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106A -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106A
KR20220065106A KR1020200150591A KR20200150591A KR20220065106A KR 20220065106 A KR20220065106 A KR 20220065106A KR 1020200150591 A KR1020200150591 A KR 1020200150591A KR 20200150591 A KR20200150591 A KR 20200150591A KR 20220065106 A KR20220065106 A KR 20220065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health
electric toothbrush
health index
head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5818B1 (ko
Inventor
김건태
Original Assignee
(주) 디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엠에스 filed Critical (주) 디엠에스
Priority to KR1020200150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8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1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Surge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전동 칫솔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동 칫솔에 전동 칫솔 헤드와 치간 칫솔 헤드 중 어떠한 종류의 헤드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헤드 종류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에 기초하여 구강 건강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시스템{METHOD FOR CACULATING ORAL CARE SCORE, SERVER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전동 칫솔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구강 건강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구강 건강 지수를 이용하여 치과 또는 보험사와의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강 질환은 적절한 예방 치료 및 꾸준한 관리를 통해서 높은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많은 구강 질환 환자들은 구강 건강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의사에게 진단을 받거나 치료를 의뢰하지 않는 등 아직까지는 구강 예방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환자의 현재 구강 상태를 측정함에 있어 치과 의사나 치위생사의 주관적 견해가 아닌, 정확한 검사 및 진단 결과와 그에 따른 객관적 수치 정보가 필요하지만 구강의 건강 상태를 객관적으로 산출하는 시스템이 부재한 상황이다.
한편, 일반인들의 구강 건강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구강건강브랜드인 오랄비와 대한치과의사협회가 구강 건강 지수인 OQ지수(oral care quotient)를 공동 개발하였으며, 이는 구강건강을 관리하는 데 있어 치료보다 효과적인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국민들의 건강한 치아를 만들고 유지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OQ지수는, 1점과 100점 사이의 구강 점수와 연령에 따라 16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해당 그룹에 속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현재 자신의 구강건강 상태, 현재 상황을 방치했을 때 예상되는 질병 등 관련 내용 소견, 적절한 구강관리 방법 등을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강 건강 지수는 문진 내용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으며,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구강 건강을 체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7-0004734호 (2017.01.11 공개)
본 발명은 객관적인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구강 건강 지수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서 구강 건강 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동 칫솔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 칫솔에 전동 칫솔 헤드와 치간 칫솔 헤드 중 어떠한 종류의 헤드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헤드 종류에 따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에 기초하여 구강 건강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서버; 전동 칫솔 헤드와 치간 칫솔 헤드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되며, 내부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해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동 칫솔; 및 상기 전동 칫솔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연결되어, 상기 전동 칫솔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해 상기 전동 칫솔에 장착된 헤드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헤드 종류에 따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에 기초해 구강 건강 지수를 계산한다.
한편, 상기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그 자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 칫솔 헤드와 치간 칫솔 헤드가 교체 장착 가능한 전동 칫솔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서버로 전달하고, 서버에서는 전처리된 데이터에 기초해 전동 칫솔에 장착된 헤드 종류를 식별하고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을 통해 구강 건강 지수를 산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구강 건강 지수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이 정확하게 산출된 구강 건강 지수를 치과 또는 보험사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건강 지수 산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건강 지수 산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구강 건강 지수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건강 지수 산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건강 지수 산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시스템(10)은 전동 칫솔(100), 단말기(200) 및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동 칫솔(100)은 전동 칫솔 헤드와 치간 칫솔 헤드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되며, 내부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해 전동 칫솔의 사용과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한다.
전동 칫솔(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와 헤드(120)로 구분되며, 헤드(120) 부분은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동 칫솔(100)의 몸체(110) 부분에는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센서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스위치 등이 내장될 수 있다.
몸체(110) 부분에 내장된 모터의 진동이 헤드(120)에 전달되어 전동 칫솔(100)이 동작하며, 그에 따른 전동 칫솔(100)의 움직임은 본체(110)에 내장된 센서(예를 들어, 3축 가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한편, 전동 칫솔(100)은 무선통신모듈(예를 들어, BLE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해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센서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는 전처리된 후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를 위해, 전동 칫솔(100)의 본체(110) 부분에는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전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가 내장될 수 있으며, 해당 프로세서는 데이터 전처리 뿐 아니라 전동 칫솔(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칫솔(100)의 헤드 부분에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칫솔 형태의 전동 칫솔 헤드(120)가 장착되거나, 또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간 칫솔 형태의 치간 칫솔 헤드(125)가 장착될 수 있어, 사용자는 전동 칫솔(100)에 전동 칫솔 헤드(120)와 치간 칫솔 헤드(125)를 교체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휴대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그 이외에 사용자 입력, 정보 표시 및 유무선 통신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전동 칫솔(100)과 BLE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연결되어, 전동 칫솔(100)에 내장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서버(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기(200)는 전동 칫솔(100)로부터 수신되는 센서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그 외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건강 지수 산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단말기(20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300)와 연동하며,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관련 설정을 입력받거나, 관련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300)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해 전동 칫솔(100)에 장착된 헤드의 종류를 식별하고, 식별된 헤드 종류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을 획득하며,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에 기초해 구강 건강 지수를 계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 칫솔 헤드와 치간 칫솔 헤드가 교체 장착 가능한 전동 칫솔(1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서버(300)로 전달하고, 서버(300)에서는 전처리된 데이터에 기초해 전동 칫솔(100)에 장착된 헤드 종류를 식별하고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을 통해 구강 건강 지수를 산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구강 건강 지수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서버(300)가 구강 건강 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300)는 전동 칫솔(100)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다(S310 단계).
S310 단계에서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전동 칫솔(100)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된 데이터가 전동 칫솔(100) 및 단말기(2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처리된 후 서버(300)로 수신될 수 있으며, 서버(300)로 수신되는 전처리된 데이터는 전동 칫솔(100)의 기울기, 사용 부위, 사용 시간,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 칫솔(100)에 내장된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데이터는 내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어, 전동 칫솔(100)의 기울기, 사용 시간,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등이 계산되고, 계산된 결과값에 의해 사용 부위 등이 추정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추정된 사용 부위에 따라 사용 시간을 구분하여 저장하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해 분당/초당 가속도 평균값을 계산하고, 센싱 데이터를 이용해 분당/초당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전동 칫솔(100)에서 3축 가속도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여 획득된 전처리 데이터는 BLE 통신을 이용해 단말기(200)로 전송되고, 단말기(200)는 전처리 데이터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서버(300)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동 칫솔(100)에 전동 칫솔 헤드와 치간 칫솔 헤드 중 어떠한 종류의 헤드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식별한다(S320 단계).
예를 들어, 전동 칫솔(100)에서 획득된 3축 가속도 센서의 센싱 데이터 및 서버(300)로 전송된 전처리 데이터는, 전동 칫솔(100)에 장착된 헤드의 종류가 전동 칫솔 헤드인지 치간 칫솔 헤드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버(300)는 S310 단계에서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중 전동 칫솔의 기울기, 사용 시간,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별도의 사용자 선택이나 입력없이, 전동 칫솔(100)에 장착된 헤드의 종류를 자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전동 칫솔 헤드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칫솔질과 치간 칫솔 해드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칫솔질 각각의 전동 칫솔(100)의 기울어진 정도와 움직인 거리, 속도, 시간 등을 이용하여 전동 칫솔(100)에 장착된 헤드 종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헤드 종류에 따른 칫솔질 패턴을 레이블링 하여 인공지능 신경망 분석을 통해 전동 칫솔(100)에 장착된 헤드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그 후, 서버(300)는 S320 단계에서 식별된 헤드 종류에 따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을 획득한다(S330 단계).
S330 단계에서, 서버(300)는 사용자 정보와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중 전동 칫솔의 기울기, 사용 시간,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헤드 종류에 따라 구분해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키, 나이, 성별, 주로 사용하는 손의 종류(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키, 팔 길이, 나이, 성별, 왼손잡이/오른손 잡이 등을 구분하여 칫솔질 할 때 전동 칫솔(100)의 기울어진 정도와 움직인 거리, 속도, 시간 등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헤드 종류에 따른 기울어진 정도, 시간, 분당/초당 가속도 평균, 분동/초당 이동 거리 등의 데이터를 레이블링하며, 레이블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신경망을 학습시켜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을 구해낼 수 있다.
한편, 위에서 획득한 데이터들을 사용하여 훈련하는 데 필요한 충분한 많은 양의 데이터는 어그먼테이션(Augmentation)기법을 이용하여 생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S330 단계에서 획득된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 이외에, 구강 상태 관련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추가적인 구강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330 단계에서 획득된 분석 결과값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구강 상태 관련 질문이 단말기(200)에서 제공되고, 사용자는 각각의 질문에 대한 답을 단말기(200)에서 입력하여, 추가적인 구강 상태 정보가 단말기(200)로부터 서버(300)로 전달될 수 있다.
그 후, 서버(300)는 S330 단계에서 획득된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에 기초하여 구강 건강 지수를 계산한다(S340 단계).
여기서, 서버(300)는 S330 단계에서 획득된 전동 칫솔 분석 결과값과 치간 칫솔 분석 결과값에 가중치를 적용해 합하여 구강 건강 지수를 계산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전동 칫솔 헤드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분석 결과값과 치간 칫솔 헤드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분석 결과값을 함께 고려하여 구강 건강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S340 단계에서,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과 함께, 구강 상태 관련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획득된 구강 상태 정보가 고려되어 구강 건강 지수가 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0)는 S340 단계에서 계산된 구강 건강 지수와 사용자 정보를 치과 서버 또는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구강 건강 상태에 최적화된 치과 또는 보험 관련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건강 지수 산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시스템(10)은 전동 칫솔(100), 단말기(200), 서버(300) 및 치과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들 중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300)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해 전동 칫솔(100)에 장착된 헤드의 종류를 식별하고, 헤드 종류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을 획득하며,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에 기초해 구강 건강 지수를 계산한다.
그 후, 서버(300)는 사용자 정보와 함께 해당 사용자에 대해 계산된 구강 건강 지수를 치과 서버(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치과 서버(400)로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는 단말기(200)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비식별화되어 전송되어, 사용자가 원치 않는 개인 정보가 치과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칫솔(100)의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 애플리케이션 화면(500) 상에서, 전동 칫솔(10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서버(300)로 전송하기 전에, 자신에 대한 정보들 중 치과 서버(400)로 전송될 항목만을 체크 박스들(510 내지 513)을 이용해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대한 정보들은 서버(300)로 전송되거나 또는 내부에 등록 저장되어 있더라도,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만이 서버(300)에서 치과 서버(400)로 구강 건강 지수와 함께 전송되어 치과 측에 전달될 수 있다.
일부 비식별화된 사용자 정보와 구강 건강 지수를 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치과 서버(400)는, 전송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구성하고, 구성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치과 서버(400)로부터 전송받은 치과 관련 서비스 정보를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단말기(200)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애플리케이션 화면(500) 상에서, 사용자가 "가까운 치과 예약" 버튼(530)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 및 구강 건강 지수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치과에서 제공하는 치과 관련 서비스 정보가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건강 지수 산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시스템(10)은 전동 칫솔(100), 단말기(200), 서버(300) 및 보험사 서버(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들 중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300)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해 전동 칫솔(100)에 장착된 헤드의 종류를 식별하고, 헤드 종류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을 획득하며,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에 기초해 구강 건강 지수를 계산한다.
그 후, 서버(300)는 사용자 정보와 함께 해당 사용자에 대해 계산된 구강 건강 지수를 보험사 서버(7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보험사 서버(700)로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는 단말기(200)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비식별화되어 전송되어, 사용자가 원치 않는 개인 정보가 치과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부 비식별화된 사용자 정보와 구강 건강 지수를 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보험사 서버(700)는, 전송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치과 보험 관련 서비스를 구성하고, 구성된 치과 보험 관련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보험사 서버(700)로부터 전송받은 치과 보험 관련 서비스 정보를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단말기(200)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단말기 애플리케이션 화면(500) 상에서, 사용자가 "치과 보험료 확인" 버튼(540)을 선택하면, 사용자 정보 및 구강 건강 지수에 따라 보험사 서버(700)에서 산출된 치과 보험료 정보가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들 적어도 일부 단계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0)

  1.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서 구강 건강 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동 칫솔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 칫솔에 전동 칫솔 헤드와 치간 칫솔 헤드 중 어떠한 종류의 헤드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헤드 종류에 따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에 기초하여 구강 건강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칫솔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된 데이터는 상기 전동 칫솔 및 상기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처리된 후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로 수신되며,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는
    상기 전동 칫솔의 기울기, 사용 부위, 사용 시간,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종류 식별 단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중 전동 칫솔의 기울기, 사용 시간,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동 칫솔에 장착된 헤드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 획득 단계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중 전동 칫솔의 기울기, 사용 시간,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식별된 헤드 종류에 따라 구분해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키, 나이, 성별 및 주로 사용하는 손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건강 지수 계산 단계는
    전동 칫솔 분석 결과값과 치간 칫솔 분석 결과값에 가중치를 적용해 합하여 상기 구강 건강 지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구강 건강 지수와 사용자 정보를 치과 서버 또는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비식별화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구강 건강 지수와 사용자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치과 서버 또는 보험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10. 서버;
    전동 칫솔 헤드와 치간 칫솔 헤드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되며, 내부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해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동 칫솔; 및
    상기 전동 칫솔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연결되어, 상기 전동 칫솔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해 상기 전동 칫솔에 장착된 헤드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헤드 종류에 따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헤드 종류별 분석 결과값에 기초해 구강 건강 지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건강 지수 산출 시스템.
KR1020200150591A 2020-11-12 2020-11-12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시스템 KR102645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591A KR102645818B1 (ko) 2020-11-12 2020-11-12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591A KR102645818B1 (ko) 2020-11-12 2020-11-12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106A true KR20220065106A (ko) 2022-05-20
KR102645818B1 KR102645818B1 (ko) 2024-03-08

Family

ID=81798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591A KR102645818B1 (ko) 2020-11-12 2020-11-12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8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734A (ko) 2015-07-03 2017-01-11 공정인 치과 진료 치아 나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060459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블루레오 구강 세정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96644A1 (zh) * 2018-04-13 2019-10-17 深圳市力博得科技有限公司 智能牙刷的控制电路、智能牙刷及刷牙行为的监控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734A (ko) 2015-07-03 2017-01-11 공정인 치과 진료 치아 나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060459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블루레오 구강 세정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96644A1 (zh) * 2018-04-13 2019-10-17 深圳市力博得科技有限公司 智能牙刷的控制电路、智能牙刷及刷牙行为的监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818B1 (ko)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26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personal grooming appliance or household cleaning appliance
CN111465333B (zh) 口腔卫生系统
US11969306B2 (en) Oral hygiene system for compliance monitoring and tele-dentistry system
CN112107386B (zh) 采集和处理用户健康数据的系统和方法
Lane et al. Bewell: A smartphone application to monitor, model and promote wellbeing
RU2721939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галитоза
CN105748037B (zh) 具有用于患脊柱侧凸的患者的生物反馈系统的体感背心
KR20200046162A (ko) 딥러닝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치주질환관리시스템
KR20200054366A (ko) 어린이 구강건강 관리 및 교육시스템
KR20210084779A (ko) 보행 데이터 기반 운동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5106A (ko) 구강 건강 지수 산출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시스템
US202203987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dental appliance
KR20200105557A (ko) 스마트 칫솔을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Hussain et al. Dataset for toothbrushing activity using brush-attached and wearable sensors
US10079074B1 (en) System for monitoring disease progression
JP2023006054A (ja) 口腔ケア情報管理システム
KR20200064600A (ko) 뉴로 마케팅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