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6169A - 핸드셋 내로의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한 특징부를 포함하는 제어 핸드셋 - Google Patents

핸드셋 내로의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한 특징부를 포함하는 제어 핸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6169A
KR20220066169A KR1020227014320A KR20227014320A KR20220066169A KR 20220066169 A KR20220066169 A KR 20220066169A KR 1020227014320 A KR1020227014320 A KR 1020227014320A KR 20227014320 A KR20227014320 A KR 20227014320A KR 20220066169 A KR20220066169 A KR 20220066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et
control handset
control
enclosure
inn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4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애드리언 리딕
대니얼 취나드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66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asing, e.g. sealed casings or casings reducible in siz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1Thumb wheel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H01H19/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14Hand-held casings
    • H01H9/0235Hand-held 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control, e.g. of audio or video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2Casings sea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2Casings sealed
    • H01H2223/003Membrane embracing all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2Casings sealed
    • H01H2223/004Evacuation of penetrating liq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2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유체 침투 완화 기능이 있는 시험 장치용 핸드셋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핸드셋 내로의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한 특징부를 포함하는 제어 핸드셋
우선권 주장
이 특허 출원은 2019년 9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907,972호 및 2020년 9월 29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7/036,723호를 참조하며, 이에 대한 우선권 주장과 함께 이득을 청구한다. 이로써 상기 확인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서 본원에 인용된다.
본 개시는 개괄적으로 기계적 시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체 침투 완화 기능을 갖는 시험 장치용 핸드셋에 관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나머지 부분에 설명된 본 방법 및 시스템의 일부 양태와 이러한 기법의 비교를 통해, 종래의 기법의 추가의 제한점 및 단점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양태는 시험법 및 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구현은, 실질적으로 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예시되거나 이와 관련하여 설명되며 청구범위에 보다 완전히 설명된 바와 같은, 유체 침투 완화 기능을 갖는 시험 장치용 핸드셋에 대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이들 및 다른 이점, 양태 및 신규 특징뿐만 아니라 그 예시된 구현의 세부 사항이 다음의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기계적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일례의 시험 장치이다.
도 2는 도 1의 시험 장치의 일례의 구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한 수단이 통합된 일례의 핸드셋을 예시한다.
도 4는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해 내부에 통합된 수단 중 일부를 보여주는, 도 3의 핸드셋의 단면을 예시한다.
도 5는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해 내부에 통합된 수단 중 일부를 보여주는, 도 3의 핸드셋의 다른 단면을 예시한다.
도 6은 대안의 설계에 따른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해 내부에 통합된 수단을 보여주는, 도 3의 핸드셋의 단면을 예시한다.
도 7은 도 6에 예시된 대안의 설계에 따른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해 내부에 통합된 수단 중 일부를 보여주는, 도 3의 핸드셋의 다른 단면을 예시한다.
도 8은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한 개스킷 기반 특징부가 통합된 핸드셋의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을 예시한다.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구현은, 특히 유체 침투 완화 기능이 있는 핸드셋으로 시험 기구를 구현 및 작동시킴으로써, 파괴 시험 및 비파괴 시험(NDT) 검사를 포함한, 향상된 최적의 시험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활용되는 바와 같은, "서킷" 및 "회로"라는 용어는 물리적 전자 구성요소(예컨대,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를 구성할 수 있고,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및/또는 하드웨어와 달리 연관될 수 있는 임의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코드")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예컨대 특정 프로세서 및 메모리(예컨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일반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등)는 하나 이상의 제1 코드 라인을 실행하는 경우 제1 "서킷"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제2 코드 라인을 실행하는 경우 제2 "서킷"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킷이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로는, 예컨대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 작동할 수 있다. 서킷이 단일 장치 또는 칩의 형태로 단일 마더보드 상에, 단일 섀시 내에, 단일 지리학적 위치에서 복수의 인클로저 내에, 복수의 지리학적 위치에 걸쳐 분산된 복수의 인클로저 내에 등과 같이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듈"이라는 용어는, 예컨대 물리적 전자 구성요소(예컨대,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를 구성할 수 있고,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및/또는 하드웨어와 달리 연관될 수 있는 임의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코드")를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서 활용되는 바와 같은, 회로 또는 모듈은, 기능의 성능이 비활성인지 또는 활성화되지 않은 것인지(예컨대, 사용자 구성 가능한 설정, 팩토리 트림 등에 의해)에 관계없이, 회로 또는 모듈이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 및 코드(필요한 경우)를 포함할 때마다 기능을 수행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본원에서 활용되는 바와 같은, "및/또는"은 "및/또는"으로 연결된 목록의 항목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일례로서 "x 및/또는 y"는 3개의 요소의 집합{(x), (y), (x, y)}의 임의의 요소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x 및/또는 y"는 "x 및 y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의미한다. 다른 예로서, "x, y, 및/또는 z"는 7개의 요소의 집합{(x), (y), (z), (x, y), (x, z), (y, z), (x, y, z)} 중 임의의 요소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x, y, 및/또는 z"는 "x, y, 및 z 중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활용되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이라는 용어는 비제한적인 예, 사례, 또는 예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활용되는 바와 같은, "예를 들어" 및 "예컨대"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비제한적인 예, 사례 또는 예시의 목록을 설정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유체 침투와 관련하여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완화(mitigation)"는 유체 침투의 감소 및/또는 억제, 및/또는 유체 침투로 인한 손상의 감소 또는 예방을 지칭한다.
도 1은 기계적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일례의 시험 장치이다. 기계적 특성 시험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일례의 시험 장치(10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일례의 시험 장치(100)는, 예컨대 정적 기계적 시험이 가능한 범용 시험 시스템일 수 있다. 시험 장치(100)는, 예컨대 압축 강도 시험, 인장 강도 시험, 전단 강도 시험, 굽힘 강도 시험, 편향 강도 시험, 인열 강도 시험, 박리 강도 시험(예컨대, 접착 결합부의 강도), 및/또는 임의의 기타 압축, 인장, 비틀림, 열 및/또는 충격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시험 장치(100)가 동적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의 시험 장치(100)는 시험 고정 장치(102) 및 시험 고정 장치(102)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컴퓨팅 장치(104)를 포함한다. 시험 고정 장치(102)는 시험 중인 재료(106)에 하중을 인가하여, 시험 중인 재료(106)의 변위 및/또는 시험 중인 재료(106)에 인가된 힘과 같은 시험의 기계적 특성을 측정한다.
일례의 컴퓨팅 장치(104)가 시험 고정 장치(102)를 구성하고, 시험 고정 장치(102)를 제어하며, 및/또는 처리, 표시, 기록, 및/또는 임의의 기타 원하는 목적을 위해 시험 고정 장치(102)로부터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핸드셋(120)이 시험 장치(100)의 작동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핸드셋(120)은 시험 장치(100)의 작업자가 시험 장치(100)의 작동 동안, 예컨대 컴퓨팅 장치(104)와 직접 상호 작용할 필요 없이 입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핸드셋을 사용하면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핸드셋[예를 들어, 핸드셋(120)]은 핸드셋(120), 특히 그 내부 구성요소(예컨대, 버튼 또는 기타 입력 구성요소와 같은 핸드셋의 구성요소 등에 해당하는 하드웨어, 회로)를 손상시킬 수 있는 시험 환경의 조건에 취약할 수 있다. 특히, 시험 환경에 존재할 수 있는 유체 또는 액체(예를 들어, 물)는 유체가 핸드셋(120)의 내부로 들어가, 핸드셋의 내부 구성요소를 손상시키거나 달리 열화시킬 가능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구현에는 시험 환경에서 핸드셋의 사용에 대해 제기된 이러한 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해결 방안이 통합되어 있다. 특히,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구현에 있어서, 시험 장치에 사용하도록 구성된 핸드셋에는 시험 환경에서의 유체의 존재와 같은 이러한 조건에 의해 야기되는 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그리고 특히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최적화된 수단이 통합되어 있다. 일례의 핸드셋이 아래에 설명된다.
도 2는 도 1의 시험 장치의 일례의 구현의 블록도이다. 도 2에는 도 1의 시험 장치(100)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일례의 컴퓨팅 시스템(2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례의 시험 장치(100)는 시험 고정 장치(102) 및 컴퓨팅 장치(104)를 포함한다. 일례의 컴퓨팅 장치(104)는 범용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모바일 장치, 서버, 올-인-원 컴퓨터, 및/또는 임의의 기타 유형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도 2의 일례의 컴퓨팅 시스템(200)은 프로세서(202)를 포함한다. 일례의 프로세서(202)는 임의의 제조사에 의해 제공되는 임의의 범용 중앙 처리 장치(CPU)일 수 있다. 일부 다른 예에서는, 프로세서(202)가 ARM 코어를 갖는 RISC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유닛,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또는 시스템-온-칩(SoC)과 같은 하나 이상의 특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프로세서(예컨대, 포함된 캐시 또는 SoC)에서, 임의 접근 메모리(206)(또는 기타 휘발성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208)(또는 FLASH 메모리와 같은 기타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대용량 저장 장치(210)에 국부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기계 판독 가능 명령(204)을 실행한다. 일례의 대용량 저장 장치(210)는 하드 드라이브,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드라이브, 하이브리드 드라이브, RAID 어레이, 및/또는 임의의 기타 대용량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버스(212)가 프로세서(202), RAM(206), ROM(208), 대용량 저장 장치(2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4), 및/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16)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일례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4)는 컴퓨팅 시스템(200)을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218)에 연결하기 위한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4)는 통신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IEEE 802.X 준거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일례의 I/O 인터페이스(216)는 프로세서(202)로의 입력을 제공하며 및/또는 프로세서(202)로부터의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20)를 프로세서(202)에 연결하기 위한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예컨대, I/O 인터페이스(216)는 표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용 그래픽 처리 유닛, 하나 이상의 USB 대응 장치와의 인터페이스용 범용 직렬 버스 포트, 파이어와이어, 필드 버스, 및/또는 임의의 기타 유형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의 시험 장치(100)는 I/O 인터페이스(216)에 결합된 표시 장치(224)(예컨대, LCD 스크린)를 포함한다. 다른 예의 I/O 장치(들)(22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트랙볼, 포인팅 장치, 마이크로폰, 오디오 스피커, 디스플레이 장치, 광학 매체 드라이브, 멀티-터치 터치스크린, 제스처 인식 인터페이스, 자기 매체 드라이브, 및/또는 임의의 기타 유형의 입력 및/또는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의 컴퓨팅 시스템(200)은 I/O 인터페이스(216) 및/또는 I/O 장치(들)(220)를 통해 비일시적 기계 판독 가능 매체(222)에 접근할 수 있다. 도 2의 기계 판독 가능 매체(222)의 예에는 광 디스크[예컨대,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목적/비디오 디스크(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 자기 매체[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휴대용 저장 매체[예컨대, 휴대용 플래시 드라이브, 보안 디지털(SD) 카드 등], 및/또는 임의의 기타 유형의 이동식 및/또는 설치형 기계 판독 가능 매체가 포함된다.
도 1의 일례의 시험 장치(100)는 컴퓨팅 시스템(200)에 결합된 시험 고정 장치(102)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2의 예에서, 시험 고정 장치(102)는 USB 포트, 썬더볼트 포트, 파이어와이어(IEEE 1394) 포트, 및/또는 임의의 기타 유형의 직렬 또는 병렬 데이터 포트와 같은 I/O 인터페이스(216)를 통해 컴퓨팅 장치에 결합된다. 일부 다른 예에서는, 시험 고정 장치(102)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네트워크(218)를 통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4)에 결합된다.
도 2의 시험 고정 장치(102)는 프레임(228), 로드 셀(230), 변위 변환기(232), 크로스 부재 로더(234), 재료 고정 장치(236), 및 제어부(238)를 포함한다. 시험 고정 장치(102)는 시험 고정 장치(102)가 수행할 수 있는 기계적 시험의 유형(들)에 기초하여 임의의 개수의 다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시험 고정 장치는 동적 시험 고정 장치일 수 있고 및/또는 시험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절한 변환기를 포함하면서 상이한 시험 장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104)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프레임(228)은 시험을 수행하는 시험 고정 장치(102)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강성의 구조적 지지를 제공한다. 로드 셀(230)은 재료 고정 장치(236)를 통해 크로스 부재 로더(234)에 의해 시험 중인 재료에 인가되는 힘을 측정한다. 크로스 부재 로더(234)는 시험 중인 재료에 힘을 인가하는 반면, 재료 고정 장치(236)(예를 들어, 파지부 또는 유사물)는 시험 중인 재료를 크로스 부재 로더(234)에 포획하거나 달리 결합한다. 일례의 재료 고정 장치(236)는 시험 중인 재료 및/또는 시험 중인 기계적 특성에 따라 파지부, 조(jaw), 지그, 앤빌, 압축 압반, 또는 기타 유형의 고정 장치를 포함한다.
일례의 제어부(238)는 컴퓨팅 장치(104)와 통신하여, 예컨대 컴퓨팅 장치(104)로부터 시험 매개 변수를 수신하며 및/또는 컴퓨팅 장치(104)에 측정치 및/또는 기타 결과를 보고한다. 예컨대, 제어부(238)는 컴퓨팅 장치(104)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또는 I/O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8)는 인가된 힘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크로스 부재 로더(234)를 제어하며, 시험 중인 재료를 파지하거나 해제하도록 고정 장치(들)(236)를 제어하고, 및/또는 변위 변환기(232), 로드 셀(230), 및/또는 기타 변환기(들)로부터 측정치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한 수단이 통합된 일례의 핸드셋(300)을 예시한다. 도 3에 핸드셋(300)이 도시되어 있다.
핸드셋(300)은 시스템 작업자가 시스템의 작동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과 같이 특정 시스템(또는 장치)과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핸드셋(300)은, 예를 들어 시험 장치(100)의 작동과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도 1의 핸드셋(120)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핸드셋(300)은 핸드셋(300)이 함께 사용되는 시스템에 적용될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작업자가 사용할 수 있는 입력 구성요소 또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셋(300)은 휠(또는 휠형) 입력 구성요소(310) 및 버튼(또는 버튼형) 입력 요소(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버튼은 사용자가 버튼(320)을 눌러, 예컨대 해당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함으로써, 또는 휠(310)을 회전시켜 다양한 입력(예컨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의 특정 매개 변수의 증가 또는 감소 값)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에 추가하여, 핸드셋(300)이 추가 구성요소(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셋(300)의 내부 공간(들)의 내부에 입력 요소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적절한 구성요소가 동봉될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는 구동 기구[예를 들어, 휠(310)용], 입력 요소와의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 전력, 통신 등과 같은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회로 및/또는 기타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핸드셋의 사용은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특히, 핸드셋(300)(또는 유사한 핸드셋)은 핸드셋(300) 및/또는 그 구성요소(예컨대, 회로, 하드웨어 등)를 손상시킬 수 있는 시험 환경의 조건에 취약할 수 있다. 특히, 핸드셋이 사용되는 시험 환경에 존재할 수 있는 유체(예컨대, 물)는 유체가 핸드셋(300)의 내부로 들어가 핸드셋의 내부 구성요소를 손상시키거나 달리 열화시킬 가능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례의 핸드셋(300)은 이러한 위험, 특히 유체 침투를 다스리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3의 핸드셋(300)에는 유체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및/또는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한 수단(들)이 통합되어 있다. 예컨대, 핸드셋(300)에는 입력 요소[예컨대, 버튼(320)]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형의 유체 방지 오버레이(예컨대, 엘라스토머 오버레이)가 통합되어 핸드셋(300)의 내부로의 개구(들)를 생성하지 않는 방식으로 버튼과의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핸드셋(300)의 내부로의 개구를 반드시 생성할 수 있는 디자인, 예컨대 휠(310)과 호환 가능할 수 있는 입력 요소의 경우, 임의의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해 추가의 수단이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체 침투에 관하여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완화" 또는 "완화하는"은 유체 침투의 감소 및/또는 억제, 및/또는 유체 침투로 인한 손상의 감소 또는 예방을 지칭한다. 다시 말해, 유체 침투를 완화하는 것이 유체 침투를 완전히 방지하는 것을 요구하거나 수반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완화 수단은 핸드셋 내부의 특정 내부 공간(또는 챔버)으로 침투하는 임의의 유체가 핸드셋의 다른 내부 챔버, 특히, 핸드셋의 다른 구성요소, 예컨대 회로, 이동 기구 등을 수용하는 내부 챔버로 들어가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체 침투를 억누르고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드셋은 내부의 모든 내부 공간 또는 챔버가 유체 유입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하는 것은 아닌 상태로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핸드셋(300)의 하부 섹션에는, 임의의 침투 유체가 유출(예컨대, 중력을 사용하여)될 수 있는 방식으로, 휠(310)의 반대편에 홀이 통합될 수 있다. 또한, 휠(310)이 동봉된 공간에 임의의 침투 유체가 주변 내부 공간(들)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특징부가 통합될 수 있다. 일례의 완화 특징부는, 특히 유체 침투에 대해 휠을 완전히 밀봉하는 것과 같은 종래의 해결 방안과 비교하여, 비용 효율적이다. 일례의 해결 방안이 도 4 및 도 5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해 내부에 통합된 수단 중 일부를 보여주는, 도 3의 일례의 핸드셋(300)의 단면을 예시한다.
특히, 핸드셋(300)의 다양한 특징부를 보여주기 위해 휠(310)의 위치에서 핸드셋(300)의 폭을 따른 단면이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셋(300)은 회로(340)[예컨대, 핸드셋(300)의 전력 및/또는 통신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예컨대 버튼(320) 및/또는 휠(310)과의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요소의 제어 작동을 위한 회로 등], 다른 하드웨어[예를 들어, 휠(31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이러한 회전에 대응하는 감각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휠 기구(360)와 같은 구동 기구] 등과 같은 내부 구성요소를 갖는 내부 공간(33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공간(330)은, 예컨대 핸드셋(300)이 만들어지거나 형성될 때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핸드셋(300)은 별도의 (물리적)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은 각각, 예컨대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이 맞물려 핸드셋(300)을 생성하는 경우,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이 핸드셋(300)의 내부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내부 공간(330)을 획정하는 경우, 대응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가 (예컨대,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과 같은 복수의 섹션을 갖는) 이러한 구현으로 제한되지 않고, 이와 같이 본원에 설명된 해결 방안은 내부 챔버(들)를 갖는 단일 하우징을 구비한 핸드셋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핸드셋(300)에 통합된 다양한 유체 침투 방지 및/또는 완화 특징부가 또한 핸드셋(300)의 단면에 예시되어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320)은 버튼(320)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유체 침투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버튼 오버레이(350)에 통합된다. 버튼 오버레이(350)는, 예컨대 버튼(320)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 원하는 버튼 "느낌"을 허용하면서 유체 침투에 저항하는 데 특히 적합할 수 있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러한 재료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적절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버튼 오버레이(350)는 유체 침투에 대한 저항을 최대화하기 위해 핸드셋(300)의 상부 표면의 대부분을 덮거나 그 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버튼 오버레이(350)(또는 다른 유체 방지 오버레이 재료)가 이러한 영역을 덮거나 그 위에서 연장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휠(310)이 위치한 영역과 같은 일부 영역은 덮여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영역에서 핸드셋(300)의 내부로 임의의 개구를 통해 잠재적으로 유체 침투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핸드셋(300)의 상부 표면 상의 휠(310)의 주위에 일부 공간(분리용)이 있을 수 있고, 이를 통해 핸드셋(300)의 내부로 유체가 누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유체 침투는 핸드셋(300) 내부의 구성요소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예컨대, 핸드셋(300)의 상부 표면 상에 있는 휠(310)의 주위 공간을 통해 침투할 수 있는 유체가 아래쪽으로 유동할 수 있고, 이러한 유동을 다스리지 않는다면, 유체가 내부 공간(330)으로 누출될 수 있어, 결국 이들 공간 내부의 회로(340), 휠 기구(360) 등과 같은 내부 구성요소의 작동을 손상시키거나 달리 열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드셋(300)에는 임의의 가능한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한 추가의 수단이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의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해 내부에 통합된 수단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 3의 핸드셋의 다른 단면을 예시한다. 도 3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은 핸드셋(300)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5에는 핸드셋(300)의 다양한 특징부를 보여주기 위한, 핸드셋(300)의 길이를 따른 휠(310)의 관통 단면이 예시되어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셋(300)은 회로(340)[예컨대, 핸드셋(300)의 전력 및/또는 통신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예를 들어 버튼(320) 및/또는 휠(310)과의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요소의 제어 작동을 위한 회로, 등], 다른 하드웨어[예를 들어, 휠(31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이러한 회전에 대응하는 감각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휠 기구(360)와 같은 구동 기구] 등과 같은 내부 구성요소를 갖는 내부 공간(33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핸드셋(300)의 단면에는 핸드셋(300)에 통합된 다양한 유체 침투 방지 및/또는 완화 특징부가 예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체 침투를 방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버튼 오버레이(350)에 추가하여, 핸드셋(300)에는 또한, 휠(310)의 주위와 같은 핸드셋(300)의 외부(특히, 상측) 상의 개구/공간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유체 침투를 완화하는 유체 침투 완화 특징부가 통합된다.
예를 들어, [휠 기구(36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핸드셋(300)의 내부에 있는 휠(310)의 일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330)(예를 들어, 휠 웰)에 해당 공간으로 누출되는 임의의 유체가, 예를 들어, 중력을 사용하여 핸드셋(300)의 외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닥에 홀(370)이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유체 침투 완화 측면에서 향상된 성능을 위해, 핸드셋(300)에 추가의 수단이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핸드셋(300)은 섹션이 맞물리면 내부 공간(330)을 생성하도록 서로 정렬되는 대응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2개의 섹션(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드셋의 내부로 침투하는 임의의 유체 누출을 더욱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침투가 발생할 수 있는 내부 공간 주위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내부 공간 상으로의 임의의 유체 누출을 완화하는 데 특히 적합한 맞물림 특징부,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누출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오버레이 립(overlaying lip)(380)이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는,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의 외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전체 핸드셋(300)에 동일한 맞물림 특징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사례에서는, 유체 침투에 특히 민감한 영역에서 내부 가장자리(핸드셋 내부의 돌출부) 및/또는 외부 가장자리(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의)의 일부에 시일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대안의 설계에 따른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해 내부에 통합된 수단을 보여주는, 도 3의 핸드셋의 단면을 예시한다.
특히, 핸드셋(300)의 다양한 특징부를 보여주기 위한, 휠(310)의 위치에서의 핸드셋(300)의 폭을 따른 단면이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에 대해 언급된 바와 같이, 핸드셋(300)은 회로(340) 및 다른 하드웨어[예컨대, 휠 기구(360)]와 같은 내부 구성요소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330)을 포함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330)은, 예컨대 핸드셋(300)이 만들어지거나 형성될 때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핸드셋(300)은 별도의 (물리적)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은 각각, 예컨대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이 맞물려 핸드셋(300)을 생성하는 경우, 핸드셋(300)의 내부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내부 공간(330)을 획정하는 경우의 대응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핸드셋(300)에는 도 4 및 도 5에 대해 도시 및 설명된 설계가 아닌 대안의 설계에 따른 다양한 유체 침투 방지 및/또는 완화 특징부가 통합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에 예시된 구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셋(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320)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유체 침투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버튼 오버레이(350)의 사용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예시된 구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셋(300)은 휠(310)의 주위로 침투할 수 있는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홀(370)의 사용을 보유할 수 있다.
그러나, 오히려, 핸드셋 내부에서의, 즉 하나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접한 내부 공간(들)으로의 유체 누출을 방지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핸드셋 내부에 오버레이 립을 활용하는 것보다는,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핸드셋(300)에 고무 개스킷이 있는 압축 시일(390)의 사용이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 립을 갖는 핸드셋(300)의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을 설계하는 대신, 압축 시일(390)이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 사이의 접촉 지점 또는 표면에 시일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압축 시일(390)은, 예컨대 유체 침투에 저항하는 데 특히 적합할 수 있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 상의 대응하는 가장자리 사이에 압축 시일(390)을 통합하면 이들 대응하는 가장자리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인접한 공간 사이의 유체 이동이 방지된다. 일부 사례에서는, 압축 시일(390)이 전체 핸드셋(300)에, 즉 외부 가장자리를 포함한 핸드셋의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의 모든 가장자리 사이의 접촉 지점 및/또는 표면을 밀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압축 시일(390)이 휠(310)의 주위와 같이 유체 침투에 특히 민감한 내부 공간을 밀봉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휠(310) 주위의 압축 시일(390)의 사용이 도 7에 추가로 예시되어 있다.
도 7은 도 6에 예시된 대안의 설계에 따른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해 내부에 통합된 수단 중 일부를 보여주는, 도 3의 핸드셋의 다른 단면을 예시한다.
특히, 도 7에는 핸드셋(300)의 다양한 특징부를 보여주기 위해, 핸드셋(300)의 길이를 따른 휠(310)의 관통 단면이 예시되어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셋(300)은 회로(340), 다른 하드웨어(예컨대, 구동 기구) 등과 같은 내부 구성요소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33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핸드셋(300)에 통합된 다양한 유체 침투 방지 및/또는 완화 특징부가 도 7에 도시된 핸드셋(300)의 단면에 예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체 침투를 방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버튼 오버레이(350)에 추가하여, 핸드셋(300)에는 또한, 휠(310)의 주위와 같이 핸드셋(300)의 외부(특히, 상측) 상의 개구/공간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유체 침투를 완화하는 유체 침투 완화 특징부가 통합된다.
예컨대, [휠 기구(360)에 결합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핸드셋(300)의 내부에 있는 휠(310)의 일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330)(예컨대, 휠 웰)에 공간으로 누출되는 임의의 유체가, 예컨대 중력을 사용하여 핸드셋(300)의 외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닥에 홀(370)이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유체 침투 완화 측면에서 향상된 성능을 위해, 핸드셋(300)에 추가의 수단이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핸드셋(300)은 섹션이 맞물리면 내부 공간(330)을 생성하도록 서로 정렬되는 대응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2개의 섹션(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드셋의 내부로 침투하는 임의의 유체 누출을 더욱 방지하기 위해 압축 시일(390)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압축 시일(390)은 이러한 침투가 발생할 수 있는 휠(310)을 수용하는 공간 주위의 가장자리를 밀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8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추가의 특징부가 유체 침투 완화를 더욱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한 개스킷 기반 특징부가 통합된 핸드셋의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을 예시한다. 도 8에는 유체 침투를 완화하도록 구성된 핸드셋(800)의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핸드셋(800)(또는 그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에는, 특히 휠의 주위에서의, 도 6 및 도 7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은 압축 시일의 사용을 지원하기 위해 개스킷 관련 특징부가 통합된다. 예컨대, 핸드셋(800)에는, 핸드셋(800)의 하부 섹션에 성형된 대응하는 3차원(3D) 밀봉 표면(840)과 정합하여, 이에 따라 휠이 수용될 수 있는 밀봉 웰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핸드셋(800)의 상부 섹션에 설치될 수 있는 상대 개스킷(820)이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 구성요소(830)는 휠을 수용하는 공간 주위에서 상대 3D 밀봉 표면의 형성을 완료하기 위해 휠을 구동시키는 기구(즉, 휠 기구)의 측면 상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핸드셋(800)의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에는, 적절한 시일을 보장하기 위해 고무 개스킷을 압축하기 위한 클램핑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냅 끼워맞춤 특징부(810)가 통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 끼워맞춤 특징부(810)가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의 4개의 대응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고, 하부 섹션과 상부 섹션의 이러한 특징부는 스냅 끼워맞춤 맞물림을 보장하도록 조정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개시에 따른 일례의 제어 핸드셋은 서로 맞물려 인클로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이 각각, 일단 형성된 제어 핸드셋의 인클로저 내로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 중 적어도 일부는 정렬되어 제어 핸드셋의 인클로저 내부에 하나 이상의 내부 챔버를 획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내부 챔버는 상부 섹션을 통해 제어 핸드셋의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입력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챔버를 포함한다. 제어 핸드셋에는 상기 입력 요소에 대응하는 개구를 통해, 인클로저 내로의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가 포함되거나 통합된다.
일례의 구현에서, 상기 입력 요소는 회전 기반 입력 요소를 포함한다.
일례의 구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는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통합된 오버레이 결합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일례의 구현에서, 상기 오버레이 결합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 중 하나의 돌출부 또는 외부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 통합되며,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 중 다른 하나의 돌출부 또는 외부 가장자리의 적어도 대응하는 부분에 중첩되도록 구성된다.
일례의 구현에서, 상기 오버레이 결합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어 핸드셋의 입력 요소용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챔버 상에 덮어씌워지도록 구성된다.
일례의 구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는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 사이의 접촉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통합된 시일을 포함한다.
일례의 구현에서, 상기 접촉 표면의 부분은 제어 핸드셋 내의 입력 요소용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챔버와 제어 핸드셋 내부의 하나 이상의 내부 챔버 중 적어도 다른 하나 사이의 벽을 포함한다.
일례의 구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는 중력에 의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하부 섹션에 통합된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한다.
일례의 구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홀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 핸드셋의 입력 요소용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챔버에 대응하는 하부 섹션의 일부에 있다.
일례의 구현에서, 상기 상부 섹션은 제어 핸드셋의 내부로 연장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 요소를 구현하기 위한 획정 영역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 요소는 버튼 기반 입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의 구현에서, 제어 핸드셋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 요소를 구현하기 위해 획정 영역에 적용된 엘라스토머 오버레이를 포함한다.
일례의 구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는 밀봉 표면 및 이 밀봉 표면과 정합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상대 개스킷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일례의 제어 핸드셋은 인클로저, 인클로저의 제1 내부 챔버 내부의 입력 장치로서, 입력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어 핸드셋의 측면에 있는 개구를 통해 제어 핸드셋 외부로 연장되는 것인,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회로로서, 상기 제1 내부 챔버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인클로저의 제2 내부 챔버 내부에 위치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핸드셋에는 적어도 개구를 통해 인클로저 내로의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가 포함되거나 통합된다.
일례의 구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는, 제1 내부 챔버 내부의 유체가 인클로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어 핸드셋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측면에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한다.
일례의 구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는 제어 핸드셋의 외부 측면 또는 제어 핸드셋의 내부 챔버와 제어 핸드셋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내부 챔버 사이의 벽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적어도 일부분에 통합된 오버레이 결합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일례의 구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는 적어도 제어 핸드셋 내의 내부 챔버와 제어 핸드셋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내부 챔버 사이의 벽에 통합된 시일을 포함한다.
일례의 구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는 밀봉 표면 및 이 밀봉 표면과 정합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상대 개스킷을 포함한다.
일례의 구현에서, 상기 입력 장치는 회전 기반 입력 요소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기타 구현이, 기계 및/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코드 섹션을 구비한 기계 코드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이에 의해 기계 및/또는 컴퓨터가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및/또는 저장 매체, 및/또는 비일시적 기계 판독 가능 매체 및/또는 저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구현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시스템에서 중앙 집중 방식으로, 또는 상이한 요소가 여러 개의 상호 연결된 컴퓨팅 시스템에 걸쳐 분산되는 분산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유형의 컴퓨팅 시스템 또는 기타 장치가 적합하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전형적인 조합은, 로딩 및 실행될 때 본원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팅 시스템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또는 기타 코드를 갖춘 범용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다. 다른 전형적인 구현은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또는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구현은 또한, 본원에 설명된 방법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특징을 포함하며 컴퓨터 시스템에 로딩될 때 이러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내장될 수 있다. 본 문맥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능력을 가진 시스템이 직접적으로 또는 다음의: a) 다른 언어, 코드 또는 표기법으로의 변환; 및 b) 상이한 재료 형태로의 재생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 후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하도록 의도된 일련의 명령의 임의의 언어, 코드 또는 표기법으로 된 임의의 표현을 의미한다.
본 개시가 특정 구현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균등물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개시된 예의 블록 및/또는 구성요소가 조합, 분할, 재배열, 및/또는 달리 수정될 수 있다. 또한,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개시의 교시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적용하기 위해 다수의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개시된 특정 구현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구현을 포함할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8)

  1. 제어 핸드셋으로서,
    서로 맞물려 인클로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 각각은, 일단 형성된 제어 핸드셋의 인클로저 내로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 중 적어도 일부는 정렬되어 제어 핸드셋의 인클로저 내부에 하나 이상의 내부 챔버를 획정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내부 챔버는 상부 섹션을 통해 제어 핸드셋의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입력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요소에 대응하는 개구를 통한, 인클로저 내로의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가, 제어 헤드셋에 포함되거나 통합되는 것인 제어 핸드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요소는 회전 기반 입력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제어 핸드셋.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는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통합된 오버레이 결합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제어 핸드셋.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결합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 중 하나의 돌출부 또는 외부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 통합되고,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 중 다른 하나의 돌출부 또는 외부 가장자리의 적어도 대응하는 부분에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어 핸드셋.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결합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어 핸드셋의 입력 요소용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챔버 상에 덮어씌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어 핸드셋.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는 상부 섹션과 하부 섹션 사이의 접촉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통합된 시일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핸드셋.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표면의 부분은, 제어 핸드셋 내의 입력 요소용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챔버와 제어 핸드셋 내부의 하나 이상의 내부 챔버 중 적어도 다른 하나 사이에 벽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핸드셋.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는 중력에 의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하부 섹션에 통합된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핸드셋.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홀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 핸드셋의 입력 요소용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챔버에 대응하는 하부 섹션의 일부에 있는 것인 제어 핸드셋.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은 제어 핸드셋의 내부로 연장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 요소를 구현하기 위한 획정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핸드셋.
  11. 제10항에 있어서, 제어 핸드셋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 요소를 구현하기 위한 획정 영역에 적용된 엘라스토머 오버레이를 포함하는 것인 제어 핸드셋.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는 밀봉 표면 및 이 밀봉 표면과 정합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상대 개스킷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핸드셋.
  13. 제어 핸드셋으로서,
    인클로저;
    상기 인클로저의 제1 내부 챔버 내부의 입력 장치로서, 입력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어 핸드셋의 측면에 있는 개구를 통해 제어 핸드셋 외부로 연장되는 것인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회로로서, 상기 제1 내부 챔버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인클로저의 제2 내부 챔버 내부에 위치한 것인 회로
    를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개구를 통한, 인클로저 내로의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가 제어 핸드셋에 포함되거나 통합되는 것인 제어 핸드셋.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는, 제1 내부 챔버 내부의 유체가 인클로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어 핸드셋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측면에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제어 핸드셋.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는, 제어 핸드셋의 외부 측면 또는 제어 핸드셋의 내부 챔버와 제어 핸드셋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내부 챔버 사이의 벽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적어도 일부분에 통합된 오버레이 결합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제어 핸드셋.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는 적어도 제어 핸드셋 내의 내부 챔버와 제어 핸드셋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내부 챔버 사이의 벽에 통합된 시일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핸드셋.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화 특징부는 밀봉 표면 및 이 밀봉 표면과 정합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상대 개스킷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핸드셋.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회전 기반 입력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제어 핸드셋.
KR1020227014320A 2019-09-30 2020-09-30 핸드셋 내로의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한 특징부를 포함하는 제어 핸드셋 KR202200661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07972P 2019-09-30 2019-09-30
US62/907,972 2019-09-30
US17/036,723 US11599205B2 (en) 2019-09-30 2020-09-29 Methods and systems for handsets for testing devices with fluid ingress mitigation
US17/036,723 2020-09-29
PCT/US2020/053408 WO2021067359A1 (en) 2019-09-30 2020-09-30 Control handset comprising features for mitigating fluid ingress into the hand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169A true KR20220066169A (ko) 2022-05-23

Family

ID=7516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320A KR20220066169A (ko) 2019-09-30 2020-09-30 핸드셋 내로의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한 특징부를 포함하는 제어 핸드셋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99205B2 (ko)
EP (1) EP4038652A1 (ko)
JP (1) JP2022550805A (ko)
KR (1) KR20220066169A (ko)
CN (1) CN114730670A (ko)
WO (1) WO20210673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425B1 (ko) * 2022-12-26 2023-08-0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Lng 극저온화물창 폴리우레탄폼 소재에 대한 극저온 고속압축시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6478B2 (en) * 2021-01-21 2024-02-20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ng specimen testi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9627U (ko) * 1987-05-12 1988-11-21
US5448240A (en) 1991-08-29 1995-09-05 Alps Electric Co., Ltd. Remote control input device
JP4457877B2 (ja) * 2004-12-10 2010-04-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モコン送信機
US7564001B2 (en) * 2006-12-04 2009-07-21 Panasonic Corporation Switch and remote controller using the same
DE102009050373B4 (de) 2009-10-22 2015-03-26 Terra-Fernwirktechnik Gmbh Funksteuerung
EP2960754A3 (en) * 2015-08-06 2016-03-09 Sensirion AG Sens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425B1 (ko) * 2022-12-26 2023-08-0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Lng 극저온화물창 폴리우레탄폼 소재에 대한 극저온 고속압축시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96662A1 (en) 2021-04-01
WO2021067359A1 (en) 2021-04-08
JP2022550805A (ja) 2022-12-05
EP4038652A1 (en) 2022-08-10
US11599205B2 (en) 2023-03-07
CN114730670A (zh)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66169A (ko) 핸드셋 내로의 유체 침투를 완화하기 위한 특징부를 포함하는 제어 핸드셋
CN204719671U (zh) 运转以产生触觉通知的电子设备及系统
US7692634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2017188141A (ja) 磁束の泉
CN101253465A (zh) 计算机鼠标
CN104320544B (zh) 移动终端的麦克风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20190032662A (ko) 방수 케이스
JP2006178936A5 (ko)
US20080163675A1 (en) Airtight tester
CN105474120A (zh) 用于装置的支撑组件
JP2011245554A (ja) 数値的シミュレーションを用いるシートメタル成形不具合の予測する方法
CN102541161A (zh) 卡合门结构
TWI399672B (zh) 觸控螢幕裝置之控制方法
KR20160138555A (ko) 기계적 부착 및 유지 피쳐
TW200705186A (en) Trusted LPC docking interface for docking notebook computers to a docking station
US11181944B2 (e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U2693907C2 (ru) Монтажный клин для гибкого материала
JP2018146805A (ja) 電子機器
CN105843418A (zh) 指示器、键盘组件以及便携式电脑
JP5104071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992965B2 (ja) 携帯型情報機器、携帯型情報機器のファン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JP201705536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製造方法
EP4276585A1 (en) A haptic effect device
JP2002351613A (ja) 数値制御装置用表示装置
US2004002163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double-sided operable key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