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342A -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construction lift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construction li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342A
KR20220065342A KR1020200151725A KR20200151725A KR20220065342A KR 20220065342 A KR20220065342 A KR 20220065342A KR 1020200151725 A KR1020200151725 A KR 1020200151725A KR 20200151725 A KR20200151725 A KR 20200151725A KR 20220065342 A KR20220065342 A KR 20220065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able
cage
mobile communication
winding
guidan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7959B1 (en
Inventor
조남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호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호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호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200151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959B1/en
Publication of KR20220065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3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9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4Power supply or signal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a construction lift which can prevent a communication cable from being separated or disconnected when a cage is moved up and down. The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a construction lift comprises: a repeater (30) of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a fixed communication cable (300) outside the cage (10); a winding unit (40) around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is wound, wherei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communication cable (300) of the repeater (30) is fixedly connected to the winding unit (40); a receiver (50) which is provided in the cage (10)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is unwound according as the cage (10) is moved up and down,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wound around the winding unit (40) is connected to the receiver (50); and a pulley (60) which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inding unit (40),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Description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construction lift}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construction lift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사람이나 작업도구 등을 건물의 상,하층에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건설용 리프트의 케이지에 통신케이블을 설치하는 데 있어,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로서, 구체적으로는 건설용 리프트에서 지상에 설치된 중계기와 케이지 내의 수신기를 유선으로 연결 배선한 통신케이블이 사용되며, 이러한 통신케이블이 케이지의 승하강시 보다 효율적으로 감기거나 풀리도록 유도하여 정해진 일정한 위치에 권선되도록 하며 정확한 위치에 케이지를 승하강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권선시 통신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한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e device for a construction lift when a communication cable is installed in a cage of a construction lift used to transport people or work tools to the upper and lower floors of a building at a construction site. In the construction lift, a communication cable that connects the repeater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receiver in the cage by wire is used, and this communication cable is wound or unwound more efficiently when the cage is raised or lowered so that it is wound at a fixed location and positioned accurately. It relates to a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e device for a construction lift that makes it possible to raise and lower the cage and prevent the communication cable from being twisted during winding.

일반적으로 건설용 승,하강 리프트(Lifter)는 건설현장 및 각종 산업현장에서 자재 및 인부의 층간 이동 또는 수하물의 수직방향 이송 등에 두루 사용할 수 있는 설비 장치를 말한다.In general, a lifting/lowering lift for construction refers to a facility that can be used for moving materials and workers between floors or transporting luggag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construction sites and various industrial sites.

대개, 건설용 리프터는 적재 용량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르지만, 자재 및 인부를 태울 수 있는 박스형의 케이지와, 설치자리 면에서 원하는 높이까지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케이지의 승,하강 경로가 되는 마스트(mast)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케이지와 마스트는 레일을 이용하여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어진다.In general, the size of the lifter for construction varies depending on the loading capacity, but a box-type cage that can hold materials and workers, and a mast that is erected vertically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to a desired height to serve as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path of the cage is composed of, and these cages and masts are installed to slide with each other using rails.

또, 상기 케이지에는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와, 리프터의 정지를 위한 제동장치와, 제동장치의 고장으로 인한 사고 방지를 위하여 이중 안전장치의 일종인 낙하방지장치 및 안전고리, 그리고 철구조물로서 소정 체적을 갖는 박스형의 적재함과, 구동장치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장치 등을 포함하고 있음은 물론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전력 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age includes a driving device such as a motor, a braking device for stopping the lifter, a fall prevention device and a safety ring, which are a kind of double safety device to prevent accidents due to a failure of the braking device, and a steel structure with a predetermined volume. A box-type loading box with

또한, 상기 마스트는 다수의 고강도 구조 관으로 트러스트 구조를 이룬 골격 구조물로서, 건설현장의 설치자리 면에서 승,하강 리프트가 올라가야 하는 필요 높이까지 조립하여 수직으로 건축물을 따라 세워지게 한 골격 구조물의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mast is a skeletal structure that has a trust structure with a plurality of high-strength structural pipes, and is assembled to the required height for lifting and lowering lifts to rise from the installation site of the construction site. have a form

한편, 상기 케이지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 공급장치에는 전원을 공급시켜 주기 위한 전력 케이블이 연결되는데, 이와 같은 전력 케이블은 지상의 전력 공급기에 일단 부를 고정하고 그 중간부는 마스트의 상단부에 설치한 지지바의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에 걸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지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 공급장치에 연결하되, 상기 로울러와 케이지 전력공급장치 사이의 전력 케이블 상에는 중량체를 갖는 이동형 도르래를 설치하여 마스트를 따라 승,하강 이동되는 케이지의 위치에 부응하여 중량체인 이동형 도르래가 회동 되며 전력 케이블이 꼬이거나 흔들리지 않고 승,하강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power cable for supplying power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installed in the cage. This power cable has one end fixed to the ground power supply and the middle part of the support bar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mas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installed in the cage over the cable support roller, but a movable pulley having a weight is installed on the power cable between the roller and the cage power supply devic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mast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cage, the heavy chain movable pulley rotates and the power cable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without twisting or shaking.

물론, 상기에 있어서 중량체인 이동형 도르래는 바람 등에 의해 흔들릴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지지바와 지면 사이에 로프를 두줄로 팽팽하게 설치하고 전력 케이블 이동형 도르래 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로프가 끼워질 수있는 가이드봉을 설치하여 리프트 카의 승,하강 이동에 부응하여 전력 케이블이 승,하강 이동될 때 상기 이동형 도르래의 로울러가 전력 케이블의 외주면을 따라 몸체의 축상에서 아이들 회동하면서 그 자체가 상기 로프를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형 도르래 자체가 승,하강 이동될 시 바람 등에 의해 흔들리지 않게 되므로 전력 케이블이 꼬이지 않고 원활히 승,하강 이동되며,Of course, in the above, since the movable pulley, which is a heavy chain, has a risk of being shaken by wind, etc., the rope is installed taut in two lines between the support bar and the ground, and a guide bar through which the rope can be inserted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ower cable movable pulley body. Thus, when the power cable is moved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of the lift car, the roller of the movable pulley turns idly on the axis of the bod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wer cable, and itself rises vertically along the rope; Since the movable pulley itself is not shaken by wind when moving up and down by allowing it to move down, it moves up and down smoothly without twisting the power cable.

상기 케이지의 승,하강 운전 제어 및 그 상태 확인은 단방향 및 양방향의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Controlling the rising and falling operation of the cage and checking its status is performed through one-way and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or wired communication.

그런데 단방향 또는 양방향 무선 통신에 의한 제어방식의 경우, 무인 자동운전이 가능하여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반면, 무선 관리국으로부터 사용 주파수를 할당받아야하는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무선통신 제어 장비의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또 건축 현장의 여건이나 상황이 무선통신상에 미치는 통신간섭 등 악영향이 많아 잦은 통신에러로 인한 애프터 서비스 요청이 많음은 물론 그로 인해 운영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trol method using one-way or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unmanned automatic operation is possible, which can reduce labor costs and maximize work efficiency, but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be assigned a frequency used by the wireless management station. Of course, the installation cost of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equipment is high, and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construction site have adverse effects such as communication interference on wireless communication. There is a downside to being

또한, 유선의 경우 주변 잡음 등에 별문제가 없고 장비의 설치비는 적게 드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전담 운전원이 상주해야하므로 인건비가 많이 들고, 특히 통신 케이블을 케이지의 하방부로 처지게 설치하거나 전력 케이블 자체에 삽입 설치한 형태를 갖고 있어 전자의 경우는 사용중 늘어진 통신 케이블이 꼬이거나 하중 장력에 의해 단선되는 경우가 많고, 후자의 경우는 하중에 의한 장력이 전력 케이블에 비해 약하여 쉽게 단선되어 결국 양자 모두 장기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wired cable, there is no problem with surrounding noise and the installation cost of equipment is low, but on the other hand, labor costs are high because a dedicated operator must be resident.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communication cable that is stretched during use is often twisted or disconnected due to load and tension. There is no problem.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지된 건설용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전력 케이블용 이동형 도르래의 상방부에서 로프를 타고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통신 케이블용 이동형 도르래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지의 제어부와 지상의 유,무선 중계기 사이에는 그 중간부가 상기 지지바의 케이블 지지용 로울러에 걸쳐지도록 하여 통신 케이블을 설치하되, 상기 로울러와 케이지 사이에서 늘어진 통신 케이블의 절곡부는 상기 통신 케이블용 이동형 도르래의 아이들 로울러 외측을 감싸는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다.In a known construction lift devic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 mobile pulley for a communication cable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riding a rope from the upper part of the movable pulley for a power cable, and the control unit of the cage and A communication cable is installed so that its middle part is spanned over the cable support roller of the support bar between the wired and wireless repeaters on the ground. It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o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하지만, 상기와 같이 전력 케이블용 이동형 도르래의 상방부에 케이블용 이동형 도르래를 설치하여 전력케이블과 통신케이블을 케이지에 설치하게 되면, 케이지의 승,하강 이동시 통신 케이블의 이탈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고, 무인 자동운행이 가능하며, 또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편의와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통신케이블을 설치하게 되면 건설현장 특성상 설치 후 제거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될 경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통신케이블이 파손되어 통신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보수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아울러 통신케이블이 도르래에 감겨저 유동함으로 파손의 위험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if the power cable and the communication cable are installed in the cage by installing the movable pulley for the cable in the upper part of the movable pulley for the power cabl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cable when moving up and down the cage. , unmanned automatic operation is possible, and labor costs can be greatly reduced, as well as work efficiency can be maximized, and the effect of operator convenience and various safety accidents can be expected in advance. When the cable is installed,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f the work to remove after installation is repeated due to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site. There were problems such as an increased risk of damage due to being wound and flowing.

국내 실용신안공개 제20-2009-0006206호Domest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6206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45096호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4509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케이지의 승하강 이동시 통신 케이블이 이탈되거나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무인 자동운행을 통해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외부환경 즉 바람에 의해 통신케이블이 유동되어 이탈되거나 파손 및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편의와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여 건설 현장의 사용에 용이하고, 통신 케이블이 파손되어 통신의 장애가 발생할 경우 보수가 용이하고, 별도의 도구 없이 통신 케이블이 자유롭게 유동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파손이 위험이 없는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can prevent the communication cable from being separated or disconnected when the cage is moved up and down, and can greatly reduce labor costs through unmanned automatic operation. In this way, work efficiency can be maximized, operator convenience and various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production and installation are simple, making it easy to use at the construction sit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e device for a construction lift that is easy to repair and has no risk of damage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because the communication cable flows freely without a separate tool.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Specific solution mean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re,

"케이지(10)가 승,하강될 수 있게 수직하게 마스트(20)가 설치된 상태에서,"In the state in which the mast 20 is installed vertically so that the cage 10 can be raised and lowered,

상기 케이지(10) 외부에는 고정 통신케이블(300)과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중계기(30); 상기 중계기(30)의 고정 통신케이블(300) 타측이 고정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권취되어 있는 권선수단부(40); 상기 권선수단부(40)에 권취된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연결되어 상기 케이지(1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풀리도록 상기 케이지(10) 내에 구비된 수신기(50); 상기 권선수단부(40)의 일측에 상기 이동 통신케이블(400)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비된 도르래(60); 를 포함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와,a repeater 30 having a fixed communication cable 300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age 10; Winding means 40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ixed communication cable 300 of the repeater 30 is fixedly connect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is wound; A receiver 50 provided in the cage 10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wound around the winding means 40 is connect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is unwound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cage 10 . ); a pulley (6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inding means (40)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A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e device for a construction lift comprising a;

상기 권선수단부(40)는,The winding means 40,

지지브라켓(410); 상기 수신기(50)와 상기 고정 통신케이블(300)과 연결된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감긴 코드릴(420); 상기 코드릴(420)을 자유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회동축(430); 상기 코드릴(420)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축(430)의 회동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판(440); 상기 회동판(440)과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통신케이블(300)이 접지된 고정판(450); 상기 코드릴(420)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축(430)의 회동의 장력을 유지하는 태엽부(460); 를 포함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와,support bracket 410; a cord reel 420 o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connected to the receiver 50 and the fixed communication cable 300 is wound; a rotation shaft 430 provided to freely rotate the cord reel 420; a rotation plate 44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rd reel 420 and rotated by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430; a fixed plate 450 to which the fixed communication cable 300 is grounded in a grounded state with the rotating plate 440; a mainspring portion 46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rd reel 420 and maintaining the tension of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430; A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e device for a construction lift comprising a;

상기 지지브라켓(410)은,The support bracket 410 is

상기 코드릴(420)를 고정하기 위하여 양측에 구비된 고정플레이트(411); 상기 고정플레이트(411) 하단 가까이에는 일측으로 돌출 연장된 복수개의 고정바(412); 상기 고정바(412) 사이에는 상기 이동 통신케이블(400)의 수평을 유지하며 감김과 풀림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한쌍의 회동바(413); 를 포함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fixing plates 411 provided on both sides to fix the cord reel 420; A plurality of fixing bars 412 protruding to one side near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411; Between the fixed bar 412,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is maintained horizontally and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be wound and unwound, and a pair of rotating bars 413;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by configuring the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a construction lift comprising a" as a structural featur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케이지의 승하강 이동시 통신 케이블이 이탈되거나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무인 자동운행을 통해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외부환경 즉 바람에 의해 통신케이블이 유동되어 이탈되거나 파손 및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편의와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여 건설 현장의 사용에 용이하고, 통신케이블이 파손되어 통신의 장애가 발생할 경우 보수가 용이하고, 통신케이블이 별도의 도구 없이 자유 유동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파손의 위험이 없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prevent the communication cable from being separated or disconnected when the cage moves up and down, and can greatly reduce labor costs through unmanned automatic operation, and the communication cable is mov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that is, the wind It is possible to maximize work efficiency by preventing damage or tangling, operator convenience and various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n case of communication failure due to damage, it is easy to repair, and the communication cable is free to flow without a separate tool, so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re is no risk of damage.

도 1은 본 발명인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에 있어서 권선수단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에 있어서 권선수단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에 있어서 권선수단부에서 인출된 이동 통신케이블이 도르래에 의해 텐션을 유지하는 사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에 있어서 케이지가 승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인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에 있어서 케이지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ing means in the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the lif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ing means in the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the lif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drawn out from the winding means maintains the tension by a pulley in the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the construction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ge is elevating in the communication cable winding induction device of the lif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ge is lowered in the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the lif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ince various changes can be made and can have various forms,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and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conventional or dictionary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meaning, of course, based on the fact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possible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or existent.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에 있어서 권선수단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에 있어서 권선수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에 있어서 권선수단부에서 인출된 이동 통신케이블이 도르래에 의해 텐션을 유지하는 사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에 있어서 케이지가 승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에 있어서 케이지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nding means in the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the lif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ing means in the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e device for the lif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the lift for use,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situation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drawn out from the winding means maintains the tension by the pulley, Figure 4 is the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ge is elevating,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ge is lowered in the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the lif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건설용 리프트에서 필수 불가결한 구성요소인 케이지(10)가 승,하강될 수 있게 수직하게 마스트(20)가 설치된 상태에서,First, in the state in which the mast 20 is installed vertically so that the cage 10, which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a general construction lift, can be raised and lowered as shown in FIGS. 4 and 5,

상기 케이지(10) 외부에는 고정 통신케이블(300)과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중계기(30)와 상기 중계기(30)의 고정 통신케이블(300) 타측이 고정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권취되어 있는 권선수단부(40)와 상기 권선수단부(40)에 권취된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연결되어 상기 케이지(1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풀리도록 상기 케이지(10) 내에 구비된 수신기(50)와 상기 권선수단부(40)의 일측에 상기 이동 통신케이블(400)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비된 도르래(60)로 구성된 본 발명에서Outside the cage 10, the fixed communication cable 300 and one end of the repeater 30 and the fixed communication cable 300 of the repeater 30 are fixed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The wound winding means 4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wound around the winding means 40 are connected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is unwound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cage 10 . In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a receiver 50 provided in the cage 10 and a pulley 60 provided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on one side of the winding means 40

상기 권선수단부(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to 3, the winding means 40 is

지지브라켓(410)과 상기 수신기(50)와 상기 고정 통신케이블(300)과 연결된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감긴 코드릴(420)과 상기 코드릴(420)을 자유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회동축(430)과 상기 코드릴(420)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축(430)의 회동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판(440)과 상기 회동판(440)과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통신케이블(300)이 접지된 고정판(450)과 상기 코드릴(420)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축(430)의 회동의 장력을 유지하는 태엽부(460)로 구성되어 있으며,The support bracket 410, the receiver 5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connected to the fixed communication cable 300 are wound around the cord reel 420, and the cord reel 420 is a rotating shaft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freely. A rotating plate 440 provided on one side of 430 and the cord reel 420 and rotated by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430 and the fixed communication cable 300 in a grounded state with the rotating plate 440 The grounded fixing plate 450 and the cord reel 420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consist of a mainspring 460 that maintains the tension of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430,

특히 상기 지지브라켓(4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 the support bracket 410 is

상기 코드릴(420)를 고정하기 위하여 양측에 구비된 고정플레이트(41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11) 하단 가까이에는 일측으로 돌출 연장된 복수개의 고정바(412)와 상기 고정바(412) 사이에는 상기 이동 통신케이블(400)의 수평을 유지하며 감김과 풀림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한쌍의 회동바(413)로 구성되어 있다.Between the fixing plates 411 provided on both sides to fix the cord reel 420 and the plurality of fixing bars 412 protruding to one side near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411 and the fixing bars 412 It is provided to maintain the horizont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and to be wound and unwound, and is composed of a pair of rotating bars 413 .

미설명 부호 L은 건설용 리프트를 지시하는 것이다.Unexplained code L indicates a lift for construction.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층에 있는 케이지(10)를 호출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각층에 구비된 호출기에서 신호를 보내면 상기 각층에 구비된 호출기와 연결 구성된 중계기(30)에서 고정판(450)에 접지된 고정 통신케이블(300)을 통해 신호를 보내면 상기 고정판(450)과 밀착되어 있는 회동판(440) 및 회동축(430)이 회동함과 동시에 케이지(10)가 상층으로 올라가는 동력의 힘에 의해 상기 코드릴(420)에 권취된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풀리면서 상기 이동 통신케이블(400)과 연결된 케이지(10) 내에 구비된 수신기(50)가 신호를 받아서 호출한 각층으로 케이지(10)를 이동하도록 된 것이다.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operator sends a signal from the pager provided on each floor to call the cage 10 on the first floor, the repeater 30 connected to the pager provided on each floor to the fixed plate 450. When a signal is sent through the grounded fixed communication cable 300, the rotating plate 440 and the rotating shaft 430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plate 450 rotate and at the same time the cage 10 moves up to the upper floor. As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wound around the cord reel 420 is unwound by the method, the receiver 50 provided in the cage 10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receives the signal and sends the cage 10 to each floor called. ) to be moved.

이때 상기 코드릴(420)에 권취된 이동 통신케이블(400)을 풀때 상기 이동 통신케이블(400)은 태엽부(460)의 장력에 의해 권취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태엽부(460)의 장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동력의 힘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지(10)가 상층으로 올라가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wound on the cord reel 420 is unwound,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is in a state of being wound by the tension of the mainspring unit 460 , so it is relative to the tension of the mainspring unit 460 . As a result, the cage 10 is raised to the upper floor by using a large power forc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 환경 즉, 비바람등에 의해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통신케이블(400)의 장력을 상기 태엽부(460)이 유지하면서 동시에 한쌍의 회동바(413)와 상기 도르래(60)에 의해 상기 이동 통신케이블(400)의 장력을 탄력있게 유지함으로서 외부 환경에 의해 상기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꼬이거나 손상을 받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In such a state, the mainspring 460 maintains the ten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to prevent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from being blown by the external environment, that is, rain and wind, and at the same time, a pair of rotating bars 413 ) and the pulley 60 to elastically maintain the ten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is twisted or damag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층으로 하강시에도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각층에 구비된 호출기에서 신호를 보내면 상기 각층에 구비된 호출기와 연결 구성된 중계기(30)에서 고정판(450)에 접지된 고정 통신케이블(300)을 통해 신호를 보내면 상기 고정판(450)과 밀착되어 있는 회동판(440) 및 회동축(430)이 회동함과 동시에 케이지(10)가 하층으로 내려가지만 상기 태엽부(460)의 장력과 상기 케이지(10)에 걸려있는 동력이 적정한 힘의 균형을 잡으면서 상기 코드릴(420)에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감기면서 케이지(10)가 하층으로 이동하는 것이다.Next, as shown in FIG. 5, when the operator sends a signal from the pager provided on each floor in the same way when descending to the lower floor as shown in FIG. When a signal is sent through 300, the rotating plate 440 and the rotating shaft 430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plate 450 rotate and at the same time the cage 10 descends to the lower floor, but the tension of the mainspring 460 The cage 10 moves to the lower floor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is wound around the cord reel 420 while balancing the power applied to the cage 10 and the appropriate for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외부 환경에 의해 꼬이거나 날려서 엉키는 등의 문제점으로 통신두절의 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엽부(460)의 장력과 케이지(10)가 승강하는 동력의 힘을 적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탄력적으로 유지함으로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state of communication interruption due to problems such as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being twisted or tangl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By properly maintaining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as shown in Figs. 4 and 5, it is possibl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lways maintaining it elastical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케이지의 승하강 이동시 통신 케이블이 이탈되거나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무인 자동운행을 통해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외부환경 즉 바람에 의해 통신케이블이 유동되어 이탈되거나 파손 및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편의와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여 건설 현장의 사용에 용이하고, 통신케이블이 파손되어 통신의 장애가 발생할 경우 보수가 용이하고, 통신케이블이 별도의 도구 없이 자유 유동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파손의 위험이 없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prevent the communication cable from being separated or disconnected when the cage moves up and down, and can greatly reduce labor costs through unmanned automatic operation, and the communication cable is mov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that is, the wind It is possible to maximize work efficiency by preventing damage or tangling, operator convenience and various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n case of communication failure due to damage, it is easy to repair, and the communication cable is free to flow without a separate tool, so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re is no risk of damag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of cours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spirit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it will be obvious that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케이지 20 : 마스트
30 : 중계기 40 : 권선수단부
50 : 수신기 60 : 도르래
300 : 고정 통신케이블 400 : 이동 통신케이블
410 : 지지브라켓 411 : 고정플레이트
412 : 고정바 413 : 회동바
420 : 코드릴 430 : 회동축
440 : 회동판 450 : 고정판
460 : 태엽부 L : 건설용 리프트
10: cage 20: mast
30: repeater 40: winding means
50: receiver 60: pulley
300: fixed communication cable 400: mobile communication cable
410: support bracket 411: fixed plate
412: fixed bar 413: rotating bar
420: cord reel 430: axis of rotation
440: rotating plate 450: fixed plate
460: mainspring L: construction lift

Claims (3)

케이지(10)가 승,하강될 수 있게 수직하게 마스트(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지(10) 외부에는 고정 통신케이블(300)과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중계기(30);
상기 중계기(30)의 고정 통신케이블(300) 타측이 고정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권취되어 있는 권선수단부(40);
상기 권선수단부(40)에 권취된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연결되어 상기 케이지(1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풀리도록 상기 케이지(10) 내에 구비된 수신기(50);
상기 권선수단부(40)의 일측에 상기 이동 통신케이블(400)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비된 도르래(60);
를 포함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
In a state in which the mast 20 is installed vertically so that the cage 10 can be raised and lowered,
a repeater 30 having a fixed communication cable 300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age 10;
Winding means 40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ixed communication cable 300 of the repeater 30 is fixedly connect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is wound;
A receiver 50 provided in the cage 10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wound around the winding means 40 is connect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is unwound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cage 10 . );
a pulley (6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inding means (40)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a construction lift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수단부(40)는,
지지브라켓(410);
상기 수신기(50)와 상기 고정 통신케이블(300)과 연결된 이동 통신케이블(400)이 감긴 코드릴(420);
상기 코드릴(420)을 자유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회동축(430);
상기 코드릴(420)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축(430)의 회동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판(440);
상기 회동판(440)과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통신케이블(300)이 접지된 고정판(450);
상기 코드릴(420)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축(430)의 회동의 장력을 유지하는 태엽부(460);
를 포함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ding means 40,
support bracket 410;
a cord reel 420 o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connected to the receiver 50 and the fixed communication cable 300 is wound;
a rotation shaft 430 provided to freely rotate the cord reel 420;
a rotation plate 44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rd reel 420 and rotated by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430;
a fixed plate 450 to which the fixed communication cable 300 is grounded in a grounded state with the rotating plate 440;
a mainspring portion 46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rd reel 420 and maintaining the tension of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430;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a construction lift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410)은,
상기 코드릴(420)를 고정하기 위하여 양측에 구비된 고정플레이트(411);
상기 고정플레이트(411) 하단 가까이에는 일측으로 돌출 연장된 복수개의 고정바(412);
상기 고정바(412) 사이에는 상기 이동 통신케이블(400)의 수평을 유지하며 감김과 풀림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한쌍의 회동바(413);
를 포함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pport bracket 410 is
fixing plates 411 provided on both sides to fix the cord reel 420;
A plurality of fixing bars 412 protruding to one side near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411;
Between the fixed bar 412, the mobile communication cable 400 is maintained horizontally and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be wound and unwound, and a pair of rotating bars 413;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a construction lift comprising a.

KR1020200151725A 2020-11-13 2020-11-13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construction lift KR1024579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725A KR102457959B1 (en) 2020-11-13 2020-11-13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construction li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725A KR102457959B1 (en) 2020-11-13 2020-11-13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construction lif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342A true KR20220065342A (en) 2022-05-20
KR102457959B1 KR102457959B1 (en) 2022-10-24

Family

ID=8180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725A KR102457959B1 (en) 2020-11-13 2020-11-13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construction lif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95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865Y1 (en) * 2006-03-09 2006-05-22 주식회사 대원이앤씨 A moving-communication cable supporting apparatus of Lift car for construction
KR20090006206U (en) 2007-12-18 2009-06-23 서일수 Communication cable supporting equipment of construction lift with ascent auto-detection means of cage
KR200445096Y1 (en) 2008-09-08 2009-06-30 이상철 Communication cable winding and guiding equipment of construction lift
KR20100003351U (en) * 2008-09-18 2010-03-26 주식회사 대원이앤씨 The lift car of communication cable support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865Y1 (en) * 2006-03-09 2006-05-22 주식회사 대원이앤씨 A moving-communication cable supporting apparatus of Lift car for construction
KR20090006206U (en) 2007-12-18 2009-06-23 서일수 Communication cable supporting equipment of construction lift with ascent auto-detection means of cage
KR200445096Y1 (en) 2008-09-08 2009-06-30 이상철 Communication cable winding and guiding equipment of construction lift
KR20100003351U (en) * 2008-09-18 2010-03-26 주식회사 대원이앤씨 The lift car of communication cable support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959B1 (en)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3229B (en) Elevator installation and method for building an elevator installation
CN110844743B (en) Skip-floor elevator and skip-floor method
US20140054110A1 (en) Method for accessing the outer surface of wind turbine towers and device for use with this method
KR102466049B1 (en) Gondola for tower maintenance work
JP6449423B1 (en) Work gondola
KR102457959B1 (en)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ance device of construction lift
WO2020044444A1 (en) Construction elevator with extendable hoisting height
KR101766914B1 (en) Upper drive shaft operating system of retractable door-lift vertically for elevator
JP2008222382A (en) Method for moving lifting device for installation
JP4316514B2 (en) Working device in mechanical parking device and its working method
RU2704655C1 (en) Front elevator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of cradle
KR20110007764A (en) Packing apparatus of the ground anchor cable
CN110029807A (en) For installing the device of steel construction traverse colored steel
KR200416865Y1 (en) A moving-communication cable supporting apparatus of Lift car for construction
CN213356618U (en) Construction elevator
KR20100003351U (en) The lift car of communication cable support equipment
KR101034774B1 (en) Lift device using the wire rope
KR102338934B1 (en) Facility for approaching containment dome liner plate
KR200416866Y1 (en) A moving-communication cable supporting apparatus of Lift car for construction
JP2875602B2 (en) Lifting equipment for construction
JP2875603B2 (en) Lifting equipment for construction
KR101794202B1 (en) Lower drive shaft operating system of retractable door-lift vertically for elevator
CN211081059U (en) Hoisting device for unit plate of curtain wall with curved outer vertical surface
KR200373177Y1 (en) A moving-communication cable supporting apparatus of Lift car for construction
KR10217901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c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