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490A - 자화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자화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490A
KR20220063490A KR1020200149406A KR20200149406A KR20220063490A KR 20220063490 A KR20220063490 A KR 20220063490A KR 1020200149406 A KR1020200149406 A KR 1020200149406A KR 20200149406 A KR20200149406 A KR 20200149406A KR 20220063490 A KR20220063490 A KR 20220063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ow path
fluid
magnetized water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247B1 (ko
Inventor
선정완
선현준
Original Assignee
선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현준 filed Critical 선현준
Priority to KR1020200149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2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6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02F1/48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treatment device, i.e. not in contact with the liquid to be treated, e.g. detach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공간에 내장된 복수의 자성체와, 유체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를 거친 유체가 상기 복수의 자성체 사이를 거쳐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제2유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중공이 관통형성 된 플레이트 형상의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중공을 통과한 유체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캡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제1유로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제2유로를 거치는 과정에서 유체가 이온화되어 자화수가 생성되는 자화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화수 생성장치{Device for generating magnetized water}
본 발명은 자화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에 자기력을 발산하여 물 분자의 세분화 및 이온화를 촉진하여 다량의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각종 수도 설비에 연결하여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자화시킬 수 있도록 한 자화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화수 제조장치는 자석을 배관에 설치하고, 물이 자석을 통과하게 하여 자력에 의해 물분자 극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물을 자화하여 사용하였다. 자화수의 생성 원리를 설명하면, 물 분자는 15~20개가 모여 클러스터 형태를 띄게 되는데, 물에 자장을 인가할 경우 물분자를 구성하는 수소는 -극(N극)쪽으로, 산소는 +극(S극)쪽으로 붙게 되는 힘이 작용하며, 또한 자력에 의해 물 분자는 빠르게 회전하게 되고, 물 분자가 빠른 속도로 회전할 때 자장 내에 형성된 무수한 음이온과 충돌하여 물 분자가 세분화된다. 이렇게 세분화된 물 분자들이 다시 재결합하여 활성화하고 이온화되어 클러스터 입자를 이루는데 이때 재결합 구조가 육각구조를 이루게 되어 육각수를 형성하는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 10-0938441(등록일 2010.01.15 자화처리기) 및 국내 공개특허 10-2010-0034585(공개일 2010.04.01)에서도 영구자석의 척력배치를 이용하여 물분자를 자화시키는 자화수 처리장치를 소개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되는 모든 영구자석의 일렬배치가 모두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이렇게 영구자석의 극성배열이 동일한 구성으로만 배열될 경우, 영구자석의 다른 극성배열 및 배치에 따라 자력에 의한 자화수 처리성능이 달라지는 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자화수 제조장치는 부피가 크게 제조되어 각종 수도관에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고, 상기 자화수 처리장치를 통해 자화된 유체의 유속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자성체의 극성 배열을 임의대로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자성체의 극성배열을 인력배열과 척력배열을 혼합배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물의 미립화 및 활성화 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고, 간단하게 수도관에 설치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자화수를 얻을 수 있는 자화수 생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공간에 내장된 복수의 자성체와, 유체가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제1유로와, 제1유로를 거친 유체가 복수의 자성체 사이를 거쳐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제2유로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되, 제2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중공이 관통형성 된 플레이트 형상의 하부캡과, 하부캡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결합되고, 중공을 통과한 유체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캡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1유로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제2유로를 거치는 과정에서 유체가 이온화되어 자화수가 생성된다. 또한, 하부캡(300)의 테두리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됨에따라, 돌출된 하부캡의 테두리부가 상기 상부캡(400)을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은, 하우징의 하측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유체가 유동하는 곡선형의 제1유로를 형성하는 외측판부재와, 제1유로 내부로 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외측판부재의 외주면에 관통형성 된 제1유입구와, 제1유입구 내측 테두리부에 일단이 접하도록 구비되며, 중심을 향해 연장된 판재 형상을 가지는 제1유로가이드부재와, 제1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가 하우징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우징의 하면에 관통형성 된 하나 이상의 제2유입구를 포함하되, 외측판부재는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고, 제1유로가이드부재는 하우징의 하측 외주면에서 외측판부재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형성됨에 따라, 제1유로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유도한다.
또한, 제1유로 내부로 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외측판부재의 외주면에 관통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조유입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서 돌출되고, 제2유입구에 의해 유입된 유체가 유동하는 제2유로를 형성하는 내측판부재와, 내측판부재에 의해 구획되며 자성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자성체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되, 수납부에 수납된 각 자성체 사이의 간격은 3mm내지 5mm로 형성되고, 내측판부재는 양단이 제2유입구 내측 테두리부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상호 이격된 두 개의 격벽판에 의해 회전체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회전체 수용부를 포함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제1유로와 제2유로를 거친 유체가 회전체 수용부로 이동하여, 회전체는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하우징 내에서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수납부는 회전체수용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오목홈을 포함하는 제1수납공간과, 제1수납공간을 감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오목홈을 포함하는 제2수납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자성체는 제1수납공간에 수용되는 제1자성체와, 제2수납공간에 수용되는 제2자성체를 포함하고, 제2유로는, 유체를 제1수납공간에 수납된 복수의 제1자성체 사이와, 격벽판의 이격부위를 거쳐 회전체수용부 내부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제2-2유로와, 제1수납공간과 제2수납공간 사이에 구비되며, 제2유입구와 연통되어 제2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제2수납공간에 수납된 복수의 제2 자성체 사이를 거쳐 제2-2유로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제 2-1유로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부캡은 하면을 구성하는 하판과, 하판과 결합되어 측면과 상면을 구성하는 상판덮개를 포함하되, 하판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토출구가 관통형성되고, 상판덮개는 토출구와 연통되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유체가 외측을 향해 유도하는 토출로를 포함하되, 토출로는 상판덮개의 측면에서 상부방향을 향한 면이 개구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자성체는 영구자성체이나 네오디뮴 자성체이다.
또한, 복수의 자성체는 회전체를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정다면체, 비구면체 형상으로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캡과 하부캡은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유체의 유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가 투영되어 보이며, 회전체의 회전속도와 유속이 비례한다.
상기 하판과 상판덮개 사이에는 피부 및 두발 건강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각종 화장료 조성물이 수용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은 하판 중앙을 관통하는 유동홀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홀은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하부캡의 중공으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상기 상부캡의 토출구로 흐르는 과정에서, 상기 각종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유동홀을 통해 배출되어 유체에 용해 또는 혼합되고, 일정한 농도로 방출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각종 수전에 설치하여 수돗물을 자화처리함으로써 물의 용해력, 침투력, 표면장력 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자성체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여 장시간의 사용에도 부식으로 인한 인체 유해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자화수 생성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화수 생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화수 생성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화수 생성장치의 저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우징의 내부 형상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하우징의 공간부에 자성체가 내장된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상부캡의 형상을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a)에 도시된 상부캡의 단면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자화수 생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자화수 생성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내지 도3을 참조하면,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공간(S)에 내장된 복수의 자성체(200)와, 유체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하부에 형성된 제1유로(120)와, 제1유로(120)를 거친 유체가 복수의 자성체(200) 사이를 거쳐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S)에 형성된 제2유로(140)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S)을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되, 제2유로(140)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중공(310)이 관통형성 된 플레이트 형상의 하부캡(300)과, 하부캡(300)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을 밀폐하도록 결합되고, 중공(310)을 통과한 유체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구(410)가 형성된 상부캡(400)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1유로(12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제2유로(140)를 거치는 과정에서 유체가 이온화되어 자화수가 생성된다. 하부캡(300)의 테두리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방향을 향해 돌출형성됨에따라, 돌출된 하부캡의 테두리부가 상기 상부캡(400)을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에서 자성체(200)는 영구자성체이나 네오디뮴 자성체인 것이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화수 생성장치의 저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하우징의 하측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유체가 유동하는 곡선형의 제1유로(120)를 형성하는 외측판부재(101)와, 제1유로(120) 내부로 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외측판부재(101)의 외주면에 관통형성 된 제1유입구(110)와, 제1유입구(110) 내측 테두리부에 일단이 접하도록 구비되며, 중심을 향해 연장된 판재 형상을 가지는 제1유로 가이드부재(110a)와, 제1유로(120)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가 하우징(100)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우징(100)의 하면에 관통형성 된 하나 이상의 제2유입구(130)를 포함하되, 외측판부재(101)는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제1유로 가이드부재(110a)는 하우징(100)의 하측 외주면에서 외측판부재(101)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형성됨에 따라, 제1유로(12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유도한다.
또한, 제1유로(120) 내부로 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외측판부재(101)의 외주면에 관통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조유입구(1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우징의 내부 형상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하우징(100)의 내측 바닥면에서 돌출되고, 제2유입구(130)에 의해 유입된 유체가 유동하는 제2유로(140)를 형성하는 내측판부재(150)와, 내측판부재(150)에 의해 구획되며 자성체(2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자성체(200)가 수납되는 수납부(160)를 포함하되, 수납부(160)에 수납된 각 자성체(200) 사이의 간격은 3mm내지 5mm로 형성되고, 내측판부재(150)는 양단이 제2유입구(130) 내측 테두리부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체(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상호 이격된 두 개의 격벽판(171)에 의해 상기 회전체(23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회전체 수용부(170)를 포함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거친 유체가 상기 회전체 수용부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체(230)는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하우징(100) 내에서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한다.
수납부(160)는 회전체수용부(170)를 감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오목홈을 포함하는 제1수납공간(161)과, 제1수납공간(161)을 감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오목홈을 포함하는 제 2 수납공간(162)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상부캡(400)과 하부캡(300)은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유체의 유동에 의해 도 5와 같이 회전하는 회전체(230)가 투영되어 보일 수 있으며, 회전체의 회전속도와 유속이 비례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하우징의 공간부에 자성체가 내장된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의 (a)는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자성체(200)는 상기 도5에 도시된 제1수납공간(161)에 수용되는 제1자성체(210)와, 제2 수납공간(162)에 수용되는 제2자성체(220)를 포함하고, 제2유로(140)는, 유체를 제1수납공간(161)에 수납된 복수의 제1자성체(210) 사이와, 격벽판의 이격부위를 거쳐 회전체수용부(170) 내부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제2-2유로(142)와, 제1수납공간(161)과 제 2 수납공간(162) 사이에 구비되며, 제2유입구(130)와 연통되어 제2유입구(13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제 2 수납공간(162)에 수납된 복수의 제2자성체(220) 사이를 거쳐 제2-2유로(142)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제2-1유로(141)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2자성체(220)와 접하도록 구비된 하우징(100)의 내측 바닥면 테두리부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하부캡(300)을 지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상부캡의 형상을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상부캡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7의 (b)는 상부캡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부캡(400)은 하면을 구성하는 하판(401)과, 하판과 결합되어 측면과 상면을 구성하는 상판덮개(402)를 포함하되, 하판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토출구(410)가 관통형성되고, 상판덮개는 토출구(410)와 연통되며, 토출구(41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가 외측을 향해 유도하는 토출로(420)를 포함하되, 토출로(420)는 상판덮개의 측면에서 상부방향을 향한 면이 개구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자성체(200)는 회전체를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정다면체, 비구면체 형상으로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a)에 도시된 상부캡의 단면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하판(401)과 상판덮개(402) 사이에는 피부 및 두발 건강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각종 화장료 조성물이 수용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401)은 하판 중앙을 관통하는 유동홀(401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동홀은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며,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구성물 또는 세라믹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하부캡의 중공으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상기 상부캡의 토출구로 흐르는 과정에서, 상기 각종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유동홀을 통해 배출되어 유체에 용해 또는 혼합되고, 일정한 농도로 방출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S 공간 100 하우징
101 외측판부재 110a 제1유로가이드부재
110 제1유입구 111 보조유입구
120 제1유로 130 제2유입구
140 제2유로 141 제 2-1유로
142 제2-2유로 150 내측판부재
160 수납부 161 제1수납공간
162 제2수납공간 170 수용부
200 자성체 210 제1 자성체
220 제2 자성체 230 회전체
300 하부캡 310 중공
400 상부캡 400a 공간부
401 하판 401a 유동홀
402 상판덮개 410 토출구
420 토출로

Claims (11)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공간에 내장된 복수의 자성체와,
    유체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를 거친 유체가 상기 복수의 자성체 사이를 거쳐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제2유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중공이 관통형성 된 플레이트 형상의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중공을 통과한 유체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캡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제1유로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제2유로를 거치는 과정에서 유체가 이온화되어 자화수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의 하측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유체가 유동하는 곡선형의 제1유로를 형성하는 외측판부재와,
    상기 제1유로 내부로 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외측판부재의 외주면에 관통형성 된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입구 내측 테두리부에 일단이 접하도록 구비되며, 중심을 향해 연장된 판재 형상을 가지는 제1유로가이드부재와,
    제1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가 하우징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우징의 하면에 관통형성 된 하나 이상의 제2유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판부재는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유로가이드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 외주면에서 외측판부재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형성됨에 따라, 제1유로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 내부로 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외측판부재의 외주면에 관통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조유입구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서 돌출되고, 제2유입구에 의해 유입된 유체가 유동하는 제2유로를 형성하는 내측판부재와, 상기 내측판부재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자성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자성체가 수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각 자성체 사이의 간격은 3mm내지 5mm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판부재는 양단이 제2유입구 내측 테두리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호 이격된 두 개의 격벽판에 의해 상기 회전체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회전체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거친 유체가 상기 회전체 수용부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체는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하우징 내에서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회전체수용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오목홈을 포함하는 제1수납공간과, 상기 제1수납공간을 감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오목홈을 포함하는 제2수납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자성체는 제1수납공간에 수용되는 제1자성체와, 제2수납공간에 수용되는 제2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는, 유체를 상기 제1수납공간에 수납된 복수의 제1자성체 사이와, 상기 격벽판의 이격부위를 거쳐 회전체수용부 내부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제2-2유로와,
    상기 제1수납공간과 제2수납공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유입구와 연통되어 제2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제2수납공간에 수납된 복수의 제2 자성체 사이를 거쳐 상기 제2-2유로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제 2-1유로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하면을 구성하는 하판과, 상기 하판과 결합되어 측면과 상면을 구성하는 상판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하판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토출구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상판덮개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유체가 외측을 향해 유도하는 토출로를 포함하되, 상기 토출로는 상판덮개의 측면에서 상부방향을 향한 면이 개구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8. 제 6항 또는 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영구자성체이나 네오디뮴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9. 제 6항 또는 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성체는 상기 회전체를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정다면체, 비구면체 형상으로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은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유체의 유동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회전체가 투영되어 보이며, 회전체의 회전속도와 유속이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과 상판덮개 사이에는 피부 및 두발 건강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각종 화장료 조성물이 수용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은 하판 중앙을 관통하는 유동홀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홀은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하부캡의 중공으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상기 상부캡의 토출구로 흐르는 과정에서, 상기 각종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유동홀을 통해 배출되어 유체에 용해 또는 혼합되고, 일정한 농도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장치.
KR1020200149406A 2020-11-10 2020-11-10 자화수 생성장치 KR102486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406A KR102486247B1 (ko) 2020-11-10 2020-11-10 자화수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406A KR102486247B1 (ko) 2020-11-10 2020-11-10 자화수 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490A true KR20220063490A (ko) 2022-05-17
KR102486247B1 KR102486247B1 (ko) 2023-01-10

Family

ID=8180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406A KR102486247B1 (ko) 2020-11-10 2020-11-10 자화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2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499B1 (ko) * 2022-06-23 2023-03-17 주식회사 영진엔지니어링 수처리 여과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94U (ja) * 1993-06-15 1995-01-20 鎌田バイオ・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浄化装置
JP2004243208A (ja) * 2003-02-13 2004-09-02 Oojitsuku:Kk 浄水器
KR200469288Y1 (ko) * 2011-09-02 2013-11-05 김혜실 자화 여과기
KR102159622B1 (ko) * 2018-11-26 2020-09-24 정지훈 살균기능을 갖는 냉온수기용 정수필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94U (ja) * 1993-06-15 1995-01-20 鎌田バイオ・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浄化装置
JP2004243208A (ja) * 2003-02-13 2004-09-02 Oojitsuku:Kk 浄水器
KR200469288Y1 (ko) * 2011-09-02 2013-11-05 김혜실 자화 여과기
KR102159622B1 (ko) * 2018-11-26 2020-09-24 정지훈 살균기능을 갖는 냉온수기용 정수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499B1 (ko) * 2022-06-23 2023-03-17 주식회사 영진엔지니어링 수처리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247B1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498B1 (ko) 회전 및 마찰형 자화수 생성장치
KR101455612B1 (ko) 다기능 샤워기
EP0290609A1 (en) Fluid magnetizer
KR20220063490A (ko) 자화수 생성장치
US20130001085A1 (en) Shower with ionization apparatus
CN113784928B (zh) 磁化水生成装置
CN102872988B (zh) 一种动感按摩水花洒
KR20170100707A (ko) 나노 버블 생성장치
JP2005034814A (ja) 微細気泡発生器
US7223335B2 (en) Ion separation
CN114728822B (zh) 多级式磁化水生成装置
CN202238401U (zh) 一种旋转磁化水花花洒
KR20190027103A (ko) 워터랩 샤워기
KR101310402B1 (ko) 버블 발생기
US7504031B2 (en) Ion separation and gas generation
ES2285178T3 (es) Dispositivo de acondicionamiento magnetico para combustible de motores diesel.
KR20070058091A (ko) 정수기용 여과기의 물활성화장치
TWI746219B (zh) 電解電極裝置及其電解裝置與泵浦裝置
RU2381998C1 (ru) Система комплексной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сти
CN201077789Y (zh) 具有动磁体或定磁体的流体磁处理单元
TWI742734B (zh) 磁化液體產生裝置以及使用該裝置之氣泡磁化液體產生裝置
KR200381587Y1 (ko) 자화수 생성기
KR20200120539A (ko) 냉온수 기능과 향상된 살균 및 음이온발생 기능이 부여된 자화수기
KR102080508B1 (ko) 유체 디스펜싱 장치
KR20150104394A (ko) 이온수 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