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064A -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nd prepabricated interior unit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nd prepabricated interior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064A
KR20220067064A KR1020200153338A KR20200153338A KR20220067064A KR 20220067064 A KR20220067064 A KR 20220067064A KR 1020200153338 A KR1020200153338 A KR 1020200153338A KR 20200153338 A KR20200153338 A KR 20200153338A KR 20220067064 A KR20220067064 A KR 20220067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panel
connector body
bas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3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1628B1 (en
Inventor
정주현
이상헌
김주한
여승의
신성근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씨현대이피 주식회사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씨현대이피 주식회사,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씨현대이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3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628B1/en
Publication of KR20220067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0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6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1Fill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construction method, and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to solve the problems of bathroom construction having high complexity and variability. To this end, provided is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including a base part (100) disposed on the floor of a construction space (W), a side wall part (200) comprising a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connected to the base part (100) at one end on the sid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a sealing part (300)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side wall part (200), wherein the wall panel (210) is a single metal sheet.

Description

조립식 욕실 유니트 및 조립식 인테리어 유니트{PREFABRICATED BATHROOM UNIT AND PREPABRICATED INTERIOR UNIT}PREFABRICATED BATHROOM UNIT AND PREPABRICATED INTERIOR UNIT

본 발명은 금속 소재를 활용하여 조립식 인테리어 유니트, 더 나아가 기존 습식, 조립식 욕실의 시공성 및 품질을 개선하고 벽면에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조립식 인테리어 구조, 조립식 욕실 구조 및 시공방법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constructability and quality of prefabricated interior units, and furthermore, existing wet and prefabricated bathrooms by using metal materials, and can apply various designs to the wall surface and is easy to maintain, prefab interior structures, prefab bathroom st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s and to a manufacturing method.

근래 사회 경제 환경 변화로 1인 가구의 대두 등 전통적 가구 환경과 다른 수요 들이 급격히 증대되고 있고 건축 건설 분야에서도 이러한 사회 환경에 맞춰 공정 다양한 연구 및 시공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In recent years, due to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demands other than the traditional household environment, such as the ri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re rapidly increasing.

통상적인 주거 주택의 경우 욕실 공간에 대한 공정은 주로 타일 마감을 한 습식, 조립식 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여기서, 습식 욕실공사는 다수의 공종, 공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9개의 공종으로 총 18개의 공정으로 진행되어 이에 따른 인력이 다수 투입되어 시공 현장 관리가 매우 까다로운 공사 중 하나이다. In the case of a typical residential house, a wet, prefabricated method with a tile finish is mainly applied to the bathroom space process. Here, the wet bathroom construction consists of a number of construction types and processes. For example, it is one of the very difficult construction sites to manage as a large number of manpower is inputted as a total of 18 processes with 9 construction types.

특히, 이러한 공종의 공정 경우 방수, 타일 등 다수의 습식 공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 작업 시기적 제약 및 인력 기능도 제약이 따른다. 즉, 동절기에는 공사를 연속하여 진행하기 어렵고, 전통적인 욕실 공사의 경우 구배 확보 및 마감 의장 품질 등의 편차 발생 가능성이 높은 등 기능 인력의 숙련도에 따른 품질 편차가 발생되어 타일 접착제의 수축, 팽창에 의한 타일 탈락, 깨짐 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으로 인하여 하자 유지 보수 등에 상당한 후속 공정 관리 비용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is type of process, a number of wet processes such as waterproofing and tile are inevitably accompanied, thus limiting work time and manpower functions. In other words, in the winter season,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construction continuously, and in the case of traditional bathroom construc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eviations such as securing gradient and finishing design quality. Due to the continuous occurrence of tile dropout and cracking defects, considerable follow-up process management costs such as defect maintenance are increasing.

종래의 욕실 공사에 있어 이러한 인력 편차 및 공정 시간적 제약을 해소하고자 조립식 욕실에 대한 기술도 연구 개발 생산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욕실의 경우 바닥, 벽, 천장 패널을 공장에서 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공법으로, 시공 시 바닥 방수판 설치를 위해 모르타르 타설, 바닥 타일 시공, 타일 줄눈 시공 등의 습식 공정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전통적인 습식 욕실 공사와 마찬가지로 동절기 공사의 제약이 따르고, 벽판의 경우 공장에서 타일을 붙여 오다보니 운반, 시공 중에 타일 모서리 부분이 깨지는 등 마감 불량 하자로 인하여 소비자의 불만이 증대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manpower deviation and process time constraints in the conventional bathroom construction, the technology for the prefabricated bathroom is also researched, developed and produced. However, in the case of a prefabricated bathroom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floor, wall, and ceiling panels in a factory and assembling them on site. During construction, a wet process such as mortar pouring, floor tile construction, tile joint construction, etc. As with the traditional wet bathroom construction, there are restrictions on construction in the winter season, and in the case of wallboards, customer dissatisfaction is increasing due to defects in the finish, such as broken tile edges during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as tiles are pasted from the factory. .

또한, 종래의 조립식 욕실의 벽면은 타일 마감으로 디자인이 획일적이고 습기 등에 의한 표면 관리가 어렵고 이로 인하여 곰팡이 발생 등으로 인하여 청결 유지 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수반되었다. In addition, the wall of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bathroom has a uniform design due to the tile finish, and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surface due to moisture, etc. This is accompanied by the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cleanliness due to the occurrence of mold, etc.

또한, 종래의 욕실 이외에 실내 환경 공간에서의 인테리어의 재료의 제약 내지 시공 공정 상의 과도한 소요 시간 증대로 인하여 전체적인 공정 시간의 증가를 유발하여 실질적으로 분양 내지 시공 원가를 증대시키는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bathroom, due to the restriction of materials of the interior in the indoor environment space or excessive increase in the required time for the construction process, an increase in the overall process time was caused, thereby substantially increasing the sale or construction cost.

따라서, 본 발명은 복잡성과 변동성이 큰 욕실 공사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조립식 욕실 유니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시공 방법 및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프린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 bathroom unit, a method for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nd a printing system used therei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complex and variable bathroom construc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설 공간(W)의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00)와, 건설 공간(W)의 측면으로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100) 측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을 구비하는 사이드 월부(200)와, 상기 사이드 월부(200)의 타단 측에 배치되는 실링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월 패널(210)은 단수 원장의 단일 금속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ase part 100 disposed on the floor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a plurality of ends connected to the base part 100 side to the sid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It includes a side wall part 200 having a wall panel 210 and a sealing part 300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side wall part 200, wherein the wall panel 210 is a single metal sheet of a single ledger. It includes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0)는: 적어도 일부가 건설 공간(W)의 바닥 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바디(110)와, 상기 베이스 바디(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충진재(1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base part 100 includes: a base body 110 at least partially disposed on the floor sid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a base filler disposed inside the base body 110 ( 120) may be included.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건설 공간(W)의 바닥에 직접 배치되고 일면 상에 상기 베이스 바디(110)가 배치되 베이스 프레임(130)이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base body 110 is disposed directly on the floor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the base body 110 i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base frame 130 may further include.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11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타일(150)이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base tile 150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110)는: 건설 공간(W)의 바닥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베이스 로워 바디(113)와, 상기 베이스 로워 바디(113)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 어퍼 바디(111)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충진부(120)는 상기 베이스 로워 바디(113)와 상기 베이스 어퍼 바디(111)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base body 110 includes: a base lower body 113 disposed toward the floor sid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a base upper body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base lower body 113 . 111 , and the base filling part 1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se lower body 113 and the base upper body 111 .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퍼 바디(111)는: 건설 공간(W)이 형성하는 욕실 공간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되 경사 형성 배치되는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와, 상기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의 단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타일(150)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어퍼 경사 바디(1113)와, 상기 베이스 어퍼 경사 바디(1113)의 외측에 배치되고 배수를 위한 베이스 어퍼 트렌치(1114)를 형성하는 베이스 어퍼 트렌치 바디(11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base upper body 111 includes: a base upper main body 1111 that is dis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hroom space formed by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is inclinedly disposed, and the base upper main body ( 1111) and disposed on the end side of the base upper main body 1111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base tile 150 is disposed, the base upper inclined body 1113, and the base upper inclined body 1113 It may include a base upper trench body 1115 disposed on the outside and forming a base upper trench 1114 for drainage.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월부(200)는: 상기 월 패널(210)이 형성하는 월 패널 공간에 배치되는 월 충진부(220)와, 상기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을 연결하는 월 커넥터(2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side wall part 200 includes: a wall filling part 220 disposed in a wall panel space formed by the wall panel 210 and a wall connecting the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 A connector 230 may be included.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월 패널(210)은: 건설 공간(W)이 구획하는 욕실 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 배치되는 월 패널 메인부(211)와,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의 적어도 일단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월 충진부(220)가 수용 배치되는 상기 월 패널 공간을 형성하는 월 패널 사이드부(213)와,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의 다른 적어도 일측에 전개 배치되는 월 패널 리브 가이드(215,217)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wall panel 210 includes: a wall panel main part 211 ex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hroom space partitioned by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formed by bending at least one end to form the wall panel space in which the wall filling part 220 is accommodated, and the wall deployed and arranged on the other at least one side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 Panel rib guides 215 and 217 may be included.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월 패널 리브 가이드(215,217)는: 상기 월 패널 사이드부(213)의 외주 측부에 전개 배치되는 월 패널 사이드 리브 가이드(217)와, 상기 월 패널 사이드부(213)의 외주 상단에 전개 배치되는 월 패널 어퍼 리브 가이드(2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wall panel rib guides 215 and 217 include: a wall panel side rib guide 217 deployed and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and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It may include a wall panel upper rib guide 215 that is deployed and disposed on the top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월 커넥터(230)는: 상기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을 돌출 구조를 그리고 타측은 수용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wall connector 2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and form a protruding structure on one side and a receiving structure on the other side.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월 커넥터(230)는: 상기 월 패널 사이드부(213)에 형성되는 월 커넥터 장착부(231)와, 상기 월 커넥터 장착부(231)에 일단이 연결되는 월 커넥터 바디(235)와, 인접한 다른 월 패널(210)의 월 패널 사이드부(213)에 배치되고 상기 월 커넥터 바디(235)의 타단을 수용하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wall connector 230 includes: a wall connector mounting part 231 formed on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and a wall connector body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art 231 ( 235 and a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portion 233 disposed on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of the other adjacent wall panel 210 and accommodating the other end of the wall connector body 235 may be included.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월 커넥터 바디(235)는: 일단이 상기 월 커넥터 장착부(231)에 고정 장착되는 월 커넥터 바디 홀더(2351)와, 일단은 상기 월 커넥터 바디 홀더(2351)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 측을 향하여 돌출 배치되는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3)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wall connector body 235 includes: a wall connector body holder 2351 having one end fixedly mounted to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art 231, and one end mounted on the wall connector body holder 2351. and the other end may include a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3 protruding toward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portion 233 side.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는: 상기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3)의 진입 진출을 허용하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진입부(2331)와,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대응 진입부(2331)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의 배열 방향으로의 상기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3)와 맞물림 가능한 월 커넥터 바디 대응 걸림부(23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part 233 includes: a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ntry part 2331 that allows entry and exit of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art 2353, and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ntry part It may include a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 2333 connected to the portion 2331 and engageable with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3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월 커넥터 바디(235b)는: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월 커넥터 장착부(231)에 고정 장착되는 월 커넥터 바디 베이스(2355b)와,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베이스(2355b)의 반대편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와 맞물림 가능한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2b)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wall connector body (235b) includes: a wall connector body base (2355b) formed at one end and fixedly mounted to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art (231), and the wall connector body base (2355b) opposite It may include a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2b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engageable with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portion 233 .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2b)는: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와 맞물림 상태 유지 가능한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와, 상기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의 외측으로 상기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보다 단면적이 큰 월 커넥터 바디 걸림 진입부(2351b)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2b includes: a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3b capable of maintaining engagement with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portion 233, and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A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entry portion 2351b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holding portion 2353b may be included on the outside of the 2353b.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b)는: 상기 월 커넥터 바디 걸림 진입부(2351b)의 관통을 허용하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진입부(2332b)와, 상기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와 접촉 가능한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2331b)와,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2331b)를 상기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부(2333b)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portion (233b) includes: a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ntry portion (2332b) allowing penetration of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entry portion (2351b);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 2331b contactable with the portion 2353b and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 2331b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and holding part 2353b.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ity A portion 2333b may be included.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2331b)와 연결되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23331)와, 각각의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23331)의 단부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 연결부(23333)와,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 연결부(23333)와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월 패널 사이드부(213)에 형성되는 월 패널 사이드부 가이드 관통구(2334b)에 관통 노출 배치되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 연결 가이드(233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body 23331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connected to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 2331b on the inside, and each of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body 23331 A wall panel that is disposed in connection with a wall connector body-corresponding elastic body connection part 23333 and the wall connector body-corresponding elastic body connection part 23333 for connecting the ends to be rotatably connected, and formed on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It may include an elastic body connection guide 23335 corresponding to the wall connector body which is exposed through the side guide through hole 2334b.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월 커넥터(230a)는: 상기 월 패널 사이드부(213)와 인접하는 다른 월 패널의 월 패널 사이드부(231)에 배치되고 서로 맞물림 가능한 월 커넥터 마그네트(231a,233a)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wall connector 230a includes: Wall connector magnets 231a and 233a disposed on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31 of another wall panel adjacent to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and engageable with each other. ) may be included.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월부(200)는: 상기 월 패널(210)이 형성하는 월 패널 공간에 배치되는 월 충진부(220)와, 상기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을 연결하는 월 커넥터(230)를 포함하고, 상기 월 패널(210)은: 건설 공간(W)이 구획하는 욕실 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 배치되는 월 패널 메인부(211)와,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의 적어도 일단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월 충진부(220)가 수용 배치되는 상기 월 패널 공간을 형성하는 월 패널 사이드부(213)와,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의 다른 적어도 일측에 전개 배치되는 월 패널 리브 가이드(215,217)를 포함하고, 상기 월 패널(210b)은: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b)의 일측에는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b)와 연결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와,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b)의 타측에는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b)와 연결되어 외측으로 요홈 형성되고 상기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을 맞물림 수용 가능한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219)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side wall part 200 includes: a wall filling part 220 disposed in a wall panel space formed by the wall panel 210 and a wall connecting the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 A connector 230 is included, and the wall panel 210 includes: a wall panel main part 211 ex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hroom space partitioned by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 a wall panel side part 213 bent at at least one end to form the wall panel space in which the wall filling part 220 is accommodated, and the other side of at least one side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The wall panel rib guides 215 and 217 are included, and the wall panel 210b includes: a wall panel side extension connected to the wall panel main part 211b on one side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b and protruding outwardly A wall panel side extension corresponding to 218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wall panel main portion 211b, which is connected to the wall panel main portion 211b to form an outwardly grooved portion that can engage and accommodate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219) may be included.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과 인접한 다른 월 패널(210b)의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219) 사이에 배치되는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실러(2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 wall panel side extension sealer 240 disposed between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and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counterpart 219 of another wall panel 210b adjacent thereto may be included. .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110)의 외측에는 상기 사이드 월부(200)를 수용하는 베이스 장착 가이드(1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base mounting guide 140 for accommodating the side wall part 200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ase body 110 .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장착 가이드(140)는, 상기 베이스 바디(110)에서 절단 절곡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base mounting guide 140 may be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the base body 110 .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월부(200)에 장착 가능한 월 패널 유틸리티 디바이스(4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월 패널 유틸리티 디바이스(400)는: 자기력을 형성하는 유틸리티 디바이스 마그네트(420)와, 상기 유틸리티 디바이스 마그네트(420)를 수용 가능한 유틸리티 디바이스 바디(4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 wall panel utility device 400 that can be mounted on the side wall part 200 is further provided, and the wall panel utility device 400 includes: a utility device magnet 420 that forms a magnetic force; A utility device body 410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utility device magnet 420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설 공간(W)의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00)와, 건설 공간(W)의 측면으로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100) 측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을 구비하는 사이드 월부(200)와, 상기 사이드 월부(200)의 타단 측에 배치되는 실링부(300)를 포함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월 패널(210)을 제공하는 패널 제공 단계(SP1)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제공 단계(SP1)는: 단수 원장의 단일 금속 시트를 제공하는 시트 제공 단계(SP11)와,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을 연결하기 위한 월 커넥터(23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시트 제공 단계(SP11)에서 제공된 상기 금속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하는 시트 절단 단계(SP13)와, 상기 금속 시트를 절곡하여, 적어도 건설 공간(W)이 구획하는 욕실 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 배치되는 월 패널 메인부(211)를 형성하는 월 패널 메인부 절곡 단계(S151)를 구비하는 시트 절곡 단계(S15)와, 상기 월 패널(210)이 형성하는 월 패널 공간에 월 충진부(220)를 배치하는 월 충진부 배치 단계(S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art 100 disposed on the floor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a plurality of ends connected to the base part 100 on the sid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s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side wall portion 200 having a wall panel 210 and a sealing portion 300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200, the wall panel 210 is provided. and a panel providing step (SP1), wherein the panel providing step (SP1) includes: a sheet providing step (SP11) of providing a single metal sheet of a single ledger; A sheet cutting step (SP13) of cut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metal sheet provided in the sheet providing step (SP11) to form at least a part of 230, and bending the metal sheet, so that at least the construction space (W) is A sheet bending step (S15) including a wall panel main part bending step (S151) of forming a wall panel main part 211 ex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partitioning bathroom space, and the wall panel 210 forming It provides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wall filling part arrangement step (S17) of arranging the wall filling part 220 in the wall panel space.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절곡 단계(S15)는: 상기 금속 시트를 절곡하여, 적어도 건설 공간(W)이 구획하는 욕실 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 배치되는 월 패널 메인부(211)를 형성하는 월 패널 사이드부 절곡 단계(S153)와,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의 적어도 일단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월 충진부(220)가 수용 배치되는 상기 월 패널 공간을 형성하는 월 패널 사이드부(213)와,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의 다른 적어도 일측에 전개 배치되는 월 패널 리브 가이드(215,217)를 형성하는 월 패널 리브 가이드부 절곡 단계(S15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the sheet bending step (S15) includes: bending the metal sheet, and at least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ex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hroom space partitioned by the construction space W. A wall panel side part bending step (S153) to form a wall panel side forming the wall panel space formed by bending at least one end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to accommodate the wall filling part 220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bending the wall panel rib guide part 213 and forming the wall panel rib guides 215 and 217 deploy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 S155 ).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의 상기 월 패널 사이드부(213)의 양측 중 일측에 인접한 다른 월 패널(210)과 중첩 영역을 형성하는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을 형성하는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절곡 단계(S157)와,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의 상기 월 패널 사이드부(213)의 양측 중 일측에 인접한 다른 월 패널(210)과 중첩 영역을 형성하는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을 안착시키는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219)를 형성하는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 절곡 단계(S15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a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forming an overlapping area with another wall panel 210 adjacent to one of both sides of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 forming a wall panel side extension bending step (S157), and forming an overlapping area with another wall panel 210 adjacent to one of both sides of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bending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corresponding to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219 to seat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 S159 ).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건설 공간(W)의 바닥면의 수평 상태를 검사 및 보정하는 레벨링 단계(SC1)와, 건설 공간(W)의 바닥면에 베이스부(100)을 설치하는 베이스부 설치 단계(SC10)와, 일단이 베이스부(100)의 외측에 안착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100)와 함께 욕실 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 월부(200)를 설치하는 사이드 월부 설치 단계(SC20)와, 상기 사이드 월부(200)의 상단 측에 안착 연결되는 실링부(300)를 설치하는 실링부 설치 단계(SC30)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월부 설치 단계(SC20)는: 상기 사이드 월부(200)의 월 패널(210)의, 건설 공간(W)이 구획하는 욕실 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 배치되는 월 패널 메인부(211)와, 적어도 일단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월 충진부(220)가 수용 배치되는 상기 월 패널 공간을 형성하는 월 패널 사이드부(213)와의 사이에 월 커넥터(230)를 통하여 복수의 월 패널(210)을 연결하는 월 커넥팅 단계(SC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veling step (SC1) for inspecting and correct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floor surfac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the base part 100 on the floor surfac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 base part installation step (SC10) to install, and a side wall part installation step ( SC20) and a sealing part installation step (SC30) of installing a sealing part 300 that is seated and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part 200, and the side wall part installation step (SC20) includes: the side wall part ( 200) of the wall panel 210,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ex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hroom space partitioned by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at least one end is bent to form the wall filling part 220 and a wall connecting step (SC21)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through a wall connector (230) between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forming the space of the wall panel to be accommodat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is provided.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설치 단계(SC10)는: 베이스 타일(150)을 베이스부(100)의 베이스 바디(110) 일면 상에 배치하는 베이스 타일 설치 단계(SC11)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construction method, the base part installation step (SC10) includes: a base tile installation step (SC11) of arranging the base tile 150 on one surface of the base body 110 of the base part 100 You may.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설 공간(W)의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00)와, 건설 공간(W)의 측면으로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100) 측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을 구비하는 사이드 월부(200)와, 상기 사이드 월부(200)의 타단 측에 배치되는 실링부(300)를 포함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월 패널(210)을 제공하는 패널 제공 단계(SP1)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제공 단계(SP1)는 단수 원장의 단일 금속 시트를 제공하는 시트 제공 단계(SP11)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제공 단계(SP11)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이미지를 프린팅하는, 고객 단말기(3), 매장 단말기(2), 서버(4), 공정 단말기(5), 공정 출력기(6)를 포함하는 프린팅 시스템(1000)을 제공하는 시트 프린팅 시스템 제공 단계(SP1000)와, 상기 프린팅 시스템(1000)을 통하여 단일 금속 시트에 사용자 선택 이미지를 프린팅 제어하는 시트 프린팅 시스템 제어 단계(SP1100)를 포함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base parts 100 arranged on the floor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base part 100 side to the sid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s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side wall portion 200 having a wall panel 210, and a sealing portion 300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200, the wall panel 210 is providing a panel providing step (SP1), wherein the panel providing step (SP1) includes a sheet providing step (SP11) of providing a single metal sheet of a singular ledger, wherein the sheet providing step (SP11) includes: A sheet printing system that provides a printing system 1000 including a customer terminal 3 , a store terminal 2 , a server 4 , a process terminal 5 , and a process output machine 6 for printing an image selected by the user It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comprising a providing step (SP1000) and a sheet printing system control step (SP1100) for controlling printing of a user-selected image on a single metal sheet through the printing system (1000).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린팅 시스템 제어 단계(SP1100)는: 상기 고객 단말기(3)를 통하여 고객 정보를 전달 및 확인하는 고객 확인 단계(S1)와, 고객에 의하여 금속 시트에 인쇄할 고객 셀렉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고객 셀렉션 단계(40a)와, 고객이 선택하는 고객 셀렉션 이미지를 출력하는 고객 컨트랙트 출력 단계(S99)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the sheet printing system control step (SP1100) includes: a customer confirmation step (S1) of delivering and confirming customer information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3), and printing on a metal sheet by the customer It may include a customer selection step (40a) of selecting a customer selection image to be performed, and a customer contract output step (S99) of outputting a customer selection image selected by the customer.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 셀렉션 단계(40a)는 상기 서버(4)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추천 디자인 패턴을 제공하는 디자인 패턴 추천 단계(S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the customer selection step (40a) may include a design pattern recommendation step (S40) of providing a recommended design pattern calculated using the user's custom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4). may be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 확인 단계(S1)는: 상기 고객 단말기(3)로부터 사용자의 고객 정보가 상기 매장 단말기(2)로 전달되는 고객 정보 전달 단계(S2)와, 상기 매장 단말기(2)에서 사용자의 고객 정보를 상기 서버(4)로 전달하여 고객 인증을 요청하는 고객 ID 인증 데이터 요청 단계(S10)와, 상기 서버(4)각 입력된 사용자의 고객 정보와 상기 서버(4)에 저장된 고객 ID 정보를 비교하여 고객 여부를 확인하는 고객 ID 확인 단계(S20)와, 상기 고객 ID 확인 단계(S20)에서 확인된 고객 ID에 대한 고객 데이터를 상기 매장 단말기(2)로 전달하는 고객 데이터 전달 단계(S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the customer confirmation step (S1) includes: a customer information transfer step (S2) in which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user is transmitted from the customer terminal 3 to the store terminal 2, and the store A customer ID authentication data request step (S10) of transferring the user's customer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2 to the server 4 to request customer authentication, and the server 4, each inputted user's customer information and the server ( The customer ID verification step (S20) of confirming whether the customer is a customer by comparing the customer ID information stored in 4), and the customer data for the customer ID confirmed in the customer ID verification step (S20) is transmitted to the store terminal (2) It may include a customer data transfer step (S30).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 셀렉션 단계(40a)는: 상기 고객 단말기(30)에서 고객이 선택한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가 제공되는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 제공 단계(S41)와, 상기 매장 단말기(2)는 수신한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를 입력 저장하는 고객 셀렉션 정보 입력 단계(S50)와, 상기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를 상기 서버(4)로 전달하는 고객 셀렉션 정보 전달 단계(S60)와, 상기 서버(40)에서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금속 시트에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 프린팅 모델링하는 고객 셀렉션 모델링 단계(S70)와, 상기 서버(4)에서 모델링된 고객 셀렉션 모델링 정보를 상기 매장 단말기(2)로 전달하는 고객 셀렉션 모델링 정보 전달(S80)와, 상기 매장 단말기(2)의 매장 단말 디스플레이에 상기 고객 셀렉션 모델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고객 셀렉션 모델링 디스플레이 단계(S90)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the customer selection step (40a) includes: a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tep (S41) in which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customer in the customer terminal 30 is provided, and the store terminal ( 2) includes a customer selection information input step (S50) of inputting and storing the received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and a customer selection information delivery step (S60) of delivering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to the server (4), and the server ( In 40), the customer selection modeling step (S70) of image printing modeling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on the metal sheet by using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and the customer selection modeling information modeled in the server (4) in the store terminal (2) It may include a customer selection modeling information transfer (S80) to be transmitted to the store terminal, and a customer selection modeling display step (S90) of displaying the customer selection modeling information on the store terminal display of the store terminal (2).

상기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 컨트랙트 출력 단계(S99)는: 상기 고객 셀렉션 모델링 디스플레이 단계(S9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고객 셀렉션 모델링 정보를 최종 확정되어 상기 서버(4) 측으로 전달되는 고객 컨트랙트 정보 전달 단계(S100)와, 상기 서버(4)에서 금속 시트에 이미지 프린팅 출력하는 공정 출력기(6)에 공정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공정 단말기(5)로 고객 컨트랙트 정보 및 모델링 정보를 전달하는 고객 컨트랙트 정보 및 모델링 정보 전달 단계(S110)와, 상기 공정 단말기(5)에서 상기 공정 출력기(6)를 통하여 상기 고객 컨트랙트 정보 및 모델링 정보에 포함되는 고객 셀렉션 이미지를 금속 시트에 프린팅하는 고객 셀렉션 이미지 프린팅 단계(S120)와, 금속 시트에 프린팅된 최종 이미지를 상기 공정 단말기(5)에서 상기 서버(4)로 전달하는 고객 셀렉션 프린팅 이미지 전송 단계(S130)와, 금속 시트에 프린팅된 최종 이미지와 상기 고객 컨트랙트 정보 및 모델링 정보에 포함되는 고객 셀렉션 이미지를 비교 확인하는 이미지 검증 단계(S1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the customer contract output step (S99) is: The customer selection modeling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customer selection modeling display step (S90) is finally confirmed and delivered to the server (4) The customer contract Customer contract transferring customer contract information and model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4 to the process terminal 5 that applies a process control signal to the process output device 6 that prints and outputs the image on the metal sheet in the information transfer step (S100) (S100) Information and modeling information transfer step (S110) and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printing step of printing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included in the customer contract information and modeling information on a metal sheet through the process outputter 6 in the process terminal 5 (S120), a customer selection printing image transmission step (S130) of transferring the final image printed on the metal sheet from the process terminal 5 to the server 4, and the final image printed on the metal sheet and the customer contract It may include an image verification step (S140) of comparing and confirming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and the model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설 공간(W)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월 패널(210)에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이미지를 프린팅하는, 고객 단말기(3), 매장 단말기(2), 서버(4), 공정 단말기(5), 공정 출력기(6)를 포함하는 프린팅 시스템(1000)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ints an image selected by a user on a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the customer terminal 3 and the store terminal 2 ), a server 4 , a process terminal 5 , and a printing system 1000 including a process output device 6 ar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설 공간(W)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월 패널을 구비하는 사이드 월부와, 상기 사이드 월부의 타단 측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월 패널(210)은 단수 원장의 단일 금속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테리어 유니트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wal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wall panel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a sealing portion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the wall panel 210 provides a prefabricated interi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ingle metal sheet of a singular ledger.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설 공간(W)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월 패널을 구비하는 사이드 월부와, 상기 사이드 월부의 타단 측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상기 월 패널(210)은 단수 원장의 단일 금속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테리어 유니트의 제조 및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wal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wall panel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a sealing portion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The wall panel 210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d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interi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ingle metal sheet of a single ledger.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시공 방법 및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프린팅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construction method and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printing system used ther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시공 방법 및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프린팅 시스템은, 각 월 패널이 금속 시트를 구비하여 유지 보수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First,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construction method and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printing system used ther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wall panel is provided with a metal sheet can provide 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시공 방법 및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프린팅 시스템은, 시공 현장에서는 현장관리의 효율을 높이고, 시공 공정 시간을 최소화로 인한 공정 단가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Second,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construction method and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printing system used ther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 the efficiency of on-site management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optimize the process unit cost by minimizing the construction process time can do it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시공 방법 및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프린팅 시스템은, 본 발명은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인력 의존도를 낮추어 욕실 공간 시공품의 완성도 편차를 균일화시켜 공정 관리 비용을 최소화하고 고객 만족도 증진을 이룰 수 있다. Third,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construction method and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printing system used ther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quality and lowers the dependence on manpower to equalize the deviation in the degree of perfection of the bathroom space construction product Process control costs can be minimized and custom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시공 방법 및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프린팅 시스템은, 금속 시트를 갖는 월 패널을 통하여 욕실의 청결성을 향상시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Fourth,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construction method and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printing system used ther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atisfy customer needs by improving the cleanliness of the bathroom through a wall panel having a metal sheet. have.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시공 방법 및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프린팅 시스템은, 금속 시트의 월 패널의 일면 상에 이미지 프린팅을 통하여 시각적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Fifth,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construction method and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printing system used ther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nhance visual satisfaction through image printing on one surface of the wall panel of the metal sheet.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시공 방법 및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프린팅 시스템은, 고객이 원하는 이미지를 월 패널의 표면 상에 프린팅하여 고객의 취향을 적용할 수 있다. Sixth,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construction method and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printing system used ther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the customer's taste by printing the image desired by the customer on the surface of the wall panel. .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시공 방법 및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프린팅 시스템은, 조립 해체성을 증대시켜 리모델링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Seventh,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construction method,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printing system used ther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acilitate remodeling by increasing assembly and disassembly.

여덟쩨,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조립식 욕실 이외에도 거실, 방 등의 실내 환경의 어디에도 적용될 수 있고, 신속한 인테리어 시공을 통한 시공 원가 최소화 내지 공정 시간 감소 및 소비자의 취향을 반영한 인테리어의 적용 등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Eighth,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nywhere in indoor environments such as living rooms and rooms in addition to prefabricated bathrooms. You ma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가 형성된 공간의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사이드 월부의 복수 개의 월 패널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사이드 월부의 월 패널의 개략적인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사이드 월부의 월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사이드 월부의 월 커넥터의 변형예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사이드 월부의 월 커넥터의 또 다른 변형예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사이드 월부의 월 커넥터의 변형예의 작동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2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설치 시공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설치 과정 상태도이다.
도 23 및 도 2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사이드 월부의 월 패널의 변형예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베이스부와 월 패널의 연결 구조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베이스부와 월 패널의 연결 구조의 변형예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월 패널 유틸리티 디바이스(40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및 분해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월 패널 유틸리티 디바이스(400)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월 패널의 고객 셀렉션 구조를 이루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를 위한 프린팅 시스템을 포함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월 패널의 고객 셀렉션 구조를 이루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과정을 위한 프린팅 시스템을 포함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월 패널의 고객 셀렉션 구조를 이루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를 위한 프린팅 시스템에 의하여 프린팅이 이루어진 월 패널의 연속 프린팅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34 내지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월 패널의 고객 셀렉션 구조를 이루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를 위한 프린팅 시스템의 고객 단말기, 매장 단말기 및 서버의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state diagram of a space in which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lurality of wall panels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6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chematic manufacturing process of a wall panel of a side wall part of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of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s of the wall connector of the side wall of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wall connector of the side wall of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wall connector of the side wall part of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dified example of the wall connector of the side wall part of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2 .
15 to 22 are schematic installation process state diagrams showing the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and 24 are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and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wall panel of the side wall of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and 26 are schematic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se part and the wall panel of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schematic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se part and the wall panel of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to 29 are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and explode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wall panel utility device 400 of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wall panel utility device 400 of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efab bathroom unit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a printing system for manufacturing a prefab bathroom unit constituting a customer selection structure of a wall panel of a prefab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a printing system for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process constituting a customer selection structure of a wall panel of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continuous printing state of a wall panel printed by a printing system for manufacturing a prefab bathroom unit constituting a customer selection structure of a wall panel of a prefab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to 36 are diagrams of a customer terminal, a store terminal, and a server of a printing system for manufacturing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constituting a customer selection structure of a wall panel of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 및 프린팅 시스템을 포함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시스템 및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 및 조립식 욕실 유니트 시공 방법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nd a printing system,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constru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10)는, 베이스부(100)와, 사이드 월부(200)와, 실링부(300)를 포함한다.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100 , a side wall portion 200 , and a sealing portion 300 .

베이스부(100)는 건설 공간(W)의 바닥에 배치되고, 사이드 월부(200)는 건설 공간(W)의 측면으로 일단이 베이스부(100) 측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을 구비하고, 실링부(300)는 사이드 월부(200)의 타단 측에 배치되는데, 실링부(300)도 복수 개의 개별 패널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The base part 100 is disposed on the floor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the side wall par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ase part 100 side to the sid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the sealing part 300 is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side wall part 200, the sealing part 300 may also take a plurality of individual panel structures.

한편, 본 실시예의 월 패널(210)은 단수 원장의 단일 금속 시트인 구조를 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wall panel 210 of this embodiment takes a structure that is a single metal sheet of a single ledger.

먼저, 베이스부(100)는 베이스 바디(110)와, 베이스 충진재(120)를 포함한다. 베이스 바디(110)는 적어도 일부가 건설 공간(W)의 바닥 측에 배치되고, 베이스 충진재(120)는 베이스 바디(110)의 내측에 배치되는데, 베이스 바디(110)의 외측에는 베이스 장착 가이드(140)가 구비되고, 베이스 장착 가이드(140)에는 사이드 월부(200)가 수용된다. 베이스 장착 가이드(140)는 베이스 프레임(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절곡 형태의 프레임으로 별개물로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130)에 체결 부재를 통하여 고정 장착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First, the base part 100 includes a base body 110 and a base filler 120 .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e body 110 is disposed on the bottom sid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the base filler 120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base body 110, and on the outside of the base body 110, the base mounting guide ( 140 is provided, and the side wall part 200 is accommodated in the base mounting guide 140 . The base mounting guide 1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frame 130 ,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bent frame and may be fixedly mounted to the base frame 130 through a fastening member.

한편, 경우에 따라 베이스부(100)는 베이스 프레임(13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베이스부(100)는 베이스 프레임(130)을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Meanwhile, in some cases, the base part 100 may further include the base frame 130 . The base part 100 of this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the base frame 130 being provided.

베이스 프레임(130)은 건설 공간(W)의 바닥면에 접하여 배치되는데, 베이스 프레임(130)은 베이스 바디(110)가 건설 공간(W)의 바닥면 측을 향하여 배치되되 적어도 일부,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바디(110) 전체가 건설 공간(W)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베이스 프레임(130)은 요철 구조를 취하여 이격 구조를 형성하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밀착으로 인한 진동 소음의 완충 기능을 통한 층간 배치시 층간 소음 최소화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The base frame 130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the base frame 130 is the base body 110 is disposed toward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t least a part, this embodiment It enabl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ntire base body 11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The base frame 130 takes a concave-convex structure to form a spaced structure, but to strengthen the bearing capacity for a load, and to minimize noise between floors during inter-floor arrangement through a cushioning function of vibration noise due to close contact. .

후술되는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30)의 일부에는 경우에 따라 스페이스(미도시)를 통하여 건설 공간(W)의 바닥면의 불균일로 인한 균형이 어긋나는 배치 상태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30)은 단일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가 이격 내지 밀접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고, U자형 내지 뒤집어진 U 자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some cases, in some cases, through a space (not shown) in some cases, an out-of-balance arrangement due to the non-uniformity of the floor surfac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may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base frame 130 may be formed of a single structure, may tak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are spaced apart or closely spaced, and may have a U-shape or an inverted U-shape, etc.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It is possible.

또한, 베이스부(100)는 베이스 타일(15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베이스 타일(150)의 내장 바닥재 재질은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즉, 베이스 타일(150)은 도기질의 세라믹 타일(ceramic tile), 점토재 등을 이용한 자기질의 포세린 타일(porcelain tile), 점토재 등으로 습식 사출 성형되는 석기질의 스톤웨어 타일(stoneware tile), 천연 및 인조 대리석의 컴파운드 타일(compound tile) 등일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타일(150)은 베이스 바디(110)의 일면 상에 설정된 영역의 표면에 배치되는데, 베이스 타일(150)의 크기와 개수는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base part 100 may further include a base tile 150 , and various selections are possible for the interior flooring material of the base tile 150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That is, the base tile 150 is a ceramic tile of ceramic tile, a porcelain tile of porcelain using a clay material, etc., a stoneware tile of a stone substrate wet injection molded with a clay material, natural stoneware tile, etc. And it may be a compound tile of artificial marble (compound tile), etc., various selections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design specificat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tile 150 is disposed on a surface of an area set on one surface of the base body 110 , and the size and number of the base tile 150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바디(110)는 베이스 로워 바디(113)와, 베이스 어퍼 바디(111)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의 베이스 바디(110)는 스틸레스 스틸로 형성되나, 베이스 바디(110)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재료가 선택 가능하다. 베이스 로워 바디(113)는 건설 공간(W)의 바닥 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베이스 어퍼 바디(111)는 베이스 로워 바디(113)와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베이스 충진부(120)가 베이스 로워 바디(113)와 베이스 어퍼 바디(111)의 사이에 배치된다. More specifically, the base body 110 includes a base lower body 113 and a base upper body 111 , and the base body 110 in this embodiment is formed of stainless steel, but the base body 110 )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aterials can be selected. The base lower body 113 is disposed toward the bottom sid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the base upper body 111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lower body 113, and the base filling part 120 is the base lower body ( It is disposed between the 113 and the base upper body 111 .

즉, 베이스 로워 바디(113)는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프레임(130)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여 배치 지지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본 실시예의 베이스 로워 바디(113)는 하부의 베이스 로워 바디 플레이트 및 이의 외주에 상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베이스 로워 바디 리브를 포함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 어퍼 바디(111)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베이스 로워 바디(113)와 베이스 어퍼 바디(111)와의 사이 내부 공간에 베이스 충진부(120)가 배치된다. 베이스 충진부(120)는 본 실시예에서 경질 폴리 우레탄 등의 불연 내지 준불연성 합성 수지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베이스 충진부(120)는 사전 제조된 폼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베이스 로워 바디(113)와 베이스 어퍼 바디(111)가 체결되고 사이 공간에 충진 경화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제조 내지 시공 공정 상의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That is, the base lower body 113 has a structure that is disposed and supported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e frame 130 in this embodiment, and the base lower body 113 of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lower base lower body plate and its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e upper body 111 including a base lower body rib extending upward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body to form an inner space between the base lower body 113 and the base upper body 111 . ) and the base filling part 12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between. The base filling part 120 may be formed of a non-combustible or semi-incombust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rigid polyurethane in this embodiment, and in some cases, the base filling part 120 may take the form of a pre-manufactured foam, and the base Various selections are possible in the manufacturing or construction process, such as tak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wer body 113 and the base upper body 111 are fastened and filled and hardened in the space therebetween.

베이스 어퍼 바디(111)는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와, 베이스 어퍼 경사 바디(1113)와, 베이스 어퍼 트렌치(1114)를 포함한다. The base upper body 111 includes a base upper main body 1111 , a base upper inclined body 1113 , and a base upper trench 1114 .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는 사전 설정된 너비를 갖도록 건설 공간(W)이 형성하는 욕실 공간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는데,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는 경사 형성 배치된다. 즉,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는 수평면, 예를 들어 건설 공간(W)의 바닥면이 이루는 수평면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경사도(θ, 도 7, 도 26 참조)로 형성되어 평활 경사도를 갖는 바닥면을 형성 가능하게 하여 물고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Base upper main body 1111 is dis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hroom space formed by the construction space (W) to have a preset width, the base upper main body 1111 is arranged inclined. That is, the base upper main body 1111 is formed with a preset inclination (θ, see FIGS. 7 and 26)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for example, a horizontal plane formed by the floor surfac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a floor surface having a smooth inclination. By making it possible to form, it is possible to prevent stagnation and the like.

베이스 어퍼 경사 바디(1113)는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의 단부 측에 배치되고 베이스 타일(150)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데, 베이스 어퍼 경사 바디(1113)는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와 후술되는 베이스 어퍼 트렌치 바디(1115)의 사이에 개재되는 단턱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base upper inclined body 1113 is connected to the base upper main body 1111 and disposed on the end side of the base upper main body 1111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base tile 150 is disposed, the base upper inclined body ( 1113 may form a stepped structure interposed between the base upper main body 1111 and the base upper trench body 1115 to be described later.

베이스 어퍼 트렌치 바디(1115)는 일면 상에 베이스 어퍼 트렌치(1114)가 형성되는데, 베이스 어퍼 트렌치(1114)는 베이스 어퍼 트렌치 바디(1115)에 배치되는 베이스 드레인(115)과 연결되고, 베이스 드레인(115)은 베이스 어퍼 바디(111) 및 베이스 로워 바디(113)를 관통하여 외부의 배수 시설과 연결된다. A base upper trench 1114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upper trench body 1115, and the base upper trench 1114 is connected to the base drain 115 disposed in the base upper trench body 1115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drain ( 115 passes through the base upper body 111 and the base lower body 113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rainage facility.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는 일단부 측, 즉 베이스 어퍼 트랜치(1114)가 형성된 베이스 어퍼 트렌치 바디(1115)를 향하여 경사 배치되는 구성을 취하는데, 경우에 따라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의 내부 측에 베이스 드레인(115)이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 베이스 드레인(1115)을 중심으로 콘(cone) 형상의 입체적 경사면을 갖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base upper main body 1111 is inclined toward one end side, that is, the base upper trench body 1115 in which the base upper trench 1114 is formed. In some cases, the base upper main body ( In the case of taking a structure in which the base drain 115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1111 ,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such as a configuration having a three-dimensional inclined surface in the shape of a cone centered on the base drain 1115 . do.

이와 같은, 베이스부(100)의 구성은 개별 요소가 현장에서 조립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부만이 사전 제작되고 나머지가 현장에서 조립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전체가 사전 제작되고 현장에서는 단지 배치만이 이루어지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As such,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part 100 may be made in such a way that individual elements are assembled on-site, some of them are pre-fabricated and the rest are assembled on-site, and the whole is pre-fabricated and placed only on sit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design specifications, such as taking a configuration in which only the two are mad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월부(200)는 월 충진부(220)와, 월 커넥터(230)를 포함한다. 월 충진부(220)는 월 패널(210)이 형성하는 월 패널 공간에 배치되고, 월 커넥터(230)는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을 연결한다. Meanwhile, the side wall par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l filling part 220 and a wall connector 230 . The wall filling unit 220 is disposed in the wall panel space formed by the wall panel 210 , and the wall connector 230 connects the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

보다 구체적으로, 월 커넥터(230)를 통하여 복수 개가 연결되는 월 패널(210)은 월 패널 메인부(211)와, 월 패널 사이드부(213)와, 월 패널 리브 가이드(215,217)을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connected through the wall connector 230 include a wall panel main part 211 , a wall panel side part 213 , and wall panel rib guides 215 and 217 .

월 패널 메인부(211)는 건설 공간(W)이 구획하는 욕실 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 배치되고, 월 패널 사이드부(213)는 월 패널 메인부(211)의 적어도 일단에 절곡 형성되어 월 충진부(220)가 수용 배치되는 월 패널 공간을 형성하고, 월 패널 리브 가이드(215,217)는 월 패널 메인부(211)의 다른 적어도 일측에 전개 배치된다.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is ex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hroom space partitioned by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is formed by bending at least one end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to fill the wall. The part 220 forms a space for the wall panel to be accommodated, and the wall panel rib guides 215 and 217 are deployed and deploy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wall panel 211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 패널 메인부(211)는 건설 공간(W)이 구획하는 욕실 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 배치되어 연속 연결되는 구조를 통하여 욕실 공간을 구획하는데, 월 패널 메인부(211)의 측부에는 월 패널 사이드부(213)가 형성되고, 월 패널 사이드부(213)는 월 패널 메인부(211)에 대하여 절곡 배치되는 구성을 취하고, 월 패널 사이드부(213)의 외측에는 월 패널 백 리브(214) 및/또는 월 패널 사이드 리브 가이드(215,217)가 연결 절곡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2,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is disposed ex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hroom space partitioned by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partitions the bathroom space through a continuous connection structure, the wall panel main part ( A wall panel side portion 213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211 , and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is bent with respect to the wall panel main portion 211 , and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 The wall panel back ribs 214 and/or the wall panel side rib guides 215 and 217 are connected and bent.

월 패널 백 리브(214)는 월 패널 사이드부(213)와 연결되되 절곡되어 후면에 위치하고, 월 패널 사이드부(213)의 단부에서 90도 상대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월 패널 메인부(211)의 배면과 월 패널 사이드부(213) 및 월 패널 백 리브(214)가 형성하는 영역, 즉 공간에 월 충진부(220)가 배치된다. The wall panel back rib 214 is connected to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and is bent to be positioned on the rear side, and is disposed to form a 90 degree relative angle from the end of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 ),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and the wall panel back rib 214 are formed, that is, the wall filling portion 220 is disposed in the space.

월 패널 리브 가이드(215,217)는 월 패널 사이드 리브 가이드(217)와, 월 패널 어퍼 리브 가이드(215)를 포함하는데, 월 패널 사이드 리브 가이드(217)는 월 패널 사이드부(213)의 외주 측부에 전개 배치되고, 월 패널 어퍼 리브 가이드(215)는 월 패널 사이드부(213)의 외주 상단에 전개 배치된다. 여기서 전개 배치라는 의미는 월 패널 메인부(211)에 평행한 평면에 월 패널(210)을 투영시 월 패널(210)의 투영 면적을 증진시키는 구조로 펼쳐져 배치되는데, 월 패널 사이드 리브 가이드(217)와, 월 패널 어퍼 리브 가이드(215)는 인접한 다른 월 패널(210)과의 연결시 가이드하거나 상부에 배치되는 시일부(300)와의 상대 위치 안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wall panel rib guides 215 and 217 include a wall panel side rib guide 217 and a wall panel upper rib guide 215 . The wall panel side rib guide 217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 The deployment arrangement is carried out, and the wall panel upper rib guide 215 is deployed and arranged on the upper end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 Here, the term “deployed arrangement” means that when the wall panel 210 is projected on a plane parallel to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it is spread out and arranged in a structure to increase the projected area of the wall panel 210, and the wall panel side rib guide 217 ) and the wall panel upper rib guide 215 may perform a function of guiding when connecting to another adjacent wall panel 210 or guiding a relative position with the seal part 300 disposed thereon.

도 3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의 일환으로 조립식 욕실 유니트(10)의 월 패널(210)의 금속 기판 원장으로부터 제조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3 to 6 show a manufacturing process from the metal substrate ledger of the wall panel 210 of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as part of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있어, 본 발명은 건설 공간(W)의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00)와, 건설 공간(W)의 측면으로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100) 측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을 구비하는 사이드 월부(200)와, 상기 사이드 월부(200)의 타단 측에 배치되는 실링부(300)를 포함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으로 월 패널(210)을 제공하는 패널 제공 단계(SP1)를 포함하는데, 패널 제공 단계(SP1)는 시트 제공 단계(SP11)와, 시트 절단 단계(SP13)와, 시트 절곡 단계(S15)와, 월 충진부 배치 단계(S17)를 포함한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base parts 100 arranged on the floor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base part 100 side to the sid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 panel for providing a wall panel 210 in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a side wall part 200 having a wall panel 210 and a sealing part 300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side wall part 200 . A providing step (SP1) is included, wherein the panel providing step (SP1) includes a sheet providing step (SP11), a sheet cutting step (SP13), a sheet bending step (S15), and a wall filling section arrangement step (S17). do.

먼저, 시트 제공 단계(SP11)에서 단수 원장의 단일 금속 시트가 제공된다. First, in the sheet providing step SP11, a single metal sheet of a singular ledger is provided.

시트 절단 단계(SP13)에서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을 연결하기 위한 월 커넥터(23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시트 제공 단계(SP11)에서 제공된 상기 금속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절찬된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metal sheet provided in the sheet providing step SP11 is highly praised to form at least a portion of the wall connector 230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in the sheet cutting step SP13.

그런 후, 시트 절곡 단계(S15)에서 금속 시트를 절곡하는데, 시트 절곡 단계(S15)는 월 패널 메인부 절곡 단계(S151)를 포함하고 월 패널 메인부 절곡 단계(S151)에서 적어도 건설 공간(W)이 구획하는 욕실 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 배치되는 월 패널 메인부(211)가 형성된다. Then, the metal sheet is bent in the sheet bending step S15, wherein the sheet bending step S15 includes the wall panel main part bending step S151 and at least the construction space W in the wall panel main part bending step S151 ),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which is ex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hroom space partitioned is formed.

그런 후, 월 충진부 배치 단계(S17)가 실행되어 월 패널(210)이 형성하는 월 패널 공간에 월 충진부(220)가 배치된다. Then, the wall filling part arrangement step (S17) is executed to arrange the wall filling part 220 in the wall panel space formed by the wall panel 210.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장의 금속 기판이 제공되고, 도 4에는 원장의 금속 기판, 즉 금속 시트에는 절곡 위치와 절단 지점이 점선으로 표시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지점에 대응하는 지점의 절단 공정이 실행되는데, 절단 공정을 통하여 좌우측 상하단, 보다 구체적으로, 월 패널 사이드부(213) 및/또는 월 패널 백 리브(214)와 월 패널 어퍼 리브 가이드(215) 및/또는 월 패널 사이드 리브 가이드(217)를 형성하는 영역의 외측 영역을 절단 제거하고, 월 커넥터 장착부(231)와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가 형성하는 영역을 절단하여 월 커넥터 장착부(231)와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를 최종적으로 관통 형성한다. First, as shown in FIG. 3 , a metal substrate of a ledger is provided, and in FIG. 4 , a bending position and a cutting point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on the metal substrate of the ledger, that is, a metal sheet. First, as shown in FIG. 5 , a cutting process of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point is performed. Through the cutting process, the left and right upper and lower ends, more specifically,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and/or the wall panel back rib 214 . The outer region of the region forming the wall panel upper rib guide 215 and/or the wall panel side rib guide 217 is cut and removed, and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ortion 231 and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portion 233 form The region is cut to finally penetrate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ortion 231 and the wall connector body counterpart 233 .

그런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점선의 절곡선을 따라 절곡 공정이 실행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곡 완성 구조를 형성하는데, 절곡 공정을 실행하여 월 패널 메인부(211)를 구획하는 외측 영역의 월 패널 사이드부(213)를 형성하고, 월 패널 사이드부(213)의 외측 영역을 절곡한다. 이때, 월 패널 사이드부(213)의 외측 영역으로 월 패널 백 리브(214)는 월 패널 메인부(211)를 구획하는 외측 영역의 월 패널 사이드부(213)를 형성하기 위해 절곡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고, 월 패널 어퍼 리브 가이드(215) 및 월 패널 사이드 리브 가이드(217)는 월 패널 메인부(211)를 구획하는 외측 영역의 월 패널 사이드부(213)를 형성하기 위해 절곡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다. Thereafter, a bending process is performed along the dotted bending line as shown in FIG. 5 to form a finished bend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6 , and dividing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by executing the bending process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of the outer region is formed, and the outer region of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is bent. At this time, the wall panel back rib 214 as the outer region of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is bent to form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of the outer region dividing the wall panel main portion 21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ending direction. direction, and the wall panel upper rib guide 215 and the wall panel side rib guide 217 are bent to form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of the outer region partitioning the wall panel main portion 211 . and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즉, 월 패널 백 리브(214)는 감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후방 측에서 월 충진부(220)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획 형성하도록 하고, 월 패널 어퍼 리브 가이드(215) 및 월 패널 사이드 리브 가이드(217)는 전개되는 방식으로 절곡 방향이 형성되어 인접하여 측면에 연속 배열되는 다른 월 패널(210) 내지 상부에 배치되는 실링부(300)와의 안정적인 연결 접속 내지 배치 위치 확보를 위한 가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wall panel back rib 214 is formed in a winding manner to partition a space in which the wall filling unit 220 is accommodated at the rear side, and the wall panel upper rib guide 215 and the wall panel side rib guide 217 are formed. ) is formed in a unfolded manner to perform a guide function to secure a stable connection connection or arrangement position with other wall panels 210 continuously arranged on the sid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aling unit 300 arranged on the upper side. hav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10)에 배치되는 사이드 월부(200)의 월 패널(210)의 후면 공간에 배치되는 월 충진부(220)는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데, 월 충진부(220)는 통상적인 샌드위치 패널의 구성요소가 구비될 수도 있으나, 난연 내지 준불연 또는 불연성을 확보하도록 경우에 따라 단순한 EPS 심재 구조 이외에도 유리 섬유가 함침된 복합 플라스틱 판재의 사이에 EPS 심재가 배치되는 구성 또는 폴리우레탄 등의 재료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wall filling part 220 disposed in the rear space of the wall panel 210 of the side wall part 200 disposed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wall filling unit 220 may be provided with components of a conventional sandwich panel, but in some cases, in addition to a simple EPS core structure, an EPS core material between composite plastic plates impregnated with glass fibers to ensure flame retardancy, semi-incombustibility, or non-combustibility.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design specifications, such a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is disposed or may take a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유니트(10)는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의 연속 배치 및 체결 수단으로 월 커넥터(230)가 배치되는데, 월 커넥터는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을 돌출 구조를 그리고 타측은 수용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ll connector 230 is disposed as a means for continuous arrangement and fastening of a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and the wall connector is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and is disposed on one side. The protrusion structure may be drawn and the other side may be formed as a receiving structure.

도 2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출 및 수용 맞물림 구조를 취하도록 본 실시예의 월 커넥터(230)는 월 커넥터 장착부(231)와,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와, 월 커넥터 바디(235)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and the like, the wall connector 230 of this embodiment has a wall connector mounting portion 231 , a wall connector body counterpart 233 , and a wall connector body 235 to take a projecting and receiving engagement structure. include

보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 커넥터 장착부(231)는 월 패널 사이드부(213)에 형성되고, 월 커넥터 바디(235)는 월 커넥터 장착부(231)에 일단이 연결되고,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는 인접한 다른 월 패널(210)의 월 패널 사이드부(213)에 배치되고 월 커넥터 바디(235)의 타단을 수용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9 and 10 ,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art 231 is formed on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 and the wall connector body 235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art 231 . and the wall connector body counterpart 233 is disposed on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of the other adjacent wall panel 210 and accommodates the other end of the wall connector body 235 .

월 커넥터 장착부(231)는 월 패널 사이드부(213)에 형성되는데, 월 패널 사이드부(213)의 일면 상에 하나 이상이 관통 형성되고, 월 커넥터 장착부(231)의 대응 위치에는 반대편 월 패널 사이드부(213)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위치 대응 구조를 통하여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이 연속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월 패널(210)의 월 패널 사이드부(213)의 일측에 월 커넥터 장착부(231)가 형성되는 경우 인접한 다른 월 패널(210)의 월 패널 사이드부(213)에 위치 대응 형성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ortion 231 is formed in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 and at least one is formed through one surface of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 an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ortion 231 , the opposite wall panel side It is formed in the portion 213, and when a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are sequentially arranged through such a position-corresponding structure, a wall connector mounting portion 231 on one side of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of one wall panel 210. When is formed, a structure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of the other adjacent wall panel 210 is formed.

월 커넥터 바디(235)는 월 커넥터 장착부(231)에 일단이 연결됨으로써, 월 커넥터 바디(235)의 타단이 하나의 월 패널(210)의 월 커넥터 장착부(231)의 대응하는 위치로 인접한 다른 월 패널의 월 패널 사이드부(213)에 형성된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와 맞물림 구조를 형성하여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는 월 커넥터 바디(235)의 타단을 수용한다. One end of the wall connector body 235 is connected to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art 231 ,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wall connector body 235 is adjacent to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art 231 of one wall panel 210 . Forming an engaging structure with the wall connector body counterpart 233 formed on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of the panel, the wall connector body counterpart 233 receives the other end of the wall connector body 235 .

보다 구체적으로, 월 커넥터 바디(235)는 월 커넥터 바디 홀더(2351)와,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3)를 포함하는데, 월 커넥터 바디 홀더(2351)는 일단이 월 커넥터 장착부(231)에 고정 장착되고,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3)는 일단이 월 커넥터 바디 홀더(2351)에 장착되고 타단이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 측을 향하여 돌출 배치되는데, 월 커넥터 바디 홀더(2351)는 월 커넥터 바디 홀더 헤드(23511)와 월 커넥터 바디홀더 테일(23513)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wall connector body 235 includes a wall connector body holder 2351 and a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art 2353 , and the wall connector body holder 2351 has one end fixed to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art 231 . Mounted,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3 has one end mounted on the wall connector body holder 2351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toward the wall connector body counterpart 233 side, the wall connector body holder 2351 is and a connector body holder head 23511 and a wall connector body holder tail 23513 .

월 커넥터 바디 홀더 헤드(23511)의 단부에는 월 커넥터 바디홀더 테일(23513)의 일단과 일체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월 커넥터 바디 홀더 헤드(23511)의 일단에는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535)의 단부 진입을 허용하고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535)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월 커넥터 바디 홀더 수용구(23512)를 포함하고, 월 커넥터 바디 홀더 수용구(23512)는 월 커넥터 바디 홀더 테일(23513)의 내측에도 연장 형성된다. 월 커넥터 바디 홀더 테일(23513)의 타단은 월 커넥터 장착부(231)에 관통 삽입 장착되는데, 월 커넥터 바디 홀더 테일(23513)의 타단은 월 커넥터 장착부(231)에 억지 끼워 맞춤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별도의 체결 부재를 통하여 월 패널 사이드(213)의 다른 면으로부터 월 커넥터 장착부(231)를 관통 배치하는 월 커넥터 바디 홀더 테일(23513)의 타단과 맞물림 위치 고정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월 커넥터 바디 홀더 테일(23513)이 월 커넥터 장착부(231)에 삽입 장착되는 경우 구성 요소 간의 접촉으로 인한 간섭 내지 불균등 배치 방지하도록 월 커넥터 바디 실러(2355)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The end of the wall connector body holder head 23511 has a structure integrally connected with one end of the wall connector body holder tail 23513, and at one end of the wall connector body holder head 23511, and a wall connector body holder receptacle 23512 for allowing end entry and for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all connector body catch 2535, the wall connector body holder receptacle 23512 comprising a wall connector body holder tail 23513 ) is also formed on the inside of the extension. The other end of the wall connector body holder tail 23513 is inserted and mounted to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art 231, and the other end of the wall connector body holder tail 23513 may be press-fitted to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art 231, in which case Accordingly, a structur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wall connector body holder tail 23513 and the other end of the wall connector body holder tail 23513 penetratingly disposes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art 231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wall panel side 213 through a separate fastening member is fixed may be adopted. In addition, in some cases, when the wall connector body holder tail 23513 is inserted and mounted in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art 231 , a wall connector body sealer 2355 may be further provided to prevent interference or uneven placement due to contact between components.

월 커넥터 바디 홀더 수용구(23512)에는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3)의 단부가 나사 결합 체결된다.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3)는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헤드(2353)과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테일(23533)을 포함하는데,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헤드(2353)과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테일(23533)는 일체로 형성되는 나사 체결 소재로 형성된다.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헤드(2353)의 직경(Dw)은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테일(23533)의 직경(DB)보다 큰 값을 갖고,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테일(23533)는 월 커넥터 바디 홀더 수용구(23512)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되어, 하나의 월 패널(210)의 측부의 월 패널 사이드(213) 측에 일단이 돌출되어 위치 고정 장착된다. The end of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3 is screwed to the wall connector body holder receiving hole 23512.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3 includes a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head 2353 and a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tail 23533, wherein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head 2353 and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tail 23533 are integrally formed. It is formed of a screw fastening material to be formed. The diameter Dw of the wall connector body locking head 2353 has a larger value than the diameter DB of the wall connector body locking tail 23533, and the wall connector body locking tail 23533 is the wall connector body holder receiving hole 23512. ) is screwed and fastened, and one end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side of the wall panel 210 to the side of the wall panel 213 and is fixedly mounted.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진입부(2331)와, 월 커넥터 바디 대응 걸림부(2333)를 포함한다. 월 커넥터 바디 대응 진입부(2331)는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3)의 진입 진출을 허용하고, 월 커넥터 바디 대응 걸림부(2333)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진입부(2331)와 연결되고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의 배열 방향으로의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3)와 맞물림 가능한다.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portion 233 includes an entry portion 2331 corresponding to the wall connector body and a locking portion 2333 corresponding to the wall connector body. The wall connector body-corresponding entry part 2331 allows entry and exit of the wall connector body locking part 2353, and the wall connector body-corresponding locking part 2333 is connected to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ntry part 2331 a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alls. It is possible to engage with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3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anel 210 .

즉, 월 커넥터 바디 대응 진입부(2331)의 내경(DH)은 월 커넥터 바디 대응 걸림부(2333)의 내경(DB)보다 큰 값을 구비하여, 월 커넥터 바디 대응 진입부(2331)의 허용하되,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테일(23533)이 하단 연결된 월 커넥터 바디 대응 걸림부(2333)에 걸쳐지되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테일(23533)이 월 커넥터 바디 대응 걸림부(2333)의 내측면과 맞물리는 스톱퍼 기능을 이룸으로써,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의 연속적인 배치 및 이의 체결 연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inner diameter DH of the wall connector body-corresponding entry part 2331 has a larger value than the internal diameter DB of the wall connector body-corresponding locking part 2333, so that the wall connector body-corresponding entry part 2331 is allowed but , A stopper function in which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tail 23533 is spanned over the lower connected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engaging portion 2333, but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tail 23533 is engag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engaging portion 2333 By achieving this, it is possible to form a continuous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and a fastening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도 2 및 도 9의 실시예는 돌출 체결 구조를 취하되 단순 걸림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월 커넥터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embodiment of FIGS. 2 and 9 has been described with a focus on the case of forming a simple locking structure with a protruding fastening structure, the wall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2 내지 도 14에는 돌출 체결 구조를 취하되 탄성 구조의 월 커넥터(230b)의 일예가 도시되는데, 월 커넥터(230b)는 월 커넥터 장착부(231)와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b)와 월 커넥터 바디(235b)를 포함하고, 월 커넥터 장착부(231)는 앞선 실시예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12 to 14 show an example of a wall connector 230b having a protruding fastening structure but having an elastic structure. The wall connector 230b includes a wall connector mounting portion 231, a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portion 233b, and a wall connector. Including the body 235b,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ortion 231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b)는 인접하는 다른 월 패널(210)의 월 패널 사이드(213) 측에 배치되고, 월 커넥터 바디(235b)는 일단이 월 커넥터 장착부(231) 측에 연결 장착되고 월 커넥터 바디(235b)의 타단은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b)에 삽입 장착되되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b)는 월 커넥터 바디(235b)의 타단을 탄성 맞물리하는 구조를 취한다. The wall connector body counterpart 233b is disposed on the wall panel side 213 side of the other adjacent wall panel 210, and the wall connector body 235b has one end connected to and mounted on the wall connector mounting unit 231 sid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body 235b is inserted and mounted in the wall connector body counterpart 233b, and the wall connector body counterpart 233b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wall connector body 235b is elastically engaged.

월 커넥터 바디(235b)는 월 커넥터 바디 베이스(2355b)와,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2b)를 포함하는데, 월 커넥터 바디 베이스(2355b)는 일단에 형성되어 월 커넥터 장착부(231)에 고정 장착되고,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2b)는 월 커넥터 바디 베이스(2355b)의 반대편 타측에 형성되고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와 맞물림 가능하다. The wall connector body 235b includes a wall connector body base 2355b and a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2b, wherein the wall connector body base 2355b is formed at one end and fixedly mounted to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ortion 231, ,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2b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wall connector body base 2355b and is engageable with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portion 233 .

즉, 도 12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월 커넥터 바디(235b)의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2b)는 돌출 구조를 취하는데,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2b)는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와, 월 커넥터 바디 걸림 진입부(2351b)를 포함한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shown in Fig. 12,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2b of the wall connector body 235b has a protruding structure, and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2b is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and holding portion 2353b. ) and a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1b.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와 맞물림 상태 유지 가능하고, 월 커넥터 바디 걸림 진입부(2351b)는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의 외측으로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보다 단면적이 큰데,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and holding portion 2353b can maintain engagement with the wall connector body counterpart 233, and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entry portion 2351b is outside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and holding portion 2353b. The cross-sectional area is larger than that of the locking holding part 2353b,

월 커넥터 바디 걸림 진입부(2351b)의 직경을 도면 부호 DH,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의 직경을 도면 부호 DB라 할 때, 월 커넥터 바디 걸림 진입부(2351b)의 직경(DH)은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의 직경(DB)보다 큰 값을 갖는다. When the diameter of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entry portion 2351b is denoted by DH and the diameter of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and holding portion 2353b is denoted by DB, the diameter (DH) of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entry portion 2351b is It has a larger value than the diameter DB of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and holding portion 2353b.

월 커넥터 바디 걸림 진입부(2351b)와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b) 측에 삽입 위치 고정 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b)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진입부(2332b)와,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2331b)와,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부(2333b)를 포함한다.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1b and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holding portion 2353b may form an insertion position fixed on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portion 233b side, and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portion 233b of this embodiment. ) includes a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ntry portion 2332b, a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 2331b, and a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portion 2333b.

월 커넥터 바디 대응 진입부(2332b)는 월 커넥터 바디 걸림 진입부(2351b)의 관통을 허용하고,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2331b)는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와 접촉 가능하고,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부(2333b)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2331b)를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wall connector body mating entry portion 2332b allows penetration of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entry portion 2351b, and the wall connector body counterpart holder 2331b is contactable with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holding portion 2353b, and the wall connector The body corresponding elastic part 2333b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 2331b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and holding part 2353b.

월 패널(210)의 월 패널 사이드(213) 중의 하나에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 관통구(2332b)가 형성되고, 월 커넥터 바디 걸림 진입부(2351b)와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가 월 커넥터 바디 대응 진입부(2332b)를 관통 가능하고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2331b)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 관통구(2332b)를 통하여 노출되어 배치됨으로써, 월 커넥터 바디 걸림 진입부(2351b)와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진입부(2332b)를 관통하여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2331b)와 맞물림 가능하다. A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 through hole 2332b is formed in one of the wall panel sides 213 of the wall panel 210, and the wall connector body locking entry part 2351b and the wall connector body locking holding part 2353b are connected to the wall. The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ntry portion 2332b can be penetrated and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 2331b is exposed through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 through hole 2332b, and is disposed, so that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entry portion 2351b and the wall connector The body engaging and holding portion 2353b penetrates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ntry portion 2332b and is engageable with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 2331b.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2331b)는 한 쌍이 서로 분리되어 상호 상대 가동 가능하게 위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2331b)는 반달 형상 내지 콩 형상 구조를 취하여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월 커넥터 바디(235b)의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2b)가 맞물림되는 구조를 취한다. A pair of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s 2331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re positioned to be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s 2331b take a half-moon shape or a bean-shaped structure to form a wall on the inner side facing each other. It takes a structure in which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2b of the connector body 235b is engaged.

이때,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부(2333b)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23331)와,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 연결부(23333)와,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 연결 가이드(23335)를 포함한다. In this case,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part 2333b includes a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body 23331 , a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body connection part 23333 , and a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body connection guide 23335 .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23331)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고 내측에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2331b)가 위치하여 연결 가능한 구조를 취하고,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 연결부(23333)는 각각의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23331)의 단부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핀 내지 판 스프링의 탄성 변형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body 23331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 2331b is positioned inside to take a connectable structure, and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body connection part 23333 to connect the ends of the respectiv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bodies 23331 to be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to adopt an elastically deformable structure of a pin or a leaf spring.

이때,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 연결 가이드(23335)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 연결부(23333)와 연결되어 배치되는데,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 연결 가이드(23335)는 돌출 구조를 취하고, 월 패널 사이드부(213)에 형성되는 월 패널 사이드부 가이드 관통구(2334b)에 관통 노출 배치된다. 이와 같은 돌출 구조의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 연결 가이드(23335)가 월 패널 사이드부 가이드 관통구(23334b)에 노출되어,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23331)가 탄성 변형되는 경우 소정의 직선 가동 구조를 취하여 월 커넥터(230b)의 안정적인 위치 변동을 이룬다. At this time, the wall connector body-corresponding elastic body connection guide 23335 is disposed in connection with the wall connector body-corresponding elastic body connection part 23333, and the wall connector body-corresponding elastic body connection guide 23335 takes a protruding structure, and the wall panel side The wall panel side portion guide through hole 2334b formed in the portion 213 is disposed to be exposed through. When the wall connector body-corresponding elastic body connection guide 23335 of such a protruding structure is exposed to the wall panel side guide through-hole 23334b, and the wall connector body-corresponding elastic body 23331 is elastically deformed, a predetermined straight-line movable structure to achieve a stable positional change of the wall connector 230b.

도 13 및 도 14에는 각각 월 커넥터 바디(235b)의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2b)의 월 커넥터 바디 걸림 진입부(2351b)와,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부(2333b)의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23331)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2331b)가 맞닿아 진입하는 경우와, 그리고 월 커넥터 바디(235b)의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2b)의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와,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부(2333b)의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23331)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2331b)가 맞물림되어 위치 유지되는 경우의 작동 과정의 단면이 도시된다. 13 and 14, respectively,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1b of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2b of the wall connector body 235b and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body of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portion 2333b When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 2331b elastically supported by 23331 abuts and enters, and the wall connector body locking part 2353b of the wall connector body locking part 2352b of the wall connector body 235b) A cross section of the operation process when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 2331b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body 23331 of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part 2333b is engaged and maintained is shown.

도 13에서는 월 커넥터 바디 걸림 진입부(2351b)와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2331b)가 접촉하는 경우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23331)가 탄성 변형되어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 연결 가이드(23335)가 상호 근접하게 위치한다. In FIG. 13, when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1b and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 2331b come into contact,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body 23331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body connection guide 23335 is located close to each other.

도 14에서는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와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2331b)가 접촉하는 경우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23331)가 탄성 변형 상태는 양자의 접촉 상태에서 최소화되어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 바디 연결 가이드(23335)도 도 13에 도시된 경우보다 먼 거리를 형성한다. In FIG. 14 , when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and holding portion 2353b and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 2331b come into contact, the elastically deformed state of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body 23331 is minimized in the contact state of both, and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s to the wall connector body. The elastic body connection guide 23335 also forms a greater distance than the case shown in FIG. 13 .

상기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월 패널의 연결을 위한 월 커넥터는 돌출 맞물림 구조를 취한 경우를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월 커넥터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복수 개의 인접한 월 패널 간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 커넥터(230a)는 월 커넥터 마그네트(231a,233a)를 포함할 수 있는데, 월 커넥터 마그네트(231a,233a)는 월 패널 사이드부(213)와 인접하는 다른 월 패널의 월 패널 사이드부(231)에 배치되고 서로 맞물림 가능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wall connector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wall panels has a protruding engagement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but the wall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has various configurations within the range of facilitating contact between a plurality of adjacent wall panels. This is possible. That is, as shown in FIG. 11 , the wall connector 230a may include wall connector magnets 231a and 233a. It is disposed on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31 of the wall panel and engageable with each other.

월 커넥터 마그네트(231a,233a)는 각각의 월 패널의 월 패널 사이드(213)의 내측으로 사전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되 인접한 다른 패널과의 자기력을 통한 접촉을 위하여 극성을 달리하는 월 커넥터 마그네트(231a,233a)가 배치될 수 있고, 월 커넥터 마그네트(231a,233a)가 월 패널 사이드(213)의 길이를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The wall connector magnets 231a and 233a are disposed at a preset position inside the wall panel side 213 of each wall panel, and the wall connector magnets 231a having different polarities for contact through magnetic force with other adjacent panels; 233a) may be disposed, and the wall connector magnets 231a and 233a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length of the wall panel side 213 to tak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hem are disposed.

도 15 내지 도 22에는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유니트(10)를 설치 시공하는 과정 및 방법을 도시한다. 15 to 22 show the process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일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 시공 방법은, 레벨링 단계(SC1)와, 베이스부 설치 단계(SC10)와, 사이드 월부 설치 단계(SC20)와, 실링부 설치 단계(SC30)를 포함한다 First,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veling step (SC1), a base part installation step (SC10), a side wall part installation step (SC20), and a sealing part installation step (SC30) do

즉, 먼저 레벨링 단계(SC1)가 실행되는데, 레벨링 단계(SC1)에서는 건설 공간(W)의 바닥면의 수평 상태를 검사 및 보정한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F)을 갖는 작업 공간(W)이 제공되고 작업 공간(W)이 제공되고, 그런 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소정의 먹줄을 이용하여 바닥면(F)에 라인(B)을 형성하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수평계 등을 이용하여 작업 공간에서의 수평선(L)을 통하여 작업 라인을 측정 및 형성하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경우 스페이서(SP)를 이용하여 바닥의 평탄도를 확보할 수 있다. That is, first the leveling step SC1 is executed. In the leveling step SC1, the horizontal state of the floor surfac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is inspected and corrected. That is, as shown in FIG. 15 , a working space W having a bottom surface F is provided and a working space W is provided, and then, as shown in FIG. 16 , the operator uses a predetermined ink file to A line B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F, and a work line is measured and formed through a horizontal line L in the work space using a laser level, etc. as shown in FIG. 17, and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when unevenness of the floor surface occurs, the flatness of the floor may be secured by using the spacer SP.

그런 후 베이스부 설치 단계(SC10)가 실행되는데, 베이스부 설치 단계(SC10)에서 건설 공간(W)의 바닥면에 베이스부(100)을 설치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공간(W)의 바닥면(F)에 베이스부(100)를 먼저 설치한다. 베이스부(100)의 베이스 프레임(130)이 설치되고, 베이스 프레임(130)의 일면 상에 베이스 바디(110) 및 베이스 충진부(120)의 설치한다. 그리고, 베이스부 설치 단계(SC10)는 베이스부 설치 단계(SC10)를 포함하는데, 베이스 타일 설치 단계(SC11)에서 작업 시공자는 베이스 타일(150)을 베이스부(100)의 베이스 바디(110) 일면 상에 배치한다. Then, the base part installation step (SC10) is executed, and the base part 100 is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in the base part installation step (SC10). 19 and 20, the base part 100 is first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F of the working space W. As shown in FIG. The base frame 130 of the base part 100 is installed, and the base body 110 and the base filling part 120 are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rame 130 . And, the base part installation step (SC10) includes the base part installation step (SC10), in the base tile installation step (SC11), the construction worker installs the base tile 150 on the base body 110 of the base part 100 . place on top

한편, 베이스 바디(110)의 일면 상에 베이스 타일(150)이 설치되는데, 복수 개의 베이스 프레임(130) 및 베이스 바디(110)가 배치되는 경우 인접한 다른 베이스 바디(110)와의 사이에는 베이스 바디 연결부(170)를 통하여 베이스 바디(110) 간의 틈새를 메꾸어 바닥으로 인한 바닥면으로의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tile 150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body 110. When a plurality of base frames 130 and the base body 110 are disposed, a base body connection part is formed between the base body 110 and the other adjacent base body 110. By filling the gap between the base body 110 through 170,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leakage to the floor surface due to the floor.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는 전체가 사전 제작, 일부만이 사전 제작, 전체가 현장 제작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such as a structure in which the entire base part is pre-fabricated, only a part is pre-fabricated, and the entire base part is manufactured on-site.

그런 후 사이드 월부 설치 단계(SC20)가 실행되는데, 사이드 월부 설치 단계(SC20)에서 일단이 베이스부(100)의 외측에 안착 배치되고 베이스부(100)와 함께 욕실 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 월부(200)가 설치된다. 즉,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의 설치 이후 측부면으로의 사이드 월 부(200)가 설치된다. 사이드 월부는 월 충진부가 배치된 개별 월 패널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장착 구성은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한데, 월 패널(210)의 측부에 배치되는 월 패널 리브 가이드(215,217)의 월 패널 사이드 리브 가이드(217)간의 안정적인 접속 가이드 기능을 통하여 월 커넥터(230,230b)를 통하여 안정적인 연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Then, the side wall part installation step (SC20) is executed, and in the side wall part installation step (SC20), one end is seated and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base part 100 and the side wall part 200 forming a bathroom space together with the base part 100 ) is installed. That is, as shown in FIG. 21 , the side wall part 200 to the side surface is installe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base part 100 . In the side wall portion, individual wall panels on which the wall filling portion is disposed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and the mounting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but the wall panel side ribs of the wall panel rib guides 215 and 217 disposed on the side of the wall panel 210 . A stable connection structure may be formed through the wall connectors 230 and 230b through a stable connection guide function between the guides 217 .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이드 월부(200)의 월 패널(210)의, 건설 공간(W)이 구획하는 욕실 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 배치되는 월 패널 메인부(211)와, 적어도 일단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월 충진부(220)가 수용 배치되는 상기 월 패널 공간을 형성하는 월 패널 사이드부(213)와의 사이에 월 커넥터(230)를 통하여 복수의 월 패널(210)을 연결하는 월 커넥팅 단계(SC21)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ll panel main part 211 ex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hroom space partitioned by the construction space W of the wall panel 210 of the side wall part 200, and at least one end is bent. A wall connecting step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through a wall connector 230 with a wall panel side part 213 that is formed and forms the wall panel space in which the wall filling part 220 is accommodated. (SC21).

그런 후 실링부 설치 단계(SC30)가 실행되어 사이드 월부(200)의 상단 측에 안착 연결되는 실링부(300)가 설치된다. 즉,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 패널(210)이 배치된 후 상단 측에 실링부(300)가 배치되는데, 월 패널 어퍼 리브 가이드(215)를 통하여 실링부(3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도 안정적인 장착 지지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Then, the sealing part installation step (SC30) is executed to install the sealing part 300 that is seated and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part 200 . That is, as shown in FIG. 22 , the sealing part 3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fter the wall panel 210 is disposed, and each of the sealing parts 300 is configured through the wall panel upper rib guide 215 . The configuration may also form a stable mounting support structure.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사이드 월부(200)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은 사전 설계를 통하여 틈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월 패널(210) 간의 틈새를 통한 습기 내지 이물의 투입으로 인한 벽면 오염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더 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forming the side wall portion 200 may have a structure that minimizes gaps through a pre-designed structure, but moisture or foreign matter through the gaps between the wall panels 210 may take a structure. A structure that minimizes wall contamination due to input may be further taken.

즉,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월부(200)는 월 패널(210)이 형성하는 월 패널 공간에 배치되는 월 충진부(220)와,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을 연결하는 월 커넥터(230)를 포함하는데,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side wall part 200 includes the wall filling part 220 disposed in the wall panel space formed by the wall panel 210 and the wall connector 230 connecting the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 ), but a separat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월 패널(210)은 건설 공간(W)이 구획하는 욕실 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 배치되는 월 패널 메인부(211)와, 월 패널 메인부(211)의 적어도 일단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월 충진부(220)가 수용 배치되는 상기 월 패널 공간을 형성하는 월 패널 사이드부(213)와, 월 패널 메인부(211)의 다른 적어도 일측에 전개 배치되는 월 패널 리브 가이드(215,217)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 패널(210b)은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와,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219)를 포함한다.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와,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219)의 제조 공정은, 앞서 기술한 내용 중, 월 패널 메인부(211)의 외측에 연결되는 영역으로 월 패널 메인부(211)와 월 패널 사이드부(213)와의 사이 영역으로 이에 대한 별도의 절곡 공정이 필요하다. The wall panel 210 includes a wall panel main part 211 ex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hroom space partitioned by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bending at least one end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to form the wall filling part. It includes a wall panel side portion 213 forming the wall panel space in which 220 is accommodated, and wall panel rib guides 215 and 217 that are deployed and disposed on the other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wall panel 211,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23 , the wall panel 210b includes a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and a wall panel side extension counterpart 219 .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and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corresponding part 219 is an area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among the above-described contents,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It is a region between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and a separate bending process for this area.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은 월 패널 메인부(211b)의 일측에 월 패널 메인부(211b)와 연결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219)은 월 패널 메인부(211b)의 타측에 월 패널 메인부(211b)와 연결되어 외측으로 요홈 형성되고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을 맞물림 수용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is connected to the wall panel main part 211b on one side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b and protrudes outwardly, and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corresponding part 219 is the wall panel main part 211b. ) is connected to the main wall panel 211b on the other side, a groove is formed on the outside, and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is interlocked to accommodate the structure.

즉, 일측의 월 패널 사이드부(213) 측에는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이 연장 돌출 절곡 구조로 형성되고, 그리고 타측의 월 패널 사이드부(213) 측에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219)가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와,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219)는 서로 맞물림되는 구조를 취하여 틈새 경로의 극대화를 통한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최소화시킬 수 있어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외부로 건설 공간의 벽면 측에 습기로 인한 곰팡이 등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is formed in an extended, protruding and bent structure on the side of the wall panel side 213 on the one side, and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corresponding portion 219 is on the side of the wall panel side 213 on the other side. It is formed in a groove structure, and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and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counterpart 219 have a structure that engages with each other to prevent and minimize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by maximizing the gap path. It is possible to block and prevent mold, etc. from occurring due to moisture on the wall side of the construction space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또한, 경우에 따라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와,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219) 사이의 틈새를 통한 습기 유입을 최소화를 위하여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와,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219)의 사이에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실러(240)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some cases,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and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corresponding part ( A wall panel side extension sealer 240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219 .

즉,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과 인접한 다른 월 패널(210b)의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219) 사이에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실러(240)가 배치될 수 있는데,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실러(240)는 수분 침투를 최소화하도록 실리콘 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와,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219)가 강한 밀착 관계를 형성하는 경우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실러(240)의 가압 변형이 가능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That is,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sealer 2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and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counterpart 219 of another wall panel 210b adjacent thereto. )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e to minimize moisture penetration. Through such a structure, when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and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corresponding portion 219 form a strong close relationship, a structure in which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sealer 240 can be deformed by pressure may be adopted.

또한, 경우에 따라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와,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219)의 서로 마주하는 일면 사이에는 상호 위치 확인을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와,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219)에는 각각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확인부(237)와,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 확인부(238)가 형성되는데,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확인부(237)는 돌출 구조로, 그리고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 확인부(238)는 대응하는 요홈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some cases, a component for mutual positioning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and one surface of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counterpart 219 facing each other. That is, a wall panel side extension confirmation unit 237 and a wall panel side extension correspondence confirmation unit 238 are formed in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and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correspondence unit 219, respectively. The extension confirmation unit 237 may have a protruding structure, and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correspondence confirmation unit 238 may have a corresponding recessed structure, or may have opposite configurations, etc.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do.

월 패널이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 및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219)를 구비하는 경우, 앞서 기술된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의 일부 단계 세부 구체적 구성이 더 부가될 수도 있다. 즉, 시트 절곡 단계(S15)에서 금속 시트를 절곡하는데, 시트 절곡 단계(S15)는 월 패널 메인부 절곡 단계(S151)를 포함하고 월 패널 메인부 절곡 단계(S151)에서 적어도 건설 공간(W)이 구획하는 욕실 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 배치되는 월 패널 메인부(211)가 형성된다. When the wall panel is provided with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and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counterpart 219, some step details of the above-described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may be further added. That is, the metal sheet is bent in the sheet bending step S15, wherein the sheet bending step S15 includes the wall panel main part bending step S151 and at least the construction space W in the wall panel main part bending step S151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exposed toward the inside of this partitioning bathroom space is formed.

그 밖에 시트 절곡 단계(S15)는 월 패널 사이드부 절곡 단계(S153)와, 월 패널 리브 가이드부 절곡 단계(S155)를 더 포함하고, 월 패널 사이드부 절곡 단계(S153)는 금속 시트를 절곡하여, 적어도 건설 공간(W)이 구획하는 욕실 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 배치되는 월 패널 메인부(211)를 형성하도록 하고, 월 패널 리브 가이드부 절곡 단계(S155)에서 월 패널 메인부(211)의 적어도 일단에 절곡 형성되어 월 충진부(220)가 수용 배치되는 상기 월 패널 공간을 형성하는 월 패널 사이드부(213)와, 월 패널 메인부(211)의 다른 적어도 일측에 전개 배치되는 월 패널 리브 가이드(215,217)를 형성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heet bending step (S15) further includes a wall panel side part bending step (S153) and a wall panel rib guide part bending step (S155), and the wall panel side part bending step (S153) is performed by bending the metal sheet. , to form at least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ex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hroom space partitioned by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in the wall panel rib guide part bending step (S155)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is bent at least at one end to form the wall panel space in which the wall filling part 220 is accommodated, and the wall panel rib is deploy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 A structure for forming the guides 215 and 217 may be adopted.

이때,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절곡 단계(S157)와,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 절곡 단계(S159)가 시트 절곡 단계(S15)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절곡 단계(S157)에서 월 패널 메인부(211)의 월 패널 사이드부(213)의 양측 중 일측에 인접한 다른 월 패널(210)과 중첩 영역을 형성하는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가 형성되고,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 절곡 단계(S159)에서 월 패널 메인부(211)의 월 패널 사이드부(213)의 양측 중 일측에 인접한 다른 월 패널(210)과 중첩 영역을 형성하는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을 안착시키는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219)를 형성하는 단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tep of bending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 S157 ) and the step of bending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corresponding portion ( S159 )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step of bending the sheet ( S15 ). In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bending step (S157),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forms an overlapping area with the other wall panel 210 adjacent to one of both sides of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is formed and forms an overlapping area with another wall panel 210 adjacent to one of both sides of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of the wall panel main portion 211 in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corresponding portion bending step (S159) The step of forming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corresponding portion 219 on which the panel side extension 218 is seated may be further included.

또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 기술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의 외측에는 사이드 월부(200)를 수용하는 베이스 장착 가이드(140)가 구비되는데, 베이스 장착 가이드(140)는 별개물이 아닌 베이스 바디(110)에 일체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의 외측에 베이스 장착 가이드(140)가 형성되는데, 베이스 장착 가이드(140)는 베이스 장착 가이드 바디(141)와 베이스 장착 가이드 홈(143)을 포함한다. 베이스 장착 가이드(140)의 베이스 장착 가이드 바디(141)는 베이스 바디(110)의 외곽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베이스 장착 가이드 홈(143)은 베이스 장착 가이드 바디(141)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는데, 베이스 장착 가이드 홈(143)에 월 충진부(220)가 충진된 월 패널(210)의 하단이 수용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outside of the bas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base mounting guide 140 for accommodating the side wall portion 200, the base mounting guide 140 is not a separate entity. It may take a structu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body 110 . 25 and 26, the base mounting guide 14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ase body 110, the base mounting guide 140 is the base mounting guide body 141 and the base mounting guide groove 143 ) is included. The base mounting guide body 141 of the base mounting guide 140 is integrally formed extending from the outside of the base body 110 , and the base mounting guide groove 143 is formed as a space partitioned by the base mounting guide body 141 . However, the lower end of the wall panel 210 in which the wall filling part 220 is filled in the base mounting guide groove 143 is arranged to be accommodated.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어퍼 바디(111)의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는 사전 설정된 경사도(θ, 도 26 참조)로 형성되어 평활 경사도를 갖는 바닥면을 형성 가능하게 하여 물고임 등을 방지할 수 있는데, 베이스 어퍼 바디(111)의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의 외측에는 베이스 어퍼 바디 사이드(1116,1117)가 배치되고, 베이스 어퍼 바디 사이드(1116,1117)의 적어도 일부는 사변형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117의 베이스 어퍼 바디 사이드(1117)의 일단의 높이는 도면 부호 h1로, 타단의 높이는 도면 부호 h2로 지시될 때, 베이스 어퍼 바디 사이드(1117)의 단부 높이차는 h2-h1의 관계가 형성되어 사변형 구조를 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ase upper main body 1111 of the base upper body 111 is formed with a preset inclination (θ, see FIG. 26) to enable the formation of a bottom surface having a smooth inclination to prevent puddles, etc. It can be done, the base upper body sides 1116 and 1117 ar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base upper main body 1111 of the base upper body 111, and at least some of the base upper body sides 1116 and 1117 have a quadrilateral structure. can take As shown in FIG. 26 , when the height of one end of the base upper body side 1117 of reference numeral 1117 is indicated by the reference symbol h1 and the height of the other end i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ber h2,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end of the base upper body side 1117 is A relationship of h2-h1 may be formed to take a quadrilateral structure.

다만, 본 실시예에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 어퍼 바디 사이드(1117)의 외측의 베이스 장착 가이드 바디(141)가 이루는 베이스 장착 가이드 홈(143)의 내부 저면에는 수평을 맞추기 위한 바닥면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However, although not clearly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ase mounting guide groove 143 formed by the base mounting guide body 141 on the outside of the base upper body side 1117 has a bottom surface for leveling More may be provided.

앞선 실시예들에서 베이스 장착 가이드(140)는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 측의 외측에 별개물 내지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본 발명의 베이스 장착 가이드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base mounting guide 140 has a structure that is formed to be separate or extended on the outside of the base upper main body 1111 side, but the base mounting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

즉,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어퍼 바디 사이드(1116,1117)의 일부가 베이스 장착 가이드 바디 절단부(142a)가 부분 절단되고, 부분 절단된 부위의 일부가 절곡되어 외측으로 연장 전개되고 부분 절곡되는 베이스 장착 가이드 바디(141a)가 'L'자형 앵글 구조를 형성하여 내측에 베이스 장착 가이드 홈(143a)이 형성되고, 베이스 장착 가이드 바디(141a)의 일측에 베이스 패널 체결 장착부(167)가 형성되고, 베이스 장착 가이드 바디(141a)가 이루는 베이스 장착 가이드 홈(143a)의 월 패널(210)이 장착되어 안정적인 위치 유지 설치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27 , a portion of the base upper body side 1116 and 1117 is partially cut by the base mounting guide body cut portion 142a, and a portion of the partially cut portion is bent to extend outwardly, and a portion The bent base mounting guide body 141a forms an 'L'-shaped angle structure so that the base mounting guide groove 143a is formed on the inside, and the base panel fastening mounting part 167 is on one side of the base mounting guide body 141a. is formed, and the wall panel 210 of the base mounting guide groove 143a formed by the base mounting guide body 141a is mounted to form a stable position maintenance installation structure.

한편, 월 패널(210) 및 월 충진부(220)의 사이드 월 부(200)는 베이스 장착 가이드(140)에 배치되고 끼워 맞춤되어 위치 안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별도의 베이스 패널 체결부(160)가 더 구비될 수도 있고, 위치 고정을 위하여 별도의 체결 부재를 통하여 위치 고정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ide wall part 200 of the wall panel 210 and the wall filling part 2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ide wall part 200 is disposed on the base mounting guide 140 and is fitted and seated, and in some cases, a separate base panel The fastening part 160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e position may be fixed through a separate fastening member for position fixation.

즉, 경우에 따라 베이스 장착 가이드(140)의 외측에 추가적인 베이스 패널 체결부(160)를 통하여 측부 및 하부로부터의 체결 강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베이스 패널 체결부(160)는 베이스 패널 체결 볼트(161), 베이스 패널 체결 앵글(163) 그리고 베이스 패널 체결 와셔(165)를 포함한다. That is, in some cases, a fastening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ase mounting guide 140 through an additional base panel fastening part 160 from the side and the lower part, and the base panel fastening part 160 is a base panel fastening bolt. 161 , a base panel fastening angle 163 and a base panel fastening washer 165 .

베이스 패널 체결 앵글(163)는 본 실시예에서 'L'자 앵글로 구성되고, 베이스 패널 장착 가이드(140)의 베이스 패널 장착 가이드 바디(141)에 베이스 패널 체결 장착부(167)가 형성되고, 베이스 패널 체결 볼트(161)가 베이스 패널 체결 앵글(163) 및 월 패널(210)의 하단을 관통하여 베이스 바디(110) 측에 위치 고정되어 장착되되 베이스 패널 체결 앵글(163) 및 월 패널(210) 및/또는 베이스 바디(110)와의 사이에 베이스 패널 체결 와셔(165)가 더 배치되는 구조를 통하여 베이스 패널 장착 가이드 바디(141)에 형성되는 베이스 패널 체결 장착구(167)에 맞물림 체결되어, 월 패널(210) 및 월 충진부(220)의 사이드 월 부(200)가 베이스 장착 가이드(140)에 배치되고, 월 패널(210)의 적어도 일부를 측부 및 하부에서 관통하여 위치 장착되는 구조를 통하여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이루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The base panel fastening angle 163 is configured as an 'L' angle in this embodiment, and the base panel fastening mounting part 167 is formed on the base panel mounting guide body 141 of the base panel mounting guide 140, and the base The panel fastening bolt 161 passe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base panel fastening angle 163 and the wall panel 210 to be fixedly positioned on the base body 110 side, and the base panel fastening angle 163 and the wall panel 210 are mounted. And / or the base panel fastening washer 165 is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base body 110 and the base panel fastening guide body 141 through a structure that is engaged with the base panel fastening fixture 167 formed in the body, the wall The side wall part 200 of the panel 210 and the wall filling part 220 is disposed on the base mounting guide 140, and through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wall panel 210 is penetrated from the side and the bottom to be positioned and mounted. It can also take a structure that makes a stable position fixation.

또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유니트(100)는 월 패널 유틸리티 디바이스(4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월 패널 유틸리티 디바이스(400)는 사이드 월부(200)에 장착 가능한데, 월 패널 유틸리티 디바이스(400)는 금속 시트로 형성되는 월 패널(210)에 자기력을 통한 부착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월 패널(210)의 금속 시트는 강자성체로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의 월 패널(210)은 스테인레스 스틸재로 구성되고, 월 패널 유틸리티 디바이스(400)는 자성체를 구비하여 월 패널 유틸리티 디바이스(400)가 월 패널(210)에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고 위치 선정이 자유도를 증진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인테리어 코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ll panel utility device (400). That is, the wall panel utility device 400 can be mounted on the side wall part 200 , and the wall panel utility device 400 may form an attachment structure to the wall panel 210 formed of a metal sheet through magnetic force. That is, the metal sheet of the wall panel 210 is form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In this embodiment, the wall panel 210 is made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and the wall panel utility device 400 includes a magnetic material to provide a wall panel utility device. 400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wall panel 210, and the degree of freedom in location selection can be increased to enable a user's desired interior coordin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월 패널 유틸리티 디바이스(400)는 유틸리티 디바이스 마그네트(420)와, 유틸리티 디바이스 바디(410)를 포함하는데, 유틸리티 디바이스 마그네트(420)는 자기력을 형성하고, 유틸리티 디바이스 바디(410)는 유틸리티 디바이스 마그네트(420)를 수용 가능하다. 유틸리티 디바이스 바디(410)는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바디(411)와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홀더(413)와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홀더 커버(415)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wall panel utility device 400 includes a utility device magnet 420 and a utility device body 410, the utility device magnet 420 forms a magnetic force, and the utility device body 410 is a utility device A magnet 420 can be accommodated. The utility device body 410 includes a utility device main body 411 , a utility device main holder 413 , and a utility device main holder cover 415 .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바디(411)는 본 시예에서 수건 걸이 등의 바아 구성요소로 구현되는데,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홀더(413)는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바디(411)의 단부에 형성되고,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홀더 커버(415)는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홀더(413)와 맞물린다. The utility device main body 411 is implemented as a bar component such as a towel rack in this embodiment. The utility device main holder 413 is formed at an end of the utility device main body 411, and the utility device main holder cover 415 ) engages the utility device main holder 413 .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홀더(413)의 하단에는 홀더 마그네트 배치부(4131)가 형성되고,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홀더 커버(415)의 일면 상에는 커버 마그네트 배치부(4151)가 형성되고, 홀더 마그네트 배치부(4131) 및 커버 마그네트 배치부(4151)가 형성하는 공간에 유틸리티 디바이스 마그네트(420)가 위치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더 마그네트 배치부(4131) 및 커버 마그네트 배치부(4151)가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유틸리티 디바이스 마그네트(420)의 자기력을 통하여 유틸리티 디바이스 바디(410)가 월 패널(210)에 장착 위치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위치 선정의 배치가 가능하다. A holder magnet arrangement 413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tility device main holder 413 , and a cover magnet arrangement 415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utility device main holder cover 415 , and the holder magnet arrangement 4131 . And the utility device magnet 420 may be position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cover magnet arrangement 4151 . As described above, the utility device body 410 is mounted on the wall panel 210 through the magnetic force of the utility device magnet 420 dispos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holder magnet arrangement 4131 and the cover magnet arrangement 4151 . It is possible to arrange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도 29의 일시예에서는 월 패널 유틸리티 디바이스(400)이 수건 걸이로 구현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월 패널 유틸리티 디바이스(400)은 이에 국한되지 dskg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 패널 유틸리티 디바이스(400a)는 유틸리티 디바이스 마그네트(420a)와, 유틸리티 디바이스 바디(410a)를 포함하는데, 유틸리티 디바이스 마그네트(420a)는 자기력을 형성하고, 유틸리티 디바이스 바디(410a)는 유틸리티 디바이스 마그네트(420a)를 수용 가능하다. 유틸리티 디바이스 바디(410a)는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바디(411a)와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홀더(413a)와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홀더 커버(415a)를 포함한다. 29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wall panel utility device 400 is implemented as a towel rack, the wall panel utility device 4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hat is, as shown in FIG. 30 , the wall panel utility device 400a includes a utility device magnet 420a and a utility device body 410a, wherein the utility device magnet 420a forms a magnetic force, and the utility device body 410a is capable of receiving a utility device magnet 420a. The utility device body 410a includes a utility device main body 411a, a utility device main holder 413a, and a utility device main holder cover 415a.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바디(411a)는 본 시예에서 수건 걸이 등의 바아 구성요소로 구현되는데,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홀더(413a)는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바디(411a)의 단부에 형성되고,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홀더 커버(415a)는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홀더(413a)와 맞물린다. The utility device main body 411a is implemented as a bar component such as a towel rack in this embodiment. The utility device main holder 413a is formed at an end of the utility device main body 411a, and the utility device main holder cover 415a ) is engaged with the utility device main holder 413a.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홀더(413a)와 유틸리티 디바이스 메인 홀더 커버(415a)가 이루는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유틸리티 디바이스 마그네트(420a)가 위치 배치될 수 있다. 내부에 배치되는 유틸리티 디바이스 마그네트(420a)의 자기력을 통하여 유틸리티 디바이스 바디(410a)가 월 패널(210)에 장착 위치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위치 선정의 배치가 가능하다.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utility device main holder 413a and the utility device main holder cover 415a , and the utility device magnet 420a may be positioned in this space. Through the magnetic force of the utility device magnet 420a disposed therei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utility device body 410a on the wall panel 210 can be arranged in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또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월 패널의 제조에 사용자의 취향이 반영된 커스터마이징되는 디자인 패턴을 제공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have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may take

즉,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에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설 공간(W)의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00)와, 건설 공간(W)의 측면으로 일단은 베이스부(100) 측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을 구비하는 사이드 월부(200)와, 사이드 월부(200)의 타단 측에 배치되는 실링부(300)를 포함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방법으로 패널 제공 단계(SP1)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제공 단계(SP1)에서는 월 패널(210)이 제공된다. 패널 제공 단계(SP1)는 단수 원장의 단일 금속 시트를 제공하는 시트 제공 단계(SP11)를 포함하는데, 시트 제공 단계(SP11)에서 프린트 구성요소의 제공 및 제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시트 제공 단계(SP11)는 시트 프린팅 시스템 제공 단계(SP1000)와 시트 프린팅 시스템 제어 단계(SP1100)를 포함한다.That 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art 100 is arranged on the floor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one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is connected to the base part 100 side. A panel providing step (SP1) in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a side wall part 200 having a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to be formed, and a sealing part 300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side wall part 200 may include In the panel providing step SP1 , the wall panel 210 is provided. The panel providing step SP1 includes a sheet providing step SP11 of providing a single metal sheet of a singular ledger, in which the sheet providing step SP11 provides a print component and a control operation may be performed. That is, the sheet providing step SP11 includes a sheet printing system providing step SP1000 and a sheet printing system control step SP1100.

먼저, 시트 프린팅 시스템 제공 단계(SP1000)가 실행되는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이미지를 프린팅하는 프린팅 시스템(1000)이 제공된다. 프린팅 시스템(1000)은 고객 단말기(3), 매장 단말기(2), 서버(4), 공정 단말기(5), 공정 출력기(6)를 포함한다. First, the sheet printing system providing step SP1000 is executed, and the printing system 1000 for printing an image selected by the user is provided. The printing system 1000 includes a customer terminal 3 , a store terminal 2 , a server 4 , a process terminal 5 , and a process output machine 6 .

여기서, 본 발명의 고객 단말기(3)는 별도의 전용 단말기일 수도 있으나, 스마트폰과 같이 전용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가능한 고객 소유 단말기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웹페이지 등을 통하여 서버(4)에 접속 가능한 PC 단말기, 노트북 단말기, 태블릿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고객 단말기(3)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의 고객 정보 및 사용자가 월 패널에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 정보를 송출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 고객 정보는 사용자의 개별 인식이 가능한 정보로서, 개인 정보 보호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구체적인 설계 사양마다 개별 취사될 수 있거나 경우에 따라 별도의 개인 비식별화 과정이 탑재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Here, the customer terminal 3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eparate dedicated terminal, but may be a customer-owned terminal capable of installing a dedicated application such as a smart phone, and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server 4 through a web page, etc. Various choices are possible, such as being implemented as a PC terminal, a notebook terminal, or a tablet. The customer terminal 3 can transmit customer information of the user and image information that the user wants to display on the wall panel through the installed application. Here, the user custom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can be individually recognized by the user, and may be individually cooked for each specific design specification in consideration of factor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r may take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parate personal de-identification process is mounted in some cases.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또한, 여기서 사용자의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가 고객 단말기(3)에서 서버(4)로 전송될 수 있는데, 사용자의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가 보유한 이미지 정보를 지칭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는 고객 단말기(3)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고객 단말기(3)가 별도의 광학 입력부, 즉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 취득되는 촬용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고객 단말기(3)는 단말 입력부(3-3)를 포함하는데, 단말 입력부(3-3)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입력 가능한 단말 카메라를 포함한다. Also, here, the user's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the customer terminal 3 to the server 4, and the user's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refers to image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user. The user's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includes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customer terminal 3 , and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photographed image captured by the customer terminal 3 through a separate optical input unit, that is, a camera. That is, the customer terminal 3 includes a terminal input unit 3-3, and the terminal input unit 3-3 includes a terminal camera capable of inputting user image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고객 단말기(3)는 단말 제어부(3-1)와, 단말 입력부(3-3)와, 단말 출력부(3-5)와, 단말 통신부(3-7)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ustomer terminal 3 includes a terminal control unit 3-1, a terminal input unit 3-3, a terminal output unit 3-5, and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3-7.

단말 입력부(3-3)는 고객 단말기(3)를 통하여 사용자의 고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스마트폰 내지 태블릿 내지 노트북 등으로 구현되는 고객 단말기(3)의 경우 터치 입력 가능한 터치 입력부로 구현될 수 있고, 고객 단말기(3)의 단말 출력부(3-5)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는데, 단말 입력부(3-3)와 단말 출력부(3-5)는 터치 스크린과 같이 일체화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terminal input unit 3-3 i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customer information of a user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3, and in the case of a customer terminal 3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tablet, or notebook computer, it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input unit capable of touch input. In addition, the terminal output unit 3-5 of the customer terminal 3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and the terminal input unit 3-3 and the terminal output unit 3-5 ar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module like a touch screen. it might be

단말 입력부(3-3)는 키보드 등의 정보 입력 수단이 있을 수도 있고, 음성 정보 및 음향 정보를 입력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사용자가 입력한 음향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시각적 이미지화로 전환시켜 도출된 이미지 정보가 이용 선택될 수도 있고,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입력부(3-3)는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입력 가능한 단말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terminal input unit 3-3 may include an information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and may include a microphone for inputting voic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It collects the sound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converts it into a visual image. The derived image information may be used and selected, and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input unit 3-3 may include a terminal camera capable of inputting image information of a user.

단말 출력부(3-5)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단말 광학 출력부(3-51)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terminal output unit 3-51 may include a terminal optical output unit 3-51 such as a display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단말 통신부(3-7)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4)와 통신 가능한 단말 서버 통신부(3-71)를 포함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 단말기(2)와 통신하기 위한 단말기 매장 통신부(3-73)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기 매장 통신부(3-73)는 단말 매장 무선 근거리 통신부 내지 단말 매장 유선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단말 매장 무선 근거리 통신부로 구현되는 경우 와이파이 다이렉트 내지 블루투스 등 무선 통신 프로토콜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는 등 사용자의 고객 정보 및 사용자의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를 전달 가능한 범위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3-7 may include a terminal server communication unit 3-71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4 through a network, and in some cases, a terminal store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tore terminal 2 of an offline store. (3-73) may be included. The terminal store communication unit 3-73 may include a terminal store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or a terminal store wired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and when implemented as a terminal store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method such as Wi-Fi Direct or Bluetooth may be used. Various selec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range that can deliver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user's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단말 제어부(3-1)는 단말 입력부(3-3) 및 단말 통신부(3-7) 및 단말 출력부(3-5)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이들에 입력 제어 신호 내지 통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단말 제어부(3-1)의 제어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 고객 정보 및 사용자가 보유한 고객 셀렉션 이미지 데이터 등을 수신하고 출력 제어할 수 있다. The terminal control unit 3-1 establishes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input unit 3-3,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3-7, and the terminal output unit 3-5, and applies an input control signal or a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to them.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s controlled, and through the control process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3-1, user customer information and customer selection image data possessed by the user may be received and output controlled.

매장 단말기(2)는 매장 단말 제어부(2-1)와, 매장 단말 입력부(2-3)와, 매장 단말 출력부(2-5)와, 매장 단말 통신부(2-7)를 포함하며, 기능은 앞서 기술한 고객 단말기의 구성과 동일 내지 유사하며, 매장 단말 통신부(2-7)는 고객 단말기(3)의 단말 통신부(3-7) 및 서버(4) 측의 서버 통신부(4-5) 측과 통신하여 신호 송수신을 이룰 수 있다. The store terminal 2 includes a store terminal control unit 2-1, a store terminal input unit 2-3, a store terminal output unit 2-5, and a stor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7, and has a function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ustomer terminal described above, and the stor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7 includes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3-7 of the customer terminal 3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4-5 on the server 4 sid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be achieved by communicating with the side.

서버(4)는 월 패널 및 월 패널에 프린팅 인쇄될 이미지 패턴 정보 관련 데이터와 사용자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가 저장, 이용 및 송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서버(4)는 고객 단말기(3) 내지 매장 단말기(2)로부터의 고객 정보 및 고객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고객 데이터 내지 디자인 패턴 정보를 송출 가능하고, 하기되는 복수의 연산을 통한 이미지 학습으로 사용자에게 인공 지능 내지 머신 러닝을 통하여 추천 학습된 이미지 패턴 정보를 전송, 송출할 수도 있다. The server 4 may store, use, and transmit/receive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user-related data and data related to image pattern information to be printed and printed on the wall panel and the wall panel. The server 4 in this embodiment can transmit customer data or design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response to customer information and customer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3 to the store terminal 2, and through a plurality of operations described below Through image learning,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nd transmit image pattern information recommended and learn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or machine learning to the user.

서버(4)는 서버 통신부(4-5)와, 서버 저장부(4-3)와, 서버 제어부(4-1)를 포함한다. 서버 통신부(4-5)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고객 단말기(3)와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고객 단말기(3)도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 통신부(3-7)를 포함하고 단말기 통신부(3-7)는 서버(4)와 통신하는데, 서버(4)의 서버 통신부(4-5)가 단말기 통신부(3-7)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고객 단말기(3)와 송수신한다. 서버(4)의 서버 통신부(4-5)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본 발명에 소요되는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 사용자 I/F, 운영체제(미도시) 및 각종 필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통신포트, 인쇄장치 I/F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이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의 집합체 형태로 독자적인 기기나 범용 처리장치의 일부로 구현될 수도 있고, 여기서 사용되는 통신, 통신망 내지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어 LTE, LTE-A, 5G, WCDMA, CDMA, UMTS, Wibro, GS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통신 유형을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Metropolitan Area Network_, 광역 통신망(WAN;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통신, 통신망, 통신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World Wide Web)일 수도 있고,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내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energy)와 RF 무선 통신을 다양한 통신 방법을 포함한다.The server 4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4-5, a server storage unit 4-3, and a server control unit 4-1.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4-5 transmits/receives to and from the customer terminal 3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ustomer terminal 3 in this embodiment also includes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3-7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3-7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4,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 4-5) transmits/receives to and from the customer terminal 3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3-7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4-5 of the server 4 executes various software programs and/or instruction sets stored in the memory unit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requi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 central processing unit, a user I/F, Hardware including an operating system (not shown) and memory for storing various necessary data, external communication port, printing device I/F, etc., and software that drives it, may be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device or part of a general-purpose processing device, Th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or communication network used herein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LTE, LTE-A, 5G, WCDMA, CDMA, UMTS, Wibro, and GSM as a cellular communication protocol, and a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configured regardless of communication types such as wired and wireless, and may include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_,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etc.,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an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s, and communication networks may be known World Wide Web (WWW), infrare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or Bluetooth (Bluetooth) or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include Bluetooth Lowenergy and RF wireless communication.

서버 저장부(4-3)는 서버 통신부(4-5)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서버 제어부(4-1)는 서버 통신부(4-5) 및 서버 저장부(4-3)를 제어한다. 서버 제어부(4-1)는 고객 단말기(3)로부터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와 고객 정보, 고객 ID 와 연계된 고객 정보와 빅데이터에 기반한 디자인 패턴 추천 이미지를 형성할 수도 있다. The server storage unit 4-3 stores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4-5, and the server control unit 4-1 controls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4-5 and the server storage unit 4-3. do. The server control unit 4-1 may form a design pattern recommendation image based on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customer information, customer information linked to customer ID, and big data from the customer terminal 3 .

서버 제어부(4-1)는 서버 통신부(4-5) 및 서버 저장부(4-3)를 제어하는데 서버 제어부(4-11)는 서버 통신부(4-1)에 서버 통신 제어 신호를 그리고 서버 저장부(4-3)에 서버 저장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각각의 모듈의 동작 제어를 실행한다. The server control unit 4-1 controls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4-5 and the server storage unit 4-3, and the server control unit 4-11 sends a server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4-1 and the server By applying a server storage control signal to the storage unit 4-3, the operation control of each module is executed.

또한, 서버(4)의 서버 제어부(4-1)의 통신 제어 신호에 다라 서버 통신부(4-5)를 통하여 공정 단말기(5)와 통신을 이루는데, 공정 단말기(5)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고, 공정 단말기(5)는 공정 출력기(6)에 프린팅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수신된 프린팅 제어 신호에 따라 공정 출력기(6)가 소정의 이미지 프린팅을 실행하여 월 패널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 시트(210a, 도 31 참조)의 일면 상에 이미지 프린팅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response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of the server control unit 4-1 of the server 4, communication is made with the process terminal 5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4-5, and the process terminal 5 and the network are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The process terminal 5 applies a printing control signal to the process output device 6, and the process output device 6 executes predetermined image printing according to the received printing control signal to form a metal sheet ( 210a (refer to FIG. 31), it is possible to print an image on one surface.

그런 후, 프린팅 시스템(1000)이 제공된 후 시트 프린팅 시스템 제어 단계(SP1100)가 실행되는데, 프린팅 시스템(1000)을 통하여 단일 금속 시트에 사용자 선택 이미지를 프린팅 제어한다. Then, after the printing system 1000 is provided, the sheet printing system control step SP1100 is executed, and the printing system 1000 controls the printing of a user-selected image on a single metal sheet.

보다 구체적으로, 시트 프린팅 시스템 제어 단계(SP1100)는 고객 확인 단계(S1)와, 고객 셀렉션 단계(40a)와, 고객 컨트랙트 출력 단계(S99)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sheet printing system control step (SP1100) includes a customer confirmation step (S1), a customer selection step (40a), and a customer contract output step (S99).

먼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확인 단계(S1)에서 고객 단말기(3)를 통하여 고객 정보가 전달 및 확인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객 단말기(3)를 구비한 고객이 매장에 방문하는 경우로 기술되었으나, 고객 단말기(3)는 컴퓨터 등으로 대체되어 외부에서의 접속을 통한 실행도 가능하며, 이 경우 매장 단말기와 서버는 일체 구성을 이루는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에에서는 도 32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First, as shown in FIG. 32 , custom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confirmed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3 in the customer confirmation step S1 . In this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as a case in which a customer having a customer terminal 3 visits a store, but the customer terminal 3 is replaced with a computer, etc., and execution through external connection is also possible. In this case, the store terminal and The server may be modified to form an integral configuration,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2 .

고객 확인 단계(S1)가 실행된 후, 고객 셀렉션 단계(40a)가 실행되는데, 고객 셀렉션 단계(S40a)에서 고객에 의하여 금속 시트에 인쇄할 고객 셀렉션 이미지가 선택될 수 있다. 고객 셀렉션 단계(40a)가 완료된 후, 고객 컨트랙트 출력 단계(S99)가 실행되는데, 고객 컨트랙트 출력 단계(S99)에서는 고객이 선택하는 고객 셀렉션 이미지가 금속 시트에 직접 프린팅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After the customer confirmation step S1 is executed, the customer selection step 40a is executed, in which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to be printed on the metal sheet may be selected by the customer in the customer selection step S40a. After the customer selection step 40a is completed, the customer contract output step S99 is executed. In the customer contract output step S99,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selected by the customer can be directly printed on the metal sheet.

보다 구체적으로, 고객 확인 단계(S1)는 고객 정보 전달 단계(S2)와, 고객 ID 인증 데이터 요청 단계(S1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ustomer confirmation step (S1) includes a customer information delivery step (S2) and a customer ID authentication data request step (S10).

고객 정보 전달 단계(S2)에서 고객 단말기(3)의 단말 제어부(3-1)는 단말 통신부(3-7)를 통하여 고객 단말기(3)로부터 사용자의 고객 정보를 매장 단말기(2)로 전달한다. 그런 후, 고객 정보를 수신한 매장 단말기(2)는 고객 정보를 서버(4)로 전달한다. 즉, 고객 ID 인증 데이터 요청 단계(S10)를 실행하여 매장 단말기(2)에서 사용자의 고객 정보를 서버(4)로 전달하여 고객 인증을 요청한다.In the customer information transfer step S2 , the terminal control unit 3-1 of the customer terminal 3 transmits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customer terminal 3 to the store terminal 2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3-7. . Then, the store terminal 2 receiving the customer information transmits the customer information to the server 4 . That is, by executing the customer ID authentication data request step (S10), the store terminal 2 transmits the user's customer information to the server 4 to request customer authentication.

고객 ID 인증 데이터 요청 단계(S10)가 실행된 후 고객 ID 확인 단계(S20)가 실행되는데, 서버(4)가 입력된 사용자의 고객 정보와 서버(4)에 저장된 고객 ID 정보를 비교하여 고객 여부를 확인한다. After the customer ID authentication data request step (S10) is executed, the customer ID verification step (S20) is executed, the server 4 compares the input user's customer information with the customer ID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4 to determine whether the customer check

그런 후, 고객 ID 확인 단계(S20)에서 확인된 고객 ID에 대한 고객 데이터를 매장 단말기(2)로 전달하는 고객 데이터 전달 단계(S30)가 실행된다. 고객 데이터에는 고객에 대하여 서버(4)의 서버 저장부 측에 저장된 고객 관련 사항 및 고객 데이터 및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고객 데이터에 포함된 취향 정보와 서버(4)에서의 빅데이터 및 머신 러닝을 통하여 얻어지는 추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n, the customer data transfer step (S30) of transferring the customer data for the customer ID confirmed in the customer ID confirmation step (S20) to the store terminal 2 is executed. Customer data includes customer-related matters stored on the server storage side of the server 4 for customers, and preference information included in customer data based on customer data and big data, and big data and machine learning in the server 4 The obtained recommendation imag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그런 후 고객에 의하여 금속 시트에 인쇄할 고객 셀렉션 이미지가 선택되는 고객 셀렉션 단계(40a)가 실행되는데, 고객 셀렉션 단계(40a)는 서버(4)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추천 디자인 패턴을 제공하는 디자인 패턴 추천 단계(S40)를 포함한다. 디자인 패턴 추천 단계(S40)에서 추천 디자인 패턴이 제공되어 고객의 선택 폭을 확장시키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Then, the customer selection step 40a is executed in which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to be printed on the metal sheet is selected by the customer, and the customer selection step 40a is a recommendation calculated using the user's custom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4 . and a design pattern recommendation step (S40) of providing a design pattern. In the design pattern recommendation step ( S40 ), the recommended design pattern is provid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that expands the selection range of the customer.

보다 구체적으로, 고객 셀렉션 단계(40a)는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 제공 단계(S41)와, 고객 셀렉션 정보 입력 단계(S50)와,고객 셀렉션 모델링 단계(S70)와, 고객 셀렉션 모델링 정보 전달(S80)와, 고객 셀렉션 모델링 디스플레이 단계(S9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ustomer selection step (40a) includes a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tep (S41), a customer selection information input step (S50), a customer selection modeling step (S70), and a customer selection modeling information delivery (S80) and , including a customer selection modeling display step (S90).

먼저,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 제공 단계(S41)에서는 고객 단말기(30)에서 매장 단말기(2) 측으로 고객이 선택한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가 제공된다. First, in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providing step (S41),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customer is provided from the customer terminal 30 to the store terminal 2 side.

그런 후, 고객 셀렉션 정보 입력 단계(S50)가 실행되는데, 매장 단말기(2)는 수신한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를 입력 저장하고, 이때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는 추천된 추천 디자인 패턴 중에 고객이 선택한 이미지일 수도 있고,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고객이 직접 소지한 고객 셀렉션 이미지일 수도 있고, 현장에서 즉성에서 얻어지는 등의 이미지일 수도 있고, 음향 감지를 통하여 이미지 전환된 패턴일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n, the customer selection information input step (S50) is executed, the store terminal 2 inputs and stores the received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wherein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may be an image selected by the customer from among the recommended recommended design patterns. And,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a customer selection image possessed by the customer directly, an image obtained on-site, etc., or a pattern converted to an image through sound sensing, etc. Various modifications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This is possible.

그런 후,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를 서버(4)로 전달하는 고객 셀렉션 정보 전달 단계(S60)를 실행되어, 서버(4)는 고객이 선택한 정보를 입력받고, 고객 셀렉션 모델링 단계(S70)를 실행한다. Then, the customer selection information delivery step (S60) of delivering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to the server (4) is executed, the server (4) receives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customer, and executes the customer selection modeling step (S70) .

고객 셀렉션 모델링 단계(S70)에서 고객이 선택한 정보와 서버(4)의 서버 저장부에 기 저장된 설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금속 시트에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 프린팅 모델링한다. In the customer selection modeling step (S70),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is image-printed and modeled on the metal sheet using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using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customer and the design data pre-stored in the server storage unit of the server 4 .

서버(4)의 서버 제어부에서 모델링된 고객 셀렉션 이미지 정보를 고객이 확인 가능하도록 고객 셀렉션 모델링 정보 전달(S80)를 실행한다. 즉, 고객 셀렉션 모델링 정보 전달(S80)에서는 서버(4)에서 모델링된 고객 셀렉션 모델링 정보를 매장 단말기(2)로 전달하는데, 경우에 따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매장 단말기(2)가 아닌 고객 단말기(3) 측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Executes customer selection modeling information delivery (S80) so that the customer can check the modeled customer selection image information in the server control unit of the server (4). That is, in the customer selection modeling information delivery ( S80 ), the customer selection modeling information modeled in the server 4 is transmitted to the store terminal 2 , and in some cases, the customer terminal 3 rather than the store terminal 2 using a network using a network. ) can also be forwarded to

고객 셀렉션 모델링 디스플레이 단계(S90)에서는 매장 단말기(2)의 매장 단말 디스플레이에 상기 고객 셀렉션 모델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어 고객이 최종적으로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이 과정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 단말기(2)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온라인 상에서 고객 단말기(3)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the customer selection modeling display step ( S90 ), the customer selection model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tore terminal display of the store terminal 2 so that the customer can finally confirm. As described above, this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e store terminal 2 of the offline store,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design specifications, such as online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3 .

고객 셀렉션 단계(40a)가 완료된 후, 고객 컨트랙트 출력 단계(S99)가 실행된다. 고객 컨트랙트 출력 단계(S99)에서는 고객이 선택하는 고객 셀렉션 이미지가 금속 시트에 직접 프린팅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고객 컨트랙트 출력 단계(S99)는 고객 컨트랙트 정보 전달 단계(S100)와, 고객 컨트랙트 정보 및 모델링 정보 전달 단계(S110)와, 고객 셀렉션 이미지 프린팅 단계(S120)와, 고객 셀렉션 프린팅 이미지 전송 단계(S130)와, 이미지 검증 단계(S140)를 포함한다. After the customer selection step 40a is completed, the customer contract output step S99 is executed. In the customer contract output step (S99),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selected by the customer can be printed directly on the metal sheet, and the customer contract output step (S99) is the customer contract information delivery step (S100) and the customer contract information and modeling It includes an information delivery step (S110), a customer selection image printing step (S120), a customer selection printing image transmission step (S130), and an image verification step (S140).

먼저, 고객 컨트랙트 정보 전달 단계(S100)에서는 고객 셀렉션 모델링 디스플레이 단계(S9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고객 셀렉션 모델링 정보를 최종 확정되어 서버(4) 측으로 전달되고, 고객 컨트랙트 정보 전달 단계(S100)가 완료된 후 고객 컨트랙트 정보 및 모델링 정보 전달 단계(S110)가 실행된다. First, in the customer contract information delivery step (S100), the customer selection modeling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customer selection modeling display step (S90) is finally confirmed and delivered to the server 4 side, and after the customer contract information delivery step (S100) is completed, the customer The contract information and modeling information transfer step (S110) is executed.

고객 컨트랙트 정보 및 모델링 정보 전달 단계(S110)에서는 서버(4)에서 공정 단말기(5)로 고객 컨트랙트 정보 및 모델링 정보가 전달되는데, 전달된 고객 컨트랙트 정보 및 모델링 정보를 이용하여 공정 단말기(5)는 공정 출력기(6)에 금속 시트에 이미지 프린팅 출력하는 출력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In the customer contract information and modeling information transfer step (S110), customer contract information and modeling information are transferred from the server 4 to the process terminal 5, and the process terminal 5 is An output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n image on a metal sheet is provided to the process output device 6 .

공정 출력기(6)는 입력된 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고객 셀렉션 이미지 프린팅 단계(S120)를 실행하여 공정 단말기(5)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공정 출력기(6)는 고객 컨트랙트 정보 및 모델링 정보에 포함되는 고객 셀렉션 이미지를 금속 시트에 프린팅한다. The process output device 6 executes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printing step (S120) according to the input output control signal, and us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ocess terminal 5, the process output device 6 is included in the customer contract information and modeling information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is printed on a metal sheet.

고객 셀렉션 이미지 프린팅 단계(S120)에서 프린팅 출력 실행된 금속 시트 상의 실제 출력 이미지는 별도의 이미지 촬영 수단을 통하여 확보되고 공정 단말기(5)는 해당 이미지 정보를 전송하는 고객 셀렉션 프린팅 이미지 전송 단계(S130)를 실행한다. 즉, 고객 셀렉션 프린팅 이미지 전송 단계(S130)에서 금속 시트에 프린팅된 최종 이미지가 공정 단말기(5)로부터 서버(4)로 전달된다. In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printing step (S120), the actual output image on the printed metal sheet is secured through a separate image taking means, and the process terminal 5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customer selection printing image transmission step (S130) run That is, the final image printed on the metal sheet in the customer selection printing image transmission step S130 is transmitted from the process terminal 5 to the server 4 .

그런 후, 서버(4)는 고객 셀렉션 프린팅 이미지 전송 단계(S130)에서 전송받은 최종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검증 단계(S140)를 실행한다. 이미지 검증 단계(S140)에서 서버(4)의 서버 제어부(4-1)는 금속 시트에 프린팅된 최종 이미지와 상기 고객 컨트랙트 정보 및 모델링 정보에 포함되는 고객 셀렉션 이미지를 비교 확인하는데, 이미지 비교의 결과는 사전 설정된 유사도 기준으로 판단하고 유사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최종 이미지의 프린팅 공정이 정확히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검증 결과에 따라, 공정의 보정 내지 보완을 이루어 품질 불량을 방지하여 고객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도 있다. Then, the server 4 executes the image verification step (S140) using the final image received in the customer selection printing image transmission step (S130). In the image verification step (S140), the server control unit 4-1 of the server 4 compares and confirms the final image printed on the metal sheet with the customer selection image included in the customer contract information and modeling information, the result of image comparis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preset similarity level, and if the similarity is smaller than the preset value, verifies whether the printing process of the final image has been accurately performed. In some cases,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by correcting or supplementing the process to prevent quality defects.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각 금속 시트에 연속적인 이미지 프린트 출력이 가능하다. 공정 단말기(5) 측으로 경보 알림을 실행하는 구성을 구비할 수도 있고, 이러한 이미지 검증 과정은 공정 단말기에서 직접 실행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rint images on each metal shee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configuration for executing an alarm notification to the process terminal 5 side, and this image verification process may take a configuration directly executed on the process terminal.

특히, 앞선 실시예에서는 욕실의 일부 구성이 사전 설정 조립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는데, 금속 시트의 원장 구조를 절곡, 절단 등의 공정을 통하여 실내를 향한 내면 요소, 즉 인테리어 요소로 사용하되 적용 공간을 욕실 이외에 거실, 방 등의 실내 공간에 적용하는 조립식 인테리어 유니트의 구성을 취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조립식 인테리어 유니트는 베이스부를 구비하거나 배제하고 작업 공간의 실내 벽면에 직접 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in the previous embodiment, some components of the bathroom have been described with a focus on the preset assembly structure, and the ledger structure of the metal sheet is used as an inner element, that is, an interior element, directed toward the room through processes such as bending and cutting, but the application space In addition to the bathroom, the prefabricated interior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applied to indoor spaces such as living rooms and roo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조립식 욕실 유니트의 구성을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above embodiments are example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ak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조립식 욕실 유니트 100...베이스부
200...사이드 월부 300...실링부
400...프린팅 시스템
1000...조립식 욕실 유니트 제조 시스템
10...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0... Base part
200...Side wall part 300...Sealing part
400...printing system
1000...Prefab bathroom unit manufacturing system

Claims (18)

건설 공간(W)의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00)와,
건설 공간(W)의 측면으로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100) 측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을 구비하는 사이드 월부(200)와,
상기 사이드 월부(200)의 타단 측에 배치되는 실링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월 패널(210)은 단수 원장의 단일 금속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
The base portion 100 disposed on the floor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One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200 having a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100 side to the sid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a sealing part 300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side wall part 200,
The wall panel 210 is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characterized in that a single metal sheet of a single ledg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0)는:
적어도 일부가 건설 공간(W)의 바닥 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바디(110)와,
상기 베이스 바디(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충진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art 100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e body 110 is disposed on the floor sid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comprising a base filler (120)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base body (110).
제 2항에 있어서,
건설 공간(W)의 바닥에 직접 배치되고 일면 상에 상기 베이스 바디(110)가 배치되 베이스 프레임(130)이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directly on the floor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the base body (110) i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base frame (130) further comprise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11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타일(150)이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se tile (150)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body (1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110)는:
건설 공간(W)의 바닥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베이스 로워 바디(113)와,
상기 베이스 로워 바디(113)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 어퍼 바디(111)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충진부(120)는 상기 베이스 로워 바디(113)와 상기 베이스 어퍼 바디(11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ase body 110 includes:
A base lower body 113 disposed toward the floor sid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and a base upper body 111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lower body 113,
The base filling part 120 is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lower body (113) and the base upper body (1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퍼 바디(111)는:
건설 공간(W)이 형성하는 욕실 공간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되 경사 형성 배치되는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와,
상기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어퍼 메인 바디(1111)의 단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타일(150)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어퍼 경사 바디(1113)와,
상기 베이스 어퍼 경사 바디(1113)의 외측에 배치되고 배수를 위한 베이스 어퍼 트렌치(1114)를 형성하는 베이스 어퍼 트렌치 바디(1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ase upper body 111 includes:
A base upper main body 1111 dis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hroom space formed by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disposed inclinedly;
a base upper inclined body 1113 connected to the base upper main body 1111 and disposed on an end side of the base upper main body 1111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base tile 150 is disposed;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comprising a base upper trench body (1115)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base upper inclined body (1113) and forming a base upper trench (1114) for drain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월부(200)는:
상기 월 패널(210)이 형성하는 월 패널 공간에 배치되는 월 충진부(220)와,
상기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을 연결하는 월 커넥터(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
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wall part 200 includes:
A wall filling unit 220 disposed in the wall panel space formed by the wall panel 210;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comprising a wall connector (230)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월 패널(210)은:
건설 공간(W)이 구획하는 욕실 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 배치되는 월 패널 메인부(211)와,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의 적어도 일단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월 충진부(220)가 수용 배치되는 상기 월 패널 공간을 형성하는 월 패널 사이드부(213)와,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의 다른 적어도 일측에 전개 배치되는 월 패널 리브 가이드(215,2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
8. The method of claim 7,
The wall panel 210 includes:
A wall panel main part 211 ex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hroom space partitioned by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a wall panel side part 213 bent at at least one end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to form the wall panel space in which the wall filling part 220 is accommodated;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comprising a wall panel rib guides (215 and 217) that are deployed and deploy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월 패널 리브 가이드(215,217)는:
상기 월 패널 사이드부(213)의 외주 측부에 전개 배치되는 월 패널 사이드 리브 가이드(217)와,
상기 월 패널 사이드부(213)의 외주 상단에 전개 배치되는 월 패널 어퍼 리브 가이드(2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
9. The method of claim 8,
The wall panel rib guides 215 and 217 include:
a wall panel side rib guide 217 deployed and disposed on an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The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ll panel upper rib guide (215) that is deployed on the upper end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ll panel side portion (2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월 커넥터(230)는:
상기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을 돌출 구조를 그리고 타측은 수용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
8. The method of claim 7,
The wall connector 230 includes: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and forming a protruding structure on one side and a receiving structure on the other sid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월 커넥터(230)는:
상기 월 패널 사이드부(213)에 형성되는 월 커넥터 장착부(231)와,
상기 월 커넥터 장착부(231)에 일단이 연결되는 월 커넥터 바디(235)와,
인접한 다른 월 패널(210)의 월 패널 사이드부(213)에 배치되고 상기 월 커넥터 바디(235)의 타단을 수용하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wall connector 230 includes:
a wall connector mounting part 231 formed on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a wall connector body 235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art 231;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comprising a wall connector body counterpart (233) disposed on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of another adjacent wall panel (210) and receiving the other end of the wall connector body (235).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월 커넥터 바디(235)는:
일단이 상기 월 커넥터 장착부(231)에 고정 장착되는 월 커넥터 바디 홀더(2351)와,
일단은 상기 월 커넥터 바디 홀더(2351)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 측을 향하여 돌출 배치되는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all connector body 235 includes:
A wall connector body holder 2351 having one end fixedly mounted to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art 231,
One end is mounted on the wall connector body holder (2351) and the other end is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3) protruding toward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portion (233) side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는:
상기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3)의 진입 진출을 허용하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진입부(2331)와,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대응 진입부(2331)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의 배열 방향으로의 상기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3)와 맞물림 가능한 월 커넥터 바디 대응 걸림부(2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wall connector body counterpart 233 includes:
a wall connector body-corresponding entry part 2331 that allows the entry and exit of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art 2353;
A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locking part 2333 connected to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ntry part 2331 and engageable with the wall connector body locking part 2353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is included. Prefab bathroom unit (10), characterized in that.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월 커넥터 바디(235b)는: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월 커넥터 장착부(231)에 고정 장착되는 월 커넥터 바디 베이스(2355b)와,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베이스(2355b)의 반대편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와 맞물림 가능한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all connector body 235b includes:
a wall connector body base 2355b formed at one end and fixedly mounted to the wall connector mounting part 231;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form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wall connector body base (2355b) and comprising a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2b) engageable with the wall connector body counterpart (233).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월 커넥터 바디 걸림부(2352b)는: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와 맞물림 상태 유지 가능한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와,
상기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의 외측으로 상기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보다 단면적이 큰 월 커넥터 바디 걸림 진입부(235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portion 2352b includes:
a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and holding portion 2353b capable of maintaining an engaged state with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portion 233;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entry portion (2351b) with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holding portion (2353b) to the outside of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and holding portion (2353b).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대응부(233b)는:
상기 월 커넥터 바디 걸림 진입부(2351b)의 관통을 허용하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진입부(2332b)와,
상기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와 접촉 가능한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2331b)와,
상기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홀더(2331b)를 상기 월 커넥터 바디 걸림 홀딩부(2353b)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월 커넥터 바디 대응 탄성부(233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portion 233b includes:
a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ntry portion 2332b allowing penetration of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entry portion 2351b;
a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 2331b contactable with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and holding portion 2353b;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comprising a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elastic part (2333b)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wall connector body corresponding holder (2331b)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wall connector body engaging and holding part (2353b)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월부(200)는: 상기 월 패널(210)이 형성하는 월 패널 공간에 배치되는 월 충진부(220)와, 상기 복수 개의 월 패널(210)을 연결하는 월 커넥터(230)를 포함하고,
상기 월 패널(210)은: 건설 공간(W)이 구획하는 욕실 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 배치되는 월 패널 메인부(211)와,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의 적어도 일단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월 충진부(220)가 수용 배치되는 상기 월 패널 공간을 형성하는 월 패널 사이드부(213)와,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의 다른 적어도 일측에 전개 배치되는 월 패널 리브 가이드(215,217)를 포함하고,
상기 월 패널(210b)은: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b)의 일측에는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b)와 연결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와,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b)의 타측에는 상기 월 패널 메인부(211b)와 연결되어 외측으로 요홈 형성되고 상기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218)을 맞물림 수용 가능한 월 패널 사이드 익스텐션 대응부(2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유니트(10).

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wall part 200 includes: a wall filling part 220 disposed in the wall panel space formed by the wall panel 210, and a wall connector 230 connecting the plurality of wall panels 210, ,
The wall panel 210 includes: a wall panel main part 211 ex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hroom space partitioned by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bending at least one end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to form the The wall panel side part 213 forming the wall panel space in which the wall filling part 220 is accommodated, and the wall panel rib guides 215 and 217 deployed on at least one other side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 are provided. including,
The wall panel 210b includes:
On one side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b, a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connected to the wall panel main part 211b and formed to protrude outward;
The other side of the wall panel main part 211b includes a wall panel side extension corresponding part 219 which is connected to the wall panel main part 211b to form a groove to the outside and can engage and accommodate the wall panel side extension 218. Prefabricated bathroom unit (10), characterized in that.
건설 공간(W)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월 패널을 구비하는 사이드 월부와,
상기 사이드 월부의 타단 측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월 패널(210)은 단수 원장의 단일 금속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테리어 유니트.




A side wal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wall panel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onstruction space (W);
and a sealing part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side wall part,
The wall panel 210 is a prefabricated interi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a single metal sheet of a single ledger.




KR1020200153338A 2020-11-17 2020-11-17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nd prepabricated interior unit KR1024716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338A KR102471628B1 (en) 2020-11-17 2020-11-17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nd prepabricated interior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338A KR102471628B1 (en) 2020-11-17 2020-11-17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nd prepabricated interior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064A true KR20220067064A (en) 2022-05-24
KR102471628B1 KR102471628B1 (en) 2022-11-29

Family

ID=8180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338A KR102471628B1 (en) 2020-11-17 2020-11-17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nd prepabricated interior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62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864U (en) * 1996-09-17 1997-05-27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Wall panel connector
JP2005042390A (en) * 2003-07-22 2005-02-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necting structure of wall panel
JP2005068677A (en) * 2003-08-28 2005-03-17 Nichiei Shoji:Kk Coupler of concrete product
JP2007100389A (en) * 2005-10-04 2007-04-19 Matsushita Denko Bath & Life Kk Connection structure of wall panel for corn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7447A (en) * 1993-03-08 1996-03-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peech coding apparatus having acoustic prototype vectors generated by tying to elementary models and clustering around reference vect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864U (en) * 1996-09-17 1997-05-27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Wall panel connector
JP2005042390A (en) * 2003-07-22 2005-02-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necting structure of wall panel
JP2005068677A (en) * 2003-08-28 2005-03-17 Nichiei Shoji:Kk Coupler of concrete product
JP2007100389A (en) * 2005-10-04 2007-04-19 Matsushita Denko Bath & Life Kk Connection structure of wall panel for cor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628B1 (en)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24318A1 (en) Prefab system, structure and assembling method for all-functional framed buildings
KR20220067065A (en) Method for contructing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pringt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fabricated bathroom unit with the same
KR20140022946A (en) For building external panel fixing implement with fixing implement and the external panel construction method
KR102154095B1 (en) Modular prefabricated house using precast concrete seg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20067064A (en) Prefabricated bathroom unit and prepabricated interior unit
KR101261976B1 (en) Steel frame structure for point system constructing curved exterior articles on atypical archite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typical architecture using the same
KR102163271B1 (en) The Method of Building by Using Masonry Wall Panel Modules with Wedge-Shape Joint Blocks and Frames
KR20160090639A (en) installing apparatus of interior or exterior material
KR101152912B1 (en) Wall panels of a prefabricated bathroom and connector and structure of wall panels thereby
EP2453061B1 (en) Professional cabin for wellbeing treatments, such as turkish baths, saunas and the like and a method for making such cabins
KR200191082Y1 (en) Drain trap
CN100591240C (en) Storing unit and storing structure
KR100995453B1 (en) House of block typ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reof
KR101827381B1 (en) Multi-layer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structure using double-wall PC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086058B1 (en) Floor unit and floor construction method thereby
KR101914743B1 (en) Prefabricated building,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blocks, and on-dem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elecommunication lines
JP2015194000A (en) Panel
JP2017137717A (en) Modesty panel fitting structure for floor structure body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structure body
KR100760960B1 (en) Pipe onebody type floor assembly
KR102270842B1 (en) the improved bottom panel unit and the bottom panel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90652B1 (en) Bathroom structure with improved panels and lower molding
KR101295416B1 (en) A Tile Construction Structure by Sliding
KR20100098169A (en) Wall panels of a prefabricated bathroom and connector and structure of wall panels thereby
US11629491B1 (en) Interchangabl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JP2017137715A (en) Floor structure body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structure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