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070A - Propeller Assembly for Drone - Google Patents

Propeller Assembly for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070A
KR20220063070A KR1020210011619A KR20210011619A KR20220063070A KR 20220063070 A KR20220063070 A KR 20220063070A KR 1020210011619 A KR1020210011619 A KR 1020210011619A KR 20210011619 A KR20210011619 A KR 20210011619A KR 20220063070 A KR20220063070 A KR 20220063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drone
arms
presen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6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라스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라스카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라스카이
Publication of KR20220063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0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6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that strengthens the wind resistance of the drone by using a coaxial reversing propeller, and can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propellers when reducing the length of arms while maintaining the number of arms on which propellers are mounted using an overlapping structure, or adding the number of arms while maintaining the length of arms, or increasing the size of propellers.

Description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Propeller Assembly for Drone}Propeller Assembly for Drone

본 발명은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펠러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in which inter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propellers.

일반적으로 드론은 처음에 군사용 무인항공기로 개발되었으나 근래에 들어 드론의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비행체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대형 비행체의 군사용뿐만 아니라, 초소형 드론도 활발하게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drones were initially developed as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military use, but in recent years, a variety of aircraft with various sizes and performances have been develop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of the drone. there is.

또한, 현재 드론은 군사용뿐만 아니라 기업, 미디어, 개인을 위한 용도로도 활용되어 취미활동으로 이용 가능한 상품 또는 정글이나 오지, 화산지역, 자연재해지역, 원자력 발전소 사고지역 등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투입가능한 드론이 연구되어 개발되고 있다.In addition, currently drones are used not only for military purposes but also for corporate, media, and personal purposes, so they can be used for hobby activities or areas inaccessible to humans, such as jungles, remote areas, volcanic areas, natural disaster areas, and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areas. Drones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are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이러한 드론은 일반적으로 같은 수평축 상에 방사형으로 뻗친 복수의 암을 가지고 있으며 복수의 암 각각의 단부에는 프로펠러 및 프로펠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장착된다. 이 때, 각각의 프로펠러 간에 회전 반경이 겹치며 간섭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일정 길이의 암 길이를 유지해야한다.Such a drone generally has a plurality of arms extending radially on the same horizontal axis, and a propeller and a motor for driving the propeller are mounted at the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rms.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certain arm length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due to overlapping rotational radii between the respective propellers.

또한, 추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펠러가 장착되는 암의 갯수를 추가하거나 프로펠러의 크기를 키울 경우 프로펠러 간의 간섭을 막기 위하여 암의 길이도 길어지게 된다. 길어진 암의 길이는 드론 기체의 무게를 상승시킬 뿐 아니라 기체의 비행 메커니즘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arms on which propellers are mounted is added to improve thrust or the size of the propellers is increased, the length of the arms is increased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propellers. The longer arm length not only increases the weight of the drone, but also greatly affects the flight mechanism of the aircraft.

즉, 종래의 드론에서는 프로펠러가 장착되는 암의 갯수를 유지하면서 암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암의 길이를 유지하면서 암의 갯수를 추가하거나, 프로펠러의 크기를 키울 경우에 프로펠러 간에 간섭이 생기는 것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drone, when the length of the arm is shortened while maintaining the number of arms on which the propeller is mounted, the number of arms is added while maintaining the length of the arm, or the size of the propeller is increased, interference between the propellers is inevitable. There was a problem.

중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5168888호 (발명의 명칭: Coaxial double -oar unmanned aerial vehicle, 공고일: 2016. 04. 20)Chin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5168888 (Title of the invention: Coaxial double -oar unmanned aerial vehicle, Announcement date: 2016. 04. 2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축 반전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드론의 내풍성을 강화시키고, 중첩 구조를 이용하여 프로펠러가 장착되는 암의 갯수를 유지하면서 암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암의 길이를 유지하면서 암의 갯수를 추가하거나, 프로펠러의 크기를 키울 경우에 프로펠러 간에 간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using a coaxial inverting propeller to enhance the wind resistance of the drone, and using an overlapping structure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arm while maintaining the number of arms on which the propeller is moun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peller assembly for drones that can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propellers when shortening, adding the number of arms while maintaining the length of the arms, or increasing the size of the propeller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는, 드론에 장착되는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 암과, 상기 지지 암의 상부에 연결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상부 암과, 상기 지지 암의 하부에 연결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암과, 상기 상부 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상부 모터와, 상기 하부 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하부 모터와, 상기 상부 모터에 연결되는 상부 프로펠러 및 상기 하부 모터에 연결되는 하부 프로펠러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mounted on a drone, includes a support arm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dron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arm A plurality of upper arms connected and radially arranged, a plurality of lower arm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arm and radially arranged, an upper mo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pper arm, and one end of the lower arm It includes a lower motor connected to, an upper propeller connected to the upper motor, and a lower propeller connected to the lower motor.

본 발명의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동축 반전 프로펠러를 사용함으로써 외부 바람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켜 내풍성을 올릴 수 있고 비행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by using the coaxial reversing propell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increase the wind resistance by 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wind and greatly improve the flight stability.

둘째, 프로펠러 간의 회전 반경이 일부 겹치도록 프로펠러를 중첩시켜 배치함으로써 프로펠러 간의 간섭 없이 효율적으로 프로펠러를 배치하여 드론의 크기와 무게가 불필요하게 늘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Seco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ize and weight of the drone can be prevented from unnecessarily increasing by efficiently arranging the propellers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the propellers by overlapping the propellers so that the rotation radius between the propellers partially overlap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order to describe a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of the propeller assembly for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는 지지 암(100), 복수의 상부 암(200), 복수의 하부 암(300), 상부 모터(210), 하부 모터(310), 상부 프로펠러(220) 및 하부 프로펠러(320)를 포함한다.1 to 3 , a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arm 100 , a plurality of upper arms 200 , a plurality of lower arms 300 , an upper motor 210 , and a lower portion. It includes a motor 310 , an upper propeller 220 and a lower propeller 320 .

지지 암(100)은 드론 기체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지지 암(100)에는 각종 장치들이 결합되어 드론 기체를 형성할 수 있다.The support arm 100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to the center of the drone body. Various devices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arm 100 to form a drone gas.

복수의 상부 암(200)은 상기 지지 암(100)의 상부에 연결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상부 암(200)은 4개가 구비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upper arms 200 ar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arm 100 and are radially disposed. As shown in FIGS. 1 to 3 , in the present invention, four upper arms 200 are provided, but the number of upper arms 200 may be lower or higher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상부 모터(210)는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받고 비행제어장치에서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상부 암(200) 각각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하기 상부 프로펠러(220)로 전달할 수 있는 충분한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된다.The upper motor 210 receives power from a battery and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by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light control device,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pper arms 200 to the upper propeller 220 below. It is provided so that sufficient rotational force to be transmitted is generated.

상부 프로펠러(220)는 상기 상부 모터(210)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모터(2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에 의해 추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드론을 공중에 띄워 비행가능한 충분한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된다.The upper propeller 220 is connected to the upper motor 210 and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upper motor 210 to generate thrust by rotation. .

여기서, 상부 프로펠러(220)는 동축 반전 프로펠러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모터(210)의 동축 상에 설치되는 제1 상부 프로펠러(221)와 제2 상부 프로펠러(222)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pper propeller 220 may include a first upper propeller 221 and a second upper propeller 222 configured as a coaxial inversion propeller and installed on the same axis of the upper motor 210 .

상기 상부 모터(210)의 회전축 상부에 제1 상부 프로펠러(221)가 설치되고, 제1 상부 프로펠러(221)가 설치된 동축 하부에 제2 상부 프로펠러(222)가 설치될 수 있다.A first upper propeller 221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upper motor 210 , and a second upper propeller 222 may be installed on a coaxial lower portion on which the first upper propeller 221 is installed.

상기 제1 상부 프로펠러(221)와 제2 상부 프로펠러(222)는 서로 반대로 회전할 수 있다. 서로 반대로 회전하면서 비행 시 회전 관성을 상쇄 시키고 외부 바람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킴으로써 드론의 내풍성을 크게 강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비행 안정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upper propeller 221 and the second upper propeller 222 may rotate opposite to each other. The wind resistance of the drone can be greatly strengthened by offsetting the rotational inertia during flight by rotating opposite to each other and reducing the influence of external wind, and thus flight st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복수의 하부 암(300)은 상기 지지 암(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하부 암(300)은 4개가 구비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ower arms 300 ar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arm 100 and are radially disposed. As shown in FIGS. 1 to 3 , in the present invention, four lower arms 300 are provided, but the number of lower arms 300 may be lower or higher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하부 모터(310)는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받고 비행제어장치에서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하부 암(300) 각각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하기 하부 프로펠러(320)로 전달할 수 있는 충분한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된다.The lower motor 310 receives power from a battery and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by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light control device,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arms 300 and is directed to the lower propeller 320 . It is provided so that sufficient rotational force to be transmitted is generated.

하부 프로펠러(320)는 상기 하부 모터(310)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모터(3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에 의해 추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드론을 공중에 띄워 비행가능한 충분한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된다.The lower propeller 320 is connected to the lower motor 310 and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ower motor 310 to generate thrust by rotation. .

여기서, 하부 프로펠러(320)는 동축 반전 프로펠러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모터(310)의 동축 상에 설치되는 제1 하부 프로펠러(321)와 제2 하부 프로펠러(322)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ower propeller 320 may include a first lower propeller 321 and a second lower propeller 322 configured as a coaxial inversion propeller and installed on the same axis of the lower motor 310 .

상기 하부 모터(310)의 회전축 상부에 제1 하부 프로펠러(321)가 설치되고, 제1 하부 프로펠러(321)가 설치된 동축 하부에 제2 하부 프로펠러(322)가 설치될 수 있다.A first lower propeller 321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lower motor 310 , and a second lower propeller 322 may be installed on a coaxial lower portion on which the first lower propeller 321 is installed.

상기 제1 하부 프로펠러(321)와 제2 하부 프로펠러(322)는 서로 반대로 회전할 수 있다. 서로 반대로 회전하면서 비행 시 회전 관성을 상쇄 시키고 외부 바람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킴으로써 드론의 내풍성을 크게 강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비행 안정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lower propeller 321 and the second lower propeller 322 may rotate opposite to each other. The wind resistance of the drone can be greatly strengthened by offsetting the rotational inertia during flight by rotating opposite to each other and reducing the influence of external wind, thereby greatly improving flight stability.

여기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 프로펠러(321)는 상기 제1 상부 프로펠러(221)와 상기 제2 상부 프로펠러(2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상부 프로펠러(222)는 상기 제1 하부 프로펠러(321)와 상기 제2 하부 프로펠러(3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first lower propeller 32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upper propeller 221 and the second upper propeller 222 . Similarly, the second upper propeller 22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lower propeller 321 and the second lower propeller 322 .

즉, 제1 하부 프로펠러(321)가 제1 상부 프로펠러(221)와 제2 상부 프로펠러(222)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로펠러(220) 및 하부 프로펠러(320)는 각 프로펠러들의 회전 반경이 일부 겹치게 배치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as the first lower propeller 32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upper propeller 221 and the second upper propeller 222, the upper propeller 220 and the lower propeller 320 are each A rotation radius of the propellers may be partially overlapped.

종래의 드론에서는 복수의 프로펠러 각각이 같은 수평축 상에 배치되는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 간의 회전 반경이 일부 겹치게 배치되면 프로펠러끼리 부딪히게 되어 비행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drone, since each of a plurality of propellers is manufactured to have a structure disposed on the same horizontal axis, as shown in FIG. 3 , when some of the rotation radii between the propellers overlap each other, the propellers collide with each other, thereby making it impossible to fly.

종래의 드론에서는 프로펠러가 장착되는 암의 간격을 넓히거나 암의 길이를 늘려 상기와 같이 프로펠러 간에 간섭이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해결 방식은 드론 기체의 무게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드론의 이동성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이 커지고 드론의 기동성과 신속성이 저하되는 등 드론의 비행 메커니즘에 큰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발생시켰다.In the conventional drone, the problem of interference between the propellers as described above has been solved by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arms on which the propellers are mounted or b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arms. However, since this conventional solution increases the weight of the drone aircraft, not only the mobility of the drone is greatly reduced, but also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obstacles increases, and the maneuverability and speed of the drone have a great adverse effect on the flight mechanism of the drone. It caused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로펠러(220)와 하부 프로펠러(320)가 회전 반경이 일부 겹치도록 중첩시켜 배치함으로써 프로펠러 간의 간섭이 생기는 것을 막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프로펠러를 배치하기 때문에 드론의 크기와 무게가 불필요하게 늘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the upper propeller 220 and the lower propeller 320 are arranged to overlap so that the rotation radius partially overlaps, thereby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the propellers from occurring, and efficiently using the space. Because the propeller is placed, the size and weight of the drone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unnecessaril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는 랜딩 스키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anding skid 400 .

랜딩 스키드(400)는 상기 하부 암(300) 상에 구비되어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드론의 이착륙 시 충격으로부터 기체를 보호한다.The landing skid 400 is provided on the lower arm 300 to protect the aircraft from impact during take-off and landing of a drone on which a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is mounted.

랜딩 스키드(400)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착륙시 먼저 수면 또는 지면에 접촉하며 드론 기체를 지지하도록 드론의 몸체보다 아래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anding skid 400 may be formed in a long rod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preferably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body of the drone by first contacting the water surface or the ground during landing to support the drone gas.

여기서, 랜딩 스키드(400)가 상기 하부 암(300)에 결합될 때 랜딩 스키드(400)와 하부 암(300) 사이에 진동 방지 고무(미도시)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방지 고무(미도시)는 링 형태로 하부 암(300)에 끼워질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when the landing skid 400 is coupled to the lower arm 300 , an anti-vibration rubber (not shown) may be inserted and coupled between the landing skid 400 and the lower arm 300 . The anti-vibration rubber (not shown) may be fitted to the lower arm 300 in a ring shape,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랜딩 스키드(400)가 하부 암(300)에 결합될 때 상기 진동 방지 고무(미도시)가 삽입되기 때문에 드론 이착륙 시 충격으로부터 기체를 보호하는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Since the anti-vibration rubber (not shown) is inserted when the landing skid 400 is coupled to the lower arm 300 ,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aircraft from impact during take-off and landing of the drone can be further maximized.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랜딩 스키드(400)는 4개가 구비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1 to 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ding skid 400 is provided with four, but may be arranged in fewer or more number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는 간격 조절 링(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pacing adjustment ring (11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도이다.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간격 조절 링(110)은 상부 암(200)과 하부 암(300) 사이의 지지 암(10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는 제2 상부 프로펠러(222)가 제1 하부 프로펠러(321)와 제2 하부 프로펠러(322) 사이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암(200)과 하부 암(300) 사이의 지지 암(100)에 간격 조절 링(110)을 삽입함으로써 제2 상부 프로펠러(222)가 제1 하부 프로펠러(321)와 제2 하부 프로펠러(322) 사이에 위치하되, 제1 하부 프로펠러(321)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spacing adjusting ring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arm 100 between the upper arm 200 and the lower arm 300 . 1 and 2, in the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upper propeller 222 is in the middle between the first lower propeller 321 and the second lower propeller 322. However, as shown in FIG. 4 , by inserting the spacing adjusting ring 110 into the support arm 100 between the upper arm 200 and the lower arm 300 , the second upper propeller 222 moves the first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propeller 321 and the second lower propeller 322 , but may be disposed to be positioned close to the first lower propeller 321 .

간격 조절 링(110)을 상부 암(200)과 하부 암(300) 사이의 지지 암(100)에 삽입하여 상부 프로펠러(220)와 하부 프로펠러(320)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드론의 비행 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간격 조절 링(110)의 수직 높이는 드론의 추력 및 상부와 하부의 무게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어 상부 프로펠러(220)와 하부 프로펠러(320) 간의 간격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간격 조절 링(110)은 수직 높이 별로 다양하게 제작하여 운행 시 마다 필요에 맞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By inserting the gap adjustment ring 110 into the support arm 100 between the upper arm 200 and the lower arm 300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ropeller 220 and the lower propeller 320, the flight performance of the drone is adjusted. can The vertical height of the spacing adjusting ring 110 can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hrust of the drone and the weight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ropeller 220 and the lower propeller 320 can be adjusted as needed. The gap adjustment ring 11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for each vertical height, and may be replaced and used according to the need during operation.

또한, 간격 조절 링(110) 없이도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의 제작 시에 상부 암(200)과 하부 암(300) 사이의 수직 간격을 보다 넓게 제작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부 프로펠러(222)가 제1 하부 프로펠러(321)와 제2 하부 프로펠러(322) 사이에 위치하되, 제1 하부 프로펠러(321)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upper propeller 222 as shown in FIG. 4 by making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upper arm 200 and the lower arm 300 wider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propeller assembly for drones without the spacing adjustment ring 110 . )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lower propeller 321 and the second lower propeller 322 , but may be disposed to be located close to the first lower propeller 321 .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지지 암
110: 간격 조절 링
200: 상부 암
210: 상부 모터
220: 상부 프로펠러
221: 제1 상부 프로펠러
222: 제2 상부 프로펠러
300: 하부 암
310: 하부 모터
320: 하부 프로펠러
321: 제1 하부 프로펠러
322: 제2 하부 프로펠러
400: 랜딩 스키드
100: support arm
110: spacing adjustment ring
200: upper arm
210: upper motor
220: upper propeller
221: first upper propeller
222: second upper propeller
300: lower arm
310: lower motor
320: lower propeller
321: first lower propeller
322: second lower propeller
400: landing skid

Claims (1)

드론에 장착되는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 암;
상기 지지 암의 상부에 연결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상부 암;
상기 지지 암의 하부에 연결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암;
상기 상부 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상부 모터;
상기 하부 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하부 모터;
상기 상부 모터에 연결되는 상부 프로펠러; 및
상기 하부 모터에 연결되는 하부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드론용 프로펠러 어셈블리.
In the drone propeller assembly mounted on the drone,
a support arm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drone;
a plurality of upper arm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arm and disposed radially;
a plurality of lower arm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arm and disposed radially;
an upper mo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pper arm;
a lower mo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ower arm;
an upper propeller connected to the upper motor; and
A propeller assembly for a drone comprising a lower propeller connected to the lower motor.
KR1020210011619A 2020-11-09 2021-01-27 Propeller Assembly for Drone KR2022006307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8814 2020-11-09
KR1020200148814 2020-1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070A true KR20220063070A (en) 2022-05-17

Family

ID=8180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619A KR20220063070A (en) 2020-11-09 2021-01-27 Propeller Assembly for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307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4230A (en) * 2023-06-06 2023-07-04 四川高速公路建设开发集团有限公司 High-speed pavem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631514B1 (en) * 2023-03-06 2024-01-31 (주) 세대공감 엠씨엔 Drone platform for shoot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중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5168888호 (발명의 명칭: Coaxial double -oar unmanned aerial vehicle, 공고일: 2016. 04. 20)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514B1 (en) * 2023-03-06 2024-01-31 (주) 세대공감 엠씨엔 Drone platform for shooting
CN116374230A (en) * 2023-06-06 2023-07-04 四川高速公路建设开发集团有限公司 High-speed pavem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CN116374230B (en) * 2023-06-06 2023-08-25 四川高速公路建设开发集团有限公司 High-speed pavem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1009B1 (en) Operating multirotor aircraft with enhanced yaw control
KR20220063070A (en) Propeller Assembly for Drone
US20070221779A1 (en) Aircraft Produced by Fixing Rapid Airflow Generation Wind Direction Changing Device Directly and Firmly to Side Surface or Wall Thereof
CN107856840B (en) Aircraft with high takeoff and landing stability
CN207403934U (en) Multi-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CN209889097U (en) 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undercarriage and 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80099522A (en) A thrust producing unit with at least two rotor assemblies and a shrouding
JP6371091B2 (en) Fixed-pitch coaxial double inversion helicopter
CN105164015A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erial vehicle
JPWO2016136848A1 (en) Multicopter
JP2014240242A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flight vehicle
KR20170018671A (en) Hybrid system of drone
CN104669964A (en) Water-land-air triphibious unmanned investigation device
CN204506376U (en) Dwelling in a kind of land, water and air three, nobody investigates device
CN102673780A (en) Double-configuration aircraft
CN107176298B (en) Aircraft flight control method and aircraft
CN105711837B (en) A kind of double duct unmanned vehicles
KR20200052674A (en) Drone having Safety Guard with Landing Function
CN211519870U (en) Flying robot with landing damping function and protection device thereof
WO2017107751A1 (en) Drone
CN206719539U (en) Single rotor wing unmanned aerial vehicle
CN106516105A (en) Aircraft propeller surface regulating mechanism
CN209870731U (en) Unmanned plane
KR20220072982A (en) Hybrid drone capable of flying in the air and driving on the ground
KR101778618B1 (en) Transformable multi-co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