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571A -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 - Google Patents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571A
KR20220065571A KR1020200152240A KR20200152240A KR20220065571A KR 20220065571 A KR20220065571 A KR 20220065571A KR 1020200152240 A KR1020200152240 A KR 1020200152240A KR 20200152240 A KR20200152240 A KR 20200152240A KR 20220065571 A KR20220065571 A KR 20220065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screw
fastened
bal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4101B1 (ko
Inventor
채희진
Original Assignee
채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희진 filed Critical 채희진
Priority to KR1020200152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1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픽스쳐에서 스크류를 별도로 구성하고, 스프링 등을 추가함으로써 어버트먼트의 기능 일부를 픽스쳐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픽스쳐를 어버트먼트의 기능 일부를 수행하도록 상단에 스프링, 볼 등을 추가하고 몸통과 스크류부로 분리시킴으로써 다중 피스의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하여 스크류가 풀리는 문제를 방지하고, 크라운 교체시 크라운에 스크류홀이 없어 심미적인 효과가 있으며 크라운 교체 및 잇몸치료시 스크류를 분리할 필요없이 크라운을 탈,부착할 수 있어 임플란트 문제가 발생 했을때 수리보수가 간단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multiple piece type implant prosthesis}
본 발명은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픽스쳐에서 스크류를 별도로 구성하고, 스프링 등을 추가함으로써 어버트먼트의 기능 일부를 픽스쳐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치아 임플란트는 결손 된 치아의 수복을 위한 보철물 지지 용도로 턱뼈 안이나 위에 식립하는 고정체이다.
보통 잇몸과 잇몸 뼈에 식립되는 인공 치아 또는 제3의 치아라고도 한다.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턱뼈에 골 이식, 골 신장술 등의 부가적인 수술을 통하여,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부피를 늘린 턱뼈에 생체 적합적인 임플란트 본체를 심어서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치료 술식이다.
정상적인 기능이 유지되고 있는 턱뼈와 식립된 임플란트 본체 표면과의 형태적, 생리적, 직접적 결합인 골유착이 이루어진 후 임플란트 주위 턱뼈의 골 개조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나사 형태의 골 내 임플란트가 주로 사용되며, 임플란트 상부구조물(어버트먼트)를 나사로 체결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종래의 방식은 나사의 풀림 현상이 발생하며, 나사가 부러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치아를 임플란트에 고정하기 위하여 치아에 구멍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심미적인 효과와 내구성이 약해지며, 임플란트 식립 후 문제가 발생시 치아(크라운 또는 금속)를 파괴해야 한다.
이와 같이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하는 종래의 방식은 추가 비용 발생, 추가 치료 및 시술에 낭비되는 시간으로 인하여 환자들에게 불편함을 주고 크라운과 결합구조체 결합시 잇몸 하방에서 접착제를 구강 내에서 접착해야 하는 불편함과, 잔재된 접착제로 인하여 염증 및 치주염이 종종 발생되는 것이 현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355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픽스쳐를 어버트먼트의 기능 일부를 수행하도록 상단에 스프링, 볼 등을 추가하고 몸통과 스크류부로 분리시킴으로써 다중 피스의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하여 스크류가 풀리는 문제를 방지하고, 크라운 교체시 크라운에 스크류홀이 없어 심미적인 효과가 있으며 크라운 교체 및 잇몸치료시 스크류를 분리할 필요없이 크라운을 탈,부착할 수 있어 임플란트 문제가 발생 했을때 수리보수가 간단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에 스크류부(120)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몸체부(110)가 형성되는 픽스쳐(100)와, 상기 픽스쳐(100)의 상부에 체결되기 위해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200)을 포함하고, 상기 픽스쳐(100)는 스크류부(120)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스크류체결부(111)가 형성되는 몸체부(110)와, 하단은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몸체부(110)의 스크류체결부(111)를 관통하여 체결되되 나사산으로 형성된 하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부(120)와, 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수용되되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몸체부(110)의 볼관통부(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스프링(130)와, 일측이 하방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되 돌출된 부분이 스프링(130)의 개방된 일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회전방지부(140)와, 몸체부(110)의 볼관통부(112)에 각각 수용되는 볼(150)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10)는 몸체부(110)의 중앙을 관통하여 스크류부(120)가 체결되기 위한 관통홀로 형성되는 스크류체결부(111)와, 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갯수가 형성되되 볼(150)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볼관통부(112)와, 소정의 각도를 가진 다각형태로 형성되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회전방지부(113)와, 소정의 각도를 가진 다각형태로 형성되되 상부에 형성되는 제2회전방지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체결부(111)는 스크류부(120)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스크류체결부(111)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우징(200)은 하우징(200)의 하부에 위치한 내부 공간으로서 픽스쳐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픽스쳐(100)의 상부가 수용되는 픽스쳐체결부(210)와, 상기 하우징(200)의 상단에서 회전방지홈(212)의 상단까지 이어지도록 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이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관통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픽스쳐체결부(210)는 상기 픽스쳐(100)의 볼(150)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볼수용홈(211)과, 상기 몸체부(110)의 제2회전방지부(114)와 체결되도록 제2회전방지부(114)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방지홈(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픽스쳐를 어버트먼트의 기능 일부를 수행하도록 상단에 스프링, 볼 등을 추가하고 몸통과 스크류부로 분리시킴으로써 다중 피스의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하여 스크류가 풀리는 문제를 방지하고, 크라운 교체시 크라운에 스크류홀이 없어 심미적인 효과가 있으며 크라운 교체 및 잇몸치료 시 스크류를 분리할 필요 없이 크라운을 착탈할 수 있어 임플란트 문제가 발생했을 때 수리보수가 간단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픽스쳐(1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픽스쳐(10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 캐스팅용도로 사용할 때의 예시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은 픽스쳐(100)와 하우징(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구성 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픽스쳐(100)는 내부에 스크류부(120)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몸체부(110)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픽스쳐(100)는 몸체부(110), 스크류부(120), 스프링(130), 스프링회전방지부(140), 볼(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10)는 스크류부(120)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스크류체결부(111)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110)는 스크류체결부(111), 볼관통부(112), 제1회전방지부(113), 제2회전방지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체결부(111)는 몸체부(110)의 중앙을 관통하여 스크류부(120)가 체결되기 위한 관통홀이다. 상기 스크류체결부(111)는 스크류부(120)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스크류체결부(111)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볼관통부(112)는 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갯수가 형성되되 볼(150)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볼관통부(112)는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갯수가 형성되며 도면에는 6개의 볼관통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3개의 볼관통부(112)가 형성된다.
제1회전방지부(113)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회전방지부(113)는 소정의 각도를 가진 다각 형태로 형성되되 모서리가 각진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회전방지부(114)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제2회전방지부(114)는 소정의 각도를 가진 다각 형태로 형성되되 모서리가 각진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크류부(120)는 하단은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몸체부(110)의 스크류체결부(111)를 관통하여 체결되되 나사산으로 형성된 하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스프링(130)은 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수용되되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130)은 몸체부(110)의 볼관통부(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스프링회전방지부(140)는 일측이 하방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되 돌출된 부분이 스프링(130)의 개방된 일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회전방지부(140)가 형성됨으로써 스프링(13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볼(150)은 몸체부(110)의 볼관통부(112)에 각각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볼(150)은 볼관통부(112)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00)는 상기 픽스쳐(100)의 상부에 체결되기 위해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2(b)를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200)은 픽스쳐체결부(210), 관통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픽스쳐체결부(210)는 하우징(200)의 하부에 위치한 내부 공간으로서 픽스쳐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픽스쳐(100)의 상부가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픽스쳐체결부(210)는 볼수용홈(211)과 회전방지홈(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볼수용홈(211)은 상기 픽스쳐(100)의 볼(150)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회전방지홈(212)은 상기 몸체부(110)의 제2회전방지부(114)와 체결되도록 제2회전방지부(114)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관통부(220)는 상기 하우징(200)의 상단에서 회전방지홈(212)의 상단까지 이어지도록 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이 나사산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임플란트 보철물은 픽스쳐(100)를 부분화하여 구성하고 스프링과 볼 등을 픽스쳐부분에 구성함으로써 임플란트 치료시 나사가 별도로 풀리는 염려를 방지할 수 있으며, 크라운 교체시에도 쉽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픽스쳐(100)를 캐스팅(casting) 용도로 사용했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캐스팅(300)이 픽스쳐(100)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제1캐스팅을 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캐스팅(300)은 중간연결부(310)와 제1캐스팅몸체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간연결부(310)는 하단에 픽스쳐(100)가 체결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픽스쳐(100)의 상단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중간연결부(310)는 픽스쳐(100)의 상단이 체결되는 공간인 제1픽스쳐체결홀(311)이 형성되며, 제1픽스쳐체결홀(311)은 픽스쳐(100)의 볼(150) 부분이 수용되도록 일측에 제1볼수용홀(311a)이 형성되고, 픽스쳐(100)의 제2회전방지부(114)가 수용되도록 제2회전방지부제1수용홀(311b)이 형성된다.
또한 중간연결부(310)는 중간연결부(310)의 상단과 제1픽스쳐체결홀(311)의 상단이 연결되도록 소정 크기의 관 형태의 중간관통홀(312)이 형성되되 하부에는 나사산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중간연결부(310)는 상단이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되 제1캐스팅몸체부(320)와 체결되는 부분인 중간연결나사산부(313)를 포함한다.
제1캐스팅몸체부(320)는 중간연결부(310)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하부에 중간연결부수용홀(321)이 형성되되, 중간연결부(310)의 중간연결나사산부(313)와 대응되도록 나사산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캐스팅몸체부(320)는 체결장치가 수용되도록 체결장치수용관(322)이 형성되며 이는 제1캐스팅몸체부(320)의 상단과 중간연결부수용홀(321)의 상단을 관통하는 소정의 관 형태로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2캐스팅(400)이 픽스쳐(100)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를 참고하면 제2캐스팅(400)은 픽스쳐(100)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픽스쳐(100)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태인 제2픽스쳐체결홀(410)이 형성된다.
제2픽스쳐체결홀(410)은 픽스쳐(100)의 볼(150) 부분이 수용되도록 일측에 제2볼수용홀(411)이 형성되고, 픽스쳐(100)의 제2회전방지부(114)가 수용되도록 제2회전방지부제2수용홀(412)이 형성된다.
또한 제2픽스쳐체결홀(410)는 제2픽스쳐체결홀(410)의 상단과 제2픽스쳐체결홀(420)의 상단이 연결되되 외부로부터 체결장치가 수용되도록 소정 크기의 관 형태의 체결장치수용홀(420)이 형성되되 하부에는 나사산 형태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픽스쳐
110 몸체부
111 스크류체결부
112 볼관통부
113 제1회전방지부
114 제2회전방지부
120 스크류부
130 스프링
140 스프링회전방지부
150 볼
200 하우징
210 픽스쳐체결부
211 볼수용홈
220 관통부
300 제1캐스팅
310 중간연결부
311 제1픽스쳐체결홀
311a 제1볼수용홀
311b 제2회전방지부제1수용홀
312 중간관통홀
313 중간연결나사산부
320 제1캐스팅몸체부
321 중간연결부수용홀
322 체결장치수용관
400 제2캐스팅
410 제2픽스쳐체결홀
411 제2볼수용홀
412 제2회전방지부제2수용홀
420 체결장치수용홀

Claims (4)

  1. 내부에 스크류부(120)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몸체부(110)가 형성되는 픽스쳐(100)와,
    상기 픽스쳐(100)의 상부에 체결되기 위해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200)을 포함하고,

    상기 픽스쳐(100)는
    스크류부(120)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스크류체결부(111)가 형성되고 일측에 볼(150)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홀이 형성되는 몸체부(110)와,
    하단은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몸체부(110)의 스크류체결부(111)를 관통하여 체결되되 나사산으로 형성된 하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부(120)와,
    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수용되되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130)와,
    일측이 하방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되 돌출된 부분이 스프링(130)의 개방된 일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회전방지부(140)와,
    몸체부(110)에 형성된 수용홀에 각각 수용되는 볼(15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00)은
    하우징(200)의 하부에 위치한 내부 공간으로서 픽스쳐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픽스쳐(100)의 상부가 수용되는 픽스쳐체결부(210)와,
    상기 하우징(200)의 상단에서 일측까지 이어지도록 홀이 형성되는 관통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는
    몸체부(110)의 중앙을 관통하여 스크류부(120)가 체결되기 위한 관통홀로 형성되는 스크류체결부(111)와,
    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갯수가 형성되되 볼(150)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볼관통부(112)와,
    소정의 각도를 가진 다각 형태로 형성되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회전방지부(113)와,
    소정의 각도를 가진 다각 형태로 형성되되 상부에 형성되는 제2회전방지부(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체결부(210)는
    상기 픽스쳐(100)의 볼(150)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볼수용홈(211)과,
    상기 몸체부(110)의 제2회전방지부(114)와 체결되도록 제2회전방지부(114)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방지홈(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
  4. 내부에 스크류부(120)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몸체부(110)가 형성되는 픽스쳐(100)와,
    상기 픽스쳐(100)의 상부에 체결되기 위해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200)을 포함하고,

    상기 픽스쳐(100)는
    스크류부(120)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스크류체결부(111)가 형성되는 몸체부(110)와,
    하단은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몸체부(110)의 스크류체결부(111)를 관통하여 체결되되 나사산으로 형성된 하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부(120)와,
    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수용되되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몸체부(110)의 볼관통부(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스프링(130)와,
    일측이 하방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되 돌출된 부분이 스프링(130)의 개방된 일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회전방지부(140)와,
    몸체부(110)의 볼관통부(112)에 각각 수용되는 볼(150)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10)는
    몸체부(110)의 중앙을 관통하여 스크류부(120)가 체결되기 위한 관통홀로 형성되는 스크류체결부(111)와,
    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갯수가 형성되되 볼(150)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볼관통부(112)와,
    소정의 각도를 가진 다각형태로 형성되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회전방지부(113)와,
    소정의 각도를 가진 다각형태로 형성되되 상부에 형성되는 제2회전방지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체결부(111)는
    스크류부(120)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스크류체결부(111)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우징(200)은
    하우징(200)의 하부에 위치한 내부 공간으로서 픽스쳐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픽스쳐(100)의 상부가 수용되는 픽스쳐체결부(210)와,
    상기 하우징(200)의 상단에서 회전방지홈(212)의 상단까지 이어지도록 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이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관통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픽스쳐체결부(210)는
    상기 픽스쳐(100)의 볼(150)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볼수용홈(211)과,
    상기 몸체부(110)의 제2회전방지부(114)와 체결되도록 제2회전방지부(114)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방지홈(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
KR1020200152240A 2020-11-13 2020-11-13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 KR102464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240A KR102464101B1 (ko) 2020-11-13 2020-11-13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240A KR102464101B1 (ko) 2020-11-13 2020-11-13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571A true KR20220065571A (ko) 2022-05-20
KR102464101B1 KR102464101B1 (ko) 2022-11-04

Family

ID=81801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240A KR102464101B1 (ko) 2020-11-13 2020-11-13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10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9224A1 (en) * 1983-09-27 1985-05-02 Jack Soifer Detachable mounting for a dental fixtur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1435544B1 (ko) 2012-12-14 2014-09-02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의 지대주와 크라운 결합 구조 및 그 결합 방법
KR101966023B1 (ko) * 2018-11-01 2019-04-04 이동섭 치과용 임플란트
KR20200020784A (ko) * 2017-06-20 2020-02-26 유로테크니카 치아 복원용 조립체
KR102097376B1 (ko) * 2019-10-18 2020-04-06 채희진 임플란트의 힘을 분산가능하고 착탈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2107991B1 (ko) * 2019-10-18 2020-05-07 채희진 틀니체결용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9224A1 (en) * 1983-09-27 1985-05-02 Jack Soifer Detachable mounting for a dental fixtur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1435544B1 (ko) 2012-12-14 2014-09-02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의 지대주와 크라운 결합 구조 및 그 결합 방법
KR20200020784A (ko) * 2017-06-20 2020-02-26 유로테크니카 치아 복원용 조립체
KR101966023B1 (ko) * 2018-11-01 2019-04-04 이동섭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97376B1 (ko) * 2019-10-18 2020-04-06 채희진 임플란트의 힘을 분산가능하고 착탈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2107991B1 (ko) * 2019-10-18 2020-05-07 채희진 틀니체결용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101B1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259B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1633258B1 (ko) 시술 및 보정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US5336090A (en) Transmucosal healing cap and lockwasher for dental implants
US4856994A (en) Periodontal restoration components
US6135773A (en) Single tooth alignment system
JP5017285B2 (ja) セラミック/金属製の歯科用アバットメント
US5863200A (en) Angled dental implant
US6655961B2 (en) Modified dental implant fixture
US4988298A (en) Precision abutment base
US20080227057A1 (en) Narrow Dental Implant and Associated Parts
KR100594753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US8657602B2 (en) Waved implant integrating soft tissue area and osseous tissue area
EP2213258A2 (en) Dental abutment with indentation for inhibition of crestal bone remodeling
JP4727333B2 (ja) 磁性アタッチメント用歯科インプラント
KR100842318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슬리브 및 그를 구비한 치과 임플란트
KR102097376B1 (ko) 임플란트의 힘을 분산가능하고 착탈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200383246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WO2019017813A1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винт и набор для имплантации
KR102464101B1 (ko)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
CN111465366B (zh) 具有部分跨粘膜穿透性的牙科植入物和包括这种植入物的假体组件
WO2008002065A1 (en) An implant ring and dental implant using the same
JP2012075466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WO2015037812A1 (ko) 일체형 임플란트
KR102339789B1 (ko)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KR102021101B1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임플란트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