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649A - 커넥터, 커넥터 모듈,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커넥터 모듈,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649A
KR20220062649A KR1020227013163A KR20227013163A KR20220062649A KR 20220062649 A KR20220062649 A KR 20220062649A KR 1020227013163 A KR1020227013163 A KR 1020227013163A KR 20227013163 A KR20227013163 A KR 20227013163A KR 20220062649 A KR20220062649 A KR 20220062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shielding member
shielding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3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타로 호리노
마사요시 카키노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62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7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contact of the connector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커넥터(50)는 회로기판(CB2)에 실장되고, 제 1 차폐 부재(40)를 갖는 접속 대상 커넥터(10)와 접속되는 커넥터(50)로서, 인슐레이터(60)와, 인슐레이터(60)에 부착되어 있는 콘택트(70a)와, 콘택트(70a)와 동일측에서 인슐레이터(60)에 부착되어 있는 제 2 차폐 부재(80)를 구비하고, 제 2 차폐 부재(80)는 접속 대상 커넥터(10)와 커넥터(50)가 접속하는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콘택트(70a)와 인접하는 기부(81b)와, 기부(81b)에 있어서 콘택트(70a)와 제 1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회로기판(CB2)에 실장되는 실장부(86b)와, 접속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측을 향해서 실장부(86b)로부터 연장되고, 제 1 차폐 부재(40)와 접촉하는 접촉부(85b)를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 커넥터 모듈, 및 전자기기
본 출원은 2019년 12월 25일에 일본국에 특허출원된 특원 2019-23516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를 위해서 도입한다.
본 개시는 커넥터, 커넥터 모듈,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에서는 통신 속도의 고속화 및 정보량의 증가가 현저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의 통신방식에서는 주파수대역이 높아 양호한 전송특성을 얻기 위해서, 노이즈 차폐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한 차폐 구조, 및 고주파 신호에 대한 크로스 토크 및 임피던스 매칭 등을 적절하게 고려한 설계가 커넥터에 대해서도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는 콘택트 부재의 외방위치에 실드 쉘을 배치한 구조에 있어서, 커넥터 폭방향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커넥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9-087382호 공보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제 1 차폐 부재를 갖는 접속 대상 커넥터와 접속되는 커넥터로서,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와 동일측에서 상기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는 제 2 차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차폐 부재는,
상기 접속 대상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가 접속하는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와 인접하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와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와,
상기 접속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측을 향해서 상기 실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차폐 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모듈은,
상기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와 접속되고, 상기 제 1 차폐 부재를 갖는 상기 접속 대상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대상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가 접속하는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1 차폐 부재와 접촉하고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는,
상기 커넥터 또는 상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다.
도 1은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 1 커넥터 단체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 1 커넥터 단체를 하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인슐레이터만을 비표시로 한 상태로 도 3의 제 1 커넥터를 상면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한쌍의 제 1 차폐 부재만을 상면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한쌍의 제 1 콘택트만을 상면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제 2 커넥터 단체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제 2 커넥터 단체를 하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제 2 커넥터의 상면시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2 인슐레이터만을 비표시로 한 상태로 도 8의 제 2 커넥터를 상면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 2 차폐 부재만을 상면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한쌍의 제 2 콘택트만을 상면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1 인슐레이터 및 제 2 인슐레이터만을 비표시로 한 상태로 도 1의 커넥터를 상면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 1 인슐레이터 및 제 2 인슐레이터만을 비표시로 한 상태로, 도 1의 커넥터의 변형예를 상면시로 나타낸 도 14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XVII-XVI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장치는 노이즈 차폐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한 차폐 구조를 갖지만, 고주파 신호에 대한 양호한 전송특성을 얻기 위한 커넥터 설계가 충분하지는 않았다.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커넥터 모듈, 및 전자기기에 의하면, 고주파 신호에 대한 양호한 전송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각 화살표의 방향은 도 1, 도 2, 및 도 8 내지 도 17에 있어서, 다른 도면끼리 서로 정합되어 있다. 각 화살표의 방향은 도 3 내지 도 7에 있어서, 다른 도면끼리 서로 정합되어 있다. 도면에 따라서는 간편한 도시를 목적으로 해서 후술하는 회로기판(CB1 및 CB2)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50)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50)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는 서로 접속 가능한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를 갖는다. 제 1 커넥터(10)는 제 1 인슐레이터(20)와, 후술하는 제 1 접촉부(34a)를 갖고, 제 1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되어 있는 제 1 콘택트(30a)를 갖는다. 제 1 커넥터(10)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되어 있는 신호 콘택트(30b) 및 제 1 차폐 부재(40)를 갖는다.
제 2 커넥터(50)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해서 감합 가능한 제 2 인슐레이터(60)를 갖는다. 제 2 커넥터(50)는 제 1 인슐레이터(20)와 제 2 인슐레이터(60)가 감합하는 감합 상태로 제 1 접촉부(34a)와 접촉하는 후술의 제 2 접촉부(74a)를 갖고, 제 2 인슐레이터(60)에 부착되어 있는 제 2 콘택트(70a)를 갖는다. 제 2 커넥터(50)는 제 2 인슐레이터(60)에 부착되어 있는 신호 콘택트(70b) 및 제 2 차폐 부재(80)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커넥터(1)가 갖는 차폐 부재는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60)에 부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폐 부재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되어 있는 제 1 차폐 부재(40)와, 제 2 인슐레이터(60)에 부착되어 있는 제 2 차폐 부재(80)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면 일실시형태에 따른 제 2 커넥터(50)는 리셉터클 커넥터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제 1 커넥터(10)는 플러그 커넥터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제 1 인슐레이터(20)와 제 2 인슐레이터(60)가 서로 감합하는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제 2 콘택트(70a) 및 신호 콘택트(70b)가 탄성 변형하는 제 2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설명한다. 제 1 콘택트(30a) 및 신호 콘택트(30b)가 탄성 변형하지 않는 제 1 커넥터(10)를 플러그 커넥터로서 설명한다.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의 종류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 커넥터(50)가 플러그 커넥터의 역할을 하고, 제 1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역할을 해도 좋다.
이하에서는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는 회로기판(CB1 및 CB2)에 각각 실장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는 서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로, 회로기판(CB1)과 회로기판(CB2)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회로기판(CB1 및 CB2)은 리지드 기판이어도 좋고, 또는 그 이외의 임의의 회로기판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회로기판(CB1 및 CB2) 중 적어도 한쪽은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기판이어도 좋다.
이하에서는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는 회로기판(CB1 및 CB2)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서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는 일례로서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접속된다. 접속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는 회로기판(CB1 및 CB2)에 대해서 평행 방향으로 서로 접속되어도 좋다.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는 실장되어 있는 회로기판에 대해서 한쪽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또한 실장되어 있는 회로기판에 대해서 다른쪽이 평행 방향이 되도록 서로 접속되어도 좋다.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접속 방향」은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례로서 상하 방향에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은 일례로서 좌우 방향에 대응한다.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은 일례로서 좌우 방향에 대응한다. 「제 1 방향 및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은 일례로서 전후 방향에 대응한다. 「커넥터(1)의 폭 방향」은 일례로서 전후 방향에 대응한다. 「접속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측」은 일례로서 상측에 대응한다. 「회로기판측」은 일례로서 하측에 대응한다.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는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50)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로, 서로 접촉하고 있는 2쌍의 제 1 콘택트(30a) 및 제 2 콘택트(70a)를 갖는다. 커넥터(1)는 제 1 인슐레이터(20)와 제 2 인슐레이터(60)가 감합하는 감합 상태로 서로 접촉하고 있는 한쌍의 제 1 콘택트(30a) 및 제 2 콘택트(70a)를 차폐하는 차폐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도 1의 제 1 커넥터(10) 단체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 1 커넥터(10) 단체를 하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제 1 커넥터(10)는 일례로서, 제 1 콘택트(30a), 신호 콘택트(30b), 및 제 1 차폐 부재(40)와, 제 1 인슐레이터(20)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됨으로써 얻어진다.
제 1 커넥터(10)를 구성하는 제 1 인슐레이터(20)는 절연성 또한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좌우 방향으로 판형상으로 연장된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하부를 구성하는 저판부(21)와, 저판부(21)의 상면의 둘레 가장자리부 전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환상의 외주벽(22)을 갖는다. 외주벽(2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폭벽(22a)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길이벽(22b)을 포함한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저판부(21)와 외주벽(22)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공간에 의해 구성되는 감합 오목부(23)를 갖는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외주벽(22)의 폭벽(22a)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외면으로부터 폭벽(22a)의 내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제 1 콘택트 유지홈(24a)을 갖는다. 제 1 콘택트 유지홈(24a)은 제 1 콘택트(30a)를 일체적으로 유지한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외주벽(22)의 길이벽(22b)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외면 및 내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신호 콘택트 유지홈(24b)을 갖는다. 신호 콘택트 유지홈(24b)은 신호 콘택트(30b)를 일체적으로 유지한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외주벽(22)의 폭벽(22a)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외면 및 내면, 및 전후 방향의 외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제 1 차폐 부재 유지홈(25)을 갖는다. 제 1 차폐 부재 유지홈(25)은 제 1 차폐 부재(40)를 일체적으로 유지한다.
도 5는 제 1 인슐레이터(20)만을 비표시로 한 상태로 도 3의 제 1 커넥터(10)를 상면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한쌍의 제 1 차폐 부재(40)만을 상면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한쌍의 제 1 콘택트(30a)만을 상면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주로 참조하면서, 제 1 콘택트(30a), 신호 콘택트(30b), 및 제 1 차폐 부재(4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콘택트(30a)는 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또는 티타늄 구리를 포함하는 동합금 또는 콜슨계 동합금의 박판을 순송 금형(스태핑)을 이용하여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제 1 콘택트(30a)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한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제 1 콘택트(30a)는 L자형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실장부(31a)를 갖는다. 제 1 콘택트(30a)는 실장부(31a)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역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32a)를 갖는다. 제 1 콘택트(30a)는 접속부(32a)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U자형상으로 연장되는 만곡부(33a)를 갖는다. 제 1 콘택트(30a)는 만곡부(33a)의 자유단측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외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접촉부(34a)를 갖는다.
도 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콘택트(30a)는 실장부(31a)를 제외한 다른 부분 전체와 제 1 콘택트 유지홈(24a)이 일체화함으로써, 제 1 콘택트 유지홈(24a)에 대해서 유지되어 있다. 제 1 콘택트(30a)는 커넥터(1)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 1 콘택트(30a)가 제 1 인슐레이터(20)의 제 1 콘택트 유지홈(24a)에 유지되면, 제 1 콘택트(30a)의 실장부(31a)의 선단은 폭벽(22a)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신호 콘택트(30b)는 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또는 티타늄 구리를 포함하는 동합금 또는 콜슨계 동합금의 박판을 순송 금형(스태핑)을 이용하여 도 5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신호 콘택트(30b)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한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신호 콘택트(30b)는 L자형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실장부(31b)를 갖는다. 신호 콘택트(30b)는 실장부(31b)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접촉부(32b)를 갖는다. 접촉부(32b)는 전후 방향의 내면에 의해 구성되는 접촉면을 갖는다. 접촉부(32b)는 실장부(31b)보다 좌우 방향으로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신호 콘택트(30b)는 접촉부(32b)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U자형상으로 연장되는 만곡부(33b)를 갖는다. 신호 콘택트(30b)는 만곡부(33b)의 자유단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외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접촉부(34b)를 갖는다. 신호 콘택트(30b)는 접촉부(32b)의 접촉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35b)를 갖는다.
만곡부(33b)의 자유단은 접촉부(32b)와 같은 정도의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콘택트(30b)는 실장부(31b)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내면 전체와 신호 콘택트 유지홈(24b)이 접면함으로써, 신호 콘택트 유지홈(24b)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신호 콘택트(30b)가 제 1 인슐레이터(20)의 신호 콘택트 유지홈(24b)에 유지되면, 신호 콘택트(30b)의 실장부(31b)의 선단은 길이벽(22b)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제 1 차폐 부재(40)는 임의의 금속재료의 박판을 순송 금형(스태핑)을 이용하여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제 1 차폐 부재(40)의 가공 방법은 펀칭 가공을 행한 후에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제 1 차폐 부재(40)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제 1 차폐 부재 유지홈(25)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유지되고, 제 1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차폐 부재(40)는 그 하단부를 구성하는 제 1 기부(41)를 갖는다. 제 1 차폐 부재(4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제 1 기부(41)로부터 L자형상으로 연장되고, 제 1 기부(41)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연장부(42)를 갖는다. 제 1 차폐 부재(40)는 좌우 방향을 따른 제 1 기부(41)의 한쌍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U자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43)를 갖는다.
제 1 차폐 부재(40)는 그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내단부에 있어서, 전후 양측의 제 1 기부(41)를 연결하는 연결부(44)를 갖는다. 제 1 차폐 부재(4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결부(44)로부터 L자형상으로 연장되고, 연결부(44)의 전후 방향의 폭 전체로 연장되는 제 1 차폐부(45)를 갖는다.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차폐 부재(40)는 전후 양측의 제 1 기부(41)의 하면에 의해 구성되는 실장부(46)를 갖는다. 하나의 제 1 차폐 부재(40)에 있어서 전후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실장부(46)는 예를 들면 회로기판(CB1)의 실장면에 있어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한쌍의 접지 패턴에 대해서, 분리된 상태로 실장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제 1 커넥터(10)에서는 회로기판(CB1)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대해서, 제 1 콘택트(30a)의 실장부(31a)가 납땜된다. 상기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대해서, 신호 콘택트(30b)의 실장부(31b)가 납땜된다. 상기 실장면에 형성된 접지 패턴에 대해서, 제 1 차폐 부재(40)의 실장부(46)가 납땜된다. 이상에 의해, 제 1 커넥터(10)는 회로기판(CB1)에 대해서 실장된다. 회로기판(CB1)의 실장면에는 예를 들면 통신 모듈 등의 제 1 커넥터(10)와는 다른 전자부품이 실장된다.
제 2 커넥터(50)의 구성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13을 주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제 2 커넥터(50) 단체를 상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제 2 커넥터(50) 단체를 하면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제 2 커넥터(50)의 상면시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제 2 커넥터(50)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 조립된다. 제 2 인슐레이터(60)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제 2 콘택트(70a)를 압입한다. 제 2 인슐레이터(60)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 신호 콘택트(70b)를 압입한다. 제 2 인슐레이터(60)에 대해서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제 2 차폐 부재(80)를 압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인슐레이터(60)는 절연성 또한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사출 성형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 부재이다. 제 2 인슐레이터(60)는 하부를 구성하는 저판부(61)와, 저판부(61)의 둘레 가장자리부 전체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면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환상의 외주벽(62)을 갖는다. 외주벽(6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폭벽(62a)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길이벽(62b)을 포함한다. 제 2 인슐레이터(60)는 저판부(61)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감합 볼록부(63)를 갖는다.
제 2 인슐레이터(60)는 외주벽(62)의 폭벽(62a)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콘택트 유지홈(64a)을 갖는다. 제 2 콘택트 유지홈(64a)은 압입된 제 2 콘택트(70a)를 유지한다. 제 2 인슐레이터(60)는 외주벽(62)의 길이벽(62b)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내면 및 감합 볼록부(63)의 전후 방향의 외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신호 콘택트 유지홈(64b)을 갖는다. 신호 콘택트 유지홈(64b)은 압입된 신호 콘택트(70b)를 유지한다.
제 2 인슐레이터(60)는 외주벽(62)의 폭벽(62a)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외면, 전후 방향의 외면, 및 폭벽(62a)의 내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제 2 차폐 부재 유지홈(65)을 갖는다. 제 2 차폐 부재 유지홈(65)은 압입된 제 2 차폐 부재(80)를 유지한다.
도 11은 제 2 인슐레이터(60)만을 비표시로 한 상태로 도 8의 제 2 커넥터(50)를 상면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 2 차폐 부재(80)만을 상면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한쌍의 제 2 콘택트(70a)만을 상면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주로 참조하면서, 제 2 콘택트(70a), 신호 콘택트(70b), 및 제 2 차폐 부재(8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콘택트(70a)는 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또는 티타늄 구리를 포함하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동합금 또는 콜슨계 동합금의 박판을 순송 금형(스태핑)을 이용하여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제 2 콘택트(70a)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한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제 2 콘택트(70a)는 L자형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실장부(71a)를 갖는다. 제 2 콘택트(70a)는 실장부(71a)의 상단부로부터 연속해서 상방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부(72a)를 갖는다. 록킹부(72a)는 실장부(71a) 및 후술하는 만곡부(73a)보다 전후 방향으로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콘택트(70a)는 록킹부(72a)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U자형상으로 연장되는 만곡부(73a)를 갖는다. 제 2 콘택트(70a)는 만곡부(73a)의 자유단측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내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접촉부(74a)를 갖는다. 제 2 접촉부(74a)는 좌우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스프링 탄성을 갖는다.
도 10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콘택트(70a)는 록킹부(72a)가 제 2 콘택트 유지홈(64a)에 록킹함으로써, 제 2 콘택트 유지홈(64a)에 대해서 유지되어 있다. 제 2 콘택트(70a)는 커넥터(1)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 2 콘택트(70a)가 제 2 인슐레이터(60)의 제 2 콘택트 유지홈(64a)에 유지되면, 제 2 콘택트(70a)의 실장부(71a)의 선단은 폭벽(62a)의 좌우 방향의 최외단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신호 콘택트(70b)는 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또는 티타늄 구리를 포함하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동합금 또는 콜슨계 동합금의 박판을 순송 금형(스태핑)을 이용하여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신호 콘택트(70b)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한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신호 콘택트(70b)는 도 10과 같이, L자형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실장부(71b)를 갖는다. 신호 콘택트(70b)는 실장부(71b)의 상단부로부터 연속해서 상방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상기 부분과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고 또한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한쌍의 록킹부(72b)를 갖는다. 록킹부(72b)는 실장부(71b) 및 후술하는 만곡부(73b)보다 좌우 방향으로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신호 콘택트(70b)는 한쌍의 록킹부(72b)를 접속하는 만곡부(73b)와, 내측에 형성된 록킹부(72b)에 연속되는 S자형상의 탄성 접촉부(74b)와, 탄성 접촉부(74b)의 선단부에 외측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75b)를 갖는다. 신호 콘택트(70b)는 만곡부(73b)의 전후 방향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접촉부(76b)를 갖는다.
탄성 접촉부(74b)의 자유단은 접촉부(75b)와 같은 정도의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8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콘택트(70b)는 록킹부(72b)가 신호 콘택트 유지홈(64b)에 록킹함으로써, 신호 콘택트 유지홈(64b)에 대해서 유지되어 있다. 신호 콘택트(70b)가 제 2 인슐레이터(60)의 신호 콘택트 유지홈(64b)에 유지되면, 탄성 접촉부(74b)는 감합 볼록부(63)에 형성되어 있는 신호 콘택트 유지홈(64b) 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신호 콘택트(70b)가 제 2 인슐레이터(60)의 신호 콘택트 유지홈(64b)에 유지되면, 신호 콘택트(70b)의 실장부(71b)의 선단은 길이벽(62b)의 전후 방향의 최외단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제 2 차폐 부재(80)는 임의의 금속재료의 박판을 순송 금형(스태핑)을 이용하여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제 2 차폐 부재(80)의 가공 방법은 펀칭 가공을 행한 후에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제 2 차폐 부재(80)는 제 2 인슐레이터(60)의 제 2 차폐 부재 유지홈(65)에 대해서 압입됨으로써 제 2 인슐레이터(60)에 의해 유지된다.
제 2 차폐 부재(80)는 예를 들면 3개의 부재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차폐 부재(80)는 외주벽(62)을 사방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제 2 인슐레이터(60)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부착되는 제 1 부재(80a)를 포함한다. 제 2 차폐 부재(80)는 제 2 인슐레이터(6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도록 제 2 인슐레이터(60)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 부착되는 한쌍의 제 2 부재(80b)를 포함한다.
제 2 부재(80b)는 그 하단부를 구성하는 제 2 기부(81b)를 갖는다. 제 2 기부(81b)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 2 콘택트(70a)와 인접한다. 제 2 부재(80b)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제 2 기부(81b)로부터 L자형상으로 연장되고, 제 2 기부(81b)의 전후 방향의 폭 전체로 연장되는 제 2 차폐부(82b)를 갖는다. 제 2 부재(80b)는 제 2 기부(81b)의 중앙부를 구성하고, 제 2 기부(81b)의 전후 방향의 폭 전체로 연장되는 제 3 차폐부(83b)를 갖는다. 제 2 부재(80b)는 좌우 방향을 따른 제 2 기부(81b)의 한쌍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L자형상으로 연장되는 록킹부(84b)를 갖는다.
제 2 부재(80b)는 록킹부(84b)보다 좌우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을 따른 제 2 기부(81b)의 한쌍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S자형상으로 연장되는 접촉부(85b)를 갖는다. 접촉부(85b)는 제 2 부재(80b)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내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부재(80b)는 도 9와 같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 2 콘택트(70a)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회로기판(CB2)에 실장되는 제 1 실장부(86b)를 갖는다. 제 1 실장부(86b)는 제 2 기부(81b)에 있어서 제 2 콘택트(70a)와 좌우 방향의 반대측에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실장부(86b)는 제 2 부재(80b)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내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제 1 실장부(86b)는 하나의 제 2 부재(80b)에 있어서 제 2 기부(81b)의 전후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 1 실장부(86b)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2 콘택트(70a)에 대해서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제 1 실장부(86b)는 예를 들면 회로기판(CB2)의 실장면에 있어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한쌍의 회로 패턴에 대해서, 분리된 상태로 각각 실장된다.
도 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80b)는 제 2 기부(81b)의 좌우 방향의 외단부에 있어서의 전후 양측의 하면과 전후 양측의 록킹부(84b)의 하면에 의해 구성되는 제 2 실장부(87b)를 갖는다. 하나의 제 2 부재(80b)에 있어서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실장부(87b)와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실장부(87b)는 예를 들면 회로기판(CB2)의 실장면에 있어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한쌍의 회로 패턴에 대해서, 분리된 상태로 각각 실장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85b)는 상측을 향해서 제 1 실장부(86b)로부터 연장된다. 접촉부(85b)는 제 1 실장부(86b)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외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촉부(85b)는 제 1 실장부(86b)로부터 S자형상으로 연장되고, 스프링 탄성을 갖는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85b)는 좌우 방향을 따라, 제 1 실장부(86b)와 제 2 콘택트(70a) 사이로부터 연장된다. 접촉부(85b)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제 1 실장부(86b)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실장폭 이상이다. 접촉부(85b)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2 콘택트(70a)에 대해서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80b)는 록킹부(84b) 및 제 2 차폐부(82b)가 제 2 차폐 부재 유지홈(65)에 록킹함으로써, 제 2 차폐 부재 유지홈(65)에 대해서 유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록킹부(84b)는 제 2 차폐 부재 유지홈(65) 중 폭벽(62a)의 전후 양측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록킹한다. 제 2 차폐부(82b)는 제 2 차폐 부재 유지홈(65) 중 폭벽(62a)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록킹한다.
제 1 부재(80a)는 그 상단부를 구성하는 제 3 기부(81a)를 갖는다. 제 1 부재(80a)는 전후 방향의 외주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고 연장되는 제 4 차폐부(82a)를 갖는다. 제 1 부재(80a)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 2 차폐부(82b)보다 더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5 차폐부(83a)를 갖는다. 제 5 차폐부(83a)는 제 2 차폐부(82b)보다 전후 방향으로 폭이 넓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2 차폐부(82b)의 전체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8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80a)는 좌우 방향을 따라 제 2 인슐레이터(60)의 길이벽(62b)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외주측 차폐부(84a)를 갖는다. 외주측 차폐부(84a)는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제 4 차폐부(82a)를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80a)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제 3 기부(81a)로부터 연장되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2 콘택트(70a)에 대해서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접촉부(85a)를 갖는다. 접촉부(85a)는 좌우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스프링 탄성을 갖는다. 제 1 부재(80a)는 전후 방향의 외주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부(86a)를 갖는다.
제 1 부재(80a)는 제 5 차폐부(83a)의 전후 양측에 있어서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1 실장부(87a)를 갖는다. 제 1 부재(80a)는 록킹부(86a)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2 실장부(88a)를 갖는다. 제 1 부재(80a)는 외주측 차폐부(84a)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3 실장부(89a)를 갖는다. 예를 들면 서로 인접하는, 좌측 방향 전방측의 제 1 실장부(87a)와 앞 방향 좌측의 제 2 실장부(88a)는 회로기판(CB2)의 실장면에 있어서 동일한 접지 패턴으로 실장된다. 예를 들면 서로 인접하는, 좌측 방향 후방측의 제 1 실장부(87a)와 뒤 방향 좌측의 제 2 실장부(88a)는 회로기판(CB2)의 실장면에 있어서 동일한 접지 패턴으로 실장된다. 제 1 부재(80a)의 우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4개의 제 3 실장부(89a)는 회로기판(CB2)의 실장면에 있어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4개의 접지 패턴에 대해서, 분리된 상태로 각각 실장된다.
도 10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80a)는 록킹부(86a)가 제 2 차폐 부재 유지홈(65)에 록킹함으로써, 제 2 차폐 부재 유지홈(65)에 대해서 유지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제 2 커넥터(50)에서는 회로기판(CB2)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대해서, 제 2 콘택트(70a)의 실장부(71a)가 납땜된다. 상기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대해서, 신호 콘택트(70b)의 실장부(71b)가 납땜된다. 상기 실장면에 형성된 접지 패턴에 대해서, 제 2 차폐 부재(80)의 제 1 부재(80a)의 제 1 실장부(87a), 제 2 실장부(88a), 및 제 3 실장부(89a), 및 제 2 부재(80b)의 제 1 실장부(86b) 및 제 2 실장부(87b)가 납땜된다. 예를 들면 제 1 부재(80a)의 좌측 방향 전방측의 제 1 실장부(87a), 앞 방향 좌측의 제 2 실장부(88a), 및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부재(80b)의 전방측의 제 2 실장부(87b)가 동일한 접지 패턴에 대해서 납땜된다.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부재(80b)의 후방측, 및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부재(80b)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제 1 부재(80a) 및 제 2 부재(80b)는 전기적으로 1개의 차폐 부재로서 간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 의해, 제 2 커넥터(50)는 회로기판(CB2)에 대해서 실장된다. 회로기판(CB2)의 실장면에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컨트롤러, 또는 메모리 등의 제 2 커넥터(50)와는 다른 전자부품이 실장된다.
도 14는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60)만을 비표시로 한 상태로 도 1의 커넥터(1)를 상면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50)가 접속하고, 제 1 인슐레이터(20)와 제 2 인슐레이터(60)가 감합하는 감합 상태에서의 커넥터(1)의 구성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제 1 커넥터(10)의 상하 방향의 방향을 반대로 한 상태로,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50)의 전후 위치 및 좌우 위치를 대략 일치시키면서, 서로를 상하 방향으로 대향시킨다. 제 1 커넥터(1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50)가 서로 접속되고, 커넥터(1)의 감합 상태가 얻어진다. 이 때, 제 1 인슐레이터(20)의 감합 오목부(23)와 제 2 인슐레이터(60)의 감합 볼록부(63)가 서로 감합한다.
커넥터(1)의 감합 상태에서는 제 1 콘택트(30a)의 제 1 접촉부(34a)와 제 2 콘택트(70a)의 제 2 접촉부(74a)가 접촉하고, 스프링 탄성을 갖는 제 2 접촉부(74a)가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제 1 콘택트(30a)와 제 2 콘택트(70a)는 제 1 접촉부(34a)와 제 2 접촉부(74a)에 의해 1개소에 있어서만 접촉한다.
커넥터(1)의 감합 상태에서는 신호 콘택트(30b)의 돌기(35b)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신호 콘택트(70b)의 접촉부(75b)를 타넘고, 신호 콘택트(30b)의 접촉부(32b)와 신호 콘택트(70b)의 접촉부(75b)가 접촉한다. 이 때, 스프링 탄성을 갖는 탄성 접촉부(74b)가 전후 방향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마찬가지로, 신호 콘택트(30b)의 접촉부(34b)와 신호 콘택트(70b)의 접촉부(76b)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신호 콘택트(30b)와 신호 콘택트(70b)는 접촉부(32b)와 접촉부(75b)에 의해, 및 접촉부(34b)와 접촉부(76b)에 의해 2개소에 있어서 접촉한다.
커넥터(1)의 감합 상태에서는 제 1 차폐 부재(40)의 제 1 연장부(42)와 제 2 차폐 부재(80)의 제 1 부재(80a)의 접촉부(85a)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제 1 차폐 부재(40)의 제 1 연장부(42)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제 1 기부(41)로부터 연장되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1 콘택트(30a)와 제 2 콘택트(70a)의 접촉 부분에 대해서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차폐 부재(40)의 제 1 연장부(42)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에 대해서, 전후 방향의 양측에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부재(80a)의 접촉부(85a)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 1 기부(41)와 동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기부(81a)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1 콘택트(30a)와 제 2 콘택트(70a)의 접촉 부분에 대해서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부재(80a)의 접촉부(85a)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에 대해서, 전후 방향의 양측에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감합 상태에서는 제 1 차폐 부재(40)와 제 1 부재(80a)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에 대해서 인접하면서 이들을 전후 방향으로 끼우는 2쌍의 제 1 연장부(42) 및 접촉부(85a)에 의해 2개소에 있어서 접촉한다. 2쌍의 제 1 연장부(42) 및 접촉부(85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1 콘택트(30a)와 제 2 콘택트(70a)의 접촉 부분에 대해서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1)의 감합 상태에서는 제 1 차폐 부재(40)의 제 2 연장부(43)와 제 2 차폐 부재(80)의 제 2 부재(80b)의 접촉부(85b)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제 1 차폐 부재(40)의 제 2 연장부(43)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제 1 기부(41)로부터 연장되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1 콘택트(30a)와 제 2 콘택트(70a)의 접촉 부분에 대해서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차폐 부재(40)의 제 2 연장부(43)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에 대해서, 전후 방향의 양측에서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부재(80b)의 접촉부(85b)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 1 기부(41)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기부(81b)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1 콘택트(30a)와 제 2 콘택트(70a)의 접촉 부분에 대해서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부재(80b)의 접촉부(85b)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에 대해서, 전후 방향의 양측에서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감합 상태에서는 제 1 차폐 부재(40)와 제 2 부재(80b)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에 대해서 근접하면서 이들을 전후 방향으로 끼우는 2쌍의 제 2 연장부(43) 및 접촉부(85b)에 의해 2개소에 있어서 접촉한다. 2쌍의 제 2 연장부(43) 및 접촉부(85b)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1 콘택트(30a)와 제 2 콘택트(70a)의 접촉 부분에 대해서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감합 상태에서는 제 1 차폐 부재(40)와 제 2 차폐 부재(80)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에 대해서 인접 또는 근접하는 4개소에 있어서 접촉한다.
커넥터(1)의 감합 상태에서는 제 1 차폐 부재(40)의 제 1 차폐부(45)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에 대해서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차폐 부재(80)의 제 2 부재(80b)의 제 2 차폐부(82b)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에 대해서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제 1 차폐부(45) 및 제 2 차폐부(82b)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커넥터(1)의 감합 상태에서는 제 2 차폐 부재(80)의 제 2 부재(80b)의 제 3 차폐부(83b)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에 대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감합측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는 감합측과 반대측으로부터 제 3 차폐부(83b)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커넥터(1)의 감합 상태에서는 제 2 차폐 부재(80)의 제 1 부재(80a)의 제 4 차폐부(82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에 대해서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제 4 차폐부(82a)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커넥터(1)의 감합 상태에서는 제 2 차폐 부재(80)의 제 1 부재(80a)의 제 5 차폐부(83a)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 2 차폐부(82b)보다 더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있어서, 제 2 차폐부(82b) 및 제 5 차폐부(83a)의 이중구조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제 2 커넥터(50)에 의하면, 고주파 신호에 대한 양호한 전송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2 부재(80b)의 접촉부(85b)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측을 향해서 제 1 실장부(86b)로부터 연장되고, 제 1 차폐 부재(40)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85b)와 제 1 차폐 부재(40)의 접촉점과 회로기판(CB2)의 실장면에 실장되어 있는 제 1 실장부(86b)의 거리가 단축화된다. 따라서, 회로길이가 단축화됨으로써 크로스 토크의 악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고주파 신호에 대한 전송특성이 향상된다. 배선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져서 자계가 상호 발생하기 쉬워져 크로스 토크이 악화된다는 문제를 억제 가능하다. 따라서, 노이즈의 발생을 원인으로 하는 오작동이 억제된다.
접촉부(85b)가 좌우 방향을 따라, 제 1 실장부(86b)와 제 2 콘택트(70a) 사이에서 연장됨으로써 접지되어 있는 제 2 부재(80b)의 접촉부(85b)가 제 2 콘택트(70a)와 근접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콘택트(70a)의 노이즈 차폐 효과가 높아지고, 고주파 신호에 대한 전송특성이 향상된다.
접촉부(85b)의 좌우 방향의 폭이 제 1 실장부(86b)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실장폭 이상임으로써, 접촉부(85b)가 폭이 넓어지고, 그 도전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제 2 콘택트(70a)의 노이즈 차폐 효과가 높아지고, 고주파 신호에 대한 전송특성이 향상된다.
접촉부(85b)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2 콘택트(70a)에 대해서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리턴 패스가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리턴 패스를 통과하는 신호가 흐르기 쉬워져, 고주파 신호에 대한 전송특성이 향상된다. 가령, 리턴 패스의 흐름이 좌우 불균일하면, 리턴 경로로서 되돌아오는 전류의 자계가 흐트러져서 노이즈가 발생하기 쉬워지지만, 일실시형태에 따른 제 2 커넥터(50)에 의하면, 이러한 노이즈의 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특성의 악화를 억제 가능하다.
접촉부(85b)가 제 1 실장부(86b)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외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됨으로써 제 1 실장부(86b)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제 1 차폐 부재(40)와 접촉부(85b)의 접촉을 구조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실장부(86b)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2 콘택트(70a)에 대해서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리턴 패스가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리턴 패스를 통과하는 신호가 흐르기 쉬워져, 고주파 신호에 대한 전송특성이 향상된다. 가령, 리턴 패스의 흐름이 좌우 불균일하면, 리턴 경로로서 되돌아오는 전류의 자계가 흐트러져서 노이즈가 발생하기 쉬워지지만, 일실시형태에 따른 제 2 커넥터(50)에 의하면, 이러한 노이즈의 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특성의 악화를 억제 가능하다.
제 2 콘택트(70a)가 커넥터(1)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의 폭이 축소된다. 따라서, 커넥터(1)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소형화된다. 예를 들면 고속 전송에 대응한 최근의 통신 단말에서는 통신 전파의 지향성에 의해, 안테나를 배치하는 개소 및 방향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공간 절약화를 위해서 통신 단말에 내장되는 커넥터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는 이러한 요구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신호 콘택트(70b)를 커넥터(1) 내에서 멀리 이간할 수 있으므로, 신호 콘택트(70b)는 각각 독립된 차폐 부재를 이용하여 실드할 수 있다. 이 때, 차폐 부재를 설치하는데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접촉부(85b)가 제 1 실장부(86b)로부터 S자형상으로 연장됨으로써 제 1 커넥터(10)의 제 1 차폐 부재(40)와 보다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다.
제 1 실장부(86b) 및 접촉부(85b)가 제 2 부재(80b)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내단부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 2 부재(80b)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외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커넥터(1)의 좌우 방향의 폭이 축소된다. 따라서, 커넥터(1)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소형화된다.
접촉부(85b)가 스프링 탄성을 가짐으로써, 제 1 인슐레이터(20)와 제 2 인슐레이터(60)가 감합하는 감합 상태에 있어서의 감합력이 향상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50)의 접속이 안정된다.
본 개시는 그 정신 또는 그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없이 상술한 실시형태 이외의 다른 소정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앞의 기술은 예시적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의 범위는 앞의 기술에 의해서가 아니라, 부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모든 변경 중 그 균등한 범위내에 있는 몇개의 변경은 그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각 구성부의 형상, 배치, 방향, 및 개수는 상기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의 도시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구성부의 형상, 배치, 방향, 및 개수는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술한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의 조립 방법은 상기 설명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50)의 조립 방법은 각각의 기능이 발휘되도록 조립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의 방법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커넥터(10)에 있어서, 제 1 콘택트(30a), 신호 콘택트(30b), 및 제 1 차폐 부재(40) 중 적어도 1개가 인서트 성형이 아닌 압입에 의해 제 1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2 커넥터(50)에 있어서, 제 2 콘택트(70a), 신호 콘택트(70b), 및 제 2 차폐 부재(80) 중 적어도 1개가 압입이 아닌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60)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차폐 부재가 제 1 차폐 부재(40) 및 제 2 차폐 부재(80)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차폐 부재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차폐 부재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감합 상태에 있는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60) 중 적어도 한쪽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차폐부(45)가 제 1 차폐 부재(40)에 형성되고, 제 2 차폐부(82b) 및 제 3 차폐부(83b)가 제 2 차폐 부재(80)에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차폐부(45), 제 2 차폐부(82b), 및 제 3 차폐부(83b)에 추가해서, 제 4 차폐부(82a), 제 5 차폐부(83a), 및 외주측 차폐부(84a)도 포함한 각 차폐부는 제 1 차폐 부재(40) 및 제 2 차폐 부재(80)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모든 차폐부가 제 2 차폐 부재(80)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각 차폐부는 제 1 차폐 부재(40) 및 제 2 차폐 부재(80)의 양쪽에 분할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제 3 차폐부(83b)는 도 1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3 차폐부(83b)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차폐 부재(80)가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에 대해서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4 차폐부(82a)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차폐 부재(80)는 양호한 노이즈 차폐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라면, 편측에만 제 4 차폐부(82a)를 가져도 좋고, 제 4 차폐부(82a)를 갖지 않아도 좋다.
도 16은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60)만을 비표시로 한 상태로, 도 1의 커넥터(1)의 변형예를 상면시로 나타낸 도 14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XVII-XVI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커넥터(1)의 변형예에서는 제 2 차폐 부재(80)는 제 1 부재(80a)를 갖지 않고, 제 2 부재(80b)만을 갖는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차폐 부재(80)가 제 5 차폐부(83a)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차폐 부재(80)는 양호한 노이즈 차폐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라면, 제 5 차폐부(83a)를 갖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차폐 부재(80)가 외주측 차폐부(84a)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차폐 부재(80)는 양호한 노이즈 차폐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라면, 외주측 차폐부(84a)를 갖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차폐 부재가 제 1 차폐부(45), 제 2 차폐부(82b), 제 3 차폐부(83b), 제 4 차폐부(82a), 및 제 5 차폐부(83a)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차폐 부재는 제 1 차폐부(45) 내지 제 5 차폐부(83a)에 추가해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에 대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 3 차폐부(83b)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6 차폐부를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제 6 차폐부는 제 1 차폐 부재(40) 및 제 2 차폐 부재(80)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 6 차폐부는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를 상측으로부터 차폐한다. 따라서, 제 1 차폐부(45) 내지 제 5 차폐부(83a), 및 제 6 차폐부가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 접촉부(34a) 및 제 2 접촉부(74a)를 전후 좌우 상하의 6방향으로부터 차폐하므로, 노이즈 차폐 효과가 더 향상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차폐 부재(40)의 제 1 연장부(42)와 제 2 차폐 부재(80)의 접촉부(85a)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1 콘택트(30a)와 제 2 콘택트(70a)의 접촉 부분의 양측에서 서로 접촉하고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호한 전송특성이 얻어지는 것이라면, 제 2 차폐 부재(80)가 접촉부(85a)를 갖지 않고, 제 1 차폐 부재(40)의 제 1 연장부(42)만이 제 1 콘택트(30a)와 제 2 콘택트(70a)의 접촉 부분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기부(41) 및 제 1 연장부(42)가 제 1 차폐 부재(40)에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기부(41) 및 제 1 연장부(42)를 포함하는 각 구성부는 제 1 차폐 부재(40) 및 제 2 차폐 부재(80)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각 구성부는 제 1 차폐 부재(40) 및 제 2 차폐 부재(80)의 양쪽에 분할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쌍의 제 2 연장부(43) 및 접촉부(85b)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1 콘택트(30a)와 제 2 콘택트(70a)의 접촉 부분에 대해서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양호한 전송특성이 얻어지는 것이라면, 2쌍의 제 2 연장부(43) 및 접촉부(85b)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쌍의 제 1 연장부(42) 및 접촉부(85a)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1 콘택트(30a)와 제 2 콘택트(70a)의 접촉 부분에 대해서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양호한 전송특성이 얻어지는 것이라면, 2쌍의 제 1 연장부(42) 및 접촉부(85a)는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차폐 부재(80)의 접촉부(85b)가 좌우 방향을 따라, 제 1 실장부(86b)와 제 2 콘택트(70a) 사이에서 연장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 차폐 부재(80)의 접촉부(85b)는 임의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차폐 부재(80)의 접촉부(85b)의 좌우 방향의 폭이 제 1 실장부(86b)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실장폭 이상이다라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촉부(85b)의 좌우 방향의 폭이 제 1 실장부(86b)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실장폭보다 작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차폐 부재(80)의 접촉부(85b)가 제 1 실장부(86b)로부터 S자형상으로 연장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촉부(85b)는 임의의 형상으로 제 1 실장부(86b)로부터 연장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차폐 부재(80)의 접촉부(85b)가 스프링 탄성을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촉부(85b)는 스프링 탄성을 갖지 않아도 좋다. 대신에, 접촉부(85b)와 접촉하는 제 2 연장부(43)가 스프링 탄성을 가져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콘택트(30a) 및 제 2 콘택트(70a)는 커넥터(1)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콘택트(30a) 및 제 2 콘택트(70a)는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한쌍의 제 1 콘택트(30a)가 제 1 인슐레이터(20)의 좌우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고, 한쌍의 제 2 콘택트(70a)가 제 2 인슐레이터(60)의 좌우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한쌍의 제 1 콘택트(30a)가 제 1 인슐레이터(20)의 좌우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한쌍의 제 2 콘택트(70a)가 제 2 인슐레이터(60)의 좌우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1)는 제 1 콘택트(30a) 및 제 2 콘택트(70a)와는 다른 복수의 콘택트, 즉 신호 콘택트(30b) 및 신호 콘택트(70b)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는 신호 콘택트(30b) 및 신호 콘택트(70b)를 갖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복수의 콘택트가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복수의 콘택트는 커넥터(1)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차폐 부재(80)는 제 1 부재(80a) 및 제 2 부재(80b)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차폐 부재(80)는 2개의 부재로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부재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실장부의 실장 패턴은 상기 설명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실장부는 대응하는 회로기판의 실장면에 있어서 임의의 실장 패턴으로 실장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과 같은 커넥터(1)는 회로기판(CB1) 및 회로기판(CB2)을 포함한 전자기기에 탑재된다. 전자기기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의 임의의 통신단말기기, 퍼스널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및 복합기 등의 임의의 정보처리기기를 포함한다. 기타, 전자기기는 임의의 산업기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자기기는 커넥터(1)에 있어서, 고주파 신호에 대한 양호한 전송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자기기는 신호전송에 있어서의 양호한 전송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1: 커넥터(커넥터 모듈)
10: 제 1 커넥터(접속 대상 커넥터)
20: 제 1 인슐레이터
21: 저판부
22: 외주벽
22a: 폭벽
22b: 길이벽
23: 감합 오목부
24a: 제 1 콘택트 유지홈
24b: 신호 콘택트 유지홈
25: 제 1 차폐 부재 유지홈
30a: 제 1 콘택트
30b: 신호 콘택트
31a: 실장부
31b: 실장부
32a: 접속부
32b: 접촉부
33a: 만곡부
33b: 만곡부
34a: 제 1 접촉부
34b: 접촉부
35b: 돌기
40: 제 1 차폐 부재
41: 제 1 기부
42: 제 1 연장부
43: 제 2 연장부
44: 연결부
45: 제 1 차폐부
46: 실장부
50: 제 2 커넥터(커넥터)
60: 제 2 인슐레이터(인슐레이터)
61: 저판부
62: 외주벽
62a: 폭벽
62b: 길이벽
63: 감합 볼록부
64a: 제 2 콘택트 유지홈
64b: 신호 콘택트 유지홈
65: 제 2 차폐 부재 유지홈
70a: 제 2 콘택트(콘택트)
70b: 신호 콘택트
71a: 실장부
71b: 실장부
72a: 록킹부
72b: 록킹부
73a: 만곡부
73b: 만곡부
74a: 제 2 접촉부
74b: 탄성 접촉부
75b: 접촉부
76b: 접촉부
80 :제 2 차폐 부재
80a: 제 1 부재
80b: 제 2 부재
81a: 제 3 기부
81b: 제 2 기부(기부)
82a: 제 4 차폐부
82b: 제 2 차폐부
83a: 제 5 차폐부
83b: 제 3 차폐부
84a: 외주측 차폐부
84b: 록킹부
85a: 접촉부
85b: 접촉부
86a: 록킹부
86b: 제 1 실장부(실장부)
87a: 제 1 실장부
87b: 제 2 실장부
88a: 제 2 실장부
89a: 제 3 실장부
CB1: 회로기판
CB2: 회로기판

Claims (11)

  1.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제 1 차폐 부재를 갖는 접속 대상 커넥터와 접속되는 커넥터로서,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와 동일측에서 상기 인슐레이터에 부착되어 있는 제 2 차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차폐 부재는,
    상기 접속 대상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가 접속하는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와 인접하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와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와,
    상기 접속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측을 향해서 상기 실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차폐 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실장부와 상기 콘택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폭은 상기 실장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방향의 실장폭 이상인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에 대해서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실장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방향의 외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부는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에 대해서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이며,
    상기 콘택트는 상기 커넥터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폐 부재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해서 상기 회로기판측으로부터 부착되어 있는 제 2 부재를 갖고,
    상기 실장부 및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2 차폐 부재의 상기 제 2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스프링 탄성을 갖는 커넥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와 접속되고, 상기 제 1 차폐 부재를 갖는 상기 접속 대상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대상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가 접속하는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1 차폐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커넥터 모듈.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 또는 제 10 항에 기재된 커넥터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20227013163A 2019-12-25 2020-12-21 커넥터, 커넥터 모듈, 및 전자기기 KR202200626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35164A JP7201580B2 (ja) 2019-12-25 2019-12-25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JP-P-2019-235164 2019-12-25
PCT/JP2020/047760 WO2021132187A1 (ja) 2019-12-25 2020-12-21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649A true KR20220062649A (ko) 2022-05-17

Family

ID=7657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3163A KR20220062649A (ko) 2019-12-25 2020-12-21 커넥터, 커넥터 모듈,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06377A1 (ko)
EP (1) EP4084230A4 (ko)
JP (2) JP7201580B2 (ko)
KR (1) KR20220062649A (ko)
CN (1) CN114830448A (ko)
WO (1) WO20211321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215B1 (ko) * 2022-10-31 2023-05-16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고속 고주파 신호 전송 커넥터 및 커넥터 감합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87382A (ja) 2017-11-06 2019-06-0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9589A (ja) * 2004-08-18 2006-03-02 Hirose Electric Co Ltd シールド付き電気コネクタ
JP2010157368A (ja) * 2008-12-26 2010-07-15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SG174642A1 (en) * 2010-03-22 2011-10-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Board-to-board connector
JP5825477B2 (ja) * 2011-08-18 2015-12-02 Smk株式会社 接続コネクタ
JP6245964B2 (ja) * 2013-12-02 2017-12-1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5972855B2 (ja) * 2013-12-24 2016-08-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5220005A (ja) * 2014-05-15 2015-12-07 Smk株式会社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JP6269558B2 (ja) * 2014-06-05 2018-01-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JP6391517B2 (ja) * 2015-03-30 2018-09-1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319210B2 (ja) * 2015-07-02 2018-05-09 Smk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6498622B2 (ja) * 2016-03-14 2019-04-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85730B2 (ja) * 2017-01-06 2021-06-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遮蔽シールド板付きコネクタ
JP6554567B2 (ja) * 2018-01-18 2019-07-3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とコネクタ対
CN208923402U (zh) * 2018-05-16 2019-05-31 电连技术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插头连接器和插座连接器
KR102041368B1 (ko) *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JP6493611B1 (ja) * 2018-08-03 2019-04-03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816747B2 (ja) * 2018-10-01 2021-01-20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87382A (ja) 2017-11-06 2019-06-0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215B1 (ko) * 2022-10-31 2023-05-16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고속 고주파 신호 전송 커넥터 및 커넥터 감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06377A1 (en) 2023-01-05
JP2023026504A (ja) 2023-02-24
JP2021103668A (ja) 2021-07-15
JP7201580B2 (ja) 2023-01-10
EP4084230A1 (en) 2022-11-02
WO2021132187A1 (ja) 2021-07-01
EP4084230A4 (en) 2024-01-10
CN114830448A (zh)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222B1 (ko) 커넥터
KR102165749B1 (ko) 커넥터
KR102486351B1 (ko) 커넥터 및 전자 기기
KR102165751B1 (ko) 콘택트
JP2023026504A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6266734B1 (ja) コネクタ
JP7418202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7244412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21153435A1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US20230006376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