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509A - 냉수탱크 - Google Patents

냉수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509A
KR20220065509A KR1020200152103A KR20200152103A KR20220065509A KR 20220065509 A KR20220065509 A KR 20220065509A KR 1020200152103 A KR1020200152103 A KR 1020200152103A KR 20200152103 A KR20200152103 A KR 20200152103A KR 20220065509 A KR20220065509 A KR 20220065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module
water tank
cold
conduction plate
modu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3840B1 (ko
Inventor
마상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엘.아이
마상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엘.아이, 마상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엘.아이
Priority to KR1020200152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8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69Cooling arrangements using solid state elements, e.g. Peltie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4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Abstract

본 발명은 냉수탱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열전모듈하우징 내에 완충구조로 냉전도판과 열전모듈을 순차적으로 삽입안착시키고 열전모듈 둘레부분에 에폭시를 충전한 후에 열전도판을 덮어 일정시간과 온도로 접착되도록 하여 조립체로 완성되는 열전모듈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열전모듈에 대해 조립시 완충구조가 적용되어 충격 등으로 인한 열전모듈의 파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열전모듈의 둘레부분에 대하여 에폭시 충전을 통해 긴밀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열전모듈 측으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열전모듈의 충격 등에 의한 파손 및 수분침투를 방지하면서 열전모듈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열전모듈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을 현격히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냉수탱크{Cold water tank}
본 발명은 냉수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모듈하우징 내에 완충구조로 냉전도판과 열전모듈을 순차적으로 삽입안착시키고 열전모듈 둘레부분에 에폭시를 충전한 후에 열전도판을 덮어 일정시간과 온도로 접착되도록 하여 조립체로 완성되는 열전모듈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열전모듈에 대해 조립시 완충구조가 적용되어 충격 등으로 인한 열전모듈의 파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열전모듈의 둘레부분에 대하여 에폭시 충전을 통해 긴밀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열전모듈 측으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열전모듈의 충격 등에 의한 파손 및 수분침투를 방지하면서 열전모듈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열전모듈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을 현격히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냉수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정수기는 수도수 또는 자연수 등의 원수(原水)를 복수 개의 필터를 이용해 여과한 다음, 바로 마실 수 있는 음용수를 제공하거나, 또는 정수된 음용수를 저수탱크에 저장한 다음, 별도의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를 구비하여 냉수나 온수를 제공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갖는다.
종래의 정수기로서,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5933호 2012.08.16. 등록.)에서 보는 바와 같은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언더싱크용 냉정수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종래의 언더싱크용 냉정수기는 주방의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는 언더싱크용 냉정수기에 있어서, 원수공급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받아 복수개의 필터를 이용하여 음용 가능한 음용수로 정수되게 하는 정수 키트(kit); 및 상기 정수 키트를 통해 음용수로 정수된 물을 저장한 후 냉각시킬 수 있도록 열전반도체 유닛(unit)을 구비하는 냉정수 키트;를 포함하며, 상기 냉정수 키트는 상기 정수 키트에서 정수된 물이 저장되도록, 저수 탱크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저수 탱크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연결되는 저수 탱크 본체 플레이트, 상기 저수 탱크 본체 플레이트를 감싸는 저수탱크 덮개, 그리고 스테인레스 강으로 구비된 상기 저수탱크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저수탱크 본체 플레이트를 상호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밀착면에 플라스틱 재질의 홀더가 개입되는 구성인 저수 탱크와, 상기 저수 탱크 표면에 부착되어 저장된 물을 냉각시킬 수 있는 열전반도체와, 상기 열전반도체의 흡열면과 상기 저수 탱크의 저수 탱크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홀더를 통해 상기 저수탱크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스페이스 블락과, 상기 열전반도체의 발열면에 접합되어 일단의 원수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물을 상기 싱크대 하부에 위치한 하수구를 통해 타단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수냉에 의한 방열 방식을 취하게 하는 수냉 블락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처리 기기인 냉정수기에서의 종래의 냉수탱크는 열전반도체의 조립시 완충구조가 없으며, 이에 따라 냉수탱크의 요부인 열전반도체에 대해 충격 등으로 인한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수탱크는 열전반도체의 둘레부분에 대하여 별도의 기밀처리가 없으므로, 열전반도체 측으로 수분침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열전반도체의 충격 등에 의한 파손 및 수분침투 등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함에 따라 냉각을 위한 요부인 열전반도체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열전반도체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 비용이 현격히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열전반도체에 대해 조립시 완충구조가 적용되어 충격 등으로 인한 열전반도체의 파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열전반도체의 둘레부분에 대하여 긴밀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열전반도체 측으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열전반도체의 충격 등에 의한 파손 및 수분침투를 방지하면서 열전반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유지관리비용을 현격히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냉수탱크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5933호 2012.08.16.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66541호 2017.08.02.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23619호 2019.09.16.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38030호 2019.10.23.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전모듈하우징 내에 완충구조로 냉전도판과 열전모듈을 순차적으로 삽입안착시키고 열전모듈 둘레부분에 에폭시를 충전한 후에 열전도판을 덮어 일정시간과 온도로 접착되도록 하여 조립체로 완성되는 열전모듈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열전모듈에 대해 조립시 완충구조가 적용되어 충격 등으로 인한 열전모듈의 파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수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열전모듈하우징 내에 완충구조로 냉전도판과 열전모듈을 순차적으로 삽입안착시키고 열전모듈 둘레부분에 에폭시를 충전한 후에 열전도판을 덮어 일정시간과 온도로 접착되도록 하여 조립체로 완성되는 열전모듈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열전모듈의 둘레부분에 대하여 에폭시 충전을 통해 긴밀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열전모듈 측으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열전모듈하우징 내에 완충구조로 냉전도판과 열전모듈을 순차적으로 삽입안착시키고 열전모듈 둘레부분에 에폭시를 충전한 후에 열전도판을 덮어 일정시간과 온도로 접착되도록 하여 조립체로 완성되는 열전모듈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열전모듈의 충격 등에 의한 파손 및 수분침투를 방지하면서 열전모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와 달리 열전모듈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을 현격히 절감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 적용되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임시로 저장하면서 냉각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물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을 갖는 수조본체와 수조본체의 개방 측을 덮는 수조커버로 구성되되, 수조본체의 플랜지보다 와 수조커버의 플랜지가 외향 더 길게 구비되어 수조본체와 수조커버가 상호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수조; 상기 수조본체의 플랜지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부분에 대하여 실링처리하는 실링패킹; 상기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후방으로부터 각각의 플랜지 후면에 밀착되어 수조커버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며, 'ㄷ'자 형상의 상부고정프레임과 하부고정프레임으로 제공되어 수조의 상, 하부로부터 마주하여 개방된 측 단부가 엇갈려 홈과 돌기 구조로 상호 연결된 후 고정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수조의 수조본체 외면 부분을 감싸면서 수조본체에 대하여 외부와 열교환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단열재본체; 상기 수조의 수조커버 부분에 밀착되어 단열재본체의 개방부분을 덮으면서 수조커버에 대하여 외부와 열교환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단열재커버; 수조 측으로 열전모듈에 의해 발생하는 냉기를 전달하기 위해 일 측이 단열재커버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수조커버와 밀착되도록 수조커버에 고정설치되는 열전모듈유닛; 일 측이 열전모듈유닛의 타 측에 접촉되게 연결설치되며, 열전모듈유닛으로부터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의 타 측에 연결설치되며, 공기가 상기 방열판에 유입되도록 하여 방열판을 냉각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열전모듈유닛은 장방형의 틀 형상으로 제공되어 내부공간 후단에 내향 구속리브가 일정길이 돌출되며, 일 측인 후면이 수조커버와 밀착 배치되는 열전모듈하우징과, 열전모듈하우징의 타 측인 전방으로부터 삽입안착되되, 전방의 폭 방향 양측에 외향 단이 지게 돌출된 걸림단턱이 열전모듈하우징의 구속리브와 완충스프링이 개재되어 밀착되며, 후면이 열전모듈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수조커버와 밀착 배치되는 냉전도판과, 열전모듈하우징 내부에 삽입설치되되, 흡열 측인 후면이 냉전도판의 전면과 밀착되어 수조커버 측으로 냉기가 전달되도록 하는 열전모듈 및 후면이 열전모듈의 발열 측인 전면에 밀착되고, 전면에 접촉되게 연결설치된 방열판을 통해 열전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전도시키며, 열전모듈하우징 내에 냉전도판과 열전모듈을 삽입시키고 접착수단을 충전한 후 열전모듈하우징의 열전모듈 측을 덮어 열전모듈하우징, 냉전도판, 열전모듈과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는 열전도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열전도판은 열전모듈하우징 내에 냉전도판과 열전모듈을 삽입시킨 후에 접착수단으로서 에폭시를 충전한 후 열전모듈하우징의 열전모듈 측을 덮어 지그로 고정한 상태에서, 전기오븐에서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의 조건으로 가열하여 열전모듈하우징, 냉전도판, 열전모듈과 상호 접착되면서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도록 제작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에폭시에 대해 접착을 위한 전기오븐에서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의 조건은 80도의 온도조건 및 4시간의 시간조건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전모듈하우징은 둘레방향 사방에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돌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열전도판은 열전모듈하우징을 덮어 밀착될 때 사방 모서리 부분이 열전모듈하우징의 고정돌부가 삽입고정되도록 고정돌부와 대응되어 사방 모서리 부분에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열전모듈하우징은 열전도판이 밀착되는 측으로부터 방열판이 고정볼트를 통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돌부 내부에 너트가 인서트 사출을 통해 구비되는 한편, 열전도판이 밀착되는 측으로부터 방열판이 밀착된 상태로 인서트 너트에 고정볼트가 체결되면서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전모듈하우징은 전면 둘레부분에 대하여 접착수단이 충전되어 열전도판과 접착될 수 있도록, 전면 둘레부분을 따라 접착수단이 충전되는 충전홈이 더 함몰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열전모듈하우징 내에 완충구조로 냉전도판과 열전모듈을 순차적으로 삽입안착시키고 열전모듈 둘레부분에 에폭시를 충전한 후에 열전도판을 덮어 일정시간과 온도로 접착되도록 하여 조립체로 완성되는 열전모듈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열전모듈에 대해 조립시 완충구조가 적용되어 충격 등으로 인한 열전모듈의 파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열전모듈하우징 내에 완충구조로 냉전도판과 열전모듈을 순차적으로 삽입안착시키고 열전모듈 둘레부분에 에폭시를 충전한 후에 열전도판을 덮어 일정시간과 온도로 접착되도록 하여 조립체로 완성되는 열전모듈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열전모듈의 둘레부분에 대하여 에폭시 충전을 통해 긴밀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열전모듈 측으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열전모듈하우징 내에 완충구조로 냉전도판과 열전모듈을 순차적으로 삽입안착시키고 열전모듈 둘레부분에 에폭시를 충전한 후에 열전도판을 덮어 일정시간과 온도로 접착되도록 하여 조립체로 완성되는 열전모듈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열전모듈의 충격 등에 의한 파손 및 수분침투를 방지하면서 열전모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와 달리 열전모듈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을 현격히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를 나타낸 결합 단면예시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요부인 열전모듈유닛에 대한 조립구조를 조립되는 단계별로 나타낸 요부 조립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요부인 열전모듈유닛에 대한 조립구조를 나타낸 요부 결합 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를 나타낸 결합 단면예시도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요부인 열전모듈유닛에 대한 조립구조를 조립되는 단계별로 나타낸 요부 조립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요부인 열전모듈유닛에 대한 조립구조를 나타낸 요부 결합 단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수탱크는 수조(100), 실링패킹(200), 고정프레임(300), 단열재본체(410), 단열재커버(420), 열전모듈유닛(500), 방열판(600) 및 냉각팬(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조(100)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 적용되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임시로 저장하면서 냉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수조(100)는 내부에 물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을 갖는 수조본체(110)와 수조본체(120)의 개방 측을 덮는 수조커버(1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수조(100)는 특히, 수조본체(110)의 플랜지(111)보다 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121)가 외향 더 길게 구비되어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가 상호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수조(100)를 구성하는 수조본체(110)는 내부에 분리벽체(110a)가 구비되어 물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분리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링패킹(200)은 상기 수조본체(110)의 플랜지(111)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부분에 대하여 실링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300)은 상기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후방으로부터 각각의 플랜지(111, 121) 후면에 밀착되어 수조커버(120)와 고정수단(300a)을 통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300a)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트로 제공되어 고정프레임(300)에 대하여 수조커버(120)와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고정프레임(300)은 'ㄷ'자 형상의 상부고정프레임(310)과 하부고정프레임(320)으로 제공되어 수조(100)의 상, 하부로부터 마주하여 개방된 측 단부가 엇갈려 홈과 돌기 구조로 상호 연결된 후 고정볼트(330)를 통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단열재본체(410)는 상기 수조(100)의 수조본체(110) 외면 부분을 감싸면서 수조본체(110)에 대하여 외부와 열교환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단열재본체(4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로 분할된 한 쌍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커버(420)는 상기 수조(100)의 수조커버(120) 부분에 밀착되어 단열재본체(410)의 개방부분을 덮으면서 수조커버(120)에 대하여 외부와 열교환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단열재커버(420)는 단열재본체(410)와 마찬가지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로 분할된 한 쌍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물론 분할됨이 없이 1개의 부재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전모듈유닛(500)은 수조 측으로 열전모듈(530)에 의해 발생하는 냉기를 전달하기 위해 일 측이 단열재커버(420)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수조커버(120)와 밀착되도록 수조커버(120)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600)은 일 측이 열전모듈유닛(500)의 타 측에 접촉되게 연결설치되며, 열전모듈유닛(500)으로부터의 열을 방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각팬(700)은 상기 방열판(600)의 타 측에 연결설치되며, 공기가 상기 방열판(600)에 유입되도록 하여 방열판(600)을 냉각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에서, 요부인 상기 열전모듈유닛(500)은 열전모듈의 충격 등에 의한 파손 및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크게 분류하면 열전모듈하우징(510)과, 냉전도판(520)과, 열전모듈(530) 및 열전도판(54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열전모듈하우징(510)은 장방형의 틀 형상으로 제공되어 내부공간 후단에 내향 구속리브(511)가 일정길이 돌출되며, 일 측인 후면이 수조커버(120)와 밀착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전도판(520)은 열전모듈하우징(510)의 타 측인 전방으로부터 삽입안착되되, 전방의 폭 방향 양측에 외향 단이 지게 돌출된 걸림단턱(521)이 열전모듈하우징(510)의 구속리브(510)와 완충스프링(510a)이 개재되어 밀착된다.
상기와 같은 냉전도판(520)은 특히, 후면이 열전모듈하우징(510)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수조커버(510)와 밀착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전모듈(530)은 열전모듈하우징(510) 내부에 삽입설치되되, 흡열 측인 후면이 냉전도판(520)의 전면과 밀착되어 수조커버(120) 측으로 냉기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전도판(540)은 후면이 열전모듈(530)의 발열 측인 전면에 밀착되어, 전면에 접촉되게 연결설치된 방열판(600)을 통해 열전모듈(53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전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열전도판(540)은 특히, 열전모듈하우징(510) 내에 냉전도판(520)과 열전모듈(530)을 삽입시키고 접착수단을 충전한 후 열전모듈하우징(510)의 열전모듈(530) 측을 덮어 열전모듈하우징(510), 냉전도판(520), 열전모듈(530)과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의 상태에서 접착수단으로서 에폭시를 냉전도판(520)과 열전모듈(530)이 삽입된 주변에 충전한 후 열전도판(540)을 덮어 마감하며, 충전된 에폭시를 일정온도와 시간에 걸쳐 가열하여 열전모듈하우징(510), 냉전도판(520), 열전모듈(530)과 열전도판(540)이 상호 접착되도록 하여 열전모듈유닛(500)을 제작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열전도판(540)은 열전모듈하우징(510) 내에 냉전도판(520)과 열전모듈(530)을 삽입시킨 후에 접착수단으로서 에폭시를 충전한 후 열전모듈하우징(510)의 열전모듈(530) 측을 덮어 지그로 고정한 상태에서, 전기오븐에서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의 조건으로 가열하여 열전모듈하우징(510), 냉전도판(520), 열전모듈(530)과 상호 접착되면서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도록 제작된다.
이때, 에폭시에 대해 접착을 위한 전기오븐에서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의 조건은 80도의 온도조건 및 4시간의 시간조건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열전모듈하우징(510) 내에 냉전도판(520)과 열전모듈(530)을 삽입시킨 후에 접착수단으로서 에폭시를 충전한 후 열전모듈하우징(510)의 열전모듈(530) 측을 열전도판(540)으로 덮어 지그로 고정한 상태에서, 전기오븐에서 80도의 온도조건 및 4시간에 걸쳐 가열하면서 상호 접착을 통해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면서 열전모듈(500)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열전모듈유닛(500)에서, 특히 상기 열전모듈하우징(510)은 둘레방향 사방에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돌부(5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열전도판(540)은 열전모듈하우징(510)을 덮어 밀착될 때 사방 모서리 부분이 열전모듈하우징(510)의 고정돌부(513)가 삽입고정되도록 고정돌부(513)와 대응되어 사방 모서리 부분에 고정홀(543)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열전모듈하우징(510)은 열전도판(540)이 밀착되는 측으로부터 방열판(600)이 고정볼트를 통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돌부(513) 내부에 너트(미도시)가 인서트 사출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열전모듈하우징(510)은 열전도판(540)이 밀착되는 측으로부터 방열판(600)이 밀착된 상태로 인서트 너트(미도시)에 고정볼트(미도시)가 체결되면서 고정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열전모듈유닛(500)에서의 상기 열전모듈하우징(510)은 전면 둘레부분에 대하여 접착수단이 충전되어 열전도판(540)과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열전모듈하우징(510)은 전면 둘레부분을 따라 접착수단이 충전되는 충전홈(515)이 더 함몰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열전모듈유닛(500)은 에폭시 충전 후 가열을 통해 열전모듈하우징(510)과, 냉전도판(520)과, 열전모듈(530) 및 열전도판(540)이 상호 접착되면서 일체화되게 제작된 상태에서 수조커버(120) 전면에 냉전도판(520)이 밀착되도록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은 예컨대, 수조커버(120)의 후면으로부터 관통하여 냉전도판(520)의 후면에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되는 볼트 등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한 것이며, 이때 냉전도판(520)의 후면에는 사방에 대하여 나사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상기 고정수단은 수조커버(120)의 후면에 배치되는 너트부재 및 열전모듈유닛(500)에 대한 제작시 내설되어 냉전도판(520)을 관통하여 냉전도판(520) 후면 측으로 돌출된 나사부를 갖는 볼트부재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에서, 미설명 부호인 "UL"은 수조(100) 내부의 물에 대하여 살균시키기 위한 살균램프유닛이고, "S1"는 방열판(600) 외부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방열온도센서이며, "S2"는 수조(100) 내부의 물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냉수온도센서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에 의하면, 열전모듈하우징 내에 완충구조로 냉전도판과 열전모듈을 순차적으로 삽입안착시키고 열전모듈 둘레부분에 에폭시를 충전한 후에 열전도판을 덮어 일정시간과 온도로 접착되도록 하여 조립체로 완성되는 열전모듈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열전모듈에 대해 조립시 완충구조가 적용되어 충격 등으로 인한 열전모듈의 파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열전모듈하우징 내에 완충구조로 냉전도판과 열전모듈을 순차적으로 삽입안착시키고 열전모듈 둘레부분에 에폭시를 충전한 후에 열전도판을 덮어 일정시간과 온도로 접착되도록 하여 조립체로 완성되는 열전모듈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열전모듈의 둘레부분에 대하여 에폭시 충전을 통해 긴밀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열전모듈 측으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열전모듈하우징 내에 완충구조로 냉전도판과 열전모듈을 순차적으로 삽입안착시키고 열전모듈 둘레부분에 에폭시를 충전한 후에 열전도판을 덮어 일정시간과 온도로 접착되도록 하여 조립체로 완성되는 열전모듈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열전모듈의 충격 등에 의한 파손 및 수분침투를 방지하면서 열전모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와 달리 열전모듈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을 현격히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수조 110: 수조본체
111: 플랜지 110a: 분리벽체
120: 수조커버 121: 플랜지
200: 실링패킹 300: 고정프레임
310: 상부고정프레임 320: 하부고정프레임
330: 고정볼트 300a: 고정수단
410: 단열재본체 420: 단열재커버
500: 열전모듈유닛 510: 열전모듈하우징
511: 구속리브 513: 고정돌부
515: 충전홈 510a: 완충스프링
520: 냉전도판 521: 걸림단턱
530: 열전모듈 540: 열전도판
543: 고정홀 600: 방열판
700: 냉각팬
UL: 살균램프유닛
S1: 방열온도센서
S2: 냉수온도센서

Claims (7)

  1.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 적용되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임시로 저장하면서 냉각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물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을 갖는 수조본체(110)와 수조본체(120)의 개방 측을 덮는 수조커버(120)로 구성되되, 수조본체(110)의 플랜지(111)보다 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121)가 외향 더 길게 구비되어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가 상호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수조(100);
    상기 수조본체(110)의 플랜지(111)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부분에 대하여 실링처리하는 실링패킹(200);
    상기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후방으로부터 각각의 플랜지(111, 121) 후면에 밀착되어 수조커버(120)와 고정수단(300a)을 통해 고정되며, 'ㄷ'자 형상의 상부고정프레임과 하부고정프레임으로 제공되어 수조의 상, 하부로부터 마주하여 개방된 측 단부가 엇갈려 홈과 돌기 구조로 상호 연결된 후 고정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00);
    상기 수조(100)의 수조본체(110) 외면 부분을 감싸면서 수조본체(110)에 대하여 외부와 열교환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단열재본체(410);
    상기 수조(100)의 수조커버(120) 부분에 밀착되어 단열재본체(410)의 개방부분을 덮으면서 수조커버(120)에 대하여 외부와 열교환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단열재커버(420);
    수조 측으로 열전모듈(530)에 의해 발생하는 냉기를 전달하기 위해 일 측이 단열재커버(420)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수조커버(120)와 밀착되도록 수조커버(120)에 고정설치되는 열전모듈유닛(500);
    일 측이 열전모듈유닛(500)의 타 측에 접촉되게 연결설치되며, 열전모듈유닛(500)으로부터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600); 및
    상기 방열판(600)의 타 측에 연결설치되며, 공기가 상기 방열판(600)에 유입되도록 하여 방열판(600)을 냉각하는 냉각팬(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수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유닛(500)은 장방형의 틀 형상으로 제공되어 내부공간 후단에 내향 구속리브(511)가 일정길이 돌출되며, 일 측인 후면이 수조커버(120)와 밀착 배치되는 열전모듈하우징(510)과,
    열전모듈하우징(510)의 타 측인 전방으로부터 삽입안착되되, 전방의 폭 방향 양측에 외향 단이 지게 돌출된 걸림단턱(521)이 열전모듈하우징(510)의 구속리브(510)와 완충스프링(510a)이 개재되어 밀착되며, 후면이 열전모듈하우징(510)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수조커버(510)와 밀착 배치되는 냉전도판(520)과,
    열전모듈하우징(510) 내부에 삽입설치되되, 흡열 측인 후면이 냉전도판(520)의 전면과 밀착되어 수조커버(120) 측으로 냉기가 전달되도록 하는 열전모듈(530) 및
    후면이 열전모듈(530)의 발열 측인 전면에 밀착되고, 전면에 접촉되게 연결설치된 방열판(600)을 통해 열전모듈(53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전도시키며, 열전모듈하우징(510) 내에 냉전도판(520)과 열전모듈(530)을 삽입시키고 접착수단을 충전한 후 열전모듈하우징(510)의 열전모듈(530) 측을 덮어 열전모듈하우징(510), 냉전도판(520), 열전모듈(530)과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는 열전도판(5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540)은 열전모듈하우징(510) 내에 냉전도판(520)과 열전모듈(530)을 삽입시킨 후에 접착수단으로서 에폭시를 충전한 후 열전모듈하우징(510)의 열전모듈(530) 측을 덮어 지그로 고정한 상태에서, 전기오븐에서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의 조건으로 가열하여 열전모듈하우징(510), 냉전도판(520), 열전모듈(530)과 상호 접착되면서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에폭시에 대해 접착을 위한 전기오븐에서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의 조건은 80도의 온도조건 및 4시간의 시간조건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하우징(510)은 둘레방향 사방에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돌부(513)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열전도판(540)은 열전모듈하우징(510)을 덮어 밀착될 때 사방 모서리 부분이 열전모듈하우징(510)의 고정돌부(513)가 삽입고정되도록 고정돌부(513)와 대응되어 사방 모서리 부분에 고정홀(543)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하우징(510)은 열전도판(540)이 밀착되는 측으로부터 방열판(600)이 고정볼트를 통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돌부(513) 내부에 너트가 인서트 사출을 통해 구비되는 한편,
    열전도판(540)이 밀착되는 측으로부터 방열판(600)이 밀착된 상태로 인서트 너트에 고정볼트가 체결되면서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하우징(510)은 전면 둘레부분에 대하여 접착수단이 충전되어 열전도판(540)과 접착될 수 있도록,
    전면 둘레부분을 따라 접착수단이 충전되는 충전홈(515)이 더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KR1020200152103A 2020-11-13 2020-11-13 냉수탱크 KR102453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103A KR102453840B1 (ko) 2020-11-13 2020-11-13 냉수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103A KR102453840B1 (ko) 2020-11-13 2020-11-13 냉수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509A true KR20220065509A (ko) 2022-05-20
KR102453840B1 KR102453840B1 (ko) 2022-10-14

Family

ID=81798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103A KR102453840B1 (ko) 2020-11-13 2020-11-13 냉수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84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920A (ja) * 1995-01-25 1996-08-09 Hitachi Ltd 浄水冷却器
KR101175933B1 (ko) 2010-01-15 2012-08-22 주식회사 리빙케어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언더싱크용 냉정수기
KR20150062009A (ko) *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바이온텍 열전소자를 가지는 정수기용 유체 냉각장치
KR20150125396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리빙케어 열전모듈이 적용된 정수기
KR101766541B1 (ko) 2015-11-26 2017-08-23 (주)신우엠테크 콜드싱크 일체형 냉수탱크
KR101898639B1 (ko) * 2017-04-19 2018-09-14 주식회사 리빙케어 냉수 공급장치의 수통구조
KR102023619B1 (ko) 2010-12-29 2019-09-23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920A (ja) * 1995-01-25 1996-08-09 Hitachi Ltd 浄水冷却器
KR101175933B1 (ko) 2010-01-15 2012-08-22 주식회사 리빙케어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언더싱크용 냉정수기
KR102023619B1 (ko) 2010-12-29 2019-09-23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KR20150062009A (ko) *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바이온텍 열전소자를 가지는 정수기용 유체 냉각장치
KR20150125396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리빙케어 열전모듈이 적용된 정수기
KR101766541B1 (ko) 2015-11-26 2017-08-23 (주)신우엠테크 콜드싱크 일체형 냉수탱크
KR101898639B1 (ko) * 2017-04-19 2018-09-14 주식회사 리빙케어 냉수 공급장치의 수통구조
KR102038030B1 (ko) 2017-04-19 2019-10-30 주식회사 리빙케어 냉수 공급장치 및 냉수 공급을 위한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840B1 (ko)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01554T3 (es) Contenedor.
US11749853B2 (en) Battery module
CA2879787C (en) Steam sterilizer
KR20220051147A (ko)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428020B (zh) 框体以及电池模组
US20110073286A1 (en) Water-cooled heat dissipation system and water tank thereof
ES2333192B1 (es) Modulos de refrigeracion termoelectrica.
MX2014009376A (es) Carcasa para modulo electrico de un paquete de bateria para vehiculo motor y paquete de bateria asociado.
US6587339B1 (en) Protective pot or container
US11949077B2 (en) Battery module
KR102453840B1 (ko) 냉수탱크
KR20200034058A (ko) 배터리 팩 냉각장치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장치
US20060029114A1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US20040238160A1 (en) Heat dissipating device
US20120325280A1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units
US9894715B2 (en) Electric heating device
EP1037000A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fluid by use of thermoelectric device
US7256999B1 (en) Heat collector plate for an electronic display
KR101980268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KR101980266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KR102354221B1 (ko) 냉수탱크
US20030184981A1 (en) Protective pot or container
TWI678017B (zh) 改善排熱的電池
CN109425156B (zh) 储液器组件、压缩机组件及空调器
JP3660325B2 (ja) 給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