 차체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The outer bulkhead 22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B-pillar 10 , and may be installed to extend toward the inside of the vehicle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이너 벌크 헤드(24)는 아우터 벌크 헤드(22)가 B-필라(10)의 하측에 부착된 부위의 반대편에서 아우터 벌크 헤드(24)에 연장되어 부착되며, 차량의 내부를 향해 차체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The inner bulk head 24 is attached to the outer bulk head 24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where the outer bulk head 22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B-pillar 10, and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can be extended and installed.

아우터 벌크 헤드(22)와 이너 벌크 헤드(2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구성요소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outer bulk head 22 and the inner bulk head 24 may be provided as separate components, or may be integrally formed.

이음판(26)은 이너 벌크 헤드(24)가 아우터 벌크 헤드(22)에 부착된 부위의 반대편에서 이너 벌크 헤드(24)에 부착될 수 있다. 이음판(26)은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이너 벌크 헤드(24)의 단면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The joint plate 26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bulk head 24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where the inner bulk head 24 is attached to the outer bulk head 22 . The joint plate 26 may be attached and installed on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bulkhead 24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리트랙터 벌크 헤드(28)는 이너 벌크 헤드(24)의 상측에서 이음판(26)의 수직 방향으로 이음판(26)에 그 단면이 부착된다. 리트랙터 벌크 헤드(28)는 차체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이음판(26)과 B-필라(10)는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되고, 아우터 벌크 헤드(22), 이너 벌크 헤드(24), 및 리트랙터 벌크 헤드(28)는 차체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된다. The retractor bulkhead 28 has its cross section attached to the joint plate 26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joint plate 26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ner bulkhead 24 . The retractor bulkhead 28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at is, the joint plate 26 and the B-pillar 10 are arrang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the outer bulk head 22, the inner bulk head 24, and the retractor bulk head 28 are It is arranged in a form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이음판(26)은 B-필라(10)의 내측과 마주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이너 벌크 헤드(24)와 리트랙터 벌크 헤드(28)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음판(26)의 하단부는 차체의 시트 플로어 크로스 멤버(4)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joint plate 26 is disposed to face the inside of the B-pillar 10 , and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inner bulk head 24 and the retractor bulk head 28 .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joint plate 26 may be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seat floor cross member 4 of the vehicle body.

한편, B-필라(10)와 아우터 벌크 헤드(22)는 차체의 내측 사이드 패널(1)과 외측 사이드 패널(2)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너 벌크 헤드(24)와 리트랙터 벌크 헤드(28)는 내측 사이드 패널(1)의 내외측에 걸쳐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pillar 10 and the outer bulkhead 22 may be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side panel 1 and the outer side panel 2 of the vehicle body, and the inner bulkhead 24 and the retractor bulkhead The head 28 may be provided to extend across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inner side panel 1 .

또한, B-필라(10)와 충격 보강 부재(20)는 차체의 사이드 프레임(3)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pillar 10 and the impact reinforcing member 2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frame 3 of the vehicle body.

한편, 아우터 벌크 헤드(22), 이너 벌크 헤드(24), 및 리트랙터 벌크 헤드(28)는 차체의 전후 길이 방향을 따라 주름진 지그재그 형태의 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리트랙터 벌크 헤드(28)와 이너 벌크 헤드(24)는 서로 대칭된 형태로 상해 배치된 것일 수 있으며, 지그재그 형태의 면이 서로 대칭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우터 벌크 헤드(22), 이너 벌크 헤드(24), 및 리트랙터 벌크 헤드(28)의 면을 모두 지그재그 형태의 면으로 구성하고, 지그재그 방향을 사이드 충격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함으로써, 사이드 충격시 벌크 헤드(22, 24, 28)가 쉽게 휘지 않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차체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outer bulkhead 22 , the inner bulkhead 24 , and the retractor bulkhead 28 may have a corrugated zigzag-shaped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n addition, the retractor bulkhead 28 and the inner bulkhead 24 may be vertically disposed in a symmetrical form, and zigzag-shaped surfaces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is way, the surfaces of the outer bulkhead 22, the inner bulkhead 24, and the retractor bulkhead 28 are all configured as zigzag-shaped surfaces, and by forming the zigzag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impact direction, the side The bulkheads 22 , 24 , and 28 do not easily bend during impact and serve to support, so the rigidity of the vehicle body can be reinforced.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로서, 차량의 사이드 충격이 전달되는 제1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로서, 차량의 사이드 충격이 전달되는 제2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로서, 차량의 사이드 충격이 전달되는 제3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illustrating a first path through which a side impact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 a view showing a second path through which the side impact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showing a third path through which the side impact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be.

도 3을 참조하면, 차체에 사이드 충격이 가해지면, 외측 사이드 패널(2)과 내측 사이드 패널(1) 사이에 구비된 B-필라(10)와 아우터 벌크 헤드(22)에 충격이 전달된다. 사이드 충격은 내측 사이드 패널(1)의 내외측에 걸쳐 구비된 이너 벌크 헤드(24)와 리트랙터 벌크 헤드(28)로 전달되고, 이너 벌크 헤드(24)와 리트랙터 벌크 헤드(28)에 연결된 이음판(26)에 전달된다. 또한, 사이드 충격은 이음판(26)의 하단부에 연결된 차체의 시트 플로어 크로스 멤버(4)를 통해 차체의 내부를 향해 전달되어 분산된다(제1 경로). Referring to FIG. 3 , when a side impact is applied to the vehicle body, the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B-pillar 10 and the outer bulkhead 22 provided between the outer side panel 2 and the inner side panel 1 . The side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inner bulk head 24 and the retractor bulk head 28 provided across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inner side panel 1,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bulk head 24 and the retractor bulk head 28 It is transmitted to the joint plate (26). Further, the side impact is transmitted and distributed towar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seat floor cross member 4 of the vehicle bod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joint plate 26 (first path).

도 4를 참조하면, 이너 벌크 헤드(24)와 리트랙터 벌크 헤드(28)를 통해 이음판(26)에 전달된 사이드 충격은 시트의 하부 차체에 구비된 시트 로드(5)를 통해 차체의 내부를 향해 전달되어 분산된다(제2 경로). Referring to FIG. 4 , the side impact transmitted to the joint plate 26 through the inner bulkhead 24 and the retractor bulkhead 28 is transmitt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seat rod 5 provided on the lower vehicle body of the seat. It is transmitted toward and dispersed (second path).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이너 벌크 헤드(24)와 리트랙터 벌크 헤드(28)를 통해 이음판(26)에 전달된 사이드 충격의 일부는, 시트의 하부 차체에 구비된 시트 로드(5)를 통해 차체의 내부를 향해 전달되고, 전달된 사이드 충격은 시트 로드(5)의 차량 내부 중앙 부위에서 시트 플로어 크로스 멤버(4)로 전달되어 분산된다. 또한, 이너 벌크 헤드(24)와 리트랙터 벌크 헤드(28)를 통해 이음판(26)에 전달된 사이드 충격의 다른 일부는 이음판(26)의 하단부에 연결된 차체의 시트 플로어 크로스 멤버(4)로 통해 차체의 내부를 향해 전달되어 분산된다(제3 경로).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 a portion of the side impact transmitted to the joint plate 26 through the inner bulkhead 24 and the retractor bulkhead 28 is a seat rod 5 provided in the lower body of the seat. is transmitted towar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ody, and the transmitted side impact is transmitted and distribut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vehicle interior of the seat rod 5 to the seat floor cross member 4 . In addition, the other part of the side impact transmitted to the joint plate 26 through the inner bulk head 24 and the retractor bulk head 28 is a seat floor cross member 4 of the vehicle bod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joint plate 26 . It is transmitted and distributed toward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furnace (third path).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사이드 충격의 전달과 분산은 사이드 충격시 일부의 경로로만 진행될 수도 있고, 제1 경로 내지 제3 경로를 통해 동시에 모두 진행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 충격이 차량 내부에서 분산됨으로써, 운전자가 착석한 시트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켜 주어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고, 충격 보강 부재의 존재로 인해, B-필라(10)와 시트 로드(5)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3 to 5, the transmission and dispersion of the side impact may proceed only in some paths during the side impact, or may all proceed simultaneously through the first to third paths. Accordingly, by dispersing the side impact inside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driver by mitigating direct transmission to the seat on which the driver is seated, and due to the presence of the impact reinforcing member, the B-pillar 10 and the seat rod ( 5) The gap between them can be minimiz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체의 B-필라의 내측에 이음판과 벌크 헤드로 구성되는 충격 보강 부재를 설치하여 차량 측면 충돌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차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ck reinforcing member composed of a joint plate and a bulk head is installed inside the B-pillar of the vehicle body to alleviate the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during a vehicle side collision, and the rigidity of the vehicle body can be reinforced.

또한, 차량 측면 충돌시 충격 보강 부재가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차체의 B-필라와 시트 로드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mpact reinforcing member may mitigate the impact during a vehicle side collision, it may be designed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B-pillar of the vehicle body and the seat rod.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it is easily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quivalent Including all changes to the extent recognized as

1: 내측 사이드 패널 2: 외측 사이드 패널
3: 사이드 프레임 4: 시트 플로어 크로스 멤버
5: 시트 로드 10: B-필라
20: 충격 보강 부재 22: 아우터 벌크 헤드
24: 이너 벌크 헤드 26: 이음판(gusset)
28: 리트랙터 벌크 헤드
1: inner side panel 2: outer side panel
3: Side frame 4: Seat floor cross member
5: seat rod 10: B-pillar
20: impact reinforcement member 22: outer bulkhead
24: inner bulkhead 26: gusset
28: retractor bulkhead

Claims (8)

차체의 B-필라 내측에 설치되는 충격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강 부재는,
상기 B-필라 하측에 부착되고 상기 차체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아우터 벌크 헤드;
상기 아우터 벌크 헤드에 연장되어 부착되며 상기 차체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이너 벌크 헤드;
상기 이너 벌크 헤드의 단면에 상기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부착 설치되는 이음판(gusset); 및
상기 이너 벌크 헤드의 상측에서, 상기 이음판에 단면이 부착되며 상기 차체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리트랙터(retractor) 벌크 헤드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
In the side impact mitigating structure of a vehicle including an impact reinforcing member installed inside the B-pillar of the vehicle body,
The impact reinforcing member,
an outer bulkhead attached to a lower side of the B-pillar and installed to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 inner bulkhead extending and attached to the outer bulkhead and installed to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 gusset attached and installed to a cross section of the inner bulkhead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 side impact mitigating structure of a vehicle including a retractor bulkhead having a cross-section attached to the joint plate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om an upper side of the inner bulkhead.
제 1 항에서,
상기 이음판은
상기 이너 벌크 헤드와 상기 리트랙터 벌크 헤드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
In claim 1,
The joint plate is
A side impact mitigating structure of a vehicle provid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inner bulkhead and the retractor bulkhead.
제 1 항에서,
상기 이음판의 하단부는
상기 차체의 시트 플로어 크로스 멤버에 부착되는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
In claim 1,
The lower end of the joint plate
A side impact mitigating structure of a vehicle attached to a seat floor cross member of the vehicle body.
제 1 항에서,
상기 아우터 벌크 헤드와 상기 이너 벌크 헤드는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
In claim 1,
A side impact mitigating structure of a vehicle in which the outer bulkhead and the inner bulkhead are integrally formed.
제 1 항에서,
상기 B-필라와 아우터 벌크 헤드는 상기 차체의 내측 사이드 패널과 외측 사이드 패널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이너 벌크 헤드와 상기 리트랙터 벌크 헤드는 상기 내측 사이드 패널의 내외측에 걸쳐 연장되어 구비되는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
In claim 1,
The B-pillar and the outer bulkhead are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side panel and the outer side panel of the vehicle body,
The inner bulkhead and the retractor bulkhead are provided to extend over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inner side panel.
제 1 항에서,
상기 아우터 벌크 헤드, 이너 벌크 헤드, 및 리트랙터 벌크 헤드는 상기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주름진 지그재그 형태의 면을 갖는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
In claim 1,
The outer bulkhead, the inner bulkhead, and the retractor bulkhead have a side impact mitigating structure of a vehicle having a zigzag-shaped surface corrugat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제 1 항에서,
상기 리트랙터 벌크 헤드와 상기 이너 벌크 헤드는 서로 대칭된 형태로 상하 배치되어 각각 상기 이음판의 상측과 하측에 부착되는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
In claim 1,
The retractor bulkhead and the inner bulkhead are vertically disposed in a symmetrical form and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joint plate.
제 1 항에서,
상기 B-필라와 충격 보강 부재는 상기 차체의 사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
In claim 1,
The B-pillar and the impact reinforcing member ar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side frame of the vehicle body.
KR1020200153556A 2020-11-17 2020-11-17 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of vehicle KR202200671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556A KR20220067157A (en) 2020-11-17 2020-11-17 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556A KR20220067157A (en) 2020-11-17 2020-11-17 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of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157A true KR20220067157A (en) 2022-05-24

Family

ID=8180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556A KR20220067157A (en) 2020-11-17 2020-11-17 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715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676A1 (en) 2022-05-31 2023-12-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ositive electrode for all-solid-state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all-solid-state battery comprising positive electro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676A1 (en) 2022-05-31 2023-12-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ositive electrode for all-solid-state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all-solid-state battery comprising positive electr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4302B2 (en) Lower body construction
KR100405892B1 (en) Floor panel assembly having improved stiffness against side impact
KR20210119213A (en) Body for vehicle
KR20030066944A (en) front pillar panel assembly structure of vehicle
CN113696973A (en) Vehicle body for electric vehicle
JPH0930452A (en) Automobile side sill reinforcing structure
US10099727B2 (en) Vehicle pillar structure
KR20220067157A (en) 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of vehicle
US11643148B2 (en) Vehicle body structure
KR20200126585A (en) Front body of vehicle
JP2016203647A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KR20220049301A (en) 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of vehicle
KR20220089961A (en) Side impact mitigation structure of vehicle
US20230312011A1 (en) Vehicle body rear part structure
US6659540B1 (en) Vehicle rear body structure
KR100501382B1 (en) under body structure of vehicle
KR20010005168A (en) Side frame reinforcement structure of car
KR0120431Y1 (en) The attaching structure of side sill and cross member for an automobile
KR100217578B1 (en) Impact beam
KR200152943Y1 (en) Structure of door reinforcement for a car
KR0124057Y1 (en) Reinforcing structure of side sill member for an automobile
KR100187361B1 (en) Structure for installing door impact member of a car
KR20020088746A (en) Connection of roof panel and side out panel for vehicles
CN114466784A (en) Vehicle body structure
KR20190079405A (en) Bumper beam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