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262A - 사출금형용 파팅록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용 파팅록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262A
KR20220064262A KR1020200150581A KR20200150581A KR20220064262A KR 20220064262 A KR20220064262 A KR 20220064262A KR 1020200150581 A KR1020200150581 A KR 1020200150581A KR 20200150581 A KR20200150581 A KR 20200150581A KR 20220064262 A KR20220064262 A KR 20220064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ate
bolt
injection mold
pushing bloc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남식
Original Assignee
최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남식 filed Critical 최남식
Priority to KR1020200150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4262A/ko
Priority to PCT/KR2021/016380 priority patent/WO2022103162A1/ko
Publication of KR20220064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6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8Means disposed outside the mould for unscrewing threaded articles, e.g. chuck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8Moulds having screw-threaded moul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85Movement of a part, e.g.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mould, generating fluid pressure in a built-in fluid pressure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6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 B29C2045/665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using a screw or screws having differently threaded parts arranged in s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출금형용 파팅록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사출금형용 파팅록은, 사출 금형의 제1 형판과 접하는 제2 형판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볼트부; 볼트부의 타측부에 결합되며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는 푸싱 블록; 및 푸싱 블록의 일측부에 접하도록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되 제2 형판에 푸싱 블록보다 근접되게 배치되며 볼트부를 제2 형판에 결합 시 팽창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제2 형판을 제1 형판으로부터 분리 시 푸싱 블록과 패드부는 제1 형판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출금형용 파팅록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PARTING LOCK FOR INJECTION MOLD AND INJECTION MOLD STRUC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출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단 금형의 중단 금형 분리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부품인 파팅록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불순물에 의한 불량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사출금형용 파팅록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이란 열가소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포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만들어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금형의 공동부(cavity)에 용융 상태의 발포 재료를 고속,고압으로 주입하여 냉각시킨 다음 금형을 급속히 개방하여 최종 제품 형태로서의 발포체를 얻는 방식인데, 가압 성형 방식에 비해 가공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고 시간 및 경제적인 손실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사출성형에 사용되는 사출금형은 2단 금형과 3단 금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특히 3단 금형은 대량의 생산을 요하는 작은 부품이나 정밀성을 요하는 제품 및 외부로 게이트가 노출되지 않아야 하는 제품 또는 수지의 흐름이 용이하지 못한 대형의 제품 등을 생산하는데 적합한 형태의 금형이다.
이러한 사출금형을 이용한 사출성형방법은 먼저, 합성수지에 안료, 안정제, 가소제, 충전제 등을 첨가하여 원통형 또는 사각형으로 된 수 mm의 칩으로 만든것, 즉 컴파운드를 호퍼에 넣어둔다. 호퍼의 하부에 가열실이 있어, 여기서 전열 또는 고압수증기 등으로 가열한다. 이때, 원료가 되는 합성수지가 스틸렌수지나 폴리염화비닐이면 약 170℃, 폴리프로필렌이면 약 200℃로 재료에 따라 알맞게 가열하여 용융상태로 만든다.
가열실에서 가열되어 용융된 원료는 피스톤으로 투입구를 통해 금형속으로 주입되며, 용융된 원료가 금형의 구석까지 흘러들어가면 피스톤은 원상태로 복귀되고, 금형은 분할되어 금형 속에서 성형된 제품을 밖으로 꺼내게 된다.
이와 같은 사출성형법을 통해서 동일한 형상의 제품을 반복해서 대량생산 가능하게 된다.
한편, 파팅록(Parting Lock)은 사출 금형 중 후가공의 절차를 줄이기 위하여 고안된 매우 편리한 금형 종류이지만 그에 따른 단점도 존재한다.
1, 2, 3 단계에 걸친 금형이 1차 분리 그리고 2차 분리되면서 2단계의 금형을 분리하기 위하여 장착한 파팅록의 외형(바깥 부분)이 마모되면서 그 부스러기가 사출물에 달라 붙게 되어 불량 제품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파팅록을 사용함은 단점을 상쇄할만한 생산성이 존재하기에 사용하고 있으나 이데 대한 개선책 또는 공정 변경이 이루어지길 원하는 현실이다.
이러한 부분 때문에 많은 사출공장 또는 금형 제작업체에서는 우레탄 소재의 파팅록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존재한다.
첫째, 우레탄 소재의 3단 스토퍼는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우레탄 소재가 마찰로 인한 접점의 소모가 일어난 경우 기계 작동을 중단 한 후 접점 증가를 위한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둘째, 지속적인 모니터링의 부주의시 파팅록의 마모로 인한 마찰계수 감소로 3단 금형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사출기계의 오작동으로 인한 불량 발생 및 유지보수가 필연적으로 뒤 따른다.
셋째, 우레탄 소재의 접점 부위가 금형과의 마찰로 잔재물이 발생하여 이 잔재물이 고온의 수지 사출물에 늘어 붙는 현상이 발생되어 제품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사출 금형 중 3단 금형의 경우 중단 금형 분리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부품인 파팅록(일명 3단 스톱퍼)이 작동 중요 요소로 작용한다.
외장형(사출 금형의 외부로 설치)으로 구성된 파팅록의 경우 작동 및 설치 그리고 유지보수에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어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7512호(추창오) 2015. 02. 24.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3단 금형의 중단 금형 분리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부품인 파팅록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불순물에 의한 불량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사출금형용 파팅록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출 금형의 제1 형판과 접하는 제2 형판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볼트부; 상기 볼트부의 타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는 푸싱 블록; 및 상기 푸싱 블록의 일측부에 접하도록 상기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 형판에 상기 푸싱 블록보다 근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볼트부를 상기 제2 형판에 결합 시 팽창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형판을 상기 제1 형판으로부터 분리 시 상기 푸싱 블록과 상기 패드부는 상기 제1 형판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사출금형용 파팅록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푸싱 블록은, 상기 볼트부의 볼트 헤드가 내부에 지지되며 상기 볼트 헤드를 감싸는 블록 바디; 및 상기 블록 바디의 외벽에 함몰되게 마련되는 바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싱 블록은, 상기 바디 홈부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블록 바디를 절개하여 마련되어 공기의 이동 통로로 제공되는 제1 절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싱 블록은, 상기 제1 절개홀에서 연장 마련되며 상기 제1 절개홀보다 홀의 폭이 넓게 마련되어 공기의 이동 통로로 제공되는 제2 절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는, 일측부가 상기 블록 바디에 접하고 상기 볼트부의 볼트 바디의 외벽을 감싸며 신축되는 재질로 마련되는 패드 바디; 및 상기 블록 바디와 접하는 영역의 상기 패드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패드 바디의 신축을 가이드하는 바디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볼트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패드부를 지지하는 와셔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볼트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와셔 부재를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고정판에 결합되는 런너 플레이트; 제품의 성형 시 상기 런너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제1 형판; 상기 제품의 성형 시 상기 제1 형판에 밀착되는 제2 형판; 및 상기 제1 형판과 상기 제2 형판의 사이에서 상기 제품이 성형된 후 상기 제1 형판이 이격되도록 상기 제1 형판과 상기 제2 형판을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파팅록을 포함하고, 상기 파팅록은 상기 제2 형판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볼트부, 상기 볼트부의 타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는 푸싱 블록 및 상기 푸싱 블록의 일측부에 접하도록 상기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 형판에 상기 푸싱 블록보다 근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볼트부를 상기 제2 형판에 결합 시 팽창되는 패드부를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볼트부의 볼트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패드부를 지지하는 와셔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볼트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와셔 부재를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2 형판을 제1 형판으로부터 분리 시 푸싱 블록과 패드부가 제1 형판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금형과 파팅록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패드 바디를 볼록하게 할 수 있어 금형 분리에 따른 내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금형 분리 시 전술한 슬라이딩 이동이 파팅록의 내부에서 진행됨으로써 슬라이딩 마모에 의한 불순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불량율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파팅록을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팅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5는 4에 도시된 파팅록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사출 금형 구조체의 작동도로써 고정판과 런너 플레이트가 제1 형판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후속 작동도로써 런너 플레이트가 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된 후 제1 형판이 제2 형판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파팅록을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팅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4에 도시된 파팅록의 작동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사출 금형 구조체의 작동도로써 고정판과 런너 플레이트가 제1 형판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후속 작동도로써 런너 플레이트가 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된 후 제1 형판이 제2 형판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출 금형 구조체(1)는, 고정판(10)에 결합되어 스프루 부시에 있는 스프루를 뽑아내는 런너 플레이트(100)와, 제품의 성형 시 런너 플레이트(100)에 밀착되는 제1 형판(200)과, 제품의 성형 시 제1 형판(200)에 밀착되는 제2 형판(300)과, 제1 형판(200)과 제2 형판(300)의 사이에서 제품이 성형된 후 제1 형판(200)이 이격되도록 제1 형판(200)과 제2 형판(300)을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파팅록(400)을 구비한다.
런너 플레이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에 밀착되며 제품의 성형 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으로부터 이격되어 스프루 부시에 있는 스프루를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고정판(10)은 금형장치의 고정 몸체에 결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고, 가동판(20)은 이동 몸체에 결합되어 도 6 및 7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런너 플레이트(100)는 복수의 가이드봉에 의해 고정판(10)에 밀착, 지지되어 고정 몸체와 고정판(10)을 통해 유입되는 용융수지를 제1 형판(200)과 제2 형판(300) 사이의 성형 공간으로 주입할 수 있다.
제1 형판(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런너 플레이트(100)에 밀착되며 제품의 성형 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형판(3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형판(200)과 제2 형판(300)의 사이에 마련된 제품은 이젝터 핀 등을 이용하여 인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형판(200)은 제품의 일측면을 성형할 수 있도록 제2 형판(300)과 접하는 일측면에 용융된 원료가 주입되는 코어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런너 플레이트(100)와 접하는 제1 형판(200)의 면에는 런너 플레이트(100)의 런너에 대응되는 동일한 형태의 런너가 마련될 수 있고, 이 런너의 단부에는 용융수지가 성형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성형 공간과 연통되는 용융수지 주입홀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 형판(2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210)과 가이드 부시(220)와 스토퍼 홈(230)과 리턴핀(240)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홈(210)에는 파팅록(400)의 볼트 바디(411)를 제외한 구성 예를 들어 푸싱 블록(420), 패드부(430), 와셔 부재(440), 스프링 부재(450) 및 볼트 바디(411)의 일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 홈(230)에는 제품의 성형 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핀(240)의 일측에 마련되는 확장부(241)가 걸릴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리턴핀(240)의 타측에 마련되는 확장부(241)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에 마련된 판홈(12)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제2 형판(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부은 스페이서 블록(21)에 밀착되고 우측부는 제1 형판(200)에 밀착되어 제품의 타측면을 성형할 수 있도록 제1 형판(200)과 접하는 일측에 용융된 원료가 주입되어 성형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형판(3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핀(310)과 수용홈(320)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가이드 핀(310)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시(220)에 삽입되어 제1 형판(200)의 분리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수용홈(320)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핀(240)의 확장부(241)가 수용될 수 있다.
파팅록(400)은, 제품의 성형 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형판(200)과 제2 형판(300)을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파팅록(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410)와, 볼트부(410)의 상측부에 결합되며 제1 형판(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푸싱 블록(420)과, 푸싱 블록(420)의 하측부에 접하도록 제1 형판(200)의 내부에 배치되되 제2 형판(300)에 푸싱 블록(420)보다 근접되게 배치되며 볼트부(410)를 제2 형판(300)에 결합 시 팽창되는 패드부(430)와, 제1 형판(20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볼트부(410)의 볼트 바디(411)에 결합되어 패드부(430)를 지지하는 와셔 부재(440)와, 제1 형판(20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볼트 바디(411)에 결합되어 와셔 부재(440)를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450)를 포함한다.
파팅록(400)의 볼트부(4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바디(411)와, 볼트 바디(411)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푸싱 블록(420)의 블록 바디(421)를 지지하는 볼트 헤드(41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볼트 바디(4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형판(200)과 접하는 영역의 제2 형판(30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볼트 헤드(412)에는 체결 공구의 체결이 쉽도록 공구홈이 마련될 수 있고, 이 공구홈은 육각형이나 팔각형 등 다각형 또는 십자 또는 일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볼트 바디(411)를 제2 형판(300)에 결합시키기 위해 볼트 헤드(412)를 조이면 패드부(430)가 팽창되고, 팽창된 패드부(430)는 제1 형판(200)과 제2 형판(300)을 서로 접촉되도록 이동 시 제1 형판(200)에 마련된 결합홈(210)의 내벽에 마찰되어 결합될 수 있다.
파팅록(400)의 푸싱 블록(420)은, 도 1에 도시된 결합홈(210)에 수용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헤드(412)가 내부에 지지되며 볼트 헤드(412)를 감싸는 블록 바디(421)와, 블록 바디(421)의 외벽에 함몰되게 마련되는 바디 홈부(42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홈부(422)가 마련된 영역의 블록 바디(421)의 하측부를 절개하여 마련되어 공기의 이동 통로로 제공되는 제1 절개홀(423)과, 제1 절개홀(423)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 마련되며 제1 절개홀(423)보다 홀의 폭이 넓게 마련되어 공기의 이동 통로로 제공되는 제2 절개홀(424)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푸싱 블록(420)은, 도 7의 (a)에 도시된 제2 형판(300)을 도 7의 (b)와 같이 제1 형판(20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제1 형판(200)의 결합홈(210)에 마찰되는 패드부(430)에 의해 패드부(430)와 같이 도 7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푸싱 블록(420)과 패드부(43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슬라이딩이 볼트부(410)와 푸싱 블록(420)의 내부, 볼트부(410)와 패드부(430)의 내부에서 발생되어 슬라이딩 마모에 의한 불순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불량율을 대폭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블록 바디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헤드(412)가 걸림 지지되는 헤드 지지턱(421a)이 마련될 수 있다.
파팅록(400)의 패드부(4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부가 블록 바디(421)에 접하고 볼트 바디(411)의 외벽을 감싸며 신축되는 재질로 마련되는 패드 바디(431)와, 블록 바디(421)와 접하는 영역의 패드 바디(431)에 마련되어 패드 바디(431)의 신축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패드 홈부(432)를 포함한다.
패드부(430)의 패드 바디(4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우레탄을 포함하는 신축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패드부(430)의 패드 홈부(4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바디(431)와 블록 바디(421)가 접하는 영역의 패드 바디(431) 내부에 마련되어 블록 바디(421)가 패드 바디(431)를 가압 시 도 4를 기준으로 블록 바디(421)와 패드 바디(431)가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볼트 바디(411)에 결합된 스프링 부재(450)는 수축되고, 블록 바디(421) 또는 패드 바디(4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 부재(450)는 팽창되어 푸싱 블록(420)과 패드부(430)를 상승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파팅록(400)의 와셔 부재(4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바디(431)와 스프링 부재(4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파팅록(400)의 스프링 부재(4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 부재(4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프링 부재(450)는 접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파팅록(400)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7의 (b)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2 형판(300)이 제1 형판(200)의 방향으로 이동되면 파팅록(400)에 의해 제1 형판(200)과 제2 형판(300)은 임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형판(200)과 제2 형판(300)의 결합 시 제2 형판(300)에 결합된 파팅록(400)은 제1 형판(200)의 결합홈(210)에 삽입된다. 이때, 푸싱 블록(420)에 결합홈(210)이 맞닿으며 이때 푸싱 블록(420)과 패드 바디(431)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제1 형판(200)과 제2 형판(300)이 분리되면 수축된 스프링 부재(450)가 팽창되면서 푸싱 블록(420)과 패드 바디(431)는 도 5의 (a)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형판(300)을 제1 형판(200)으로부터 분리 시 푸싱 블록(420)과 패드부(430)가 결합홈(210)과의 마찰력에 의해 제1 형판(200)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금형과 파팅록(400)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사출 금형 구조체
100 : 런너 플레이트 200 : 제1 형판
210 : 결합홈 220 : 가이드 부시
230 : 스토퍼 홈 240 : 리턴핀
241 : 확장부 300 : 제2 형판
310 : 가이드 핀 320 : 수용홈
400 : 파팅록 410 : 볼트부
411 : 볼트 바디 412 : 볼트 헤드
420 : 푸싱 블록 421 : 블록 바디
421a : 헤드 지지턱 422 : 바디 홈부
423 : 제1 절개홀 424 : 제2 절개홀
430 : 패드부 431 : 패드 바디
432 : 패드 홈부 440 : 와셔 부재
450 : 스프링 부재 10 : 고정판
11 : 로케이팅 링 12 : 판홈
20 : 가동판 21 : 스페이서 블록
22 : 하밀판 23 : 상밀판
24 : 판 가이드핀

Claims (10)

  1. 사출 금형의 제1 형판과 접하는 제2 형판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볼트부;
    상기 볼트부의 타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는 푸싱 블록; 및
    상기 푸싱 블록의 일측부에 접하도록 상기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 형판에 상기 푸싱 블록보다 근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볼트부를 상기 제2 형판에 결합 시 팽창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형판을 상기 제1 형판으로부터 분리 시 상기 푸싱 블록과 상기 패드부는 상기 제1 형판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사출금형용 파팅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싱 블록은,
    상기 볼트부의 볼트 헤드가 내부에 지지되며 상기 볼트 헤드를 감싸는 블록 바디; 및
    상기 블록 바디의 외벽에 함몰되게 마련되는 바디 홈부를 포함하는 사출금형용 파팅록.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푸싱 블록은,
    상기 바디 홈부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블록 바디를 절개하여 마련되어 공기의 이동 통로로 제공되는 제1 절개홀을 더 포함하는 사출금형용 파팅록.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푸싱 블록은,
    상기 제1 절개홀에서 연장 마련되며 상기 제1 절개홀보다 홀의 폭이 넓게 마련되어 공기의 이동 통로로 제공되는 제2 절개홀을 더 포함하는 사출금형용 파팅록.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일측부가 상기 블록 바디에 접하고 상기 볼트부의 볼트 바디의 외벽을 감싸며 신축되는 재질로 마련되는 패드 바디; 및
    상기 블록 바디와 접하는 영역의 상기 패드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패드 바디의 신축을 가이드하는 바디 홈부를 포함하는 사출금형용 파팅록.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볼트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패드부를 지지하는 와셔 부재를 더 포함하는 사출금형용 파팅록.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볼트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와셔 부재를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사출금형용 파팅록.
  8. 고정판에 결합되는 런너 플레이트;
    제품의 성형 시 상기 런너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제1 형판;
    상기 제품의 성형 시 상기 제1 형판에 밀착되는 제2 형판; 및
    상기 제1 형판과 상기 제2 형판의 사이에서 상기 제품이 성형된 후 상기 제1 형판이 이격되도록 상기 제1 형판과 상기 제2 형판을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파팅록을 포함하고,
    상기 파팅록은 상기 제2 형판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볼트부, 상기 볼트부의 타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는 푸싱 블록 및 상기 푸싱 블록의 일측부에 접하도록 상기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 형판에 상기 푸싱 블록보다 근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볼트부를 상기 제2 형판에 결합 시 팽창되는 패드부를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볼트부의 볼트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패드부를 지지하는 와셔 부재를 더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형판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볼트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와셔 부재를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
KR1020200150581A 2020-11-11 2020-11-11 사출금형용 파팅록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 KR20220064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581A KR20220064262A (ko) 2020-11-11 2020-11-11 사출금형용 파팅록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
PCT/KR2021/016380 WO2022103162A1 (ko) 2020-11-11 2021-11-11 사출금형용 파팅록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581A KR20220064262A (ko) 2020-11-11 2020-11-11 사출금형용 파팅록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262A true KR20220064262A (ko) 2022-05-18

Family

ID=8160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581A KR20220064262A (ko) 2020-11-11 2020-11-11 사출금형용 파팅록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64262A (ko)
WO (1) WO20221031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7553B (zh) * 2022-07-12 2023-07-21 锋特(福建)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生产tpu鞋底的生产流水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512B1 (ko) 2013-12-13 2015-03-04 추창오 사출금형용 파팅록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400Y1 (ko) * 1999-01-22 2001-06-15 김창수 저소음/교체형 3단 금형용 록킹장치
KR200417872Y1 (ko) * 2006-03-08 2006-06-05 유경정밀(주) 밀핀의 승강 구조가 개선된 사출금형
KR200430307Y1 (ko) * 2006-08-03 2006-11-13 (주)태양산업 삼단식 사출금형용 형판고정구
KR20170126609A (ko) * 2016-05-10 2017-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출금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512B1 (ko) 2013-12-13 2015-03-04 추창오 사출금형용 파팅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3162A1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296B1 (ko) 성형용금형장치 그 인서어트 착탈방법 및 사출방법
US5204127A (en)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
KR100625868B1 (ko)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KR20220064262A (ko) 사출금형용 파팅록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금형 구조체
US2688159A (en) Molding apparatus
JPH06339951A (ja) 射出成形用金型
US3226771A (en) Mold die
CN106142475A (zh) 一种易成型的y形三通注塑模具
KR101626509B1 (ko) 탠덤 성형장치의 잠금장치
KR101206574B1 (ko) 성형 제품의 성형후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
US10703021B2 (en) Cavity mold alignment system for blow mold tooling
KR20170010453A (ko) 금형의 잠금 조절장치
KR101252574B1 (ko) 사출성형 금형의 핫 런너 시스템용 이중밸브핀 노즐장치
US11345070B2 (en) Device for demoulding negatives in thermoplastic injection moulds
KR101464548B1 (ko) 게이트 자동절단 사출금형
KR20230027353A (ko)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
JPH08174605A (ja) 成形装置
KR101325222B1 (ko) 경사코어를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CN205661002U (zh) 一种三处分型面结构的注塑模具
US3768944A (en) Floating parison mold for injection blow-molding machine
JP4267990B2 (ja) 射出成形機
CN216182327U (zh) 一种利用斜楔块锁紧镶件的模具结构
CN213227377U (zh) 一种带有辅助脱模装置的模具
KR102286065B1 (ko) 사출 성형기의 성형방법
CN211363287U (zh) 一种高光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