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426A - 리필용 분리 가능 다용도 용기 - Google Patents

리필용 분리 가능 다용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426A
KR20220061426A KR1020200147398A KR20200147398A KR20220061426A KR 20220061426 A KR20220061426 A KR 20220061426A KR 1020200147398 A KR1020200147398 A KR 1020200147398A KR 20200147398 A KR20200147398 A KR 20200147398A KR 20220061426 A KR20220061426 A KR 20220061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ump
refill
present specification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준
김재민
이채민
차재영
Original Assignee
이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준 filed Critical 이형준
Priority to KR1020200147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1426A/ko
Publication of KR20220061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6Containers with an additional opening for filling or re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례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액상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체결되고 상기 용기의 수용부에 담긴 내용물을 외부로 일정량씩 배출시키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다민 내용물이 흡입되어 상기 펌프로 공급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펌핑용기에 있어서, 상기 펌핑용기는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배출구에는 마개가 체결되는, 분리가능한 하부 마개를 구비한 펌핑용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례에 따르면 용기의 내용물을 펌프에 의해 배출되게 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배출관이 닿지 않은 용기 하부에 잔존하는 내용물은 마개를 열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펌핑용기의 편리성을 유지하면서도 내용물이 용기 내부에 잔존하지 않고 모두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리필용기만 교환하여 본 분리형 샴푸통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져다준다.

Description

리필용 분리 가능 다용도 용기{removable multi-purpose container for refill}
본 명세서는 다용도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가 가능한 펌프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분리형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성이 있는 액체를 보관하는 원형으로 된 용기의 단점 때문에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점성이 있는 샴푸나 로션 등의 점성을 가지고 있는 액체형 상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입장으로 볼 때, 샴푸를 사용함에 있어 유리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를 거꾸로 들어서 용기를 위아래로 흔들어 액체에 힘을 가해서 꺼내어 쓰거나, 펌프식 장치를 설치하여 압력을 이용한 방법으로 쓰거나, 튜브로 된 용기를 중앙 부분을 눌려서 압력을 이용하여 용기의 머리부분에 작은 구멍을 통해서 꺼내어 쓰는 형태로 되어있다. 편리한 장치지만 용기 속에 들어있는 샴푸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 마지막에 용기의 내부 표면에 붙어 있는 내용물을 꺼내어 쓸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이는 샴푸와 같이 점성을 가지고 있는 액체로 되어 있어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용기 중앙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품을 만들어 용기에 남은 액체를 다 꺼내 쓸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본 명세서의 리필형 분리 가능 샴푸통 용기와 리필용기를 사용함으로써 본 리필형 분리 가능 샴푸통에 액체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리필용기를 샴푸통 내부에 삽입시켜 즉각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에 있다. 그로인해 리필용기만 구입하여 사용함에 있어 경제적인 효과와 플라스틱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리필형 분리 가능 샴푸통에 액체가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기존의 리필용 샴푸통 에서의 세균 증식 및 비위생적인 환경으로 인해 내용물의 변질 또는 신체적 손상을 야기 시키는 원인을 보완하여 더욱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사용 할 수 있으며 사람이 직접 용기를 개방하여 직접 투입하는 방식에서 본 연구의 리필용기를 분리형 샴푸통에 직접적으로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편리성을 극대화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일례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액상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수용바가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체결되고 상기 용기의 수용부에 담긴 내용물을 외부로 일정량씩 배출시키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담긴 내용물을 흡입되어 상기 펌프로 공급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펌핑용기에 있어서, 상기 펑핑용기는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마개가 체결되는, 분리가능한 하부마개를 구비한 펌핑용기를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따른 용기는 분리 가능한 다용도 용기를 제안하고, 이러한 다용도 용기와 리필형 용기를 연결하는 추가적인 기법을 제안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리필형 분리 가능 샴푸통 용기에 의하면, 용기의 하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잔류량이 많을 경우에는 상부의 토출펌프를 통하여 토출시키고 잔류랑이 적은 경우에는 하부케이스를 분리하여 용기 바닥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낭비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필용기를 내부에 직접적으로 삽입시켜 비위생적인 환경에서의 세균증식을 방지하고, 편리성을 높여 기존의 플라스틱 용기를 구입하지 않고 리필용기만 구입하여 플라스틱 사용을 줄여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더불어 리필용기만 교환하여 본 분리형 샴푸통을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져다준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례에 따른 펌프식 용기에 연결될 수 있는 리필용기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례에 따른 펌프식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하부가 분리될 수 있는 분리형 펌프식 용기에 관한 일례가 설명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례에 따른 펌프식 용기에 연결될 수 있는 리필용기의 일례이다. 도 1에 표시된리필용기의 투입구(2)는, 도 2의 펌프식 용기의 흡입관(14)에 연결된 후 도 2의 하부 케이스(16) 내에 보관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1의 리필용기(1)를 도 2의 하부 케이스(16) 내에 위치시키고, 하부 케이스(16)와 상부 케이스(17)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리필용기(1)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부 케이스(16) 내의 액체를 소진한 경우, 상기 하부케이스(16)을 개봉하고 도 1에 도시된 리필용기의 투입구(2)와 도 2에 도시된 펌프식 용기의 흡입관(14)을 연결하는 발식으로 새로운 리필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명세서의 장치는, 불필요한 액체 낭비를 줄이고 편리성을 극대화 시킴과 더불어 플라스틱 사용을 줄여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의 리필용 용기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일례는 리필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점성이 있는 액체(예를 들어, 화장품 또는 세정액)을 내부에 저장하는 용기(1)와, 상기 용기(1)의 상부에 설치되는 투입구(2)와, 투입구를 보호하는 투입구마개(3), 상기 투입구(2)에 연결되어 용기(1)의 내부에 관입된 흡입관(5)과, 상기 투입구(2)를 용기(1)의 상부에 결합시키는 캡너트(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례에 따른 펌프식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용기2(10)는, 점성이 있는 액체(예를 들어, 화장품 또는 세정액)을 내부에 저장하는 용기2(10)와, 상기 용기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토출펌프(11)와, 상기 토출펌프(11)에 연결되어 용기(1)의 내부에 관입된 흡입관(14)과, 상기 토출펌프(11)를 용기(1)의 상부에 결합시키는 캡너트(1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가 상기 토출펌프(11)를 누름에 따라 일정량의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펌프식 용기의 일례이다. 용기2(10)은 상부케이스(17)와 하부케이스(16)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6)의 하단부 내면에는 너트부(18)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7)의 상단부 외면에는 볼트부(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7)와 하부케이스(16)의 결합시 그 사이에는 실링부재(3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본 명세서가 제안하는 펌프식 용기는, 그 하부가 본체 또는 상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가능한 구조의 용기를 통해, 용기 내의 액채 잔류량이 많을 경우에는 상부의 토출펌프를 통하여 토출시키고 잔류랑이 적은 경우에는 하부케이스를 분리하여 용기 바닥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낭비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필용기를 내부에 직접적으로 삽입시켜 비위생적인 환경에서의 세균증식을 방지하고, 편리성을 높여 기존의 플라스틱 용기를 구입하지 않고 리필용기만 구입하여 플라스틱 사용을 줄여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더불어 리필용기만 교환하여 본 분리형 샴푸통을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져다 줄 수 있다.
본 고안은 리필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품 또는 세정액을 내부에 저장하는 용기(1)와, 상기 용기(1)의 상부에 설치되는 투입구(2)와, 투입구를 보호하는 투입구마개(3), 상기 투입구(2)에 연결되어 용기(1)의 내부에 관입된 흡입관(5)과, 상기 투입구(2)를 용기(1)의 상부에 결합시키는 캡너트(4)를 구비,
본 고안은 하부가 분리될 수 있는 분리형 펌프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품 또는 세정액을 내부에 저장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토출펌프(11)와, 상기 토출펌프(11)에 연결되어 용기(1)의 내부에 관입된 흡입관(14)과, 상기 토출펌프(11)를 용기(1)의 상부에 결합시키는 캡너트(13)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토출펌프(11)를 누름에 따라 일정량의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펌프식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1)는 상부케이스(17)와 하부케이스(16)로 분리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6)의 하단부 내면에는 너트부(18)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7)의 상단부 외면에는 볼트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7)와 하부케이스(16)의 결합시 그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30)가 포함되므로 리필용기의 투입구(2)에 펌프식 용기의 흡입관(14)를 연결한 후 상기 하부 케이스(16)을 닫아 사용함에 있다. 잔류량이 없을 경우 상기 하부케이스(16)을 개봉하여 리필용기의 투입구(2)와 펌프식 용기의 흡입관(14)를 분리하여 새로운 리필용기를 사용하여 잔류량을 줄이고 편리성을 극대화 시킴과 더불어 플라스틱 사용을 줄여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는데 있다.
1...용기
2...투입구
3...투입구마개
4...상기 투입구
5...흡입관
10...용기2
11...토출펌프
12...사출구
13...캡너트
14...흡입관
15...볼트부
16...하부케이스
17...상부케이스
18...너트부
30...실링부재

Claims (1)

  1. 액체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상단부 및 용기 하단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펌프; 및
    상기 토출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 상단부의 내부에 관입된 흡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상단부의 외면에는 상기 용기 하단부와의 체결을 위한 볼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 하단부의 내면에는 상기 용기 상단부와의 체결을 위한 너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 상단부의 외면 또는 상기 용기 하단부의 내면에는 실링부재가 추가로 형성되는
    장치.
KR1020200147398A 2020-11-06 2020-11-06 리필용 분리 가능 다용도 용기 KR20220061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398A KR20220061426A (ko) 2020-11-06 2020-11-06 리필용 분리 가능 다용도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398A KR20220061426A (ko) 2020-11-06 2020-11-06 리필용 분리 가능 다용도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426A true KR20220061426A (ko) 2022-05-13

Family

ID=8158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398A KR20220061426A (ko) 2020-11-06 2020-11-06 리필용 분리 가능 다용도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14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3679B2 (ja) フォーム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のためのハウジングならびにそれらのための貯蔵ホルダ
US9146144B2 (en) Portable refillable cream dispenser
US7258251B2 (en) Multi-chambered dispensing container
US6367662B1 (en) Liquid dispenser
JP6137503B2 (ja) 持ち運び可能な詰替え式のクリームディスペンサ
US20130284764A1 (en) Dispenser with re-sealable floor
US20130134183A1 (en) Liquid delivery system
US20130221037A1 (en) Container for liquid
US20100275948A1 (en) Compact for liquid cosmetics
US5279450A (en) Container with two separate chambers
KR101379846B1 (ko) 디스펜서 용기
JP5208876B2 (ja) 二重容器
JP6189694B2 (ja) レフィルタイプの吐出容器
KR20220061426A (ko) 리필용 분리 가능 다용도 용기
US7537135B2 (en) Measured quantity beverage dispenser
US8905091B2 (en)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cosmetic product
KR20210127889A (ko) 화장품 등 액상 유체 공급장치
US20120132676A1 (en) Liquid dispenser
KR20200074425A (ko) 리필용 분리 가능 다용도 용기
CN215687335U (zh) 一种自动出液装置的容器、给皂装置及储物柜
JP6599405B2 (ja) 液体容器用蓋体及び液体容器
WO2003084842A2 (en) Dispensing system
NZ512593A (en) Liquid container with fluid retaining portion
GB2612842A (en) Improvements in refillable liquid dispenser devices
JP3929631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