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296A -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296A
KR20210010296A KR1020200003059A KR20200003059A KR20210010296A KR 20210010296 A KR20210010296 A KR 20210010296A KR 1020200003059 A KR1020200003059 A KR 1020200003059A KR 20200003059 A KR20200003059 A KR 20200003059A KR 20210010296 A KR20210010296 A KR 20210010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motor
housing
shaft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원
Original Assignee
박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원 filed Critical 박재원
Publication of KR20210010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20Structural association with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e.g. with electric starter motors or exci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전기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 제1,2 전동기를 수용하는 제2,3 하우징: 제1 하우징 내 수직방향으로 길게 뻗은 발전기 몸체의 중심을 관통 서로 결합 중심축의 상하에 돌출 형성되는 상하 회전축 포함하여 구성되고, 발전기 상하 회전축은 제1,2 형틀 안쪽 축 베어링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 지지되고, 발전기 회전자 내통에서부터 원통형태로 내통을 둘러싸는 발전기 코일 자석(전자석)이 발전기 회전자 외통 포함 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자 외통에서 외측으로 일정한 사이를 두고 발전기 고정자 내통(12a)이 원통형태로 둘러싸는 발전기 고정 자석(전자석)코일이 감겨져 설치되는 고정자 외통 포함 구성ㅔ 발전기 고정자를 제1 하우징 내부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제1,2 전동기 고정자와 회전자와 중심축 포함하여 수평방향으로 길게 뻗은 제1,2 전동기 몸체 중심을 관통하여 서로 결합 중심축의 상 하단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2 전동기 상하 회전축 포함 구성되고, 상기 상하 회전축은 제2,3 하우징의 사이 발전기 상하 회전축과 결합하고, 제1,2 형틀 안쪽 축 베어링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 하게 지지되고, 제1 전동기 상부 회전축은 제2 하우징의 상단면에 제1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 하게 지지되고, 제2 전동기 하부 회전축은 제3 하우징의 하단면에 제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 지지되고, 전동기고정자는 제2,3 하우징 내부벽면에 고정 되고, 제1,2 전동기 중심축의 외측에서부터 발전기 상하 '팬' 직경이 확대된 제1,2 전동기 회전자 내통에서부터 원통형태로 내통을 둘러싸는 전동기 코일 자석(전자석)이 전동기 회전자 외통 포함 구성되며, 상기 회전자 외통 외측으로 일정한 사이를 두고 제1,2 전동기 고정자 외통 즉, 제1,2 전동기 회전자 중심축과 발전기 회전차 중심축의 원심력과 제1,2 전동기 고정자의 구심력과 멀어진 거리 사이(즉 단위 m)로 극대화장치에 초기 제1,2 전동기에 동력사용 후 잉여에너지창출을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장치{MOTOR MAGNIFICATION liyong GENERATION' SET}
본 발명은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2 전동기 중심축과: 발전기 중심축 포함 원심력과: 제1,2 전동기 고정자 및 발전기 고장자 구심력과의 멀어진 거리 사이(단위 m)로 극대화장치 상호작용 안전작동 물체의 회전체 각 부분의 운동량(질량과 회전속도를 곱한 양)과 회전으로부터 거리를 곱한 양 즉, 총 기계적 에너지가 발전기 고정자에서 전기에너지변환 창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계분야 기술]
종래 기계분야 예외 없이 중심축에서 밖으로 멀어지는 힘의 운동은 직경이 2배 증가 때 그 저항은 4배로커지 는 작용에 따른 작은 에너지창출 등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KR 공개 특허 공 제10-1112479호(2012.01.30. (문헌 2) KR 공개특허공보 제10-1320601호(2013.10.15.)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제1,2 전동기 중심축과: 발전기 중심축 포함 원심력과: 제1,2 전동기 고정자 및 발전기고장자 구심력과의 멀어진 거리 사이(단위 m)로 극대화장치 상호작용 안전작동 물체의 회전체 각 부분의 운동량(질량과 회전속도를 곱한 양)과 회전으로부터 거리를 곱한 양 즉, 총 기계적 에너지가 발전기 고정자에서 전기에너지변환 창출에 관한 것을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전기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 제1 전동기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 제2 전동기를 수용하는 제3 하우징: 수직방향으로 길게 뻗은 발전기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면에는 상부 회전축이 돌출 형성되고 하단면에는 하부 회전축이 돌출 형성되며, 상부 회전축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 제1 형틀 안쪽 축 베어링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 하게 지지되고, 하부 회전축은 제1 하우징과, 제3 하우징 사이 제2 형틀 안쪽 축 베어링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 하게 지지되며, 발전기 고정자 외통이 제1 하우징 내부벽면에 고정 설치 구성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의 구조와 원리는 터빈의 역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기는 중심의 회전자(전자석)와 외부를 감싸는 고정자(철심)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면서 전기를 생산한다. 발전기 동작의 기본원리는 앙페르 법칙과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법칙에 따라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전기 상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뻗은 제1,2 '전동기 중심축 상하 단면포함 하고에 돌출 형성되는 제1,2 전동기 상하부 회전축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 전동기 상부 회전축은 제2 하우징의 상단면 제1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 하게 지지되고, 하부 회전축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 발전기 상부 회전축과 결합하고, 상부 회전축에 설치된 제1 형틀 안쪽 축 베어링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 하게 지지되고, 제2 전동기 상부 회전축은 제1 하우징과 제3 하우징의 사이 발전기 하부 회전축과 결합하고, 하부 회전축에 설치된 제2 형틀 안쪽 축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 하게 지지되며, 하부 회전축은 제3 하우징 하단면에 제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 하게 지지되며, 제1,2 전동기 고정자가 상기 제2,3 하우징의 내부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2 전동기: 제1,2 전동기 중심축 상하부 포함하고, 제1,2 발전기 '팬'으로 확대 외측에 제1,2 전동기 상하부 고정자와 회전자와 두 개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데, 회전자 상하부 외통 외측으로 일정한 사이를 두고 제1,2 전동기 고정자 상하부 내통과. 외통 포함 구성되는 제1,2 전동기: 상기 전기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변환해주는 제1,2 전기기계장치 제1,2 전동기에서 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주변에는 자기장이 유도되기 때문에 외부 자기장이 가해지면 유도자기장과 외부자기장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힘이 발생한다. 이러한 관계를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회전운동으로 변환해주는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제2,3 하우징의 상하단부 측면에는 외부에서 전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제1,2 전동기 전기 유입 구가 구비되고, 제1 하우징의 상단 부 측면 에는 외부로 전기가 출력 되도록 발전기 전기 출력 구로 구비된다. 외측 단은 제1,2,3 하우징의 사이의 각각 결합 마감하고, 내측 단은 제1,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 및 제1,2 형틀 안쪽 축 베어링 외측에 상기 제1,2,3 하우징의 사이에 각각 결합 마감되며, 제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 외측 공간을 제1 발전기 '팬' 공기 유입구로 제1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 외측 공간을 제1 발전기 '팬' 공기 유출구로 하는 제1,2 빌전기 '팬' 냉각장치: 제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 및 제2 형틀 안쪽 축 베어링의 원주 공간을 제2 전동기 '팬' 냉각장치 겸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로 제1 형틀 안쪽 축 베어링 및 제1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 원주 공간을 제1 전동기 '팬' 냉각장치 겸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로 구비되는 제1,2 전동기 '팬' 냉각장치: 상기 발전기 상하부 회전축 포함과, 상기 제1,2 전동기 상하부 회전축 포함과 결합 하나의 회전체의 원심력과: 상기 제1,2 전동기 고정자의 구심력과 사이 거리로 멀어진(단위 m)극대화장치, 상기 제1,2 전동기의 전기 에너지를 회전운동으로 변환해주는 발전기 회전자에 전달 때, 회전운동에서 관성모멘트 물체의 질량이 같더라도 그 분포도에 따라 다른 값을 갖게 되는 값의 총 기계적 에너지가 발전기 고정자(12)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 창출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평으로 길게 뻗은 상기 제1,2 전동기 회전자 상하부 중심축 포함 중간부에 수직으로 길게 뻗은 상기 발전기 회전자 상하부 중심축 포함 결합 하나의 회전체로서 상기 제1,2 형틀 비깥쪽 축 베어링 및 제1,2 형틀 안쪽 축 베어링에 지지 회전체가 균형 유지 안정적 작동 에너지생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 전동기 회전자 상하부 중심축 포함과, 상기 발전기 회전자 상하부 중심축 포함의 원심력과: 상기 제1,2 전동기 고정자의 구심력과 상호작용 대형 기기도 안전작동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운동에서의 관성모맨트 각운동량에 따른 에너지창출 위해 상기 제1,2 전동기 중심축과 발전기 중심축과: 전동기 고정자 사이 멀어진 거리(단위 m)로 극대화장치 총 기계적 에너지가 발전기 고정자에서 전기에너지변환 초기 상기 제1,2 전동기의 사용에너지 상쇄 후 순수잉여에너지 창출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 외측 공간을 제1 발전기 '팬' 공기 유입구(19a)로 상기 제1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 외측 공간을 제1 발전기 '팬' 공기 유출구(19)로 발전기 '팬' 냉각장치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 및 제2 형틀 안쪽 축 베어링의 원주 공간을 제2 전동기 '팬' 냉각장치 겸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로 제1 형틀 안쪽 축 베어링 및 제1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 원주 공간을 제1 전동기 '팬' 냉각장치 겸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로 구비가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물체의 운동량과 관성 물체와 회전축 사이의 거리를 곱한 값으로 표현 하는 벡터 량 회전운동에서의 관성모멘트 원리응용 제1,2 전동기 중심축과: 발전기 중심축 포함 원심력과: 제1,2 전동기 고정자 및 발전기 고장자 구심력과의 거리 사이(단위 m)로 극대화장치 상호작용 안전작동 물체의 회전체 각 부분의 운동량(질량과 회전속도를 곱한 양)과 회전으로부터 거리를 곱한 양 즉, 총 기계적 에너지가 발전기 고정자에서 전기에너지변환 상기 제1,2 전동기에서 사용에너지 상쇄 후 순수잉여에너지 창출에 구조가 단순 저비용으로 설치 극대화장치에 따른 에너지창출 장점을 효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장치 전체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2는 도1의 발전기 고정자와 전동기 고정자의 고정상태의 나타낸 정단면도
도3은 도1의 재1,2 전동기 회전자와 발전기 회전자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4는 도1의 '제1,2 전동기 고정지와, 회전자 평면에 자른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5은 도1의 발전기 고정지와, 회전자 평면에 따른 자른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6은 제1,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 내 공간 발전기 '팬' 공기 입/출 평면에 따른 자른모습 나타낸 평단면도,
도7은 제1,2 전동기 '팬' 공기 입/출의 형틀 평면에 따른 자른모습 나타낸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동기와 발전기의 구조는 시중의 전동기와 발전기와 원리와 동일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장치 전체를 나타낸 정단면도,
본 발명에 의한 발전기(10), 발전기 몸체(11), 발전기 고정자(12), 발전기(원통형 회전체) 회전자 (13), 발전기 중심축(14), 발전기 상하부 회전축(15a,15b), 제1,2 형틀 안쪽 축 베어링(16,16b), 제1,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7,17a), 발전기 상하부 '팬' 냉각장치(18,18a), 발전기 '팬' 공기 유입구(19a), 발전기 '팬' 공기 유출구(19b), 제1,2 전동기(20,20a), 제1,2 전동기 고정자(22,22a), 제1,2 전동기 고정자 내통(23,23a), 제1,2 전동기 고정자 외통(24,24) 제1,2 전동기(원통형 회전체)회전자(25.25a), 제1,2 전동기 회전자 내통(26,26a), 제1,2 전동기 회전자 외통(27,27a), 제1,2 전동기 회전자 중심축(28.28a), 제1,2 전동기 상하부 회전 축(29a.29b,29c,29d),제1 전동기 '팬' 냉각장치 겸 공기 유입구(30a,30b), 제2 전동기 '팬' 공기 입/출구(31a,31b), 제1.2 전동기 전기 입력구(40a,40b), 전기 출력 구(41), 제1,2,3 하우징(50a,50b.50c)등 포함하여 설치된다.
제1 하우징(50a)내부에는 발전기(10)가 설치되고. 제2, 하우징(50b)내부에는 제1 전동기(20)가 설치되며, 제3 하우징(50C)내부에는 제2 전동기(20a)가 설치된다. 제1 하우징(50a)의 발전기(10) 장치 상단부에는 제2, 하우징(50b)이, 하단부에는 제3 하우징(50C)이, 설치된다. 제2,3 하우징(50b,50c)사이에는 제1 하우징(50a)이 위치한다. 발전기(10) 상단부에는 제1 전동기(20)가 위치하고, 발전기(10) 하단부에는 제2 전동기(20b)가 위치한다. 발전기 몸체(11)는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태를 가진다. 발전기(10) 상하단부에는 제1,2 전동기 상하부 중심축(23,23a)포함하고 중심축(23,23a)에서부터 빌전기 상하 '팬' 냉각장치(18,18a)로 확대되고, 제1,2 전동기 회전자 상하부 회전축(29,29,29a,29a)는 제1 하우징(50a)의 상단면에 제1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7a)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2 전동기(20,20a)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뻗은 형태를 가진다. 제2,3 하우징(50b,50c)의 상하단부 측면에는 외부에서 전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제1,2 전동기 전기 유입 구(40,40a)가 구비되고, 제1 하우징(50a)의 상단 부 측면에는 외부로 전기가 출력 되도록 발전기 전기 출력 구(41)가 구비된다.
발전기 원통형 회전체 상하부 회전축(15a,15b)포함 하여 구성되고, 발전기 몸체(11)는 고정자(12)와, 회전자(13)와 두 개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은 발전기 중심축 상하부(14)포함하여 구성되고, 발전기 중심축(14)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발전기 상부 회전축(15a)이 구비되고, 발전기 중심축(14)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발전기 하부 회전축(15b)이 구비되며, 발전기 상부 회전축(15a)은 제1 하우징(50a),과 제2 하우징(50b) 사이 제1 전동기 하부 회전축(29b)과 결합하고, 제1 형틀 안쪽 축 베어링(16)의 설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발전기 하부 회전축(15c)은 제1 하우징(50a),과 제3 하우징(50c) 사이 제2 전동기 상부 회전축(29c)과 결합하고, 제2 형틀 안쪽 축 베어링(16a)의 설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발전기 본체를 구성하는 고정자(12)는 제1 하우징(50)의 내부벽면에 고정 설치된다.
발전기 터빈의 역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기는 중심의 회전자(전자석)와 외부를 감싸는 고정자(철심)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면서 전기를 생산한다. 발전기 동작의 기본원리는 앙페르 법칙과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법칙에 따라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발전기 상하부 중심축(14)포함 상하단부 제2,3 하우징(50b,50c)의 중심부 제1,2, 전동기 상하부 중심축(28,28a)포함하고, 중심축(28,28a)의 상하단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2 전동기 상하부 회전축(29a,29b,29c,29d)이 구비되고. 제1 전동기 상부 회전축(29a)은 제2 하우징(50a)의 상단면에 제1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7)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부 회전축(29b)은 제1 하우징(50a)과 제2 하우징(50b)과 사이 발전기 상부 회전축(15a)과 결합하고, 발전기 상부 회전측(15a)에 설치된 제1 형틀 안쪽 축 베어링(16)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제2 전동기 상부 회전축(29c)은 제1 하우징(50a)과, 제3 하우징(50c)사이 발전기 하부 회전축(15b)와 결합되고, 발전기 하부 회전축(16b)에 설치된 제2 형틀 안쪽 축 베어링(17a)의 설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부 회전축(29d)은 제3 하우징(50c)의 하단면에 제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7a)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2 하우징(50b,50c)의 내부 벽면에 제1,2 전동기 고정자 외통(24,24a)에 결합 고정된다.
제1,2 ,전동기 상하부 중심축(28,28a)포함에 결합에서부터 발전기 제1,2 '팬' 냉각장치(18,18a)설치에 의해 직경이 확대되고 상기 발전기 제1,2 '팬' 냉각장치 외측에 결합 제1,2 전동기 상하부 회전자(25,25a)가 구비되고 외측으로 일정한 사이를 두고 제1,2 전동기 고정자 내통(23,23a)에서부터 원통형태로 둘러싸는 제1,2 '전동기 고정자 외통(24,24a)포함하여 제1,2 전동기(20,20a)가 구비된다.
이때 제1,2 전동기(20,20a)에 동력 입력 때, 전기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변환해주는 제1,2 전기기계장치 제1,2 전동기(20,20a)에서 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주변에는 자기장이 유도되기 때문에 외부 자기장이 가해지면 유도자기장과 외부자기장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힘이 발생한다. 이러한 관계를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회전운동으로 변환해주는 장치로 구성된다.
제1,2,전동기 상하부 중심축(28,28a) 포함에서부터 발전기 제1,2 '팬' 냉각장치(18a,18b)로 구비된다.
제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7a) 외측 공간을 제1 발전기 '팬' 내각장치 공기 유입구(19a)로 구비되고, 제1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7) 외측 공간을 제2 발전기 '팬' 공기 유출구(19b)로 구비된다.
제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7a) 및 제2 형틀 안쪽 축 베어링(17a) 원주 공간을 제1 전동기 '팬' 냉각창치 겸 공기 유입구 유출구(30a,30b)로 구비되고, 제1 형틀 안쪽 축 베어링(16) 및 제1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7) 원주 공간을 제1 전동기 '팬' 냉각장치 겸 공기 유입, 유출구(31a,31b)로 구비되는 제1,2 전동기 '팬' 냉각장치 겸 공기 유입 유출구(30,30a)로 구성된다.
제2,3 하우징(50b,50c)의 상하단부 측면에는 외부에서 전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제1,2 전동기 상하부에 전기 유입 구(40,40)가 각각 구비되고, 제1 하우징(50a)의 상단부 측면에는 외부로 전기가 출력 되도록 발전기 전기 출력 구(41)로 구성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전기 원통형 회전체 상하부 회전축(15a,15b)포함과: 발전기(10)는 고정자(12)와, 회전자(13)와 두 개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은 발전기 중심축 상하부(14)포함하고 발전기 상하부 회전축(15a,15b)과: 제2,3 하우징(50a,50c) 내 제1,2 전동기 상하부 회전축(29b,29c)과 결합 하나의 회전체가 되고, 제2,3 하우징(50a,50c)의 상하단면에 제1,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7,17a)과 제1,2 형틀 안쪽 축 베어링(16,16a)에 의해 지지되어 작동 된다.
제1,2 전동기(20,20a) 동력 입력 때, 전기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변환해주는 제1,2 전기기계장치 제1,2 전동기(20,20a)에서 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주변에는 자기장이 유도되기 때문에 외부 자기장이 가해지면 유도자기장과 외부자기장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힘이 발생한다. 이러한 관계를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회전운동으로 변환 제1,2, 전동기 상하부 중심축(28,28a)이 회전 즉 발전기 회전자(13)가 회전 발전기 터빈의 역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기는 중심의 회전자(전자석)와 외부를 감싸는 고정자(철심)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면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상기 재1,2 전동기(20,20a)의 작동에 제2,3 하우징(50b,50c)의 상하단부 측면에는 외부에서 전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제1,2 전동기 상하부에 전기 유입 구(40,40)가 각각 구비되고, 제1 하우징(50a)의 상단 부 측면에는 외부로 전기가 출력 되도록 발전기 전기 출력 구(41)를 통하여 전기 유입 유출을 당당하게 된다.
상기 제1,2 전동기(20,20a)와, 발전기(10)의 작동 때, 과열 방지 위해 제1,2 발전기 '팬' 냉각장치(18a,18b)와 제1,2 전동기 '팬' 냉각장치(30,30a)에 따라 원활한 작동을 하게 된다.
발전기(10)는 제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7a)의 외측 공간을 제2 발전기 '팬'(18b) 작동 때, 공기 유입구(31a)를 통해 공기가 흡입 유입되어 발전기 회전자(13)와 고정자(12)로 사이로 상압되고, 제2 발전기 '팬' 냉각장치(30b)의 작동 상기 상압되는 공기를 제1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7)의 외측 공간으로 공기 유출구(31a)로 통해 외부 흡출 흘러 보는 제1,2 발전기 '팬' 냉각장치(18a,18b)에서 역할을 담당 하게 된다.
제2 전동기 '팬' 냉각장치(30b), 제2 형틀 바깥쪽 축 베어(17a)의 공간 원주에 다수의 제2 전동기 '팬' 냉각장치(30b)에서 제2 형틀 바깥쪽 축 베어(17a)의 공간 원주에서 공기를 흡입 제2 전동기 고정자(22a)와 회전자(25a) 사이로 상압 제2 형틀 안쪽 축 베어(16a)의 공간 원주 공기 유출구(30b)를 유출하고, 제2 전동기 '팬' 냉각장치(30b)이 제1 형틀 안쪽 축 베어(17)의 공간 원주에 다수의 제2 전동기 '팬' 냉각장치(31b) 제1 형틀 안쪽 축 베어(16)의 공간 원주에서 공기를 흡입 제1 전동기 고장자(22)와 회전자(25) 사이로 상압 제1 형틀 바깥쪽 축 베어(16)의 공간 원주 공기 유출구(32a)를 통해 유출 제1,2 전동기 '팬' 냉각장치(30a,30b)를 통하여 제1,2 전동기 냉각을 감당하게 된다.
제1,2 전동기(20,20a)작동에 제2,3 하우징(50b,50c)의 상하단부 측면에는 외부에서 전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제1,2 전기 유입 구(40,40)와 제1 하우징 상단 부 측면에는 외부로 전기가 출력되도록 전기 출력 구(41)를 통하여 잔기가 유입 유출을 담당하게 된다.
제2,3 하우징(50b,50c)내 제1,2 전동기 중심축(28,28a)과 발전기 중심축(14)결합 하나의 회전체로 하는 원심력과: 제1,2 전동기(20,20a)의 구심력(원주→축 운동)과, 상호작용 힘의 합력 벽에 버티는 힘이나 바닥에 버티는 힘이나 미처 생각 못한 여러힘, 존재 하면서 대형기기기도 안전작동을 하게 된다.
제1,2 전동기 회전자 중심축(28,28a)과, 발전기 회전자 중심축(14)이 하나의 회전체가 제1,2 형틀 안쪽 축 베어링(16,16a) 및 제1,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7,17a)에 의해 지지 제1,2 전동기 회전자 중심축(28,28a)이 중간부에 발전기 회전자 중심축(14)이 위치하여 일체로 회전 작동 회전체 전체가 균형을 유지하여 발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효과적 작동을 하게 된다.
제1,2 전동기 중심축(28,28a)과. 발전기 중심축(14)의 직경 보다 제1,2 전동기 고정자(22,22a) 직경이 2배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즉 극대화장치에 따른 회전하는 물체의 회전체각부분의 운동량(질량과 곱한 양)과 회전축으로부터 거리를 곱한 것을 그 부분을 각운동량이라고 한다. 즉, 회전운동에서의 관성모멘트 물체의 질량이 같더라도 그 분포에 따라 값을 달리한다. 물체의 운동량과 관성 물체와 회전축 사이의 거리를 곱한 값으로 표현하는 백터량 즉 고정자(22,22a)원주와 발전기 중심축(14)사이 단위의 m로 원심력과 구심력 멀어진 거리 사이로 극대화 장치에 따른 총 기계적에너지가 발전기 고정자(12)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창출 제1,2 전동기(20,20a)에서 초기 사용에너지상쇄 후 잉여에너지창출의 효과를 장점이 있다.
발전기와 전동기는 너무나 다량한 규격에 따라 형태로 구성에서, 전체 총갈하여 아래와 같이 정리 제시한다, 발전기 고정자(12)에서 전기적 에너지 변환을 시키는 것은 발전기 고정자(12)가 발전기 회전자(전자석)의 외부를 감싸 고정자(철심)에 의해 자기장으로 형성 되면서 전기가 생산된다. 발전기(10)의 경우는 제1,2 고정자(12,12a)의 전류를 꺼내가는 구조로서 발전기 회전자(13)의 전류도 같이 줄어들면 안 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인가 하는 구조로서. 제1,2 전동기(20)와 발전기(10)의 원리 및 구조는 같고 다만 입력과 출력이 다를 뿐이며, 발전기(10)와 제1,2 전동기(20,20a)는 고정자 회전자 ▷고정자 고정되어 있는 부분 (구성)_권선과 철심, 이를 보호 하는 몸체(기계적인 구조) ▷회전자 회전하는 부분 고정자의 권선이 전력을 만들어 내도록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석: 역할 ▷ 여자기: 계자권선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계자전류를 만들고 공급하는 방식에 따라 브러시를 갖는 것과 브러시를 갖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뉨. 발전기의 계자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해 자속이 발생하는 것, 계자 모터나 발전기에서 N,S의 자극을 이루는 부분 계자코일: 철심에 감긴 코일 (자화시키는 역할)L 자화: 물체가 자성을 지니는 현상 계자전류 발전기 혹은 전동기의 계자코일에 흐르는 전류여자전류: 직류전원 혹은 교류전원을 이용해 계자코일에 공급하는 전류 (계자전류 = 여자전류) * 권선: 구리선이나 알루미늄선에 절연 물질을 코팅 피복 입힌 절연전선: 자기기 내부에 코일 형태로 감겨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 하는 구성이며, 전동기의 원리 자석(자기장) 속에 놓여 있는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도선은 힘을 받아 움직인다. 이때 받는 힘의 방향은 플레밍의 왼손 법칙으로 알 수 있다. 자기장 속에 사각형 모양의 코일을 넣고 전류를 흐르게 하면 코일은 힘을 받아 회전하는데, 이것을 전동기(모터)라고 한다. 전동기의 회전력은 코일의 감은 수와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비례한다. 전동기의 구조, 코일이 감긴 회전자가 있으며, 회전자 밖으로 고정 자석(전자석), 회전자에 전류를 연결하는 브러시가 있다. 상기 전동기와: 발전기 구성과 원리에 대하여 발전기 고정자(12)와 발전기 회전자(13)와: 제1,2 전동기 고정자(22,22a)와 제1,2 전동기 회전자(23,23a)등 구성으로 하여 적동 된다.
제1,2 전동기 회전자 중심축(28,28a)과 발전기 회전자 중심축(14)포함과 하나의 회전체로서, 제1,2 전동기 사이의 멀어진 거리(즉 단위 m)로 극대화장치에 초기 제1,2 전동기에 동력을 주어 작동 때, 물체의 회전체 각부분의운동량각운동량(질량과 회전속도를 곱한 양)과 회전으로부터 거리를 곱한 양의 총 기계적 에너지가 발전기 고정자(12)에서 전기에너지변환 에너지가 창출하게 된다.
상기 내용 더욱 구체적 확인위해 아래 실시 예: 를 추가 제시 확인 한다.
제1 실시 예: 시공4차원작동 회전체가 회전 때, 원주 끝의 작용파워가 제일 큰 자체가 창조적 에너지 존재의 말한다.(우주 자연과학 사전)
제2 실시 예: 각운동량은 회전운동 물체의 운동량을 가르친다. 각운동량 질점 운동량의 회전중심에 대한 회전모멘트로써 정의할 수 있다. 회전체 각 부분의 운동량(질량과 속도를 곱한 양)과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를 곱한 것을 그 부분의 각운동량이라 한다. 물체의 운동량과 관성 물체와 회전축 사이의 거리를 곱한 값으로 표현하는 벡터 량 이다. 질점 운동량의 회전중심에 대한 회전 모멘트로서 정의할 수 있다. 회전 운동에서의 관성모멘트는 물체의 질량이 같더라도 그 분포에 따라 값을 달리한다, 회전운동의 지속성 또는 변화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는 성질입니다 예를 들면 질량 m인 돌을 길이 l인 실 끝에 매달아 v라는 속도로 회전시켰을 때, 돌의 각운동량은 mvl이 된다. 이것은 그 부분의 관성모멘트 ml2과 각속도 v/l를 곱한 양과 같다(바이블 물리)
제3 실시 예: 제1,2 전동기 원통형 회전체 회전자(25,25a)는 도체·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고, 대부분의 경우 슬립 링 또는 정류자라고 불리는 접촉용 소자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회전자를 외부 회로와 연결해준다. 제1,2 전동기 고정자(22,22a)는 전동기 전체를 지탱하는 외틀 외에 회전자와 마찬가지로 자기장을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도체와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체들을 어떻게 배열하는가에 따라 전동기의 형과 그 특성이 결정된다. 고정자(22,22a)와 제1,2 전동기 상하부 회전자(25,25a) 사이의 좁은 공간 속에 회전 자기장을 만든다, 고정자와 회전자의 자극은 서로 끌어당겨서 회전자는 회전 계자와 같은 속도로 회전을 계속하게 된다. 이때 발전기 중심축과 제1,2 전동기 회전자 중심축의 원심력과 제1,2 전동기 고정자(22,22a) 구심력과 멀어진 거리사이(단위 m)극대화정차 즉, 회전운동에서의 관성모멘트 물체의 질량이 같더라도 그 분포에 따라 값을 달리한다, 에 따른 에너지가 창출된다.
제4 실시 예: 제1,2 전동기(20,20a)의 원리 자석(자기장) 속에 놓여 있는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도선은 힘을 받아 움직인다. 이때 받는 힘의 방향은 플레밍의 왼손 법칙으로 알 수 있다. 자기장 속에 사각형 모양의 코일을 넣고 전류를 흐르게 하면 코일은 힘을 받아 회전하는데, 이것을 전동기의 회전력은 코일의 감은 수와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비례한다. 제1,2 전동기(20,20a)코일이 감긴 회전자가 있으며, 회전자 밖으로 고정 자석(전자석),회전자에 전류를 연결하는 브러시가 있다.
제5 실시 예: 역학적 에너지 공간3차원 등 예: 직경 100m 1시간 초속 10m/s 질량과 회전속도 곱한 양 뿐이며, 현대 수평축의 대표적 날개3개 풍차 끝 부분 면적과 작용파워가 가장 큰 부분이 반대로 날개폭이 제일 작아 바람이 가진 값(현대 풍차 공식 밀도*속도*면적 m/sV3))에서 1/2500 제 제곱비례 비 극대화수용(예: 원자력터빈 등 직경 전체를 다수의 날개구성은 에너지 가진 값 전체수용 목적이다.)이때, 나머지 99%가 날개에 아무런 작용 없이 버러지는 치물리학상 에너지를 말한다.
제6 실시 예 유명한 아르키메데스가 충분히 긴 장대와 지구를 받칠 수 있는 받침대만 준다면 지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 받침대 없는 원주→축 운동에서 제1,2 전동기 중심축(28,28a)과 발전기 중심축(14)의 원심력과: 제1,2 전동기 고정자(22,22a)구심력과 상호작용 힘의 합력 벽에 버티는 힘이나 바닥에 버티는 힘이나 미처 생각 못한 여러 힘, 존재 지렛대 보다, 본 발명이 수 차원 더 높은 차원 발명기술이다.
Figure pat00001
제8 실시 예: 시공4차원작동 회전운동 관성모멘트 물체의 질량이 같더라도 그 분포에 따라 값을 달리 물체의 회전체 각부분의운동량각운동량(질량과 회전속도를 곱한 양)과 회전으로부터 거리를 곱한 양 원리응용 예: 직경 100m 원주둘레에 다수의 구동기어장치 작동 ,R 50X50=2500배에서 마찰손실과 초기 에너지 사용 값 상쇄 후(규격에 맞추어 량을 정한다)예: 하나의 값으로 여기서 최소 1000배 수치물리학상 즉, 창조적 에너지존재를 의미하며, 직경이 커져도 속도는 변동이 없다.(중요) 다민 RPM이 작아진다. 예: 바람이 가진 값 1%정도수용에 정지 없이 작동 에너지생성은 각운동량 직경 크기 값이 많이 크기 때문이며, 직경이 커져도 속도는 변동이 없이 향상 그대로이다. 다만 RPM이 작아진다. 바람이 가진 값 1%정도수용에 정지 없이 작동 에너지생성은 RPM 증속 값은 매우작고 각운동량은 직경 값이 많이 크기 때문이다.
제9, 실시 예: 우리생활주변 도구, 공구 운전대를 돌리는 것(만약 수동 핸들이 작다면 방향전환불가 함)축 없는 태풍, 허리케인 블랙홀 각종 우주소용돌이, 핵융합 에너지 등 회전운동에의 관성모멘트 회전하는 물체의 회전체각부분의 운동량(질량과 회전속도를 곱한 양)과 회전축으로부터 거리를 곱한 값 각운동량 따른 동력기계극대화발전장치 구조가 단순 타 전력설비의 1/3저비용 설치가능, 그린에너지지속가능무한 창출 원천발명 여러 과학적 문헌 바탕 기술입니다.
동력기계극대화발전장치라 함은 상기 실시 예: 등 지금 시중에는 원주→축 운동은 육체적 힘으로 작동되는 기계는 많다, 그러나 원주→축 운동 동력기계극대화장치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운동에서의 관성모멘트 즉 물체의 운동량과 관성 물체와 회전축 사이의 거리를 곱한 값으로 표현하는 벡터 량 원리응용에 따른 수평으로 길게 뻗은 제1,2 전동기(20,20a)와: 수직으로 길게 뻗은 발전기 중심축 사이의 멀어진 거리로 극대화장치 즉 시공4차원작동 회전체가 회전 때, 원주 끝의 작용파워가 제일 큰 자체가 창조적 에너지 존재의 말한다. 회전운도에서의 물체의 질량이 같더라도 그 분포에 따라 값으로 하는 물체의 회전체 각부분의운동량각운동량(질량과 회전속도를 곱한 양)과 회전으로부터 거리를 곱한 값의 에너지창출원천발명기술이다.
본 발명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장치는 수직, 수평 설치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발전기 11: 발전기 몸체
12: 발전기 고정자 12a: 발전기 고정자 내통
12b: 발전기 고정자 외통 13: 발전기 회전자
13a: 발전기 회전자 내통 13b: 발전기 회전자 외통
14: 발전기 중심 축 15a,15b: 발전기 상하부 회전 축
16,16a: 제1,2 안쪽 형틀 축 베어링 17,17a: 제1,2 바깥쪽 축 베어링
18a,18b: 발전기 '팬' 냉긱장치 19a,19b: 발전기 '팬' 공기 유입, 유출구
20,20a 제1,2 '전동기 21,21a: 제1,2 전동기 몸체
22,22a: 제12 '전동기 고정자 23,23a: 제1,2 전동기 고정자 내통
24,24a:제1,2 전동기 고정자 외통 25,25a: 제1,2' 전동기 회전자
26,26a: 제1,2 전동기 회전자 내통 27.27a: 제1,2 '전동기 회전자 외통
28,28a: 제1,2 전동기 중심축 29a,29b: 제1 전동기 상하부 회전 축
29c,29d: 제2 '전동기 상하부 회전 측
30a,30b: 제1 '전동기 '팬' 냉각장치 겸 공기 유입, 유출구
31a,31b: 제2 전동기 '팬' 냉각장치 겸 공기 유입, 유출구
40,40a: 제1,2 전기 입력 구 41: 전기 출력 구
50a: 제1 하우징 50b: 제2 하우징
50c: 제3 하우징

Claims (6)

  1. 발전기(10)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50a):
    제1 전동기(20)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50b):
    제2 전동기(20a)를 수용하는 제3 하우징(50c):
    수직방향으로 길게 뻗은 발전기 몸체(11)와 상기 몸체의 상단면에는 상부 회전축(15a)이 돌출 형성되고 하단면에는 하부 회전축(15b)이 돌출 형성되며, 상부 회전축15a)은 제1 하우징(50a)과, 제2 하우징(50b) 사이 제1 형틀 안쪽 축 베어링(16)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 하게 지지되고, 하부 회전축(!5b)은 제1 하우징(50a)과, 제3 하우징(50c) 사이 제2 형틀 안쪽 축 베어링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 하게 지지되며, 발전기 고정자 외통(12b)이 제1 하우징(50a) 내부벽면에 고정 설치 구성되는 발전기(10):
    상기 발전기의 구조와 원리는 터빈의 역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기는 중심의 회전자(전자석)와 외부를 감싸는 고정자(철심)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면서 전기를 생산한다. 발전기 동작의 기본원리는 앙페르 법칙과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법칙에 따라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전기 상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뻗은 제1,2 '전동기 중심축 상하단면 포함 하고에 돌출 형성되는 제1,2 전동기 상하부 회전축(29a,29b,29c,29d)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 전동기 상부 회전축(29a)은 제2 하우징(50b)의 상단면 제1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7)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 하게 지지되고, 하부 회전축(29b)은 제1 하우징(50a)과 제2 하우징(50b) 사이 발전기 상부 회전축(15a)과 결합하고, 상부 회전축(15a)에 설치된 제1 형틀 안쪽 축 베어링(16)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 하게 지지되고, 제2 전동기 상부 회전축(29c)은 제1 하우징(50a)과 제3 하우징(50c)의 사이 발전기 하부 회전축(15b)과 결합하고, 하부 회전축(15b)에 설치된 제2 형틀 안쪽 축 베어링(16a)에 의해 회전가능 하게 지지되며, 하부 회전축(29d)은 제3 하우징(50c)하단면에 제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7a)의 설치에 의해 회전가능 하게 지지되며, 제1,2 전동기 고정자(24,24a)가 상기 제2,3 하우징의 내부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2 전동기(20,20a):
    제1,2 전동기 중심축 상하부(28,28a)포함하고, 제1,2 발전기 '팬'(18a,18b)으로 확대 외측에 제1,2 전동기 상하부 고정자(22,22a)와 회전자(25,25a)와 두 개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데, 회전자 상하부 외통(27,27)외측으로 일정한 사이를 두고 제1,2 전동기 고정자 상하부 내통(23,23a)과. 외통(24,24a)포함 구성되는 제1,2 전동기(20,20a):
    상기 전기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변환해주는 제1,2 전기기계장치 제1,2 전동기(20,20a)에서 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주변에는 자기장이 유도되기 때문에 외부 자기장이 가해지면 유도자기장과 외부자기장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힘이 발생한다. 이러한 관계를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회전운동으로 변환해주는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제2,3 하우징(50a,50b)의 상하단부 측면에는 외부에서 전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제1,2 전동기 전기 유입 구(40,40a)가 구비되고, 제1 하우징(50a)의 상단 부 측면에는 외부로 전기가 출력 되도록 발전기 전기 출력 구(41)로 구비된다.
    외측 단은 제1,2,3 하우징(50a,50b,50c)의 사이의 각각 결합 마감하고, 내측 단은 제1,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7,17a) 및 제1,2 형틀 안쪽 축 베어링(16,16a)외측에 상기 제1,2,3 하우징의 사이에 각각 결합 마감되며, 제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7a) 외측 공간을 제1 발전기 '팬' 공기 유입구(19a)로 제1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7)외측 공간을 제1 발전기 '팬' 공기 유출구(19b)로 하는 제1,2 빌전기 '팬' 냉각장치(18a,18b):
    제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 및 제2 형틀 안쪽 축 베어링(17a,16a)의 원주 공간을 제2 전동기 '팬' 냉각장치 겸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30,30a)로 제1 형틀 안쪽 축 베어링 및 제1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6,17) 원주 공간을 제1 전동기 '팬' 냉각장치 겸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16,17)로 구비되는 제1,2 전동기 '팬' 냉각장치(30a,30b):
    상기 발전기 상하부 회전축 포함과, 상기 제1,2 전동기 상하부 회전축 포함과 결합 하나의 회전체의 원심력과: 상기 제1,2 전동기 고정자(22,22a)의 구심력과 사이 거리로 멀어진(단위 m)극대화장치, 상기 제1,2 전동기의 전기 에너지를 회전운동으로 변환해주는 발전기 회전자(13)에 전달 때, 회전운동에서 관성모멘트 물체의 질량이 같더라도 그 분포도에 따라 다른 값을 갖게 되는 값의 총 기계적 에너지가 발전기 고정자(12)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 창출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장치,
  2. 제1항에 및 제2항에 있어서,
    수평으로 길게 뻗은 상기 제1,2 전동기 회전자 상하부 중심축 포함 중간부에 수직으로 길게 뻗은 상기 발전기 회전자 상하부 중심축 포함 결합 하나의 회전체로서 상기 제1,2 형틀 비깥쪽 축 베어링 및 제1,2 형틀 안쪽 축 베어링에 지지 회전체가 균형 유지 안정적 작동 에너지생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장치
  3. 제1항 및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전동기 회전자 상하부 중심축 포함과, 상기 발전기 회전자 상하부 중심축 포함의 원심력과: 상기 제1,2 전동기 고정자의 구심력과 상호작용 대형기기도 안전작동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장치,
  4. 제1항 및 제4항에 있어서,
    회전운동에서의 관성모맨트 각운동량에 따른 에너지창출 위해 상기 제1,2 전동기 중심축과 발전기 중심축과: 전동기 고정자 사이 멀어진 거리(단위 m)로 극대화장치 총 기계적 에너지가 발전기 고정자에서 전기에너지변환 초기 상기 제1,2 전동기의 사용에너지 상쇄 후 순수잉여에너지를 창출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 외측 공간을 제1 발전기 '팬' 공기 유입구(19a)로 상기 제1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 외측 공간을 제1 발전기 '팬' 공기 유출구(19)로 발전기 '팬' 냉각장치(18a,18b)를 특징의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2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 및 제2 형틀 안쪽 축 베어링(17a,16a)의 원주 공간을 제2 전동기 '팬' 냉각장치 겸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30,30a)로 제1 형틀 안쪽 축 베어링 및 제1 형틀 바깥쪽 축 베어링(16,17) 원주 공간을 제1 전동기 '팬' 냉각장치 겸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16,17)로 구비를 특징으로 하는 제1,2 전동기 '팬' 냉각장치(30a,30b):
KR1020200003059A 2019-07-18 2020-01-07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장치 KR202100102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611 2019-07-18
KR20190088611 2019-07-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296A true KR20210010296A (ko) 2021-01-27

Family

ID=7423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059A KR20210010296A (ko) 2019-07-18 2020-01-07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029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479B1 (ko) 2009-05-04 2012-02-29 박재원 다단다중날개풍력시스템
KR101320601B1 (ko) 2011-07-22 2013-11-04 박재원 나선형 유로를 가진 수력 발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479B1 (ko) 2009-05-04 2012-02-29 박재원 다단다중날개풍력시스템
KR101320601B1 (ko) 2011-07-22 2013-11-04 박재원 나선형 유로를 가진 수력 발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5330B2 (en) Permanent-magnet switched-flux machine
JP5643857B2 (ja) 電気機械
CN110971095B (zh) 一种双定子风力发电机及发电系统
JP3232972U (ja) 電気機械
WO2014107550A9 (en) High efficiency permanent magnet machine
EP2782215A1 (en) Retractable modular stator for an electric motor/generator
KR102053719B1 (ko) 복합 발전기
KR20190130472A (ko) 전동기 극대화 응용 발전장치
KR20210010296A (ko) 전동기 극대화 이용한 발전장치
CN211481123U (zh) 无定子多回路节能电动机
KR102087930B1 (ko) 고효율의 토크 출력용 복합 발전기
RU115130U1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машина
CN219018656U (zh) 一种高效三相交流永磁同步电动机
CN216564875U (zh) 一种电动机
KR20130102315A (ko) 대용량 발전기
CN216774577U (zh) 一种双定子多绕组永磁同步电机
JP2012044804A (ja) 流体発電装置
KR101498360B1 (ko) 고성능의 발전장치
KR20030015098A (ko) 초저압 교류 전동 발전기
CN205070725U (zh) 潜油直驱永磁同步电机、潜油泵以及采油装置
JP2017163796A (ja) 回転電機
RU2321938C1 (ru)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однофазного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CN104659991A (zh) 一种稀土无铁芯径向聚能磁节能电机
KR200455028Y1 (ko) 유도전동기
KR20150145156A (ko) 모터와 이를 이용한 제너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