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910A -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된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당뇨 활성을 갖는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개체에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된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당뇨 활성을 갖는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개체에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910A
KR20220060910A KR1020200147083A KR20200147083A KR20220060910A KR 20220060910 A KR20220060910 A KR 20220060910A KR 1020200147083 A KR1020200147083 A KR 1020200147083A KR 20200147083 A KR20200147083 A KR 20200147083A KR 20220060910 A KR20220060910 A KR 20220060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gaol
ginger
gingerol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464B1 (ko
Inventor
함정엽
김태정
박영태
최필주
김지율
윤철희
주하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47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464B1/ko
Priority to US17/518,799 priority patent/US20220133835A1/en
Publication of KR20220060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생강, 그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가압하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여 얻어진 생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개체에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된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당뇨 활성을 갖는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개체에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Antidiab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btained from microwave processed ginger and method of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is mellitus}
항 당뇨 활성을 갖는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개체에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유전적 혹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발병되는 전신적인 대사 질환의 일종으로서, 크게 인슐린 의존형인 제 1형 당뇨병과 인슐린 비 의존형인 제 2형 당뇨병으로 분류한다. 제 1형인 인슐린 의존형은 심한 인슐린 결핍으로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고 당뇨병성 산혈증(diabetic ketoacidosis)과 같은 위독한 증상으로 발견되며, 주로 10~2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 발병되기 때문에 소아 당뇨병이라 불리기도 한다. 제 2형 당뇨병은 주로 40대 이후에 발병되며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제 1형과 달리 성인형 당뇨병이라고도 불리며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소가 함께 관여되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전 인자로는 다양한 가족성 집중을 보이는데 예를 들면 일란성 쌍생아간에는 거의 90% 내지 100%에 달하는 질병 일치를 보이며, 부모가 모두 당뇨병일 때 자식의 경우 58%가, 부모 중 한쪽이 당뇨병일 때는 27%에서, 부모가 모두 건강할 때는 0.9%에서 당뇨병이 발병된다고 알려져 있다. 환경적 인자로는 고칼로리 섭취, 운동부족, 비만증, 스트레스 및 약물 남용 등 많은 요인들이 관여하고 있다. 특히, 제 2형 당뇨병의 병인으로 췌장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의 장애와 표적 세포에서 인슐린 작용의 결함 즉, 인슐린 저항성이 모두 관찰되는데 이중 어떠한 변화가 일차적 중요성을 갖는지는 아직 확실치 않다.
당뇨병은 발병 초기에 우수한 혈당 강하제를 투여하여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 치료용 경구 혈당 강하제로는 설포닐우레아제제(sulfonylureas), 비구아나이드계약(biguanides), 아카보스(acarbose) 등이 있는데 이중 설포닐우레아 제제는 작용 시간이 짧고 혈당 강하 효과가 강한 제 2세대 제품이 주로 사용되며, 뚱뚱하지 않은 성인형 당뇨병 환자에게는 비구아나이드계 약물을, 정상 체중 이상의 비만인 당뇨병 환자는 아카보스를 사용된다. 비구아나이드와 아카보스가 설포닐우레아 제제와 가장 큰 차이점 중 의 하나는 저혈당 유발의 빈도가 낮다는 것이다.
이상적인 혈당 강하제는 그 약효가 빨리 나타나서 식후 혈당상승을 막고 짧은 시간 내에 그 효력이 소실되어 불필요한 저혈당을 일으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당뇨병에 특이하게 수반되는 대사 이상을 함께 교정할 수 있는 안전한 경구용 약제이다. 최근 들어, 이러한 혈당 강하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전통 약재 또는 천연 재료를 이용한 당뇨병의 치료법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치료제는 그 부작용을 낮추고 인슐린 의존형 및 비의존형 당뇨병을 동시에 치료할 수있는 치료제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동양 의학계에서 사용되어 온 생약재들은 전통적으로 독성이 낮으면서 다양한 치료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수십 종의 생약재를 이용한 단방 또는 합방 처방들에 의한 당뇨병 치료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며, 인슐린 의존형 및 비의존형 당뇨병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생강(生薑, Zingiber officinale)은 이집트, 이라크 등의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유사 이전부터 재배된 생강과의 다년생 초본식물의 근경으로 특유의 향기와 맛을 지니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는 향신료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30년대부터 재배되기 시작하였으며 초기 전남에서 주로 재배 되었지만 재배조건의 개선 및 기후변화로 점차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한 상태이고 현재는 경북과 충청도의 생산량이 국내 생강생산량의 85%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한의학 및 민간처방에서 생강은 주로 건조한 생강(건강, 乾薑)을 활용하여 왔는데,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먹으면 땀이 나고 가래를 삭이는 작용과 더불어 혈액순환과 체온을 조절하여 해열이나 감기, 풍한 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활용되었고,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따르면 생강은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매우며 독이 없다. 오장(五臟)으로 들어가고 담을 삭이며, 기를 내리고, 토하는 것을 멎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풍한사와 습기를 없애고 딸꾹질하며 기운이 치미는 것과 숨이 차고 기침하는 것을 치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신농본초경에는 생강을 계속 먹으면 신명(神明)이 통한다고 하고 한방에서도 방향성(芳香性) 건위약(健胃藥), 교미제(橋味劑)와 구역질 치료용으로도 쓰여 왔다. 또한 이뇨작용이 있어 땀을 내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여 부기를 빼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있으며, 정약용의 다산방(茶山方)에서는 중풍에 생강즙을, 본초학자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신경통, 관절염, 동상 등에 생강즙이나 생강 탕을 뜨겁게 하여 마사지하면 효과적이며, 약의 흡수를 돕는 성질이 있어 각종 한약처방에 생강을 넣어 약물 전달효과를 상승시키는데 활용하였다고 전해진다.
생강 특유의 매운맛을 내는 진저롤과 쇼가올 성분은 다양한 약효를 가지며, 성분의 구조는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 각각 나타낸 바 같이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에서, n=4, 6, 8인 경우, 4-진저롤, 6-진저롤, 및 8-진저롤이고, 화학식 2에서, n=4, 6, 8인 경우, 4-쇼가올, 6-쇼가올, 및 8-쇼가올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화학식 1
Figure pat00002
화학식 2
진저롤은 항암효과를 나타내는데 중요한 바닐릴케톤(vanillylketone) 구조를 가지고 있다. 쇼가올은 생강 중 그 함량이 너무 적어 진저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등한시 되어 왔으나, 가장 함량이 많은 [6]-진저롤에 비해 세포방어기전 유도를 통한 항암활성이 10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6]-쇼가올은 항암 효과 이외에도 심장혈관계질병, 위장관계 및 구토 등에 효능이 있으며, 항염증 효과, 항산화 효과, 항혈전 효과, 신경보호효과, 항비만 효과, 학습 장애 및 기억력 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단순생강 추출물의 가압 마이크로웨이브 가공방법 개발을 통해 생강에 함유된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탈수반응에 의한 [6]-쇼가올, [8]-쇼가올 및 [10]-쇼가올의 함량 증가방법을 개발하였고(한국특허 제10-1514793호), 가압 마이크로웨이브로 가공된 생강추출물과 쇼가올류의 포도당 의존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키는 효능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일 양상은 생강, 그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가압하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여 얻어진 [6]-쇼가올, [8]-쇼가올, 및 [10]-쇼가올의 함량이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함량보다 20중량% 이상 더 높은 생강 추출물로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2 기압 내지 100 기압하에서 수행하는 것인 생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항 당뇨 활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생강, 그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가압하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여 얻어진 [6]-쇼가올, [8]-쇼가올, 및 [10]-쇼가올의 함량이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함량보다 20중량% 이상 더 높은 생강 추출물로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2 기압 내지 100 기압하에서 수행하는 것인 생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항 당뇨 활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한국 특허 10-151479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사용된 상기 추출물은 생강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한 후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120℃ 내지 200℃에서 30 분 내지 90 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산성물질의 존재하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성 물질은 아세트산, 리신, 루신, 또는 그 조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사용된 상기 추출물은 생강의 물, C1-C4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조추출물; 그 조추출물의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메탄올,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용매 분획물; 또는 그 용매 분획물의 정제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생강 추출물은 [6]-쇼가올, [8]-쇼가올, [10]-쇼가올,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총 중량 중 [6]-쇼가올, [8]-쇼가올, 및 [10]-쇼가올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생강 추출물은 [6]-쇼가올, [8]-쇼가올, [10]-쇼가올,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총 중량 중 [6]-쇼가올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생강 추출물은 [6]-쇼가올, [8]-쇼가올, [10]-쇼가올,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총 중량 중 [6]-쇼가올, [8]-쇼가올, 및 [10]-쇼가올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생강 추출물은 [6]-쇼가올, [8]-쇼가올, [10]-쇼가올,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함량으로서 [6]-쇼가올, [6]-진저롤, 및 [8]-진저롤을 7.5 내지 12.5 중량%; 2.5 내지 7.5 중량%; 80 내지 90 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생강 추출물은 조 추출물을 에탄올로 분획한 분획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생강 추출물의 분획물은 [6]-쇼가올, [8]-쇼가올, [10]-쇼가올,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함량으로서 [6]-쇼가올, [6]-진저롤, 및 [8]-진저롤을 7.5 내지 12.5 중량%; 2.5 내지 7.5 중량%; 80 내지 90 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생강 추출물의 분획물은 [6]-쇼가올, [8]-쇼가올, [10]-쇼가올,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총 중량 중 [6]-쇼가올, [8]-쇼가올, 및 [10]-쇼가올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생강 추출물의 분획물은 [6]-쇼가올, [8]-쇼가올, [10]-쇼가올,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총 중량 중 [6]-쇼가올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생강 추출물의 분획물은 [6]-쇼가올, [8]-쇼가올, [10]-쇼가올,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총 중량 중 [6]-쇼가올, [8]-쇼가올, 및 [10]-쇼가올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은 70 내지 90% 수용액인 것일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후, 감압증류 또는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쇼가올이 증대된 생강 가공물을 얻을 수 있다. 감압증류의 경우 온도는 예를 들면, 10~40 ℃, 또는 20~30 ℃에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동결건조는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건조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원료 생강 추출물과 마이크로웨이브 생강 가공물은 함유 성분에 따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된 분획물 또는 정제된 단일 성분일 수 있다.
원료 생강 추출물과 마이크로웨이브 생강 가공물의 분획물은 역상 플레쉬 컬럼크로마토그래피(Reversed-phase Silica Gel Flash Chromatography) 방법으로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픈 컬럼에 C18 ODS (Octadecyl-silica)를 채우고 원료 생강 추출물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생강 가공물을 에탄올 20%, 40%, 60%, 80% 수용액과 100% 에탄올 및 100% 아세톤을 각각 차례로 흘려준 후 용리액을 받아 감압증류하여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원료 생강 추출물과 마이크로웨이브 생강 가공물을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및 정제하여 단일성분을 얻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크로마토그래피는 예를 들어 역상 분취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reverse phase preparativ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Prep-HPLC)일 수 있다.
역상 분취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조건은, 시료의 양과 사용되는 관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는 있으나, 통상은 역상 분취 컬럼 (Phenomenex사 Luna C18(2)컬럼, 입자크기 10㎛, 컬럼크기 250 x 21.20mm)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Gilson Companion) 기기에 준비하고 원료 생강 추출물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가공생강을 초기 용리액에 용해하여 주입한 뒤, 용리액을 메탄올:물 50:50에서 100:0으로 전개시켜 60~90분간 진행시키면서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세포의 인슐린 분비능을 촉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생강 추출물은 조 생강 추출물을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및 에탄올과 같은 C1-C6의 알콜로 분획한 분획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메탄올 또는 에탄올은 70 내지 90%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당뇨의 예방 또는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완충제 및 기타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개선에 유용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 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이 있다. 이들 제형은 유효 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또는 식품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 형태로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면,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면, 두피에 국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약물의 1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당뇨 진행 정도, 발병 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용량은 예를 들면,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조성물 1㎍/kg 내지 200 mg/kg, 또는 50㎍/kg 내지 50 mg/kg을 1일 1 내지 3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식품학적 조성물은 생강, 그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가압하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여 얻어진 [6]-쇼가올, [8]-쇼가올, 및 [10]-쇼가올의 함량이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함량보다 20중량% 이상 더 높은 생강 추출물로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2 기압 내지 100 기압하에서 수행하는 것인 생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이면 임의의 식품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식품은 유제품, 껌, 과자, 또는 음용 액체의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개체는 당뇨를 갖고 있거나 가질 가능성이 높은 개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사람, 돼지, 고양이, 개 또는 소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당뇨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유효한 양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일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는 피부를 통한 주사를 통한 투여일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개체의 당뇨 진행 정도, 발병 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투여량은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조성물 1㎍/kg 내지 200 mg/kg, 또는 50㎍/kg 내지 50 mg/kg을 1일 1 내지 3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항 당뇨 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의하면, 개체의 당뇨를 예방 또는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개체에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의하면, 당뇨병을 효율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g는 생강 에탄올 추출물의 20% 에탄올, 40% 에탄올, 60% 에탄올, 80% 에탄올, 100% 에탄올, 및 100% 아세톤 분획물을 역상-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2g는 가압하에서 생강 에탄올 추출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여 얻어진 생강 추출물의 20% 에탄올, 40% 에탄올, 60% 에탄올, 80% 에탄올, 100% 에탄올, 및 100% 아세톤 분획물을 역상-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생강 추출물과 마이트로웨이브 생강 가공물의 경구당부하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생강 함유 단일 성분의 투여가 경구 당부하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글루코스를 경구투여 후 15, 30, 60, 및 120분 경과 후 미정맥에서 채혈하여 경구 당부하 검사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를 통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순 열건조를 통한 생강 가공물의 제조
생강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단순 가공을 통한 생강 가공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건조되지 않은 생강 100g을 잘라 100℃에서 6시간 및 12시간 동안 증기로 증숙한 후 건조하여 증숙생강을 수득하였다. 위와 같이 단순가공된 생강에 에탄올 80 부피% 수용액 800mL를 넣고 70℃에서 3 시간 환류 추출하고 용매를 감압 증발시켜 건조하여 단순 가공 생강 추출물을 분말형태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2: 가압하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된 생강가공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가공방법은 단순 생강추출물을 등록특허 제10-1514793호의 가압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의한 쇼가올 함유량 증가 생강 가공방법 따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원료 생강 건조 추출물 10g을 가압 마이크로웨이브 조사기 (CEM 사, 제조된 모델번호 909150, 미국)의 80 mL 용기 중의 에탄올 50 부피% 수용액 50 mL 중에 첨가하고 용기를 밀봉한 후 가공온도를 140℃로 고정한 상태에서 100W (주파수 2455 MHz)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시켰다. 가공 종결 후 동결건조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된 생강 가공물을 분말형태로 수득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시 압력은 6 바 (bar)이었다.
실시예 3: 생강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원료 생강 분획물은 역상 플레쉬 컬럼크로마토그래피 (Reversed-Phase Silica Gel Flash Chromatography) 방법으로 얻었다.
구체적으로, 직경 3cm의 유리 컬럼에 C18 ODS (Octadecyl-silica)를 20cm 높이로 채우고 원료 생강 추출물 즉, 실시예1에서 얻은 생각 추출물 2g을 일정한 두께로 넣은 후 200mL에탄올 20%, 40%, 60%, 80% 수용액과 100% 에탄올 및 100% 아세톤을 각각 차례로 흘려준 후 용리액을 받아 감압증류하여 840mg, 233mg, 225mg, 115mg, 131mg, 및 49mg의 분획물을 각각 얻었다.
도 1a 내지 1g는 생강 에탄올 추출물의 20% 에탄올, 40% 에탄올, 60% 에탄올, 80% 에탄올, 100% 에탄올, 및 100% 아세톤 분획물을 역상-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 4: 생강 가공물의 분획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마이크로웨이브 가공생강 분획물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생강 가공물을 사용하여 역상 플레쉬 컬럼크로마토그래피 (Reversed-Phase Silica Gel Flash Chromatography) 방법으로 얻었다.
구체적으로, 직경 3cm의 유리 컬럼에 C18 ODS (Octadecyl-silica)를 20cm 높이로 채우고 마이크로웨이브 생강 가공물 2g을 일정한 두께로 넣은 후 200mL에탄올 20%, 40%, 60%, 80% 수용액과 100% 에탄올 및 100% 아세톤을 각각 차례로 흘려준 후 용리액을 받아 감압증류하여 428mg, 323mg, 369mg, 145mg, 167mg, 및 67mg의 분획물을 각각 얻었다.
도 2a 내지 2g는 가압하에서 생강 에탄올 추출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여 얻어진 생강 추출물의 20% 에탄올, 40% 에탄올, 60% 에탄올, 80% 에탄올, 100% 에탄올, 및 100% 아세톤 분획물을 역상-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 5: [6]-, [8]-, [10]-진저롤 및 [6]-, [8]-, [10]-쇼가올 단일 성분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2에 따른 생각추출물과 마이크로웨이브 생강가공물로부터 [6]-, [8]-, [10]-진저롤 및 [6]-, [8]-, [10]-쇼가올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역상 분취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고정상: Phenomenex사 Luna C18(2) 컬럼, 입자크기 10μm, 컬럼크기 250 x 21.20 mm)를 통해 용리액을 초기 아세토니트릴 30%부터 100% 로 60~90분, 유속 8 mL/min으로 전개시켜 UV 282 nm에서 나타나는 피크 6개를 얻었다. 이들 중 피크 1 내지 6은 역상 준 분취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고정상: Phenomenex사 Gemini 6 Phenyl 컬럼, 입자크기 5 μm, 컬럼크기 250 x 10 mm)를 통해 용리액을 초기 메탄올 50%부터 100%로 전개시켜 60 내지 90분간 유속 4 mL/min으로 흘려 주어 [6]-, [8]-, [10]-진저롤, 및 [6]-, [8]-, [10]-쇼가올 화합물을 얻었다.
상기 화합물은 핵자기공명분광기(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NMR), 질랑 분광광도계(mass spectroscopy) 등을 통하여 구조를 규명하였고, 기존 문헌정보와 비교하여 [6]-, [8]-, [10]-진저롤 및 [6]-, [8]-, [10]-쇼가올 임을 확인하였다. 분리한 화합물들의 화학 구조식은 상기한 화학식 1 및 2와 같다.
실험예 1: 생강 추출물과 그 분획물, 증숙생강 추출물, 마이크로웨이브 생강 가공물과 그 분획물, 및 단일성분의 인 비트로 인슐린 분비능 평가
1. 실험 방법
쥐의 인슐린종 세포주 INS-1 (Biohermes, Shanghai, China)을 사용하여 인슐린 분비능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1) INS-1 세포배양
세포주 INS-1 (Biohermes, Shanghai, China)는 쥐의 인슐린 종(insulinmoa)으로서 인슐린 분비능을 갖는다. 37 ℃, 90 % 공기 및 10 % CO2 상태에서 10% 소태아 혈청 (fetal bovine serum, FBS), 페니실린 G 100 유닛/mL, 스트렙토미신 100 ㎍/ml, 10 mM 헤페스 (HEPES), 2 mM L-글루타민, 1 mM 소듐피루베이트 및 0.05 mM 2-메르캅토 에탄올이 보충된 RPMI1640 (Cellgro, Manassas, VA, USA) 배지에서 INS-1 세포를 배양하였다. 상기 언급된 성분 중 제조사 언급이 없는 시약은 Gibco BRL, Life Technologies로부터 구입하였다.
(2) INS-1 세포 독성 측정
배양된 INS-1 세포를 웰 당 1x104 개로 96-웰 플레이트에 동일 배지 100μL 중에 분주하고 배양하여 24 시간 동안 세포가 안정되도록 하였다. 그 후 생강 추출물, 각 분획물 및 단일 화합물을 지정된 농도로 첨가하고, 24 시간 배양한 후 10μL의 CCK-8 (CCK-8, Dojindo Laboratories, Japan) 시약을 각 웰에 첨가 후, 37℃에서 배양하였다. 1시간 후 BIO-TEK (Winooski, VT, USA)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microplate reader)에서 4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지정된 농도는 상기 생강 추출물 및 각 분획물은 각각 1㎍/mL, 2.5㎍/mL, 및 5㎍/mL 농도로, 단일 화합물은 1μM, 2.5μM, 및 5μM 농도이다.
표 1은 쥐의 인슐린 종 세포인 INS-1 세포에 대한 생강 추출물, 증숙생강 6h과 12h 추출물, 생강 추출물의 분획물, 마이크로웨이브 생강 가공물과 그 분획물의 독성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구분 도(㎍/mL) 세포생존율(%)
생강 추출물 1 99.5±2.0
2.5 97.8±0.2
5 98.4±3.7
증숙생강 6h 1 101.5±1.3
2.5 98.8±1.7
5 95.3±1.2
증숙생강 12h 1 97.4±2.7
2.5 98.4±3.3
5 98.6±3.2
MW생강 가공물 1 97.0±4.8
2.5 101.4±3.5
5 102.8±3.3
생강 추출물 F1 1 104.3±4.8
2.5 101.0±3.3
5 101.7±2.9
생강 추출물 F2 1 102.7±2.0
2.5 102.7±4.8
5 101.9±3.3
생강 추출물 F3 1 91.6±1.8
2.5 93.8±3.1
5 102.5±0.3
생강 추출물 F4 1 105.4±2.7
2.5 100.3±2.6
5 103.5±1.0
생강 추출물 F5 1 99.9±2.7
2.5 100.3±3.0
5 101.3±2.0
생강 추출물 F6 1 99.4±2.1
2.5 100.0±2.5
5 100.0±2.1
MW생강 가공물 F1 1 102.3±1.0
2.5 103.5±3.5
5 105.6±3.6
MW생강 가공물 F2 1 98.6±3.6
2.5 97.0±0.4
5 99.9±3.3
MW생강 가공물 F3 1 101.3±4.1
2.5 99.1±3.2
5 98.5±4.3
MW생강 가공물 F4 1 107.3±4.5
2.5 100.2±3.8
5 102.4±4.5
MW생강 가공물 F5 1 105.6±3.8
2.5 100.5±4.2
5 98.8±2.7
MW생강 가공물 F6 1 96.5±3.7
2.5 97.3±3.2
5 102.3±3.8
표 2는 쥐의 인슐린 종 세포인 INS-1 세포에 대한 생강 함유 단일 화합물인 [6]-, [8]-, [10]-진저롤 및 [6]-, [8]-, [10]-쇼가올과 글리클라자이드의 독성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구분 농도(μM) 세포생존율(%)
[6]-진저롤 1 98.1±2.7
2.5 98.7±2.3
5 98.2±3.5
[8]-진저롤 1 97.4±1.0
2.5 96.1±2.2
5 96.4±1.4
[10]-진저롤 1 99.3±1.6
2.5 100.6±3.3
5 100.7±3.5
[6]-쇼가올 1 101.1±0.4
2.5 101.8±0.7
5 101.2±0.2
[8]-쇼가올 1 94.0±2.6
2.5 96.3±1.9
5 92.4±1.7
[10]-쇼가올 1 101.9±2.2
2.5 99.8±3.9
5 99.6±3.3
글리클라자이드 1 99.7±0.2
2.5 96.3±0.9
5 91.1±1.4
표 1과 2에서, 세포 생존율은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세포 생존율 (%) = A/B x 100
A: 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
B: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
표 1과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강 추출물, 증숙생강 6h과 12h 추출물, 생강 추출물의 분획물, 마이크로웨이브 생강 가공물과 그 분획물, 생강 함유 단일 화합물인 [6]-진저롤, [8]-진저롤, [10]-진저롤, [6]-쇼가올, [8]-쇼가올, 및 [10]-쇼가올은 INS-1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3) 포도당 자극에 의한 INS-1 세포 인슐린 분비능(GSIS, glucose stimulated insulin secretion) 측정
배양된 INS-1 세포를 웰 당 5x105 개로 12-웰 플레이트에 동일 배지 2mL 중에 분주하고 24 시간 동안 상기 "(1) INS-1 세포배양"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하여 세포가 안정되도록 하였다. 그 후, 114 mM 염화나트륨 (NaCl), 4.4 mM 염화칼륨(KCl), 1 mM 황산마그네슘(MgSO4), 1.28 mM 염화 칼슘(CaCl2), 29.5 mM 탄산수소나트륨(NaHCO3), 10 mM 헤페스 (HEPES; Gibco BRL Life Technologies), 및 0.1% 소혈청알부민(BSA)을 혼합한 후 수소 이온 농도를 pH 7.4로 맞춘 크렙스-링거완충액(Krebs-Ringer buffer) 2 mL으로 2회 세척하였다. 그 후, 세척된 세포에 크렙스-링거완충액 2 mL를 첨가하고 1시간 배양한 후, 생강 추출물, 각 분획물 및 화합물을 지정된 농도로 크렙스-링거완충액 1.8 mL 중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지정된 농도는 상기 생강 추출물 및 각 분획물은 각각 1 ㎍/mL, 2.5 ㎍/mL, 및 5 ㎍/mL 농도로, 단일 화합물은 1 μM, 2.5 μM, 및 5 μM 농도이다.
상기 웰에 33 mM 및 167 mM 포도당을 함유한 크렙스-링거완충액(Krebs-Ringer buffer) 0.2 mL를 각각 첨가하고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4 ℃에서 10 분간 12,000 rpm으로 원심분리한 뒤, 상층액을 취하여 Rat insulin RIA kit (Gentaur Molecular Products, Belgium)로 인슐린 양을 측정하였다. 자극지수(stimulation index, SI)는 고 포도당 농도에서 측정된 값 즉, 16.7 mM 포도당 농도의 자극에 의해 분비된 인슐린의 양을 저 포도당 농도에서 측정된 값 즉, 3.3 mM 포도당 농도의 자극에 의해 분비된 인슐린의 양으로 나눈 것으로 값이다. 측정된 자극지수는 표 3과 표 4에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글리클라지드(gliclazide)를 2.5, 5.0, 10, 및 20 μM 농도를 사용하였다.
표 3은 쥐의 인슐린 종 세포인 INS-1 세포에 대한 생강 추출물, 증숙생강 6h과 12h 추출물, 생강 추출물의 분획물, 마이크로웨이브 생강 가공물과 그 분획물의 인슐린 분비능 결과를 나타낸다.
구분 농도(㎍/mL) 자극지수(SI)
생강 추출물 1 5.1±0.1
2.5 7.7±0.2
5 6.4±0.4
증숙생강 6h 1 6.1±.02
2.5 3.7±0.0
5 2.5±0.1
증숙생강 12h 1 2.2±0.5
2.5 2.7±0.0
5 4.2±0.0
MW생강 가공물 1 6.5±0.6
2.5 6.0±0.2
5 12.4±0.4
생강 추출물 F1 1 1.2±0.0
2.5 1.4±0.1
5 4.3±0.3
생강 추출물F2 1 2.3±0.0
2.5 2.9±0.1
5 6.2±0.1
생강 추출물F3 1 3.2±0.3
2.5 2.3±0.0
5 2.7±0.1
생강 추출물F4 1 1.3±0.0
2.5 2.8±0.1
5 4.1±0.0
생강 추출물F5 1 5.7±0.1
2.5 6.7±0.3
5 10.8±0.6
생강 추출물F6 1 2.4±0.0
2.5 3.1±0.0
5 3.9±0.2
MW생강 가공물 F1 1 3.1±0.1
2.5 4.5±0.0
5 5.4±0.0
MW생강 가공물 F2 1 4.9±0.0
2.5 6.2±0.2
5 7.4±0.0
MW생강 가공물 F3 1 1.2±0.0
2.5 1.5±0.0
5 6.4±0.1
MW생강 가공물 F4 1 2.1±0.0
2.5 8.5±1.1
5 18.1±0.5
MW생강 가공물 F5 1 2.3±0.0
2.5 3.4±0.2
5 3.0±0.0
MW생강 가공물 F6 1 1.0±0.0
2.5 5.0±0.0
5 5.3±0.1
표 4는 쥐의 인슐린 종 세포인 INS-1 세포에 대한 생강 함유 단일 화합물인 [6]-, [8]-, [10]-진저롤 및 [6]-, [8]-, [10]-쇼가올과 글리클라자이드의 인슐린 분비능 결과를 나타낸다.
구분 농도(μM) 자극지수(SI)
[6]-진저롤 1 2.4±0.0
2.5 2.2±0.1
5 2.3±0.1
[8]-진저롤 1 1.1±0.0
2.5 1.5±0.0
5 2.1±0.0
[10]-진저롤 1 1.7±0.2
2.5 1.7±0.1
5 1.5±0.1
[6]-쇼가올 1 3.0±.0
2.5 3.5±0.1
5 4.8±0.0
[8]-쇼가올 1 1.3±0.1
2.5 1.5±0.1
5 1.8±0.1
[10]-쇼가올 1 1.9±0.0
2.5 1.4±0.0
5 1.4±0.1
글리클라자이드 1 1.3±0.0
2.5 1.9±0.1
5 3.0±0.1
표 5는 생강 가공물 F1 내지 F6에 대하여 UPLC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해 단일 성분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각 단일 성분을 10, 25, 50, 100, 및 250 ppm으로 제조하여 UPLC 분석 후 검증선을 작성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생강 가공물의 분획물을 분석하여 [6]-진저롤, [8]-진저롤, [10]-진저롤, [6]-쇼가올, [8]-쇼가올, 및 [10]-쇼가올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5에 분획물 1g 당 mg 수로 나타내었다.
시료 [6]-진저롤 [8]-진저롤 [10]-진저롤 [6]-쇼가올 [8]-쇼가올 [10]-쇼가올 합계
MW생강
가공물 F1
- - - - - - -
MW생강
가공물 F2
- - - - - - -
MW생강
가공물 F3
- - - - - - -
MW생강
가공물 F4
17.0 7.2 - 118.9 - - 143.1
MW생강
가공물 F5
- - 3.9 41.9 24.3 36.6 106.7
MW생강
가공물 F6
- - - 0.5 - - 0.5
표 3과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생강 추출물, 증숙생강 6h과 12h 추출물, 생강 분획물, 마이크로웨이브 생강가공물과 그 분획물, 생강 함유 단일 화합물인 [6]-진저롤, [8]-진저롤, [10]-진저롤, [6]-쇼가올, [8]-쇼가올, 및 [10]-쇼가올의 존재하에서 INS-1 세포는 농도 의존적으로 인슐린을 분비하였다. 특히 생강 추출물, 증숙생강 추출물 및 마이크로웨이브 생강 가공물의 비교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생강 가공물의 인슐린 분비능이 현저히 증가하였고, 분획물 비교에서는 생강 가공물 에탄올 80% 분획물(생강 가공물 F4)에서 가장 좋은 인슐린분비능을 확인하였다. UPLC를 통한 함유 성분 분석결과 분획물 내 총 진저롤, 쇼가올 함량 중 [6]-, [8]-, [10]-쇼가올 함량이 83% 일 때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6]-쇼가올이 80% 이상일 때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를 근거로 생강 함유 단일성분인 진저롤류와 쇼가올류의 인슐린 분비능을 확인한 표 4의 결과로부터 [6]-쇼가올이 다른 성분에 비해 INS-1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경구당부하실험(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결과
OGTT 실험으로 ICR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실험 전 12시간 절식시킨 다음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공복 시 혈당수준을 측정하여 초기혈당으로 한 후 글루코스 (2 g/Kg) 투여군 (control), 글루코스와 원료생강 추출물(100 mg/kg, Not processed) 투여군, 마이크로웨이브 생강 가공물(100 mg/kg, Processed) 투여 군으로 실험하였다. 농도 별로 경구 투여한 후 1시간 후에 글루코스를 경구투여하고 0, 15, 30, 60, 및 120분에 꼬리정맥으로부터 혈당측정기로 측정하였다. 도 3은 생강 추출물과 마이크로웨이브 생강 가공물의 경구당부하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생강 투여가 경구 당부하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글루코스를 경구투여 후 15, 30, 60, 및 120분 경과 후 미정맥에서 채혈하여 경구 당부하 검사에 의해 측정된 결과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글루코스 투여 15분 후부터 혈당이 상승되기 시작하였다. 대조군과 원료생강 추출물보다 마이크로웨이브 생강 가공물의 섭취군에서 혈당치의 상승이 현저히 감소되어 당 내성을 낮추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생강의 단일성분의 효능을 실험하기 위해, 12시간 절식시킨 마우스의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공복 시 혈당수준을 측정하여 초기혈당으로 한 후, 글루코스 (2 g/kg) 투여군 (control), 글루코스와 6-진저롤 (10 mg/mL) 투여군, 글루코스와 6-쇼가올 (10 mg/mL) 투여 군으로 실험하였다. 6-진저롤와 6-쇼가올을 각 농도 별로 투여한 후 1시간 후에 글루코스를 경구투여하고 0, 15, 30, 60, 및 120분에 꼬리정맥으로부터 혈당측정기로 측정하였다.
도 4는 생강 함유 단일 성분의 투여가 경구 당부하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글루코스를 경구투여 후 15, 30, 60, 및 120분 경과 후 미정맥에서 채혈하여 경구 당부하 검사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글루코스 투여 15분 후부터 혈당이 상승되기 시작하였다. 대조군과 [6]-진저롤 보다 [6]-쇼가올의 섭취군에서 혈당치의 상승이 현저히 감소되어 당 내성을 낮추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생강 추출물을 마이크로웨이브로 조사할 경우 [6]-, [8]-, [10]-진저롤이 탈수반응을 통해 각각 [6]-, [8]-, 및 [10]-쇼가올로 전환되어 쇼가올류의 함유량이 증가된 생강 가공물을 얻을 수 있었고,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 생강 가공물 및 특히 [6]-쇼가올 함유량이 많은 분획물(생강 가공물 F4)과 [6]-쇼가올 단일 화합물이 췌장세포를 자극하여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효과를 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3)

  1. 생강, 그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가압하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여 얻어진 [6]-쇼가올, [8]-쇼가올, 및 [10]-쇼가올의 함량이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함량보다 20중량% 이상 더 높은 생강 추출물로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2 기압 내지 100 기압하에서 수행하는 것인 생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사용된 상기 추출물은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한 후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120℃ 내지 200℃에서 30 분 내지 90 분 동안 수행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사용된 상기 추출물은 생강의 물, C1-C4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조추출물; 그 조추출물의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용매 분획물; 또는 그 용매 분획물의 정제물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강 추출물은 [6]-쇼가올, [8]-쇼가올, [10]-쇼가올,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총 중량 중 [6]-쇼가올, [8]-쇼가올, 및 [10]-쇼가올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강 추출물은 [6]-쇼가올, [8]-쇼가올, [10]-쇼가올,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총 중량 중 [6]-쇼가올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강 추출물은 [6]-쇼가올, [8]-쇼가올, [10]-쇼가올,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총 중량 중 [6]-쇼가올, [8]-쇼가올, 및 [10]-쇼가올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강 추출물은 [6]-쇼가올, [8]-쇼가올, [10]-쇼가올,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함량으로서 [6]-쇼가올, [6]-진저롤, 및 [8]-진저롤을 7.5 내지 12.5 중량%; 2.5 내지 7.5 중량%; 80 내지 90 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강 추출물은 조 추출물을 에탄올로 분획한 분획물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70 내지 90% 수용액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세포의 인슐린 분비능을 촉진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2. 생강, 그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가압하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여 얻어진 [6]-쇼가올, [8]-쇼가올, 및 [10]-쇼가올의 함량이 [6]-진저롤, [8]-진저롤, 및 [10]-진저롤의 함량보다 20중량% 이상 더 높은 생강 추출물로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는 2 기압 내지 100 기압하에서 수행하는 것인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
  13.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KR1020200147083A 2020-11-05 2020-11-05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된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당뇨 활성을 갖는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개체에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KR102602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083A KR102602464B1 (ko) 2020-11-05 2020-11-05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된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당뇨 활성을 갖는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개체에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US17/518,799 US20220133835A1 (en) 2020-11-05 2021-11-04 Antidiabetic composition comprising ginger extract obtained from microwave-processed ginger and method of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is melli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083A KR102602464B1 (ko) 2020-11-05 2020-11-05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된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당뇨 활성을 갖는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개체에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910A true KR20220060910A (ko) 2022-05-12
KR102602464B1 KR102602464B1 (ko) 2023-11-16

Family

ID=8138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083A KR102602464B1 (ko) 2020-11-05 2020-11-05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된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당뇨 활성을 갖는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개체에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133835A1 (ko)
KR (1) KR1026024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793B1 (ko) * 2013-06-24 2015-04-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쇼가올 함량이 증가된 생강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793B1 (ko) * 2013-06-24 2015-04-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쇼가올 함량이 증가된 생강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 J. Mol. Sci. 2017, 18, 16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33835A1 (en) 2022-05-05
KR102602464B1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nta et al. Hypoglycemic activity of leaf organic extracts from Smallanthus sonchifolius: Constituents of the most active fractions
Ghimire et al. Moringa oleifera: A tree of life as a promising medicinal plant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KR101062670B1 (ko) 2,5-비스-아릴-3,4-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이엠피케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erra-Barcellona et al. Smallanthus macroscyphus: a new source of antidiabetic compounds
KR102602464B1 (ko)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된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당뇨 활성을 갖는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개체에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Aguh et al. Hypoglycaemic activity and nephro-protectective effect of Bauhinia rufescens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Zhang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distribution,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mechanisms of action of sesamin
KR100685472B1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32174B1 (ko) 에리스리나 아비시니카로부터 얻은 에이엠피케이를 활성화시키는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20733A (ko) 방풍통성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2형 당뇨 또는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Batool et al. Delving the Role of the Ameliorative Effects of Caralluma tuberculata NE Br.(Apocynaceae) on Diabetes and Its Effect on the Organs Weight of Alloxan-Induced Adult Male Mice
KR20050003665A (ko) 식방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KR20200117404A (ko) 산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377094B1 (ko) 감비경신환 (4)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38398B1 (ko) 청미래덩굴잎 분획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8432A (ko) 치커리 추출물을 함유한 당뇨병 치료용 약학조성물
Alhabeeb et al. The protective effect of Moringa olifera against complications of type2 diabetes mellitus in male albino rats.: Effect of Moringa olifera on Diabetes
KR20100083598A (ko) 인삼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2형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83341B1 (ko) 잣나무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용 조성물
KR101468658B1 (ko) 감비경신환 (1)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Sehajpal et al. A Review on Gymnema sylvestre Pharmacognostical Profile and its Anti-hyperglycemic Activity.
KR101475352B1 (ko) 감비경신환 (2)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92995B1 (ko) 피페로날의 신규한 용도
Ifeanacho et al. Biochemical effect of varied mixtures of extracts of Vernonia amygdalina (bitter leaf) and Gnetum africanum (Okazi leaf) on alloxan induced diabetic wistar rats
KHAN et al. Isolation of caccigenin and investigation of anti-diabetic properties of tropical almond (Terminalia schimperiana) root bark extracts on albino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