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130A -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내 공기정화방법 - Google Patents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내 공기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130A
KR20220060130A KR1020200145722A KR20200145722A KR20220060130A KR 20220060130 A KR20220060130 A KR 20220060130A KR 1020200145722 A KR1020200145722 A KR 1020200145722A KR 20200145722 A KR20200145722 A KR 20200145722A KR 20220060130 A KR20220060130 A KR 20220060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air
vehicle
inner box
spiral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일
Original Assignee
엠블레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블레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블레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5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0130A/ko
Publication of KR20220060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88Replacing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2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external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7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internal rotors, e.g. impeller, ventilator, fan, blower,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60H2003/0666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the filter element having non-rectangular shape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차량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차량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내 공기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측면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지고, 정화된 공기가 나선형으로 유동되면서 상방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정화된 공가가 차량 내부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하는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내 공기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내 공기정화방법{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spiral flow path and a method for purifying air in a veh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차량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차량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내 공기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측면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지고, 정화된 공기가 나선형으로 유동되면서 상방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정화된 공가가 차량 내부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하는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내 공기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는 주변차량 및 차량에서 발생되는 유해배기 가스, 차량 밖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대기공기, 에어컨이나 섬유에서 서식하는 분진 및 미생, 흡연으로 인한 오염 등으로 인하여 외부보다 심각한 차량내부공기의 오염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자동차를 출고한 후 약 6개월에서 1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차안에서 매캐한 냄새가 나기 시작하고, 반복적으로 타고 내리면서 많은 장소에 노출되는 자동차 특성상 차 안에는 각종 부유 세균, 곰팡이 등이 번식하게 된다.
이는 여름 장마철을 지나면서 차량 내부의 세균, 곰팡이 양이 크게 증가, 불쾌한 냄새를 발하며 건강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여기에 흡연까지 할 경우 차량 내부의 공기상태는 말할 수 없이 나빠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은 추위나 더위로 인하여 창을 닫고 환기시스템을 내부순환모드로 설정하여 운행하게 되는 반 밀폐환경에 놓이게 되어 오염은 더욱 심각해지며 이로 인하여 운전자의 집중력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에 공기청정용 여과필터가 내장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차량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기는 어려워 별도의 차량용 공기청정기를 더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공기청정기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826700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차량의 컵홀더 등에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간편하게 차량 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컵홀더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차량용 공기청정기가 대시보드의 일부를 가리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끼치는 것은 물론이고 이에 탑승자의 손이 부딪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컵홀더를 본래의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는 바, 컵홀더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의 차량용 공기청정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26700호 2018.02.01.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측면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지고, 정화된 공기가 나선형으로 유동되면서 상방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정화된 공가가 차량 내부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하는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내 공기정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차량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차량용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내부가 빈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측면에 복수 개의 유입홈(110)이 형성되는 외함(100); 상기 외함(10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필터부(200); 및 상기 필터부(200)를 통과한 공기를 중심부로 흡기하되, 흡기된 공기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나선형으로 유동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나선유로 형성부(300);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나선유로 형성부(300)는, 상부면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둘레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된 내함 유입구(314)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내함(310); 상기 내함 유입구(314)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내함(310)의 중심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구동모터(320); 및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 외주면에 나선형의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내함(310)의 중심부로 유입된 공기가 나선형으로 유동되면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유로 형성 커버(330);를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함(310)은, 일방향으로 휘어진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제 1측벽(311); 상기 제 1측벽(311)과 동일한 형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측벽(311)과 볼록한 부분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상태가 되도록 구비되되, 양단이 상기 제 1측벽(311)의 양단과 서로 어긋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는 제 2측벽(312); 상기 제 1측벽(311)과 제 2측벽(312)의 하단부 사이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바닥면(313); 및 인접한 한 쌍의 제 1측벽(311)의 끝단과 제 2측벽(312)의 양단 사이 공간에 각각 구성되는 내함 유입구(314);를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함 유입구(314)는, 내함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되, 개구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며, 각각 경사진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로 형성 커버(330)는, 상기 외함(100)의 상단부를 덮어 가리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함(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상부체(331); 상기 상부체(331)의 하면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상부체(331)과 결합된 부분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하단부가 상기 내함(310)의 중심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외함(100)과 체결되는 하부체(332); 및 상기 하부체(332)의 외주면 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유로 이루어지는 나선형 유로(333);을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외함(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필터부(200)의 내주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외함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1고정수단(121); 및 상기 필터부(200)의 외주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2고정구단(122);을 포함하는 고정부(12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고정수단(121)과 제 2고정수단(122)은, 끝단이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필터부(200)의 내주면에는 회전돌기(21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120)에는 상기 회전돌기(211)가 삽입 체결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안내홈(130)이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안내홈(130)의 높이가 상기 회전돌기(211)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차량내 공기정화방법은 한 쌍의 구동모터(320)가 동시에 동작되도록 하여 외기가 상기 유입홈(110)을 통해 외함(10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구동단계; 상기 구동단계에 유입되는 외함(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200)의 복수 개의 필터부재(3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정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정화단계; 상기 정화단계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내함(310)의 중심부로 유입된 공기가 나선형 유로(333)를 따라 나선형으로 유동되면서 내함(310)의 상부 외측으로 유동되게 하는 나선유로 이동단계; 및 상기 내함(310)의 상방으로 유동된 공기가 상기 외함(100)과 상부체(331)의 사이 공간에 형성된 배출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시트 하부에 구비된 상태로 차량내의 공기 정화가 이루어지게 함에 따라, 차량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지고, 정화된 공기가 나선형으로 유동되면서 상방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정화된 공가가 차량 내부로 균일하게 공급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함 유입구의 유입방향 전방에 위치한 필터부가 폐색되는 경우, 필터부를 축회전시켜 폐색되지 않은 부분이 내합 유입구의 유입방향 전방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필터부의 교체 주기를 증가시켜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함, 내함 및 필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함, 내함 및 필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로 형성 커버의 사시도.
도 6a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의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 청정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의 평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의 파단 사시도로서, 내함 유입구의 전방에 위치한 필터부가 폐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도 8a의 필터부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차량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차량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측면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지고, 정화된 공기가 나선형으로 유동되면서 상방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정화된 공가가 차량 내부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하는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함(100), 필터부(200) 및 나선유로 형성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함(100)은 내부가 빈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측면에 복수 개의 유입홈(110)이 형성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외함(100)은 소정의 두께 및 면적을 갖는 원판으로 이루어진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둘레를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는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내부에 구비된 구성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외함(100)의 측벽에는 복수 개의 유입홈(110)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홈(110)을 통해 외기가 상기 외함(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유입홈(110)은 복수 개가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구비되면서 하나의 열을 이루게 되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수 개의 열이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열은 유입홈(110)이 서로 동일한 수직축상에 배치되지 않고 어긋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200)는 상기 외함(10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외함(10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구비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필터부(200)는 헤파필터, 카테킨 필터 및 활성탄필터 등의 복수 개의 필터가 외주측에서 반경반향 내측으로 적층된 원환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필터부(200)는 차량의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파필터와 카테킨 필터 및 활성탄 필터가 외주에서 내주 반경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파필터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고, 상기 카테킨 필터는 항균 작용을 하며, 상기 활성탄 필터는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필터부(200)는 상기 외함(10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사용되어야 하는 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함(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필터부(200)의 하단부가 삽입 체결되는 고정부(120)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12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200)의 내주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외함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1고정수단(121)과 상기 필터부(200)의 외주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2고정수단(122)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상기 필터부(200)는 내주가 상기 제 1고정수단(121)에 밀착되고, 외주가 상기 제 2고정수단(122)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외함(100)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고정수단(121)과 제 2고정수단(122)의 사이 바닥면에는 고무패킹이 더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필터부(200)가 회전되지 않고 직립 설치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 1고정수단(121)과 제 2고정수단(122)은 끝단이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부(200)의 구비가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4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선유로 형성부(300)는 외기를 중심부로 흡기하되, 흡기된 공기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나선형으로 유동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내함(310), 구동모터(320) 및 유로 형성 커버(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함(310)는 상기 필터부(200)에 의해 정화가 이루어진 공기가 유입되는 함체로서, 상부면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둘레의 일측과 타측을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구성되는데, 상세하게는 제 1측벽(311), 제 2측벽(312) 및 내함 유입구(3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측벽(311)은 일방향으로 휘어진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외함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외함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측벽(312)은 상기 제 1측벽(311)과 동일한 형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측벽(311)과 볼록한 부분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상태가 되도록 구비되되, 양단이 상기 제 1측벽(311)의 양단과 서로 어긋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된다.
상술하면, 상기 제 1측벽(311)의 양단 사이에 상기 제 2측벽(312)의 일단이 배치되고, 상기 제 2측벽(312)의 양단 사이에 상기 제 1측벽(311)의 일단이 배치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측벽(311) 및 제 2측벽(312) 상에는 복수 개의 UV 램프(미도시)를 구비하여 유입된 공기를 살균처리 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내함 유입구(314)는 인접한 한 쌍의 제 1측벽(311)의 끝단과 제 2측벽(312)의 양단 사이 공간에 각각 구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내함 유입구(314)는 내함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되, 개구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며, 더불어 상기 내함 유입구(314)는 각각 경사진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320)는 상기 내함 유입구(314)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내함(310)의 중심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한다.
즉, 상기 구동모터(320)가 동작되면, 상기 내함 유입구(31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경사진 상방을 따라 상기 내함(310)의 측벽 둘레를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내함(310)의 중심부로 공급되게 한다.
한편, 상기 유로 형성 커버(330)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 외주면에 나선형의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내함(310)의 중심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나선형 유로(333)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상부체(331), 하부체(332) 및 나선형 유로(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상부체(331)는 상기 외함(100)의 상단부를 덮어 가리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함(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한다.
즉, 상기 상부체(331)는 외함(100)과의 사이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로가 형성되도록 배치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부체(332)는 상기 상부체(331)의 하면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상부체(331)와 결합된 부분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하단부가 상기 내함(310)의 중심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외함(100)과 체결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하부체(332)의 하단 중심에는 나사가 체결되는 볼팅홈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볼팅홈에 나사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유로 형성 커버(330)와 외함(100)이 견고하게 체결될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나선형 유로(333)는 상기 하부체(332)의 외주면 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유로 이루어지며, 이는 상기 하부체(332)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하부체(332)와 상부체(331)의 결합부까지 연장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유로 형성 커버(330)는 완전히 고정된 상태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해야 되는 바, 상기 하부체(332)는 하단부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조 체결부(332a)가 더 구비되고, 상기 외함(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보조 체결부(332a)가 끼움 결합되는 보조 체결홈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유로 형성 커버(330)는 1차로 상기 보조 체결부(332a)가 보조 체결홈에 끼움 결합되고, 2차로 상기 볼팅홈과 외함(100)을 관통하여 나사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유로 형성 커버(330)와 외함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내함의 중심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나선형 유로(333)를 따라 유동되면서 점차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하부체(332)를 통과하여 상기 외함의 상부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나선형 유로(333)에 의해 안내된 방향을 따라 배출공간을 이탈하여 외부로 공급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체(331)에는 일단이 중심부를 향하고 타단이 외측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경사진 방향으로 대칭되게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나선형 유로(333)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다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배출 안내부(334)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 안내부(334)는 상기 상부체(311)가 상기 내함(310)과 체결된 상태일 때, 한 쌍 중 하나의 하단이 상기 제 1측벽(311)의 내주면과 밀착되고, 나머지 하나의 하단이 상기 제 1측벽(312)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 안내부(334)는 상기 구동모터(320)의 유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도록 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구동모터(320)의 유입구로 다시 반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원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하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차량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한정된 차량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때, 공기청정기의 특성상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필터부(200)가 미세먼지에 의해 폐색되면서 공기 청정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런데 본원발명의 경우, 구동모터(320)의 유입방향 전방측에 위치한 필터부(200)가 다른 위치의 필터부(200)보다 더 빨리 폐색되는데, 상기 필터부(200)은 외함(100) 내주를 둘러싸는 환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다른 부분이 폐색되지 않았는데도 필터부(200)을 교체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200)을 축회전시켜, 폐색되지 않은 필터부(200)이 상기 내함 유입구(314)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부(200)의 교체 주기를 늘려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필터부(200)를 구성하는 필터는 소정의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필터부(200)가 더욱 쉽게 회전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필터부(200)의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회전돌기(21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120)에는 상기 회전돌기(211)가 삽입 체결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안내홈(130)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돌기(211)는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 일측에서 내주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진다.
상기 회전 안내홈(130)은 상기 제 1고정수단(121)의 상단 둘레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다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둘레를 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 1고정수단(121)의 면상에 관통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회전돌기(211)가 상기 제 1고정수단(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돌기(211)를 상기 제 1고정수단(121)의 연장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필터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제 1고정수단(121)과 제 2고정수단(122)의 사이 공간의 바닥면에는 고무패킹이 구비되기 때문에 마찰력에 의해 상기 필터부(200)의 회전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안내홈(130)의 높이(h2)가 상기 회전돌기(211)의 높이(h1)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필터부(200)의 회전시에는 상기 필터부(200)를 상방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상기 필터부(200)와 고무패킹이 비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한 뒤, 상기 필터부(2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축회전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공기정화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 구동단계
구동단계는 차량 실내 공기를 흡기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한 쌍의 구동모터(320)가 동시에 동작되도록 하여 외기가 상기 유입홈(110)을 통해 외함(10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과정이다.
2. 정화단계
정화단계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고, 항균 처리하며, 악취를 제거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구동단계에 유입되는 외함(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복수 개의 필터부(20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정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과정이다.
3. 나선유로 이동단계
나선유로 이동단계는 내함(310)의 중심부로 이동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서, 상기 정화단계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내함(310)의 중심부로 유입된 공기가 나선형 유로(333)를 따라 나선형으로 유동되면서 내함(310)의 상부 외측으로 유동되는 과정이다.
4. 배출단계
배출단계는 상기 내함(310)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가 균일하게 분포되면서 실내로 공급되게 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내함(310)의 상방으로 유동된 공기가 상기 외함(100)과 상부체(331)의 사이 공간에 형성된 배출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정화된 공기가 차량 실내로 공급되는 과정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 외함 110 : 유입홈
120 : 고정부 121 : 제 1고정수단
122 : 제 2고정수단 130 : 회전 안내홈
200 : 필터부
211 : 회전돌기
300 : 나선유로 형성부 310 : 내함
311 : 제 1측벽 312 : 제 2측벽
313 : 바닥면 314 : 내함 유입구
320 : 구동모터 330 : 유로 형성 커버
331 : 상부체 332 : 하부체
332a : 보조 체결부
333 : 나선형 유로

Claims (10)

  1. 차량 시트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차량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차량용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내부가 빈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측면에 복수 개의 유입홈(110)이 형성되는 외함(100);
    상기 외함(10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필터부(200); 및
    상기 필터부(200)를 통과한 공기를 중심부로 흡기하되, 흡기된 공기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나선형으로 유동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나선유로 형성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선유로 형성부(300)는,
    상부면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둘레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된 내함 유입구(314)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내함(310);
    상기 내함 유입구(314)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내함(310)의 중심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구동모터(320); 및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 외주면에 나선형의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내함(310)의 중심부로 유입된 공기가 나선형으로 유동되면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유로 형성 커버(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함(310)은,
    일방향으로 휘어진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제 1측벽(311);
    상기 제 1측벽(311)과 동일한 형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측벽(311)과 볼록한 부분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상태가 되도록 구비되되, 양단이 상기 제 1측벽(311)의 양단과 서로 어긋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는 제 2측벽(312);및
    인접한 한 쌍의 제 1측벽(311)의 끝단과 제 2측벽(312)의 양단 사이 공간에 각각 구성되는 내함 유입구(3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함 유입구(314)는,
    내함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되, 개구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며, 더불어 상기 내함 유입구(314)는 각각 경사진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 커버(330)는,
    상기 외함(100)의 상단부를 덮어 가리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함(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상부체(331);
    상기 상부체(331)의 하면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상부체(331)과 결합된 부분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하단부가 상기 내함(310)의 중심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외함(100)과 체결되는 하부체(332); 및
    상기 하부체(332)의 외주면 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유로 이루어지는 나선형 유로(33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함(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필터부(200)의 내주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외함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1고정수단(121); 및
    상기 필터부(200)의 외주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2고정구단(122);
    을 포함하는 고정부(1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수단(121)과 제 2고정수단(122)은,
    끝단이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200)의 내주면에는 회전돌기(21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120)에는 상기 회전돌기(211)가 삽입 체결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안내홈(1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안내홈(130)의 높이가 상기 회전돌기(211)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차량용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차량내 공기정화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구동모터(320)가 동시에 동작되도록 하여 외기가 상기 유입홈(110)을 통해 외함(10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구동단계;
    상기 구동단계에 유입되는 외함(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200)의 복수 개의 필터부재(3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정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정화단계;
    상기 정화단계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내함(310)의 중심부로 유입된 공기가 나선형 유로(333)를 따라 나선형으로 유동되면서 내함(310)의 상부 외측으로 유동되게 하는 나선유로 이동단계; 및
    상기 내함(310)의 상방으로 유동된 공기가 상기 외함(100)과 상부체(331)의 사이 공간에 형성된 배출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 공기정화방법.
KR1020200145722A 2020-11-04 2020-11-04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내 공기정화방법 KR20220060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722A KR20220060130A (ko) 2020-11-04 2020-11-04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내 공기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722A KR20220060130A (ko) 2020-11-04 2020-11-04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내 공기정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130A true KR20220060130A (ko) 2022-05-11

Family

ID=8160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722A KR20220060130A (ko) 2020-11-04 2020-11-04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내 공기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01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700B1 (ko) 2016-11-15 2018-03-22 (주)엘씨디앤티 차량용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700B1 (ko) 2016-11-15 2018-03-22 (주)엘씨디앤티 차량용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328B1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KR102618876B1 (ko) 소독수단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20160097816A (ko) 공기살균정화장치
JPH0353007B2 (ko)
KR20090058815A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WO2015011819A1 (ja) 脱臭装置
KR20210140930A (ko) 공기청정기
KR200241168Y1 (ko) 공기청정기
TW201312062A (zh) 空氣清淨機
KR102293117B1 (ko) 공기 청정기
CN109780608A (zh) 吸油烟机
KR20200001337U (ko) 자동차 실내 공기정화장치
KR20080085964A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청정기
KR20220060130A (ko)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내 공기정화방법
KR20220060173A (ko) 필터부가 분리형으로 구성된 나선형 유로가 구비된 차량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내 공기정화방법
KR102428746B1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KR2016003685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665926B1 (ko) 차량용 실내 공기청정기
KR20220096596A (ko) 필터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102039297B1 (ko) 공기 청정기
KR20060118781A (ko) 자동차용 광촉매 공기 정화기
CN108844150B (zh) 空气净化方法以及空气净化器
KR20050115085A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재순환레인지후드
KR20170072582A (ko) 공기청정기 및 이의 토출 방향 제어 방법
JP3936766B2 (ja) 空気清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