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559A -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559A
KR20220063559A KR1020200149557A KR20200149557A KR20220063559A KR 20220063559 A KR20220063559 A KR 20220063559A KR 1020200149557 A KR1020200149557 A KR 1020200149557A KR 20200149557 A KR20200149557 A KR 20200149557A KR 20220063559 A KR20220063559 A KR 20220063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processing
information
pos terminal
payment
purch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케이 페이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케이 페이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케이 페이먼트
Priority to KR1020200149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3559A/ko
Publication of KR20220063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이 수행하는 제어방법은, 구매자가 조작하는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구매자 정보, 구매 정보,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자 정보에는 포스 단말기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단계 이후에 상기 포스 단말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포스 단말기로 상기 결제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PAYMENT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프라인 상에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 결제 처리와 더불어서 오프라인상에서도 다양한 결제 처리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가 거래 금액을 구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면 구매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식 등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오프라인 상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판매점(가맹점 등)에는 각 결제 내역 등의 통합 처리를 위한 장치, 일명 포스 단말기(POS : Point Of Sale)가 구비되어 있는데, 다양한 오프라인 결제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이러한 포스 단말기에서의 결제 정보 통합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예의 경우에 구매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결제를 하는 경우, 이는 포스 단말기에서의 결제 요청이 아니므로 결제 완료 정보가 포스 단말기에 전달될 수 없는 것이다.
포스 단말기를 통합 결제 내역 통합 관리는 가맹점주 입장에서는 거래 내역 관리는 물론이고 수익 계산 등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것인데, 종래에는 이처럼 다양한 결제 처리 내역(특히, 구매자 주도의 결제 처리 내역)이 포스 단말기에서 통합 관리가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가맹점주들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116177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매자 주도의 오프라인 결제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그 결제 내역이 포스 단말기에서도 통합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은, 구매자가 조작하는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구매자 정보, 구매 정보,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결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자 정보에는 포스 단말기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결제 처리 수행부에 의한 결제 처리 이후에 해당 결제 처리 결과를 상기 포스 단말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포스 단말기로 전송하는 결제 처리 결과 전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은, 가맹점에 구비된 포스 단말기로부터 포스 단말기 식별자와 거래 번호를 포함하는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구매자가 조작하는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구매자 정보,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결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 정보에는 거래 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결제 처리 수행부에 의한 결제 처리 이후에 상기 포스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래 번호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래 번호를 서로 비교하여 해당하는 포스 단말기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포스 단말기로 상기 결제 처리 수행부의 결제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결제 처리 결과 전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이 수행하는 제어방법은, 구매자가 조작하는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구매자 정보, 구매 정보,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자 정보에는 포스 단말기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단계 이후에 상기 포스 단말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포스 단말기로 상기 결제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이 수행하는 제어방법은, 가맹점에 구비된 포스 단말기로부터 포스 단말기 식별자와 거래 번호를 포함하는 거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구매자가 조작하는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구매자 정보,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 정보에는 거래 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단계 이후에 상기 포스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래 번호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래 번호를 서로 비교하여 해당하는 포스 단말기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포스 단말기로 상기 단계의 결제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프라인상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포스 단말기 주도로 결제를 요청하는 상황이 아니라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결제가 요청되는 경우에도, 해당 결제 처리 결과 내역이 추후 구매자에 의한 수동 조작 등이 없더라도 포스 단말기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일 예이고,
도 3은 도 1에 대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일 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 처리 시스템(100)은 수신부(110), 결제 처리 수행부(120), 결제 처리 결과 전송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처리 시스템(100)의 각 기능블록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조금씩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실시예별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신부(110)는 구매자로부터 오프라인 거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신하는데, 구체적으로 구매자가 조작하는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구매자 정보, 구매 정보,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 정보에는 이름, 단말기 전화번호 등과 같이 구매자 식별정보는 물론이고 결제 처리를 위해 필요한 구매자의 계좌 번호나 카드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구매 정보에는 오프라인상에서 구매자가 구매를 결정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구매 가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판매자 정보에는 오프라인 판매자에 대한 정보로서, 판매자 식별자, 가맹점 번호는 물론이고, 판매자의 계좌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판매자 가맹점에 구비되고 현재 결제 진행을 수행하고 있는 포스 단말기의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즉, 가맹점에 복수 개의 포스 단말기가 구비된 경우에는 가맹점 번호만으로는 현재 가맹점주나 직원이 거래 내역 입력을 위해 조작하는 포스 단말기를 특정할 수 없는데, 포스 단말기 식별자는 이처럼 복수 개의 포스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결체 처리 수행부는 결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판매자 정보에 판매자 계좌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구매자 정보에 구매자 계좌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구매 정보에 구매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결제 처리 수행부(120)는 구매자 계좌로부터 판매자 계좌로 상품 또는 서비스 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을 계좌 이체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제 처리 수행부(120)는 계좌 이체를 위한 금융망과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데, 금융망을 통해 계좌 이체 처리를 수행하는 기술 그 자체는 공지된 것이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구매자 단말기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회원 가입이 미리 이루어지고, 로그인 기반 접속을 통해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결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결제 처리 수행부(120)는 해당 로그인 회원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던 구매자 계좌 정보를 추출한 후, 계좌 이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매자 정보는 로그인에 따른 세션 정보가 될 수도 있다.
물론 계좌 이체 정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드사 금융망을 통해 카드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결제 처리 결과 전송부(130)는 결제 처리 수행부(120)에서 수행된 결제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결제 처리 결과 전송부(130)는 결제 성공 또는 결제 실패 정보를 결제 요청 신호를 전송한 구매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특히 결제 처리 결과 전송부(130)는 결제 처리 수행부(120)에 의한 결제 처리 이후에 해당 결제 처리 결과를 포스 단말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포스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매자 단말기가 전송하는 판매자 정보에는 포스 단말기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고, 따라서 결제 처리 결과 전송부(130)는 해당 판매자 정보로부터 포스 단말기 식별자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 내의 특정 포스 단말기로 결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결제를 요청한 단말기는 포스 단말기가 아니고, 구매자 단말기인데도 불구하고, 그 결제 결과가 가맹점에 구비된 특정 포스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포스 단말기에서는 스스로 결제를 요청한 결제 내역들은 물론이고, 구매자가 결제를 요청한 결제 내역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결제 처리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일종의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와 포스 시스템사 서버(102)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예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을 참고하여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맹점(즉, 판매자)의 직원이 상품 또는 서비스 판매 대금을 구두로 요청하면, 고객은 자신의 구매자 단말기에 구비된 결제 관련 앱을 실행시켜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에 결제 처리를 요청한다.
이때 구매자 단말기가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에 전송하는 결제 처리 요청에는 앞서 구두로 전달받은 결제 금액, 매장코드, 판매자의 계좌번호는 물론이고, 포스 단말기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는 수신된 결제 처리 요청에 따라 구매자 계좌로부터 판매자 계좌로 결제 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이체 처리한다.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는 금융망과 연계될 수 있고, 이처럼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가 금융망과 연계하여 계좌 이체 처리하는 것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는 결제 결과를 포스 시스템사 서버(102)로 전송할 수 있는데, 이때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는 결제 처리 결과와 함께 포스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로부터 결제 처리 결과를 수신한 포스 시스템사 서버(102)는 수신된 포스 단말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가맹점의 특정 포스 단말기로 결제 처리 결과를 전달한다.
이에 가맹점에 구비된 포스 단말기에는 오프라인 거래에 따른 결제 처리 내역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100)의 기능 블록은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고 그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수신부(110)는 가맹점에 구비된 포스 단말기로부터 포스 단말기 식별자와 거래 번호를 포함하는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구매자가 조작하는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구매자 정보, 구매 정보,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거래 번호는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따른 거래를 특정하기 위한 번호이고, 구매 정보에도 이러한 거래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 즉, 구매자 단말기가 전송하는 각종 정보들은 판매자 가맹점에서 오프라인 상에 표시되는 다차원 이미지를 촬영하여 스캔한 결과로부터 획득한 것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결제 처리 수행부(120)는 결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데, 결체 처리 수행부의 기능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결제 처리 결과 전송부(130)는 결제 처리 수행부(120)에 의한 결제 처리 이후에 포스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래 번호와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래 번호를 서로 비교하여 해당하는 포스 단말기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포스 단말기로 결제 처리 수행부(120)의 결제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구매자 단말기가 결제 처리 시스템(100)에 전송하느 결제 요청 신호에는 거래 번호만이 포함되고, 별도로 포스 단말기 식별자가 포함되지 않더라도, 결제 처리 시스템(100)은 그 이전에 포스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참고하여 결제 처리 결과를 전송할 대상(포스 단말기 식별번호)을 특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결제 처리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일종의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와 포스 시스템사 서버(102')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예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을 참고하여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맹점(즉, 판매자)의 직원이 상품 또는 서비스 판매에 따른 주문 내용을 포스 단말기에 입력하는 경우, 포스 단말기는 포스 시스템사 서버(102')에 거래 관련 정보들을 전송하는데, 예를 들어 가맹점 번호는 물론이고, 포스 단말기 식별자와 거래 번호를 전송한다.
이에 포스 시스템사 서버(102')는 포스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래 정보들을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에 전달한다.
또한 포스 단말기는 거래 관련 정보들을 바코드나 QR 코드와 같은 다차원 이미지를 통해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할 수 있는데,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기는 해당 다차원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다차원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정보는 구매 정보일 수 있는데, 구매 정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거래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는 다차원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거래 번호와, 구매자 정보를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에 전달한다.
여기서 구매자 정보는 구매자 단말기에 기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구매자에 의해 실시간 입력되는 것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결제를 위해 필요한 계좌 정보나 카드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는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결제 요청 신호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데, 결제 처리 과정은 앞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는 포스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래 번호와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래 번호를 서로 비교하여 해당하는 포스 단말기를 특정한다.
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래 번호와 동일한 포스 시스템사 서버(102')로부터 수신된 거래 번호를 찾은 후, 그 포스 시스템사 서버(102')로부터 수신된 거래 번호에 매칭된 포스 단말기 식별 번호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포스 단말기를 특정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와 포스 시스템사 서버(102')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판매자 정보로서 가맹점 코드 등이 포함되는 경우 이를 함께 비교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는 그 특정된 포스 단말기로 결제 처리 수행부(120)의 결제 처리 결과를 전송하도록 포스 시스템사 서버(102')에 요청할 수 있고, 이에 포스 시스템사 서버(102')는 해당하는 포스 단말기에 결제 처리 결과는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가 포스 시스템사 서버(102')로부터 포스 단말기 식별자를 수신하여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포스 단말기 식별자는 포스 시스템사 서버(102')에서만 관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포스 시스템사 서버(102')는 포스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에서 포스 단말기 식별자와 거래 번호를 저장한 후, 그 중 거래 번호만을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는 결제 처리 결과를 거래 번호에 매칭시켜 포스 시스템사 서버(102')에 전달할 수 있고, 이후 포스 시스템사 서버(102')는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로부터 수신된 거래 번호에 매칭된 포스 단말기 식별자를 추출한 후, 해당하는 포스 단말기로 결제 처리 결과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포스 단말기 식별자는 구매자 또는 오픈 뱅킹 운영 서버(101')에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구매자 주도로 이루어지는 결제 내역이 특정 포스 단말기에 저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100)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결제 처리 시스템 101,101' : 오픈 뱅킹 운영 서버
102,102': 포스 시스템사 서버 110 : 수신부
120 : 결제 처리 수행부 130 : 결제 처리 결과 전송부

Claims (8)

  1. 결제 처리 시스템이 수행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a) 구매자가 조작하는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구매자 정보, 구매 정보,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결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자 정보에는 포스 단말기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포스 단말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포스 단말기로 상기 (b) 단계의 결제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정보에는 판매자 계좌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구매자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 계좌로부터 상기 판매자 계좌로 계좌 이체를 통해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3. 결제 처리 시스템이 수행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a) 가맹점에 구비된 포스 단말기로부터 포스 단말기 식별자와 거래 번호를 포함하는 거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 구매자가 조작하는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구매자 정보,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결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 정보에는 거래 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포스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래 번호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래 번호를 서로 비교하여 해당하는 포스 단말기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포스 단말기로 상기 (c) 단계의 결제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단말기는 판매자 가맹점에서 오프라인 상에 표시되는 다차원 이미지를 촬영하여 스캔한 결과로부터 상기 구매 정보와 상기 판매자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5. 구매자가 조작하는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구매자 정보, 구매 정보,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결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자 정보에는 포스 단말기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결제 처리 수행부에 의한 결제 처리 이후에 해당 결제 처리 결과를 상기 포스 단말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포스 단말기로 전송하는 결제 처리 결과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정보에는 판매자 계좌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결제 처리 수행부는 상기 구매자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 계좌로부터 상기 판매자 계좌로 계좌 이체를 통해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
  7. 가맹점에 구비된 포스 단말기로부터 포스 단말기 식별자와 거래 번호를 포함하는 거래 정보를 수신하고, 구매자가 조작하는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구매자 정보,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결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 정보에는 거래 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결제 처리 수행부에 의한 결제 처리 이후에 상기 포스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래 번호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래 번호를 서로 비교하여 해당하는 포스 단말기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포스 단말기로 상기 결제 처리 수행부의 결제 처리 결과를 전송하는 결제 처리 결과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단말기는 판매자 가맹점에서 오프라인 상에 표시되는 다차원 이미지를 촬영하여 스캔한 결과로부터 상기 구매 정보와 상기 판매자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
KR1020200149557A 2020-11-10 2020-11-10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63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557A KR20220063559A (ko) 2020-11-10 2020-11-10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557A KR20220063559A (ko) 2020-11-10 2020-11-10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559A true KR20220063559A (ko) 2022-05-17

Family

ID=8179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557A KR20220063559A (ko) 2020-11-10 2020-11-10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35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778B1 (ko) 2011-01-26 2012-07-03 주식회사 티모넷 Nfc를 이용한 pos 결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778B1 (ko) 2011-01-26 2012-07-03 주식회사 티모넷 Nfc를 이용한 pos 결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3226B2 (en) Systems for processing electronic transactions
US11334860B2 (e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nterface
US20160247149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executing a mobile transaction
US9875385B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of product receipts
US201502788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uthorisation of Payment
CN102870132A (zh) 用于身份验证和经由支付代理系统的资金转账的系统、设备、和方法
US202002940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users in two domains
WO2007134378A1 (en) A receipt storage system
US8423463B1 (en) Personal financial manager with gift cards aggregation
CN108352018A (zh) 用于社交网络中的信贷的方法和系统
US201501937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Associated With Sale of a Product
US11587054B2 (en) Optical-scan triggered electronic funds transfer for purchase transaction
JP2009217599A (ja) 現金自動取引装置、管理サーバ装置、現金自動取引システム及び現金自動取引方法
KR102238503B1 (ko) 해외 구매 대행 기능을 갖는 온라인 마켓 관리 시스템
KR20220063559A (ko)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2312835A (ja) 自動販売機システム
US20170186076A1 (en) Product tracking and management using image recognition
KR102044672B1 (ko) 쿠폰의 발행 및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006960B1 (ko) 위치정보 기반의 온라인 중고물품 거래 시스템
US2021009011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KR101951125B1 (ko) 지문 기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32262A (ko) 매장용 상품 비용 결제 방법
KR20240060170A (ko) 고객별 주문 이력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00110833A (ko) 인증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60166A (ko) 고객 히스토리 기반 소비 예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