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676A - 다수의 구동기어 극대화 엔진, - Google Patents

다수의 구동기어 극대화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676A
KR20220063676A KR1020200150195A KR20200150195A KR20220063676A KR 20220063676 A KR20220063676 A KR 20220063676A KR 1020200150195 A KR1020200150195 A KR 1020200150195A KR 20200150195 A KR20200150195 A KR 20200150195A KR 20220063676 A KR20220063676 A KR 20220063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gear
generator
shaft
hous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원
Original Assignee
박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원 filed Critical 박재원
Priority to KR1020200150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3676A/ko
Publication of KR20220063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F05B2260/403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F05B2260/403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 F05B2260/4031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of the epicyclic, planetary or differential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구동기어 극대화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전기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 하나의 피동기어 및 다수의 구동기어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 발전기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 하단 면에 돌출 형성되는 발전기 상 하부 회전축과, 상기 발전기 상부 회전축은 재1,2 하우징 사이 피동기어 하부 회전축과, 결합되고, 발전기 상 하부 축 베어링의 설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발전기 하부 회전축은 제1 하우징의 하부 축 베어링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지지 되고 발전기: 피동기어 몸체의 상단 면에 피동기어 상 하부 회전축과, 다수의 이빨을 가진 하나의 피동기어: 상기 피동기어의 외측 원주둘레 상부에는 다수의 구동기어 전동기가 구비되고 상기 피동기어의 하부에는 다수의 구동기어가 각각 다수의 이빨로 구비된다. 상기 피동기어 다수의 이빨과 다수의 구동기어의 각각의 다수의 이빨과 서로 ?Ч갬? 결합 회전 가동되도록 구성 된다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부에 외부에서 전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전기 입력 구가 구비되고, 제2 하우징의 상단 부에는 외부로 전기가 출력 될 수 있도록 전기 출력 구가 구비된다. 상기 발전기 축 베어링과 상기 피동기어 축 베어링과 결합되어 하나의 회전체로서 즉, 물체의 운동량과 관성 물체와 회전축 사이의 거리를 곱한 값으로 표현하는 벡터 량에 따른 총 기계적 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 창출과. 상기 피동기어 중심축의 원심력과: 상기 다수의 구동기어의 구심력과 상호작용 대형기기기도 안전작동과 상기 극대화장치 즉, 회전하는 회전체 각 부분의 운동량(질량과 속도를 곱한 양)과, 회전축으로부터 거리를 곱한 것, 각운동량에 따른 총 기계적 에너지가 전기에너지 변환 초기 다수의 구동기어에 사용된 전기에너지 상쇄 후 순수잉여에너지 창출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수의 구동기어 극대화 엔진{MANY driving gear UTILIZATION; ENGINE}
본 발명은 구동기어 극대화 엔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동기어 중심축 (원심력)과: 상기 피동기어의 원주에 다수의 구동기어의 구심력과의 상호작용 대형기계도 안전작동 상기 다수의 구동기어와: 발전기 중심축 사이 평행에 맞은 거리설정 극대화장치로 회전하는 회전체 각 부분의 운동량(질량과 속도를 곱한양)과, 회전축으로부터 거리를 꼽한 값 각운동량에 따른 총 기계적 에너지가 발전기 고정자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 창출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피동기어와 하나의 구동기어 사이로 하는 에너지 전달 장치는 현대 일반적 기계 예외 없이 중심에서 바깥쪽 원심력운동 직경이 2배 커지면 그 저항은 4배로 커져 파괴적 작용 형태로서 큰 비용에 작은 에너지생성 등 많은 문제가 있다.
제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112479호(2012.01.30.) 제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320601호(2013.10.15.)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피동기어 중심축(원심력)과: 상기 피동기어의 원주에 다수의 구동기어의 구심력과의 상호작용 대형기계도 안전작동 상기 다수의 구동기어와: 발전기 중심축 사이 평행에 맞은 거리설정 극대화장치로 회전하는 회전체 각 부분의 운동량(질량과 속도를 곱한양)과, 회전축으로부터 거리를 꼽한 값 각운동량에 따른 총 기계적 에너지가 발전기 고정자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 창출에 관한 것을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구동기어 극대화 엔진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피동기어와 다수의 구동기어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 발전기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 수평방향으로 길게 뻗은 피동기어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단면에 돌출형성되는 상부 회전축과 상기 몸체에 하단면에 돌출형성되는 하부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부 회전축은 피동기어 및 구동기어 상부 베어링장치 형틀의 축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부 베어링장치 형틀의 축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 라게지지 회전된다. 발전기 상부 회전축은 발전기 베어링장치 형틀 축 배어리에 의해지지 회전되고 .발전기 하부 회전축은 제1 하우징의 하단면에 발전기 베어링 형틀 축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 하게지지되고 상기 피동기어 하부 회전?s과L 사기 발전기 상부 회전축 각각 연장 결합 일체로 작동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동기어 몸체의 원주에 다수의 이빨이 구비되고, 상기 피동기어 외측에 다수의 구동기어가 각각 다수의 이빨이 구비되고, 전동기와 중심축과 상하 축베어링의 설치 회전가능 하게지지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부에 외부에서 전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전기 입력 구가 구비되고, 제2 하우징의 상단 부에는 외부로 전기가 출력 될 수 있도록 전기 출력 구가 구비된다 외측단는 피동기어 및 구동기어 상하 베어링장치 형틀과 결합하고 내측단은 피동기어 및 구동기어 상하 형틀과 결합하고 또한 외측단은 발전기 고정자 베어링 형틀과 결합하고 내측단은 발전기 회전자 베어링 형틀 중심축과 결합 각각 감싸면서 하우징으로 마감 된다.
상기 피동기어와 발전기 축 베어링과 결합 하나의 회전체로서 일체로 회전 초기 상기 다수의 구동기어에 동력을 주어 작동 때, 상기 피동기어 중심축과 발전기 중심축 포함 원심력과 상기 다수의 구동기어 구심력 사이 평행에 맞은 거리설정 극대화앤진 회전운동에서 힘과 같은 개념인 돌림힘은 회전축으로부터 힘이 작용하는 점까지의 길이와 작용하는 힘의 곱과 관련과 회전축으로 부터 거리가 멀수록 힘이 클수록 또 힘이 회전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할 수록 돌림힘은 커지는 법칙 총 기계적 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 상기 다수의 구동기어에 사용된 전기에너지 상쇄 후 순수잉여에너지 창출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구동기어의 구심력과:(원주→축 운동)상호작용 대형기기기도 안전작동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동기어 중심축과 발전기 회전자 중심축과: 상기 다수의 구동기어 사이 평행에 맞은 거리설정 극대화앤진 즉, 회전하는 회전체 각 부분의 운동량(질량과 속도를 곱한 양)과, 회전축으로부터 거리를 곱한 것, 각운동량 값에 따른 총 기계적 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 초기 다수의 구동기어에 사용된 전기에너지 상쇄 후 순수잉여에너지 창출이 바람직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발전기 중심축과 하나의 피동기어가 다수의 이빨을 가진 중심축(원심력)과, 외측 원주둘레에 다수의 구동기어가 각각 다수의 이빨을 가진 구동기어 (구심력)과: 상호작용 대형기계도 안전작동 상기 다수의 구동기어와: 발전기 중심축 사이 평행에 맞은 거리설정 극대화장치로 회전하는 회전체 각 부분의 운동량(질량과 속도를 곱한양)과, 회전축으로부터 거리를 꼽한 값 각운동량에 따른 총 기계적 에너지가 발전기 고정자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 창출에 구조단순 간단 저비용으로 설치 장점을 효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구동기어 극대화 엔진의 측면도
도 2는 도1의 피동기어 원통형 회전체와 다수의 구동기어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3은 도2의 피동기어 및 구동기어 베어링장치형틀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도1의 발전기를 반쪽으로 쪼겨놓은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도1의 발전기 베이링장치형틀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6은 도의의 다수의 구동기어 중, 하나의 정면을 나타낸 정단면도
본 발명 발전기와 피동기어와, 구동기어 구조와 기능은 대체적 시중의 제품과 동일하다.
도1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구동기어 극대화 엔진의 측면도로서, 피동기어 원통형 회전체(10), (이하 피동기어라 칭한다)상기 피동기어 상하 회전축(12a,12b), 피동기어 중심축(13), 피동기어 축 베어링(14), 피동기어 및 구동기어 베어링장치형틀(15), 피동기어 형틀*16), 구동기어(20), 구동기어 몸체(21), 구동기어 전동기(22) 구동기어 상하 회전축(22a,22b), 구동기어 중심축(23), 구동기어 축 베어링(24), 발전기(30), 발전기 몸체(31), 발전기 상 하부 회전축(32a,32b), 발전기 중심축(33), 발전기 축 베어링(34), 발전기 베어링장치형틀(35), 팬 (16), 전기 입력구(40), 전기 출력구(41) 제1 하우징(50), 제2 하우징(51) 포함하여 구비된다.
제1 하우징(50)내에는 피동기어 및 구동기어 축 베어링장치형틀(15)포함 설치되고피동기어 및 구동기어 베어링장치형틀(15)내에서는 피동기어 및 구동기어(10,20)가 설치된다. 제2 하우징(50)내에는 발전기 베어링장치형틀(35)포함 설치된다. 제2 하우징(51)의 상부에는 제1하우징(50)이, 제1 하우징(50)의 하부에는 제2 하우징(51)이, 위치한다. 제1 하우징(50)내 피동기어(10)와, 다수의 기동기어(20)가, 전체적으로 수평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태를 가진다. 제2 하우징(51)의 발전기(30)는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태를 가진다. 제1 하우징(50)의 일측에는 전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전기 입력 구(40)가 구비되고, 제2 하우징(51)의 일측 상부에는 전기가 출력 될 수 있도록 전기 출력 구가 구비된다.
피동기어(10)는 몸체(11), 상부 회전축(12a) 및 하부 회전축(12b)포함하여 구비된다.
피동기어(10)의 상단면에는 상부 회전축(12a)이, 돌출 형성되고, 피동기어(10)의 하단면에는 하부 회전축(12b)이, 돌출 형성되며, 피동기어(10)의 상부 회전축(12a)은 피동기어 축 베어링(14)의 설치에 의해지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동기어(10)의 하부 회전축(12b)은 피동기어 축 베어링(14)의 설치에 의해 지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 하우징(50)과 제2 하우징(51)의 사이 피동기어 하부 회전축(12b)과 발전기 상부 회전 축(32a)과, 결합 회전가능하게지지 작동 된다.
피동기어(10), 몸체(11)의 중심축(13)의 원주에는 일정기리의 형틀(16)이 설치되고 원주에는 피동기어의 다수의 이빨이 구비된다.
피동기어(10), 다수의 이빨의 외측에는 다수의 구동기어(30)가 각각 다수의 이빨이 구비된다,
다수의 구동기어(20)는 전동기(22)와, 중심축(25)과, 축 베어링(26)이 구비되어 제1 하우징(50)내 피동기어 및 구동기어 장치 형틀(15)에 의해지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때, 피동기어(10)의 다수의 이빨과: 다수의 구,동기어(20)의 각각의 이빨과 서로 맞물러 접촉 하면서 피동기어 하부 회전축(12b)와 발전기 상부 회전축(32a)결합되어 있어서 일체로 회전 작동된다.
발전기(30), 몸체(31)는 상부 회전축(32a) 및 하부 회전축(32b)포함 하여 구성된다. 발전기(30)는 고정자(32a)와, 회전자(32b)외 두 개의 원통형으로 수직 방향으로 발전기 회전자(32b)의 중심을 관통 중심축(34)포함하여 피동기어 하부 회전축(32b)과 결합 일체로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제1 하우징(50)의 일측 외부에서 전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전기 입력 구(40)가 구비되고, 제2 하우징(51)의 상단 일측면에는 외부로 전기가 출력 될 수 있도록 전기 출력 구(41)가 구비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간단하게 구성된 간단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하우징(50)은 피동기어 중심축(15)의 원심력과 다수의 구동기어(20)의 구심력과: 상호작용 힘의 합력 벽에 버티는 힘이나 바닥에 버티는 힘이나 미처 생각 못한 여러 힘을 가진 상태의 대형기기기도 안전작동을 위함이다.
다수의 피동기어(10)의 다수의 이빨과: 피동기어(10)의 외측 원주둘레에 다수의 구동기어(20)가 각각의 다수의 이빨과 서로 맞물러 접촉하면 피동기어 하부 회전축(12b)과, 발전기 상부 회전축(32a)과 결합 하나의 전체로서 일체로 회전하는 총 기계적 에너지가 회전하는 각운동량에 따른 발전기 고정자 외통을 둘러싸는 발전기 고정 자석(전자석)코일이 감겨져 설치되는 발전기 고정자(12)의(철심)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면서 전기 에너지로 변환 히게 된디 .
본 발명의 극대화 엔진은 회전운동에서 힘과 같은 개념인 돌림힘은 회전축으로부터 힘이 작용하는 점까지의 길이와 작용하는 힘의 곱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회전축으로 부터 거리가 멀수록 힘이 클수록 또 힘이 회전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할 수록 돌림힘은 커지는 우리생활 주변 등 자연법칙에서 여러 형태 아래 실시 예: 제시 본 발명의 우수성을 제시 입증한다.
제1 실시예: 발명인 우리 생활 주변 도구, 공구, 운전대를 돌리는 것, 핵융합에너지, 축 없는 태풍, 허리케인, 토네이도, 블랙홀 각종 우주소용돌이 등 회전운동에서의 관성모멘트 회전하는 물체의 회전체각부분의 운동량(질량과 회전속도를 곱한 양)과 회전축으로부터 거리를 곱한 값을 각운동량이라 한다. 원리응용 동력을 사용하는 동력기계극대화 발전장치기술이다.
제2 시실예: 시공4차원작동 회전체 회전 때, 원주날개 끝의 작용효과가 제일 큰 자체가 창조에너지존재의미 말 한다.
제3: 실시 예: 직경 100m 1시간 초속 10m/s 현대풍차 날개3개 원주 끝 부분 면적과 작용 효과가 가장 큰 부분이 반대로 날개폭이 제일 작아 바람이 가진 값(현대 풍차공식, 1/2밀도*면적*속도 m/sV3는 각운동량 값 적용이 없는 제 제곱비례 1%정도 비 극대화수용 나머지 99%버려는 큰 에너지 더 존재를 의미하며, 현대 수평축의 대표적 날개3개 풍차와 원자력터빈 등과, 구동기어(20)각 위치에서 에너지가 가진 값 수용 또는 극대화 장치 위해 수많은 날개로 구성 비교 확인하고 있다.
제4 실시 예: 직성운동, 열역학 제1법칙 역학적 에너지, 공간 3차원 에서는 각각운동량의 값이 없는 잘량과 속도 값 뿐이다. 그러나 원주둘레에 다수의 구동기어(20)장치 예: 직경 100m, R 50X50=2500배의 해당 기계공학적 수치물리학상 즉 회전운동에서 힘과 같은 개념인 돌림힘은 회전축으로부터 힘이 작용하는 점까지의 길이와 작용하는 힘의 곱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회전축으로 부터 거리가 멀수록 힘이 클수록 또 힘이 회전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할 수록 돌림힘은 커지는 발전기 고정자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 창출하게 된다.
재5 실시예: 직경이 커져도 속도는 변동이 없다. 다민 RPM이 작아진다. 바람이 가진 값 직경 100m에 1%정도 수용도 불구하고 정지 없이 작동 에너지 생성은 RPM증속 값 미미하고 각운동량은 직경 크기 값이 많이 크기 때문에 에너지가 생성되는 것이다.
제6 시실예: 회전운동 물체의 운동량을 가리킨다. 물체의 운동량과 관성물체와 회전축 사이의 거리를 곱한 값으로 표현하는 벡터 량 이다. 회전운동에서의 관성모멘트는 물체의 질량이 같더라도 그 분포도에 따라 다른 값을 갖게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관성능률이라고 한다. 즉, 회전하는 회전체 각 부분의운동량(질량과 속도를 곱한 양)과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를 곱한 것을 그 부분의 각운동량이라 한다. 회전운동의 지속성 또는 변화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는 성질입니다 예를 들면 질량 m인 돌을 길이 l인 실 끝에 매달아 v라는 속도로 회전 시켰을 때, 돌의 각운동량은 mvl이 곱한 양과 같다(과학바이블 물리과학 기초 편)
제7 실시 예: 그 유명한 아르키메데스가 충분히 긴 장대와 지구를 받칠 수 있는 받침대만 준다면 지구를 들 수 있다.' 의 구성원리보다 본 발명은 받침대 없이 원주→축 운동 회전운동 힘의 합력 벽에 버티는 힘이나 바닥에 버티는 힘이나 미처 생각지 못한 힘과 회전운동으로서 지렛대 법칙 보다 수 차원 더 높은 차원우주 자연법칙 물리학의 기본학문 원리응용 에너지창출분야 원천발명기술이다
제8 실시얘: 선운동과 각운동의 비교표.
Figure pat00001
공식 표- 선 운동은 선 운동끼리 각운동량은 각운동량끼리 비교되고 더 헤지고 선운동량은 선운동량과 각운동량은 더 할 수도 없고 섞을 수도 없는 서로 다른 양이다. 의미 하는 것: 선운동량은 힘을 시간에 대해 적분한 값입니다, 마차가지로 각운동량은 토크를 시간에 대해 적분한 값이다, 여러 문헌에 존재하는 내용이다.
제9 실시 예: 가능한 에너지, 동력, 힘, 열 등은 일정한 양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적절이 활용 할 있는 장치 방법을 활용하면 그 양을 얼마든지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살아 있는 에너지 코럼코츠 지음 유 상구 옮김)
제10 사실 예: 꿈의 핵융합에너지 만들기 어렵고 만들어서도 동력생산비가 핵융합에너지 약 1억℃ 이상 가열 핵융합반응에 의해 동력변환 2040년 완성목표 현재 초고온 수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자연계 각종 우주소용도리 불렉이 있다
제1 하우징(50)내 수직으로 길게 뻗은 피동기어(10)의 다수의 이빨을 가진 외측에 다수의 구동기어(20)가 각각 다수의 이빨을 가진 이빨과 서로 맞물러 접촉하면 발전기 회전자(13)와 피동기어 중심축(23)과 결합 하나의 전체로서 일체로 회전하는 총 기계적 에너지가 회전하는 각운동량에 따른 발전기 고정자 외통을 둘러싸는 발전기 고정 자석(전자석)코일이 감겨져 설치되는 발전기 고정자의(철심)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면서 전기 에너지로 변환 히게 된디
본 발명은 구성전체가 규격에 따라 수직이나 수평 또는 상하 좌우 시스템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예: 기어바퀴는 규격에 따라 달리 함으로서,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않으면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장치도 가능하다.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피동기어 11: 피동기어 몸체
12a, 피동기어 상부 회전축 12b, '피동기어 하부 회전축
13: 피동기어 중심축 14: 피동기어 축 베어링
15: 피동기어 및 구동기어 베어링장치형틀 16: 피동기어 형틀
20: 구동기어 21: 구동기어 몸체
22: 구동기어 전동기 23: 구동기어 상부 회전축
24: '구동기어 하부 회전축 25: 구동기어 중심축
26: 구동기어 축 베어링
30: 발전기 31: 발전기 몸체
31a: 발전기 고정자 31b: 발전기 회전자
32a, 발전기 상부 회전축 32b, 발전기 하부 회전축
33: 발전기 중심축 34: 발전기 축 베어링
35:: 발전기 베어링장치 형틀
40,: 전기 입력 구 41: 전기 출력 구
50: 제1 하우징 50: 제2 하우징

Claims (3)

  1. 본 발명은 다수의 구동기어 극대화 엔진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피동기어와 다수의 구동기어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
    발전기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
    수평 방향으로 길게 뻗은 피동기어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단면에 돌출 형성되는 상부 회전축과 상기 몸체에 하단면에 돌출 형성되는 하부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부 회전축은 피동기어 및 구동기어 상부 축 베어링장치 형틀의 축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부 축 베어링장치 형틀의 축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 라게지지 회전된다. 발전기 상부 회전축은 발전기 축 베어링장치 형틀 축 배어리에 의해지지 회전되고 .발전기 하부 회전축은 제1 하우징의 하단면에 발전기 축 베어링 형틀설치 축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지지되고 상기 피동기어 하부 회전축과: 상기 발전기 상부 회전축 각각 연장 결합 일체로 작동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동기어 몸체의 원주에 다수의 이빨이 구비되고, 상기 피동기어 외측에 다수의 구동기어가 각각 다수의 이빨이 구비되고, 전동기와 중심축과 상하 축 베어링의 설치 회전가능 하게지지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부에 외부에서 전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전기 입력 구가 구비되고, 제2 하우징의 상단 부에는 외부로 전기가 출력 될 수 있도록 전기 출력 구가 구비된다
    외측단는 피동기어 및 구동기어 상하 베어링장치 형틀과 결합하고 내측단은 피동기어 및 구동기어 상하 형틀과 결합하고 또한 외측단은 발전기 고정자 베어링 형틀과 결합하고 내측단은 발전기 회전자 베어링 형틀 중심축과 결합 각각 감싸면서 하우징으로 마감 된다.
    상기 피동기어와 발전기 축 베어링과 결합 하나의 회전체로서 일체로 회전 초기 상기 다수의 구동기어에 동력을 주어 작동 때, 상기 피동기어 중심축과 발전기 중심축 포함 원심력과 상기 다수의 구동기어(20)구심력 사이 평행에 맞은 거리설정 극대화앤진은 회전운동에서 힘과 같은 개념인 돌림힘은 회전축으로부터 힘이 작용하는 점까지의 길이와 작용하는 힘의 곱과 관련과 회전축으로 부터 거리가 멀수록 힘이 클수록 또 힘이 회전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할 수록 돌림힘은 커지는 법칙 총 기계적 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 상기 다수의 구동기어에 사용된 전기에너지 상쇄 후 순수잉여에너지 창출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구동기어 극대화엔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기어 중심축과 발전기 중심축의 원심력과: 상기 다수의 구동기어의 구심력과:(원주→축 운동)상호작용 대형기기기도 안전작동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구동기어 극대화 엔진
  3. 제1항 및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기어 중심축과 발전기 회전자 중심축과: 상기 다수의 구동기어 사이 평행에 맞은 거리설정 극대화앤진 즉, 회전하는 회전체 각 부분의 운동량(질량과 속도를 곱한 양)과, 회전축으로부터 거리를 곱한 것, 각운동량 값에 따른 총 기계적 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 초기 다수의 구동기어에 사용된 전기에너지 상쇄 후 순수잉여에너지 창출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구동기어 극대화엔진
KR1020200150195A 2020-11-10 2020-11-10 다수의 구동기어 극대화 엔진, KR20220063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195A KR20220063676A (ko) 2020-11-10 2020-11-10 다수의 구동기어 극대화 엔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195A KR20220063676A (ko) 2020-11-10 2020-11-10 다수의 구동기어 극대화 엔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676A true KR20220063676A (ko) 2022-05-17

Family

ID=81803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195A KR20220063676A (ko) 2020-11-10 2020-11-10 다수의 구동기어 극대화 엔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367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479B1 (ko) 2009-05-04 2012-02-29 박재원 다단다중날개풍력시스템
KR101320601B1 (ko) 2011-07-22 2013-11-04 박재원 나선형 유로를 가진 수력 발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479B1 (ko) 2009-05-04 2012-02-29 박재원 다단다중날개풍력시스템
KR101320601B1 (ko) 2011-07-22 2013-11-04 박재원 나선형 유로를 가진 수력 발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851280U (zh) 一种无刷双桨叶异向驱动永磁风力发电机
US11149715B2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apparatus and system
CN102005858A (zh) 一种无刷双桨叶异向驱动永磁风力发电机
CN102725518A (zh) 风力发电装置
KR20220063676A (ko) 다수의 구동기어 극대화 엔진,
US20080224475A1 (en) Power generation
CN206865320U (zh) 一种电机转子内孔排布电缆用双轴连接结构
EP2613429A1 (en) Disc-type coaxial counter-rotation generator and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using disc-type coaxial counter-rotation generator
KR20190130472A (ko) 전동기 극대화 응용 발전장치
WO2017200504A1 (en) Shaftless multi blade wind turbine
CN105207530A (zh) 无需额外磁体和控制的全磁悬浮风力发电机组
KR20200092254A (ko) 다수의 구동기어 극대화 발전장치
Khan et al. Optimization of multi-pol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generator based 8 blade magnetically levitated variable pitch low speed vertical axis wind turbine
KR20190064360A (ko) 구동기어 극대화 응용 발전장치
KR20220071825A (ko) 전동기, 발전기 결합 영구기관
CN207588629U (zh) 动力装置及能量转换设备
CN207588630U (zh) 磁动力装置及能量转换装置
KR102644703B1 (ko) 초전도 코일을 이용한 초전도 자기 기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 장치
KR20190038992A (ko) 전동기 극대화 발전장치
RU2372519C2 (ru) Ветровая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JP2012044804A (ja) 流体発電装置
KR20210010296A (ko)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장치
KR20040024956A (ko) 사보니우스 날개 및 수직축형 풍력발전시스템의동력전달구조
KR20170124421A (ko) 전동기 엔진
CN205792012U (zh) 一种增速发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