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383A - 건조기 및 그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건조기 및 그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383A
KR20220060383A KR1020200146322A KR20200146322A KR20220060383A KR 20220060383 A KR20220060383 A KR 20220060383A KR 1020200146322 A KR1020200146322 A KR 1020200146322A KR 20200146322 A KR20200146322 A KR 20200146322A KR 20220060383 A KR20220060383 A KR 20220060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modulator
stator
drum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5021B1 (ko
Inventor
송준영
김윤욱
남형욱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6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021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6/00Machines with more than one rotor or stator
    • H02K16/02Machines with one stator and two or mor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04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조기 및 그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 구동장치는 고정자, 고정자의 외측을 둘러 감싸며 고정자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자, 제1 회전자의 외측을 둘러 감싸도록 원형으로 배치되며, 고정자와 연결 고정되는 모듈레이터, 및 모듈레이터의 외측을 둘러 감싸며 제1 회전자와 동기되어 고정자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자를 포함한다. 제1 회전자는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를 송풍 하는 팬과 연결되어 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제2 회전자는 드럼에 감겨진 벨트와 연결되어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일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를 이용하여 저토크/고속의 팬 구동과 고토크/저속의 드럼 구동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기 및 그 구동장치{DRYING APPARATUS AND DRIVING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조기 및 그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기기는 의류를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여러 방식으로 처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의류기기에는 세탁기, 탈수기, 건조기 등의 세탁물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건조기는 세탁을 마친 세탁물을 드럼 내부로 투입 받은 후,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건조기는 의류의 건조 후 드럼에서 배출된 습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건조기는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배기 또는 응축과정에서 버려지는 열에너지를 공기의 가열에 이용하여 에너지 소모를 절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건조기는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를 건조시킴에 따라 의류의 양과 종류 등에 따라 건조 시간을 설정하여 의류의 건조 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건조기에는 드럼 회전, 즉 드럼 구동용 모터와, 공기를 순환하여 공급시키기 위한 팬 구동용 모터가 필요하다.
이때, 건조기에 적용되는 팬 구동용 모터는 저토크/고속 모터가 필요하다. 이와 반대로, 드럼 구동용 모터는 드럼의 기동을 위해 고토크/저속 모터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팬 구동용 모터와 드럼 구동용 모터의 부하를 모두 만족시키는 단일의 모터가 없었기에, 종래에는 팬을 기준으로 모터를 설계하고 드럼의 구동에 필요한 부하는 풀리 등을 이용하여 토크를 증대시켰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팬 구동 및 드럼 구동의 부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감속비가 부족한 드럼에는 복수 개의 풀리 등을 적용해야 했다. 또한, 팬의 유량이 부족할 경우 팬의 개수를 더 추가해야 하는 등 많은 불편이 따랐다.
종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9204호(이하, 선행문헌 1)은 의류 건조기 모터 어셈블리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선행문헌 1에 개시된 의류 건조기 모터 어셈블리는 팬을 회전시키는 제1 전기 모터, 드럼을 벨트로 회전시키는 제2 전기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2 전기 모터 각각이 팬과 드럼의 구동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선행문헌 1은 팬의 구동과 드럼의 구동을 위해 각각 고정자 및 회전자를 포함하는 2개의 전기 모터를 이용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모터의 전체 사이즈가 커질 수 밖에 없으며, 제1, 2 전기 모터가 함께 연결된 구조로서 모터 내부 구조가 복잡하며, 동작의 신뢰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1610호(이하, 선행문헌 2)에는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선행문헌 2에 개시된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는 자속 변조 철심을 이용하여 로터에서 전달하는 토크를 증대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해, 자속 변조 철심이 모터가 낼 수 있는 토크를 증대시키는 기어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자석을 이용하여 기어 효과를 낼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선행문헌 2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는 고토크/저속 회전자가 1개 구비되므로, 저토크/고속이 필요한 팬 구동을 위한 회전자가 없어, 건조기의 모터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한편, 종래의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4723호(이하, 선행문헌 3)에는 이중 여자 마그네틱 기어드 전동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선행문헌 3에 개시된 이중 여자 마그네틱 기어드 전동기는 마그네틱 기어의 회전자를 여자 권선으로 대체하여 제어 및 작동되는 방식의 모터를 개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 모듈레이터의 내, 외측에 존재하는 회전자를 고정자 여자 권선의 제어를 통한 회전 자계로 대체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선행문헌 3의 이중 여자 마그네틱 기어드 전동기에 따르면, 내, 외측 고정자의 여자 권선 별도 제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력 반도체 장치가 적어도 두 배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선행문헌 3에 따르면 실제 기구적으로 동작하는 회전자가 1개인데, 이 회전자는 고토크/저속으로 동작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저토크/고속의 팬 구동을 위한 회전자의 부재로 인하여 건조기의 모터로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920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저토크/고속의 팬 구동과 고토크/저속의 드럼 구동의 모터 부하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단일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가 적용된 건조기의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토크 드럼 구동을 위한 복잡한 토크 극대화 구조물(예: 복수의 풀리, 아이들 등)의 사용을 배제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모터의 출력토크는 향상된 건조기의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토크/고속의 팬 구동과 고토크/저속의 드럼 구동의 모터 부하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단일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가 적용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일의 모터를 가지면서도 건조기 내에서 저토크/고속의 팬 구동과 고토크/저속의 드럼 구동의 모터 부하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건조기의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토크 드럼 구동을 위한 복잡한 토크 극대화 구조물, 예를 들어, 고토크 드럼 구동을 위해 구동벨트의 장력 조절에 사용되었던 종래의 복수 개의 풀리, 아이들러 등의 사용을 배제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모터의 출력토크는 향상된 건조기의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는 고정자, 제1 회전자, 모듈레이터, 제2 회전자를 포함한다.
고정자는 드럼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자는 원형의 고정자의 외측을 환형으로 둘러 감싸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자는 고정자와 달리 회전하는데, 고정자를 중심으로 고정자의 외측에서 회전할 수 있다.
모듈레이터는 제1 회전자의 외측을 둘러 감싸도록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모듈레이터는 서로 다른 극쌍수를 갖는 제1, 2 회전자가 동기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모듈레이터는 자성체와 비자성체를 교차로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모듈레이터는 자성체와 비자성체를 교차로 배치하여 공간적으로 자기적 퍼미언스(permeance)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모듈레이터는 이러한 작용에 의해 제1, 2 회전자의 마그넷에 의한 자속(magnetic flux)의 고조파 조절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모듈레이터는 고정자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레이터는 고정자와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어 고정자에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회전자는 모듈레이터의 외측을 환형으로 둘러 감싸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전자는 모듈레이터에 의해 제1 회전자와 동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자는 고정자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 회전자는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를 송풍 하는 팬과 연결되어 팬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팬은 드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토크/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단일의 팬을 이용하여도 고속 회전하는 팬에 의해 공기의 유량을 만족시킬 수 있다.
제2 회전자는 드럼에 감겨진 벨트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자는 벨트를 이용하여 드럼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드럼은 팬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토크/저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드럼의 출력토크는 대폭 향상되어 토크 극대화를 위한 복수의 풀리, 아이들러 등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제1, 2 회전자는 서로 다른 극쌍수를 가질 수 있다. 내/외측 자속 변조를 발생시키는 모듈레이터를 이용함으로써, 내측의 제1 회전자와 외측의 제2 회전자는 서로 다른 극쌍수 비율만큼의 마그네틱 기어 비를 가질 수 있다.
제1 회전자는 팬의 구동 조건에 부합하도록 상대적으로 저토크/고속 회전에 해당하는 제1 운전조건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자는 드럼의 구동 조건에 부합하도록 상대적으로 고토크/저속 회전에 해당하는 제2 운전조건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모듈레이터는 제1 회전자의 외측과 제2 회전자의 내측 사이에 환형 단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모듈레이터는 자성체와 비자성체를 포함한다. 자성체는 환형 단면의 적어도 일부에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자성체는 환형 단면 중 자성체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자성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듈레이터에 포함되는 자성체와 상기 비자성체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와 비자성체는 모듈레이터의 환형 단면 내에서, 환형 단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성체와 상기 비자성체는 모듈레이터의 환형 단면 내에서,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자와 제1 회전자 사이에는 제1 공극(air gap)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자와 모듈레이터 사이에는 제2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모듈레이터와 제2 회전자 사이에는 제3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자는 제1 회전자 마그넷을 포함한다. 제1 회전자 마그넷은 제1 회전자 내부 마그넷과 제1 회전자 외부 마그넷을 포함한다.
제1 회전자 내부 마그넷은 고정자에 마주하여 제1 회전자의 내측에서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자 외부 마그넷은 모듈레이터의 내부 면에 마주하여 제1 회전자의 외측에서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전자는 제2 회전자 마그넷을 포함한다. 제2 회전자 마그넷은 모듈레이터의 외부 면에 마주하여 제2 회전자의 내측에서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자는 고정자 연결부를 포함한다. 고정자 연결부는 고정자의 일면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모듈레이터는 모듈레이터 고정부와 모듈레이터 연결부를 포함한다.
모듈레이터 고정부는 모듈레이터를 제1 회전자와 제2 회전자 사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모듈레이터 고정부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모듈레이터 연결부는 모듈레이터 고정부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모듈레이터 연결부는 고정자 연결부가 삽입 결합되는 고정자 삽입 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는 서포트를 더 포함한다.
서포트는 드럼의 하부에서 고정자, 제1 회전자, 모듈레이터, 및 제2 회전자를 소정 높이상에 위치시켜 지지할 수 있다.
서포트는 제1 서포트와 제2 서포트를 포함한다.
제1 서포트는 제1 회전자의 회전 중심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서포트는 제1 서포트와 이격하여 위치하며 모듈레이터 연결부를 제1 회전자와 동일 중심을 이루도록 위치시켜 지지할 수 있다.
제1 서포트는 제1 베어링을 포함한다.
제1 베어링은 제1 회전자의 연결축이 제1 서포트를 관통하는 부위에 위치하며, 제1 회전자의 연결축 외경을 접촉 지지하여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제1 회전자의 연결축은 제1 회전자의 일면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회전자의 연결축은 제1 베어링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더 돌출되며, 제1 베어링의 외측에서 팬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서포트는 제2 베어링을 포함한다.
제2 베어링은 제2 회전자의 연결축이 모듈레이터 연결부에 마주하는 부위에 위치하며, 제2 회전자의 연결축 내경을 접촉 지지하여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회전자의 연결축은 제2 회전자의 일면에서 축 방향으로 제2 베어링에 대응하는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벨트는 제2 회전자의 연결축 돌출 부위에 감겨 드럼에 연결되며, 제2 회전자의 회전력을 드럼까지 전달해줄 수 있다.
상기 다른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토크/고속의 팬 구동과 고토크/저속의 드럼 구동의 모터 부하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단일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가 적용된 건조기의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는 캐비닛, 드럼, 팬, 건조기의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캐비닛은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의 개방 공간을 통해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다.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세탁물은 캐비닛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드럼은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드럼은 세탁물을 수용하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럼은 캐비닛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팬은 드럼에 공기를 공급하고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순환시킨 후 재차 공기를 드럼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기를 송풍 시킬 수 있다.
건조기의 구동장치는 드럼과 팬 각각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건조기의 구동장치는 고정자, 제1 회전자, 모듈레이터, 제2 회전자를 포함한다. 고정자는 드럼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자는 고정자의 외측을 둘러 감싸며 고정자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자는 팬과 연결되어 팬을 회전시킬 수 있다.
모듈레이터는 제1 회전자의 외측을 둘러 감싸도록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모듈레이터는 고정자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회전자는 모듈레이터의 외측을 둘러 감싸며 제1 회전자와 동기되어 고정자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자는 드럼에 감겨진 벨트와 연결되어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건조기의 구동장치로서 단일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를 이용하여 저토크/고속의 팬 구동과 고토크/저속의 드럼 구동의 모터 부하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는 1개의 고정자와 모듈레이터와 2개의 회전자를 포함한다. 2개의 회전자는 극쌍수에 따라 저토크/고속 출력용 회전자와 고토크/저속 출력용 회전자로 나눠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기의 구동장치 내에서, 단일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를 이용하여 저토크/고속 출력이 필요한 팬의 구동과, 고토크/저속 출력이 필요한 드럼의 구동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건조기의 구동장치에 적용된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는 내/외측 자속 변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듈레이터를 이용하며, 2개의 회전자는 극쌍수 비율만큼의 기어비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저토크/고속이 필요한 팬 구동용 회전자는 내측에 위치시키고, 외측에 모듈레이터와 고토크/저속이 필요한 드럼 구동용 회전자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운전점이 필요한 팬과 드럼의 구동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어 모터 운전점 최적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일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를 건조기의 구동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종래의 토크 극대화를 위한 이중 풀리 및 아이들러 사용을 배제하여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종래의 팬 유량 부족 시 팬 개수를 추가하는 등의 구조적 개선이 더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건조기의 구동장치에 단일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모터와 동일 사이즈에서 고토크 밀도의 모터로 설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전류(예: 1A 등) 인가 시 기존 동일 사이즈 모터와 비교하여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의 출력이 대략 400% 정도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기 제품의 용량 증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3은 건조기의 외관, 내부 구조, 및 공기 순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종래의 건조기의 구동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및 건조기의 구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및 건조기의 구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동장치의 세부 단면 구조를 도시한 종 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동장치에 적용된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의 단면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횡 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동장치에 적용된 모듈레이터의 구조 및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동장치에 적용된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의 토크 파형으로서 드럼 구동용 회전자와 팬 구동용 회전자의 토크 파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동장치에 적용된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와 동일 사이즈를 갖는 종래의 일반모터 간의 모터 출력토크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및 건조기 구동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건조기의 외관, 내부 구조, 및 공기 순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의류기기는 의류를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여러 방식으로 처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의류기기에는 세탁기, 탈수기, 건조기 등의 세탁물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건조기의 전체 구성
건조기(1)는 세탁을 마친 의류(즉, 세탁물)을 드럼 내부로 투입 받은 후,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건조기(1)는 의류의 건조 후 드럼에서 배출된 습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1)는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배기 또는 응축과정에서 버려지는 열에너지를 공기의 가열에 이용하여 에너지 소모를 절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건조기(1)는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를 건조시킴에 따라 의류의 양과 종류 등에 따라 건조 시간을 설정하여 의류의 건조 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건조기(1)는 드럼의 회전을 위한 모터와, 공기를 순환하여 공급시키기 위해 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가 필요하다.
팬의 구동을 위해서는 저토크/고속 운전이 필요하며 드럼의 구동을 위해서는 고토크/저속 모터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건조기(1)는 캐비닛(10), 드럼(300), 건조기의 구동장치(100), 팬(400)을 포함한다.
드럼(300)은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된다. 건조가 필요한 세탁물은 드럼(300)의 내부에 수용되어 드럼(3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는 드럼(300)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팬(400)은 드럼(300)에 공기를 공급 및 순환시키도록 공기를 송풍 시킨다.
건조기(1)는 히트펌프모듈(50, 52, 53, 54, 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트펌프모듈(50, 52, 53, 54, 58)은 드럼(30)에서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건조기(1)는 흡입덕트(68), 히터(69), 및 순환유로(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덕트(68)는 드럼(300)으로부터 순환되는 공기를 흡입한다. 히터(69)는 드럼(30)에 투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순환유로(66)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한다.
캐비닛(10)은 건조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드럼(300)을 포함하는 다수의 구성이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10)은 직육면체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20)가 구비된다. 도어(20)는 설정 방향으로 회전되어 캐비닛(10)의 내부를 개폐한다.
예를 들어, 캐비닛(10)은 프론트커버(11), 탑플레이트(16), 사이드커버(12, 13), 리어커버(15) 및 베이스(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커버(11)에는 세탁물의 투입이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는 투입구를 여닫을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투입구는 드럼(300)과 연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를 개방한 후, 세탁물을 투입구를 통해 드럼(3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어(20)는 도어 글래스(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글래스(22)는 프론트커버(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글래스(22)는 사용자가 드럼(300)의 내측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어 글래스(22)는 드럼(300)의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컨트롤 패널(17)은 건조기(1)의 프론트커버(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17)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조작 스위치,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건조기(1)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LCD, LED 패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스위치는 사용자로부터 건조기(1)에 대한 작동 명령을 입력 받는 스위치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는 버튼 스위치, 다이얼 스위치, 터치 스크린 및 이들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출력장치는 건조기(1)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음성 정보, 효과음, 경고음 등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출력장치는 스피커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드럼(300)은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팬(400)을 포함한 다수의 부품 및 구성요소들은 드럼(3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드럼(300)의 사이즈를 최대한 증대시킬 수 있어, 드럼(30)에 수용되는 세탁물의 처리 용량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다.
드럼(3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드럼(300)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300)의 개방된 전면은 투입구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드럼(300)의 개방된 후면으로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한 유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는 공기 순환을 위한 순환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드럼(300)의 내부에는 리프터(310)가 구비될 수 있다.
리프트(310)는 드럼(300)과 함께 회전하면서 드럼(300)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들어올리고 낙하시키는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는 캐비닛(10)의 베이스(14)에 고정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모터는 드럼 구동을 위해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며, 팬(400)과 연결되어 팬의 구동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는 모터의 출력 축이 양쪽으로 연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양쪽으로 연결된 출력 축을 이용하여 드럼(300)과 팬(400)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는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도 7 참조).
예를 들어,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로 이용되는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는 1개의 고정자(110)와, 모듈레이터(130)와 2개의 회전자(120, 140)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회전자(120, 140)는 서로 다른 극쌍수에 따라 하나는 저토크/고속 회전에 적합한 팬 구동용 회전자가 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고토크/저속 회전에 적합한 드럼 구동용 회전자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는 단일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를 이용하면서, 저토크/고속 출력이 필요한 팬의 구동과, 고토크/저속 출력이 필요한 드럼의 구동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건조기의 구동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해당 도면(도 7 내지 도 11 참조)을 참조하여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팬(400)은 건조기의 구동장치(100)에 의해 저토크/고속 회전한다.
팬(400)이 회전하면, 드럼(300)에서 배출된 공기가 흡입덕트(68)의 내부로 안내되어 팬(400)에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덕트(68)는 팬(64)의 흡입구와 연통될 수 있다.
팬(400)은 공기를 순환시킨다. 예를 들어, 팬(40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순환유로(66)와 히트펌프모듈(50, 52, 53, 54, 58)을 거친 후, 다시 드럼(3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컨대, 드럼(300)이 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공기는 드럼(300)의 후면에서 드럼(3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어서 공기는 드럼(300)의 전면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드럼(300)이 역 방향으로 회전하면, 공기는 드럼(300)의 전면에서 드럼(3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어서 공기는 드럼(300)의 후면으로 유출될 수 있다.
순환유로(66)는 팬(400)에서 압송된 공기를 히트펌프모듈(50, 52, 53, 54, 58)로 유입시키도록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순환유로(66)는 히트펌프모듈(50, 52, 53, 54, 58)을 거친 공기를 가열하여 드럼(300)의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다만, 순환유로(66)는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드럼(300)을 경유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순환유로(66)는 내부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 덕트와 외부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 덕트와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건조기(1)는 필터어셈블리(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어셈블리(19)는 건조기(1)의 투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19)는 드럼(30)에서 배출되어 흡입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lint)를 채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건조기(1)는 드럼(300)의 내부로 축축한 세탁물이 투입되면, 팬(400)에 의해 송풍 된 공기를 이용하여 드럼(300)의 내부에서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드럼(30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건조 과정에서 세탁물에서 증발된 수분을 포함한 채로 순환유로(66)로 유입된다. 이때, 수분을 포함한 공기는 히트펌프모듈(50, 52, 53, 54, 58)을 통해 가열되어 수분이 제거된다. 이후 가열된 공기는 다시 드럼(300)에 공급되도록 순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펌프모듈(50, 52, 53, 54, 58)은 압축기(50), 응축기(52), 증발기(53), 및 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압축기(50), 응축기(52), 증발기(53)는 냉매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냉매와 공기는 응축기(52)와 증발기(53)를 거치면서 열 교환될 수 있으며, 이후 가열된 공기는 드럼(300)에 공급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냉매 이외에 냉매와 유사한 열 교환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히트펌프모듈(50, 52, 53, 54, 58)은 보조열교환기(54)와 냉각팬(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열교환기(54)는 응축기(52)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팬(58)은 캐비닛(10)의 외부 공기 또는 내부공기를 보조열교환기(54)로 공급하여 보조열교환기(54)를 냉각시킬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일반적인 건조기의 구동장치는 기존의 일반모터(60)(도 4 참조)를 이용하였는데, 단일의 모터로 드럼(300)과 팬(400)을 함께 구동시킬 경우 부하 차이가 심한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드럼(300)에 감긴 벨트(200)를 회전시켜 드럼(3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데 2단의 풀리(61, 62), 및 아이들러(63)를 추가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었다(도 4 참조).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건조기의 구동장치로 이용되었던 일반모터(60)를 보여준다. 단일의 일반모터(60)를 이용하여, 고토크/저속 구동이 필요한 드럼(300)에 회전력을 제공함은 물론, 저토크/고속 구동이 필요한 팬(400)에 회전력을 제공하였다.
일반적으로, 이 경우 단일의 일반모터(60)는 팬(400)의 회전속도를 기준으로 모터 설계를 하고, 드럼(300)에 필요한 부하는 별도의 토크 극대화 구조물을 추가하여 필요한 고토크/저속 구동을 만족시켜야 했다.
예를 들어, 드럼(300)의 토크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감속비가 부족한 드럼(300)의 구동 축에 적어도 2개의 풀리(61, 62)를 적용하고, 벨트(200)의 장력을 조절을 위해 추가로 아이들러(63)를 적용하는 불편이 따랐다.
이에 따라, 건조기의 구동장치 전체 구조가 복잡해지고, 사이즈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팬(400)의 유량이 부족할 경우, 팬(400)의 개수를 추가하여 필요한 유량을 확보해야 했는데, 장치 구조가 복잡해지고 소음 및 진동이 커지는 불편이 따랐다.
건조기의 구동장치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및 건조기의 구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건조기의 구동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는 저토크/고속의 팬 구동과 고토크/저속의 드럼 구동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단일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를 이용한다.
특히,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는 고토크 출력을 위해 모터와 벨트(200) 사이에 연결된 복잡한 종래의 토크 극대화 구조물, 예를 들어 복수의 풀리(61, 62)(도 4 참조), 아이들러(63)(도 4 참조)의 사용을 모두 배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는 종래의 일반모터(60)(도 4 참조)에 비해 전체적인 구성이 간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건조기(100) 내에서 드럼(300)에 감긴 채 회전하는 벨트(200)의 연결 구조가 심플해짐에 따라, 벨트(200)의 고장 및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벨트(200)의 손상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건조기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는 1개의 고정자(110), 모듈레이터(130), 2개의 회전자(120, 140)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를 이용한다.
이러한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로 이루어진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는 동일 사이즈의 기존 일반모터(60)(도 4 참조)에 비해 출력토크가 대폭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을 참조하면,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100)인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와 기존모터에 동일 전류(1A)를 인가시 모터 출력토크를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100)에 적용된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는 기존 일반모터(60)(도 4 참조)에 비해 모터 출력토크가 대략 407% 정도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기(1)의 제품 용량을 기존 대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100)에서 2개의 회전자(120, 140)는 서로 다른 극쌍수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회전자(120, 140)는 극쌍수 비율에 따라 저토크/고속 출력용 회전자와 고토크/저속 출력용 회전자로 역할을 달리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는 단일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를 이용하면서, 저토크/고속 출력이 필요한 팬의 구동과, 고토크/저속 출력이 필요한 드럼의 구동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드럼(3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300)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럼(300)의 개방된 전면은 건조기(1)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드럼(300)의 개방된 후면으로는 팬(400)에 의해 순환 및 공급되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드럼(300)의 내부에는 리프터(3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리프트(310)는 드럼(300)이 회전할 때, 드럼(300)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회전시키면서 위로 들어올리거나 아래로 낙하시키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드럼(300)은 건조기의 구동장치(100)에서 제공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한다.
드럼(300)은 팬(400)과 달리 드럼(300)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을 회전 시켜야 하므로, 팬(40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토크/저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300)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의 중량이 큰 경우에도, 드럼(300)은 설정된 고토크/저속 조건으로 회전할 수 있다.
팬(400)(도 6 참조)은 공기를 순환시키며 세탁물의 건조에 필요한 공기를 드럼(300)의 내부로 공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300)이 정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공기는 드럼(300)의 후면에서 드럼(300)의 내부로 유입되고, 드럼(300)의 전면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드럼(300)이 역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공기는 드럼(300)의 전면에서 드럼(300)의 내부로 유입되고, 드럼(300)의 후면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팬(400)은 세탁물의 건조에 필요한 공기를 순환시키며, 드럼(300)의 내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팬(400)은 공기의 공급 및 순환을 위해 공기가 유동하는 유량과 관련이 있는데, 드럼(300)과는 달리 저토크/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는 드럼(300)을 고토크/저속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팬(400)의 저토크/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운전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는 고정자(110), 제1 회전자(120), 모듈레이터(130), 제2 회전자(140)를 포함한다.
고정자 (110)는 드럼(300)(도 6 참조)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자(110)는 고정자 코어와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고정자(110)는 도 8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형태의 고정자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제1 회전자(120)는 위치가 고정된 고정자(110)와 다르게 고정자(110)를 중심으로 고정자(110)의 외측에서 회전한다.
제1 회전자(120)는 제2 회전자(1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토크/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자(120)는 팬(400)(도 6 참조)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자(120)는 원형의 고정자(110)의 외측을 환형으로 둘러 감싸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자(120)는 제2 회전자(140)와 서로 다른 극쌍수를 가질 수 있다.
모듈레이터(130)는 제1 회전자(120)의 외측을 둘러 감싸며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모듈레이터(130)는 서로 다른 극쌍수를 갖는 제1, 2 회전자(120, 1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2 회전자(120, 140)가 동기되어 회전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모듈레이터(130)는 제1 회전자(120)의 외측과 제2 회전자(140)의 내측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모듈레이터(130)는 자성체(131)(도 9 참조)와 비자성체(133)(도 9 참조)가 교대로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모듈레이터(130)에 의해 서로 다른 극쌍수를 갖는 제1, 2 회전자(120, 140)는 동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자(140)는 모듈레이터(130)의 외측에서 고정자(11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자(140)는 모듈레이터(130)의 외측을 환형으로 둘러 감싸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전자(140)는 모듈레이터(130)에 의해 제1 회전자(120)와 동기되어 회전할 수 있는데, 제1 회전자(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토크/저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회전자(140)는 드럼(300)(도 6 참조)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자(140)는 제1 회전자(120)와 서로 다른 극쌍수를 가질 수 있다.
제1 회전자(120)는 팬(400)(도 6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자(120)는 팬(40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제1 회전자(120)가 제2 회전자(1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토크/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 방식의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를 이용할 경우, 팬(400)의 고속 회전을 통해 충분한 공기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량 부족을 이유로 종래와 같이 팬(400)의 개수를 추가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회전자(140)는 드럼(300)(도 6 참조)에 감겨져 드럼(300)을 회전시키는 벨트(200)(도 6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자(140)는 벨트(200)를 이용하여 드럼(300)에 필요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회전자(140)는 제1 회전자(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토크/저속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2 회전자(120)에 연결된 드럼(300)은 팬(400)과 달리 고토크/저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특히, 제2 회전자(140)는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 구조에 따라 기존의 일반모터에 비해 모터 출력토크가 대략 407% 정도 향상될 수 있다(도 11 참조). 따라서, 기존과 달리 토크 극대화를 위한 장치 구성, 예를 들어 복수의 풀리, 아이들러 등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100)에서, 제1, 2 회전자(120, 140)는 서로 다른 극쌍수를 가질 수 있다.
제1, 2 회전자(120, 140)의 사이에 배치된 모듈레이터(130)는 내/외측 자속 변조를 발생시키며 제1 회전자(120)와 제2 회전자(140)는 서로 다른 극쌍수 비율만큼의 마그네틱 기어 비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단일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를 이용하면서도 제1 회전자(120)는 저토크/고속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제2 회전자(140)는 고토크/저속으로 회전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제1 회전자(120)는 팬(400)의 구동 조건에 부합하도록 상대적으로 저토크/고속 회전에 해당하는 제1 운전조건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자(140)는 드럼(300)의 구동 조건에 부합하도록 상대적으로 고토크/저속 회전에 해당하는 제2 운전조건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2 운전조건은 제1, 2 회전자(120, 140)의 극쌍수 비율에 따른 마그네틱 기어 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모듈레이터(130)는 제1 회전자(120)의 외측과 제2 회전자(140)의 내측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모듈레이터(130)는 제1 회전자(120)의 외측과 제2 회전자(140)의 내측 사이에서 환형 단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모듈레이터(130)는 자성체(131)와 비자성체(133)를 포함한다.
이때, 자성체(131)는 환형 단면의 적어도 일부에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자성체(133)는 환형 단면 중 자성체(131)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자성체(131)와 동일 또는 유사한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성체(131)와 비자성체(133)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131)와 비자성체(133)는 모듈레이터(130)의 환형 단면 내에서, 환형 단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서로 하나씩 교대로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자성체(131)와 비자성체(133)는 환형 단면 내에서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모듈레이터(130)는 자성체(131)와 비자성체(133)를 교차로 배치하여 공간적으로 자기적 퍼미언스(permeance)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모듈레이터(130)는 제1, 2 회전자(120, 140)의 마그넷에 의한 자속(magnetic flux)의 고조파 조절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모듈레이터(130)는 서로 다른 극쌍수를 갖는 제1, 2 회전자(120, 140)를 동기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100)에서 고정자(110)와 제1 회전자(120) 사이에는 제1 공극(air gap)(15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자(120)와 모듈레이터(130) 사이에는 제2 공극(15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듈레이터(130)와 제2 회전자(140) 사이에는 제3 공극(15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제1, 2, 3 공극(151, 153, 155)에 의해, 제1 회전자(120)는 고정자(110)와 모듈레이터(130)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자(140) 역시 모듈레이터(130)의 외측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회전자(120)는 제1 회전자 마그넷(121, 12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회전자 마그넷(121, 123)은 제1 회전자 내부 마그넷(121)과 제1 회전자 외부 마그넷(123)을 포함한다.
제1 회전자 내부 마그넷(121)은 고정자(110)의 외측에 마주하여 제1 회전자(120)의 내측에서 원형으로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자(110)와 제1 회전자 내부 마그넷(121)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인 제1 공극(15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자 외부 마그넷(123)은 모듈레이터(130)의 내부 면에 마주하여 제1 회전자(120)의 외측에서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자 외부 마그넷(123)과 모듈레이터(120)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인 제2 공극(15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자(140)는 제2 회전자 마그넷(141)을 포함한다.
제2 회전자 마그넷(140)은 모듈레이터(130)의 외부 면에 마주하여 제2 회전자(140)의 내측에서 원형으로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모듈레이터(130)와 제2 회전자 마그넷(141)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인 제3 공극(155)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100)에서는, 모듈레이터(130)가 고정자(110)와 연결되어 고정자(110)와 모듈레이터(130)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자(110)의 적어도 일부가 모듈레이터(130)에 결합되어, 고정자(110)와 모듈레이터(130)는 제1, 2 회전자(120, 140)와 달리 회전하지 않으며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자(110)는 고정자 연결부(115)를 포함한다.
고정자 연결부(115)는 고정자(110)의 일면에서 소정 길이만큼 축 방향으로 돌출된 샤프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모듈레이터(130)는 모듈레이터 고정부(135)와 모듈레이터 연결부(139)를 포함한다.
모듈레이터 고정부(135)는 환형 단면을 갖는 모듈레이터(130)를 제1 회전자(120)와 제2 회전자(140)의 사이에 고정시킨다. 모듈레이터 고정부(135)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모듈레이터(130)는 모듈레이터 고정부(135)에 연결됨으로써, 모듈레이터(130)의 위치는 제1 회전자(120)와 제2 회전자(140)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회전자(120)와 제2 회전자(140)는 모듈레이터(130)의 내/외측에서 각각 동기되어 회전되는 경우에도, 모듈레이터(130)는 설치 위치를 계속 유지하며 진동 및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모듈레이터 연결부(139)는 모듈레이터 고정부(135)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샤프트 형상을 가진다.
모듈레이터 연결부(139)는 고정자 연결부(115)와 동일 중심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듈레이터 연결부(139)는 고정자 연결부(115)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 단면의 샤프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모듈레이터 연결부(139)의 단면 중심에는 소정의 길이로 내입된 삽입 홈(138)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 홈(138)은 고정자 연결부(115)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홈을 말한다.
이와 같이, 고정자(110)의 적어도 일부, 즉 고정자 연결부(115)가 모듈레이터 연결부(139)에 마련된 삽입 홈(138)에 삽입되어, 고정자(110)와 모듈레이터(130)는 견고한 고정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는 서포트(160)를 더 포함한다.
서포트(160)는 드럼(300)(도 6 참조)의 하부에서 고정자(110), 제1 회전자(120), 모듈레이터(130), 및 제2 회전자(140)를 소정 높이상에 위치시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트(160)는 건조기(1)의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14)(도 6 참조)에 하단이 고정되고, 소정의 높이로 상향 돌출된 플레이트 또는 고정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포트(160)는 제1 서포트(161)와 제2 서포트(16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서포트(161)는 제1 회전자(120)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 서포트(161)는 제1 회전자(120)의 회전 중심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자(120)는 제1 서포트(161)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설정된 방향으로 저토크/고속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포트(163)는 제1 서포트(161)와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예를 들어, 제1, 2 서포트(161, 163)는 모두 베이스(14)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서포트(163)는 모듈레이터 연결부(139)의 일부를 삽입시켜 고정자(110)와 모듈레이터(130)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제2 서포트(163)는 모듈레이터 연결부(139)의 중심이 제1 회전자(120)의 회전 중심에 일치될 수 있도록 모듈레이터 연결부(139)를 고정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100)에서, 제1 서포트(161)는 제1 베어링(171)을 포함한다(도 7 참조).
제1 베어링(171)은 제1 회전자의 연결축(125) 외경을 감싸며 접촉 지지한다. 이로써, 제1 베어링(171)은 제1 회전자(120)의 회전시 접촉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어링(171)은 제1 회전자의 연결축(125)이 제1 서포트(161)를 관통하는 부위에 위치하도록 제1 서포트(161)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자의 연결축(125)은 제1 회전자(120)의 일면에서 제1 회전자(12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자의 연결축(125)은 제1 베어링(171)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더 돌출될 수 있다. 팬(400)은 제1 베어링(171)의 외측에서, 제1 회전자의 연결축(125)의 돌출된 선단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100)에서, 제2 서포트(163)는 제2 베어링(173)을 포함한다(도 7 참조).
제2 베어링(173)은 제2 회전자의 연결축(145) 내경을 접촉 지지하여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베어링(173)은 제2 회전자의 연결축(145)이 모듈레이터 연결부(139)에 마주하는 부위에 위치하도록 제2 서포트(163)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회전자의 연결축(145)은 제2 회전자(140)의 일면에서 제2 회전자(140)의 회전 중심을 따라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회전자의 연결축(145)은 제2 베어링(173)에 대응하는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회전자의 연결축(145)의 외주 면에는 벨트(200)가 감겨 연결될 수 있다.
벨트(200)는 제2 회전자(140)의 회전 시 제2 회전자(140)와 함께 회전하며 드럼(300)(도 6 참조)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회전자의 연결축(145)은 충분히 접촉 지지될 수 있어야 하므로, 제2 베어링(173)의 길이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제1 회전자(120)는 저토크/고속으로 회전하는 팬(400)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제2 회전자(140)는 고토크/저속으로 회전하는 드럼에 필요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벨트(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가 적용된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를 이용하여 드럼과 팬의 구동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동장치에 적용된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의 토크 파형 결과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모듈레이터 내측의 제1 회전자(120)(도 8 참조)와, 모듈레이터 외측의 제2 회전자(140)(도 8 참조)의 마그네틱 기어 비는 4:1이다.
제1 회전자(120)(도 8 참조)는 1.03Nm, 3000rpm 회전한다. 제1 회전자(120) (도 8 참조)는 저토크/고속의 팬 회전에 적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회전자(140)(도 8 참조)는 4.1Nm, 750rpm 회전한다. 제2 회전자(140) (도 8 참조)는 고토크/저속의 드럼 회전에 적합할 수 있다.
마그네틱 기어 비는, 제1, 2 회전자의 극쌍수 비율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동장치에 적용된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와 동일 사이즈를 갖는 종래의 일반모터 간의 모터 출력토크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는 1개의 고정자, 모듈레이터, 2개의 회전자로 이루어진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로 이루어져 있다.
동일 전류(1A)를 인가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동장치(100)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와 기존의 일반모터(기존모터)(60)(도 4 참조)를 비교하면, 출력토크가 대략 407% 정도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기의 구동장치(100)를 적용할 경우, 건조기(1)의 제품 용량을 기존 대비 대폭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건조기의 구동장치로서 단일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를 이용하여 저토크/고속의 팬 구동과 고토크/저속의 드럼 구동의 모터 부하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예컨대,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는 1개의 고정자와 모듈레이터와 2개의 회전자를 포함한다. 2개의 회전자는 극쌍수에 따라 저토크/고속 출력용 회전자와 고토크/저속 출력용 회전자로 나눠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기의 구동장치 내에서, 단일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를 이용하여 저토크/고속 출력이 필요한 팬의 구동과, 고토크/저속 출력이 필요한 드럼의 구동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기의 구동장치에 적용된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는 내/외측 자속 변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듈레이터를 이용하며, 2개의 회전자는 극쌍수 비율만큼의 기어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저토크/고속이 필요한 팬 구동용 회전자는 내측에 위치시키고, 외측에 모듈레이터와 고토크/저속이 필요한 드럼 구동용 회전자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운전점이 필요한 팬과 드럼의 구동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어 모터 운전점 최적화가 가능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를 건조기의 구동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종래의 토크 극대화를 위한 이중 풀리 및 아이들러 사용을 배제하여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팬 유량 부족 시 팬 개수를 추가하는 등의 구조적 개선이 더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기의 구동장치에 단일의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모터와 동일 사이즈에서 고토크 밀도의 모터로 설계가 가능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전류(예: 1A 등) 인가 시 기존 동일 사이즈 모터와 비교하여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의 출력이 대략 400% 정도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건조기
10: 캐비닛
14: 베이스
20: 도어
50: 압축기
52: 응축기
53: 증발기
60: 일반모터
69: 히터
100: 건조기의 구동장치
110: 고정자
115: 고정자 연결부
120: 제1 회전자
121, 123: 제1 회전자 마그넷
125: 제1 회전자의 연결축
130: 모듈레이터
135: 모듈레이터 고정부
138: 삽입 홈
139: 모듈레이터 연결부
140: 제2 회전자
141: 제2 회전자 마그넷
145: 제2 회전자의 연결축
151: 제1 공극
153: 제2 공극
155: 제3 공극
160: 서포트
161: 제1 서포트
163: 제2 서포트
171: 제1 베어링
173: 제2 베어링
200: 벨트
300: 드럼
310: 리프터
400: 팬

Claims (20)

  1.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외측을 둘러 감싸며 상기 고정자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자;
    상기 제1 회전자의 외측을 둘러 감싸도록 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자와 연결 고정되는 모듈레이터; 및
    상기 모듈레이터의 외측을 둘러 감싸며 상기 제1 회전자와 동기되어 상기 고정자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자는 상기 드럼에 공기를 송풍 하는 팬과 연결되어 상기 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 회전자는 상기 드럼에 감겨진 벨트와 연결되어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회전자는,
    서로 다른 극쌍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회전자는,
    상기 제1, 2 회전자 각각의 극쌍수 비율에 대응하는 마그네틱 기어 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자는,
    상기 팬의 구동 조건에 부합하도록 상대적으로 저토크/고속 회전에 해당하는 제1 운전조건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회전자는,
    상기 드럼의 구동 조건에 부합하도록 상대적으로 고토크/저속 회전에 해당하는 제2 운전조건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레이터는,
    상기 제1 회전자의 외측과 상기 제2 회전자의 내측 사이에 환형 단면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레이터는,
    상기 환형 단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자성체; 및
    상기 환형 단면 중 상기 자성체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형성된 비자성체;
    를 포함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와 상기 비자성체는,
    상기 모듈레이터의 상기 환형 단면 내에서, 상기 환형 단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와 상기 비자성체는,
    상기 모듈레이터의 상기 환형 단면 내에서,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와 상기 제1 회전자 사이에는 제1 공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자와 상기 모듈레이터 사이에는 제2 공극이 형성되며,
    상기 모듈레이터와 상기 제2 회전자 사이에는 제3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자는 제1 회전자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자 마그넷은,
    상기 고정자에 마주하여 상기 제1 회전자의 내측에서 원형으로 배치되는 제1 회전자 내부 마그넷; 및
    상기 모듈레이터의 내부 면에 마주하여 상기 제1 회전자의 외측에서 원형으로 배치되는 제2 회전자 외부 마그넷;
    을 포함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자는 제2 회전자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자 마그넷은,
    상기 모듈레이터의 외부 면에 마주하여 상기 제2 회전자의 내측에서 원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고정자의 일면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자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레이터는,
    상기 모듈레이터를 상기 제1 회전자와 상기 제2 회전자 사이에 고정시키는 모듈레이터 고정부; 및
    상기 모듈레이터 고정부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자 연결부가 삽입 결합되는 고정자 삽입 홈을 갖는 모듈레이터 연결부;
    를 포함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자, 상기 제1 회전자, 상기 모듈레이터, 및 상기 제2 회전자를 소정 높이상에 위치시켜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는,
    상기 제1 회전자의 회전 중심을 지지하는 제1 서포트; 및
    상기 모듈레이터 연결부를 상기 제1 회전자와 동일 중심을 이루도록 위치시켜 지지하는 제2 서포트;
    를 포함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포트는 제1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어링은,
    상기 제1 회전자의 연결축이 상기 제1 서포트를 관통하는 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회전자의 연결축 외경을 접촉 지지하여 마찰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자의 연결축은,
    상기 제1 회전자의 일면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 베어링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더 돌출되며, 상기 제1 베어링의 외측에서 상기 팬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포트는 제2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어링은,
    상기 제2 회전자의 연결축이 상기 모듈레이터 연결부에 마주하는 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회전자의 연결축 내경을 접촉 지지하여 마찰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자의 연결축은,
    상기 제2 회전자의 일면에서 축 방향으로 상기 제2 베어링에 대응하는 길이로 돌출되며,
    상기 벨트는, 상기 돌출 부위를 감아 상기 드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
  18.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확보된 박스 형상의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의 드럼;
    상기 드럼에 공기를 송풍 하는 팬; 및
    상기 드럼과 상기 팬 각각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건조기의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기의 구동장치는,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외측을 둘러 감싸며 상기 고정자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팬과 연결되어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자;
    상기 제1 회전자의 외측을 둘러 감싸도록 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자와 연결 고정되는 모듈레이터; 및
    상기 모듈레이터의 외측을 둘러 감싸며 상기 제1 회전자와 동기되어 상기 고정자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드럼에 감겨진 벨트와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2 회전자;
    를 포함하는 건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자는 제1 회전자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자 마그넷은,
    상기 고정자에 마주하여 상기 제1 회전자의 내측에서 원형으로 배치되는 제1 회전자 내부 마그넷; 및
    상기 모듈레이터의 내부 면에 마주하여 상기 제1 회전자의 외측에서 원형으로 배치되는 제2 회전자 외부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자는 제2 회전자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자 마그넷은,
    상기 모듈레이터의 외부 면에 마주하여 상기 제2 회전자의 내측에서 원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고정자의 일면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자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레이터는,
    상기 모듈레이터를 상기 제1 회전자와 상기 제2 회전자 사이에 고정시키는 모듈레이터 고정부; 및
    상기 모듈레이터 고정부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자 연결부가 삽입 결합되는 고정자 삽입 홈을 갖는 모듈레이터 연결부;
    를 포함하는 건조기.
KR1020200146322A 2020-11-04 2020-11-04 건조기 및 그 구동장치 KR102495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322A KR102495021B1 (ko) 2020-11-04 2020-11-04 건조기 및 그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322A KR102495021B1 (ko) 2020-11-04 2020-11-04 건조기 및 그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383A true KR20220060383A (ko) 2022-05-11
KR102495021B1 KR102495021B1 (ko) 2023-02-06

Family

ID=81606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322A KR102495021B1 (ko) 2020-11-04 2020-11-04 건조기 및 그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0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8094A (ja) * 1993-08-31 1995-03-14 Sekisui Chem Co Ltd 衣類乾燥機
KR20200069204A (ko) 2018-12-05 2020-06-16 아스콜 홀딩 에스.알.엘. 향상된 의류 건조기용 모터 어셈블리 및 상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KR20200092777A (ko) * 2019-01-25 2020-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구동장치
US20200295648A1 (en) * 2016-06-23 2020-09-17 Goodrich Actuation Systems Limited Pole-piece structure for a magnetic gea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8094A (ja) * 1993-08-31 1995-03-14 Sekisui Chem Co Ltd 衣類乾燥機
US20200295648A1 (en) * 2016-06-23 2020-09-17 Goodrich Actuation Systems Limited Pole-piece structure for a magnetic gear
KR20200069204A (ko) 2018-12-05 2020-06-16 아스콜 홀딩 에스.알.엘. 향상된 의류 건조기용 모터 어셈블리 및 상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KR20200092777A (ko) * 2019-01-25 2020-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021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150B1 (ko) 세탁기
KR100465729B1 (ko) 건조기
EP3664265A1 (en) Enhanced motor assembly for clothes dryer machine and clothes dryer machine comprising said assembly
EP1860229B1 (en) Household clothes drying machine with compact motor
KR102495021B1 (ko) 건조기 및 그 구동장치
KR100480928B1 (ko) 의류건조기의 드럼에 장착되는 베어링 장치
US11365509B2 (en) Dual motor dryer drive contained within a common assembly
KR100291966B1 (ko) 의류건조기
JPS6341600B2 (ko)
US10910964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123324B1 (ko) 세탁기의 유도 모터
KR100465718B1 (ko) 건조기
US11866872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074116A1 (en) Dryer
KR20220145243A (ko) 의류처리장치
JPH0880008A (ja) 全閉外扇形回転電機の冷却装置
JP3246545B2 (ja) 単錘駆動型多重撚糸機
JPS6029200A (ja) 衣類乾燥機
KR2022003182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4524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4523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31331A (ko) 건조기
KR20040063267A (ko) 건조기
KR20220031329A (ko) 건조기
KR20220033134A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