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979A -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979A
KR20220062979A KR1020200148789A KR20200148789A KR20220062979A KR 20220062979 A KR20220062979 A KR 20220062979A KR 1020200148789 A KR1020200148789 A KR 1020200148789A KR 20200148789 A KR20200148789 A KR 20200148789A KR 20220062979 A KR20220062979 A KR 20220062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erial
filter plate
foreign
section
intak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925B1 (ko
Inventor
이상섭
문호림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8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9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62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8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translato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E02B9/04Free-flow canals or flumes; Int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은, 냉각수가 유입되는 취수구, 상기 취수구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폐루프를 순환 이동하며 일면으로 상기 냉각수 내의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를 걸러내는 필터 플레이트, 상기 필터 플레이트를 순환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필터 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진 상기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System for Removing Extraneous Matters in Intake}
본 발명은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의 경우, 가동을 위해 각종 계통에 냉각수의 공급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의 냉각수는 해수가 이용되며, 해수의 용이한 취득을 위해 발전소는 해안으로부터 인접한 곳에 설치된다. 그리고 발전소로 유입되는 냉각수는 발전소에 설치된 취수구를 통해 유입된다.
그런데, 취수구를 통하여 대량의 냉각수를 유입하는 경우, 냉각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함께 유입될 수 있다. 특히, 해수를 냉각수로 사용하는 경우, 해수에 포함된 해양 생물이나 해초류 또는 해조류 등의 이물질이 함께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발전 시설의 정지 또는 각종 고장을 유발할 수 있어 냉각수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링 작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취수구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은, 냉각수가 유입되는 취수구, 상기 취수구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폐루프를 순환 이동하며 일면으로 상기 냉각수 내의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를 걸러내는 필터 플레이트, 상기 필터 플레이트를 순환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필터 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진 상기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로를 포함한다.
상기 폐루프는, 상기 냉각수에 입수되며 상기 필터 플레이트가 일방향으로 진행하여 상기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 구간, 상기 제1 구간과 연결되며 상기 필터 플레이트에 의해 걸러진 상기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배출로의 상측 방향으로 수송하는 제2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과 연결되며 상기 필터 플레이트의 일면의 법선이 중력 방향 성분을 포함하도록 상기 필터 플레이트가 회전되어 이동되는 제3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 배출로는, 상기 제3 구간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 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진 상기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필터 플레이트가 연결되어 상기 폐루프를 순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플레이트는, 상기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를 걸러내도록, 상기 필터 플레이트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형성하도록 상기 필터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플레이트는, 상기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를 걸러내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을 둘러싸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후크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플레이터에 의해 걸러진 상기 이물질을 상기 필터 플레이터로부터 떨어뜨리도록, 상기 제3 구간에 위치한 상기 필터 플레이트를 향해 이물질 분리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플레이트는, 상기 냉각수 내의 상기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를 걸러내며 상기 이물질 분리수가 통과되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플레이트의 이면을 향해 분사된 상기 이물질 분리수는, 상기 스크린을 통과하여 상기 스크린에 걸러진 상기 이물질을 상기 스크린에서 떨어뜨린 후 상기 이물질과 함께 상기 이물질 배출로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의 분사각 및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배출로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이물질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분사 노즐의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배출로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이물질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가 상기 필터 플레이트를 순환 이동 시키는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배출로로부터 배출된 상기 이물질이 수용되는 이물질 피트 및 상기 이물질 피트에 축적되는 상기 이물질의 축적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이물질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배출량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취수구에 유입되는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이 설치된 발전소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발전소의 취수구에 복수의 필터 디바이스가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취수구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 내의 이물질을 필터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걸러내는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플레이트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로로부터 배출된 이물질이 이물질 피트에 수용되는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언급하는 '냉각수'는 발전소의 가동 중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기 위한 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는 바다로부터 취수한 해수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냉각수는 호수, 강 등의 취수원으로부터 취수한 육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이 설치된 발전소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발전소의 취수구에 복수의 필터 디바이스가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취수구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 내의 이물질을 필터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걸러내는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은 취수구(100), 필터 디바이스(200) 및 이물질 배출로(300)를 포함한다.
취수구(100)는 바다(S), 호수 또는 강 등의 취수원으로부터 냉각수(W)를 취수하기 위한 시설일 수 있다. 또는, 취수구(100)는 취수원으로부터 냉각수(W)를 유입하는 수로 또는 수로의 입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수원은 바다(S)이고 냉각수(W)는 해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바다(S)로부터 취수구(100)로 해수가 유입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취수구(100)를 통해 냉각수(W)가 취수되는 과정에서, 냉각수(W)와 함께 냉각수(W) 내에 포함된 이물질(E)이 유입될 수 있다.
이물질(E)은 취수구(100)를 통해 냉각수(W)와 함께 유입된 의도하지 않은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E)은 해수와 함께 유입된 해파리, 새우, 조개 등의 바다 생물이거나, 해초류 및/또는 해조류일 수 있다. 또한, 이물질(E)은 해수에 포함된 쓰레기 등일 수 있다.
필터 디바이스(200)는 취수구(100)에 배치되어, 취수구(100)로 유입되는 냉각수(W)에 포함된 이물질(E)의 적어도 일부를 걸러내는 장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디바이스(200)는 취수구(100) 내에 복수 개가 병렬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필터 디바이스(200)는 냉각수(W)의 유입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병렬 배치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디바이스(200)는 하우징(210), 필터 플레이트(240), 구동부(220, 도 7 참조), 및 분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취수구(100)와 연결되고 필터 디바이스(200)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필터 플레이트(240)는 하우징(210) 내에서 폐루프를 순환하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또한, 필터 플레이트(240)는 폐루프를 순환 이동하며 일면으로 냉각수(W) 내의 이물질(E) 중 적어도 일부를 걸러내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폐루프는 제1 구간(L1), 제2 구간(L2, L3) 및 제3 구간(L4, L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간(L1)은, 필터 플레이트(240)가 취수구(100)로 유입된 냉각수(W)에 입수되며 일 방향으로 진행하여 이물질(E)을 걸러내는 구간이다.
제2 구간(L2, L3)은, 제1 구간(L1)과 연결되며 제1 구간(L1)을 지난 필터 플레이트(240)를 상승시켜, 필터 플레이트(24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E)을 이물질 배출로(300)의 상측 방향으로 수송하는 구간이다.
예를 들어, 제2 구간(L2, L3)은 수직 구간(L2)과 수평 구간(L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구간(L2)은 제1 구간(L1)과 연결되어 제1 구간(L1)에서 걸러진 이물질(E)을 이물질 배출로(300)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까지 이송시키는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수평 구간(L3)은 수직 구간(L2)과 연결되고 이물질(E)을 이물질 배출로(300)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구간일 수 있다.
제3 구간(L4, L5)은, 제2 구간(L2, L3)과 연결되며 필터 플레이트(240)의 일면의 법선이 중력 방향 성분을 포함하도록 필터 플레이트(240)가 회전되어 이동되는 구간이다.
예를 들어, 제3 구간(L4, L5)은 경사 구간(L4) 및 하강 구간(L5)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 구간(L4)은 제2 구간(L2, L3)의 수평 구간(L3)과 연결되며 역경사를 형성한 구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플레이트(240)는 제2 구간(L2, L3)의 수평 구간(L3)을 지나며 회전되어 수평 구간(L3)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구간(L4)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경사 구간(L4)에서 이물질(E)을 걸러낸 필터 플레이트(240)의 일면은 폐루프의 외부 방향으로 배치되고, 필터 플레이트(240)의 이면은 폐루프의 내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필터 플레이트(24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E)은 경사 구간(L4)을 지나며 필터 플레이트(240)와 분리되어 이물질 배출로(300)로 떨어진다.
하강 구간(L5)은 일단이 경사 구간(L4)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1 구간(L1)과 연결된 구간일 수 있다. 경사 구간(L4)을 지나며 이물질(300)을 배출한 필터 플레이트(240)는 하강 구간(L5)을 지나며 다시 냉각수(W)로 입수되어 제1 구간(L1)을 이동하며 이물질(E)을 걸러내게 된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필터 플레이트(240)는 시계 방향을 따라 폐루프를 순환 이동하게 된다.
도 4는 필터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며, 도 5는 필터 플레이트의 우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플레이트(240)는 프레임(244), 후크(246) 및 스크린(24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44)은 필터 플레이트(240)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뼈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44)은 스크린(242)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44)은 직방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244)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244)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후크(246)는 필터 플레이트(240)가 제1 구간을 진행할 때, 냉각수(W) 내의 이물질(E)의 적어도 일부를 걸러내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246)는 폐루프 상에서 필터 플레이트(24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형성하도록 필터 플레이트(24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후크(246)는 프레임(244)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44)의 일면을 따라 복수의 후크(246)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246)가 필터 플레이트(24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형성하므로, 필터 플레이트(240)가 제1 구간을 순환 이동할 때 일부 이물질(E)은 후크(246)와 프레임(244) 사이에 걸러질 수 있다.
또한 후크(246)가 필터 플레이트(24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형성하므로, 필터 플레이트(240)가 제1 구간을 순환 이동할 때, 일부 이물질(E)은 후크(246)의 선단에 걸려 필터 플레이트(24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필터 플레이트(240)가 수직 구간을 이동하며 이물질(E)을 들어 올릴 때, 이물질(E)이 후크(246)의 선단에 걸리거나 후크(246)와 프레임(244)사이에 끼어져 이동되므로 중력에 의해 다시 냉각수(W)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후크(246)가 필터 플레이트(240)의 진행 방향에 대해 형성하는 각도는, 제3 구간이 형성하는 경사각 및 중력 방향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246)의 각도는 경사 구간의 경사각 및 중력 방향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구간과 수평 구간 사이의 사잇각과 후크(246)가 필터 플레이트(240)의 진행 방향에 대해 형성하는 각도의 합이 90도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3 구간에서 후크(246)의 방향이 중력 방향과 평행하도록, 후크(246)와 필터 플레이트(240) 일면 사이의 사잇각을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242)은 프레임(244)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되어, 필터 플레이트(240)가 제1 구간을 진행할 때, 냉각수(W) 내의 이물질(E)의 적어도 일부를 걸러내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플레이트(240)가 제1 구간을 진행할 때, 스크린(242)은 냉각수(W)는 통과시키고 이물질(E)의 일부는 걸러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242)은 메시(mesh)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린(242)의 메시 간격은 이물질(E)의 크기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필터 플레이트(240)는 복수 개가 연결되어 폐루프를 순환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루프를 순환 이동하는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240)는 일정 구간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체인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240)는 하나의 캐터필러(caterpillar) 또는 컨베이어(conveyor)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220)는 필터 플레이트(240)를 순환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다.
구체적으로 구동부(220)는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미도시)와 동력을 전달받아 필터 플레이트(240)를 순환 이동시키는 구동휠(222, 224, 226, 228, 229)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구동휠(222, 224, 226, 228, 229)은 제1 구동휠(222), 제2 구동휠(224), 제3 구동휠(226), 제4 구동휠(228) 및 제5 구동휠(22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휠(222)은 제1 구간(L1)의 일단측에 위치하여, 하강 구간(L5)을 지나 수직 이동하는 필터 플레이트(240)를 수평 이동하도록 필터 플레이트(240)의 진행 방향을 전환시킨다.
제2 구동휠(224)은 제1 구간(L1)의 타단측에 위치하여 수평 이동하는 필터 플레이트(240)를 수직 이동하도록 필터 플레이트(240)의 진행 방향을 전환시킨다.
제3 구동휠(226)은 수평 구간(L3)의 타단측에 위치하여 수직 이동하는 필터 플레이트(240)를 수평 이동하도록 필터 플레이트(240)의 진행 방향을 전환시킨다.
제4 구동휠(228)은 수평 구간(L3)의 일단측에 위치하여 수평 이동하는 필터 플레이트(240)를 경사 구간의 역경사를 따라 이동하도록 필터 플레이트(240)의 진행 방향을 전환시킨다.
제5 구동휠(229)은 경사 구간과 하강 구간 사이에 위치하여 역경사를 따라 이동하는 필터 플레이트(240)를 수직 이동하도록 필터 플레이트(240)의 진행 방향을 전환시킨다.
제1 내지 제4 구동휠(222, 224, 226, 228)과 달리 제5 구동휠(229)은 폐루프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5 구동휠(229)은 프레임(244)의 일단측 및/또는 타단측과 접촉되고, 후크(246)와는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된 풀리 또는 휠일 수 있다.
분사부(230)는 필터 플레이트(24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E)을 필터 플레이트로부터 떨어뜨리는 구성요소다.
구체적으로 분사부(230)는 분사 노즐(232), 펌프(234) 및 분사각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 노즐(232)은 필터 플레이트(24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E)을 필터 플레이트(240)로부터 떨어뜨리도록 제3 구간(L4, L5)에 위치한 필터 플레이트(240)를 향해 이물질 분리수를 분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사 노즐(232)은 경사 구간(L4)에 위치한 필터 플레이트(240)의 이면을 향해 이물질 분리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242)은 냉각수(W)가 통과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므로, 이물질 분리수는 스크린(242)을 통과하여 스크린(242)에 걸러진 이물질(E)을 스크린(242)으로부터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필터 플레이트(240)의 이면을 향해 분사된 이물질 분리수는 이물질(E)과 함께 이물질 배출로(300)로 떨어져 함께 배출될 수 있다.
펌프(234)는 분사 노즐(232)과 연결되어, 분사 노즐(232)로 이물질 분리수를 공급하는 구성요소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234)는 취수구(100)로 유입된 냉각수(W)를 분사 노즐(232)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냉각수(W)로 해수를 취수하는 경우, 이물질 분리수는 유입된 해수를 이용하여 구비될 수 있다.
분사각 조절부(미도시)는 분사 노즐(232)의 헤드 방향을 회전하여 이물질 분리수의 분사각을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분사각 조절부는 후술하는 제어부(500, 도 7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분사각 조절부는 제어부(5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분사 노즐(232)의 헤드 방향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분사각 조절부는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길이가 신축되는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길이 신장에 따라 분사 노즐(232)의 헤드 방향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분사각 조절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분사 노즐(232)의 헤드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물질 배출로(300)는 필터 플레이트(240)로부터 떨어진 이물질(E)이 배출되는 배출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물질 배출로(300)는 필터 플레이트(240)로부터 떨어진 이물질(E)을 배출하도록 폐루프의 제3 구간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배출로(300)의 폭은 제3 구간의 길이를 고려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이물질 배출로(300)의 폭은 제3 구간의 길이에 상응하도록 구비되어 필터 플레이트(240)와 떨어진 이물질(E)이 이물질 배출로(300)로 낙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물질 배출로(300)는 병렬 배치된 복수의 필터 디바이스(200) 각각의 제3 구간 하측을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물질 배출로(300)는 복수의 필터 디바이스(200)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E)을 수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복수의 필터 디바이스(200)는 각각에 대응되는 이물질 배출로(300)가 있을 수 있다.
도 6은 이물질 배출로로부터 배출된 이물질이 이물질 피트에 수용되는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은 이물질 피트(400), 제어부(500) 및 배출량 정보 획득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피트(400)는 이물질 배출로(300)로부터 배출된 이물질(E)이 수용되는 피트(pit)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물질 피트(400)는 이물질 수용부(410) 및 냉각수 배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수용부(410)는 배출된 이물질(E)이 수용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 수용부(410)의 바닥은 냉각수(W)는 배출되고,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E)은 배출되지 않는 배수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공은 이물질 수용부(410)의 바닥에 균일하게 타공되어, 이물질 수용부(410)에 수용된 냉각수(W)가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물질 수용부(410)의 바닥은 메시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경우, 메시 구조물의 틈으로 냉각수(W)는 배출되고,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E)은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냉각수 배출부(420)는 이물질 수용부(410)에서 배출된 냉각수(W)를 배출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배출부(420)는 배출된 냉각수(W)가 발전소(P) 외부로 배수되도록, 외부와 연결된 배수로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냉각수 배출부(420)는 배출된 냉각수(W)를 다시 취수구(100)로 유입된 냉각수(W)와 혼합시키거나, 발전소(P) 내부의 필요한 시설로 이동시키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분사부(230) 및/또는 구동부(22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배출량 정보 획득부(600)로부터 이물질 배출로(300)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E)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이물질(E)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여, 이물질(E)이 이물질 배출로(300)로 배출되는 단위 시간당 배출량이 증가한 경우, 필터 플레이트(240)에 걸러진 이물질(E)이 많은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500)는 다량의 이물질(E)이 필터 플레이트(240)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분사 노즐(232)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 분리수의 수압이 증가되도록, 분사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분사 노즐(232)의 분사량이 증가되는 경우, 이물질 배출로(300)에 흐르는 이물질 분리수의 유량이 증가되어 보다 빠르게 이물질(E)을 이물질 피트(400)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이물질(E)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여, 이물질(E)이 이물질 배출로(300)로 배출되는 단위 시간당 배출량이 증가한 경우, 유입된 냉각수(W)에 이물질(E)이 많이 포함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500)는, 필터 디바이스(200)가 폐루프를 순환하며 이물질(E)을 필터링하는 속도가 증가되도록 구동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이물질(E)의 단위 시단당 배출량이 소정 수치 이상(또는 초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물질(E)의 단위 시단당 배출량이 소정 수치 이상(또는 초과)인 경우, 펌프(234)가 분사 노즐(232)로 공급하는 이물질 분리수의 양을 증가시켜, 분사 노즐(232)로부터 분사되는 이물질 분리수의 분사량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이물질(E)의 단위 시단당 배출량이 소정 수치 이하(또는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물질(E)의 단위 시단당 배출량이 소정 수치 이하(또는 미만)인 경우, 펌프(234)가 분사 노즐(232)로 공급하는 이물질 분리수의 양을 감소시켜, 분사 노즐(232)로부터 분사되는 이물질 분리수의 분사량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이물질(E)의 단위 시단당 배출량이 소정 수치 이상(또는 초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터 플레이트(240)의 순환 이동 속도가 가속되도록 구동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휠(222, 224, 226, 228, 229)과 연결된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휠(222, 224, 226, 228, 229)의 회전속도를 가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이물질(E)의 단위 시단당 배출량이 소정 수치 이하(또는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물질(E)의 단위 시단당 배출량이 소정 수치 이하(또는 미만)인 경우, 필터 플레이트(240)의 순환 이동 속도가 감속되도록 구동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휠(222, 224, 226, 228, 229)과 연결된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휠(222, 224, 226, 228, 229)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이물질(E)의 단위 시단당 배출량의 소정 수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분사 노즐(232)의 분사량과 분사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246)에 걸린 일부 이물질(E)이 경사 구간(L4)에서 중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제어부(500)를 통해 분사각 조절부를 제어하여 분사 노즐(232)의 분사각을 후크(246)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스크린(242)에 걸린 일부 이물질(E)이 경사 구간(L4)에서 중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제어부(500)를 통해 분사각 조절부를 제어하여 분사 노즐(232)의 분사각을 분사각을 스크린(242)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일부 이물질(E)이 경사 구간(L4)에서 필터 플레이트(240)와 분리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제어부(500)를 통해 펌프(234)를 제어하여 이물질 분리수의 분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물질 분리수가 분사되는 분사 노즐(232)의 분사 직경은 변하지 않는데 반해, 분사 노즐(232)로부터 분사되는 단위 시간당 이물질 분리수 분사량은 증가되므로, 분사 노즐(232)로부터 분사되는 이물질 분리수의 수압이 증가된다.
도시 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은 복수의 분사 노즐(2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500)는, 복수의 분사 노즐(232) 각각의 분사각 및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부(500)를 이용해 복수의 분사 노즐을 제어하여, 일부는 스크린(242)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E)을 분리시키도록 분사각을 설정하고, 다른 일부는 후크(246)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E)을 분리시키도록 분사각을 설정할 수 있다.
배출량 정보 획득부(600)는 이물질 배출로(300)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E)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량 정보 획득부(600)는 센서 및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이물질 피트(400)에 축적되는 이물질의 축적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비된 센서일 수 있다. 센서는 획득한 이물질의 축적량에 대한 정보를 연산부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산부는 센서로부터 이물질의 축적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이물질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에 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연산부는 산출한 이물질(E)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5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이물질(E)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구동부(220) 및/또는 분사부(230)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는 적외선 센서로 구비되어, 이물질 수용부(410)에 수용된 이물질들의 높이를 측정하여 이물질의 축적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는 일정 주기마다 이물질들의 높이를 측정하고, 연산부는 일정 주기마다 센서로부터 이물질들의 높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연산부는 수신된 이물질들의 높이 정보와 이전에 수신된 이물질들의 높이 정보를 기반으로 이물질 수용부(410)에 수용된 이물질들의 단위 시간당 높이 변화량을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부는 일정 주기마다 수신된 두 높이 정보의 차이를 연산하여 이물질 수용부(410)에 수용된 이물질들의 단위 시간당 높이 변화량을 연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산부는 이물질 수용부(410)의 단위 시간당 높이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이물질(E)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에 관한 정보로 하여 제어부(5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센서는 로드 센서로 구비되어, 이물질 수용부(410)의 무게를 측정하여 이물질의 축적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는 일정 주기마다 이물질 수용부(410)의 무게를 측정하고, 연산부는 일정 주기마다 센서로부터 이물질 수용부(410)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연산부는 수신된 이물질 수용부(410)의 무게 정보와 이전에 수신된 이물질 수용부(410)의 무게 정보를 기반으로 이물질 수용부(410)에 수용된 이물질들의 단위 시간당 무게 변화량을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부는 일정 주기마다 수신된 두 무게 정보의 차이를 연산하여 이물질 수용부(410)에 수용된 이물질들의 단위 시간당 무게 변화량을 연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산부는 이물질 수용부(410)의 단위 시간당 무게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이물질(E)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에 관한 정보로 하여 제어부(5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또는 유사하게 이물질(E)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제어부(500)는 이에 기초하여 구동부(220) 및/또는 분사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의 측정 주기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의 구성들을 기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취수구(100)를 통해 냉각수(W)와 함께 유입된 이물질(E) 중 일부는 제1 구간을 순환 이동하는 필터 플레이트(240)의 스크린(242) 및/또는 후크(246)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필터 플레이트(240)에 걸러진 이물질(E)은 필터 플레이트(240)와 함께 제2 구간을 지나, 제3 구간(L4, L5)의 경사 구간(L4)으로 이동되며 중력에 의해 및/또는 분사 노즐(232)로부터 분사된 이물질 분리수에 의해 필터 플레이트(240)로부터 분리되어 이물질 배출로(300)로 떨어지게 된다.
이물질 배출로(300)로 떨어진 이물질(E)은 이물질 분리수와 함께 이물질 배출로(300)를 따라 흘러 이물질 수용부(410)로 배출된다. 이물질 분리수는 이물질 수용부(410)의 바닥에 균일하게 형성된 배수공 등에 의해 배수되어 냉각수 배출부(420)를 통해 배출되고, 이물질(E)은 이물질 수용부에 수용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취수구 200: 필터 디바이스
210: 하우징 220: 구동부
222, 224, 226, 228, 229: 구동휠
230: 분사부 232: 분사 노즐
234: 펌프 240: 필터 플레이트
242: 스크린 244: 프레임
246: 후크 300: 이물질 배출로
400: 이물질 피트 410: 이물질 수용부
420: 냉각수 배출부 500: 제어부
600: 배출량 정보 획득부 E: 이물질
L1: 제1 구간 L2: 수직 구간
L3: 수평 구간 L4: 경사 구간
L5: 하강 구간 S: 바다
P: 발전소 W: 냉각수

Claims (10)

  1. 냉각수가 유입되는 취수구;
    상기 취수구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폐루프를 순환 이동하며 일면으로 상기 냉각수 내의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를 걸러내는 필터 플레이트;
    상기 필터 플레이트를 순환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필터 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진 상기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로;를 포함하고,
    상기 폐루프는, 상기 냉각수에 입수되며 상기 필터 플레이트가 일방향으로 진행하여 상기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 구간, 상기 제1 구간과 연결되며 상기 필터 플레이트에 의해 걸러진 상기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배출로의 상측 방향으로 수송하는 제2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과 연결되며 상기 필터 플레이트의 일면의 법선이 중력 방향 성분을 포함하도록 상기 필터 플레이트가 회전되어 이동되는 제3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배출로는, 상기 제3 구간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 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진 상기 이물질을 배출하는,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필터 플레이트가 연결되어 상기 폐루프를 순환 이동하는,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플레이트는,
    상기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를 걸러내도록, 상기 필터 플레이트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형성하도록 상기 필터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는,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플레이트는, 상기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를 걸러내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을 둘러싸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후크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플레이터에 의해 걸러진 상기 이물질을 상기 필터 플레이터로부터 떨어뜨리도록, 상기 제3 구간에 위치한 상기 필터 플레이트를 향해 이물질 분리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더 포함하는,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플레이트는, 상기 냉각수 내의 상기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를 걸러내며 상기 이물질 분리수가 통과되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플레이트의 이면을 향해 분사된 상기 이물질 분리수는, 상기 스크린을 통과하여 상기 스크린에 걸러진 상기 이물질을 상기 스크린에서 떨어뜨린 후 상기 이물질과 함께 상기 이물질 배출로로 배출되는,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의 분사각 및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로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이물질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분사 노즐의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로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이물질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가 상기 필터 플레이트를 순환 이동 시키는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로로부터 배출된 상기 이물질이 수용되는 이물질 피트; 및
    상기 이물질 피트에 축적되는 상기 이물질의 축적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이물질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배출량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KR1020200148789A 2020-11-09 2020-11-09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KR102545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789A KR102545925B1 (ko) 2020-11-09 2020-11-09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789A KR102545925B1 (ko) 2020-11-09 2020-11-09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979A true KR20220062979A (ko) 2022-05-17
KR102545925B1 KR102545925B1 (ko) 2023-06-20

Family

ID=81803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789A KR102545925B1 (ko) 2020-11-09 2020-11-09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9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9642A (ja) * 1999-08-09 2001-02-20 Nitto Kasen Kogyo Kk 河川水の除塵装置
KR101016006B1 (ko) * 2010-04-16 2011-02-23 김동희 해파리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850137B1 (ko) * 2017-09-27 2018-04-19 주식회사 바우텍 지능형 스마트 제어 평면 스크린
KR102052320B1 (ko) * 2019-06-27 2019-12-05 한국환경공단 협잡물 제거기능이 향상된 제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9642A (ja) * 1999-08-09 2001-02-20 Nitto Kasen Kogyo Kk 河川水の除塵装置
KR101016006B1 (ko) * 2010-04-16 2011-02-23 김동희 해파리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850137B1 (ko) * 2017-09-27 2018-04-19 주식회사 바우텍 지능형 스마트 제어 평면 스크린
KR102052320B1 (ko) * 2019-06-27 2019-12-05 한국환경공단 협잡물 제거기능이 향상된 제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925B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0842B2 (ja) 揚砂装置
WO2010131564A1 (ja) 浄化装置を備えた塗装ブース
KR20220062979A (ko)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CN108576864B (zh) 一种自动杨梅清洗机
JP2001129313A (ja) 揚砂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3689162B2 (ja) 汚水池における揚砂装置
CN114592474B (zh) 一种多泥沙河流码头防淤方法及多泥沙河流码头
CN116099283A (zh) 一种节水灌溉系统的小型高效泥沙沉淀设备
KR101056817B1 (ko) 해파리 및 부유물 제거용 트랙 제진기
WO2005066420A1 (en) System and method to prevent the impingement of marine organisms at the intake of power plants
JP2000005510A (ja) 沈砂池設備及び沈砂池設備における集砂方法
JPH07207644A (ja) 取水スクリーン前面の浮遊ゴミ排除方法および排除装置
JP5155433B2 (ja) 揚砂方法
JP5859541B2 (ja) クラゲの洋上処理システム
KR20110048242A (ko) 부유식 고속스크린 장치
JP2001262541A (ja) 塵芥除去設備
KR101690731B1 (ko) 발전소 취수구 수로 차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차단 방법
US3244280A (en) Aerated grit chamber
JPH07102285B2 (ja) ジェット式除砂装置
KR101820061B1 (ko) 취수로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JP5424153B2 (ja) 取水口におけるゴミ取り装置
CN109380748A (zh) 一种速冻豆类生产线
CN220143802U (zh) 一种喷漆机漆雾收集处理水箱
CN217375749U (zh) 苯乙烯储罐的冷却水循环系统
JP4550122B2 (ja) 補給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