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048A - 화재방지를 위한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화재방지를 위한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64048A KR20220064048A KR1020200150126A KR20200150126A KR20220064048A KR 20220064048 A KR20220064048 A KR 20220064048A KR 1020200150126 A KR1020200150126 A KR 1020200150126A KR 20200150126 A KR20200150126 A KR 20200150126A KR 20220064048 A KR20220064048 A KR 202200640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oly
- parts
- storage device
- functional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6—Partitions adapted to be fitted in two or more alternative posi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지를 위한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는,
일 측에 개방부를 구비한 상태에서 내부에 보조 배터리를 보관하는 스페이스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하우징에 적층된 것으로서, 수산화알루미늄, 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수산화마그네슘, 주석산아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난연성 보호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측에 개방부를 구비한 상태에서 내부에 보조 배터리를 보관하는 스페이스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하우징에 적층된 것으로서, 수산화알루미늄, 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수산화마그네슘, 주석산아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난연성 보호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재방지를 위한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용, 가정용, 차량용 및 산업용으로써 이용되는 보조배터리의 화재방지용 기능성 충전보관함으로써 보조 배터리를 수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하되, 가정 및 산업현장에서 보조 배터리 및 에너지저장장치(ESS)의 폭발 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난연성 재질을 이용한 화재방지를 위한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은 이제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보통 본체에 내장되어 있거나 결합되는 배터리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배터리는 휴대성 등의 이유로 사용자의 필요한 만큼의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예비배터리가 없거나 충전장치를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배터리가 방전되어 사용이 정지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특히, 급하게 연락을 취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일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정에 따라 보조 배터리가 개발되어 공중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보조 배터리(Supplementary Battery)는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충전시킨 후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예비 전원 장치이다. 이러한 보조배터리는 가정 내에서 베란다, 침대, 쇼파, 책상 등 그 장소를 가리지 않고 사용자 편의에 따라 다양한 장소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가정 뿐 아니라 휴대용으로도 보조 배터리를 소지한 사용자들이 적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 배터리는 여름과 같은 고온의 환경과 충격 등의 외부적 요인에 취약하고, 차량 내부에서 폭발하는 등의 사고가 빈번하여 인적, 물적 피해를 발생하는 경우가 다수 있으며, 항공사들 역시 폭발 위험성으로 인해 보조 배터리의 기내 반입을 불허하는 경우가 있어 여행객들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가정용, 산업용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산업현장 공장 내에서의 배터리 폭발 사건 등으로 인해 리튬배터리의 특성 문제는 막대한 재산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선행 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 10-0864748호에 ‘폭발 방지 배터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폭발 방지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개방 단부를 갖는 직사각형 용기; 상기 용기 내에 위치하는 전극 코어; 상기 용기의 개방 단부와 밀봉 가능한 배터리 커버; 및 용기의 표면상에 위치하는 폭발 방지 요홈;을 포함하고, 상기 폭발 방지 요홈은 상기 용기 표면의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을 갖고, 그리고 대각선의 단부 지점 및 교차 지점 사이의 거리는 대각선의 길이의 1/3 보다 적고, 상기 폭발 방지 요홈은 배터리 커버 및 전극 코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 지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배터리의 폭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경우 밀봉 가능한 배터리를 수납하는 케이스에 함입 형성된 요홈부를 기반으로 하여 배터리 케이스를 배터리와 단순 이격시킨 구조로서, 큰 폭발이나 화재 발생 시에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하거나 폭발을 방지할 수는 없는 한계성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정용, 차량용 및 산업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보조 배터리를 수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하되,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보조 배터리와 에너지저장장치(ESS)의 폭발 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난연재를 활용한 화재방지를 위한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난연성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보조 배터리를 밀폐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보조 배터리를 수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하되 보조 배터리의 폭발 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재방지를 위한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를 제조하여 이에 대한 기술을 가정용, 산업용 에너지저장장치 등에 활용할 수 있또록 범용성을 부여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보관 장치로 하여금 여러 개의 보조 배터리를 동시 수납 및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정용, 산업용 에너지저장장치(ESS)와 휴대용 보조 배터리의 폭발 및 화재 발생 시 보관 장치 내에서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본 발명의 보관 장치의 난연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지를 위한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는, 일 측에 개방부를 구비한 상태에서 내부에 보조 배터리를 보관하는 스페이스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하우징에 적층된 것으로서, 수산화알루미늄, 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수산화마그네슘, 주석산아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난연성 보호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스페이스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격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스페이스 내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지를 위한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에 의하면,
1) 수산화알루미늄, 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수산화마그네슘, 주석산아연과 같은 난연재를 포함하도록 한 보관 장치를 구성하여 보조 배터리의 수납, 충전, 밀폐를 가능케 하되 화재방지 기능을 극대화하였으며,
2) 격벽을 매개로 수납 장치의 스페이스를 분할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 개의 보조 배터리를 동시 수납 및 충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3) 소화제 디스펜서의 구성 및 전력 차단 구성을 통해 보조 배터리의 폭발 및 화재 발생 시 보관 장치 내에서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하고 보조 배터리의 충전을 중단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극대화하였고,
4) 난연성 강화제 및 물성개질제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수납 장치의 표면 코팅을 수행하여 난연성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내구성과 유연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조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조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우징 및 난연성 보호층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복수 개의 보조배터리 수납이 가능한 기능성 보관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관 장치의 격벽 이동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소화제 분사 및 전원 차단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조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우징 및 난연성 보호층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복수 개의 보조배터리 수납이 가능한 기능성 보관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관 장치의 격벽 이동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소화제 분사 및 전원 차단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화재방지를 위한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10)는 기본적으로 하우징(100), 개폐부(200), 난연성 보호층(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100)은 일 측에 개방부(110)를 구비하여 개방부(110)를 통해 보조 배터리(20)를 수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보조 배터리(20)는 하우징(100)에 구비된 별도의 스페이스(120)에 수납 처리된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개방부(110)를 따라 함입 형성된 스페이스(120)에 보조 배터리(20)가 수납 처리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스페이스(120)의 형상은 보조 배터리가 수납 가능하도록 일반적인 보조 배터리(20)의 형태, 즉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보조 배터리(20)의 형태가 단순 직육면체 형상으로만 한정되지는 않으므로 스페이스(120)도 보조 배터리(20)가 수납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재질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며, 하드 재질, 이를테면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철제, 알루미늄재와 같은 금속재 등의 재질로 하우징(100)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고, 혹은 비닐 팩이나 폴리우레탄 등의 소프트 재질로 하우징(100)을 제작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100)을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열경화성 플라스틱의 예시로는 폴리에스테르 계열 열경화성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계열 열경화성 수지, 페놀 수지 등이 있을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하우징(100)의 일 측,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스(120) 내부 공간에 보조 배터리(20)의 충전을 위한 전원공급단자(130), 즉 충전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단자(130)는 후술할 전원 공급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전원공급단자(130), 즉 충전단자에 보조 배터리(20)의 충전부(21)를 연결할 시 본 발명의 기능성 보관 장치(10)를 통해 보조 배터리(2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는 도 1 및 도 2의 예시에서도 도시되어 있으며, 만약 실시예 상에서 전원공급단자(13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기능성 보관 장치(10)는 보조 배터리(20)에 대한 배터리 충전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겸비할 수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은 기능성 보관 장치(10) 역시 보조 배터리(20) 충전을 위한 별도의 전원 공급 수단, 즉 내장된 배터리가 전원 공급부(700)로서 포함될 수 있으며, 혹은 외부 일 측에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공급부(7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 표시된 실시예 에서는 후술할 도 3에서 전원 공급부(700)를 구비한 기능성 보관 장치(10)를 도시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전원 공급부(700)는 기능성 보관 장치(10)에 연결된 별도의 배터리일 수도 있으며, 혹은 종래의 전원 케이블 등이 전원 공급부(700)에 연결되어 전원공급단자(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전원 공급부(700)가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하우징(100)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 장치를 더 포함하거나, 혹은 그 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스페이스(120)에 수납된 보조 배터리(20)에 대한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기능성 보관 장치(10)가 보조 배터리(20)에 대한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하우징(100) 일 측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20)의 배터리 잔량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8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800)의 위치에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20)의 배터리 잔량 및 충전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라면 하우징(100) 일 측 어디에도 제한 없이 디스플레이(8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800)를 통한 보조 배터리(20) 잔량 표시 방법에도 제한이 없어, 숫자 형태로 보조 배터리(20)의 잔량이 표시되거나, 혹은 그림이나 아이콘 등을 통해 보조 배터리(20)의 잔량 표시를 수행하는 방식, 또는 단순한 LED의 색상 변경이나 점멸을 통해 보조 배터리(20)의 잔량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800) 역시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외부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는 전원공급단자(130) 및 전원 공급부(700)를 매개로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하우징(100)의 일 측에는 개방부(110)가 형성되어 있다고 하였는데, 이에 따라 스페이스(120)에 수납된 보조 배터리(20)가 개방부(1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개방부(110)에 따른 보조 배터리(20)의 노출을 막기 위해 상기 보조 배터리(20) 수납용 보관 장치(10)는 개방부(110)를 개폐하는 개폐부(200), 즉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개폐부(200)는 개방부(110)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진 상태에서 쉽게 여닫을 수 있는 재질이나 두께로 구성된 것이라면 그 형상과 크기, 재질에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0)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의 예시처럼 개폐부(200)는 둘레를 따라 지퍼와 같은 결착수단(210)을 구비하여 하우징(100)과 결착 고정될 수 있으며, 도 2의 예시와 같이 개폐부(200)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된 끼움부재(220)를 형성하고, 하우징(100)의 대응하는 위치에 함입공간(140)을 형성하여 함입공간(140)에 끼움부재(220)가 끼움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하우징(100)과 개폐부(200)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은 형태와 재질, 고정 방식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종래의 다양한 결착수단(210) 등이 적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더불어 개폐부(200)와 하우징(100)을 고정하는 고정 위치에 대해서도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도 1의 구성과 같이 개폐부(200)의 둘레를 따라 지퍼 등의 결착부재로 하우징(100)과 개폐부(200)를 결착 고정할 수도 있으며, 혹은 개폐부(200)의 중간에 지퍼가 있어 지퍼를 열었을 때 개폐부(200)가 반 갈라지는 형태, 또는 하드 재질의 하우징(100)에서는 끼움 고정 외에도 슬라이드 개폐 역시 가능하다. 따라서 개폐부(200)를 통해 개방부(110)를 개폐 처리할 수만 있다면 고정 방식, 개폐 방식, 개폐부(200)의 크기 등에서는 어떠한 제한도 없다. 더불어 도 2 이외의 도면이나 실시예에서 별도의 개폐부(200)가 도시/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기능성 보관 장치(10)의 경우 개방부(110)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200)를 항상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우징 및 난연성 보호층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능성 보관 장치(10)는, 하우징(100)에 코팅되어 적층 처리된 난연성 보호층(300)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난연성 보호층(300)은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10)가 화재방지를 위한 것에서 착안하여 보조 배터리의 폭발이나 화재 상황이 발생할 시 난연성 보호층(300)을 매개로 기능성 보관 장치(10)에 불이 옮겨붙거나 장치가 타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보조 배터리의 폭발 및 화재 상황 시 기능성 보관 장치(10)를 보호하여 결과적으로는 상기 기능성 보관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난연성 보호층(300)은 난연성 재질을 포함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알루미늄, 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수산화마그네슘, 주석산아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게 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난연재는 친환경적이고, 가격이 저렴하며 가공기계의 부식성이 적고 전기절연성도 우수하여 일반적인 화재에서 나타나는 온도 범위 내에서의 안정성이 높다.
이와 같은 난연성 보호층(300)을 포함하는 기능성 보관 장치(10)의 경우 하우징(100)에 포함된 스페이스(120)를 통해 내부에 보조 배터리(20)를 수납할 수 있되, 난연성 보호층(300)에 포함된 난연성 재질,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마그네슘을 통해 보조 배터리(20)의 폭발이나 화재 발생 시에도 화재가 옮겨붙거나 연쇄적 폭발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본 발명의 기능성 보관 장치(10)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보관 장치(10)가 구비된 장소를 화재나 폭발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재방지를 위한 보조 배터리(20)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10)는 가정에서 보조 배터리(20)를 수납하고 충전하는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조 배터리(20)를 수납하는 케이스와 같은 역할로써 사용자가 휴대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차량 내부에서 보조 배터리(20)를 보관 및 충전하기 위해 사용 역시 가능하다. 더불어 후술할 설명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보조 배터리(20)를 하나의 보관 장치(10)에 보관하게 되는 경우 개인 이용 목적이 아닌 산업용, 즉 복수 개의 보조 배터리(20)를 수납하고 충전하는 기능을 가진 수납 랙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복수 개의 보조 배터리 수납이 가능한 기능성 보관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10)는 스페이스(120) 내부에 복수 개의 격벽(12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능성 보관 장치(10)의 하우징(100)이 여러 개의 보조 배터리(20)를 수납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크기와 면적을 지닌 상태에서 스페이스(120)가 격벽(122)에 의해 여러 개의 공간으로 분리된다면 각각의 공간에 보조 배터리(20)를 수납하여 여러 개의 보조 배터리(20)를 하나의 기능성 보관 장치(10)에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격벽(122)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스페이스(120)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더불어 이렇게 스페이스(120)가 격벽(122)에 의해 여러 개의 공간으로 분할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보조 배터리(20) 수납 공간엔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단자가 구비될 수 있어 충전 단자를 매개로 보조 배터리(20)의 충전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하우징(100)은 여러 개의 보조 배터리(20)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800)를 일 측에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의 기능성 보관 장치(10)는 하나의 보관 장치(10)로 복수 개의 보조 배터리(20)를 수납하여 보조 배터리(20)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폭발이나 화재를 방지하고, 나아가 보조 배터리(20)에 대한 충전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어 일반 개인의 가정용, 차량용, 휴대용 사용 범위에서 더 나아가 산업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범용성을 갖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관 장치의 격벽 이동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술한 도 4의 설명에서 스페이스(120)의 내측에 격벽(122)이 구비되어 격벽(122)을 매개로 스페이스(120)가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 때 격벽(12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면 스페이스(120)가 분할된 공간의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보조 배터리(20)의 크기가 모두 동일하지 않고 제조사별로, 용량별로 크기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 격벽(122)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페이스(120)의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함입 형성된 복수 개의 함입홈(121)이 형성될 수 있어, 격벽(122)의 단부를 함입홈(121)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함으로써 격벽(122)을 함입홈(121)에 끼웠다 뺐다 하는 구성을 통해 스페이스(120)의 분할 구성에서 분할 면적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격벽(122)은 하우징(100)에 구비된 스페이스(120)의 내주면 함입홈(121)에 끼움 결합되는 바, 하우징(100)이 격벽(122)을 끼우기 적절한 재질이어야 한다. 즉 격벽(122)의 단부를 함입홈(121)에 끼움 결합할 시 하우징(100)이 파손되어서는 안 되며, 끼움 결합이 너무 어려울 경우 사용에 곤란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격벽(122)의 탈착 구성에서는 하우징(100)은 소프트 재질, 즉 고무나 연성 플라스틱 등의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격벽(122)은 상대적으로 하우징(100)보다 단단한 하드 재질로 이루어져 하우징(100)의 스페이스(120) 내의 함입홈(121)에 단단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격벽(122)의 이동이 가능한 경우 다양한 크기의 보조 배터리(20) 사이즈에 맞춰 분할된 스페이스(120) 공간의 내부 면적을 조절할 수 있어 보조 배터리(20)의 크기에 딱 맞는 수납이 가능토록 하여 보조 배터리(20) 수납 장치가 보다 다양한 사이즈의 보조 배터리(20)를 수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소화제 분사 및 전원 차단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20)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10)는 기본적으로 보조 배터리(20)의 폭발 시에도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화재 방지 기능을 포함한다 하였다. 이때 하우징(100) 자체가 난연성 재질로 구성되어 폭발 및 화재로부터 외부 환경을 보호할 수도 있으나, 여기서 더 나아가 보조 배터리(20)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보조 배터리(20)에 직접적으로 소화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 더 포함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기능성 보관 장치(10)는 스페이스(120)의 온도를 감지하여 보조 배터리(20)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감지센서(400)와, 온도감지센서(400)에서 측정된 온도의 고저에 따라 소화제를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이 더 겸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온도감지센서(400)는 하우징(100)의 일 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스(120)의 내주면 일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400)의 개수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으므로, 스페이스(12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스(120)의 내주면 일 측 혹은 하우징(100)의 내부 일 측이라면 그 위치나 구비 개수에 제한이 없다.
더불어 스페이스(120) 내부에는 상기 스페이스(120)에 소화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제 디스펜서(500)가 구비되는데, 이는 종래의 방향제 분사기의 구조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하우징(100) 내부에는 별도의 소화제 캔(5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나아가 스페이스(120)의 내주면 일 측에 소화제 캔(520)에서 토출되는 소화제를 스페이스(120)에 분사할 수 있는 분사구(510)가 형성된다. 이러한 분사구(510) 및 소화제 캔(520)은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는 연결관 등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때 디스펜서(500)에 포함되는 소화제 캔(520)의 경우 기능성 보관 장치(10)에 별도로 구비되는 컨트롤러(60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데, 이러한 컨트롤러(600)는 상기 온도감지센서(400)를 매개로 측정된 온도의 고저에 따라 상술한 소화제 디스펜서(5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설정된 값 이상의 온도가 온도감지센서(400)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컨트롤러(600)에 의해 상술한 소화제 캔(520)의 분사노즐을 누르거나 혹은 종래의 방향제 및 소화제 디스펜서에서 볼 수 있었던 방식등을 통해 디스펜서(500)에 포함되는 소화제 캔(520)으로 하여금 가스 또는 분말의 소화제를 토출하게끔 한다. 고온 발생 시 컨트롤러(600)로 하여금 디스펜서(500)를 구동하게 함으로써 토출된 소화제가 스페이스(120)의 내주면 일 측에 구비될 수 있는 분사구(510)를 매개로 하여 스페이스(120) 내부에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설정된 값 이상의 온도가 온도감지센서(400)를 통해 감지됨에 따라서 컨트롤러(600)가 디스펜서(500)를 구동한다 하였다. 이때 온도 설정 범위는 제조 시 설정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화재 발생 시 감지될 수 있는 온도, 즉 실생활에서 감지 불가능한 온도가 감지됨에 따라 컨트롤러(600)로 하여금 디스펜서(500)를 구동하게 할 수 있다. 예시로 대략 70℃ 이상의 온도가 온도감지센서(400)에서 감지되는 경우 보조 배터리(20)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게끔 할 수도 있으며, 상온 범위 이상이라면 디스펜서(5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 설정값에 있어서는 제한이 없다.
이러한 컨트롤러(600) 및 온도감지센서(400), 디스펜서(500)는 상술한 전원 공급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될 수도 있으며, 혹은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여기에서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기능성 보관 장치(10)는 전원공급단자(130)를 매개로 하여 보조 배터리(20)에 대한 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하였다. 이 때 화재 방지 및 연쇄적인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구성으로서, 상기 기능성 보관 장치(10)는 온도감지센서(400)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단자(13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전원 차단 수단(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전원 차단 수단(미도시)은 바람직하게는 전원 공급부(700)에 포함되는 구성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일종의 콘센트 및 기능성 보관 장치(10)의 전원 연결 수단이라 할 수 있는 전원 공급부(700)에 대한 전력 차단을 가능케 함으로써 전원공급단자(130)로 하여금 보조 배터리(20)에 대한 충전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 차단 수단(미도시)은 전원공급단자(130)에 제공되는 전원의 ON/OFF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온도감지센서(400)에서 설정된 온도범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됨에 따라, 즉 이상 고온(화재 발생)이 감지됨에 따라 일정 전압의 릴레이가 전원 공급부(700)의 일 측에 구비되어 별도로 분리되어 흐르는 전기를 스위칭하는 신호 또는 펄스를 생성하며, 설정된 온도범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됨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전원공급단자(130)로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릴레이는 주지 관용적으로 널리 쓰이는 것이므로 자세한 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기능성 보관 장치(10)는 하우징(100)에 적층 처리되는 난연성 보호층(300)을 포함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난연성 보호층(300)은 난연성 강화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난연성 강화제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난연성 강화제를 제조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1) 폴리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먼저 난연성 강화제 제조를 위한 기초 물질이라 할 수 있는 폴리올 용액을 제조한다. 이 때 폴리올용액은 폴리에테르폴리올 30 내지 65 중량부와, 폴리에스테르폴리올 35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며, 해당 중량부의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혼합하고 20 내지 40℃에서 10 내지 40분 간 교반하여 폴리올 용액이 제조된다.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폴리우레탄 계열 수지 재질에 필수적인 원료로써,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접착제 및 코팅용, 엘라스토머의 역할로서 이용되고,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액상을 갖는 것으로써 우레탄 폼 용으로 범용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혼합 비율에 대해서는 넓은 범위의 혼합이 가능하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중량부가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중량부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모두 상온에서 액상을 나타내므로 상온 범위에서 교반 처리하는 경우 액상의 폴리올 용액을 얻을 수 있다.
(S12) 중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폴리올 용액을 15 내지 20℃로 냉각 처리한 뒤, 폴리올 용액에 추가적인 수지계 첨가제 및 제조되는 난연성 강화제의 물성 개선을 위한 물성개선제, 그리고 발포개시제를 첨가하여 중간 용액을 제조한다.
따라서 냉각된 상기 폴리올 용액 60 내지 80 중량부에, 수지계 첨가제로써 폴리(L-락타이드)-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L-락타이드) (PLLA-PBT-PLLA :Poly(L-lactide)-poly(butylene terephthalate-poly (L-lactide)) 10 내지 20 중량부가 첨가되고, 나아가 폴리(α-메틸렌-γ-뷰틸로락톤)-폴리(n-뷰틸 아크릴레이트)-폴리(α-메틸렌-γ-뷰틸로락톤)(PMBL-PBA-PMBL:Poly(α-methylene-γ-butyrolactone)-poly(n-butyl acrylate)-poly(α-methylene-γ-butyrolactone))를 포함하는 물성개선제 15 내지 20 중량부가 더해지며, 발포개시제로서 올리브잎 추출액 5 내지 10 중량부가 더해진 상태에서 5 내지 20분 간 교반 처리되어 중간 용액이 제조된다.
이때 수지계 첨가제로써 첨가되는 폴리(L-락타이드)-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L-락타이드)는 높은 유연성을 지녀 수지계 첨가제로써 난연성 강화제에 첨가되는 경우 난연성 강화제가 더해진 난연성 보호층(300)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0)에 적층 처리된다면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 및 깨지기 쉬운 성질을 나타내는 하우징(100)의 표면의 유연성을 부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폴리(L-락타이드)-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L-락타이드)는 친환경적 폴리에스터로써 인체에 대한 유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난연성 보호층(300)에 더해지는 경우 화재 발생에 있어 그을음이 발생할 지라도 인체에 대한 유해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물성개선제로써 첨가되는 폴리(α-메틸렌-γ-뷰틸로락톤)-폴리(n-뷰틸 아크릴레이트)-폴리(α-메틸렌-γ-뷰틸로락톤)의 경우 튤립에서 추출될 수 있는 α-메틸렌-γ-뷰틸로락톤을 매개로 한 고분자로써, 재생 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더하여 친환경적이라는 특성이 있다.
나아가 물성개선제로 첨가되는 경우 기계적 강도를 높여 내구성 향상에 도움이 되며,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나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져 고온 안정성 역시 높으므로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반적인 특성인 높은 유연도, 그와 동시에 고온 안정성 향상 및 내구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더불어 물성개선제는 그보다 더 다양한 기능적 이점을 부가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발포개시제로는 종래에 이용되던 단순 정제수가 아닌 올리브잎 추출액이 이용된다. 올리브잎 추출액은 상술한 폴리올 용액의 발포개시제로써 이용되는 것 뿐 아니라,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의 일종인 올러유러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균,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발포개시제로써 첨가되는 올리브잎 추출액을 포함하는 난연성 보호층(300)은 항균, 항바이러스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보조 배터리(20) 수납을 위해 사용자와 계속 접촉하게 되는 기능성 보관 장치(10)에 대해서도 항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13) 난연성 강화제를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제 2 용액 40 내지 60 중량부와,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4,4-di phenylmethane diisocyanate) 20 내지 40 중량부 및, 수산화마그네슘 30 내지 50 중량부와, 트리스(2-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Tris(2-chloroethyl) phosphate) 5 내지 10 중량부와, 멜라민(melamine) 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고 고속 믹서에서 교반 처리하여 난연성 강화제를 완성하게 된다.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4,4-di phenylmethane diisocyanate), 일반적으로 Polymeric MDI라고도 하며 상온에서 액상이다. 폴리우레탄 폼 제조에 널리 이용되며, 폴리올 용액에 대한 경화제로써 이용된다. 더불어 타 재료와의 접착성이 우수하므로 난연성 강화제가 하우징(100)에 용이하게 부착 및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기본 난연제인 수산화마그네슘은 무기계의 대표적인 난연제로 가격이 저렴하고 첨가량이 많아진다 할지라도 사용 상 부담이 없어 이점이 많으며, 흡열량이 높고 분해 온도가 높아 일반적인 성형가공 및 화재범위의 온도에서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추가적인 난연제로 첨가되는 트리스(2-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Tris(2-chloroethyl) phosphate)는 할로곈계 난연제로써 우수한 난연특성을 보여 소량 첨가시에도 우수한 난연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멜라민(melamine) 역시 난연성 수지로서 멜라민을 함유한 연질 폴리우레탄의 경우 열분해시에도 별다른 독성기체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멜라민 첨가시 실제 화재 발생 시에도 그을음 및 연기를 최소화하는 특성이 있을 뿐 아니라 환경 및 인간에 대한 독성이 낮아 난연성 첨가제에 첨가할 경우 난연성의 증대, 그을음 및 연기 발생 방지 효과가 뚜렷하다. 이러한 멜라민은 용융 처리된 액상으로 첨가될 수도 있으며, 혹은 분말 형태의 멜라민이 첨가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난연성 강화제는 난연성 보호층(300)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충분한 연성을 가져 하우징(100)을 보호하고, 하우징(100) 표면에 대한 높은 접착성을 나타내어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아가 난연성 보호층(300)의 표면에 대한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상술한 난연성 강화제는 물성개선제를 더 포함한다고 하였는데, 폴리(α-메틸렌-γ-뷰틸로락톤)-폴리(n-뷰틸 아크릴레이트)-폴리(α-메틸렌-γ-뷰틸로락톤)을 포함하여 기계적 강도 향상 및 유연성 개선에 효과가 있는 물성개선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물성개선제는, 제 1 폴리머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 2 폴리머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첨가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물성개선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각 단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21) 제 1 폴리머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기계적 강도 향상 및 유연성 증가, 내구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폴리(α-메틸렌-γ-뷰틸로락톤)-폴리(n-뷰틸 아크릴레이트)-폴리(α-메틸렌-γ-뷰틸로락톤)(PMBL-PBA-PMBL:Poly(α-methylene-γ-butyrolactone)-poly(n-butyl acrylate)-poly(α-methylene-γ-butyrolactone)) 30 내지 50 중량부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Styrene-butadiene-styrene) 20 내지 30 중량부와 n-부틸아크릴레이트(BA:n-butyl acrylate) 30 내지 40 중량부 및 폴리(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P2EHA:poly(2-ethylhexyl acrylate))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폴리머용액을 제조한다.
폴리(α-메틸렌-γ-뷰틸로락톤)-폴리(n-뷰틸 아크릴레이트)-폴리(α-메틸렌-γ-뷰틸로락톤)에 대한 물성 설명은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토록 하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의 경우 유연성 개선을 위해 첨가되며 고온에서의 강도저하를 방지하고 및 침입도 저항을 높일 수 있는 기능이 있다.
n-부틸아크릴레이트(BA:n-butyl acrylate)는 높은 탄성계수를 보여 물성개선제에 첨가시 상술한 난연성 보호층(300)의 탄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접착성이 뛰어나 물성개선제로 첨가 시 상술한 난연성 보호층(300)이 하우징(100)에 보다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성 향상 기능을 제공한다.
폴리(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P2EHA:poly(2-ethylhexyl acrylate))는 가공성 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고분자로써 탄성계수가 기존의 열가소성 탄성체에 비해 뛰어나며 외부에서 압력을 가할 시 압력가공이 뛰어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폴리(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가 물성개선제로 첨가될 시 가공성의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S22) 제 2 폴리머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제조된 상기 제 1 폴리머용액 50 내지 70 중량부에 디비닐벤젠(dibinylbenzene) 20 내지 35 중량부 및 세륨옥사이드 나노입자(Cerium oxide nano particles) 10 내지 30 중량부가 첨가되고 고속 교반되어 제 2 폴리머용액이 제조된다.
디비닐벤젠은 분지제(branching agent)로 첨가되는 것으로서, 수지의 용융특성을 개선하고 복합재 제조에 있어 성능개선을 위해 첨가된다. 따라서 제 1 폴리머용액에 포함된 다양한 수지에 대한 분지제로써 디비닐벤젠이 첨가됨에 따라 후술할 세륨옥사이드 나노입자 첨가에 따른 강도 및 경도 증가 효과가 보다 뚜렷해질 수 있다.
세륨옥사이드 나노입자(Cerium oxide nano particles)는 상술한 제 1 폴리머용액에 첨가되어 유-무기 하이브리드 복합재 제조에 이용된다. 세륨옥사이드 나노입자가 물성개선제에 첨가됨에 따라 굽힘 강도 및 경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세륨옥사이드 나노입자는 높은 값의 표면적을 형성하여 우수한 산화/환원 작용을 통해 표면에 치밀한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피막을 통한 내부 보호 효과가 뚜렷한 물질이다. 즉 물성개선제로써 세륨옥사이드 나노입자가 첨가되는 경우 세륨옥사이드 피막이 난연성 보호층(300)의 표면에 형성되어 난연성 보호층(30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S23) 첨가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더불어, 제 2 폴리머용액에 첨가될 첨가용액을 제조한다. 첨가용액은 테트라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TTAB: tetradecyl trimethylammonium bromide) 1 내지 10 중량부와 3차 증류수 90 내지 99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데, 여기서 테트라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는 계면활성제로써 물성개선제에 포함된 다양한 수지 성분들에 대한 혼합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해당 계면활성제의 용매로써는 3차 증류수가 이용되어 제조될 물성개선제에 있어 증류수에 첨가된 미량의 이온에 의한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S24) 물성개선제를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제 2 폴리머용액 60 내지 80 중량부와, 퍼퓨릴설파이드(furfuryl sulphide) 3 내지 10 중량부 및, 상기 첨가용액 2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물성개선제를 완성하게 된다. 이때 퍼퓨릴설파이드 첨가에 따라 상술한 분지제인 디비닐벤젠의 분지 효과가 극대화되어 상술한 세륨옥사이드 나노입자와 다양한 수지제의 혼합성이 증대되고, 계면활성제 수용액인 첨가용액이 첨가됨에 따라 복합구조의 폴리머에 있어 혼합성 및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물성개선제의 첨가에 따라, 다양한 수지제를 기반으로 하여 상술한 난연성 보호층(300)의 유연성 개선, 강도저하 방지, 침입도 저항력 상승, 탄성계수 증가, 높은 접착성을 통한 부착력 상승, 뛰어난 압력가공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복합재료로 첨가되는 세륨옥사이드 나노입자를 통해 표면에 치밀한 피막이 형성되어 내구성 역시 향상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지를 위한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보관 장치 20 : 보조 배터리
21 : 충전부 100 : 하우징
110 : 개방부 120 : 스페이스
121 : 함입홈 122 : 격벽
130 : 전원공급단자 140 : 함입공간
200 : 개폐부 210 : 결착수단
220 : 끼움부재 300 : 난연성 보호층
400 : 온도감지센서 500 : 디스펜서
510 : 분사구 520 : 소화제 캔
600 : 컨트롤러 700 : 전원 공급부
800 : 디스플레이
21 : 충전부 100 : 하우징
110 : 개방부 120 : 스페이스
121 : 함입홈 122 : 격벽
130 : 전원공급단자 140 : 함입공간
200 : 개폐부 210 : 결착수단
220 : 끼움부재 300 : 난연성 보호층
400 : 온도감지센서 500 : 디스펜서
510 : 분사구 520 : 소화제 캔
600 : 컨트롤러 700 : 전원 공급부
800 : 디스플레이
Claims (9)
- 화재방지를 위한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로서,
일 측에 개방부를 구비한 상태에서 내부에 보조 배터리를 보관하는 스페이스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하우징에 적층된 것으로서, 수산화알루미늄, 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수산화마그네슘, 주석산아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난연성 보호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격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관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스페이스 내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보관 장치는,
상기 스페이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스페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스페이스에 소화제를 분사하는 디스펜서;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측정한 온도의 고저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를 구동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보관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전원공급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관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보관 장치는,
상기 스페이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측정한 온도의 고저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단자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난연성 보호층은,
수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난연성 강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관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강화제는,
폴리에테르폴리올 30 내지 65 중량부와, 폴리에스테르폴리올 35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하고 20 내지 40℃에서 10 내지 40분 간 교반하여 폴리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올 용액을 15 내지 20℃로 냉각 처리하고, 냉각된 상기 폴리올 용액 60 내지 80 중량부와, 폴리(L-락타이드)-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L-락타이드)(PLLA-PBT-PLLA:Poly(L-lactide)-poly(butylene terephthalate - poly (L-lactide)) 10 내지 20 중량부와, 폴리(α-메틸렌-γ-뷰틸로락톤)-폴리(n-뷰틸 아크릴레이트)-폴리(α-메틸렌-γ-뷰틸로락톤)(PMBL-PBA-PMBL:Poly(α-methylene-γ-butyrolactone)-poly(n-butyl acrylate)-poly(α-methylene-γ-butyrolactone))를 포함하는 물성개선제 15 내지 20 중량부와 올리브잎 추출액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5 내지 20분 간 교반 처리하여 중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용액 40 내지 60 중량부와,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4,4-di phenylmethane diisocyanate) 20 내지 40 중량부 및, 수산화마그네슘 30 내지 50 중량부와, 트리스(2-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Tris(2-chloroethyl) phosphate) 5 내지 10 중량부와, 멜라민(melamine) 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고 고속 믹서에서 교반 처리하여 난연성 강화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관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개선제는,
폴리(α-메틸렌-γ-뷰틸로락톤)-폴리(n-뷰틸 아크릴레이트)-폴리(α-메틸렌-γ-뷰틸로락톤)(PMBL-PBA-PMBL:Poly(α-methylene-γ-butyrolactone)-poly(n-butyl acrylate)-poly(α-methylene-γ-butyrolactone)) 30 내지 50 중량부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Styrene-butadiene-styrene) 20 내지 30 중량부 및 n-부틸아크릴레이트(BA:n-butyl acrylate) 30 내지 40 중량부 및 폴리(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P2EHA:poly(2-ethylhexyl acrylate))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폴리머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폴리머용액 50 내지 70 중량부와 디비닐벤젠(dibinylbenzene) 20 내지 35 중량부 및 세륨옥사이드 나노입자(Cerium oxide nano particles) 1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고속 교반하여 제 2 폴리머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테트라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TTAB: tetradecyl trimethylammonium bromide) 1 내지 10 중량부와 3차 증류수 90 내지 99 중량부를 혼합하여 첨가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폴리머용액 60 내지 80 중량부와, 퍼퓨릴설파이드(furfuryl sulphide) 3 내지 10 중량부 및, 상기 첨가용액 2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물성개선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0126A KR102466534B1 (ko) | 2020-11-11 | 2020-11-11 | 화재방지를 위한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0126A KR102466534B1 (ko) | 2020-11-11 | 2020-11-11 | 화재방지를 위한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4048A true KR20220064048A (ko) | 2022-05-18 |
KR102466534B1 KR102466534B1 (ko) | 2022-11-10 |
Family
ID=81800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0126A KR102466534B1 (ko) | 2020-11-11 | 2020-11-11 | 화재방지를 위한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653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43548A1 (ko) * | 2022-08-24 | 2024-02-2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화재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팩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6107B1 (ko) * | 2023-03-08 | 2023-07-18 | 주식회사 루나볼트 | 소화필름을 구비한 배터리모듈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6767B1 (ko) * | 2006-05-17 | 2007-11-16 | 현대에너셀 주식회사 |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2차전지의 케이스 |
KR20110060079A (ko) * | 2009-11-30 | 2011-06-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연료전지 스택용 인클로져 |
KR101595607B1 (ko) * | 2011-12-07 | 2016-02-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
KR101924573B1 (ko) * | 2017-11-23 | 2018-12-04 | (주)탑인프라 | 배터리 충전 및 보관이 가능한 캐비닛 |
KR102027373B1 (ko) * | 2019-04-16 | 2019-10-01 | 주영길 | Ess 설비 온도 감시 시스템 |
KR102106153B1 (ko) * | 2019-10-17 | 2020-05-04 | 주식회사 현대쏠라텍 | 에너지저장장치의 화재 감시 장치 |
-
2020
- 2020-11-11 KR KR1020200150126A patent/KR1024665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6767B1 (ko) * | 2006-05-17 | 2007-11-16 | 현대에너셀 주식회사 |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2차전지의 케이스 |
KR20110060079A (ko) * | 2009-11-30 | 2011-06-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연료전지 스택용 인클로져 |
KR101595607B1 (ko) * | 2011-12-07 | 2016-02-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
KR101924573B1 (ko) * | 2017-11-23 | 2018-12-04 | (주)탑인프라 | 배터리 충전 및 보관이 가능한 캐비닛 |
KR102027373B1 (ko) * | 2019-04-16 | 2019-10-01 | 주영길 | Ess 설비 온도 감시 시스템 |
KR102106153B1 (ko) * | 2019-10-17 | 2020-05-04 | 주식회사 현대쏠라텍 | 에너지저장장치의 화재 감시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43548A1 (ko) * | 2022-08-24 | 2024-02-2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화재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66534B1 (ko) | 2022-1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66534B1 (ko) | 화재방지를 위한 보조 배터리 수납용 기능성 보관 장치 | |
CN101855747B (zh) | 使用开关的电动车辆用蓄电池的安全装置和保护方法 | |
CN103717657A (zh) | 聚酯类弹性体发泡体 | |
KR101994813B1 (ko) |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 | |
EP1188792A4 (en) | FLAME RETARDANT COMPOSITION OF POLYCARBONATE RESIN | |
CN101790647A (zh) | 气压式致动器 | |
US20150222311A1 (en) | Housing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CN104200174A (zh) | 一种电子设备信息自动销毁结构 | |
CN215097069U (zh) | 一种智能充电防爆柜 | |
KR101974487B1 (ko) | 공동주택과 건축물에 설치하는 전기배선 보호장치 | |
JP4798148B2 (ja) | 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2388257B1 (ko) | 멀티탭용 정리함 | |
CN105244550A (zh) | 防起火型电动汽车动力电池 | |
CN203845983U (zh) | 一种阻燃抗静电保护胶带 | |
CN205312242U (zh) | 一种文献保护箱 | |
KR102373555B1 (ko) | 화재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로 시설물용 분전반 | |
WO2022230808A1 (ja) | 消火用積層体、消火用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エレクトロニクス部材 | |
KR101766869B1 (ko) | 선박용 난연 테이프 | |
CN205141093U (zh) | 防起火型电动汽车动力电池 | |
JPH09201914A (ja) | フラットケーブル用積層体 | |
CN112713631A (zh) | 智能充电管理柜 | |
CN113904235A (zh) | 一种自动灭火的配电柜 | |
CN216995928U (zh) | 一种阻燃抗静电的危化品储运容器 | |
KR102016711B1 (ko) | 이차 전지 | |
CN104592799A (zh) | 一种新型阻燃防静电安全油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